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2129B1 - 강우시 하수관거나 우수관거의 유량 및 오염부하의 실시간모니터링 방법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강우시 하수관거나 우수관거의 유량 및 오염부하의 실시간모니터링 방법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2129B1
KR100522129B1 KR10-2002-0080716A KR20020080716A KR100522129B1 KR 100522129 B1 KR100522129 B1 KR 100522129B1 KR 20020080716 A KR20020080716 A KR 20020080716A KR 100522129 B1 KR100522129 B1 KR 100522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fall
flow rate
data
real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0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0195A (ko
Inventor
차희원
Original Assignee
차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희원 filed Critical 차희원
Priority to KR10-2002-0080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2129B1/ko
Publication of KR20050080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0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2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21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우시에 하수관거에서 발생하는 유량과 수질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강우시에 발생하는 유량과 오염부하 특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간 모니터링 방법은 배수유역의 하수도관련 현황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강우측정시스템 및 현장측정시스템으로부터 강우, 유량 및 수질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치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수집하는 단계, 측정치를 데이터전송시스템을 통하여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측정한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강우데이터, 유량데이터 및 수질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모니터링용 데이터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통하여 하수관거와 하수처리장 시설을 최적으로 운전할 수 있고, 방류선으로 방류 및 월류되는 강우유출량과 오염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강우시 하수관거나 우수관거의 유량 및 오염부하의 실시간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시스템 {THE METHOD AND SYSTEM FOR REAL TIME MONITORING FLOW AND POLLUTION LOAD IN SEWER SYSTEM AND STORM SEWER SYSTEM DURING RAINFALL}
본 발명은 강우시 하수관거나 우수관거의 유량 및 오염부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우시에 합류식 하수관거나 분류식 우수관거에서 발생하는 유량과 수질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중앙제어시스템으로 전송하여 해당 배수유역에서 강우시에 발생하는 유량과 오염부하 특성을 실시간으로 평가할 수 있는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몬순 기후 지대에 속하는 우리나라는 우기와 건기의 구별이 뚜렷하여 약1,200mm에 달하는 연간 강수량의 약 70~80%가 우기인 6~9월 사이에 900mm 이상 집중되며, 나머지 약 300mm정도는 8~9개월 동안에 내리는 데, 우기에는 일시적으로 폭우가 쏟아져서 거의 매년 연례 행사처럼 홍수의 피해가 속출하고 있으며, 건기인 겨울철은 눈에 의하여 강수량이 약간 있을 뿐 거의 가뭄이 들었다고 할 정도로 비의 양이 적다.
이러한 건기 및 우기에 있어서의 하수처리방식은 상이한데, 건기에는 배수유역에서 발생하는 하수가 모두 차집되고 하수처리장으로 이송되어 처리공정을 거친 후 방류선으로 방류된다. 한편, 우기시에는 하수관거 시스템에 따라 우수를 배제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으며, 이러한 하수관거 시스템에는 분류식 하수관거 (separate sewer system)와 합류식 하수관거(combined sewer system)가 있다.
먼저, 분류식 하수관거에서는 하수와 우수를 운반하는 관거가 분리되어 있으므로, 강우에 의해 발생하는 지표면 강우 유출수가 우수관거에 의해 배제되어 그대로 방류선으로 방류된다. 분류식 하수관거의 경우, 오수관과 우수관을 각각 별도로 설치하므로 합류식에 비하여 일반적으로 관거의 부설 비용이 많이 들지만, 저지대에서 하수를 양수펌프로 배제할 경우 또는 관거내 퇴적물을 세척수로 세류시킬 때에는 분류식이 유리하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합류식 하수관거는 단일 관거로서 하수와 우수를 모두 배제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지표면을 따라 내려온 강우 유출수가 하수관거로 유입되고, 유입된 강우 유출수와 하수는 합쳐져서 배수유역의 말단에 설치된 우수토실(storm overflow chamber), 즉, 월류조절장치에 의하여 건기 하수의 2~5배까지 차집관거로 차집되고, 그 이상의 유량은 방류선으로 방류되도록 설계 및 운영되고 있다. 합류식 하수관거에서는 강우시 유량증가에 대비하여 관 단면을 크게 설계하므로 관거내 검사가 용이하고 환기가 잘되는 이점이 있는 반면에, 건기에는 소량의 오수만이 흐르므로 유속이 느려져서 하수 내 고형물이 퇴적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강우 초기에 지표면을 씻어 내린 오염물이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고, 강우가 지속되어 유량이 점자 증가하게 되면, 관내 퇴적물을 침식, 재부유시켜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오염부하를 급격하게 증가시킨다. 동시에 차집관거 용량을 초과한 강우유출수는 하수를 포함한 채 하천으로 월류하게 되어 방류선의 오염을 초래하게 된다.
