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9371B1 - 터치패널이 장착된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터치패널이 장착된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9371B1
KR100519371B1 KR10-2002-0083399A KR20020083399A KR100519371B1 KR 100519371 B1 KR100519371 B1 KR 100519371B1 KR 20020083399 A KR20020083399 A KR 20020083399A KR 100519371 B1 KR100519371 B1 KR 100519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digitizer
display device
lc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3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6817A (ko
Inventor
홍희정
유환성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3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9371B1/ko
Priority to JP2003414497A priority patent/JP2004206106A/ja
Priority to CNB2003101212466A priority patent/CN100434978C/zh
Priority to DE10358994A priority patent/DE10358994B4/de
Priority to US10/743,139 priority patent/US7053968B2/en
Publication of KR20040056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6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9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93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패널이 장착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이 패턴드 스페이서에 의해 셀갭을 유지하여 상기 제 1, 제 2 기판 사이에 액정이 주입된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제 1, 제 2 기판 외측면에 형성된 편광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배면에서 광원을 소하는 백라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장치와,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하측에 형성되어 전자기파를 발생하고 전자 펜으로부터 전자파를 감지하여 전자 펜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센서부에서 발생되는 전자기파를 차폐시키는 쉴드 판과, 상기 쉴드 판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센서부를 구동시키는 디지타이저 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지타이저와,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상부면에 안티글레어 및 하드 코팅처리되어 형성된 폴리에틸렌 테레프라이레이트 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치패널이 장착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touch panel}
본 발명은 터치패널이 장착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필기감을 향상시키고, 박형화 및 저중량화 할 수 있는 터치패널이 장착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타이저는 주로 컴퓨터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지시한 위치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키보드와 마우스를 대신하는 입력장치로서, 캐드와 같은 그래픽작업을 수행하기에 적합하기 때문에 오늘날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디지타이저는 터치스크린, 태블릿(Tablet) 또는 EGIP(Electric graphic input panel)이라고도 칭하기도 하며, 사용자가 지시한 위치를 검출하는 방식에 따라 크게 저항막방식, 정전용량방식, 전자기방식 등이 있다.
도 1은 저항막 방식 디지타이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막 방식의 디지타이저는 상부 전극(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 필름(1)과, 하부 전극(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 하부 기판(2)과, 상기 필름 및 하부 기판이 서로 일정 공간을 갖도록 두 기판사이에 스페이서(5)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필름(1)에 손가락(3) 또는 펜(4)과 같은 소정의 입력 수단으로 눌러 두 기판이 접촉하게 되면, 상기 필름(1)에 형성된 상부 전극 및 상기 하부 기판(2)에 형성된 하부 전극(2)이 상호 통전되고, 그 위치의 저항값 값에 의하여 변화된 전압값을 읽어 들인 후 제어 장치에서 전압의 변화에 따라 위치 좌표를 찾을 수 있다.
