KR100522462B1 - 반송신호 선택수신장치 - Google Patents

반송신호 선택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2462B1
KR100522462B1 KR1019980018894A KR19980018894A KR100522462B1 KR 100522462 B1 KR100522462 B1 KR 100522462B1 KR 1019980018894 A KR1019980018894 A KR 1019980018894A KR 19980018894 A KR19980018894 A KR 19980018894A KR 100522462 B1 KR100522462 B1 KR 100522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signal
level
intermediate frequency
out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8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6491A (ko
Inventor
히또시 도미야마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06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2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24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5/00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 H03J5/02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with variable tuning element having a number of predetermined settings and adjustable to a desired one of these settings
    • H03J5/0218Discontinuous tuning using an electrical variable impedance element, e.g. a voltage variable reactive diode, by selecting the corresponding analogue value between a set of preset valu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7/00Automatic frequency control; 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 H03J7/02Automatic frequency control
    • H03J7/04Automatic frequency control where the frequency control is accomplished by varying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a non-mechanically adjustable element or where the nature of the frequency controlling element is not significant
    • H03J7/06Automatic frequency control where the frequency control is accomplished by varying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a non-mechanically adjustable element or where the nature of the frequency controlling element is not significant using counters or frequency divid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1/00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 H03J1/0008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26Circuits for superheterodyne receivers
    • H04B1/28Circuits for superheterodyne receivers the receiver comprising at least one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hree or mor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46IF amplifier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B&W T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Channel Selection Circuits, Automatic Tuning Circuits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반송신호 수신장치는 중간주파수의 반송주파수를 가지는 중간주파수신호를 생성하는 주파수변환부와, 중간주파수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중심주파수를 가지는 복조특성을 가지고 중간주파수신호를 주파수복조하는 주파수복조부와, 주파수복조부에서 얻어지는 복조출력신호의 DC레벨이 소정의 레벨이상일 때, 미리 설정된 레벨을 가지는 제 1레벨 검출출력신호를 발생하도록 동작하는 DC레벨검출부와, 중간주파수신호의 주파수성분이, 상기 주파수복조부에서 복조특성의 중심주파수를 포함하는 소정의 주파수범위내에 속하고, 소정 이상의 레벨을 가질 때, 미리 설정된 레벨을 가지는 제 2레벨 검출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중간주파수 레벨검출부와, 수신주파수가 순차 변화되는 상황아래에서, 제 1레벨 검출출력신호와 제 2레벨 검출출력신호에 의거해서 상기 입력신호가 수신이 소망되는 반송신호인 소망의 조건인지 입력신호가 이미지 주파신호인 비소망의 조건인지를 판별하는 신호판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송신호 선택수신장치
본 발명은 반송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장치 특히, FM 라디오방송신호와 같은 주파수변조(FM) 반송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FM반송신호에 의거하는 복조출력신호를 얻는 진보된 반송신호 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FM라디오 방송신호와 같은 FM반송신호의 수신에 이용되는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의 분야에 있어서, 예를 들면 가변콘덴서가 사용되는 아날로그동조방식에 대신하여 페이즈·락드·루프(PLL)가 사용되는 디지털동조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디지털동조방식이 사용되는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에 있어서,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한 제어와 사용자에 의한 수신주파수의 수동 조정이 불필요하게 되는 하에서 수신주파수를 정확히 가변설정된다.
디지털동조방식을 사용하는 수신장치에 있어서, 자동주사동조방식이 사용된다. 자동주사동조방식이 실행되는 조건하에서, FM반송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기 위해 제공된 수신주파수는 PLL에 의해 미리 결정된 일정한 주파수간격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한다. 그러면, 수신주파수와 동조하는 FM반송신호가 있을 때, 수신주파수의 변화가 일시적으로 중지되어 그것에 동조하는 FM반송신호를 유지하므로, 각각의 FM반송신호가 탐색된다. 상기 서술한 것같은 자동 주사동조동작이 행해지는 동안, 수신하고자 하는 FM반송신호가 아닌 영상주파수신호가 FM반송신호와 같이 작용하여 수신주파수의 변화가 일시적으로 정지되는 오동작이 생기는 이러한 상황을 피하는 것이 소망된다.
따라서, FM반송신호를 주파수변환하여 얻어지는 중간주파수신호가 비교적 높은 반송파주파수, 예를 들면 10.7MHz를 가지도록 하므로, 이미지 주파수신호가 선택적으로 수신이 소망되는 FM반송신호가 존재하는 주파수대역에 존재하지 않고 자동주사동조동작에서 검출될수 없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전자회로에 관련된 집적기술의 발전에 의거하여 집적회로(IC)에 중간주파신호를 통과하도록 하는 중간주파필터도 포함하여 FM반송신호의 수신에 이용되는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의 중간주파회로부를 IC화하여 형성하는 것이 또한 최근에 제안되고 있다. 즉, FM반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이용되는 슈퍼헤테로다인수신기에 있어서, 중간주파회로부는 한 개이상의 IC칩을 사용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IC칩에 내장되는 중간주파수필터는 IC칩내에서 실현가능하게 되는 저항소자와 용량소자와에 의해 형성되게 되므로 그 중간주파수필터의 통과주파수대역이 비교적 낮은 주파수영역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중간주파필터를 포함하고 한 개 이상의 IC칩을 포함하는 중간주파회로부에서, 거기서 설정된 중간주파수가 비교적 낮은 주파수, 예를 들면 150kHz로 선정되게 된다.