최근 대기오염이 심해짐에 따라 강우의 pH가 4~5 수준으로 떨어져 약산성을 띠고 있고, 보도된 바와 같이 오염도가 높은 강우 및 강우유출수로 인하여 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하는 등 강우에 의한 오염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하수처리장의 운영이나 배수유역의 방류선 관리에 있어서 강우시 하수관거나 우수관거에서 발생하는 유량과 오염부하에 대한 정보가 매우 중요하며, 특히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유량과 오염부하에 대한 모니터링과 이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는 기술개발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한편, 합류식 하수관거의 경우 관거, 하수처리장, 방류선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강우시 증가된 유량과 오염부하에 대한 평가가 반드시 필요하고, 월류조절장치에 의해 하수처리장으로 이송되지 못하고 방류선으로 월류되는 유량을 적절하게 제어하고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유량과 오염부하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강우시 하수관거나 우수관거에서 유량이나 수질변동에 대한 조사와 분석은 비정기적이고 불연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나마 일부지역에서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특히 예측하기 어려운 다양한 강우 조건에서 인력에 의존하여 조사하는 데는 분명히 한계가 있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공되고 있는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조절장치는 차집관거 설계 단계에서 유량중심으로 강우시에는 건기최대하수 유량에 몇배를 차집하도록 하는 단순한 원칙을 적용하고 있으며, 이마저도 실제 강우시 제대로 차집이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합류식 하수관거뿐만 아니라 분류식 하수관거에도 적용할 수 있고, 강우시 하수관거의 기능을 정확하게 평가하고, 배수유역에서 발생하는 강우 유출량과 오염부하특성을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강우, 유량 및 수질을 측정하고 이를 데이터화 및 그래프화하여 제공함으로써 강우에 의한 유량과 오염부하 발생특성을 분석 및 평가하고 해당지역에서 적용가능한 실시간 제어 시스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강우시 합류식 하수관거의 유량 및 오염부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방법으로서,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배수유역의 하수도관련 현황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배수유역에 설치한 강우측정시스템으로부터 강우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상기 합류식 하수관거에 설치한 현장측정시스템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상기 합류식 하수관거 말단의 차집직전지점 및 월류지점에서의 유량 및 수질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한 강우량, 유량 및 수질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데이터수집시스템을 통하여 수집하는 단계, 수집한 강우량, 유량 및 수질 데이터베이스를 데이터전송시스템을 통하여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하수도관련 현황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전송된 강우량, 유량 및 수질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강우데이터, 유량데이터 및 수질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모니터링용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연산하여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그리고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간 모니터링 방법에서 모니터링용 데이터 연산 단계는, 실시간 강우량, 총누적강우량, 강우기간, 선행 건기일, 강우지속기간, 평균강우강도 및 첨두강우강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강우데이터를 연산하며, 총누적강우량 및 평균강우강도는 소정의 식에 의하여 연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모니터링용 데이터 연산 단계는, 실시간 발생유량, 실시간 월류유량, 실시간 차집유량, 총발생유량, 강우량당 발생유량, 총월류유량, 총차집유량, 월류유량발생시점 및 종료시점, 단위면적당 단위강우량당 발생유량 및 단위면적당 강우지속시간당 발생유량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량데이터를 연산하며, 총발생유량은 소정의 식에 의하여 연산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모니터링용 데이터 연산 단계는, 실시간 오염농도, 총발생오염부하, 총월류오염부하량, 총차집오염부하량, 유량가중 평균농도, 강우지속시간당 발생오염부하량, 단위면적당 단위강우당 발생오염부하량 및 단위면적당 강우지속시간당 발생오염부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수질데이터를 연산하며, 총발생오염부하, 총월류오염부하량, 그리고 총차집오염부하량은 소정의 식에 의하여 연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특히 본 발명은 강우시 합류식 하수관거의 유량 및 오염부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으로서,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배수유역에 설치하여 강우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강우측정시스템, 배수유역의 합류식 하수관거에 설치하여 합류식 하수관거 말단의 차집직전지점 및 월류지점에서의 유량 및 수질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현장측정시스템, 강우측정시스템 및 현장측정시스템으로부터 측정한 강우량, 유량 및 수질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수집하는 