도 2는 일반적인 전자기 유도 방식의 디지타이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 유도 방식의 디지타이저는 전기장을 형성하고 감지하여 2차원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해 평탄하게 형성된 감지 패드(6)와, 상기 감지 패드(6) 상에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디지타이저용 펜(7)과, 상기 디지타이저용 펜(7) 및 감지 패드(6)에서 발생되는 전자기파를 차폐시키기 위해 상기 감지 패드(6)의 하부에 금속 물질로 형성된 쉴드(Shield) 판(8)과, 상기 쉴드 판(8)과 상기 감지 패드(6)를 절연하고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제(9)와, 상기 감지 패드(6)를 구동시키기 위해 커넥터(10)에 의해 연결된 디지타이저 보드(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디지타이저용 펜(7)은 내부에 자기장을 받아 전류를 발생하고 다시 전류를 받아 자기장을 만들기 위한 코일(12)과, 상기 코일에서 발생한 전류를 충방전시키기 위한 캐피시터(1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디지타이저 보드(11)는 상기 감지 패드(6)의 구동을 위한 회로(도시하지 않음)와 복수개의 IC(11a)를 구비하고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감지 패드(6)는 전원으로부터 전류를 받아 자기장을 발생시키기 위해 루프(Roop)모양의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전자기 방식의 디지타이저는 디지타이저용 펜(7) 및 감지 패드(6)의 상호 전자기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타이저용 펜(7)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정교하고 섬세한 작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굵기 및 농도의 조절까지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전자기 방식 디지타이저의 원리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전자기 방식 디지타이저의 감지 패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로서, 전자기 방식 디지타이저의 감지 패드(도 2의 6)는 하나의 접지단(14)에 연결된 다수개의 루프 패턴(15)에 교류 신호(16)를 순차적으로 입력하고, 상기 교류 신호(16)에 의해 충전 및 방전되는 디지타이저용 펜(7)에서의 전자기 신호를 감지하여 좌표값을 읽을 수 있다.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루프 패턴(15)은 서로 수직하는 가로 및 세로에 대하여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루프 패턴(15)과 상기 디지타이저용 펜(7)은 각각 고리 모양의 솔레노이드를 만들기 때문에 상기 루프 패턴(15)에 전류를 흘릴 경우 상기 루프 패턴(15)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자기장이 발생한다.
즉, 상기 자기장의 발생으로 렌쯔의 법칙에 의해 상기 디지타이저용 펜(7)의 코일(12)에는 반대방향의 고리 전류가 생성된다.
또한, 상기 디지타이저용 펜(7)에서 생성된 전류는 상기 캐패시터(13)에 순간적으로 저장 후 방전되고, 상기 디지타이저용 펜(7)에서 방전된 전류는 상기 코일에 의해 자기장이 발생하여 상기 루프 패턴(15)에 고리 전류를 생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교류 전원(16)이 인가된 단자를 구동회로(17)로 스위칭한 후, 상기 구동회로(17)에서 상기 고리 전류가 발생한 부분의 루프 패턴(15)을 인식하여 좌표값으로 표시함으로써 상기 디지타이저용 펜(7)의 평면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감지 패드(6)에 형성된 루프 패턴(15)과 디지타이저용 펜(7)의 상호 전자기 유도를 이용한 전자기 방식 디지타이저를 도 4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디지타이저용 펜(7)과 감지 패드(6)의 상호 전자기 유도를 짧은 시간에 반복적으로 행함으로써 상기 감지 패드(6) 상에서 상기 디지타이저용 펜(7)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도면의 화살표(18)는 자기장의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루프 패턴(15)을 통하여 감지된 디지타이저용 펜(7)의 신호 크기는 도 5와 같다. 이때, 상기 계단형의 신호(19)는 각각의 루프 패턴(도 3의 15)에 해당하고, 상기 계단형의 신호(19)의 피크(19)를 상기 디지타이저용 펜(도 2의 7)의 위치로 볼 수 있다.결국, 전자기 방식 디지타이저는 상기 감지 패드(6)에 형성된 루프 패턴(15)과 상기 디지타이저용 펜(7)의 상호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하고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LCD의 단면도로서, 종래 기술에 따른 LCD는 게이트 전극(20), 게이트 절연막(21), 반도체층(22), 소스/드레인 전극(23a,23b)으로 이루어진 박막트랜지스터(T) 및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의 스위칭에 의해 전압이 인가되는 화소전극(25)이 형성된 하부 기판(27)과, 상기 하부 기판(27)에 대향하고 R.G.B 색상을 구현하기 위한 컬러필터(30) 및 공통전극(31)이 형성된 상부 기판(28)과, 상기 두 기판사이에 형성된 액정층(32)과, 상기 두 기판을 일정하게 이격(離隔)시키기 위해 형성된 볼 스페이서(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하부 기판(27)의 하부에는 광원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평행광선을 조하기 위한 일체의 구조물로 형성된 백라이트와, 상기 백라이트로부터 조사된 평행광선을 편광시키기 위해 상기 하부 기판(27) 및 상부 기판(28) 외곽의 표면에서 각각 서로 교차 편광하도록 설치된 제 1 및 제 2 편광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LCD를 장착한 디지타이저가 입력장치로서 대두되고 있다.
