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7056B1 - 하이드록실 페닐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하이드록실 페닐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7056B1
KR100517056B1 KR10-2002-0020481A KR20020020481A KR100517056B1 KR 100517056 B1 KR100517056 B1 KR 100517056B1 KR 20020020481 A KR20020020481 A KR 20020020481A KR 100517056 B1 KR100517056 B1 KR 100517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enyl
dihydroxy
aromatic
trans
propion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0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2006A (ko
Inventor
원종화
이건형
박시형
김성주
윤수영
강미애
허윤경
윤지희
강선희
임상현
윤영대
박두홍
오재택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목암생명공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목암생명공학연구소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목암생명공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02-0020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7056B1/ko
Priority to US10/411,772 priority patent/US20040082664A1/en
Priority to PCT/KR2003/000751 priority patent/WO2003089405A1/en
Priority to CNA038083434A priority patent/CN1646480A/zh
Priority to AU2003221144A priority patent/AU2003221144A1/en
Priority to JP2003586126A priority patent/JP2005522523A/ja
Priority to EP03715837A priority patent/EP1499585A1/en
Publication of KR20030082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2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7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70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27/00Thiocarboxylic acids
    • C07C327/38Amides of thiocarboxylic acids
    • C07C327/40Amides of thiocarboxylic acids having carbon atoms of thio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327/44Amides of thiocarboxylic acids having carbon atoms of thio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to carbon atoms of an unsaturated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0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33/45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carboxyl groups
    • C07C233/46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carboxyl group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n acyclic carbon atom
    • C07C233/5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carboxyl group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n acyclic carbon atom having the carbo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of a carbon skeleton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0Lax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8Antiseborrhe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61P2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for myasthenia gra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0Antimyc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29/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9/0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9/34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229/36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with at least one amino group and one carboxyl group bound to the same carbon atom of the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5/00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oxygen atoms
    • C07C235/02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oxygen atom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35/32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oxygen atom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235/34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oxygen atom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having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5/00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5/04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nitrogen atoms of urea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75/20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nitrogen atoms of urea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unsaturated carbon skeleton
    • C07C275/24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nitrogen atoms of urea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unsaturated carbon skeleton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66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esterified carboxylic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hav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acyloxy, groups, groups, or in the acid moiety
    • C07C69/73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esterified carboxylic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hav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acyloxy, groups, groups, or in the acid moiety of unsaturated acids
    • C07C69/732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esterified carboxylic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hav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acyloxy, groups, groups, or in the acid moiety of unsaturated acids of unsaturated hydroxy carboxylic 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Neurosurgery (AREA)
  • Onc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Transplant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T 임파구 세포 키나아제 (lymphocyte cell kinase, lck)의 SH2 (src homology region 2) 도메인을 통한 T 임파구의 활성을 억제하여 면역억제제로서 장기 또는 조직의 이식 시 일어나는 거부반응, 자가면역질환, 염증성 질환 등의 치료, 진단 또는 예방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R1, R2, R3, R4, R5, R6, R7 , R8, R9, R10, X1, X2, X3, Y 1, Y2, B 및 *는 명세서 내에 기재된 바와 같다.)

Description

하이드록실 페닐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Derivatives of hydroxyphenyl, a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and their pharmaceutical composition}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R3, R4 및 R5는 서로 독립적이고, 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하이드록시기이며, 나머지는 수소; 할로겐 원자; C1∼C3의 알콕시기; 알데히드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트리플루오르메틸기; 및 니트로기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고;
R6, R7, R8, R9 및 R10은 서로 독립적이고, 이 중 적어도 두개 이상이 하이드록시기이며, 나머지는 수소; 할로겐 원자; C1∼C3의 알콕시기; 알데히드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트리플루오르메틸기; 및 니트로기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고;
X1은 O; S; -NH; -N(CH3)-; -N(CH2CH3)-; 또는 -NHNH- 이고;
X2는 -CH2-; -C(=O)-; -C(=S)-; 또는 -C(=O)-NH- 이고;
X3; ; 및 -(CH2)m-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고; 이때, A1은 수소; C1∼C4의 직쇄 또는 측쇄상의 알킬기; 티올기; 페닐기; 시아노기; 또는 C1∼C3의 알콕시카보닐기이고, A2는 수소; 또는 C1∼C4 의 직쇄 또는 측쇄상의 알킬기이고, n은 0, 1 또는 2이고, m은 0, 1 또는 2 이다;
Y1은 수소; -CH2-Y2; -C(=O)-Y2; -C(=S)-Y2; C1 ∼C4의 직쇄 또는 측쇄상의 알킬기 또는 아릴기로 치환된 아민; ; 및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며;
Y2는 -NZ11Z12; -O-Z2; 또는 -S-Z2이고;
상기 Z11 또는 Z12은 서로 독립적이고, 수소; t-부톡시카보닐기로 치환된 또는 치환되지 않은 아민; C1∼C12의 직쇄 또는 측쇄상의 알킬기; 아릴기; 사이클로알킬기 ; 또는 헤테로알킬기이고;
Z2는 수소; C1∼C12의 직쇄 또는 측쇄상의 알킬기; 아릴기;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헤테로알킬기이고;
B는 수소 또는 알킬기이고;
*는 비대칭 탄소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R 또는 S의 광학 이성질체이며, 본 발명은 이들 광학 이성질체와 라세믹 혼합물을 모두 포함한다.
면역억제제는 장기거부반응 및 자가면역질환의 치료에 널리 이용된다. 면역반응 시에는 T 임파구, B 임파구 및 다형핵 세포 (polymorphonuclear cell) 등을 포함한 백혈구의 수가 급증한다. 대부분의 면역억제제들은 이점에 착안하여 만들어진 것으로서 세포의 대사활동을 저해함으로써 면역세포의 분열 및 활성화에 따른 면역반응을 억제하는데 일반적으로 면역 억제제는 대사억제제와 시이토카인 (cytokine)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스테로이드 계통으로 나뉜다 (윤영식. 대한신장학회지 제13권 부록 8호:S66-S85, 1994; N. Perico and G. Remuzzi. Drugs 54(4):533-570, 1997). DNA 및 RNA 합성을 억제하는 면역억제제로는 아자티오프린 (azathioprine), 미코페놀린산(mycophenolic acid), 브레퀴나 (brequinar), 디옥시스퍼구알린 (deoxyspergualin) 등이 있으며 스테로이드 계통으로는 코티코스테로이드 (corticosteroid), 프레드니손 (prednisone)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면역억제제들은 특정 세포에 대한 선별력이 없으므로 면역시스템의 세포 외에도 다른 세포의 대사활동도 억제할 수 있고 따라서 왕성한 분열이 필요한 혈구의 생성 및 분화에 손상을 주는 등, 심장, 간, 신장의 기능 악화 등의 부작용을 수반한다. 1980년대 이후에 발견된 시클로스포린 A (cyclosporin A) 및 FK506, 라파마이신(rapamycin) 등은 T 임파구 수용체 및 IL-2 수용체를 통한 활성화 신호전달을 차단함으로써 T 임파구의 기능을 억제한다. 시클로스포린 A와 FK506은 T 임파구 수용체 신호전달 하부에서 칼시누린 (calcineurin)의 탈인산화 기능을 억제함으로써 전사활성인자인 NF-AT의 핵으로의 이동과 이에 따른 IL-2의 발현을 억제한다 (C.T. Walsh et al. J. Biol. Chem., 267:13115, 1992; S. L. Schreiber and G.R. Crabtree. Immunol. Today. 13:136, 1992). 라파마이신은 T 임파구 수용체 신호전달에 의한 IL-2 발현은 억제하지 않으나 IL-2 수용체를 통한 신호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mTor에 결합하여 신호전달을 차단함으로써 T 임파구의 G1에서 S 기 (S phase)로의 진입을 억제한다. 시클로스포린 A (cyclosporin A) 및 FK506, 라파마이신 (rapamycin) 등은 T 임파구의 활성과정에 필요한 신호전달을 차단한다는 점에서 대사억제제 보다는 부작용이 훨씬 적지만 이들이 작용하는 대상물질이 역시 다른 세포에도 있어 장기 복용 시 각종 심장, 신장, 간 및 위장 질환 등을 피할 수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현재 동종이식 거부반응의 조절에 사용되는 면역억제제로는 시클로스포린 A (cyclosporine A), 아자싸이오프린 (azathioprine), 프레드니손 (prednisone) 또는 메틸프레드니손 (methylprednison)과 같은 코르티코스테로이드 (corticosteroids) 및 시클로포스파미드 (cyclophosphamide) 등이 있다. 이중에서 시클로스포린 A는 가장 강력하고 흔히 사용되는 면역억제제로서 장기이식 외과의술 분야에 혁신을 가져왔으며, FK506, 라파마이신 (rapamycin), 마이코페놀산 (mycophenolic acid), 15-디옥시스퍼구알린 (15-deoxyspergualin), 미조리빈 (mizoribine), 미소프로스톨 (misoprostol), OKT3, 인터루킨-2 (interleukin-2, 이하 "IL-2"라 약칭함) 수용체에 대한 항체 등 기타 면역억제제들도 장기이식 거부반응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되어 왔다 (Briggs, Immunology letters Jul. 29(1-2): 89-94, 1991; FASEB 3:3411, 1989).
