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1891B1 - 스프링클러 전원공급소켓 - Google Patents

스프링클러 전원공급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1891B1
KR100521891B1 KR10-2002-0066825A KR20020066825A KR100521891B1 KR 100521891 B1 KR100521891 B1 KR 100521891B1 KR 20020066825 A KR20020066825 A KR 20020066825A KR 100521891 B1 KR100521891 B1 KR 100521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kler
power supply
connection
fixed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6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7974A (ko
Inventor
조용섭
Original Assignee
조용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섭 filed Critical 조용섭
Priority to KR10-2002-0066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1891B1/ko
Publication of KR20040037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7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1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18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감지 및 사용자가 임의로 작동시킬 수 있는 스프링클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선과 스프링클러의 열반응성 밸브를 작동시키는 가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스프링클러 전원공급소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전원공급소켓은, 소화액이 이동되는 주배관과, 상기 주배관에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개 고정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는 방향에 접속단자가 형성되어 연결관과 고정되는 스프링클러로 이루어지는 스프링클러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클러와 연결관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연결관과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전선과 연결되어 스프링클러의 접속단자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프링클러 전원공급소켓{A power supply socket for a sprinkler}
본 발명은 화재감지 및 사용자가 임의로 작동시킬 수 있는 스프링클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선과 스프링클러의 열반응성 밸브를 작동시키는 가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스프링클러 전원공급소켓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스프링클러는 소화액이 이동되는 배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연결관에 고정되어 사용되며, 별도의 외부 전원의 공급 없이 열(화기)에만 반응하는 열반응성 밸브에 의해서 스프링클러가 작동되면서 화재를 진압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스프링클러의 열반응성 밸브는 화재가 감지된 쪽만 작동되고 화재와 떨어져 있는 스프링클러는 작동되지 않기 때문에 초동진압이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용신안등록 제285249호 와 같이 스프링클러에 가열선을 감아 사용자가 임으로 스프링클러의 가열선에 전원을 공급하여 작동시키거나 건물관리자가 관리실에서 화재의 유무를 감시하기 위하여 스프링클러가 작동되면서 발생되는 소화액에 반응하면서 통전되는 감지선을 형성하여 전원을 공급하면서 화재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어 화재를 초동 진압할 수 있도록 형성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스프링클러에 형성되어 전원이 공급되는 가열선과 감지선이 형성되는 스프링클러에는 전원을 공급해야만 하지만, 별도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스프링클러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접속단자에 직접 전원이 공급되는 전선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밖에 없어 안전 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미관상도 좋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프링클러 작동장치가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전원이 공급되는 전선과 스프링클러를 직접 연결하지 않으면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전원공급소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의 접속단자와 연결되는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프링클러 전원공급소켓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전원공급소켓은, 소화액이 이동되는 주배관과, 상기 주배관에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개 고정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는 방향에 접속단자가 형성되어 연결관과 고정되는 스프링클러로 이루어지는 스프링클러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클러와 연결관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연결관과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전선과 연결되어 스프링클러의 접속단자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식탁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식탁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화액이 이동되는 주배관과, 상기 주배관에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개가 고정되는 연결관(100) 및 상기 연결관(100)과 연결되는 방향에 접속단자(210)가 형성되어 연결관(100)과 고정되는 스프링클러(200)와 상기 스프링클러(200)와 연결관(100)이 연결되는 부분에 고정되는 소켓(30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소화액이 이동되는 주배관과 연결관(100)에 고정되는 스프링클러(200)와 상기 연결관(100)이 연결되는 부분에 고정되는 소켓(300)의 몸체(310)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어 스프링클러(200)가 연결관(100)에 고정되기 전에 소켓(300)의 중공된 내부로 연결관(100)의 일부를 삽입하여 고정한다.
스프링클러(200)가 고정되기 전에 연결관(100)에 삽입되면서 고정되는 소켓(300)의 몸체(310) 일측에는 다수개의 관통공(330)을 형성하며, 상기 관통공(330)에는 나비너트로 형성되는 고정부재(400)를 삽입하면서 몸체(310)를 연결관(100)에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연결관(100)에 고정되는 몸체(310)에서 스프링클러(200)가 연결관(100)에 고정되는 방향에는 상기 스프링클러(200)의 접속단자(2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20)를 형성한다.