데이터수집시스템, 데이터수집시스템으로부터 수집한 강우량, 유량 및 수질 데이터베이스를 전송하는 데이터전송시스템, 그리고 배수유역의 하수도관련 현황자료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전송시스템으로부터의 강우량, 유량 및 수질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강우데이터, 유량데이터 및 수질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모니터링용 데이터를 연산하는 중앙제어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중앙제어시스템은 전송된 강우량, 유량 및 수질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강우량, 유량 및 수질 데이터 중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연산하는 연산서버, 그리고 데이터베이스 서버 및 연산서버와 상호 연결되어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강우시 실시간으로 강우, 유량, 수질을 모니터링하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전체적인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니터링 시스템(1)은 강우, 유량 및 수질을 실측하는 데이터측정 시스템(11), 실측한 데이터를 모아서 축적하는 데이터수집 시스템(12), 실측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하는 데이터전송 시스템(13), 그리고 전송된 데이터를 수집하고 연산하는 중앙제어 시스템(14)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모니터링 시스템(1)에 있어서 데이터측정 시스템(11)은 배수유역을 대표할 수 있는 지역에 강우계 등을 설치하여 강우시의 강우량을 측정하는 강우측정 시스템(111)과, 해당 배수유역의 하수관거나 우수관거 말단에서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감지기 및 수질을 분석하는 수질분석기 등의 현장측정 시스템(112)을 포함한다. 강우측정 시스템(111)은 강우계 등을 설치하여, 강우 측정 시작과 동시에 현장측정 시스템(112)에서 유량과 수질을 측정하기 시작하고, 유량 측정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강우 측정 및 수질 분석을 종료한다. 강우, 유량 및 수질의 측정 간격은 10~30분 간격으로 동일하게 설정하고, 측정 데이터는 데이터수집 시스템(12)에서 수집된 후 데이터전송 시스템(13)을 통하여 중앙제어 시스템(14)으로 전송된다. 중앙제어 시스템(14)은 CPU (141), 연산서버(142) 및 데이터베이스서버(143)를 포함하므로, 본 발명의 데이터수집 시스템(12)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가공하고 이를 그래프로 플롯하여 강우시의 유량 및 수질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연산의 한 예로서, 본 발명의 유량 데이터 연산에 필요한 유량 측정은 수위와 유속을 곱하여 계산한다. 수질의 경우 현장측정 시스템(112) 중 하나인 수질분석기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시료를 채취한 후 별도의 분석작업을 통하여 산출된 데이터를 이용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현장측정 시스템은 관거 구조에 따라 상이하게 설치되어 분류식하수관거 시스템이나 합류식 하수관거 시스템, 양쪽에서 모두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즉, 분류식 하수관거 시스템의 경우 우수관거에만 현장측정시스템을 설치하여 유량과 수질을 측정하나, 합류식 하수관거 시스템의 경우 현장측정시스템을 관거말단의 차집직전지점과 월류지점에 설치하여 유량과 수질을 측정한다.
도 2a는 이와 같이 분류식 하수관거 시스템의 우수관거에 본 발명의 현장측정시스템을 설치하여 유량 및 수질을 측정하는 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 2b는 합류식 하수관거 시스템에서 관거말단 및 월류지점에 본 발명의 현장측정시스템을 설치하여 유량 및 수질을 측정하는 예를 나타낸다. 이러한 본 발명의 현장측정시스템의 형태 등은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본 발명의 현장측정시스템은 측정용 컨트롤러(21) 및 측정용 센서(22)를 포함하며, 이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유량 및 수질을 측정할 수 있다. 도 2a는 분류식 하수관거 시스템의 우수관거(23)에 설치된 본 발명의 측정용 센서(22) 및 이에 연결된 측정용 컨트롤러(21)를 이용하여 유량 및 수질을 측정하는 예를 나타내며, 도 2b는 합류식 하수관거 시스템의 합류식 하수관거의 말단(24) 및 월류지점(25)에 각각 설치된 측정용 센서(22) 및 이에 연결된 측정용 컨트롤러(21)를 이용하여 유량 및 수질을 측정하는 예를 나타낸다. 이러한 본 발명의 현장측정시스템을 이용하여 유속, 수위 및 수질을 각각 측정한 다음, 데이터전송시스템(13)에서 실시간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중앙제어시스템(14)으로 전송한다.
도 3은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측정 시스템의 설치 위치를 예시하는하수관거에 대한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으로 표시한 강우계(강우측정 시스템)의 경우 배수 유역을 대표할 수 있는 좌우 두 영역의 중심부에 설치한다. 또한 ●으로 표시한 유량 감지기 및 ◆으로 표시한 수질분석기의 경우 하수관거나 우수관거의 말단인 각 간선 및 지선이 합류하는 지점에 설치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류된 하수는 최종적으로 하수처리장(sewage treatment plant, STP)으로 향한다.
본 발명의 모니터링 시스템(1)에 있어서 중앙제어시스템(14)은 해당 배수유역에 대한 하수도 기초현황자료를 토대로 강우에 의한 유량과 오염부하 발생특성을 분석 및 평가하고, 해당지역에서 적용가능한 실시간 제어 시스템의 가동여부와 가동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도 4는 강우시에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나 우수관거의 유량 및 오염부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작업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의 모든 단계들은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모니터링시스템(1)을 구축하는 각 시스템들에 의하여 실행된다.
