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9424B1 - 선로 결합 구조, 믹서 및 송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선로 결합 구조, 믹서 및 송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9424B1
KR100519424B1 KR10-2002-0080376A KR20020080376A KR100519424B1 KR 100519424 B1 KR100519424 B1 KR 100519424B1 KR 20020080376 A KR20020080376 A KR 20020080376A KR 100519424 B1 KR100519424 B1 KR 100519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dielectric
signal
conductor pattern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0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1347A (ko
Inventor
이와타니히데토시
야마시타사다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30051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1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9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94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2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with invariable factor of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8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for linking dissimilar lines or devices
    • H01P5/1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for linking dissimilar lines or devices for coupling balanced with unbalanced lines or devices
    • H01P5/1022Transitions to dielectric wavegui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12Coupling devices having more than two ports
    • H01P5/16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 H01P5/18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consisting of two coupled guides, e.g. directional couplers

Abstract

본 발명은 유전체 선로와 서스펜디드 라인(suspended line) 사이의 전송 손실을 저감한 선로 결합 구조, 그 구조를 구비한 믹서, 및 그 믹서를 구비한 송수신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제 1 NRD 가이드를 구성하는 제 1 유전체 스트립(31a, 31b)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 1 도전체 패턴(51)을 배치하고, 또한, 제 2 NRD 가이드를 구성하는 제 2 유전체 스트립(32a, 32b)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 2 도전체 패턴(52)를 배치하며, 각각의 도전체 패턴과 유전체 스트립의 교차 위치에, 유전체 스트립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볼록 형상 도전체 패턴(10, 11)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선로 결합 구조, 믹서 및 송수신 장치{Line coupling structure, mixer and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본 발명은 밀리미터파 대역 등의 신호를 전파하는 유전체 선로와 서스펜디드 라인(suspended line)의 선로 결합 구조, 그 구조를 구비한 믹서, 및 그 믹서를 구비한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방사성 유전체 선로(이하 "NRD 가이드"라고 한다)에 있어서의 다이오드 마운트(diode mount) 구조와, 그것을 사용한 믹서로서, 그로키, 요메야마 : "빔 리드 다이오드(beam lead diode)를 사용한 비방사성 유전체 선로 회로 소자" 전자정보통신학회 논문지, C-I, Vol J73-C-I No.2 pp71-76 1989년 2월이 개시되어 있다.
이 믹서는, NRD 가이드로 커플러(coupler)를 구성함과 동시에, 다이오드를 마운트(mount)한 회로 기판을 유전체 스트립에 수직으로 끼워 두고, 다이오드와 NRD 가이드를 결합시킴으로써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 나타나 있는 구조에서는, 다이오드를 마운트한 회로 기판을 유전체 스트립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회로 기판을 장치 내에 고정하기 어려우며, 기울어지기 쉽기 때문에 실장성이 부족하고, 정합을 취하기 위하여 NRD 가이드 중에 고유전율 박판을 삽입하거나 공극(空隙)을 형성하는 등, 설계 및 제작이 용이하지 않으며, NRD 가이드의 커플러는 전력 분배비가 동등해지는 주파수로부터 어긋날수록, 그 전력 분배비의 밸런스가 붕괴되기 쉽다는 등의 다양한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원 출원인은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10-75109호에 유전체 선로와 서스펜디드 라인의 선로 결합 구조를 구비한 믹서를 개시하였다. 그 일례를 도 6에 나타낸다. 이 도 6은 유전체 선로 장치의, 상부의 도전체 판을 제거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이 도 6에는 나타나 있지 않은, 평행한 2개의 도전체 평면을 이루는 도전체 판 사이에 회로 기판(4) 및 유전체 스트립을 배치하고 있다. 도면 중, 참조부호 3b는 회로 기판(4)의 상부의 유전체 스트립이다. 회로 기판(4)의 하부에는 유전체 스트립(3b)에 대향하는 다른 하나의 유전체 스트립을 배치하고 있다. 회로 기판(4)에는, 참조부호 6a, 6b, 7a, 7b로 나타내는, 각각 실질적으로 λ/4의 오픈 스터브(open stub)를 갖는 도전체 패턴(5)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도전체 패턴(5)에는, 직렬로 빔 리드 형상의 다이오드(8)를 마운트하고 있다. 유전체 스트립(3b)은 도전체 패턴(5)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그 단부로부터 소정 거리의 위치에서 교차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전체 패턴(5)과 상하의 도전체 판에 의한 서스펜디드 라인과, 유전체 스트립(3b)과 상하의 도전체 판에 의한 NRD 가이드의 선로 결합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상술한 유전체 선로 장치는, 그 구조상, 유전체 선로를 전파하는 LSM모드와 서스펜디드 라인을 전파하는 TEM모드의 자계 방향이 동일하기 때문에, 양 선은 용이하게 강하게 결합한다. 이 때문에, 믹서를 구성한 경우의 변환 손실을 종래에 비하여 저감할 수 있으며, 전체의 구조를 간소화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는 등의 다양한 효과를 이룬다.