상기 서술한 것같이, FM반송신호의 수신에 이용되는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에 잇어서, 중간주파수가 비교적 낮은 주파수, 예를 들면 150kHz로 선택되는 경우에, 이미지 주파수신호가 수신이 선택적으로 소망되는 FM반송신호가 존재하는 주파수대역에 비소망적으로 위치한다. 따라서, 선택된 FM반송신호가 자동주사동조동작에서 PLL에 의해 순차 변화되는 수신주파수와의 동조가 소망될 때, 선택된 FM반송신호에 인접하는 다른 FM반송신호에 기인하는 이미지 주파수신호가 선택된 FM반송신호처럼 동작하여 수신주파수와 원하지 않게 동조되는 오동작이 생기게 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신이 소망되는 FM반송신호가 슈퍼헤테로다인방식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신되고, 수신된 FM반송신호에 의거하는 복조출력신호가 얻어짐으로써, 종래의 기술에서 얻어지는 상기의 불편을 방지할수 있는 반송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신이 소망되는 FM반송신호가 슈퍼헤테로다인방식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신되고, 수신된 FM반송신호에 의거하여 복조출력신호가 얻어짐으로써, 수신된 FM반송신호를 주파수변환하여 얻어진 중간주파수신호의 반송주파수인 중간주파수가 비교적 낮게 선택되는 상황하에서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수신주파수를 사용하여 자동주사동조동작에서 이미지 주파수신호에 의해 생긴 간섭을 방지할수 있는 반송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신이 소망되는 FM반송신호가 슈퍼헤테로다인방식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신되고, 수신된 FM반송신호에 의거하여 복조출력신호가 얻어짐으로써, 장치의 중간주파수회로부는 수신된 FM반송신호를 주파수변환하여 얻어진 중간주파수신호가 통과하게 하는 중간주파수필터를 포함하고 중간주파수신호의 비교적 낮은 반송주파수를 가지고 동작하는 IC가 형성되는 상황하에서 연속하여 변화하는 수신주파수를 사용하여 자동주사동조동작에서 이미지 주파수신호에 의해 생긴 간섭을 방지하는 반송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신주파수를 가변 설정하는 주파수를 가지는 국부발진신호를 가지고 입력신호의 반송파주파수를 미리 선정된 중간주파수로 변환하여 중간주파수의 반송주파수를 가지는 중간주파수신호를 생성하는 입력신호를 주파수변환하는 주파수변환부와, 중간주파수신호를 증폭하는 중간주파수증폭부와, 중간주파수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중심주파수를 가지는 복조특성을 가지고 상기 중간주파수증폭부에서 얻어지는 중간주파수신호를 주파수복조하는 주파수복조부와, 상기 주파수복조부에서 얻어지는 복조출력신호의 DC레벨이 소정의 레벨이상일 때, 미리 설정된 레벨을 가지는 제 1레벨 검출출력신호를 발생하도록 동작하는 DC레벨검출부와, 상기 중간주파증폭부에서 얻어지는 중간주파수신호의 주파수성분이, 상기 주파수복조부에서 복조특성의 중심주파수를 포함하는 소정의 주파수범위내에 속하고, 소정 이상의 레벨을 가질 때, 미리 설정된 레벨을 가지는 제 2레벨 검출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중간주파수 레벨검출부와, 수신주파수가 순차 변화되는 상황아래에서, 상기 직류레벨검출부에서 얻어지는 제 1레벨 검출출력신호와 상기 중간주파수레벨 검출부에서 얻어지는 제 2레벨 검출출력신호에 의거해서 상기 입력신호가 수신이 소망되는 반송신호인 소망의 조건인지 입력신호가 이미지 주파신호인 비소망의 조건인지를 판별하는 신호판별부를 포함하는 반송신호 선택수신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된 반송신호를 수신하는 장치의 실시예에 있어서, 신호판별부에서 얻어지는 판별결과는 수신주파수를 가변설정하는 국부발진신호의 주파수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언급한 것같이 구성된 반송신호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중간주파수가 비교적 낮게 설정되고, 그것에 의해 이미지 주파수신호가 수신이 소망되는 반송신호가 존재하는 주파수대역내에 들어가는 상황하에서, 수신주파수가 순차 변화시켜지는 주사동조동작이 행해질 때, 입력신호가 수신이 소망되는 반송신호이며, 주파수복조부에서 수신이 소망되는 반송신호에 의거한 복조출력신호가 얻어지는 상황과, 입력신호가 이미지 주파수신호이며, 주파수복조부에서 이미지 주파수신호에 의거한 복조출력신호가 얻어지는 상황에서는, 중간주파레벨 검출부로부터의 제 2레벨 검출출력신호가 미리 설정된 레벨을 취하게 되는 수신주파수보다 일단계전의 수신주파수가 설정된 아래에 있어서의, 직류레벨 검출부로부터의 제 1레벨 검출출력신호가 취하는 레벨상태가 다른 것으로 된다.
