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7299B1 -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 및 광섬유 커플러 - Google Patents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 및 광섬유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7299B1
KR100517299B1 KR10-2003-0042537A KR20030042537A KR100517299B1 KR 100517299 B1 KR100517299 B1 KR 100517299B1 KR 20030042537 A KR20030042537 A KR 20030042537A KR 100517299 B1 KR100517299 B1 KR 100517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fiber coupler
reinforcing member
plating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2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2781A (ko
Inventor
다케우치나나유키
호시도시하루
이이지마겐자부로우
야스타케히데토시
이시이요시카즈
도마루사토루
황부석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끼가이샤 리치스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끼가이샤 리치스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02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2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7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72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28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 G02B6/3632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36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echanical coupling means the mechanical coupling means being groov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 G02B6/2804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forming multipart couplers without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T" couplers, star couplers
    • G02B6/2821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forming multipart couplers without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T" couplers, star couplers using lateral coupling between contiguous fibres to split or combine optical sig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외부로부터의 압력에 대한 강도를 향상함과 동시에 가공성 및 광섬유 커플러의 조립 작업성을 용이하게 하여 신뢰성이 높은 한편 염가의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 및 광섬유 커플러를 제공한다.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20)는 예를 들면 세라믹이나 석영 등의 경질재로 형성된 대략 직방체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길이 방향을 따르는 평탄면(21)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그 횡단면 형상이 원통 형상 부재(50)에 내접하는 육각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횡단면 형상이 U자 형상의 오목부(凹部)(22)가 상기 대략 직방체 형상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어, 접합부(L)를 격납하고 있다. 또한, 오목부(22)에 격납된 접합부(L)는 접착제(60) 등에 의해 오목부(22)의 양단에 고정되어 있다. 또, 오목부(22)의 내벽면(23)의 양단에는 모서리 따내기 가공(23a)이 실시되어 있다.

Description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 및 광섬유 커플러{Optical fiber coupler reinforcing member and optical fiber coupler}
본 발명은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 및 광섬유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광섬유 커플러는 복수개의 광섬유를 접합한 접합부(광섬유 커플러 본체)를 가지고, 그 접합부에서 광섬유 중의 빛을 분리 또는 결합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접합부는 통상의 광섬유와 비교하여 매우 가늘고, 작은 외부의 충격에도 변형이나 절단되어, 그 기능을 상실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광섬유 커플러에서는 접합부를 보강 부재에 격납하여 보호하고 있다.
이 보강 부재는 종래부터,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합부를 격납하는 횡단면 형상이 コ자 형상의 오목부(긴 홈)를 갖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 부재 혹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횡단면 형상이 C자 형상의 오목부를 갖는 대략 원통 형상 부재가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도 8 및 도 9는 각각 종래기술에 의한 광섬유 커플러의 횡단면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보강 부재(A, B)에 형성된 오목부에 광섬유의 접합부(L)가 격납되어 있다. 접합부(L)는 예를 들면 접착제에 의해 보강 부재에 고정되어 있다.
또, 이들 보강 부재는 변질, 변형, 파손 및 온도 변화에 의한 광섬유와 보강 부재와의 팽창 계수의 차이로 인한 변형에 의한 특성의 변화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석영이나, 팽창 계수가 광섬유에 가까운 슈퍼 인버재 또는 인버재 등의 견뢰한 금속 부재로 구성되고, 금속 부재의 경우에는, 그 표면에 금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그런데, 보강 부재를 구성하는 금속 부재는 통상, 그 표면 거칠기가 1㎛ 미만이고, 예를 들면 슈퍼 인버재 또는 인버재의 경우는 0.4∼0.7㎛ 이다.
그렇지만, 상기 종래기술에 의하면, 횡단면 형상이 コ자 형상의 대략 직육면체 형상 부재인 보강 부재(이하, 제1 종래기술이라고 한다)의 경우는, 외벽면(W1)으로부터 오목부의 벽면(W2)에 대해서 압력 F가 가해지면, 그 압력은 오목부의 벽면(W2)과 아랫면(W3)이 이루는 모서리(C1)에 집중되므로, 모서리(C1)의 부분이 약해져, 보강 부재(A)의 오목부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도 8 참조).