자가면역질환의 일종인 관절염 치료제는 위에서 언급한 보편적인 면역억제제외에도 비스테로이드계 (non-steroidal anti-inflammatroy drugs; NSAID) 및 병 변형관절염 치료제 (disease modifying anti-rhuematic drugs; DMARD) 등을 포함한다 (J.P. Case, Am. J. Ther., 8:123-143; 163-179, 2001). 비스테로이드계 관절염 치료제는 염증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크로옥시쥐나아제 (cyclooxygenase; COX)의 기능을 억제함으써 관절염을 진정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나 근본적인 관절염 원인을 막지는 못하므로 궁극적으로는 관절염 치료제와 함께 사용되어야하며 관절염 발병 초기에 관절염의 악화를 막고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궁극적인 관절염의 치료는 DMARD 계통의 약을 사용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세포대사억제제 및 TNF-α의 작용을 억제하기 위한 항 TNF-α 항체 및 수용성 TNF-α 수용체 등이 포함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관절염 치료제로는 스테로이드, NSAID 계통의 이부프로펜 (ibuprofen), 디클로페낙 (diclofenac), 케토프로펜 (ketoprofen), 나프로젠 (naproxen), 또한 NSAID 계통에서도 염증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COX-2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셀레코시프 (celecoxib), 레페코시프 (refecoxib), T 임파구 신호전달억제제인 시클로스포린, 대사억제제인 메토트레세이트 (methotrexate), 레플루노마이드 (leflunomide), 아자티오프린 (azathioprine), 싸이클로포스파마이드 (cyclophosphamide) 및 TNF-α 작용 저해 항체인 엔탄셉트 (etanercept), 인플리사마브 (infliximab) 등이 통용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면역억제제의 궁극적인 작용 세포는 백혈구로써 그 작용기작이 대사의 억제인지 신호정보전달의 억제인지에 따라 대상 물질 및 세포의 폭이 달라짐으로써 부작용의 수반 가능성이 달라진다. 따라서 면역 반응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T 임파구에만 선택적으로 있는 물질을 통하여 T 임파구의 활성을 억제한다면 부작용이 최소화될 수 있다. 면역세포인 T 세포의 활성은 T 세포 수용체 (T cell receptor, 이하 "TCR"로 약칭함)가 매개하는 신호전달과정에 의해 개시되는데, T 임파구 세포 키나아제 (lymphocyte cell kinase, 이하 "lck"라 약칭함)는 T 세포에 특이적인 Src계 타이로신 키나아제로서 TCR이 매개하는 신호전달과 T 세포의 활성화, 증식 및 분화에 있어 핵심적 역할을 한다 (Xu and Littman, Cell 74: 633-643, 1993; ). 이와같은 lck의 필수적 역할이 수행되기 위해서는, lck의 키나아제 활성을 가지는 도메인 (domain) 뿐 아니라 lck에 존재하는 SH2 또는 SH3 도메인을 통한 신호전달 하류 단백질과의 상호작용이 매우 중요하다. 이는 스트라우스 등에 의하여 Lck의 SH2 도메인을 변형시켜 포스포티로신 (phosphotyrosine)을 인지 못하게 하였을 때, T 임파구의 활성화 과정이 억제되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증명되었다. 즉, Lck SH2 도메인의 기능 억제 시 T 임파구 수용체 (T cell receptor) 자극에 의한 ξchain 및 ZAP70의 인산화 및 세포 내 Ca++의 이동, IL-2 promoter의 활성이 모두 억제되었다 (Straus et al., J. Biol. Chem., 271: 9976-9981, 1996; Lewis et al., J. Immunol., 159: 2292-2300, 1997). 따라서 lck의 SH2 도메인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백질과의 상호작용을 저해함으로써 면역세포인 T 세포 활성을 선택적으로 저해할 수 있고, Lck SH2를 통한 신호전달 억제제들은 T 임파구의 무절제한 과다반응에 의하여 일어나는 각종 질환의 치료에 응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 임파구 세포 키나아제 (lymphocyte cell kinase, lck)에 존재하는 SH2 도메인의 활성억제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억제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가면역질환에 의한 관절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R3, R4 및 R5는 서로 독립적이고, 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하이드록시기이며, 나머지는 수소; 할로겐 원자; C1∼C3의 알콕시기; 알데히드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트리플루오르메틸기; 및 니트로기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고;
R6, R7, R8, R9 및 R10은 서로 독립적이고, 이 중 적어도 두개 이상이 하이드록시기이며, 나머지는 수소; 할로겐 원자; C1∼C3의 알콕시기; 알데히드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트리플루오르메틸기; 및 니트로기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고;
X1은 O; S; -NH; -N(CH3)-; -N(CH2CH3)-; 또는 -NHNH- 이고;
X2는 -CH2-; -C(=O)-; -C(=S)-; 또는 -C(=O)-NH- 이고;
X3; ; 및 -(CH2)m-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고; 이때, A1은 수소; C1∼C4의 직쇄 또는 측쇄상의 알킬기; 티올기; 페닐기; 시아노기; 또는 C1∼C3의 알콕시카보닐기이고, A2는 수소; 또는 C1∼C 4의 직쇄 또는 측쇄상의 알킬기이고, n은 0, 1 또는 2이고, m은 0, 1 또는 2이다;
Y1은 수소; -CH2-; -C(=O)-; -C(=S)-; C1∼C4의 직쇄 또는 측쇄상의 알킬기 또는 아릴기로 치환된 아민; ; 및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며;
Y2는 부재하거나; -NZ11Z12; -O-Z2; 또는 -S-Z2이고;
상기 Z11 또는 Z12은 서로 독립적이고, 수소; t-부톡시카보닐기로 치환된 또는 치환되지 않은 아민; C1∼C12의 직쇄 또는 측쇄상의 알킬기; 아릴기; 사이클로알킬기 ; 또는 헤테로알킬기이고;
Z2는 수소; C1∼C12의 직쇄 또는 측쇄상의 알킬기; 아릴기;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헤테로알킬기이고;
B는 수소 또는 알킬기이고;
*는 비대칭 탄소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R 또는 S의 광학 이성질체이며, 본 발명은 이들 광학 이성질체와 라세믹 혼합물을 모두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는 R2, R3, R8 및 R9가 하이드록시이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R1, R4 및 R5 가 수소이고; R2 및 R3 가 하이드록시이고; R6, R7 및 R10이 수소이고; R8 및 R9가 하이드록시이고; X1이 O; S; -NH; 또는 -N(CH3)-이고; X2가 -CH2-; -C(=O)-; 또는 -C(=S)-이고; X3가 -CH=CH-이고; Y1은 부재하거나 O이고; Y2는 C1∼C4의 알콕시;-NH2 또는 하이드록시이고; B는 O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은:
1) 3-(3,4-디하이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2) 3-(3,4-디하이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3) 3-(3,4-디하이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4) 3-(3,4-디하이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프로필 에스테르;
5) 3-(3,4-디하이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
6) 3-(3,4-디하이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tert-부틸 에스테르;
7) 3-(3,4-디하이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아마이드;
8) 3-(3,4-디하이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9) 3-(3,4-디하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10) 3-(3,4-디하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11) 3-(3,4-디하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프로필 에스테르;
12) 3-(3,4-디하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
13) 3-(3,4-디하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tert-부틸 에스테르;
14) 3-(3,4-디하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아마이드;
15) 3-(3,4-디하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티오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16) 3-(3,4-디하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티오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17) 3-(3,4-디하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티오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18) 3-(3,4-디하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티오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프로필 에스테르;
19) 3-(3,4-디하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티오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
20) 3-(3,4-디하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티오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tert-부틸 에스테르;
21) 3-(3,4-디하이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티오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아마이드;
22) 3-(3,4-디하이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티오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23) 3-(3,4-디하이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티오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24) 3-(3,4-디하이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티오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25) 3-(3,4-디하이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티오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프로필 에스테르;
26) 3-(3,4-디하이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티오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
27) 3-(3,4-디하이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티오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tert-부틸 에스테르;