연결관(100)에 고정되는 소켓(300)의 몸체(310)에 형성되는 전원공급부(320)에 의해서 전원을 공급받는 접속단자(210)가 형성되는 스프링클러(200)는 공지된 바와 같이 연결관(100)에 고정되며, 하부에는 알콜이 내부에 충진된 유리관으로 형성되어 열에 의해서 팽창하여 폭발하면서 개폐되는 열반응성 밸브(220)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열반응성 밸브(220)가 개구되면서 분사되는 소화액을 넓게 퍼지게 하는 분사판(250)이 형성되며, 열반응성 밸브(220) 둘레에는 접속단자(210)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서 상기 열반응성 밸브(220)를 가열하는 가열선(240)과 열반응성 밸브(220)가 개구되면서 소화액이 분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선(230)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스프링클러(200)의 접속단자(2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소켓(300)의 몸체(310)에 형성되는 전원공급부(320)는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클러(200)가 고정되는 방향에 스프링클러(200)의 접속단자(210)가 삽입되는 삽입홈(321)을 형성한다.
스프링클러(200)의 접속단자(210)가 삽입되는 삽입홈(321)은 상기 접속단자(210) 보다 크게 형성하여 접속단자(210)가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소켓(300)의 몸체(310)에 형성되는 전원공급부(320)의 삽입홈(321) 내부에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탄성부재(322)가 삽입되며, 상기 탄성부재(322)가 삽입되는 방향에는 삽입홈(32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두 개로 나누어지는 연결단자(323)가 삽입되며, 상기 연결단자(323)는 탄성부재(322)에 의해서 전원공급부(320)의 삽입홈(321) 바깥쪽으로 가압된다.
상기에서 삽입홈(321)과 상기 삽입홈(321)에 대응되는 연결단자(323)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321)을 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321)에 대응되면서 두 개로 나누어지는 연결단자(323)는 각각 반원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소켓(300)의 몸체(310)에 형성되는 전원공급부(320)의 삽입홈(321)에 삽입되며, 탄성부재(322)에 의해서 가압되는 연결단자(323)는 소켓(300)의 몸체(310) 일측에서 삽입되는 전선(500)과 연결되어 항상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전선(500)에 의해서 항상 전원이 공급되는 연결단자(323)가 탄성부재(322)에 의해서 가압되는 방향에는 상기 연결단자(323)가 탄성부재(322)에 의해서 삽입홈(32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구(324)를 형성한다.
상기 연결단자(323)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구(324)는 공지된 바와 같은 C형 멈춤링으로 형성하고, 연결단자(323)가 삽입되는 삽입홈(321)에는 C형 멈춤링이 삽입되는 홈을 형성하여 연결단자(323)가 삽입홈(32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공지된 바와 같이 소화액이 이동되는 주배관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연결관(100)에 스프링클러(200)가 고정되기 전에 소켓(300)의 중공된 몸체(310)를 삽입하면서 관통공(330)으로 고정부재(400)를 삽입하여 소켓(300)의 몸체(310)를 연결관(100)에 고정한다.
소켓(300)의 몸체(310)가 연결관(100)에 고정되면, 소켓(300)이 고정된 방향으로 스프링클러(200)를 연결관(100)과 고정한다.
이때, 스프링클러(200)의 접속단자(210)는 소켓(300)의 몸체(310)에 형성되는 전원공급부(320)의 삽입홈(321)으로 삽입된다.
스프링클러(200)의 접속단자(210)가 소켓(300)에 형성되는 전원공급부(320)의 삽입홈(321)에 삽입되면서 고정되면서 접속단자(210)가 전선(500)과 연결되어 항상 전원이 공급되는 연결단자(323)와 밀착될 때 상기 연결단자(323)는 탄성부재(322)에 의해서 지지되고 있으므로 접속단자(210)가 연결단자(323)를 가압하면서 탄성부재(322)에 의해서 서로 밀착되면서 스프링클러(200)가 연결관(100)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스프링클러(200)에 형성되는 두 개의 접속단자(210)가 두 개로 나누어져 형성되는 두 개의 연결단자(323)와 밀착될 때 전선(500)과 연결되어 항상 전원이 공급되는 연결단자(323)에 의해서 접속단자(210)에도 전원이 공급되며, 상기 접속단자(210)와 연결된 가열선(240)과 감지선(230)이 연결관(100)에 고정되면서 소켓(300)에 의해서 작동된다.