도 7은 종래 기술의 디지타이저의 단면도로서, 종래 기술의 디지타이저는 전자기파를 발생하고 감지하여 평면 위치를 인식하기 위해 평탄하게 형성된 감지 패드(6)와, 상기 감지 패드(6) 상에 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LCD(40)와, 상기 LCD(40) 및 상기 감지 패드(6)를 결합하기 위한 탑 케이스(41)와, 상기 탑 케이스(41)에 체결되어 상기 LCD(40)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LCD(40)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보호기판(42)과, 상기 보호기판(42)의 상부 표면상에서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디지타이저용 펜(7)과, 상기 디지타이저용 펜(7) 및 감지 패드(6)에서 발생되는 전자기파를 차폐시키기 위해 상기 감지 패드(6) 하측에 금속 물질로 형성된 쉴드 판(8)과, 상기 쉴드 판(8)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감지 패드(6)를 구동시키기 위해 컨넥트(10)에 의해 연결된 디지타이저 보드(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LCD는 상부 기판(도 6의 27), 하부기판(도 6의 28) 및 상기 두 기판의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도 6의 32)으로 구성되는 LCM(Liquid Crystal Module)(43)과, 상기 LCM(43)의 상하에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 편광판(43a,43b)과, 상기 LCM(43)에 평행광선을 조사하기 위한 백라이트(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LCD(40)를 구동하기 위한 LCD 구동 보드(45) 또한 상기 디지타이저 보드(11)와 같이 상기 쉴드 판(8)의 하부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디지타이저용 펜(7)은 상기 감지 패드(6)와의 상호 전자기를 유도하기 위한 코일(12)과, 상기 코일(12)에서 발생한 전류를 충방전시키기 위한 캐패시터(13)를 구비하고, 상기 디지타이저용 펜(7)의 팁 즉, 펜촉은 폴리 아세탈(Poly acetal) 수지와 같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LCD(40)의 셀갭을 유지하기 위해 볼 스페이서(도 6의 33)를 사용하기 때문에 디지타이저용 펜촉이 상기 LCD(40)와 직접 접촉할 경우, 그 압력으로 상기 볼 스페이서(33)가 상기 두 기판 사이에서 움직여 리플(Ripple)현상을 일으키고, LCD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LCD(40)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LCD(40)의 상부에서 d" 거리만큼 이격(離隔)하여 보호기판(42)이 상기 LCD(40)와 평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보호기판(42)을 상기 LCD(40)의 상부에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보호기판(42)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베젤(Bezel)(44)을 이용하여 상기 LCD(40)의 상부 가장자리를 보호하는 보호덮개(41)와 상기 보호기판(42)을 체결할 수 있다.따라서, 종래 기술의 디지타이저는 LCD(40) 상부에 보호기판(42)을 형성하여 상기 디지타이저용 펜(7)이 상기 유리 기판(42)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제작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디지타이저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종래 기술의 디지타이저는 사용자가 상기 LCD 상의 보호기판의 표면에 닿는 디지타이저용 펜을 이용하여 작업을 할 경우, 상기 디지타이저용 펜의 팁이 폴리 아세탈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어 디지타이저 펜이 상기 보호기판 표면에서 미끄러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필기감이 좋지 않다.