28) 3-(3,4-디하이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티오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아마이드;
29) 3-(3,4-디하이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30) 3-(3,4-디하이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31) 3-(3,4-디하이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32) 3-(3,4-디하이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프로필 에스테르;
33) 3-(3,4-디하이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
34) 3-(3,4-디하이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tert-부틸 에스테르;
35) 3-(3,4-디하이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메틸-아미노]-프로피온아마이드;
36) 3-(3,4-디하이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37) 3-(3,4-디하이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38) 3-(3,4-디하이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39) 3-(3,4-디하이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프로필 에스테르;
40) 3-(3,4-디하이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
41) 3-(3,4-디하이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tert-부틸 에스테르;
42) 3-(3,4-디하이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메틸-아미노]-프로피온아마이드;
43) 3-(3,4-디하이드록시-페닐)-N-[2-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에틸] -아크릴아마이드;
44) 3-(3,4-디하이드록시-페닐)-N-[2-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에틸]-N-메틸-아크릴아마이드;
45) (R)-2-[트랜스-3-(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3-(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46) (R)-2-[트랜스-3-(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3-(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
47) (S)-2-[트랜스-3-(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3-(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48) (S)-2-[트랜스-3-(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3-(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
49) (S)-2-[3-(3,4-디하이드록시-벤질)-유레이도]-3-(3,4-디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50) 3-(3,4-디하이드록시-페닐)-2-[2-(3,4-디하이드록시-페닐)-아세틸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51) 2-(3,4-디하이드록시-벤조일아미노)-3-(3,4-디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52) 3-(3,4-디하이드록시-페닐)-2-[3-(3,4-디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및
53) 3-(3,4-디하이드록시-페닐)-2-[3-(3,4-디하이드록시-페닐)-아릴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도체의 화학 구조와 그 활성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lck의 SH2 도메인과 상기 도메인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펩티드 간의 결합 억제효과를 알아본 결과, 상기 유도체의 양 페닐 고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적어도 두 개의 하이드록시기가 필요하며, X1, X2 및 X3들이 서로 평면을 이룰수록 더욱 우수한 활성을 보인다 (표 1 참조). 또한 X1과 X2가 아마이드기, 티오아마이드기 또는 에스테르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그 활성도가 서로 유사하였으며, X3가 이중결합을 갖고 있을 때 lck의 SH2 도메인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신호전달 하류단백질과의 상호작용을 강하게 저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Y1과 Y2가 결합하여 아마이드기가 되는 경우에는 카르복시 말단기를 가지는 경우보다 시험관내 활성실험에서 좀 더 우수한 면역활성을 나타내고 메틸 에스테르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기, n-프로필 에스테르, tert-부틸 에스테르, 에틸 에스테르기를 형성하는 경우 그 활성이 카르복시 말단기를 가지는 경우보다 더욱 우수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도체는 카르복시 말단기의 변화는 lck의 SH2 도메인과의 결합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대신 소수성의 증가로 인하여 시험관내 세포에 대한 활성도를 증가시켜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Y1과 Y2가 카르복실기를 갖지 않을 경우, 즉 제거되는 경우 비교적 면역억제 활성이 많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X1 및 X2가 아마이드기를 형성하는 경우 광학이성질체의 R 형태가 S 형태에 비하여 펩티드 간의 결합 억제능력이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이외의 화합물에서는 거의 동등한 수치를 나타내 광학 이성질체가 IL-2 프로모터에는 그다지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합물은 콜라겐 (collagen)과 완전 프로인트 보조체 (complete Freunds adjuvant) 혼합물 투여에 의한 DBA 마우스에서의 관절염 발병을 억제 또는 경감시켰다. 실시예의 화합물은 관절이 부어오르기 시작할 무렵부터 투여하였으므로 관절염 예방 및 치료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 (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을 형성할 수 있다.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브롬산, 황산, 인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구연산 (citric acid), 초산, 젖산, 주석산 (tartaric acid), 말레인산, 푸마르산 (fumaric acid), 포름산, 프로피온산 (propionic acid), 옥살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벤조산, 글루콘산, 메탄술폰산, 글리콜산, 숙신산, 4-톨루엔술폰산, 갈룩투론산, 엠본산, 글루탐산 또는 아스파르트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최종 생성물의 구조식 중 Y1과 Y2가 결합하여 아마이드가 되는 경우, 아민 화합물과 카르복실 화합물을 축합 반응시켜 분자구조내 아마이드 결합을 포함하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따르면, 아마이드 결합을 포함하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3의 카르복실기 화합물을 커플링 시약 (coupling reagent)과 염기 존재 하에 화학식 2의 아민 화합물과 축합반응시켜 분자구조내 아마이드 결합을 포함하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상기식에서, R1, R2, R3, R4, R5, R6, R7, R8, R9, R10, X3, Y1, Y2, B 및 *는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커플링 시약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피롤리딘 포스포니윰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benzotriazole-1-yl-oxytripyrollidine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PyBOP) 및 브로모-1-트리피롤리딘 포스포니윰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bromo-1-tripyrrolidine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PyBroP)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하며 본 발명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염기로는 파라-디메틸아미노피리딘 (p-dimethylaminopyridine, DMAP), 트리에틸아민 (triethylamine, TEA) 또는 디이소에틸아민(diisopropylamine) 등을 촉매량 사용하며 상기 축합 반응을 촉진시킨다.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은 디하이드록실알라닌 (dihydroxylphenylalanine), 타이로신(tyrosine), 도파민 (dopamine) 등으로부터 공지의 방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작용기를 변환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합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아마이드 생성반응 등을 통해 화학식 2의 카르복실 화합물을 변환시킨 후 반응식 1에서 제시한 제조방법과 동일한 반응으로 화학식 3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티오(C=S) 결합을 포함하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은 : 화학식 3의 화합물의 카르복실기 및 히드록시기를 보호기로 보호하고, 로웬슨 시약 (Lawensson's reagent)을 사용하여 카보닐기를 C=S 기로 변환시키고, 이어서 보호기를 제거하여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로웬슨 시약은 카보닐기를 티오기로 변환시키는데 사용하는 통상적인 화합물로서 2,4-비스(4-메톡시페닐)-1,3-디티아-2,4-디포스페테인-2,4-디설파이드-로 표시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lck SH2 도메인과 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펩티드 간의 시험관내 결합을 저해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lck의 SH2 도메인을 선택적으로 저해하고 하나 이상의 SH2 도메인과 그 자연적 리간드를 포함하는 단백질들의 신호전달 복합체의 형성을 막거나 불안정하게 하므로, 상기 신호전달 복합체가 매개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은 Src계 단백질 타이로신 키나아제의 SH2 도메인이 매개하는 세포 기능을 저해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Src계의 단백질 타이로신 키나아제는 Src, Fyn, Yes, Lyn 및 Blk를 포함한다.
또한, 이식거부 반응 뿐 아니라 자가 면역질환과 같은 T 세포가 매개하는 면역병리 현상에 있어서도 T 세포 활성화와 그 작용기능을 저해함으로써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항원특이적 T 세포 활성화는 TCR이 매개하는 신호전달과정에 의해 개시되는데, 상기 신호전달과정에는 여러가지 타이로신 키나아제 또는 인산화단백질이 관련되어 있다. 활성화된 T 세포가 세포증식으로 이어지는 과정은 IL-2와 IL-2 수용체의 상호작용에 의해 조절된다.