한편, 횡단면 형상이 C자 형상의 대략 원통 형상 부재인 보강 부재(이하, 제2 종래기술이라고 한다)의 경우는, 외벽면(W4) 및 오목부의 벽면(W5)이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외벽면(W4)으로부터 가해진 압력 F는 벽면(W5)의 특정 부분에 집중하는 일이 없이 벽면(W5) 전체에 분산되기 때문에, 그 압력에 의해 보강 부재(B)의 오목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그런데, 상기 제2 종래기술에서는, 평탄한 작업대 위에서 보강 부재(B)를 정지(靜止)시키는 것은 용이하지 않고, 그 오목부에 광섬유 커플러의 접합부를 격납하는 작업 효율이 현저하게 저하하는 문제가 있었다(도 9 참조).
또, 평면 가공과 곡면 가공에서는, 곡면 가공 쪽의 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곡면 부분이 많은 상기 제2 종래기술에 의한 보강 부재에서는 그 제조 비용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 상기 제1, 제2 종래기술에서는, 각각 오목부의 양단이 날카로운 모서리(Sharp edge)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부분에 광섬유가 접촉하여 손상하여 절단될 우려가 있었다.
또, 보강 부재가 슈퍼 인버재 또는 인버재인 경우에는, 내식성을 보충하기 위해서 금 도금을 입히고 있지만, 보강 부재에 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내식성을 충분히 얻을 수 없고, 그 결과, 보강 부재에 녹이 발생하여, 광섬유 커플러의 특성이 변화해 버릴 우려가 있었다. 또, 이 경우에는 보강 부재의 표면이 매우 매끄럽게 되어 있으므로, 접합부(L)를 고정하는 접착제는 앵커(anchor) 효과에 의해 충분한 접착력을 얻을 수 없다. 그 때문에, 접합부에 연결되는 광섬유에 대해서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면, 접착 부분이 벗겨져 파손할 우려가 있었다.
그런데, 광섬유 커플러의 설치 장소는 옥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옥외에 설치하는 일이 있다. 이 경우, 광섬유 커플러는 상기한 보강 부재에 덧붙여 차광성이나 기밀성이 높은 외부 케이스에 격납된다. 또한, 외부 케이스로서는 강도가 뛰어난 원통 형상 부재가 이용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로부터의 압력에 대한 강도를 향상함과 더불어 가공성 및 광섬유 커플러의 조립 작업성을 용이하게 하여, 신뢰성이 높으면서도 저렴한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 및 광섬유 커플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는 기둥 형상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긴 홈에 광섬유 커플러 본체를 격납하여 보호하는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로서, 상기 긴 홈이 대략 U자 형상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면서, 또한 상기 기둥 형상 부재가 길이 방향을 따르는 평탄면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섬유 커플러 본체를 격납하여 보호하는 긴 홈의 횡단면 형상이 대략 U자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광섬유 커플러 유지 장치에 압력이 가해져도, 그 압력은 긴 홈의 내벽면 전체에 분산되어 내벽면의 특정 부분에 압력이 집중되는 일이 없게 된다. 또, 광섬유 커플러 유지 장치를 구성하는 기둥 형상 부재가 길이 방향을 따라 평탄면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그 외형 전체가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와 비교하여 기둥 형상 부재를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음과 동시에, 평탄한 작업대 위에서 용이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또, 상기한 긴 홈의 횡단면 형상의 대략 U자 형상이란 그 내벽면에 모서리가 없는 것을 가리키며, U자 형상 이외, 밑면이 평평하고 양단 모서리부가 원호 형상, 또는 반원 형상이나 원호 형상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둥 형상 부재의 횡단면 형상이 원에 내접하는 다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둥 형상 부재의 횡단면 형상이 원에 내접하는 다각 형상이므로,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를 원통형의 부재에 안정하고 또한 용이하게 격납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긴 홈의 양단의 모서리를 따서 둥그스름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긴 홈의 양단의 모서리를 따서 둥그스름하게 되어 있으므로, 그 부분의 날카로운 모서리가 없어지게 된다. 이에 의해,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에서는 격납한 광섬유가 이 양단의 모서리에 접촉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둥 형상 부재의 팽창 계수가 광섬유 커플러의 팽창 계수에 가까운 슈퍼 인버재 또는 인버재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기둥 형상 부재의 표면에 소정의 두께로 크롬 도금, 또는 주석 도금, 또는 니켈 도금을 실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기둥 형상 부재를 형성하는 슈퍼 인버재 또는 인버재의 내식성을 강화한다.   
또한, 도금 표면의 접착성을 강화하기 위해서, 슈퍼 인버재 또는 인버재의 표면을 거칠게 하거나 크롬 도금에 미소 크랙(금)을 형성하거나 함으로써 앵커 효과를 높여도 된다.