둘째, 종래 기술의 디지타이저는 상기 LCD와 상기 LCD 상의 보호기판이 일정 간격 떨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측면에서 상기 디지타이저를 사용할 경우 상기 LCD에서 구현되는 화면이 상기 보호기판에 굴절되어 시각적 차이가 발생하므로 상기 디지타이저용 펜이 지시하는 위치와 사용자가 인지하는 위치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셋째, 종래 기술의 디지타이저는 상기 LCD의 상부에 일정 간격 떨어져 형성된 유리 기판에 의해 두께가 증가하고, 무거워지기 때문에 박형화 및 저중량화에 맞지 않고, 휴대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액정표시장치의 상부에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 PET) 필름을 형성하여 박형화 및 저중량화 하고, 사용자의 필기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터치패널이 장착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터치패널이 장착된 액정표시장치는,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이 패턴드 스페이서에 의해 셀갭을 유지하여 상기 제 1, 제 2 기판 사이에 액정이 주입된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제 1, 제 2 기판 외측면에 형성된 편광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배면에서 광원을 소하는 백라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장치와,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하측에 형성되어 전자기파를 발생하고 전자 펜으로부터 전자파를 감지하여 전자 펜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센서부에서 발생되는 전자기파를 차폐시키는 쉴드 판과, 상기 쉴드 판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센서부를 구동시키는 디지타이저 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지타이저와,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상부면에 안티글레어 및 하드 코팅처리되어 형성된 폴리에틸렌 테레프라이레이트 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LCD는 패턴드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셀갭을 유지한다.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 필름은 엔티글레어 처리된다.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 필름은 하드 코팅 처리된다.
본 발명의 디지타이저는 LCD의 상하 기판 사이에 패턴드 스페이서(Patterned spacer)를 형성하여 샐갭을 일정하도록 함으로서 리플(Ripple)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또한, LCD의 상부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필름을 형성하여 상기 LCD의 상부의 표면 강도 및 인장 강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디지타이저용 펜을 이용하여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타이트 필름 상에서 작업을 할 경우 미끄러지지 않아 필기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터치패널이 장착된 액정표시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이 장착된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타이저는 전자기파를 발생하고 감지하여 2차원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해 평탄하게 형성된 감지 패드(101)와, 상기 감지 패드(101) 상에 형성되어 화상을 구현하는 LCD(102)와, 상기 LCD(102)의 상부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LCD(102)상에 형성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 필름(103)과,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 필름(103), LCD(102) 및 상기 감지 패드(101)를 결합하고 보호하는 탑 케이스(104)와,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 필름(103) 상에서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디지타이저용 펜(10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디지타이저용 펜(105) 및 감지 패드(101)에서 발생되는 전자기파를 차폐시키기 위해 상기 감지 패드(101) 하부에 금속 물질로 형성된 쉴드 판(106)과, 상기 쉴드 판(106)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감지 패드(101)를 구동시키기 위해 커넥트(107)에 의해 연결된 디지타이저 보드(108) 및 상기 LCD를 구동하기 위한 LCD 구동 보드(10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LCD(102)는 하부 기판(도시하지 않음), 상부 기판(도시하지 않음) 및 상기 두 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 LCM(110)과, 상기 백라이터(111)로부터 입사된 평행광선을 상기 LCM(110) 상하측에서 서로 수직하도록 편광시키기 위해 상기 LCM(110) 양측에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 평광판(112a,112b)과, 상기 LCM(110)의 후면에서 평행광선을 조사하기 위한 일체의 구조물을 포함한 백라이트(1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즉,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 필름(103)은 상기 LCD(102)의 제 2 편광판(112b) 상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편광판(112b)은 상기 LCM(110)의 상부 기판 상에 박형의 필름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 필름(103) 및 상기 제 2 편광판(112b)은 상기 상부 기판에 의해 평탄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LCD(102)의 상부 표면에 형성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 필름(103)은 상기 LCD(102)의 상부 기판의 기계적 강도 및 인장 강도를 증가시켜 상기 상부 기판을 보호하고, 상기 디지타이저용 펜촉과의 접촉시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필기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 필름(103) 상에는 반사율을 줄이기 위해 엔티글레어(Antiglare) 처리를 하여 눈부심을 방지하고, 하드 코팅 처리를 하여 상기 디지타이저용 펜촉에 의한 상부 표면의 스크래치(Scratch)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터치패널이 장착된 액정표시장치는 LCD(102) 상에 폴리 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 필름(103)을 형성하여 상기 LCD(102)의 상부 표면을 보호하고 기계적 강도를 높힘으로써 박형화 및 저중량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LCD(102)의 상부 표면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 필름(103)을 직접 접촉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디지타이저용 펜촉과 LCD(102)의 화면과의 시각적 차이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LCM의 구조 단면도이다.