본 발명에서는 IL-2 유전자 발현 수준에 관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IL-2 프로모터 분석 (IL-2 promote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우수한 면역억제제는 IL-2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기 위해 lck의 SH2 도메인에 강한 결합을 하고 세포막을 잘 투과해야 하며 안정해야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lck-SH2 도메인의 결합도 및 IL-2 유전자 발현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화합물은 세포막을 투과하여 lck-SH2 도메인에 강한 결합을 하여 IL-2 유전자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T 세포 증식을 억제하여 T 세포가 매개하는 병리현상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 및 2 참조).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IL-2 유전자 발현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이식 피부의 생존시간을 측정하는 생체 내 표준 약리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본 발명의 화합물로 처리한 실험군에서 거부반응이 대조군에 비해 훨씬 낮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참조).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자가면역질환에 따른 관절염의 치료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마우스를 이용한 관절염 지수를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화합물로 처리한 실험군이 공지의 메소트렉사이트와 동등 이상의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참조)
상기 결과를 종합해보면,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장기이식, 예를 들면 심장, 신장, 허파, 간, 피부, 골수 등이나 조직이식으로 생기는 이식거부 증상, 만성이식 거부반응을 억제하는데 유용하다. 상기 T 세포가 매개하는 병리현상으로는 GVHD, 홍반성 루프스 (lupus erythematous), 전신성 홍반 (systemic erythematosus), 류마티스 성 관절염, 당뇨병, 중증 근무력증 (myasthenia gravis), 다발성 경화증 (multiple sclerosis), 건선과 같은 자가면역 질환; 피부염, 습진, 지루, 염증성 장 질환 같은 염증성 질환; 및 진균 감염 등의 치료, 진단 또는 예방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를 조합하여 조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는 아스피린, 이부프로펜 (ibuprofen), 나프록센 (naproxen), 인도메타신 (indomethacin), 디클로페낙 (diclofenac), 설린닥 (sulindac), 피록시캄 (piroxicam), 에토돌락 (etodolac), 케토프로펜 (ketoprofen), 메클로페나메이트 (meclofenamate), 수프로펜 (suprofen) 및 톨메틴 (tolmetin)을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며, 포유류의 기관이식 거부반응, GVHD, 건선, 자가면역 질환 및 만성 염증 질환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기 위해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상기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가 조합되어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임상투여시에 경구, 정맥, 피하 (subcutaneous), 코내 (intranasal), 기관지내 (intrabronchial), 직장 (rectal)에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화합물은 실제 임상투여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서당 또는 락토오스 (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근육주사로 투여될 경우 유효량은 0.05∼200 mg/kg/day이고, 경구투여시 유효량은 0.5∼500 mg/kg/day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3-(3,4-디하이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 -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의 제조
(단계 1) 3,4-디하이드록실페닐-D-알라닌 메틸 에스테르의 제조
메탄올 (40 ml)에 D-DOPA (D-3,4-Dihydroxyphenylalanine, 2.0 g, 10.14 mmole, 1 당량)을 첨가한 용액에 티오닐 클로라이드 (7.4 ml, 101.4 mmole, 10 당량)를 0℃에서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은 질소기류 하에 18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과량의 메탄올과 티오닐 클로라이드를 감압증류하였다. 잔사는 메탄올과 에틸아세테이트로 재결정하여 DOPA 메틸 에스테르를 93% 얻었다.
TLC (클로로포름 : 아세톤 : 메탄올 : 물 = 8 : 8 : 3 : 1) Rf=0.49
(단계 2) 3-(3,4-디하이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DOPA 메틸 에스테르 (2.0 g, 8.07 mmole, 1 당량)를 DMF (N,N-dimethylformamide, 10 ml)에 녹이고 반응 혼합물에 카페인산 (caffeic acid, 1.45 g, 8.07 mmole, 1 당량)을 첨가한 다음 염화메틸렌 (20 ml)으로 희석하였다. 0℃에서 상기 반응 혼합물에 PyBOP (4.2 g, 8.07 mmole, 1당량)과 트리에틸아민 (3.4 ml, 24.21 mmole, 3 당량)을 가한 다음 질소기류하에 18시간동안 교반하였다. 과량의 염화메틸렌은 감압농축하고 에틸아세테이트 (10 ml)로 희석한 후 1 N의 HCl 수용액 (3×10 ml), 10% NaHCO3 (1×10 ml), 증류수 (1×10 ml), 소금물 (1×10 ml)로 세척하였다. 세척한 유기용매는 무수 황산마그네슘로 건조한 다음 걸러낸 후 감압농축하였다. 생성물은 플래쉬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 (flash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로 분리하여 80%의 목적화합물을 얻었다. (정상 용리액, n-헥산 : 에틸아세테이트: 메탄올 = 4 : 5 : 1)
TLC (n-헥산 : 에틸아세테이트 : 메탄올 = 4 : 5 : 1) 생성물 Rf=0.40, 부생성물 Rf=0.23과 0.14
M/z 374 (M +H), 396 (M+Na)
1H NMR (DMSO-d6) δ8.62, 8.67, 9.07, 9.31 (4H, br, -OH),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3.80 (3H, s, CH3)
<실시예 2>
3-(3,4-디하이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의 제조
실시예 1에서 합성된 3-(3,4-디하이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70 mg을 아세톤과 물 (4 : 25, v/v) 혼합액 50 ml에 녹인 후 HCl 용액 8 ml을 넣은 후 기름중탕에서 하루동안 가열환류한 후 아세톤을 감압증류하고 에틸아세테이트를 첨가한 다음 추출하여 목적화합물을 얻었다. 전체 수율 54%
TLC (n-헥산 : 에틸아세테이트 : 메탄올 = 4 : 5 : 1) 생성물 Rf=0.28.
M/z 360.1 (M+H)
1H NMR (DMSO-d6) δ8.62, 8.67, 9.07, 9.31 (4H, br, -OH),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실시예 3>
3-(3,4-디하이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1 단계에서 반응용매로 에탄올을 사용하여 D-DOPA 에틸 에스테르를 합성한 후 이를 출발물질로 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M/z 388.8 (M+H)
1H NMR (DMSO-d6) δ8.62, 8.67, 9.07, 9.31 (4H, br, -OH),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4.12 (2H, q, J= 10.1, CH2) 1.30 (3H, t, J= 10.1, CH3 )
<실시예 4>
3-(3,4-디하이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프로필에스테르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반응용매로 n-프로필알콜을 사용하여 합성한 D-DOPA 프로필에스테르를 출발물질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M/z 402.15 (M+H)
1H NMR (DMSO-d6) δ8.62, 8.67, 9.07, 9.31 (4H, br, -OH),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4.08 (2H, t, J= 10.1 Hz, CH2) 1.61 (2H, d, J= 10.1, 4.90 Hz, CH2 ) 0.96 (3H, t, J= 10.1, 4.90 Hz, CH3 )
<실시예 5>
3-(3,4-디하이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이소프로필에스테르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반응용매로 이소프로필알콜을 사용하여 합성한 D-DOPA 이소프로필에스테르를 출발물질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M/z 402.15 (M+H)
1H NMR (DMSO-d6) δ8.62, 8.67, 9.07, 9.31 (4H, br, -OH),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4.31 (1H, br, CH) 1.35 (3H,s, CH3) 1.35 (3H, s, CH3 )
<실시예 6>
3-(3,4-디하이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tert- 부틸 에스테르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의 목적 화합물을 출발 물질로 하여 상기 물질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매하에서 녹인 후 툴루엔설포닉산을 넣은 후 아이소부틸렌 가스를 드라이아이스로 응축 용액화 시켜 반응시켰다. 얻어진 생성물을 prep용 역상 칼람을 장착한 HPLC을 이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M/z 416.15 (M+H)
1H NMR (DMSO-d6) δ8.62, 8.67, 9.07, 9.31 (4H, br, -OH),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1.40 (3H, s, CH3) 1.40 (3H, s, CH3 )1.40 (3H, s, CH3 )
<실시예 7>
N-[카바모일-2-(3,4-디하이드록시-페닐)-에틸]-(R)-2-[3-트랜스- (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아마이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합성된 목적 화합물 200 mg을 암모니아 가스로 충진된 염화메틸렌에 녹인 후 하루동안 교반시켰다. 과량의 용매는 감압 증류하여 제거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30 ml)에 녹이고 1 N의 HCl 수용액 (3×10 ml), 10% NaHCO3 (1×10 ml), 증류수 (1×10 ml), 소금물 (1×10 ml)로 세척하였다. 세척한 유기용매는 무수 황산마그네슘로 건조한 다음 걸러내고 감압농축하였다. 생성물은 플래쉬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80%의 목적화합물을 얻었다. (정상 용리액, n-헥산 : 에틸아세테이트 : 메탄올 = 3 : 5 : 1)
TLC (n-헥산 : 에틸아세테이트 : 메탄올 = 4 : 5 : 1) 생성물 Rf=0.30,
M/z 359.15 (M+H)
1H NMR (DMSO-d6) δ8.62, 8.67, 9.07, 9.31 (4H, br, -OH),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실시예 8>
3-(3,4-디하이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의 제조
출발물질을 D-DOPA 대신 L-DOPA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을 제조하였다.