예를 들면, 입력신호가 수신이 소망되는 반송신호이며, 주파수복조부에서 수신이 소망되는 반송신호에 의거한 복조출력신호가 얻어지는 상황에 있어서는, 중간주파레벨 검출부로부터의 제 2레벨 검출출력신호가 미리 설정된 레벨을 취하게 되는 수신주파수보다 일단계전의 수신주파수가 설정된 아래에서, 직류레벨 검출부로부터의 제 1레벨 검출출력신호가 미리 설정된 레벨을 취하는 상태에 있는데 대하여, 입력신호가 이미지 주파수신호이며, 주파수복조부에서 이미지 주파수신호에 의거한 복조출력신호가 얻어지는 상황에 있어서는, 중간주파레벨 검출부로부터의 제 2레벨 검출출력신호가 미리 설정된 레벨을 취하게 되는 수신주파수보다 일단계전의 수신주파수가 설정된 아래에서, 직류레벨 검출부로부터의 제 1레벨 검출출력신호가 미리 설정된 레벨을 취하지 않는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신호판별부는 수신주파수가 순차 변화시키는 주사동조동작이 행해질 때, 직류레벨 검출부로부터의 제 1레벨 검출출력신호와 중간주파레벨 검출부로부터의 제 2레벨 검출출력신호와의 레벨관게에 의거하여, 입력신호가 수신이 소망되는 반송신호가 이미지 주파수신호인지가 판별된다.
그 결과, 신호판별부에 의한 판별결과를 사용하여 수신주파수를 가변설정하는 국부발진신호의 주파수제어가 행해지는 경우에, 입력신호가 수신이 소망되는 반송신호일때, 수신주파수에서의 변화가 일시적으로 정지되어 수신이 소망되는 반송신호가 그것과 동조되게 하고, 입력신호가 이미지 주파수신호이면, 일시 정지됨이 없이 수신주파수의 변화가 계속되므로, 이미지 주파수신호에 의해 생긴 간섭은 자동주사동조동작으로부터 제거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익은 도면을 첨부하여 기술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송신호를 선택수신하는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는 FM반송신호와 같은 FM라디오 방송신호를 수신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안테나(11)를 통하여 나오고 FM반송신호(SFM)를 포함하는 입력신호가 무선주파증폭기(12)에 의해 증폭되어 주파수변환회로(13 및 14)에 공급된다. FM반송신호(SFM)는 예를 들면 76MHz에서 108MHz까지의 주파수대역내에 포함된 반송주파수를 가지는 FM라디오 방송신호이다.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국부발진회로(15) 및 마이크로컴퓨터(16)가 설치되어 있다. 국부발진회로(15)는 수신주파수보다 소정의 주파수, 예를 들면 150kHz만큼 낮은 주파수의 2배의 주파수를 가지는 발진출력신호(SOC)를 발생하도록 동작한다. 이 발진출력신호(SOC)의 주파수는, 마이크로컴퓨터(16)로부터 제어신호(CCV)에 의해 제어된다. 즉,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 마이크로컴퓨터(16)로부터 공급된 제어신호(CCV)에 의해 발진출력신호(SOC)의 주파수가 제어되는 조건아래에서, 그 수신주파수가 국부발진회로(15)에서 얻어지는 발진출력신호(SOC)의 주파수의 1/2보다 150kHz만큼 높은 주파수로서 가변설정된다.
국부발진회로(15)에서 얻어지는 발진출력신호(SOC)는, 1/2분주회로(17)에 공급되고, 1/2분주회로(17)에서 주파수를 1/2로 분주하는 주파수분할처리를 한다. 이러한 주파수분할 결과로서, 1/2분주회로(17)에서 한쌍의 국부발진신호(SOLO, SOLQ)가 얻어진다. 각각의 발진출력신호(SOLO, SOLQ)는 국부발진회로(15)에서 얻어지는 발진출력신호(SOC)의 절반의 주파수에 상당하는 주파수를 가지고, 서로 90도의 위상차를 가진다. 국부발진신호(SOLO)가 주파수변환회로(13)에 공급되고, 국부발진신호(SOLQ)가 주파수변환회로(14)에 공급된다. 1/2분주회로(17)에서 얻어지는 국부발진신호(SOLO 및 SOLQ)의 각각은, 그 주파수에 의해 도 1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 수신주파수를 국부발진신호(SOLO 및 SOLQ)의 주파수보다 150kHz만큼 높은 주파수로 가변설정한다.
주파수변환회로(13)에서는, 무선주파증폭기(12)를 통하여 공급되는 신호가 국부발진신호(SOLO)를 가지고 주파수변환되어서 얻어지는, 중간주파신호(SIFA)가 도출된다. 또, 주파수변환회로(14)에서는, 무선주파증폭기(12)를 통하여 공급되는 입력신호가 국부발진신호(SOLQ)를 가지고 주파수변환되어서 얻어지는, 중간주파신호(SIFB)가 도출된다. 이와 같이하여 얻어지는 중간주파신호(SIFA 및 SIFB)의 각각은, 그 반송파주파수를 수신주파수와 국부발진신호(SOLO 및 SOLQ)의 각각의 주파수와의 차, 즉 150kHz로 된 중간주파수로 하는 것으로 된다.