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LCM(110)은 게이트 전극(113), 게이트 절연막(114), 반도체층(115), 소스/드레인 전극(116a,116b)으로 이루어진 박막트랜지스터(T) 및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의 스위칭에 의해 전압이 인가되는 화소전극이(118) 형성된 하부 기판(120)과, 상기 하부 기판(120)에 대향하고 R.G.B 색상을 구현하기 위한 컬러필터(122) 및 공통전극(123)이 형성된 상부 기판(124)과, 상기 두 기판사이에 형성된 액정층(125)과, 상기 두 기판의 셀갭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기판에 형성된 패턴드 스페이서(1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LCM(도 7의 110)의 셀갭을 유지하는 상기 패턴드 스페이서(126)는 상기 상부 기판(124)에 고정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압력으로부터 상기 LCD의 셀갭이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디지타이저용 펜촉으로 상기 LCM(110) 즉, LCD(102)의 상부를 눌러도 상기 LCD(102)의 셀갭은 항상 일정하여 변하지 않기 때문에 액정의 리플(Ripple)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결국, 본 발명의 터치패널이 장착된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LCD(102)의 셀갭을 유지하기 위해 패턴드 스페이서(126)를 구비하고, 상기 LCD(102)의 상부 기판(124)의 기계적 강도 및 인장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LCD 상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 필름(103)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터치패널이 장착된 액정표시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패턴드 스페이서를 구비한 LCD를 사용하여 디지타이저용 펜의 눌림에도 셀갭의 영향이 거의 없기 때문에 액정의 리플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LCD 상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 필름이 형성되기 때문에 디지타이저용 펜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필기감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박형화할 수 있다.
셋째, 디지타이저용 펜과 LCM과 접촉하는 거리가 최소화되었기 때문에 시각적 차이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저항막 방식 또는 정전 용량 방식 디지타이저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전자기 방식의 디지타이저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전자기 방식 디지타이저의 감지 패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
도 4는 디지타이저의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디지타이저의 위치 인식 출력파형을 도시한 도면.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LCD의 단면도.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타이저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이 장착된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LCM의 구조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1 : 감지 패드 102 : LCD
103 :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 필름 104 : 탑 케이스
105 : 디지타이저용 펜 106 : 쉴드 판
107 : 커넥터 108 : 디지타이저 보드
109 : LCD 구동 보드 110 : LCM
111 : 백라이트 112a,112b : 제 1, 제 2 편광판
113 게이트 전극 114 : 게이트 절연막
115 : 반도체층 116a,116b : 소스/드레인 전극
117 : 보호막 118 : 화소전극
119a,119b : 제 1, 제 2 배향막 120 : 하부 기판
121 : 블랙매트릭스 122 : 컬러필터
123 : 공통전극 124 : 상부 기판
125 : 액정층 126 : 패턴드 스페이서

Claims (8)

  1.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이 패턴드 스페이서에 의해 셀갭을 유지하여 상기 제 1, 제 2 기판 사이에 액정이 주입된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제 1, 제 2 기판 외측면에 형성된 편광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배면에서 광원을 조사하는 백라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장치와,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하측에 형성되어 전자기파를 발생하고 전자 펜으로부터 전자파를 감지하여 전자 펜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센서부에서 발생되는 전자기파를 차폐시키는 쉴드 판과, 상기 쉴드 판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센서부를 구동시키는 디지타이저 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지타이저와,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상부면에 안티글레어 및 하드 코팅처리되어 형성된 폴리에틸렌 테레프라이레이트 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이 장착된 액정표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 필름은 상기 LCD의 상부 편광판 상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이 장착된 액정표시장치.