또, 본 발명의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크롬 도금, 또는 주석 도금, 또는 니켈 도금을 실시한 경우, 상기 기둥 형상 부재의 표면 거칠기를 1∼100㎛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둥 형상 부재의 표면이 거칠게 되어,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의 표면에 있어서 접착제에 대한 앵커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기둥 형상 부재가 슈퍼 인버재 또는 인버재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에 소정의 두께로 크롬 도금이 실시되어 있으므로,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를 견뢰하게 구성함과 동시에, 크롬 도금의 도금 두께에 따라서 그 표면에 미소 크랙(금)이 발생해,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의 표면에 있어서 접착제에 대한 앵커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크롬 도금의 도금 두께를 0.5㎛ 이상으로 하면, 미소 크랙을 보다 확실히 도금 표면에 발생시킬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광섬유 커플러는 상기 본 발명의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용도에 이용 가능한 신뢰성 높은 광섬유 커플러를 저렴한 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도 3은 각각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를 구비한 광섬유 커플러 전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광섬유 커플러의 외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광섬유 커플러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횡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광섬유 커플러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종단면도이다. 상기 도 1, 도 2, 도 3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광섬유 커플러(10)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20)와,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20)에 격납하는 2개의 광섬유(30, 31)가 접합된 접합부(L)(광섬유 커플러 본체)로 구성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섬유 커플러(10)는 기밀성 및 차광성을 갖는 원통 형상 부재에 격납 가능하게 되어 있다.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20)는 예를 들면 슈퍼 인버재 또는 인버재등의 금속이나 세라믹, 석영 등의 경질재로 형성된 대략 직방체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길이 방향을 따르는 평탄면(21)을 구비하고 있다. 또, 그 횡단면 형상이 원통 형상 부재(50)에 내접하는 육각 형상(다각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횡단면 형상이 U자 형상(대략 U자 형상)의 오목부(22)(긴 홈)가 상기 대략 직방체 형상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어, 접합부(L)를 격납하고 있다.
또한, 오목부(22)에 격납된 접합부(L)는 접착제(60) 등에 의해 오목부(22)의 양단에 고정되어 있다. 또, 오목부(22)의 내벽면(23)의 양단에는 모서리 따내기 가공(23a)이 실시되어 있다.
또,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20)의 표면은 도금 두께가 0.5㎛ 이상의 크롬 도금, 또는 도금 두께가 1㎛ 이상의 주석 도금, 또는 도금 두께가 1㎛ 이상의 니켈 도금이 실시되어 있고, 이들 각종 도금은 전기 도금이다.
크롬 도금의 경우는, 예를 들면, 무수 크롬산 250g/㎣, 황산 2.5g/㎣, 온도 45∼55℃의 전해 용액을 이용해 전류 밀도 20∼60A/d㎡를 인가하여 행해진다.
주석 도금의 경우는, 예를 들면, 온도 15∼25℃의 아황산성 주석 도금 용액을 이용해 음극 전류 밀도 0.5∼4A/d㎡, 양극 전류 밀도 0.5∼2A/d㎡를 인가하여 행해진다.
니켈 도금의 경우는, 예를 들면, 황산니켈 21g/㎣, 유산 28g/㎣, 프로피온산 2.3g/㎣, 차아인산나트륨 21g/㎣, 온도 90℃의 전해 용액을 이용해 행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광섬유 커플러(10)에서는 오목부(22)의 횡단면 형상이 U자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20)에 대해서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서도, 그 압력이 오목부(22)의 내벽면(23) 전체에 분산되도록 된다. 이에 의해, 내벽면(23)의 특정 부분에 외부 압력이 집중되지 않아, 오목부(2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20)가 평탄면(21)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평탄한 작업대 위에서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20)를 안정하게 정지할 수 있도록 된다. 이에 의해, 접합부(L)를 오목부(22)에 격납하는 광섬유 커플러(10)의 조립 작업의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20)의 외형 횡단면 형상이 원통 형상 부재(50)에 내접하는 다각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20)를 안정하고 또한 순조롭게 기밀성이나 차광성, 강도가 뛰어난 원통 형상 부재(50)에 격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내벽면(23)의 양단은 모서리 따내기 가공에 의해 날카로운 모서리가 제거되어 있으므로, 그 부분에 접합부(L) 또는 광섬유(30, 31)가 접촉하여 손상이나 절단될 우려가 없어져, 이들을 오목부(22)에 안전하게 격납할 수가 있다.
