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9885B1 - 버서타일 안테나 시스템 - Google Patents

버서타일 안테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9885B1
KR100519885B1 KR10-2002-0048687A KR20020048687A KR100519885B1 KR 100519885 B1 KR100519885 B1 KR 100519885B1 KR 20020048687 A KR20020048687 A KR 20020048687A KR 100519885 B1 KR100519885 B1 KR 100519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phase
array
power
antenna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8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6490A (ko
Inventor
이효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2-0048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9885B1/ko
Publication of KR20040016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6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9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98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267Phased-array testing or chec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3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 H01Q3/3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by electrical means
    • H01Q3/3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by electrical means with variable phase-shif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5Means for positioning
    • H01Q1/1257Means for positioning using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H01Q21/062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using dipole aerials

Landscapes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 특성의 변경 요구가 있는 경우에 서비스 단절시간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안테나 교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도록 한 버서타일 안테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서타일 안테나 시스템은 다수의 안테나소자들을 포함한 배열안테나와, 다수의 전력값들이 미리 설정되어 배열안테나의 안테나소자들 각각에 인가되는 신호의 전력값을 결정하기 위한 전계세기조정부와, 다수의 위상값들이 미리 설정되어 배열안테나의 안테나소자들 각각에 인가되는 신호의 위상을 결정하기 위한 위상조정부와, 배열 안테나의 특성 변경 요구시 그에 해당하는 전계세기조정부의 전력값을 선택함과 아울러 위상조정부의 위상값을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버서타일 안테나 시스템{VERSATILE ANTENNA SYSTEM}
본 발명은 고주파, 초단파, 극초단파 등의 방송 및 통신용의 버서타일 안테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테나 특성의 변경 요구가 있는 경우에 서비스 단절시간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안테나 교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도록 한 버서타일 안테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망이나 무선가입자회선(wireless local loop : WLL)과 같은 무선통신망에서는 교환국과 가입자 단말기 간에 기지국을 설치하고, 기지국과 가입자 단말기 간에 무선신호를 교환하게 된다.
기지국에 설치되는 안테나는 가입자호의 공간적 분포를 고려하여 일정한 수직/수평빔패턴과 빔지향특성을 갖도록 설계된다.
그런데 이러한 통신용 안테나 또는 방송용 안테나는 빔특성이나 전기적특성의 변경 사항이 발생하여 교체가 필요할 때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만큼 서비스가 단절되고 교체비용이 과다할뿐 아니라, 교체 작업의 난이도가 높은 경우에 서비스 환경의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테나 특성의 변경 요구가 있는 경우에 서비스 단절시간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안테나 교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도록 한 버서타일안테나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서타일 안테나 시스템은 다수의 안테나소자들을 포함한 배열안테나와, 다수의 전력값들이 미리 설정되어 배열안테나의 안테나소자들 각각에 인가되는 신호의 전력값을 결정하기 위한 전계세기조정부와, 다수의 위상값들이 미리 설정되어 배열안테나의 안테나소자들 각각에 인가되는 신호의 위상을 결정하기 위한 위상조정부와, 배열 안테나의 특성 변경 요구시 그에 해당하는 전계세기조정부의 전력값을 선택함과 아울러 위상조정부의 위상값을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서타일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계세기조정부는 전력값들이 각각 다르게 설정되며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전력조정용 카드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서타일 안테나 시스템은 상기 위상조정부는 위상값들이 각각 다르게 설정되며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위상조정용 카드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버서타일 안테나 시스템은 다수의 안테나소자들을 포함한 배열안테나와, 배열안테나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배열안테나의 안테나소자들 각각에 인가되는 신호의 전력값을 결정함과 아울러 안테나소자들 각각에 인가되는 신호의 위상을 결정하기 위한 위상배열기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위상배열기 모듈은 방수용 커버 내에 설치되고, 방수용 오링과 방수용 개스킷 중 어느 하나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배열안테나 상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버서타일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위상배열기 모듈은 배열안테나의 특성 변경 요구시 교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버서타일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위상배열기 모듈은 배열안테나의 후면 반사판 상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버서타일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위상배열기 모듈은 배열안테나의 하단면 상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버서타일 안테나 시스템은 위상배열기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며 위상배열기 모듈에 주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주급전 분배기 모듈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버서타일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소자들은 배열안테나 상에서 수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서타일 안테나 시스템은 n×n 개의 안테나소자(111 내지 11n)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배열안테나(2)와, 동위상 안테나 급전선(3)을 경유하여 배열안테나(2)에 접속된 안테나 급전 콘넥터(4)와, 안테나 급전 콘넥터(4)와 주급전 콘넥터부(9) 사이에 설치된 주급전 분배기(10), 스위치부(8), 위상배열기 모듈(11) 및 위상배열기 콘넥터(5)를 구비한다.