상기와 같이 스프링클러(200)의 감지선(230)과 가열선(240)이 작동될 때 화재가 발생되면서 어느 한 개의 스프링클러(200)의 열반응성 밸브(220)가 폭발하면서 소화액이 분사판(250)에 의해서 분사될 때 분사되는 스프링클러(200)의 감지선(230)에 공급되는 전기가 소화액에 의해서 통전되면서 건물의 관리실과 소방소에 화재발생신호를 보낸다.
스프링클러(200)의 감지선(230)이 화재에 의해서 통전되어 화재발생을 감지하면 건물관리자나 소방소에는 건물 내부에 있는 스프링클러(200)의 가열선(240)을 작동시킨다.
상기 가열선(240)과 감지선(230)의 소켓(300)에 의해서 항상 전원을 공급받고 있기 때문에 언제든지 작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열선(240)이 작동되면, 나머지 다수개의 스프링클러(200)의 열반응성 밸브(220)가 폭발하면서 건물 내부에 고정된 스프링클러(200)가 모두 작동되면서 화재를 초기에 진압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소켓(300)의 몸체(310)에 형성되는 전원공급부(320)의 삽입홈(321) 안쪽과 바깥쪽 벽면에는 전원이 공급되는 전선(500)과 연결되는 제1 연결단자(323a)와 제2 연결단자(323b)를 각각 고정하여 스프링클러(200)에 형성되는 두 개의 접속단자(210) 각각 제1 연결단자(323a)와 제2 연결단자(323b)와 연결되어 스프링클러(200)의 가열선(240)과 감지선(230)에 전원이 공급되면서 작동되도록 형성한 것으로 작동원리는 본 발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전원공급소켓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의 접속단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소켓으로 형성하여 스프링클러가 연결관에 고정될 때 스프링클러의 접속단자가 소켓의 전원공급부와 연결되도록 형성하기 때문에 전원이 공급되는 전선과 스프링클러를 직접 연결하지 않으면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의 접속단자와 연결되는 전선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기 때문에 외관이 미려해지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전원공급소켓이 적용되는 스프링클러 작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전원공급소켓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전원공급소켓이 스프링클러 작동장치에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전원공급소켓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스프링클러 작동장치에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연결관 200 : 스프링클러
210 : 접속단자 220 : 열반응성 밸브
230 : 감지선 240 : 가열선
250 : 분사판 300 : 소켓
310 : 몸체 320 : 전원공급부
321 : 삽입홈 322 : 탄성부재
323, 323a, 323b : 연결단자 324 : 이탈방지구
330 : 관통공 400 : 고정부재
500 : 전선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소화액이 이동되는 주배관과, 상기 주배관에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개 고정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과 고정되는 스프링클러와, 상기 스프링클러와 연결관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연결관과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전선과 연결되어 스프링클러의 접속단자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로 이루어진 스프링클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몸체의 스프링클러가 연결되는 면에서부터 안쪽으로 삽입홈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홈의 안쪽에는 다수개의 탄성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에는 전원이 공급되는 전선과 연결되어 스프링클러의 접속단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두 개의 연결단자를 고정하여 탄성부재에 의해서 연결단자가 몸체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하며, 삽입홈의 입구에는 연결단자가 탄성부재에 의해 삽입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구를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전원공급소켓.
  4. 소화액이 이동되는 주배관과, 상기 주배관에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개 고정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과 고정되는 스프링클러와, 상기 스프링클러와 연결관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연결관과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전선과 연결되어 스프링클러의 접속단자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로 이루어진 스프링클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몸체의 스프링클러가 연결되는 면에서부터 안쪽으로 삽입홈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홈의 안쪽 벽면과 바깥쪽 벽면에는 전원이 공급되는 전선과 연결되어 스프링클러의 접속단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연결단자와 제2 연결단자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전원공급소켓.