그러나, 본원 발명의 발명자들의 실험 및 고찰에 의해, 유전체 선로와 서스펜디드 라인의 선로 결합부에 있어서 전송 손실을 더욱 저감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전체 선로와 서스펜디드 라인 사이의 전송 손실을 저감한 선로 결합 구조, 그 구조를 구비한 믹서, 및 그 믹서를 구비한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선로 결합 구조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2개의 도전체 평면 사이에 유전체 스트립과 함께 회로 기판을 배치하고, 도전체 평면과 유전체 스트립으로 유전체 선로를 구성하며, 도전체 평면과 회로 기판상의 도전체 패턴으로 서스펜디드 라인을 구성함과 동시에, 유전체 스트립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도전체 패턴을 배치하고, 도전체 패턴의, 유전체 스트립에 교차하는 위치에, 유전체 스트립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볼록 형상 도전체 패턴을 형성한 구조로 한다.
이 구조에 의해, 유전체 선로와 서스펜디드 라인의 결합량을 크게 할 수 있으며, 선로 변환 손실이 작아지고, 유전체 선로와 서스펜디드 라인 사이의 전송 손실이 저감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볼록 형상 도전체 패턴의 선단을, 상기 유전체 선로를 전파하는 신호의 전계 성분이 최대가 되는 부위 부근에 배치한다. 예를 들면 NRD 가이드에서 LSM모드를 이용하는 경우, 유전체 스트립의 선단보다 유전체 스트립측으로 약간 되돌아온 부위에서 전계 성분이 최대가 된다. 이 전계 최대점 부근에 볼록 형상 도전체 패턴의 선단을 배치함으로써, 양 선로의 결합을 최대로 한다. 이 구조에 의해 유전체 선로와 서스펜디드 라인의 결합량을 효율적으로 증대시킨다.
본 발명의 믹서는, 상기 선로 결합 구조에 있어서, 서스펜디드 라인에 RF신호, Lo신호, 또는 RF신호와 Lo신호의 혼합 신호가 전파하도록, 유전체 스트립과 도전체 패턴을 배치하고, 도전체 패턴에 다이오드를 마운트하며, 도전체 패턴에 의해 IF신호를 추출하도록 구성한다. 이 구조에 의해, 변환 효율이 높은 믹서를 얻는다.
본 발명의 송수신 장치는, 상기 믹서를, 수신 신호로부터 중간 주파 신호에의 변환부에 사용한다. 이에 따라, 중간 주파 신호의 SN비를 높여, 미약한 수신 신호일지라도 검출 가능한 중간 주파 신호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출력 전력당의 이용 가능 거리를 길게 한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밸런스형 믹서의 구성을 도 1∼도 5를 참조하여 다음에 설명한다.