또, 금 도금, 크롬 도금, 주석 도금, 니켈 도금의 내식성을 시험하기 위해, 중성 염수 분무 시험(JIS H8502)에 근거해 염수 분무를 24시간 동안 행했다. 그 결과, 금 도금에서는 녹이 발생했지만, 크롬 도금, 주석 도금, 니켈 도금에서는 녹이 발생하지 않았다.
따라서,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20)는 크롬 도금, 또는 주석 도금, 또는 니켈 도금을 실시함으로써 종래의 금 도금과 비교하여, 녹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로까지 내식성을 강화할 수가 있다.
여기서, 도 7에 도시한 측정 장치를 사용해, 접착제(60)에 의해 시험편을 판 형상 부재에 접착했을 때의 접착 강도를 측정했다. 도 7(a)는 측정 장치의 평면도, 도 7(b)는 측정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7에 있어서, 시험편(71)은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20)를 구성하는 부재로, 2.1평방㎜의 막대 형상 부재이다. 한편, 판 형상 부재(72)는 접합부(L)를 포함한 광섬유를 구성하는 부재로, 여기서는, 파이렉스(등록 상표) 유리이다. 시험편(71)은 접착제(60)에 의해 판 형상 부재(72)와 접착되어 있다. 이 측정 장치에서는 시험편(71)의 A점에 수직 방향으로 응력을 가해, 시험편(71)과 판 형상 부재(72)의 접착 부분이 벗겨지기 직전의 응력을 접착 강도로서 측정한다.
또한,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20)를 구성하는 부재 표면을 1∼100㎛의 거칠게 하여, 적절히 도금 처리한다. 이에 의해,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20)에서는 도금 처리 후의 표면은 밑바탕의 거친 면 상태가 그대로 나타나므로, 앵커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접착 강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슈퍼 인버재를 산 처리에 의해 표면을 거칠게 한 후, 예를 들면, 니켈 도금을 실시해, 그 표면 거칠기=11㎛의 것을 시험편으로 하여 접착 강도를 측정한 결과, 접착 강도=1.76Pa[N/㎡]을 얻을 수 있었다. 한편, 표면 거칠기=0.5㎛의 시험편의 경우, 마찬가지로 하여 접착 강도=1.18Pa[N/㎡]을 얻을 수 있었다. 이에 의해, 접착 표면의 표면 거칠기를 11㎛로 한 경우는, 표면 거칠기가 0.5㎛인 경우와 비교하여 약 1.5배의 접착 강도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마찬가지로 주석을 도금을 실시한 경우는, 표면 거칠기=5㎛로 접착 강도=1.25Pa[N/㎡], 표면 거칠기=0.5㎛로 접착 강도=1.08Pa[N/㎡]을 얻을 수 있었고, 따라서, 표면 거칠기가 5㎛인 경우에는, 표면 거칠기가 0.5㎛인 경우와 비교하여, 약 2배의 접착 강도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마찬가지로 크롬 도금을 실시한 경우는, 접착 강도=1.67Pa[N/㎡]을 얻을 수 있었다. 한편, 금 도금을 실시한 경우, 마찬가지로 하여 접착 강도=0.78Pa[N/㎡]을 얻을 수 있었다. 이에 의해, 크롬 도금을 실시함으로써, 금 도금을 실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약 2배의 접착 강도를 얻을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20)는 크롬 도금의 표면에 발생한 미소 크랙에 의해 접착제(60)에 대한 앵커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의해,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20)에서는 접착제(60)에 대한 접착 강도가 향상하므로, 접합부(L)를 오목부(22)에 확실히 고정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술의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부(22)의 횡단면 형상이 U자 형상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밑면이 평평하고 양단 모서리부가 반경 0.1㎜ 이상의 원호 형상(도 4(a))이나 횡단면 형상이 곡선만으로 구성되는 반원 형상(도 4(b))이나 원호 형상(도 4(c))이어도 된다. 즉, 오목부(22)의 횡단면 형상으로서는, 외부로부터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20)에 대해서 가해진 압력이 집중되는 모서리가 없는 형상이면 U자 형상과 똑같지 않아도 된다.