먼저 본 발명의 모니터링 작업 시작전에 단계(S41)에서 중앙제어시스템에 배수유역의 하수도관련 현황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이와 같은 데이터베이스 구축 작업에 포함된 관련 현황자료에는 강우확률빈도분석, 배수유역 하수도 대장 도면, 하수배제 방식, 인구, 주거형태, 관종, 관경, 관연장, 유역면적, 유역경사, 관거경사, 매설연도, 유역내 불투수지표면적 그리고 지표면 강우유출계수 등이 포함된다.
단계(S42)에서는 강우, 유량 및 수질을 측정하기 위한 데이터측정시스템의 구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데이터측정시스템을 구축한 다음, 단계(S43)에서는 강우, 유량 및 수질을 측정한다. 강우는 강우측정시스템(111)에 의하여 측정되어 데이터화되고, 유량 및 수질은 현장측정시스템(112)인 유량 감지기 및 수질 분석기를 통하여 수집된다.
다음으로 단계(S44)에서는 이와 같이 측정된 데이터가 데이터수집 시스템 (12)을 통하여 수집된 후, 단계(S45)에서는 데이터전송 시스템(13)을 통하여 중앙제어 시스템(14)으로 전송된다. 단계(S46)에서는 중앙제어 시스템이 실시간으로 전송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며 이러한 데이터를 토대로 강우발생시점과 종료시점을 인식하고 이미 입력되어 있는 배수유역 현황자료를 이용하여 강우에 의한 유량과 오염부하발생특성을 분석 및 평가하며, 해당지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절차를 거쳐서 본 발명의 모든 과정이 종료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중앙제어 시스템에서 배수현황자료 데이터와 현장실측 데이터를 활용하여 강우로 인하여 발생되는 유량과 오염부하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표 1]
상기의 표 1은 본 발명의 모니터링 시스템 중 중앙제어 시스템에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된 배수유역 현황자료를 예시한다. 이러한 배수유역 현황자료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배수유역 현황자료는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이 장기적으로 운영되는 경우에는 유역현황자료를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도록 하여 정확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표 1에 기재한 배수유역 현황자료는 그 일례로서 하수배제방식, 용도, 유역인구, 유역면적, 하수관거의 사양, 유역내 불투수면적, 지표면대표강우유출계수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배수유역현황자료는 본 발명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루는 중앙제어시스템에 연산 작업의 기초가 되는 데이터를 제공한다.
[표 2]
상기의 표 2는 강우측정시스템으로 측정한 강우의 데이터 내역을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강우 데이터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강우데이터의 경우, 실시간 데이터가 중앙제어 시스템으로 전송되면 표 2와 같은 실시간강우량, 총누적강우량, 강우기간, 선행 건기일, 강우지속기간, 평균강우강도 및 첨두강우강도 등이 자동으로 연산된다.
표 2에 나타낸 연산과정을 설명하면, 실시간강우량(RR)은 강우계에서 실시간으로 측정한 값으로 그 단위는 시간당 강우량(mm/hr)이다. 총누적강우량(RT)은 강우 시작시부터 현재까지 내린 강우를 모두 합한 양으로서, 수식으로 표현하면 RT = ∑RR×TRDT 이다. 여기서의 강우지속시간(TRDT)은 강우 시작부터 현재까지의 시간을 합한 것이다.
또한, 강우기간(TRDD)은 강우계에서 강우를 측정하기 시작한 일시부터 종료한 일시를 나타내며, 선행 건기일(TADD)은 강우가 시작되기 이전까지 강우가 오지 않은 일 수의 합을 말한다. 그리고 평균강우강도(Iavg)는 측정된 총누적강우량(RT)을 강우지속시간(TRDT)으로 나눈 값이고(Iavg=RT/TRDT), 첨두강우강도(I peak)는 강우시작부터 현재까지 시간당 가장 많이 내린 강우량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강우량에 관한 데이터는 강우측정시스템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측정하므로 그 값이 지속적으로 변화하며, 이러한 변화를 그래프로 플롯하여 그 추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표 3]
상기의 표 3은 유량데이터에 관한 것으로, 현장실측 시스템인 유량감지기에 의하여 얻어진 표 2의 유량데이터와 표 1의 배수유역 현황자료를 기초로 하여 연산한 것이다.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량데이터로는 실시간 발생유량, 실시간 월류유량, 실시간 차집유량, 총발생유량, 강우량당 발생유량, 총월류유량, 총차집유량, 월류유량발생시점 및 종료시점, 단위면적당 단위강우량당 발생유량, 그리고 단위면적당 강우지속시간당 발생유량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표 3에 나타낸 각종 데이터의 연산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실시간 발생유량(QR)은 유량감지기에서 10~30분의 일정한 간격으로 측정된 유량으로서, 그 단위는 m3/d 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분류식 하수관거 시스템에서는 우수관거에서 실시간발생유량(QR)만 측정하고, 합류식 하수관거 시스템에서는 실시간 발생유량(QR)과 실시간 월류유량(QO)을 모두 측정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분류식 하수관거 시스템의 경우 측정센서가 우수관거에만 설치되는 데 비해, 합류식 하수관거 시스템의 경우 관거말단과 월류지점에 모두 측정센서를 설치하여 유량과 수질을 측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실시간 발생유량은 이와 같은 현장측정시스템에 의하여 측정된 유량값을 말하는 것으로서, 분류식 하수관거 시스템에서는 우수관거의 유량을 측정하므로 실시간 발생유량(QR)이 실시간 차집유량(QI)과 동일한 반면에, 합류식 하수관거 시스템에서는 월류가 발생하지 않는 동안은 실시간 발생유량(QR)이 실시간 차집유량(QI)과 동일하고, 월류가 발생하는 동안에는 실시간 발생유량(QR)이 실시간 차집유량(QI)과 실시간 월류유량(QO)을 합한 것이 된다.