도 1은 밸런스형 믹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A는 상부의 도전체 판을 들어올린 상태에 있어서의 사시도, 도 1B는 그 단면도이다. 도 1에서, 참조부호 1 및 2는 평행한 2개의 도전체 평면을 이루는 도전체 판이며, 이 2개의 도전체 판(1, 2) 사이에, 회로 기판(4)을 사이에 두도록, 그 회로 기판과 함께 유전체 스트립(31a, 31b, 32a, 32b)을 배치하고 있다. 도전체 판(1, 2)의 내면에는 각각 홈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들 홈에 제 1 유전체 스트립(31a, 31b) 및 제 2 유전체 스트립(32a, 32b)을 끼워넣고 있다. 또한, 회로 기판(4)은, 도면밖의 주변부의 지지부로 지지한 상태로, 상하의 도전체 판(1, 2)의 중앙 위치에 도전체 판(1, 2)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하고 있다. 또한, 도전체 판(1, 2)은 도면밖의 주변부에서 양자를 조합하고 있으며, 유전체 선로 부분에 있어서는,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행한 2개의 도전체 평면을 구성하고 있다.
도 1에 있어서의 유전체 스트립(31a, 31b, 32a, 32b)은 수지나 세라믹스 등의 유전체 재료로 구성하고 있으며, 그 길이 방향에 직각인 횡단면을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유전체 스트립(31a, 31b, 32a, 32b) 부분은, 차단 상태를 해소하여, 전자파 신호를 이들 유전체 스트립을 따라 전파시키는 전파 영역을 구성하고 있다. 한편, 유전체 스트립(31a, 31b, 32a, 32b)이 없는 부분은, 전송할 고주파 신호의 자유 공간 파장을 λ0이라고 했을 때, 도전체 판(1, 2)의 간격을 λ0/2미만으로 하고 있으며, 전파 영역의 신호를 차단하는 차단 영역을 구성하고 있다. 게다가, 전파 영역에 있어서 LSM01 모드의 차단 주파수가 LSE01 모드의 차단 주파수보다 낮아지고, 또한 차단 영역에 있어서 LSM01 모드 및 LSE01 모드의 전자파를 차단하도록, 도 1B에 나타낸 차단 영역과 전파 영역의 도전체 판(1, 2)의 간격(h1, h2), 회로 기판(4)의 두께(t), 유전체 스트립(31a, 31b) 및 회로 기판(4)의 유전율을 각각 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 1 유전체 스트립(31a, 31b)과 상하의 도전체 판(1, 2)에 의해, LSM01 모드의 단일 모드 전송이 가능한 제 1 NRD 가이드를 구성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유전체 스트립(32a, 32b)과 상하의 도전체 판(1, 2)에 의해, LSM01 모드의 단일 모드 전송이 가능한 제 2 NRD 가이드를 구성하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회로 기판(4)의 상면에는 유전체 스트립(31a, 31b)에 대하여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 1 도전체 패턴(51)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제 1 도전체 패턴(51)과 상하의 도전체 판(1, 2)에 의해 제 1 서스펜디드 라인을 구성하고 있다. 제 1 도전체 패턴(51)에는, 제 1 유전체 스트립 부분을 사이에 두는 위치에 제 1ㆍ제 2 필터 회로(6, 7)를 구성하고, 이 제 1ㆍ제 2 필터 회로 사이의 서스펜디드 라인을 제 1 공진 회로로 하고 있다. 이 제 1 공진 회로 내에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schottky barrier diode)인 2개의 빔 리드형 다이오드(81, 82)가 직렬로 접속되도록 마운트되어 있다. 또한, 제 1ㆍ제 2 필터 회로(6, 7)의 중앙으로부터 제 1 유전체 스트립(31a, 31b)의 길이 방향으로 제 2 도전체 패턴(52)을 인출하고 있으며, 이 제 2 도전체 패턴(52)과 상하의 도전체 판(1, 2)에 의해 제 2 서스펜디드 라인을 구성하고 있다. 제 2 도전체 패턴의 도중에는 제 3 필터 회로(9)를 형성하고, 제 2 도전체 패턴(52)을 전파하는 신호가 필터 회로(9)로부터 외측으로 나오지 않는 구성으로 하며, 이 제 2 도전체 패턴(52)에, 제 2 유전체 스트립(32a, 32b) 및 상하의 도전체 판(1, 2)으로 이루어지는 제 2 NRD 가이드를 자계 결합시키고 있다.