TLC (n-헥산 : 에틸아세테이트 : 메탄올 = 4 : 5 : 1) 생성물 Rf=0.40
M/z 374 (M+H), 396 (M+Na);
1H NMR (DMSO-d6) δ 8.62, 8.67, 9.07, 9.31 (4H, br, -OH),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3.80 (3H, s, CH3)
<실시예 9>
3-(3,4-디하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 -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의 제조
실시예 8에서 합성된 3-(3,4-디하이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를 출발물질로 하여 실시예 2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을 얻었다.
TLC (n-헥산 : 에틸아세테이트 : 메탄올 = 4 : 5 : 1) 생성물 Rf=0.28
M/z 360.1 (M+H)
1H NMR (DMSO-d6) δ8.62, 8.67, 9.07, 9.31 (4H, br, -OH),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실시예 10>
3-(3,4-디하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제시한 방법에서 반응용매로 에탄올을 사용하고 출발물질로 L-DOPA를 출발물질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M/z 388.8 (M+H)
1H NMR (DMSO-d6) δ8.62, 8.67, 9.07, 9.31 (4H, br, -OH),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4.12 (2H, q, J= 10.1, CH2) 1.30 (3H, t, J= 10.1, CH3)
<실시예 11>
3-(3,4-디하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프로필에스테르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반응용매로 n-프로필알콜을 사용하고 출발물질로 L-DOPA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M/z 402.15 (M+H)
1H NMR (DMSO-d6) δ8.62, 8.67, 9.07, 9.31 (4H, br, -OH),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4.08 (2H, t, J= 10.1 Hz, CH2) 1.61 (2H, d, J= 10.1, 4.90 Hz, CH2 ) 0.96 (3H, t, J= 10.1, 4.90 Hz, CH3 )
<실시예 12>
3-(3,4-디하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이소프로필에스테르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반응용매로 이소프로필알콜을 사용하고 L-DOPA를 출발물질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M/z 402.15 (M+H)
1H NMR (DMSO-d6) δ8.62, 8.67, 9.07, 9.31 (4H, br, -OH),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4.31 (1H, br, CH) 1.35 (3H,s, CH3) 1.35 (3H, s, CH3 )
<실시예 13>
3-(3,4-디하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tert -부틸 에스테르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S) 입체성을 가진 목적 화합물을 출발 물질로 하여 상기 물질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매하에서 녹인 후 툴루엔설포닉산을 넣은 후 아이소부틸렌 가스를 드라이아이스로 응축 용액화 시켜 반응시켰다. 얻어진 생성물을 prep용 역상 칼람을 장착한 HPLC을 이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M/z 416.15 (M+H)
1H NMR (DMSO-d6) δ8.62, 8.67, 9.07, 9.31 (4H, br, -OH),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1.40 (3H, s, CH3) 1.40 (3H, s, CH3 )1.40 (3H, s, CH3 )
<실시예 14>
N-[카바모일-2-(3,4-디하이드록시-페닐)-에틸]-(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아마이드의 제조
실시예 8에서 합성된 목적 화합물 200 mg을 암모니아 가스로 충진된 염화메틸렌에 녹이고 하루동안 교반시켰다. 과량의 용매는 감압 증류로 제거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30 ml)에 녹인 후 1 N의 HCl 수용액 (3×10 ml), 10% NaHCO3 (1×10 ml), 증류수 (1×10 ml), 소금물 (1×10 ml)로 세척하였다. 세척한 유기용매는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다음 걸러내고 감압농축하였다. 생성물은 플래쉬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80%의 목적화합물을 얻었다. (정상 용리액, n-헥산 : 에틸아세테이트 : 메탄올 = 3 : 5 : 1)
TLC (n-헥산 : 에틸아세테이트 : 메탄올 = 4 : 5 : 1) 생성물 Rf=0.30
M/z 359.15 (M+H)
1H NMR (DMSO-d6) δ8.62, 8.67, 9.07, 9.31 (4H, br, -OH),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실시예 15>
3-(3,4-디하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티오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의 제조
(단계 1) N-(3',4'-디하이드록시-트랜스-시나모일)-3-(3,4-디하이드록실페닐)-D-알라닌 메틸 에스테르의 테트라 ( t -부틸디메틸실릴)에테르의 제조
N-(3',4'-디하이드록시-트랜스-시나모일)-3-(3,4-디하이드록실페닐)-D-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2.44 g, 6,54 mmole, 1 당량)을 염화메틸렌 (40 ml)에 녹이고 반응 혼합물에 트리에틸아민 (5.45 ml, 39.24 mmole, 6 당량)과 t-부틸디메틸실릴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TBDMSOTf, 7.51 ml, 32.7 mmole, 5 당량)을 질소기류하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은 질소기류하에 18시간동안 교반한 다음 상온에서 1N의 HCl 수용액 (20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마쳤다. 과량의 염화메틸렌은 감압농축하고 남은 혼합물은 에틸아세테이트 (3×20 ml)로 추출한 다음 유기용매는 증류수 (1×50 ml), 소금물 (1×5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로 건조한 다음 감압농축하였다. 생성물은 플래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정상 용리액, n-헥산 : 에틸아세테이트 = 5 : 1)로 정제하여 33%의 목적 화합물을 얻었다.
TLC (n-헥산:에틸아세테이트=5:1) 생성물 Rf=0.37
M/z 830.5 (M+H)
1H NMR (DMSO-d6) δ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d,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3.80 (3H, s, CH3), 0.22 (12H, s, CH3), 0.23 (12H, s, CH3), 0.99 (18H, s, CH3), 1.00 (18H, s, CH3)
(단계 2) 3-(3,4-디하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티오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의 테트라 ( t -부틸디메틸실릴)에테르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순수한 화합물 (1.8 g, 2,17 mmole, 1 당량)을 THF (tetrahydrofuran, 20 ml)에 녹이고 로웬슨 시약 (Lawensson's reagent, 1.3g, 3.25 mmole,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은 70 ℃에서 황산칼슘관을 사용하여 무수상태에서 17시간동안 가열환류하였다. 상기 반응물은 감압농축하고 에틸아세테이트 (20 ml)로 희석하였다. 유기층에 10%의 NaHCO3 (20 ml)를 첨가한 후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 (3×20 ml)로 추출하고 증류수 (1×60 ml), 소금물 (1×60 ml)로 세척한 다음 무수 황산마그네슘로 물을 제거하고 감압농축하였다. 생성물은 플래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정상 용리액, n-헥산 : 에틸아세테이트 = 15 : 1)로 정제하여 77%의 목적화합물을 얻었다.
TLC (n-헥산 : 에틸아세테이트 = 15 : 1) 생성물 Rf=0.40
M/z 846.4 (M +H)
1H NMR (DMSO-d6) δ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d,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3.80 (3H, s, CH3), 0.22 (12H, s, CH3), 0.23 (12H, s, CH3), 0.99 (18H, s, CH3), 1.00 (18H, s, CH3)
(단계 3) 3-(3,4-디하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티오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의 제조
상기 단계 2에서 얻은 테트라(t-부틸디메틸실릴)에테르-N-(3',4'-디하이드록시-3-페닐-2-프로필렌티오카보닐)-3-(3,4-디하이드록실페닐)-D-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1.42 g, 1.68 mmole, 1 당량)를 THF (30 ml)에 녹이고, 반응 혼합물에 1M의 TBAF 용액 (10.07 ml, 10.07 mmole, 6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은 질소기류하에 18시간동안 교반하고 상온에서 1N의 HCl 수용액 (20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마쳤다. 과량의 THF는 감압농축하고 물층은 에틸아세테이트 (3×20 ml)로 세척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은 증류수 (1×60 ml), 소금물 (1×60 ml)로 세척한 다음 무수 황산마그네슘로 물을 제거하고 감압농축하였다. 생성물은 플래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정상 용리액, n-헥산 : 에틸아세테이트 : 메탄올 = 4 : 5 : 1)로 정제하여 62%의 목적화합물을 얻었다.
TLC (n-헥산 : 에틸아세테이트 : 메탄올 = 4 : 5 : 1) 생성물 Rf=0.50
M/z 390.1 (M +H)
1H NMR (DMSO-d6) δ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d,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3.80 (3H, s, CH3)
<실시예 16>
3-(3,4-디하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티오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의 제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3-(3,4-디하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티오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를 가수분해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었다.
TLC (n-헥산 : 에틸아세테이트 : 메탄올 = 4 : 5 : 1) 생성물 Rf=0.37
M/z 376.1 (M +H);
1H NMR (DMSO-d6) δ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d,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실시예 17>
3-(3,4-디하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티오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실시예 3에서 합성한 3-(3,4-디하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를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티오아마이드 유도체를 합성하였다.