총발생유량(QT)은 강우시작부터 현재까지 발생한 유량을 합산한 것으로서, 실시간 발생유량(QR)과 시간과의 곱으로 이루어진다(QT=∑QR×T). 강우량당 발생유량(QT/RT)은 총발생유량(QT)을 총누적강우량(RT)으로 나눈 값이며, 총월류유량(QTO)은 월류지점에 설치된 유량감지기에서 측정한 유량(QO)에 월류시간(TO)을 곱하여 구한다(QTO=∑QO×TO). 여기서의 월류시간(TO)은 월류지점에 설치된 유량감지기에서 유량이 측정되기 시작한 시점부터 월류가 종료되지 않은 현재 시점까지의 누적 시간을 말한다.
분류식 하수관거 시스템에서는 우수관거에서의 총발생유량(QT)과 총월류유량 (QTO)이 동일한 값이고, 합류식 하수관거 시스템에서는 총발생유량(QT)에서 총월류유량(QTO)을 뺀 값이 총차집유량(QT - QTO)이 된다.
그리고 단위면적당 단위강우량당 발생유량(QT/A/RT)은 총발생유량(QT)을 배수유역면적(A)과 총강우량(RT)으로 나눈 값이며, 단위면적당 강우지속시간당 발생유량(QT/A/TRDT)은 총발생유량(QT)을 배수유역면적(A)과 강우지속시간(T RDT)으로 나눈 값이다.
[표 4]
상기의 표 4는 수질데이터에 관한 것으로, 현장측정시스템인 수질분석기에 의하여 얻어진 수질데이터를 전술한 표 1 내지 표 3의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연산한 것이다.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질데이터로는 실시간 오염농도, 총발생오염부하, 총월류오염부하량, 총차집오염부하량, 유량가중 평균농도, 강우지속시간당 발생오염부하량, 단위면적당 단위강우당 발생오염부하량, 그리고 단위면적당 강우지속시간당 발생오염부하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표 4에 나타낸 데이터에 대한 연산과정을 설명하면, 실시간 오염농도(CR)는 현장측정 시스템의 수질분석기에서 측정한 오염물질농도이며, 총발생오염부하(LT)는 표 3의 실시간발생유량(QR)과 표 4의 실시간오염농도(CR)를 곱한 값의 누적합이다(LT=∑QR×CR). 또한, 총월류오염부하량(LO)은 표 3의 실시간월류유량 (QO)과 표 4의 실시간오염농도(CR)를 곱한 값의 누적합이다(LO=∑Q O×CR).
그리고 총차집오염부하량(LI)은 표 3의 실시간차집유량(QI)과 표 4의 실시간오염농도(CR)를 곱한 값의 누적합이고(LI=∑QI×CR), 강우지속시간당 발생오염부하량 (LT/TRDT)은 표 4의 총발생오염부하(LT)를 표 2의 강우지속시간(T RDT)으로 나눈 값이다.
이러한 계산값을 기초로 한 단위면적당 단위강우당 발생오염부하량(LT/A/RT)은 표 4의 총발생오염부하(LT)를 표 1의 배수유역면적(A)과 표 2의 총누적강우량 (RT)으로 나누어 구하며, 단위면적당 강우지속시간당 발생오염부하량(LT/A/T RDT)은 표 4의 총발생오염부하(LT)를 표 1의 배수유역면적(A)과 표 2의 강우지속시간(TRDT)으로 나누어 구한다.