KR10-2002-0066825A 2002-10-31 2002-10-31 스프링클러 전원공급소켓 KR100521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6825A KR100521891B1 (ko) 2002-10-31 2002-10-31 스프링클러 전원공급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6825A KR100521891B1 (ko) 2002-10-31 2002-10-31 스프링클러 전원공급소켓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2505U Division KR200304639Y1 (ko) 2002-10-31 2002-10-31 스프링클러 전원공급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7974A KR20040037974A (ko) 2004-05-08
KR100521891B1 true KR100521891B1 (ko) 2005-10-17

Family

ID=37336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6825A KR100521891B1 (ko) 2002-10-31 2002-10-31 스프링클러 전원공급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189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5948A (ja) * 1988-08-31 1990-03-06 Okuma Mach Works Ltd 工具送り方向を加味した加工負荷監視装置
JPH036380A (ja) * 1989-06-02 1991-01-11 Hitachi Ltd マイクロ波プラズマ処理装置
WO1993021998A1 (en) * 1992-04-23 1993-11-11 Sundholm Goeran Quick response sprinkler head
JPH0819624A (ja) * 1994-07-04 1996-01-23 Fumihito Nakai 電気ヒーター式密閉型湿式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JP2001218864A (ja) * 2000-02-08 2001-08-14 Sokyoku Kin 火災感知器型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及びこれを含むスプリンクラーシステム
KR100385694B1 (ko) * 2000-05-02 2003-05-27 길종진 스프링클러장치용 전열식 앰플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5948A (ja) * 1988-08-31 1990-03-06 Okuma Mach Works Ltd 工具送り方向を加味した加工負荷監視装置
JPH036380A (ja) * 1989-06-02 1991-01-11 Hitachi Ltd マイクロ波プラズマ処理装置
WO1993021998A1 (en) * 1992-04-23 1993-11-11 Sundholm Goeran Quick response sprinkler head
JPH0819624A (ja) * 1994-07-04 1996-01-23 Fumihito Nakai 電気ヒーター式密閉型湿式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JP2001218864A (ja) * 2000-02-08 2001-08-14 Sokyoku Kin 火災感知器型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及びこれを含むスプリンクラーシステム
KR100385694B1 (ko) * 2000-05-02 2003-05-27 길종진 스프링클러장치용 전열식 앰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7974A (ko) 200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79080C1 (ru) Спринклерный ороситель с управляемым пуском
CN107185141A (zh) 一种移动、固定探火管灭火装置
TW585115U (en) Fire extinguisher
KR100521891B1 (ko) 스프링클러 전원공급소켓
KR200304639Y1 (ko) 스프링클러 전원공급소켓
CN209019842U (zh) 撞击式感温玻璃球启动器
CN206910636U (zh) 一种移动、固定探火管灭火装置
CN205516100U (zh) 一种安全性无源灭火瓶及自动灭火系统
WO2006065067A1 (en) Flush type sprinkler head
CN209952094U (zh) 一种新型双控细水雾喷头
WO2014067062A1 (zh) 自发光消防监控喷头
RU2550841C1 (ru) Спринклерный ороситель кочетова пенного типа
KR101134359B1 (ko) 고체에어로졸 소화장치
CN217187592U (zh) 一种用于电气保护的气体灭火系统的喷头结构
KR200245871Y1 (ko) 가스레인지용자동소화장치
CN209752022U (zh) 一种监测消防水带遗失用固定装置
CN212416765U (zh) 一种管道灭火装置
CN213555080U (zh) 消防水管
CN215741555U (zh) 一种具备烟气报警和语言提示效果的消防柜
CN219758909U (zh) 一种厨房安全报警设备
JP2625056B2 (ja) スプリンクラ装置
CN218980318U (zh) 一种报警器部件侧装的消防喷头
KR200182905Y1 (ko) 기밀성과 절연성을 향상시킨 플렉시블조인트 결합체
JP2558334Y2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CN220025964U (zh) 一体式分箱阀喷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