주파수변환회로(13)에서 도출되는 중간주파신호(SIFA) 및 주파수변환회로(14)에서 도출되는 중간주파신호(SIFB)는, 4차의 이상회로망으로 이루는 이상부(18)에 공급된다. 그리고, 이상부(18)에서는 중간주파신호(SIFA) 및 중간주파신호(SIFB)에 의거한 각각이 반송파주파수를 150kHz로 선정된 중간주파수로 하고, 상호간에 90도의 위상차를 가진 2개의 중간주파신호(SIFO 및 SIFQ)가 도출되고, 그들이 신호가산부(19)에 공급된다.
주파수변환회로(13 및 14)와 이상부(18)와는, 이미지 주파수신호에 대한 억압부를 형성하고 있고, 이 억압부에 의해 이미지 주파수신호는 예를 들면 약 40dB의 억압을 받는다.
신호가산부(19)에서는, 중간주파신호(SIFO)와 중간주파신호(SIFQ)와가 가산되어서 형성되는, 반송파주파수를 150kHz로 선정된 중간주파수로 하는 중간주파신호(SIF)가 얻어지고, 그것이 중간주파필터(20)를 통하여 도출된다. 따라서, 주파수변환회로(13 및 14), 국부발진회로(15), 1/2분주회로(17), 이상부(18) 및 신호가산부(19)는, 전체로 무선주파증폭기(12)를 통하여 공급되는 신호에 대한 반송주파수를 150kHz로 선정된 중간주파수로 하는 중간주파신호(SIF)로의 주파수변환을 행하는 주파수변환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중간주파필터(20)를 통하여 도출되는 중간주파신호(S1F)는 중간주파증폭부(21)에 공급되고, 중간주파증폭부(21)에 의해 소정의 증폭도를 가지고 증폭된다.
중간주파증폭부(21)에 대하여 증폭된 중간주파신호(SIF)는, 주파수복조부(22)에 공급된다. 주파수복조부(22)는 150kHz로 선정된 중간주파수를 중심주파수로 하는 주파수복조특성을 구비한 것으로 된다. 그리고, 주파수복조부(22)에서, 중간주파신호(SIF)가 주파수복조되어서 얻어지는 복조출력신호(SA)가 도출된다.
주파수복조부(22)에서 얻어지는 주파수복조출력신호(SA)는 단자(23)에 도출되고 이조검출부(24)에 공급된다. 또한, 주파수복조부(22)에서 얻어지는 주파수복조출력신호(SA)는 주파수복조기(22)의 출력단과 기준전위간에 연결된 저항소자(25)와 콘덴서(26)의 직렬접속에 공급된다. 저항소자(25) 및 콘덴서(26)사이(컨덴서(26)을 통하여)의 접속점과 기준전위점과의 사이에서 주파수복조출력신호(SA)에 의거한 직류전류(VSA)이 얻어진다.
콘덴서(26)를 통하여 얻어지고 복조출력신호(SA)에 의거한 직류전류(VSA)은 레벨비교부(27)의 비교입력단에 공급된다. 콘덴서(26)의 양단간에 얻어지는 DC전압(VSA)의 중앙레벨(VC)에 대응하는 기준직류전류(VRE)이 레벨비교부(27)의 기준입력단에는 전압원(28)으로부터의 공급된다. 레벨비교부(27)에서 직류전류(VSA)과 기준직류전류(VRE)의 레벨비교의 결과로서 제 1레벨검출출력신호(VCO)가 레벨비교기(27)에서 얻어진다. 직류전류(VSA)이 기준직류전류(VRE)이상일 때, 즉, 주파수복조부(22)에서 얻어진 주파수복조출력신호(SA)의 직류전류레벨이 주파수복조기(22)에서의 주파수복조특성의 중심주파수와 대응하는 중간주파신호(SIF)의 주파수성분으로 주파수복조에 의해 얻어지는 주파수복조출력신호(SA)의 직류전류레벨인 직류전류(VSA)의 중앙레벨(VC) 이상일 때, 제 1레벨검출출력신호(VCO)는 소정의 레벨을 가진다. 따라서, 레벨비교부(27)는, 주파수복조부(22)에서 얻어지는 복조출력신호(SA)의 직류전류레벨이 소정의 레벨 이상일 때, 미리 설정된 레벨을 가지는 제 1레벨 검출출력신호(VCO)를 발생하는 직류레벨검출부를 형성하고 있다. 레벨비교부(27)에서 얻어지는 제 1레벨 검출출력신호(VCO)는 마이크로 컴퓨터(16)에 공급된다.
콘덴서(26)의 양단간에 얻어지고 복조출력신호(SA)에 의거한 직류전류(VSA)은 또한 이조검출부(24)에 공급된다. 150kHz로 선정된 중간주파수에 대응하는 중심주파수를 가지고 소정의 주파수범위, 예를 들면 중간주파수보다 50kHz만큼 낮은 주파수(100kHz)에서 중간주파수보다 50kHz만큼 높은 주파수(200kHz)까지의 주파수범위에 속하는 중간주파수신호(SIF)의 주파수성분에 의거하여 얻어지는 주파수 복조출력신호(SA)가 주파수복조부(22)에서 얻어질 때, 미리 설정된 고레벨을 취하는 검출출력신호(VCF)가 이조검출기(24)에서 구동되어 앤드회로(29)의 하나의 입력단에 공급된다.