M/z 404.1 (M+H)
1H NMR (DMSO-d6) δ8.62, 8.67, 9.07, 9.31 (4H, br, -OH),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4.12 (2H, q, J= 10.1, CH2) 1.30 (3H, t, J= 10.1, CH3 )
<실시예 18>
3-(3,4-디하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티오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프로필에스테르의 제조
실시예 4에서 합성한 3-(3,4-디하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프로필에스테르를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티오아마이드 유도체를 합성하였다.
M/z 418.15 (M+H)
1H NMR (DMSO-d6) δ8.62, 8.67, 9.07, 9.31 (4H, br, -OH),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4.08 (2H, t, J= 10.1 Hz, CH2) 1.61 (2H, d, J= 10.1, 4.90 Hz, CH2 ) 0.96 (3H, t, J= 10.1, 4.90 Hz, CH3)
<실시예 19>
3-(3,4-디하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티오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이소프로필에스테르의 제조
실시예 5에서 합성한 3-(3,4-디하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이소프로필에스테르를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티오아마이드 유도체를 합성하였다.
M/z 418.15 (M+H)
1H NMR (DMSO-d6) δ8.62, 8.67, 9.07, 9.31 (4H, br, -OH),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4.31 (1H, br, CH) 1.35 (3H,s, CH3) 1.35 (3H, s, CH3)
<실시예 20>
3-(3,4-디하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티오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tert -부틸 에스테르의 제조
실시예 6에서 합성한 3-(3,4-디하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티오아마이드 유도체를 합성하였다.
M/z 432.25 (M+H)
1H NMR (DMSO-d6) δ8.62, 8.67, 9.07, 9.31 (4H, br, -OH),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1.40 (3H, s, CH3) 1.40 (3H, s, CH3 )1.40 (3H, s, CH3)
<실시예 21>
3-(3,4-디하이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티오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아마이드의 제조
실시예 7에서 합성한 N-[카바모일-2-(3,4-디하이드록시-페닐)-에틸]-(R) -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아마이드를 출발물질로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M/z 375.10 (M+H)
1H NMR (DMSO-d6) δ8.62, 8.67, 9.07, 9.31 (4H, br, -OH),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실시예 22>
3-(3,4-디하이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티오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의 제조
실시예 8에서 합성된 3-(3,4-디하이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를 출발물질로 하여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M/z 390.1 (M +H)
1H NMR (DMSO-d6) δ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d,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3.80 (3H, s, CH3)
<실시예 23>
3-(3,4-디하이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티오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의 제조
실시예 22에서 얻은 3-(3,4-디하이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티오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를 출발물질로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가수분해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었다.
M/z 376.1 (M +H)
1H NMR (DMSO-d6) δ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d,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실시예 24>
3-(3,4-디하이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티오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실시예 10에서 합성한 3-(3,4-디하이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를 출발물질로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을 얻었다.
M/z 404.1 (M+H)
1H NMR (DMSO-d6) δ8.62, 8.67, 9.07, 9.31 (4H, br, -OH),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4.12 (2H, q, J= 10.1, CH2) 1.30 (3H, t, J= 10.1, CH3)
<실시예 25>
3-(3,4-디하이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티오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프로필에스테르의 제조
실시예 11에서 합성한 3-(3,4-디하이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프로필에스테르를 출발물질로 하여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을 얻었다.
M/z 418.15 (M+H)
1H NMR (DMSO-d6) δ8.62, 8.67, 9.07, 9.31 (4H, br, -OH),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4.08 (2H, t, J= 10.1 Hz, CH2) 1.61 (2H, d, J= 10.1, 4.90 Hz, CH2) 0.96 (3H, t, J= 10.1, 4.90 Hz, CH3)
<실시예 26>
3-(3,4-디하이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티오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이소프로필에스테르의 제조
실시예 12에서 합성한 3-(3,4-디하이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이소프로필에스테르를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을 얻었다.
M/z 418.15 (M+H)
1H NMR (DMSO-d6) δ8.62, 8.67, 9.07, 9.31 (4H, br, -OH),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4.31 (1H, br, CH) 1.35 (3H,s, CH3) 1.35 (3H, s, CH3 )
<실시예 27>
3-(3,4-디하이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티오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tert -부틸 에스테르의 제조
실시예 13에서 합성한 3-(3,4-디하이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을 얻었다.
M/z 432.25 (M+H)
1H NMR (DMSO-d6) δ8.62, 8.67, 9.07, 9.31 (4H, br, -OH),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1.40 (3H, s, CH3) 1.40 (3H, s, CH3 )1.40 (3H, s, CH3 )
<실시예 28>
3-(3,4-디하이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티오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아마이드의 제조
실시예 14에서 합성한 N-[카바모일-2-(3,4-디하이드록시-페닐)-에틸]-(S)-2- [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아마이드를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M/z 375.10 (M+H)
1H NMR (DMSO-d6) δ8.62, 8.67, 9.07, 9.31 (4H, br, -OH),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실시예 29>
3-(3,4-디하이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의 제조
(단계 1) 메틸 N-(디페닐메틸렌)-D-3-하이드록시티로신의 제조
D-DOPA 메틸 에스테르 (6.09 mmole, 1.5 g)와 벤조페논 이민 (benzophenone imine, 6.09 mmole, 1.1 g)을 염화메틸렌 (22 ml)에 녹인 후 실온에서 24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종료를 확인한 후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였다. 잔사를 다시 디에틸 에테르에 녹인 후 걸러낸 다음 유기층을 물로 세척하고 감압농축하였다. 생성된 고체는 에틸아세테이트와 디에틸 에테르로 재결정하여 84%의 흰색 고체를 얻었다. TLC (n-헥산 : 에틸아세테이트 = 7 : 3) Rf = 0.2, (M+H)+ 375.93
위에서 합성한 쉬프 염기 (Schiff's base, 2.03 mmole, 0.76 g)를 THF (tetrahydrofuran, 20 ml)에 녹이고, 상기 용액에 THF에 녹아있는 1M의 NaBH3CN (3.2 mmole, 3.2 ml)를 첨가한 후 아세트산으로 용액의 pH를 5∼7로 조절하였다. 20분 후, 37% 포름알데히드 (8 mmole)와 THF에 녹아있는 1M의 NaBH3CN (12 mmole, 12 ml)를 첨가하고, 아세트산으로 다시 pH를 5∼7로 조절하였다. 5∼6 시간 후, 용액을 디에틸 에테르로 묽힌 후 탄산수소나트륨 용액과 소금물로 세척하고 농축하였다. 실리카겔 컬럼 (n-헥산/에틸아세테이트, 6 : 4)으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을 81% 얻었다. TLC (n-hexane/ethyl acetate, 1:1) Rf = 0.7 (M+H)+ 391.09
(단계 2) N-메틸-3,4-디하이드록시페닐-D-알라닌 메틸 에스테르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합성한 화합물 (1.7 mmole, 0.67 g)을 메탄올 (17 ml)에 녹인 후 Pd/C (0.07 g)을 첨가하고 수소하에서 반응시켰다. 6시간 후, 셀라이트 (celite)를 걸러내고 여액을 농축한 후 진공 감압하에 건조한 다음 정제하지 않고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M+H)+ 226.03
(단계 3) 3-(3,4-디하이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의 제조
상기 단계 2에서 합성한 N-메틸 D-DOPA 메틸 에스테르와 3,4-디하이드록시 신남산 (3,4-Dihydroxy cinnamic acid, 0.3 g, 1.7 mmole)을 DMF (13 ml)에 녹인 후, PyBroP (2.04 mmole, 0.95 g)과 트리에틸아민 (3.4 mmole), DMAP (1.7 mmole, 0.24 g)를 차례로 첨가하고 5∼6 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후 실시예 1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실리카겔 컬럼을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n-헥산 : 에틸아세테이트 : 메탄올 = 4 : 5 : 1). 순도는 RP 분석용 HPLC (A는 1% TFA를 포함한 물, B는 1% TFA를 포함한 acetonitrile)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24%, 0-30%(B)/30 min, 1 ml/1 min). TLC (n-헥산 : 에틸아세테이트 : 메탄올 = 4 : 5 : 1) Rf = 0.45
(M-H)- 385.92, M/z 388.2 (M +H)
1H NMR (DMSO-d6) δ8.62, 8.67, 9.07, 9.31 (4H, br, -OH),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3.70 (3H, s, CH3), 3.80 (3H, s, CH3)
<실시예 30>
3-(3,4-디하이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의 제조
실시예 29에서 얻은 3-(3,4-디하이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를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가수분해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었다.