또,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20)의 외형 횡단면 형상은 육각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 형상 부재(50)에 내접하는 다각 형상이고, 또한 그 모든 각이 둔각이면 된다. 이와 같이 원통 형상 부재(50)와 접하는 각을 둔각으로 함으로써 예각의 경우와 비교하여 각부의 강도가 증가하므로, 낙하 등의 충격에 의해 이 각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내벽면(23)의 양단에 있어서의 모서리 따내기 부분의 크기는 광섬유의 형상 등에 따라 적당히 설정하면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20)에 이용하는 재료로서 세라믹이나 석영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압력에 대해서 소정의 강도를 갖는 것을 적당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광섬유 커플러 본체를 격납하여 보호하는 긴 홈의 횡단면 형상이 대략 U자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광섬유 커플러 유지 장치에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그 압력은 내벽면의 특정 부분에 압력이 집중하는 일 없이, 긴 홈의 내벽면 전체에 분산되기 때문에, 외부 압력에 의한 광섬유 커플러 유지 장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를 구성하는 기둥 형상 부재가 길이 방향을 따라 평탄면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그 외형 전체가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와 비교하여 기둥 형상 부재의 가공이 용이하고, 또한 평탄한 작업대 위에서 정지시킬 수가 있다. 이에 의해,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에서는 외력에 의해 파손하는 일 없이 보강 부재로서의 기능을 장기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져, 신뢰성이 향상함과 동시에, 가공성이 좋아,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 또, 광섬유 커플러 본체를 격납할 때의 작업성이 향상하여, 소요 공정수의 삭감이 가능해져, 이 보강 부재를 구비한 광섬유 커플러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기둥 형상 부재의 횡단면 형상이 원에 내접하는 다각 형상이므로,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를 원통형의 부재에 안정하고 또한 용이하게 격납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긴 홈의 양단의 모서리를 따서 둥그스름하게 되어, 그 부분의 날카로운 모서리가 제거되어 있으므로,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에서는 이 양단의 모서리에 접촉하는 광섬유의 손상을 방지할 수가 있어, 보강 부재로서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기둥 형상 부재가 슈퍼 인버재 혹은 인버재로 이루어지고, 팽창 계수가 광섬유 커플러와 동등하기 때문에, 온도 변화에 의한 광섬유 커플러의 특성 변화를 방지함과 동시에, 그 표면에 크롬 도금, 또는 주석 도금, 또는 니켈 도금이 실시되어 있기 때문에, 내식성이 향상하여 녹에 의한 광섬유 커플러의 특성 변화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기둥 형상 부재의 표면을 거칠게 함으로써, 그 표면에 있어서 접착제에 대한 앵커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의해,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에서는 접착제에 대한 접착 강도가 향상하여 접착제에 의해 광섬유를 보강 부재에 확실히 고정하여 보호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둥 형상 부재가 슈퍼 인버재 혹은 인버재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에 소정의 두께로 크롬 도금이 되어 있으므로,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를 견뢰하게 구성함과 동시에, 크롬 도금의 도금 두께에 따라서 그 표면에 미소 크랙(금)이 발생하여, 접착제에 대한 앵커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의해,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에서는 접착제에 대한 접착 강도가 향상하여 접착제에 의해 광섬유를 보강 부재에 확실히 고정하여 보호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광섬유 커플러가 상기 발명에 의한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다양한 용도로 이용할 수 있는 한편 저비용으로 신뢰성 높은 광섬유 커플러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광섬유 커플러가 2심인 경우에 대해 말했지만, 2심 이상의 다심 커플러의 보강 부재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도 같은 효과가 있어, 제작한 커플러의 신뢰성, 광학 특성 모두 충분한 성능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의한 광섬유 커플러의 외관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광섬유 커플러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광섬유 커플러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오목부(22)의 횡단면 형상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삭제
도 6은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20)의 외형 횡단면 형상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접착 강도의 측정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제1 종래기술에 의한 광섬유 커플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제2 종래기술에 의한 광섬유 커플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L : 접합부(광섬유 커플러 본체) 10 : 광섬유 커플러
20 :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 21 : 평탄면
22 : 오목부(긴 홈) 50 : 원통 형상 부재

Claims (8)

  1. 기둥 형상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긴 홈에 광섬유 커플러 본체를 격납하여 보호하는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로서,
    상기 긴 홈이 대략 U자 형상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면서 또한, 상기 기둥 형상 부재가 길이 방향을 따르는 평탄면을 구비하고,
    상기 기둥 형상 부재의 횡단면 형상이 원에 내접하는 다각 형상인,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 홈의 양단의 모서리를 따서 둥그스름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형상 부재가 슈퍼 인버재 또는 인버재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기둥 형상 부재의 표면에 소정의 두께로 크롬 도금, 또는 주석 도금, 또는 니켈 도금을 실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형상 부재의 표면 거칠기를 1∼100㎛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
  6. 제1항 또는 제3항의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커플러.