중간주파증폭부(21)에서 증폭된 증간주파신호(SIF)는, 레벨검출부(30)에도 공급된다. 중간주파증폭부(21)로부터의 중간주파신호(SIF)가 소정 이상의 레벨을 가질 때 미리 설정된 고레벨을 취하는 검출출력신호(VSIF)가 레벨검출부(30)에서 얻어지고 앤드회로(29)의 입력단의 다른편에 공급된다. 제 2레벨검출출력신호(VDC)가 앤드회로(29)에서 검출출력신호(VCF)와 검출출력신호(VSIF)의 레벨검사의 결과로서 앤드회로(29)로부터 얻어진다.
이조검출부(24)로부터의 검출출력신호(VCF)가 미리 설정된 고레벨을 가지고, 또한 레벨검출부(30)로부터의 검출출력신호(VSIF)가 미리 설정된 고레벨을 가질 때, 즉 150kHz로 설정된 중간주파수에 대응하는 중심주파수, 즉 주파수변조부(22)에서 주파수변조특성의 중심주파수를 가지고 중간주파수범위 예를 들면 중간주파수보다 50kHz만큼 낮은 주파수 즉, 100kHz에서 중간주파수보다 50kHz만큼 높은 주파수 즉, 200kHz까지의 주파수범위에 속하는 중간주파신호(SIF)의 주파수성분이 소정 이상의 레벨을 가질 때, 제 2레벨 검출출력신호(VDC)는 소정의 레벨을 가진다. 따라서, 앤드회로(29)는 주파수복조부(22)의 주파수복조특성의 중심주파수에 대응하는 중심주파수를 가지고 소정의 주파수범위에 있는 중간주파신호(SIF)의 주파수성분이 소정 이상의 레벨을 가질 때, 미리 설정된 레벨을 가지는 제 2레벨 검출출력신호(VDC)를 발생하는 중간주파레벨 검출부를 형성하고 있다. 앤드회로(29)에서 얻어지는 제 2레벨 검출출력신호(VDC)는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16)에 공급된다.
마이크로 컴퓨터(16)에 있어서, 예를 들면 입력부(31)가 조작되어서, 마이크로 컴퓨터가 자동 주사동조동작을 실행하도록 명령하는 명령신호(SX)가 마이크로 컴퓨터에 공급될 때, 제 1레벨 및 제 2레벨 검출출력신호(VCO와 VDC)에 의거해서, 무선주파증폭기(12)에서 주파수변환회로(13 및 14)에 공급되는 입력신호가 수신이 소망되는 FM반송신호(SFM)인지 이미지 주파수신호인지가 검사된다. 도 1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수신주파수를, 예를 들면 100kHz의 소정의 일정한 주파수간격으로 순차 변화시키도록 제어신호(CCV)가 국부발진회로(15)에 공급된다.
제어신호(CCV)가 공급되는 국부발진회로(15)는 그 제어신호(CCV)에 따라서 발진출력신호(SOC)의 주파수를 순차 변화시키도록 동작되므로 1/2분주회로(17)에서 얻어지는 국부발진신호(SOLO 및 SOLQ)의 각각의 주파수가 예를 들면 100kHz의 소정의 일정한 주파수간격으로 증가한다. 국부발진신호(SOLO 및 SOLQ)의 이러한 주파수의 변화를 가지고,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수신주파수는 국부발진신호(SOLO 및 SOLQ)의 각각의 주파수보다 150kHz만큼 높고, 소정의 최저주파수, 예를 들면 76MHz에서 예를 들면 100kHz의 소정의 일정한 주파수간격으로 순차 증가하고, 그럼으로써 자동 주사동조동작이 실행된다.
무선주파증폭기(12)를 통하여 주파수변환회로(13 및 14)의 각각에 공급되는 입력신호가 90MHz의 반송파주파수를 가지는 FM반송신호(SFM)로 가정하면, 수신주파수가 90MHz로 설정되도록 국부발진신호(SOLO 및 SOLQ)의 각각의 주파수가 89. 85MHz로 설정될 때, 90MHz의 반송파주파수를 가지는 FM반송신호(SFM)와 89. 85MHz의 주파수를 가지는 국부발진신호(SOLO 및 SOLQ)에 의거하여 생성되고 150kHz로 결정되는 중간주파수와 동일한 반송주파수를 가지는 중간주파신호(SIF)가 중간주파수증폭기(21)에서 얻어진다. 그러면, 수신주파수가 90.3MHz로 설정되도록 국부발진신호(SOLO 및 SOLQ)의 각각의 주파수가 90.15MHz로 설정될 때, 90MHz의 반송파주파수를 가지는 FM반송신호(SFM)와 90.15MHz의 주파수를 가지는 국부발진신호(SOLO 및 SOLQ)에 의거하여 생성되고 150kHz로 결정되는 중간주파수와 동일한 반송주파수를 가지는 중간주파신호(SIF)가 중간주파수증폭기(21)에서 얻어진다.