배열안테나(2)는 다이폴, 야기, 대수, 주기, 평면 안테나 등으로 구현되는 안테나소자(111 내지 11n)가 수직 및 수평으로 배열된 고이득의 지향성 안테나이다. 이 배열안테나(2)는 위상배열기 모듈(11)에 의해 선택된 전계세기와 위상에 따라 수직 및 수평 빔폭, 빔의 틸트각도 및 이득이 조절된다.
위상배열기 모듈(11)은 수직 및 수평으로 배열된 안테나소자(111 내지 11n)의 위상을 설정하기 위한 위상조정부(6)와 수직 및 수평으로 배열된 안테나소자(111 내지 11n) 각각에 인가되는 전계세기를 설정하기 위한 전계세기조정부(7)를 포함한다.
위상배열기 모듈(11)의 위상조정부(6)는 수직 및 수평으로 배열된 안테나소자(111 내지 11n) 각각에 인가되는 고주파신호의 위상을 다르게 선택할 수 있도록 각각 위상값이 각각 다르게 설정된 여러 개의 카드들로 구현된다.
위상배열기 모듈(11)의 전계세기조정부(7)는 수직 및 수평으로 배열된 안테나소자(111 내지 11n) 각각에 인가되는 전력값을 다르게 선택할 수 있도록 각각 전력값이 다르게 설정된 여러 개의 카드들로 구현된다.
위상조정부(6)와 전계세기조정부(7)로 구현된 여러 개의 카드들은 위상배열기 모듈(11) 내에 미리 장착되어 스위치부(8)에 의해 선택될 수 있으며, 또한 안테나의 빔폭, 빔의 틸트각도 및 이득의 변경요구시에 원하는 전력값과 위상값을 가지는 카드로 교체될수도 있다.
스위치부(8)는 주급전 콘넥터부(9)를 전계세기조정부(7)의 전력세기를 선택함과 아울러 위상조정부(6)의 전력위상을 선택하게 된다.
주급전 콘넥터부(9)는 도시하지 않은 주전원 케이블에 접속되어 주전원 케이블을 경유하여 인가되는 주전원을 주급전 분배기(10)에 공급하게 된다.
주급전 분배기(10)는 주급전 콘넥터부(9)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전계세기조정부(7)의 입력단들로 분배하게 된다.
동위상 안테나 급전선(3), 안테나 급전 콘넥터(4) 및 위상 배열기의 콘넥터(5)는 위상배열기 모듈(11)의 출력신호들 각각을 해당 안테나소자(111 내지 11n)에 직렬로 접속시키게 된다.
수직으로 배열된 안테나소자의 수가 8 개라 할 때, 위상배열기 모듈(11)의 위상조정부(6)와 전계세기조정부(7)는 아래의 표 1 내지 표 3과 같이 안테나의 수직빔폭특성과 이득특성을 다르게 설정하기 위한 값들을 가지게 된다.
표 1 내지 표 3에 있어서, 매그니튜드(magnitude)는 전력의 상대적인 비율이다.
표 1 내지 표 3은 8 개의 수직 안테나소자들 중에 가운데에 위치하는 4번과 5번 안테나소자에 인가되는 전력을 1.000으로 고정하고 그 위 또는 아래에 수직으로 배열된 다른 안테나소자에 인가되는 전력을 다르게 조정하여 안테나의 수직빔폭이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1은 안테나의 수직빔폭이 7°이며, 표 2는 안테나의 수직빔폭이 10°이다. 그리고 표 3은 안테나의 수직빔폭이 15°이다.