이러한 표 1 내지 표 4의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측정값의 변화에 따라 계속적으로 변화하며, 이러한 값들 중 일부는 중앙제어시스템에 의하여 연산되어 그래프화할 수 있으므로, 강우시의 추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이와 같이 연산된 표 1 내지 표 4의 데이터 중 일부를 이용하여 그래프화함으로써, 강우시의 데이터 추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도 5 내지 도 7의 그래프는 표 1 내지 표 4 중 일부 데이터를 이용하여 강우시의 데이터 추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본 발명의 유량 및 오염부하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예시하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표 1 내지 표 4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그래프를 플롯하여 강우시의 현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5는 전술한 표 1 내지 표 4의 실시간 측정 데이터값을 중앙제어 시스템에서 연산하여 실시간으로 플롯하여 나타낸 그래프로서, 실시간 월류유량(QO), 실시간 차집유량(QI) 및 총발생 오염부하(LT)를 실시간으로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플롯한 그래프를 통하여 월류유량(QO)은 강우 초기에 서서히 증가하는 반면에 총발생 오염부하(LT)와 관계된 오염농도(CODcr)는 초기에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이는 지표면에 쌓여 있던 오염물이 일시에 씻겨서 관거로 유입된 것에 연유하며, 점차 월류유량이 증가할수록 오염농도가 감소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차집유량(QI)은 강우 중에도 큰 차이가 없는데, 이는 배수유역말단의 월류조절시설에 의해 총발생 유량 중 일정유량을 차집하도록 조절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 5에서 강우가 종료한 후, 강우에 의한 지표유출량이 점차 감소함에 따라 월류유량도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강우사상이나 배수유역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실제 배수유역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유량과 오염부하 발생패턴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확보하고 적절한 관리대안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관리 대안을 실시간으로 적용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실시간 모니터링결과를 토대로 관리 대안의 실행여부를 결정하게 되므로 기초적이면서도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a는 전술한 표 1 내지 표 4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총발생유량(QT), 월류유량(QO) 및 차집유량(QI)에 대한 그래프를 실시간으로 연산하여 나타내고, 도 6b는 총오염부하(LT), 월류오염부하량(LO) 및 총차집오염부하량(LI)에 대한 그래프를 실시간으로 연산하여 나타낸다. 도 6a 및 도 6b의 그래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간으로 발생한 오염부하 중 차집되어 처리장에서 처리되는 차집오염부하량 (LI)과 방류선으로 그대로 월류되는 월류오염부하량(LO)이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모니터링 결과는 대상유역에서 월류조절시설의 적정운영여부를 평가할 수 있고, 방류선을 중심으로 한 수역관리를 수립하거나, 실제 관리대안을 적용하는 경우에도 기초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도 7은 전술한 표 3의 유량 데이터 중에서 실시간으로 변하는 차집유량(QI)과 월류유량(QO)의 비를 구하여 이를 그래프화한 것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간으로 변하는 차집유량(QI)과 월류유량(QO)의 비를 구하여 이를 그래프화함으로써, 해당 배수유역에서 적정차집비율을 설정하거나 월류조절시설을 제어하는 경우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결과들은 실측 결과를 바탕으로 중앙제어시스템에서 다양한 연산을 통하여 도출할 수 있는 예를 보여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기적이지 않고 예측하기 힘든 강우에 대해서도 실시간으로 유량과 오염부하를 산정할 수 있고, 강우 유출수에 의한 방류선 오염 영향을 평가할 수 있으며, 유역의 비점 오염원을 관리하는데 필요한 기초 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하수도를 이용한 유역관리 관점에서 강우시 하수관거와 하수처리장 시설을 최적으로 운전할 수 있고, 방류선으로 방류 및 월류되는 강우 유출량과 오염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수관거나 우수관거의 유량 및 오염부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의 전체적인 개념도이다.
도 2a및 도 2b는 본 발명의 현장측정시스템의 설치를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데이터측정시스템을 하수관거에 구축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수관거나 우수관거의 유량 및 오염부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연산된 데이터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라 측정한 유량 및 오염부하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7은 차집유량과 월류유량의 비를 시간에 따라 플롯한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모니터링 시스템 11. 데이터측정 시스템
12. 데이터수집 시스템 13. 데이터전송 시스템
14. 중앙제어 시스템 31. 컨트롤러
32. 측정센서 111. 강우측정 시스템
112. 현장측정 시스템

Claims (9)

  1. 강우시 합류식 하수관거의 유량 및 오염부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방법으로서,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배수유역의 하수도관련 현황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상기 배수유역에 설치한 강우측정시스템으로부터 강우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상기 합류식 하수관거에 설치한 현장측정시스템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상기 합류식 하수관거 말단의 차집직전지점 및 월류지점에서의 유량 및 수질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한 강우량, 유량 및 수질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데이터수집시스템을 통하여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한 강우량, 유량 및 수질 데이터베이스를 데이터전송시스템을 통하여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하수도관련 현황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전송된 강우량, 유량 및 수질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강우데이터, 유량데이터 및 수질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모니터링용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연산하여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용 데이터 연산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모니터링 방법.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모니터링용 데이터 연산 단계는,
    실시간 강우량, 총누적강우량, 강우기간, 선행 건기일, 강우지속기간, 평균강우강도 및 첨두강우강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강우데이터를 연산하되,
    상기 총누적강우량 및 상기 평균강우강도는 각각 하기 식1 및 식2에 의하여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모니터링 방법.