도 2는 밸런스형 믹서의, 상부의 도전체 판을 제거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참조부호 6a, 6b, 7a, 7b, 9a, 9b는 각각 실질적으로 λ/4의 오픈 스터브이며, 6a-6b의 간격, 7a-7b의 간격, 및 9a-9b의 간격도 각각 실질적으로 λ/4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λ/4의 오픈 스터브를 λ/4의 간격을 두고 형성함으로써, 파장(λ)의 주파수 신호를 저지하는 대역 저지 필터(BEF)로서 작용한다. 또한, 이들 λ/4길이는 모두 선로의 실효 유전율을 고려한 것이다.
제 1ㆍ제 2 필터 회로(6, 7)의 중앙으로부터 제 1ㆍ제 2 필터 회로까지의 간격(L11, L12)의 전기 길이를 각각, 제 1 NRD 가이드를 전파하는 밀리미터파의 주파수(f1)에 있어서의 실질적으로 1/2파장의 정수배로 하고 있다. 이 것에 의해, 이 부분(필터 회로(6)-필터 회로(7) 사이의 서스펜디드 라인)이 양단 쇼트(short)의 공진 회로로서 작용한다. 또한, 제 1ㆍ제 2 필터 회로(6, 7)의 중앙으로부터 오픈 스터브(9a)까지의 간격(L2)의 전기 길이를, 제 2 유전체 스트립(32a, 32b)에 의한 제 2 NRD 가이드를 전파하는 밀리미터파의 주파수(f2)에 있어서의 실질적으로 1/2파장의 정수배가 되는 관계로 하고 있다. 통상 f1과 f2는 근접하고 있으며, 상기 L11, L12의 전기 길이는 실질적으로 1/2파장이기 때문에, 제 1ㆍ제 2 필터 회로의 중앙은 등가적으로 쇼트이다. 따라서, 이 부분(필터 회로(6)-필터 회로(7)의 중앙 위치와 필터(9) 사이의 서스펜디드 라인)도 양단 쇼트의 공진 회로로서 작용한다.
제 1ㆍ제 2 필터 회로(6, 7)에 의한 제 1 공진 회로 내에는, 도전체 패턴(51)에 대하여 직렬로 2개의 빔 리드형 다이오드(81, 82)를 마운트하고 있다. 제 1 유전체 스트립(31a, 31b) 및 상하의 도전체 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1 NRD 가이드를 전파하는 LSM01 모드의 신호는, 제 1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서스펜디드 라인의 TEM모드와 용이하게 결합한다. 또한, 원하는 주파수(예를 들면 f1)에서 제 1 NRD 가이드단으로부터의 반사 손실이 최소가 되도록, 또는 믹서의 변환 손실이 최소가 되도록, 양 선로 사이의 위치 관계, 다이오드(81, 82)의 위치, 필터 회로(6, 7)의 위치 등을 선정하고 있다.
한편, 제 2 도전체 패턴(52)은, 제 2 유전체 스트립(32a, 32b)과 상하의 도전체 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2 NRD 가이드와 자계 결합하기 때문에, 이 제 2 NRD 가이드로부터 제 1 RF신호(예를 들면 수신 신호(RX)) 또는 제 2 RF신호(예를 들면 로컬 신호(Lo))가 입력됨으로써, 그 신호가 서스펜디드 라인의 모드로 변환되고, 2개의 다이오드(81, 82)에 대하여 역위상(opposite phase)으로 인가되게 된다.
제 1 도전체 패턴(51)에는, Lb, Rb, Vb로 나타내는 바이어스 전압 공급 회로를 접속함과 동시에, 이 도전체 패턴(51)의 단부를 커패시터(Cg)로 교류적으로 접지하고 있다. 상기 Lb는 바이어스 전원 공급 회로에 대한 IF신호의 누설을 저지한다. 저항(Rb)은 변환 손실이 작아지도록, 다이오드에 대한 바이어스 전류를 설정한다.
이 구조에 의해, 제 2 NRD 가이드로부터 입사된 제 1 또는 제 2 RF신호는 180°의 위상차를 갖고 2개의 다이오드(81, 82)에 인가되며, 제 1 NRD 가이드로부터 입사된 제 2 또는 제 1 RF신호와의 차이의 주파수 성분은 서로 역위상이 된다. 여기에서, 2개의 다이오드의 방향이 IF단으로부터 보아 서로 역방향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차이의 주파수 성분은 동위상(inphase)으로 합성되어, 커패시터(Ci)를 통하여 IF신호로서 추출할 수 있다.