표 1 내지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 8 개의 수직 안테나소자들 각각에는 전력값과 위상이 원하는 안테나의 수직빔패턴특성에 따라 그 값이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안테나의 수직빔폭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4, 5번 안테나소자의 위아래에 위치한 1, 2, 3, 6, 7, 8번 안테나소자의 신호전력의 차값이 적게 설정되는 반면에, 안테나의 수직빔폭을 크게하기 위해서는 1, 2, 3, 6, 7, 8번 안테나소자의 신호전력의 차값이 크게 설정된다. 또한, 수직으로 배열된 8 개의 안테나소자 각각에 인가되는 수직빔의 전력위상값은 아래로 갈수록 감소하게 되며, 그 값이 커질수록 수직빔의 틸트값이 커지게 된다. 도 3은 표 1 내지 표 3과 같이 8 개의 안테나소자들에 인가되는 신호의 전력값과 위상값을 설정할 때 수직빔폭과 수직빔의 틸트각도를 나타낸다. 도 4a는 표 1과 같이 8 개의 안테나소자들에 인가되는 신호의 전력값과 위상값을 설정하는 경우에 안테나소자의 수직빔폭과 수직빔틸트를 나타낸다. 도 4b는 표 2와 같이 8 개의 안테나소자들에 인가되는 신호의 전력값과 위상값을 설정하는 경우에 안테나소자의 수직빔폭과 수직빔틸트를 나타낸다. 도 4c는 표 3과 같이 8 개의 안테나소자들에 인가되는 신호의 전력값과 위상값을 설정하는 경우에 안테나소자의 수직빔폭과 수직빔틸트를 나타낸다. 도 4a 내지 도 4c에 있어서, 수직축은 정규화된 매그니튜드(Normalized Magnitude)[dB]이며, 수평축은 수직빔의 방위각(Azimuthal Angle)[Deg : °]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서타일 안테나 시스템은 수직빔폭이 크면 클수록 안테나의 수직이득이 작아지게 되는 반면, 수직빔폭이 작으면 작을수록 안테나의 수직이득이 커지기 때문에 수직빔특성에 따라 이득이 조정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버서타일 안테나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버서타일 안테나 시스템은 n 개의 안테나소자(11 내지 1n)가 수직으로 배열됨과 아울러 그 내부에 주급전 분배기(100)가 설치되고 하단에 주급전 콘넥터부(109)가 설치된 배열안테나(102)와, 배열안테나(102)의 후면 반사판(14)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위상배열기 모듈(111)을 구비한다.
배열안테나(102)는 다이폴, 야기, 대수, 주기, 평면 안테나 등으로 구현되는 안테나소자(11 내지 1n)가 수직 및 수평으로 배열된 고이득의 지향성 안테나이다. 이 배열안테나(102)의 안테나소자(11 내지 1n)는 마이크로 스트립라인, 스트립라인, 케이블 등으로 구현된 동위상 안테나 급전선(103)을 경유하여 외부의 위상배열기 모듈(111)의 출력단에 접속된다. 이러한 배열안테나(102)는 위상배열기 모듈(111)에 의해 선택된 전계세기와 위상에 따라 빔폭, 빔의 틸트각도 및 이득이 조절된다. 배열안테나(102)의 하단에 설치된 주급전 분배기(100)는 주급전 콘넥터부(9)에 접속됨과 아울러 주급전선(13)을 경유하여 위상배열기 모듈(111)에 접속되어 위상배열기 모듈(111)에 주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주급전 콘넥터부(109)는 배열안테나(102)의 하단에서 외부에 노출되고 도시하지 않은 주전원 케이블에 접속되어 주전원 케이블을 경유하여 인가되는 주전원을 주급전 분배기(100)에 공급하게 된다.