    RT = ∑RR × TRDT (식1)
    Iavg = RT/TRDT (식2)
    단, 상기 식1 및 식2에서 RT는 총누적강우량, RR은 실시간강우량, TRDT는 강우지속시간, Iavg 는 평균강우강도, TRDT는 강우지속시간을 나타냄.
  4. 제1항에서,
    상기 모니터링용 데이터 연산 단계는,
    실시간 발생유량, 실시간 월류유량, 실시간 차집유량, 총발생유량, 강우량당 발생유량, 총월류유량, 총차집유량, 월류유량발생시점 및 종료시점, 단위면적당 단위강우량당 발생유량 및 단위면적당 강우지속시간당 발생유량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유량데이터를 연산하되,
    상기 총발생유량은 하기 식 3에 의하여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모니터링 방법.
    QT = ∑QR × TRDT (식 3)
    단, 상기 식3에서 QT는 총발생유량, QR은 실시간 발생유량, TRDT는 강우지속시간을 나타냄.
  5. 제1항에서,
    상기 모니터링용 데이터 연산 단계는,
    실시간 오염농도, 총발생오염부하, 총월류오염부하량, 총차집오염부하량, 유량가중 평균농도, 강우지속시간당 발생오염부하량, 단위면적당 단위강우당 발생오염부하량 및 단위면적당 강우지속시간당 발생오염부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수질데이터를 연산하되,
    상기 총발생오염부하, 상기 총월류오염부하량, 그리고 상기 총차집오염부하량은 하기 식 4 내지 식 6에 의하여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모니터링 방법.
    LT = ∑QR × CR (식4)
    LO = ∑QO × CR (식5)
    LI = ∑QI × CR (식6)
    단, 상기 식 4 내지 식 6에서 LT 는 총발생오염부하, LO는 총월류오염부하량, LI는 총차집오염부하량, CR은 실시간오염농도, QR은 실시간 발생유량, QO는 실시간월류유량, QI 는 실시간차집유량을 나타냄.
  6. 삭제
  7. 삭제
  8. 강우시 합류식 하수관거의 유량 및 오염부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으로서,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배수유역에 설치하여 강우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강우측정시스템,
    상기 배수유역의 상기 합류식 하수관거에 설치하여 상기 합류식 하수관거 말던의 차집직전지점 및 월류지점에서의 유량 및 수질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현장측정시스템,
    상기 강우측정시스템 및 상기 현장측정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측정한 강우량, 유량 및 수질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수집하는 데이터수집시스템,
    상기 데이터수집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수집한 강우량, 유량 및 수질 데이터베이스를 전송하는 데이터전송시스템, 그리고
    상기 배수유역의 하수도관련 현황자료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데이터전송시스템으로부터의 상기 강우량, 유량 및 수질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강우데이터, 유량데이터 및 수질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모니터링용 데이터를 연산하는 중앙제어시스템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9. 제8항에서,
    상기 중앙제어시스템은,
    상기 전송된 강우량, 유량 및 수질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상기 강우량, 유량 및 수질 데이터 중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연산하는 연산서버, 그리고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 및 상기 연산서버와 상호 연결되어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처리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02-0080716A 2002-12-17 2002-12-17 강우시 하수관거나 우수관거의 유량 및 오염부하의 실시간모니터링 방법및 그 시스템 KR100522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716A KR100522129B1 (ko) 2002-12-17 2002-12-17 강우시 하수관거나 우수관거의 유량 및 오염부하의 실시간모니터링 방법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716A KR100522129B1 (ko) 2002-12-17 2002-12-17 강우시 하수관거나 우수관거의 유량 및 오염부하의 실시간모니터링 방법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0195A KR20050080195A (ko) 2005-08-12
KR100522129B1 true KR100522129B1 (ko) 2005-10-18

Family

ID=37267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0716A KR100522129B1 (ko) 2002-12-17 2002-12-17 강우시 하수관거나 우수관거의 유량 및 오염부하의 실시간모니터링 방법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212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182B1 (ko) 2011-05-12 2013-11-22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강수에 따른 오염 부하량 측정방법
KR101360154B1 (ko) * 2010-09-01 2014-02-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기상정보 및 모의 산출 기반의 저류형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 및 저류형 비점오염 저감 방법
KR20190098774A (ko) * 2018-01-08 2019-08-2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침수 예측 방법 및 침수 예측 장치
US20200378943A1 (en) * 2019-05-30 2020-12-03 Cambrian Innovati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icro-Utility Water And Energy Services