수신주파수가 90.3MHz로 설정되도록 국부발진신호(SOLO 및 SOLQ)의 각각의 주파수가 90.15MHz로 설정될 때, 중간주파수증폭기(21)에서 얻어진 중간주파신호(SIF)는 90.3MHz의 반송주파수를 가지는 FM반송신호(SFM)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나타나고, 90MHz의 반송주파수를 가지는 FM반송신호(SFM)의 존재의 결과의 이미지 주파수신호에 의거하여 발생된다.
소정의 가장 낮은 주파수 예를 들면 75MHz에서 100kHz의 주파수간격을 가지고 순차 증가되는 수신주파수를 가지고 자동 주사동조동작이 행해질 때, 기준직류전류(VRE)에 상당하는 중앙레벨(VC)을 가지도록 주파수 복조출력신호(SA)에 의거하여 콘덴서(26)의 양단간에서 얻어지는 직류전류(VSA)은 100kHz의 일정한 주파수간격으로 수신주파수가 순차 증가하는데 따라서 도 2a에 나타낸 방법으로 레벨에서 변화한다. 그러므로, 도 2b에 나타낸 것같이, 레벨비교부(27)에서 얻어지는 제 1레벨 검출신호(VCO)는 직류전류(VSA)의 레벨이 중앙레벨(VC) 이상일 때만 미리 설정된 레벨(α)을 취한다. 또한, 도 2c에 나타내는 것같이, 앤드회로(29)에서 얻어지는 제 2레벨 검출출력신호(VDC)는 수신주파수가 90MHz로 설정될 때 반송파주파수를 90MHz로 가지는 FM반송신호(SFM)에 따라서 중간주파증폭부(21)에서 얻어지는 중간주파수신호(SIF)에 의거하여 미리 설정된 레벨(β)을 가지고, 수신주파수가 90. 3MHz로 설정될 때 반송파주파수를 90. 3MHz로 가지는 이미지 주파수신호에 따라서 중간주파증폭부(21)에서 얻어지는 중간주파수(SIF)에 의거하여 미리 설정된 레벨(β)을 가진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마이크로 컴퓨터(16)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레벨(β)을 가지고, 수신주파수가 90MHz로 설정될 때 90MHz의 반송파주파수를 가지는 FM반송신호(SFM)에 의거하여 얻어지고, 앤드회로(29)에서 얻어지는 제 2레벨 검출출력신호(VDC)의 일부(이 부분을 부분(TU)라고 말한다)와 미리 설정된 레벨(β)을 가지고, 수신주파수가 90.3MHz로 설정될 때 90.3MHz의 반송파주파수를 가지는 이미지 주파수신호에 의거하여 얻어지고, 앤드회로(29)에서 얻어지는 제 2레벨 검출출력신호(VDC)의 일부(이 부분을 (ER)이라고 한다)가 서로 식별되고, 그것에 의해, 무선주파증폭기(12)를 통하여 주파수변환회로(13 및 14)의 각각에 공급되어 있는 입력신호가, 수신이 소망되는 FM반송신호(SFM)인지 이미지 주파수신호인지 판별된다.
수신이 소망되는 FM반송신호(SFM)와 이미지 주파수신호사이의 입력신호의 판별은 90MHz로 설정된 수신주파수를 가지고 제 2레벨 검출출력신호(VDC)의 부분(TU)이 얻어지는 상황하에서, 레벨비교기(27)에서 얻어지는 제 1레벨검출출력신호(VCO)가 도 2b에 나타내는 것같이 수신주파수가 90MHz 바로 전의 98. 9MHz로 설정될 때 미리 설정된 레벨(α)을 가지고, 90.3MHz로 설정된 수신주파수를 가지고 제 2레벨 검출출력신호(VDC)의 부분(ER)이 얻어지는 상황하에서, 레벨비교기(27)에서 얻어지는 제 1레벨검출출력신호(VCO)가 도 2b에 나타내는 것같이 수신주파수가 90.3MHz 바로 전의 90.2MHz로 설정될 때 미리 설정된 레벨(α)을 가지는 상황하에서 실행된다.
상기 서술한 판별의 결과로서, 제 2레벨 검출출력신호(VDC)의 부분(TU)이 마이크로 컴퓨터(16)에서 검지되었을 때 무선주파증폭기(12)를 통하여 주파수변환회로(13 및 14)에 공급되는 입력신호가 수신이 소망되는 FM반송신호(SFM)라고 인식되고, 제 2레벨 검출출력신호(VDC)의 부분(ER)이 마이크로 컴퓨터(16)에서 검지되었을 때 무선주파증폭기(12)를 통하여 주파수변환회로(13 및 14)에 공급되는 입력신호가 이미지 주파수신호라고 인식된다.
상기 서술한 것같이, 마이크로컴퓨터(16)는 예를 들면 100kHz의 주파수간격을 가지고 순차 증가되는 수신주파수를 가지고 자동 주사동조동작이 행해지는 조건아래에서, 레벨비교부(27)에서 얻어지는 제 1레벨 검출출력신호(VCO)와 앤드회로(29)에서 얻어지는 제 2레벨 검출출력신호(VDC)에 기초하여, 무선주파증폭기(12)를 통하여 주파수변환회로(13 및 14)의 각각에 공급되어 있는 입력신호가, 수신이 소망되는 FM반송신호(SFM)인 바람직한 조건인지 무선주파증폭기(12)를 통하여 주파수변환회로(13 및 14)의 각각에 공급되어 있는 입력신호가 이미지 주파수신호인 바람직하지 않은 조건인지를 판별하는 신호판별부를 구성한다.