위상배열기 모듈(111)은 안테나소자(11 내지 1n) 각각에 인가되는 전력신호의 전력값과 위상을 설정하게 된다. 이 위상배열기 모듈(111)은 안테나 특성 변경 요구시에 교체된다. 이 위상배열기 모듈(111)의 내부에는 안테나소자(11 내지 1n)의 위상을 설정하기 위한 위상조정부(106)와 수직 및 수평으로 배열된 안테나소자(11 내지 1n) 각각에 인가되는 전계세기를 설정하기 위한 전계세기조정부(107)를 포함한다. 전계세기조정부(107)는 주급전선(13)을 경유하여 주급전 분배기(100)에 접속된다. 전계세기조정부(107)의 입력단자들은 배열안테나(102)의 후면 반사판(14) 상에 형성된 주급전 분배 콘넥터(16)를 통하여 주급전선(13)에 접속된다. 위상조정부(106)는 전계세기조정부(107)로부터 전력신호를 입력받고 그 전력신호의 위상을 설정하여 동위상 안테나 급전선(103)을 경유하여 안테나소자(11 내지 1n)에 접속되어 안테나에 설정된 위상으로 전력신호를 공급하게 된다. 위상조정부(106)의 출력단자들은 안테나소자(11 내지 1n)의 수만큼 배열안테나(102)의 후면 반사판(14) 상에 형성된 안테나 급전 콘넥터(104)를 통하여 동위상 안테나 급전선(103)에 접속된다. 위상배열기 모듈(111)의 위상조정부(106)와 전계세기조정부(107)는 방수용 커버(12) 내에 설치된다. 방수용 커버(12)는 위상조정부(106)와 전계세기조정부(107)를 외부로부터 침투되는 수분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위상배열기 모듈(111)과 배열안테나(102)의 후면 반사판(14)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침투되는 수분을 차단하도록 방수용 오링 또는 개스킷(15)이 설치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버서타일 안테나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버서타일 안테나 시스템은 n 개의 안테나소자(11 내지 1n)가 수직으로 배열된 배열안테나(202)와, 배열안테나(202)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위상배열기 모듈(211)과, 위상배열기 모듈(211)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주급전 분배기 모듈(217)을 구비한다.
배열안테나(202)는 다이폴, 야기, 대수, 주기, 평면 안테나 등으로 구현되는 안테나소자(11 내지 1n)가 수직 및 수평으로 배열된 고이득의 지향성 안테나이다. 이 배열안테나(202)의 안테나소자(11 내지 1n)는 마이크로 스트립라인, 스트립라인, 케이블 등으로 구현된 동위상 안테나 급전선(203)을 경유하여 위상배열기 모듈(211)의 출력단에 접속된다. 이러한 배열안테나(202)는 위상배열기 모듈(211)에 의해 선택된 전계세기와 위상에 따라 빔폭, 빔의 틸트각도 및 이득이 조절된다.
위상배열기 모듈(211)은 안테나소자(11 내지 1n) 각각에 인가되는 신호의 전력값과 위상을 설정하게 된다. 이 위상배열기 모듈(211)은 안테나 특성 변경 요구시에 교체된다. 이 위상배열기 모듈(211)의 내부에는 안테나소자(11 내지 1n)의 위상을 설정하기 위한 위상조정부(206)와 수직 및 수평으로 배열된 안테나소자(11 내지 1n) 각각에 인가되는 전계세기를 설정하기 위한 전계세기조정부(207)를 포함한다. 전계세기조정부(207)는 주급전선과 주급전 분배 콘넥터(216)를 경유하여 주급전 분배기 모듈(217)에 접속된다. 위상조정부(206)는 전계세기조정부(207)로부터 전력신호를 입력받고 그 전력신호의 위상을 설정하여 동위상 안테나 급전선(203)을 경유하여 안테나소자(11 내지 1n)에 접속되어 안테나에 설정된 위상으로 전력신호를 공급하게 된다. 위상조정부(206)의 출력단자들은 안테나소자(11 내지 1n)의 수만큼 위상배열기 모듈(211) 상에 형성된 위상배열기 콘넥터(205)와 배열안테나(202)의 하단면 상에 형성된 안테나 급전 콘넥터를 통하여 동위상 안테나 급전선(203)에 접속된다. 위상배열기 모듈(211)과 배열안테나(202)의 후단면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침투되는 수분을 차단하도록 방수용 오링 또는 개스킷(215)이 설치된다.