KR102419037B1 (ko) 2021-06-11 2022-07-08 김현숙 강우시 미처리수의 채수 및 유량 측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844B1 (ko) * 2006-08-03 2007-03-08 주식회사 엔지이엔 관거의 침입수, 유입수, 누수의 실시간 감지 및 분석 방법및 시스템
KR100850307B1 (ko) * 2008-06-13 2008-08-04 에스씨종합건설(주) 하수관거 유지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KR101277227B1 (ko) * 2012-01-06 2013-06-26 이메트릭스 주식회사 실시간 제어를 통한 저류조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CN104916049B (zh) * 2015-06-18 2017-09-01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一种机井取水计量系统
KR101942549B1 (ko) * 2018-08-10 2019-02-12 (주)이엠시스텍 물 관리 자동화 시스템의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102080066B1 (ko) * 2019-07-23 2020-02-21 주식회사 이피에스이앤이 무단방류 감시 시스템
CN111798104B (zh) * 2020-06-16 2023-08-18 重庆市市政设计研究院有限公司 基于等效原则的溢流污染物管控评价方法
CN113361203B (zh) * 2021-06-16 2023-09-26 扬州大学 一种洼地农村圩区水面率优化方法与系统
CN113723854B (zh) * 2021-09-08 2023-10-31 北京市水科学技术研究院 一种合流制溢流的调控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5081594B (zh) * 2022-07-01 2024-05-14 上海城市水资源开发利用国家工程中心有限公司 一种排水管道沉积物来源定量化计算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154B1 (ko) * 2010-09-01 2014-02-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기상정보 및 모의 산출 기반의 저류형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 및 저류형 비점오염 저감 방법
KR101332182B1 (ko) 2011-05-12 2013-11-22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강수에 따른 오염 부하량 측정방법
KR20190098774A (ko) * 2018-01-08 2019-08-2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침수 예측 방법 및 침수 예측 장치
KR102158286B1 (ko) * 2018-01-08 2020-09-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침수 예측 방법 및 침수 예측 장치
US20200378943A1 (en) * 2019-05-30 2020-12-03 Cambrian Innovati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icro-Utility Water And Energy Services
KR102419037B1 (ko) 2021-06-11 2022-07-08 김현숙 강우시 미처리수의 채수 및 유량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0195A (ko) 2005-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2129B1 (ko) 강우시 하수관거나 우수관거의 유량 및 오염부하의 실시간모니터링 방법및 그 시스템
CN108376318B (zh) 一种排水管网入流入渗评估方法及系统
KR102074874B1 (ko) IoT 센서를 이용한 우수관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우수관 모니터링 방법
US6474153B1 (en) Predicting system and predicting method configured to predict inflow volume of rainwater
KR100583815B1 (ko) 강우 예.관측과 gis(지리정보시스템)를 연계한 배수(빗물)펌프장 통합관리시스템
CN113792367B (zh) 基于PySWMM的排水系统多来源入流入渗和出渗量动态估算方法
US20140000360A1 (en) Micro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Bond et al. Modeling a Bioretention Basin and Vegetated Swale with a Trapezoidal Cross Section using SWMM LID Controls.
JP5574769B2 (ja) 不明水監視装置及び不明水監視方法
WO2007116996A1 (ja) 溢水発生推定装置および方法
KR100538445B1 (ko) 통합형 하수관거 운영/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138973A (ko) 하수관거 유량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0869237B1 (ko) 폐쇄회로 티브이 영상 또는 회귀분석식을 이용한 하수관거내 퇴적량 예측방법 및 그 기능을 탑재한 하수관거유지관리시스템
Chang et al. Use of intercepted runoff depth for stormwater runoff management in industrial parks in Taiwan
CN107273686B (zh) 雨洪径流氮磷输出负荷预测方法
KR102080066B1 (ko) 무단방류 감시 시스템
KR100353391B1 (ko) 하수관거의 모니터링/유지관리 방법 및 시스템
WO2004038343A1 (en) Determining a flow in a wastewater system
KR20040054906A (ko) 하수관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Wu et al. ASSESSMENT OF METHODS FOR COMPUTING STORM RUNOFF LOADS 1
KR100791910B1 (ko) 하수관거내 퇴적량 예측방법 및 그 기능을 탑재한 하수관거모니터링 시스템
JP2002001381A (ja) 下水処理システム及び排水制御システム
KR102298462B1 (ko) 하수도 관리 방법
Zhang et al. Regression analysis of the variation in rainfall derived inflow and infiltration
Gérard et al. Prediction of sediment build-up from analysis of physical network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129

Effective date: 2005072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