M/z 374.1 (M +H);
1H NMR (DMSO-d6) δ8.62, 8.67, 9.07, 9.31 (4H, br, -OH),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3.80 (3H, s, CH3)
<실시예 31>
3-(3,4-디하이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상기 실시예 3의 D-DOPA 에틸 에스테르를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실시예 29와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M/z 402.8 (M+H)
1H NMR (DMSO-d6) δ8.62, 8.67, 9.07, 9.31 (4H, br, -OH),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4.12 (2H, q, J= 10.1, CH2) 1.30 (3H, t, J= 10.1, CH3) 3.80 (3H, s, CH3)
<실시예 32>
3-(3,4-디하이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프로필에스테르의 제조
상기 실시예 4의 D-DOPA 프로필에스테르를 출발물질로 실시예 29와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M/z 416.8 (M+H)
1H NMR (DMSO-d6) δ8.62, 8.67, 9.07, 9.31 (4H, br, -OH),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4.08 (2H, t, J= 10.1 Hz, CH2) 1.61 (2H, d, J= 10.1, 4.90 Hz, CH2 ) 0.96 (3H, t, J= 10.1, 4.90 Hz, CH3 ) 3.80 (3H, s, CH3 )
<실시예 33>
3-(3,4-디하이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이소프로필에스테르의 제조
상기 실시예 5의 D-DOPA 이소프로필에스테르를 출발물질로 실시예 29와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M/z 416.8 (M+H)
1H NMR (DMSO-d6) δ8.62, 8.67, 9.07, 9.31 (4H, br, -OH),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4.31 (1H, br, CH) 1.35 (3H,s, CH3) 1.35 (3H, s, CH3 ) 3.80 (3H, s, CH3)
<실시예 34>
3-(3,4-디하이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tert -부틸 에스테르의 제조
상기 실시예 6의 D-DOPA tert-부틸 에스테르를 출발물질로 실시예 29와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M/z 430.2 (M+H)
1H NMR (DMSO-d6) δ8.62, 8.67, 9.07, 9.31 (4H, br, -OH),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1.40 (3H, s, CH3) 1.40 (3H, s, CH3 )1.40 (3H, s, CH3 ) 3.80 (3H, s, CH3)
<실시예 35>
N-[1-카바모일-2-(3,4-디하이드록시-페닐)-에틸]-(R)-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N-메틸-아크릴아마이드의 제조
실시예 29에서 얻은 3-(3,4-디하이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를 출발물질로 하여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M/z 372.15 (M+H)
1H NMR (DMSO-d6) δ8.62, 8.67, 9.07, 9.31 (4H, br, -OH),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3.80 (3H, s, CH3)
<실시예 36>
3-(3,4-디하이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의 제조
L-DOPA 메틸 에스테르를 출발물질로 하여 실시예 29와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을 얻었다.
M/z 388.1 (M +H)
1H NMR (DMSO-d6) δ8.62, 8.67, 9.07, 9.31 (4H, br, -OH),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3.70 (3H, s, CH3), 3.80 (3H, s, CH3)
<실시예 37>
3-(3,4-디하이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의 제조
실시예 36에서 얻은 3-(3,4-디하이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를 출발물질로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가수분해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었다.
M/z 374.1 (M +H)
1H NMR (DMSO-d6) δ8.62, 8.67, 9.07, 9.31 (4H, br, -OH),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3.80 (3H, s, CH3)
<실시예 38>
3-(3,4-디하이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L-DOPA 에틸 에스테르를 출발물질로 실시예 29와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M/z 402.8 (M+H)
1H NMR (DMSO-d6) δ8.62, 8.67, 9.07, 9.31 (4H, br, -OH),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4.12 (2H, q, J= 10.1, CH2) 1.30 (3H, t, J= 10.1, CH3) 3.80(3H, s, CH3)
<실시예 39>
3-(3,4-디하이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프로필에스테르의 제조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L-DOPA 프로필에스테르를 출발물질로 실시예 29와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M/z 416.8 (M+H)
1H NMR (DMSO-d6) δ8.62, 8.67, 9.07, 9.31 (4H, br, -OH),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4.08 (2H, t, J= 10.1 Hz, CH2) 1.61 (2H, d, J= 10.1, 4.90 Hz, CH2 ) 0.96 (3H, t, J= 10.1, 4.90 Hz, CH3 ) 3.80 (3H, s, CH3 )
<실시예 40>
3-(3,4-디하이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이소프로필에스테르의 제조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L-DOPA 이소프로필에스테르를 출발물질로 실시예 29와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M/z 416.8 (M+H)
1H NMR (DMSO-d6) δ8.62, 8.67, 9.07, 9.31 (4H, br, -OH),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4.31 (1H, br, CH) 1.35 (3H,s, CH3) 1.35 (3H, s, CH3 ) 3.80 (3H, s, CH3)
<실시예 41>
3-(3,4-디하이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tert -부틸 에스테르의 제조
상기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한 L-DOPA tert-부틸 에스테르를 출발물질로 실시예 29와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M/z 430.2 (M+H)
1H NMR (DMSO-d6) δ8.62, 8.67, 9.07, 9.31 (4H, br, -OH),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1.40 (3H, s, CH3) 1.40 (3H, s, CH3 )1.40 (3H, s, CH3 ) 3.80 (3H, s, CH3)
<실시예 42>
N-[1-카바모일-2-(3,4-디하이드록시-페닐)-에틸]-(S)-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N-메틸-아크릴아마이드의 제조
실시예 36에서 얻은 3-(3,4-디하이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를 출발물질로하여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M/z 372.15 (M+H)
1H NMR (DMSO-d6) δ8.62, 8.67, 9.07, 9.31 (4H, br, -OH),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3.29 (1H, t, J=4.9, CH2),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3.80 (3H, s, CH3 )
<실시예 43>
3-(3,4-디하이드록시-페닐)-N-[2-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에틸]-아크릴아마이드의 제조
도파민 (Dopamine)을 출발물질로 하여 실시예 1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카페인산 (caffeic acid)과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얻었다.
M/z 316.15 (M+H)
1H NMR (DMSO-d6) δ8.62, 8.67, 9.07, 9.31 (4H, br, -OH),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3.29 (2H, t, CH2)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실시예 44>
3-(3,4-디하이드록시-페닐)-N-[2-(3,4-디하이드록시-페닐)-에틸]-N-메틸-아크릴아마이드의 제조
실시예 29와 동일한 방법으로 N-메틸 도파민을 합성한 후 이를 출발물질로 하여 실시예 1의 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M/z 330.15 (M+H)
1H NMR (DMSO-d6) δ8.62, 8.67, 9.07, 9.31 (4H, br, -OH),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3.29 (2H, t, CH2)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3.80 (3H, s, CH3)
<실시예 45>
(R)-2-[트랜스-3-(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3 -(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의 제조
(단계 1) D-티로신 메틸 에스테르 염산염의 제조
D-티로신 (2.7 mmole, 0.5 g)을 0 ℃에서 티오닐 클로라이드 (27 mmole, 1.8 ml)와 메탄올 (10 ml)의 혼합용액에 녹인 후 15∼18 시간동안 반응시켰다. 얻어진 반응액을 농축한 후 진공감압하여 건조하여 얻었다.
(단계 2) (R)-2-[트랜스-3-(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3-(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합성된 D-티로신 메틸 에스테르 염산염을 DMF (14 ml)에 녹인 후, 카페인산 (2.9 mmole, 0.522 g), PyBOP (3.2 mmole, 1.68 g), 트리에틸아민 (6.75 mmole, 0.94 m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5∼18시간 반응시켰다.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한 후, 5% HCl 용액과 소금물로 세척하고 농축하였다. 잔사는 실리카겔 컬럼으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을 얻었다 (n-헥산 : 에틸아세테이트 : 메탄올 = 5 : 4 : 1). 순도는 RP 분석용 HPLC (A는 1% TFA를 포함한 물, B는 1% TFA를 포함한 아세토니트릴)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23%, 0∼30%(B)/30min, 1 ml/1 min). 전체 수득률 : 81%
TLC (n-헥산 : 에틸아세테이트 : 메탄올 = 5 : 4 : 1) Rf = 0.5
M/z 358 (M +H), 370 (M+Na)
1H NMR (DMSO-d6) δ8.62, 8.67, 9.05 (4H, br, -OH),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51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3.80 (3H, s, CH3)
<실시예 46>
(R)-2-[트랜스-3-(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3-(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제조
실시예 45에서 합성된 (R)-2-[트랜스-3-(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3 -(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를 출발물질로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M/z 344.3 (M +H), 366.2 (M+Na)
1H NMR (DMSO-d6) δ8.62, 8.67, 9.05 (4H, br, -OH),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51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실시예 47>
(R)-2-[트랜스-3-(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3 -(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의 제조
L-티로신을 출발물질로 하여 실시예 45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80%의 (R)-2-[3-(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3-(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를 합성하였다.