  7. 제4항의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커플러.
  8. 제5항의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커플러.
KR10-2003-0042537A 2002-06-27 2003-06-27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 및 광섬유 커플러 KR1005172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88592A JP2004029579A (ja) 2002-06-27 2002-06-27 光ファイバカプラ補強部材及び光ファイバカプラ
JPJP-P-2002-00188592 2002-06-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2781A KR20040002781A (ko) 2004-01-07
KR100517299B1 true KR100517299B1 (ko) 2005-09-27

Family

ID=31183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2537A KR100517299B1 (ko) 2002-06-27 2003-06-27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 및 광섬유 커플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42399B2 (ko)
JP (1) JP2004029579A (ko)
KR (1) KR100517299B1 (ko)
CN (2) CN1252502C (ko)
TW (1) TWI2414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08644B (zh) * 2008-11-19 2010-04-07 北京航天时代光电科技有限公司 高可靠光纤耦合器制备方法
FI125081B (fi) 2011-01-11 2015-05-29 Rofin Sinar Laser Gmbh Kotelo kuituoptiselle komponentille ja menetelmä sen valmistamiseksi
CN110989101A (zh) * 2019-12-10 2020-04-10 武汉光谷信息光电子创新中心有限公司 光波导器件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6209A (en) * 1981-05-28 1982-12-0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Reinforcing method for connection part of optical fiber core
JPH03267903A (ja) 1990-03-19 1991-11-28 Sumitomo Electric Ind Ltd フアイバ型カプラの補強方法
JPH04303806A (ja) 1991-04-01 1992-10-27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カプラの補強方法
JP3129785B2 (ja) * 1991-10-17 2001-01-3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カプラの補強構造
JPH05127040A (ja) * 1991-11-06 1993-05-25 Shin Etsu Chem Co Ltd フアイバ型光カプラの保持具
JPH06242342A (ja) 1993-02-15 1994-09-02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カプラ
JPH11287925A (ja) 1998-03-31 1999-10-19 Osaki Electric Co Ltd 光ファイバーデバイス保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77414A (zh) 2004-02-25
TW200409983A (en) 2004-06-16
KR20040002781A (ko) 2004-01-07
TWI241422B (en) 2005-10-11
CN1252502C (zh) 2006-04-19
US6942399B2 (en) 2005-09-13
CN2704857Y (zh) 2005-06-15
US20040071415A1 (en) 2004-04-15
JP2004029579A (ja) 200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8242A (en) Reinforcement for optical-fiber joint
BR9006303A (pt) Degelador especialmente adaptado para fixacao a superficie externa de uma peca estrutural metalica e nao metalica,e processo de descongelar a superficie externa de uma peca estrutural metalica e nao metalica
KR100517299B1 (ko) 광섬유 커플러 보강 부재 및 광섬유 커플러
KR20130090746A (ko) 유리판의 절단 방법
EP1003057A2 (en) Optical fiber support
EP0168404B1 (en) Fiber optic structure and method for making
JP4192087B2 (ja) 光レセプタクル及びこれを用いた光モジュール
US20090144964A1 (en) Method for Producing a Coupling Line
JP7131411B2 (ja) ケーブル整列治具及びケーブル整列方法
JP4164022B2 (ja) 光レセプタクル及びこれを用いた光モジュール
JP3811411B2 (ja) 光レセプタクル及びこれを用いた光モジュール
JP4051315B2 (ja) 光レセプタクル及びこれを用いた光モジュール
JPH01155305A (ja) 光コネクタ用ガイドピン
US20210181438A1 (en) Optical fiber connection component
CN210323467U (zh) 一种光纤阵列排布的装置
CN218710010U (zh) 一种柔性玻璃强化装载治具
JP3301893B2 (ja) 光コネクタ
JP5771170B2 (ja) 光ファイバ接続部材
CN220203734U (zh) 一种门窗拼樘用铝材拼接件
WO1985002025A1 (en) Optical fiber connectors
US20210181431A1 (en) Optical connecting component
JP2002139653A (ja) 光ファイバ整列体
JP2005241911A (ja) 光ファイバ及びその製造方法
JP4072069B2 (ja) 光レセプタクル及びこれを用いた光モジュール
JP2002350693A (ja) 光レセプタクルとこれを用いた光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