그러면, 마이크로컴퓨터(16)는 무선주파증폭기(12)를 통하여 주파수변환회로(13 및 14)에 공급되는 입력신호가 수신이 소망되는 FM반송신호(SFM)인 것으로 인식될 때에는, 국부발진회로(15)에서 공급되는 제어신호(CCV)를 발진출력신호(SOC)의 주파수에서 변화를 중지시키도록 동작하고, 또 무선주파증폭기(12)를 통하여 주파수변환회로(13 및 14)에 공급되는 입력신호가 이미지 주파수신호일 때, 국부발진회로(15)에 공급되는 제어신호(CCV)를 발진출력신호(SOC)의 주파수의 변화를 계속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무선주파증폭기(12)에서 주파수변환회로(13 및 14)에 공급되어 있는 입력신호가 수신이 소망되는 FM반송신호(SFM)일 때, 그 때의 수신주파수가 변화되지 않고 유지되므로 FM반송신호(SFM)가 계속적으로 수신된다. 한편, 무선주파증폭기(12)를 통하여 주파수변환회로(13 및 14)에 공급되는 입력신호가 이미지 주파수신호일 때, 수신주파수가 계속적으로 변화되므로, 이미지 주파수신호가 수신되지 않고 그럼으로써 이미지 주파수신호에 의해 생긴 간섭이 자동주사동조동작으로부터 제거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본발명의 반송신호 선택수신장치에 의하면, 중간주파수가 비교적 낮게 설정되고, 그것에 의해 이미지 주파수신호가 수신이 소망되는 반송신호가 존재하는 주파수대역내에 들어가는 상황하에서, 수신주파수가 순차 변화되는 주사동조동작이 행해질 때, 입력신호가 수신이 소망되는 반송신호이며, 주파수복조부에서 수신이 소망되는 반송신호에 의거한 복조출력신호가 얻어지는 상황과, 입력신호가 이미지 주파수신호이며, 주파수복조부에서 이미지 주파수신호에 의거한 복조출력신호가 얻어지는 상황에서는, 중간주파레벨 검출부로부터의 제 2레벨 검출출력신호가 미리 설정된 레벨을 취하게 되는 수신주파수보다 일단계전의 수신주파수가 설정된 아래에 있어서의, 직류레벨검출부로부터의 제 1레벨 검출출력신호가 취하는 레벨상태가 다른 것으로 된다.
따라서, 신호판별부에 의한 판별결과에 따라서, 수신주파수를 가변설정하는 주파수를 가진 국부발진신호의 주파수제어가 행해지도록 될 때에는, 예를 들면 입력신호가 수신이 소망되는 반송신호이면, 수신주파수가 순차 변화시켜지는 상태가 정지되어서, 수신이 소망되는 반송신호가 계속적으로 수신되는 상태가 취해지고, 그것에 대하여 입력신호가 이미지 주파수신호이면, 수신주파수가 순차 변화시켜지는 상태가 게속되도록 됨으로써, 이미지 주파수신호에 의한 방해를 받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발명에 따르는 반송신호 수신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레벨주파수 특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 안테나 12. 무선주파증폭기
13, 14. 주파수변환회로 15. 국부발진회로
16. 마이크로컴퓨터 17. 1/2분주회로
18. 이상부 19. 신호가산부
20. 중간주파필터 21. 중간주파증폭부
22. 주파수복조부 24. 이조검출부
25. 저항소자 26. 콘덴서
27. 레벨비교부 28. 전압원
29. 앤드회로 30. 레벨검출부
31. 입력조작부

Claims (3)

  1. 수신주파수를 가변 설정하는 주파수를 가지는 국부발진신호를 가지고 입력신호의 반송파주파수를 미리 선정된 중간주파수로 변환하여 중간주파수의 반송주파수를 가지는 중간주파수신호를 생성하는 입력신호를 주파수변환하는 주파수변환부와,
    중간주파수신호를 증폭하는 중간주파수증폭부와,
    중간주파수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중심주파수를 가지는 복조특성을 가지고 상기 중간주파수증폭부에서 얻어지는 중간주파수신호를 주파수복조하는 주파수복조부와,
    상기 주파수복조부에서 얻어지는 복조출력신호의 직류전류 레벨이 상기 주파수복조부의 복조특성의 중심주파수에 대응하는 중간주파수신호의 주파수성분에 의거하여 얻어지는 복조출력신호의 직류전류레벨 이상일 때, 미리 설정된 레벨을 가지는 제 1레벨 검출출력신호를 발생하도록 동작하는 직류전류 레벨검출부와,
    상기 중간주파증폭부에서 얻어지는 중간주파수신호의 주파수성분이, 상기 주파수복조부에서 복조특성의 중심주파수를 포함하는 주파수범위내에 속하고, 특정치 이상의 레벨을 가질 때, 미리 설정된 레벨을 가지는 제 2레벨 검출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중간주파수 레벨검출부와,
    수신주파수가 순차 변화되는 상황아래에서, 상기 중간주파수 레벨검출부로부터 얻어진 제 2레벨 검출출력신호가 미리 설정된 레벨을 가지는 다른 주파수 직전의 주파수로 수신주파수가 설정될 때 상기 직류레벨검출부에서 얻어지는 제 1레벨검출출력신호가 가지는 레벨에 의거하여 상기 입력신호가 수신하고자 하는 반송신호인 조건인지 또는 입력신호가 이미지 주파수 신호인 수신하고자 하지 않는 조건인지를 판별하는 신호판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신호 선택수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판별부에 있어서 얻어지는 판별결과가 국부발진신호의 주파수제어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신호 선택수신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판별부가, 상기 직류레벨 검출부로부터 얻어진 제 1레벨 검출출력신호 및 중간주파 레벨검출부에서 얻어진 제 2레벨 검출출력신호가 공급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신호 선택수신장치.