도 2에 있어서, 참조부호 11은 제 1 도전체 패턴(51)의, 유전체 스트립(31a, 31b)에 교차하는 위치에, 상기 유전체 스트립(31a, 31b)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x만큼 도출하는 볼록 형상 도전체 패턴이다. 또한, 참조부호 10은 제 2 도전체 패턴(52)의, 유전체 스트립(32a, 32b)에 교차하는 위치에, 상기 유전체 스트립(32a, 32b)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x만큼 돌출하는 볼록 형상 도전체 패턴이다.
이와 같은 NRD 가이드의 주요 전파 모드의 전계 성분이 높은 위치에 볼록 형상 도전체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서스펜디드 라인과 유전체 선로의 결합량이 증대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다음으로, 도 2에 나타낸 제 2 도전체 패턴(52)과, 유전체 스트립(32a, 32b)을 포함하는 NRD 가이드와의 선로 변환부의 특성을 구하기 위한 칫수예를 도 3에 나타낸다. 또한, 그 구조에 의한 선로 변환부의 투과 감쇠량의 특성을 도 4에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유전율(εr)=2.04의 유전체 스트립(32a, 32b)을 사용하고, 이 유전체 스트립의 선단을 개방하며, 이 유전체 스트립과 상하의 도전체 판에 의한 NRD 가이드의 차단 영역의 폭방향의 공간을 정한다. 마찬가지로, 서스펜디드 라인의 폭방향의 넓이를 정한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볼록 형상 도전체 패턴의 돌출량(x)을 변화시켜, LSM01 모드에 있어서의 NRD 가이드단(포트 #1)과, TEM모드에 있어서의 서스펜디드 라인단(포트 #2) 사이에서의 투과 감쇠량(S파라미터(S21))을 FEM계산한 결과이다.
이와 같이, 볼록 형상 도전체 패턴의 돌출량(x)을 0에서부터 증가시켜 가면, 결합도가 증가하여, 선로 변환 손실이 적어진다. 또한, x가 소정 값에서 결합도가 최대가 된다.
이와 같이, NRD 가이드를 선단 개방으로 한 경우, 그 선단으로부터 약간 선로 내부로 들어간 위치에 전계 최대의 점이 존재한다. 한편, 서스펜디드 라인의 개방단은 전압 분포의 전압이 최대가 된다. 따라서, NRD 가이드의 전계 최대점 부근에 서스펜디드 라인의 개방단이 있는 경우에 가장 강한 결합을 얻을 수 있다.
상기의 예는, 3단자 구조에 대하여 나타내었으나, 도 2의 제 1 도전체 패턴(51)과, 유전체 스트립(31a, 31b)을 포함하는 NRD 가이드와의, 4단자 구조의 선로 변환부의 특성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작용하며, 동일한 효과를 이룬다.
이와 같이, 볼록 형상 도전체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NRD 가이드와 서스펜디드 라인 사이의 선로 변환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밸런스형 믹서로 한 경우, 믹서 변환 손실의 저감화 및 광대역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상으로 나타낸 예는, 밸런스형 믹서에 대해서였으나, 마찬가지로 하여 싱글형 믹서를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제 2 도전체 패턴(52) 및 제 2 유전체 스트립(32a, 32b), 다이오드(82)를 형성하지 않고(다이오드(82)부의 패턴 갭을 없애고), 제 1 유전체 스트립(31a, 31b)에 의한 NRD 가이드로부터 제 1 RF신호와 제 2 RF신호의 혼합 신호를 입력하여, 도전체 패턴(51)으로부터 IF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다음으로, 송수신 장치의 실시형태로서 밀리미터파 레이더 모듈의 구성예를 도 5에 나타낸다.