주급전분배기 모듈(217)은 주급전분배기(210)를 포함한다. 주급전분배기 모듈(217)의 주급전분배기(210)은 외부로 노출된 주급전 콘넥터부(209)에 접속됨과 아울러 주급전선과 주급전 콘넥터(216)를 경유하여 위상배열기 모듈(211)의 전계세기조정부(207)에 접속되어 위상배열기 모듈(211)에 주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주급전 분배기 모듈(217)과 위상배열기 모듈(211)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침투되는 수분을 차단하도록 방수용 오링 또는 개스킷(215)이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서타일 안테나 시스템은 위상배열기의 위상조정부와 전계세기조정부의 전계세기값이 각각 다르게 설정된 다수의 카드와 위상값이 각각 다르게 설정된 다수의 카드로 구성하여 안테나 특성 변경 요구시 이들 카드를 임의로 선택하거나 위상배열기의 위상조정부와 전계세기조정부를 교체 가능한 모듈로 구현하여 안테나 특성 변경 요구시 그 모듈을 교체함으로써 안테나 특성의 변경 요구가 있는 경우에 서비스 단절시간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안테나 교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버서타일 안테나 시스템은 안테나의 빔폭과 이득과 같은 안테나 특성을 항상 최적으로 유지함으로써 서비스 품질을 항상 안정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서타일 안테나 시스템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위상 배열기모듈과 주급전 콘넥터부 및 안테나소자의 접속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위상 배열기모듈에 의해 설정되는 다양한 안테나의 수직빔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7도의 수직빔폭에서 틸트각도가 0도, 2도, 6도일 때의 안테나의 수직빔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b는 10도의 수직빔폭에서 틸트각도가 0도, 2도, 6도일 때의 안테나의 수직빔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c는 15도의 수직빔폭에서 틸트각도가 0도, 2도, 6도일 때의 안테나의 수직빔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버서타일 안테나 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위상배열기 모듈과 배열안테나의 후면 반사판을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버서타일 안테나 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1 내지 11n, 11 내지 1n : 안테나소자 2,102,202 : 배열안테나
3,103,203 : 동위상 안테나 급전선 4,104 : 안테나급전 콘넥터
5,105,205 : 위상배열기 콘넥터 6,106,206 : 위상조정부
7,107,207 : 전계세기조정부 8 : 스위치부
9,109,209 : 주급전콘넥터부 10,100,210 : 주급전분배기
11,111,211 : 위상배열기 모듈 12 : 위상배열기 방수용 커버
13 : 주급전선 14 : 배열안테나의 후면 반사판
15,215 : 방수용 오링 또는 개스킷 16,216 : 주급전 분배 컨넥터
217 : 주급전분배기 모듈

Claims (11)

  1. 다수의 안테나소자들을 포함한 배열안테나와,
    상기 다수의 안테나소자들에 서로 다른 전력값들이 인가되도록, 미리 전력값들이 설정된 다수의 전력조정용카드들을 포함하는 전계세기조정부와,
    상기 다수의 안테나소자들에 서로 다른 위상값들이 인가되도록, 미리 위상값들이 설정된 다수의 위상조정용카드들을 포함하는 위상조정부와,
    상기 배열 안테나의 특성 변경 요구시 그에 해당하는 전력값들과 위상값들이 상기 다수의 안테나소자들에 인가되도록, 상기 전계세기조정부에 포함된 전력조정용카드를 선택함과 아울러 상기 위상조정부에 포함된 위상조정용카드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서타일 안테나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소자들은 상기 배열안테나 상에서 수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서타일 안테나 시스템.
  5. 다수의 안테나소자들을 포함한 배열안테나와,
    상기 배열안테나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며, 미리 전력값들이 설정된 다수의 전력조정용카드들 및 미리 위상값들이 설정된 다수의 위상조정용카드들을 포함하여, 상기 배열안테나의 안테나소자들 각각에 인가되는 신호의 전력값을 결정함과 아울러 상기 안테나소자들 각각에 인가되는 신호의 위상값을 결정하기 위한 위상배열기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위상배열기 모듈은 방수용 커버 내에 설치되고, 방수용 오링과 방수용 개스킷 중 어느 하나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배열안테나 상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서타일 안테나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배열기 모듈은,
    상기 배열안테나의 특성 변경 요구시 교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서타일 안테나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배열기 모듈은 상기 배열안테나의 후면 반사판 상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서타일 안테나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배열기 모듈은 상기 배열안테나의 하단면 상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서타일 안테나 시스템.