KR10-2002-0083399A 2002-12-24 2002-12-24 터치패널이 장착된 액정표시장치 KR100519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3399A KR100519371B1 (ko) 2002-12-24 2002-12-24 터치패널이 장착된 액정표시장치
JP2003414497A JP2004206106A (ja) 2002-12-24 2003-12-12 タッチパネルが装着された液晶表示装置
CNB2003101212466A CN100434978C (zh) 2002-12-24 2003-12-15 具有触摸面板的液晶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DE10358994A DE10358994B4 (de) 2002-12-24 2003-12-16 Flüssigkristallanzeigevorrichtung mit Touch-Panel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10/743,139 US7053968B2 (en) 2002-12-24 2003-12-23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touch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3399A KR100519371B1 (ko) 2002-12-24 2002-12-24 터치패널이 장착된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6817A KR20040056817A (ko) 2004-07-01
KR100519371B1 true KR100519371B1 (ko) 2005-10-07

Family

ID=32653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3399A KR100519371B1 (ko) 2002-12-24 2002-12-24 터치패널이 장착된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53968B2 (ko)
JP (1) JP2004206106A (ko)
KR (1) KR100519371B1 (ko)
CN (1) CN100434978C (ko)
DE (1) DE10358994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58754B2 (en) * 2003-07-01 2007-01-02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mpany, Llc Electromagnetic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single-coil transmitter
JP4405335B2 (ja) * 2004-07-27 2010-01-27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検出装置、及び、入力システム
CN101191915B (zh) * 2006-11-24 2010-05-19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
JP2008134837A (ja) * 2006-11-28 2008-06-12 Wacom Co Ltd 位置検出装置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5050757B2 (ja) * 2007-09-28 2012-10-1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磁気検知型入力パネル及び入力パネル付き表示装置
US8134540B2 (en) * 2007-10-16 2012-03-13 Wintek Corporation Touch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9645431B2 (en) * 2008-03-19 2017-05-09 Egalax_Empia Technology Inc. Touch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a plurality of touch driving electrodes of touch display
JP5224973B2 (ja) * 2008-08-26 2013-07-0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情報入出力装置および情報入出力方法
TWI368773B (en) * 2008-10-29 2012-07-21 Chunghwa Picture Tubes Ltd Touch display panel
KR101073285B1 (ko) * 2008-12-01 2011-10-1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558915B1 (ko) 2009-03-27 2015-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호창을 갖는 터치 스크린 모듈
US8525809B2 (en) * 2009-07-02 2013-09-03 Applied Vacuum Coating Technologies Co., Ltd. Digital capacitive touch panel structure
TWI526912B (zh) * 2010-03-16 2016-03-21 元太科技工業股份有限公司 電磁式觸控顯示器
US8730190B2 (en) * 2011-01-13 2014-05-20 Qualcomm Incorporated Detect motion generated from gestures used to execute functionality associated with a computer system
KR20120110817A (ko) * 2011-03-30 2012-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펜 및 전자펜을 이용한 입력 방법, 전자펜 입력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107886A (ko) 2012-03-23 2013-10-02 삼성전기주식회사 디지타이저
KR20140018017A (ko) 2012-08-03 2014-02-12 삼성전기주식회사 디지타이저
KR20140066452A (ko) * 2012-11-23 2014-06-02 삼성전기주식회사 입력 장치
KR101629943B1 (ko) * 2014-02-21 2016-06-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자 칠판
US9684338B1 (en) * 2015-03-09 2017-06-20 Amazon Technologies, Inc. Multifunctional layer for a display device
US10146355B2 (en) * 2015-03-26 2018-12-04 Lenovo (Singapore) Pte. Ltd. Human interface device input fusion