도 5는 밀리미터파 레이더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5에 있어서, VCO는 건다이오드(gunn diode)와 버랙터 다이오드(varactor diode) 등을 사용한 압전 제어 발진기, ISO는 아이솔레이터로서, 반사 신호가 VCO에 되돌아 가는 것을 억제한다. CPL은 커플러로서, 송신 신호의 일부를 로컬 신호(Lo)로서 추출하는 NRD 가이드로 이루어지는 방향성 결합기이다. CIR은 서큘레이터로서, 송신 신호를 스캔 유닛(scan unit)에 제공하며, 또한 수신 신호를 믹서(MIX)측에 전송한다. 믹서(MIX)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믹서로서, 수신 신호(RX)와 상기 로컬 신호(Lo)를 혼합하여 중간 주파 신호(IF)를 출력한다.
이 밀리미터파 레이더 모듈과 함께, 상기 변조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IF신호로부터 타켓(target)의 상대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구하는 제어부를 형성함으로써 밀리미터파 레이더 장치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전체 패턴의, 유전체 스트립에 교차하는 위치에, 유전체 스트립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볼록 형상 도전체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유전체 선로와 서스펜디드 라인의 결합량을 크게 할 수 있으며, 선로 변환 손실이 작아지고, 유전체 선로와 서스펜디드 라인 사이의 전송 손실이 저감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볼록 형상 도전체 패턴의 선단을, 상기 유전체 선로를 전파하는 신호의 전계 성분이 최대가 되는 부위 부근에 배치함으로써, 유전체 선로와 서스펜디드 라인의 결합을 최대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변환 효율이 높은 믹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중간 주파 신호의 SN비가 높아져서, 미약한 수신 신호일지라도 검출 가능한 중간 주파 신호를 얻을 수 있어, 출력 전력당의 송수신 이용 가능 거리가 길어진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밸런스형 믹서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밸런스형 믹서의 상부의 도전체 판을 제거한 상태에서의 상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밸런스형 믹서에 구성한 선로 변환부의 칫수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선로 변환부에 있어서의 투과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밀리미터파 레이더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유전체 선로와 서스펜디드 라인의 선로 변환 구조를 구비한 유전체 선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2 : 도전체 판 4 : 회로 기판
5 : 도전체 패턴 6 : 제 1 필터 회로
7 : 제 2 필터 회로 9 : 제 3 필터 회로
6a, 6b, 7a, 7b, 9a, 9b : 오픈 스터브
10, 11 : 볼록 형상 도전체 패턴 31a, 31b : 제 1 유전체 스트립
32a, 32b : 제 2 유전체 스트립 51 : 제 1 도전체 패턴
52 : 제 2 도전체 패턴
8, 81, 82 : 빔 리드 다이오드(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Claims (4)

  1. 실질적으로 평행한 2개의 도전체 평면 사이에 유전체 스트립과 함께 회로 기판을 배치하고, 상기 도전체 평면과 상기 유전체 스트립으로 유전체 선로를 구성하며, 상기 도전체 평면과 상기 회로 기판상의 도전체 패턴으로 서스펜디드 라인(suspended line)을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유전체 스트립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도전체 패턴을 배치한 선로 결합 구조로서,
    상기 도전체 패턴의, 상기 유전체 스트립에 교차하는 위치에, 상기 유전체 스트립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볼록 형상 도전체 패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선로와 서스펜디드 라인의 선로 결합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 형상 도전체 패턴의 선단을, 상기 유전체 선로를 전파하는 신호의 전계 성분이 최대가 되는 부위 부근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 결합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선로 결합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서스펜디드 라인에 제 1 RF신호, 제 2 RF신호, 또는 제 1 RF신호와 제 2 RF신호의 혼합 신호가 전파하도록, 상기 유전체 스트립과 상기 도전체 패턴을 배치하고, 상기 도전체 패턴에 다이오드를 마운트(mount)하여, 상기 도전체 패턴에 의해 IF신호를 추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
  4. 제 3 항에 기재된 믹서를, 수신 신호로부터 중간 주파 신호에의 변환부에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장치.