  9. 삭제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배열기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위상배열기 모듈에 주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주급전 분배기 모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서타일 안테나 시스템.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소자들은 상기 배열안테나 상에서 수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서타일 안테나 시스템.
KR10-2002-0048687A 2002-08-17 2002-08-17 버서타일 안테나 시스템 KR100519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8687A KR100519885B1 (ko) 2002-08-17 2002-08-17 버서타일 안테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8687A KR100519885B1 (ko) 2002-08-17 2002-08-17 버서타일 안테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490A KR20040016490A (ko) 2004-02-25
KR100519885B1 true KR100519885B1 (ko) 2005-10-10

Family

ID=37322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8687A KR100519885B1 (ko) 2002-08-17 2002-08-17 버서타일 안테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98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525B1 (ko) * 2006-11-14 2008-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
KR100948257B1 (ko) * 2007-09-20 2010-03-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1007220B1 (ko) * 2010-09-09 2011-01-12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배열 안테나용 신호 보정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0824A (ja) * 1993-03-03 1994-09-16 Mitsubishi Electric Corp アレーアンテナ
JPH1141023A (ja) * 1997-07-22 1999-02-12 Mitsubishi Electric Corp アレーアンテナの励振方法
JPH11163629A (ja) * 1997-11-27 1999-06-18 Mitsubishi Electric Corp アレーアンテナ装置
JP2000353912A (ja) * 1999-06-11 2000-12-19 Murata Mfg Co Ltd フェーズドアレイアンテナ装置
JP2001332925A (ja) * 2000-05-23 2001-11-30 Nec Corp アレーアンテナ受信装置の校正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0824A (ja) * 1993-03-03 1994-09-16 Mitsubishi Electric Corp アレーアンテナ
JPH1141023A (ja) * 1997-07-22 1999-02-12 Mitsubishi Electric Corp アレーアンテナの励振方法
JPH11163629A (ja) * 1997-11-27 1999-06-18 Mitsubishi Electric Corp アレーアンテナ装置
JP2000353912A (ja) * 1999-06-11 2000-12-19 Murata Mfg Co Ltd フェーズドアレイアンテナ装置
JP2001332925A (ja) * 2000-05-23 2001-11-30 Nec Corp アレーアンテナ受信装置の校正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490A (ko) 2004-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5995B2 (en) Base station antennas including supplemental arrays
KR100269584B1 (ko) 쵸크 반사기를 갖는 저 사이드로브 이중 편파 지향성 안테나
US6956537B2 (en) Co-located antenna array for passive beam forming
US11652300B2 (en) Radiating elements having angled feed stalks and base station antennas including same
US6067054A (en) Method and arrangement relating to antennas
US20040263390A1 (en) Planar antenna for a wireless mesh network
KR101136677B1 (ko) 안테나 장치 및 관련 방법
JP2002198723A (ja) 広帯域指向性アンテナ
EP0691703B1 (en) Communications antenna structure
JP2000252735A (ja) 傾斜調整可能なアンテナ
US11962072B2 (en) Phased array antennas having switched elevation beamwidths and related methods
US20060152413A1 (en) Antenna assembly
WO2016054672A1 (en) Stadium antenna
KR100519885B1 (ko) 버서타일 안테나 시스템
EP0601576B1 (en) Antenna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JPH07336133A (ja) アンテナ装置
JP2004104682A (ja) アンテナ装置
JP3822607B2 (ja) アレーアンテナ
JP2005295188A (ja) マルチビームアンテナ
KR100452166B1 (ko) 다중 위상기를 이용한 빔 가변 안테나
JP4452081B2 (ja) 並列給電コーリニアアンテナ
KR100454102B1 (ko) 다이폴 안테나 어레이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
KR100685313B1 (ko) 안테나 복사패턴의 수평빔과 수직빔 조절을 위한 안테나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안테나 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230077281A (ko) 방사 패턴 변경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 및 그 안테나 모듈이 적용된 통신 장치
JP2014007687A (ja) アンテナおよびこれを備えた無線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