TWI552030B (zh) * 2015-07-24 2016-10-01 義隆電子股份有限公司 在觸控裝置上偵測主動式觸控筆的方法及該觸控裝置
KR102543487B1 (ko) 2015-12-28 2023-06-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자기 정전 용량형 터치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US10931284B2 (en) * 2019-05-07 2021-02-23 Fox Enterprises, Inc. Resonators and devices with pixel based electrodes operating across a gap
KR102178464B1 (ko) 2019-11-27 2020-11-13 한윤석 휴대폰용 디지타이저 가공방법 및 그 디지타이저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22918A (ja) 1984-04-20 1985-11-07 Alps Electric Co Ltd タツチ式入力装置の製造方法
JP3108571B2 (ja) * 1993-10-27 2000-11-13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入出力装置
JPH07210294A (ja) * 1994-01-27 1995-08-11 Canon Inc 情報処理装置
JPH0815679A (ja) * 1994-06-30 1996-01-19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3678788B2 (ja) * 1995-03-16 2005-08-03 富士通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TW386175B (en) * 1998-05-19 2000-04-01 Dainippon Printing Co Ltd Light reflective panel for reflective liquid crystal panel
JP4593721B2 (ja) 1999-05-19 2010-12-08 グンゼ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KR100313244B1 (ko) 1999-05-19 2001-11-05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액정 패널
JP2001311949A (ja) * 2000-04-28 2001-11-09 Optrex Corp 入出力一体型表示装置
JP2002216585A (ja) * 2001-01-18 2002-08-02 Minebea Co Ltd 表示装置用タッチパネル
KR100459230B1 (ko) * 2002-11-14 2004-12-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
KR100480823B1 (ko) * 2002-11-14 2005-04-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
KR100720446B1 (ko) * 2002-11-15 2007-05-2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편광판 일체형 터치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206106A (ja) 2004-07-22
US20040223089A1 (en) 2004-11-11
CN100434978C (zh) 2008-11-19
US7053968B2 (en) 2006-05-30
KR20040056817A (ko) 2004-07-01
CN1510468A (zh) 2004-07-07
DE10358994B4 (de) 2008-04-24
DE10358994A1 (de) 2004-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9371B1 (ko) 터치패널이 장착된 액정표시장치
KR101750564B1 (ko) 디지타이저 일체형 디스플레이 모듈
US10444891B2 (en)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0459230B1 (ko)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
US8603574B2 (en) Curved touch sensor
CN105677108B (zh) 具有触摸检测功能的显示装置和电子设备
JP5306059B2 (ja) タッチパネル、表示パネル、タッチパネル用基板、表示パネル用基板および表示装置
KR100469355B1 (ko)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
US20100188360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arranging touch panel thereof
US20110069036A1 (en) Display device
US20100283762A1 (en) Display device, electronic equipment provided with the display device, and touch panel
US10444889B2 (en) Touch display device and its driving method
GB2462170A (en) Capacitive touch screen or touchpad for Finger or Stylus
US20120105356A1 (en) Capacitive Coupling of a Capacitive Touchscreen to a Printed Circuit and Controller
US20090096762A1 (en) Input device, display device with input func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EP2490108A2 (en) Touch Screen
KR20060070531A (ko) 디스플레이 및 입력 장치
EP3226112B1 (en) Touch display device
US20120105354A1 (en) Tactile Feedback Cover Lens for a Capacitive Touchscreen System
US20080238883A1 (en) Liquid crystal device
KR100720446B1 (ko) 편광판 일체형 터치 패널
KR100906323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60018894A (ko) 압력 감지가 가능한 터치 스크린 패널
KR100531414B1 (ko) 표시 장치 일체형 터치 패널
CN107704119A (zh) 一种用于屏蔽电磁波的干扰的触摸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