KR10-2002-0080376A 2001-12-18 2002-12-16 선로 결합 구조, 믹서 및 송수신 장치 KR1005194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84878A JP3731535B2 (ja) 2001-12-18 2001-12-18 線路結合構造、ミキサ、および送受信装置
JPJP-P-2001-00384878 2001-1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1347A KR20030051347A (ko) 2003-06-25
KR100519424B1 true KR100519424B1 (ko) 2005-10-07

Family

ID=19187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0376A KR100519424B1 (ko) 2001-12-18 2002-12-16 선로 결합 구조, 믹서 및 송수신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31246B2 (ko)
EP (1) EP1324422B1 (ko)
JP (1) JP3731535B2 (ko)
KR (1) KR100519424B1 (ko)
CN (1) CN1233062C (ko)
DE (1) DE60230233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14842A1 (en) * 2004-06-29 2006-09-28 Kyocera Corporation Mixer, High-Frequency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radarapparatus having the high-frequency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and vehicle equipped with radar apparatus
US20060017607A1 (en) * 2004-07-26 2006-01-26 Kyocera Corporation Amplitude modulator, selector switch, high frequency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radar apparatus, and radar apparatus-mounting vehicle and radar apparatus-mounting small ship
JP2007097330A (ja) 2005-09-29 2007-04-12 Kyocera Corp 充電装置及び端末装置
US7800459B2 (en) * 2006-12-29 2010-09-21 Intel Corporation Ultra-high bandwidth interconnect for data transmission
JP5018288B2 (ja) * 2007-07-09 2012-09-05 三菱電機株式会社 ミキサ回路とレーダー用送受信装置
US20170245361A1 (en) * 2016-01-06 2017-08-24 Nokomi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s to customize electronic device electromagnetic emissions
WO2021192707A1 (ja) * 2020-03-26 2021-09-30 株式会社ヨコオ Rf検出器およびそれを備える高周波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5074B2 (ja) 1996-07-26 2000-05-2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線路、電圧制御発振器、ミキサーおよび回路モジュール
JP3106972B2 (ja) 1996-08-29 2000-11-0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線路におけるダイオードマウント構造、検波器およびミキサ
JP3169058B2 (ja) 1996-08-29 2001-05-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バランス形ミキサ
JP3303757B2 (ja) 1997-12-25 2002-07-2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非放射性誘電体線路部品およびその集積回路
JP3438654B2 (ja) 1999-06-28 2003-08-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線路減衰器、終端器および無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1347A (ko) 2003-06-25
US6931246B2 (en) 2005-08-16
DE60230233D1 (de) 2009-01-22
CN1430307A (zh) 2003-07-16
EP1324422A3 (en) 2003-08-27
EP1324422B1 (en) 2008-12-10
JP3731535B2 (ja) 2006-01-05
JP2003188614A (ja) 2003-07-04
US20030119471A1 (en) 2003-06-26
CN1233062C (zh) 2005-12-21
EP1324422A2 (en) 200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7120A (en) Transmitter-receiver
EP0871239B1 (en) Antenna device and radar module
JP3498597B2 (ja) 誘電体線路変換構造、誘電体線路装置、方向性結合器、高周波回路モジュールおよび送受信装置
EP0820114A1 (en) Multilayer dielectric line circuit
JP3303757B2 (ja) 非放射性誘電体線路部品およびその集積回路
CA2256283C (en) Non radiative dielectric waveguide having a portion for line convers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non radiative dielectric waveguides
KR100519424B1 (ko) 선로 결합 구조, 믹서 및 송수신 장치
US7408430B2 (en) High-frequency circuit device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aratus
JP3485054B2 (ja) 異種非放射性誘電体線路変換部構造およびその装置
EP0827269B1 (en) Balance-type mixer
KR100319811B1 (ko) 비가역 회로소자, 비가역 회로장치 및 이들을 사용하는송수신기
US6496080B1 (en) Dielectric waveguide nonreciprocal circuit device with a non-interfering magnetic member support
KR100297346B1 (ko) 유전체필터및이를이용한통신장치
JP3259637B2 (ja) 送受信装置
JP2004120792A (ja) 導波管変換構造、導波管接続構造、1次放射器、発振器および送信装置
EP0957528A1 (en) Nonreciprocal circuit device including dielectric wave guide, dielectric wave guide device and radio device
JPH1065413A (ja) 誘電体線路型方向性結合器
KR20030090238A (ko) 모드변환반사기를 이용한 비방사유전체 선로 혼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