KR1019980018894A 1997-06-01 1998-05-25 반송신호 선택수신장치 KR1005224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57532 1997-06-01
JP15753297A JP3804189B2 (ja) 1997-06-01 1997-06-01 搬送信号選択受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491A KR19990006491A (ko) 1999-01-25
KR100522462B1 true KR100522462B1 (ko) 2006-01-12

Family

ID=15651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8894A KR100522462B1 (ko) 1997-06-01 1998-05-25 반송신호 선택수신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215829B1 (ko)
JP (1) JP3804189B2 (ko)
KR (1) KR100522462B1 (ko)
TW (1) TW4052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84568B2 (ja) * 1999-03-18 2009-06-24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2009231883A (ja) * 2008-03-19 2009-10-08 Panasonic Corp ラジオ受信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0005A (ja) * 1994-03-08 1995-09-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Fm受信装置
JPH08102645A (ja) * 1994-09-30 1996-04-16 Sanyo Electric Co Ltd Fmラジオ受信機
JPH08251050A (ja) * 1995-03-08 1996-09-27 Nippon Columbia Co Ltd 受信装置
KR960035752U (ko) * 1995-04-27 1996-11-21 약전계지역에서의 자동 선국장치
JPH0946184A (ja) * 1995-07-27 1997-02-14 Sony Corp 自動選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3301Y2 (ja) * 1977-07-02 1983-09-30 ヤマハ株式会社 受信機における受信状態自動選択回路
US4581643A (en) * 1983-07-25 1986-04-08 Rca Corporation Double conversion television tuner with frequency response control provisions
US4709406A (en) * 1985-09-19 1987-11-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F.C. system for broad-band FM receiver
US5058204A (en) * 1989-08-02 1991-10-15 Motorola, Inc. Synthesized selective call receiver having variable characteristics
JP2880971B2 (ja) * 1996-11-15 1999-04-12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周波数安定化回路
US6018543A (en) * 1997-05-21 2000-01-25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Noisy channel avoidance method in a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0005A (ja) * 1994-03-08 1995-09-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Fm受信装置
JPH08102645A (ja) * 1994-09-30 1996-04-16 Sanyo Electric Co Ltd Fmラジオ受信機
JPH08251050A (ja) * 1995-03-08 1996-09-27 Nippon Columbia Co Ltd 受信装置
KR960035752U (ko) * 1995-04-27 1996-11-21 약전계지역에서의 자동 선국장치
JPH0946184A (ja) * 1995-07-27 1997-02-14 Sony Corp 自動選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804189B2 (ja) 2006-08-02
TW405296B (en) 2000-09-11
KR19990006491A (ko) 1999-01-25
US6215829B1 (en) 2001-04-10
JPH10335987A (ja) 199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7515A (en) Adjacent channel controller for radio receiver
EP0618676B1 (en) Tunable device
US4661995A (en) Multi-superheterodyne receiver
US5222255A (en) Intermodulation controller for radio receiver
US4955077A (en) Radio with broad band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US4249261A (en) Superheterodyne radio receiver with nearby-station interference detection
US7509106B2 (en) Test signal generation circuit, and reception circuit
US3939424A (en) Radio receiver with a phase locked loop for a demodulator
KR0156938B1 (ko) 자동 선국 회로에 있어서 신호 강도의 피크 검출 회로
US20070146550A1 (en) Receiving circuit, receiving apparatus, and receiving method
US6211925B1 (en) Video intermediate-frequency signal processing device capable of receiving FM broadcasts
US3976943A (en) Phase lock loop AM/FM receiver
KR101016390B1 (ko) Fsk수신기
KR880002406B1 (ko) 마아크로포닉 제거회로를 가진 기계식 튜너
US6754289B2 (en) Synthesizer receiver
KR100522462B1 (ko) 반송신호 선택수신장치
EP0344991B1 (en) AFC apparatus
US20020080456A1 (en) Input interruption detecting circuit of optical receiver
US6233023B1 (en) Automatic fine tuning circuit
KR900008163B1 (ko) 소인(掃印)선국장치의 자동정지회로
EP0398351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broadcast FM satellite waves
JP3332094B2 (ja) 受信装置
US6700629B1 (en) Video intermediate frequency processing apparatus
KR960013786B1 (ko) 라디오 채널 자동 탐색 장치 및 방법
JP3364795B2 (ja) 位相同期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