TLC (n-헥산 : 에틸아세테이트 : 메탄올 = 5 : 4 : 1) Rf=0.5
M/z 358 (M +H), 370 (M+Na)
1H NMR (DMSO-d6) δ8.62, 8.67, 9.05 (4H, br, -OH),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51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3.80 (3H, s, CH3)
<실시예 48>
(S)-2-[트랜스-3-(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3- (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제조
실시예 47에서 합성한 (S)-2-[트랜스-3-(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3-(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를 출발물질로 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을 합성하였다.
M/z 344.1 (M +H)
1H NMR (DMSO-d6) δ8.62, 8.67, 9.05 (4H, br, -OH), 8.75 (1H, d, J=8.0 Hz, NH), 7.20 (1H, d, J = 15.7 Hz, CH), 6.93 (1H, d, J=1.8Hz, 방향족), 6.74 (1H, d, J = 8.1 Hz, 방향족), 6.62 (1H, d, J = 1.8 Hz, 방향족), 6.61 (1H, J = 7.8 Hz, 방향족), 6.57 (1H, d, J = 7.9, 1.8 Hz, 방향족), 6.51 (1H, d, J = 7.9, 1.8 Hz, 방향족), 6.41 (1H, d, J = 15.7 Hz, CH), 4.48 (1H, m, CH), 2.90 (1H, dd, J = 13. 7, 4.9 Hz, CH2), 2.72 (1H, dd, J = 13. 7, 4.9 Hz, CH2)
<실시예 49>
2-[3-(3,4-디하이드록시-벤질)-우레이도]-3-(3,4-디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의 제조
3,4-디메틸페닐 아세트산(1 g, 5.1 mmol)를 반응용매 SOCl2(2.65 ml)와 반응시키고, 진공감압후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를 아세톤에 용해시켰다. 상기 반응물에 소오듐아자이드 (55.9 mmol)를 증류수 1.5mL에 녹인 용액을 천천히 적하하여 0℃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용매를 진공 감압하여 제거하고 얻어진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한 다음, 마그네슘 설패이트를 넣어 건조후 여과하였다. 여과된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얻어진 잔사를 벤젠 (30 ml)에 용해시킨 후 80℃에서 16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후 진공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얻어진 화합물을 디클로로메탄 40 ml에 용해시킨 후, 여기에 디메틸포름아마이드 2.5 ml에 용해된 L-DOPA 메틸 에스테르 (1.717 g) 용액 및 트리에틸아민 3.38 ml를 첨가한 후 상온에서 32시간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후 감압하에 반응용액내 용매를 제거하여 고체상태의 3-(3,4-디하이드록시페닐)-2-[3,3-디메톡시벤질우레이도]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터를 제조하였다. 상기 얻어진 화합물은 별다른 정제 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상기 화합물을 -40 ℃가 유지되는 반응기에 넣은 후, 디클로로메탄에 용해된 1M BBr3 용액 12.7 ml을 주입하여 온도를 유지하면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후 반응기의 온도를 서서히 올려 4℃에서 증류수 10 ml를 주입한 후 동일 온도에서 2시간동안 더 반응시킨 다음, 반응기내 용매를 감압 증류로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에틸아세테이트 50 ml에 용해시킨 후 물 100 ml 및 브린(brine) 100 ml 순으로 세척한 후 감압하여 목적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수율 25%).
M/z 375.1 (M-H-)
1H NMR(200 MHz, DMSO) δ6.68-6.09(m, 6H), 4.40(t, 1H), 4.03(s, 2H), 3.60(s, 3H), 2.78(d, 2H)
<실시예 50>
3-(3,4-디하이드록시-페닐)-2-[2-(3,4-디하이드록시-페닐)-아세틸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3,4-디하이드록실 페닐아세트산을 출발 물질로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M/z 360.1 (M-H-)
1H NMR(200 MHz, DMSO) δ6.68-6.09(m, 6H), 4.40(t, 1H), 3.93(s, 2H), 3.60(s, 3H), 2.78(d, 2H)
<실시예 51>
2-(3,4-디하이드록시-벤조일아미노)-3-(3,4-디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3,4-디하이드록실 벤조산을 출발 물질로하여 실시에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M/z 346.1 (M-H-)
1H NMR(200 MHz, DMSO) δ6.68-6.09(m, 6H), 4.40(t, 1H), 3.60(s, 3H), 2.78(d, 2H)
<실시예 52>
3-(3,4-디하이드록시-페닐)-2-[3-(3,4-디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반응기에 실시예 1에서 제조된 3-(3,4-디하이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10g을 메탄올 10 ml에 용해시킨 다음, Pd-C을 0.3 당량비 만큼 넣은 후 수소 가스를 충진하여 상온에서 18 시간동안 반응시켰다. 얻어진 생성물을 셀라이트로 처리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다음,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얻어진 잔사를 역상 칼럼을 장착한 prep-HPLC을 이용하여 목적 화합물을 정제하였다.
M/z 374.1 (M-H-)
1H NMR(200 MHz, DMSO) δ6.68-6.09(m, 6H), 4.40(t, 1H), 3.60(s, 3H), 2.78(d, 2H), 2.80(t, 2H), 2.47 (t, 2H)
<실시예 53>
3-(3,4-디하이드록시-페닐)-2-[3-(3,4-디하이드록시-페닐)-아릴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의 제조
반응기에 실시예 1에서 제조된 3-(3,4-디하이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0.9 g(3.6 mmol, 1.3 eq.)을 THF 2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세트산 200 ㎕(1%)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4-하이드록시-3-메톡시신나말데하이드 0.5 g(2.8 mmol, 1eq.)를 첨가하한 후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시킨 다음, NaCNBH3 (1M 용액 in THF) 0.53 ml(8.4 mmol, 3 eq.)를 천천히 첨가한 후 8시간동안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얻어진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 1M HCl로 각각 2회 및 브린으로 1회 세척하였다. 이어서 생성물을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시킨 후, 여과후 진공감압시켜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칼럼( (CHCl3:MeOH:AcOH:H2O = 600:16:2.5:0.5)을 통과시켜 중간체 350 mg(수율 33.4%)를 제조하였다.
-40 ℃가 유지되는 반응기에 상기 얻어진 중간체 350 mg(0.93 mmol, 1 eq)을 디클로로메탄 20 ml에 용해시킨 후, 디클로로메탄에 용해된 1M BBr3 용액 1.6 ml(9.3 mmol, 10 eq.)를 적하한 후 5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이어서 온도를 실온으로 천천히 올렸다. 반응기에 냉각수 10 ml를 주입하여 반응을 종결시키고, 반응기내 디클로로메탄 용액을 제거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1M HCl로 2회 및 브린으로 1회 세척하였다. 이어서 마그네슘 설패이트로 건조한 다음, 여과, 감압하여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칼럼 (CHCl3:MeOH:AcOH:H2O=250:16:2.5:0.5)을 통과시켜 목적화합물 80 mg(수율 24%)을 얻었다.
M/z 358.1 (M -H-)
1H NMR(200 MHz, DMSO) δ6.68-6.09(m, 6H), 3.93(s, 2H), 3.60(s, 3H), 3.12 (d, 2H), 2.78(d, 2H)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비경구 및 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하기에 비경구용 제형으로 주사제, 경구용 제형으로 시럽제 및 정제로 제조하였다.
<제제예 1> 주사액제의 제조방법
유효성분 10 mg을 함유하는 주사액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의 화합물 1 g, 염화나트륨 0.6 g 및 아스코르브산 0.1 g을 증류수에 용해시켜서 100 ㎖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병에 넣고 20 ℃에서 30 분간 가열하여 멸균시켰다.
상기 주사액제의 구성성분은 다음과 같다.
실시예 1의 화합물················1 g
염화나트륨···················0.6 g
아스코르브산··················0.1 g
증류수·····················정량
<제제예 2> 시럽제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화합물의 산부가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 2%(중량/부피)로 함유하는 시럽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다.
실시예 1의 화합물의 산부가염, 사카린, 당을 온수 80 g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냉각시킨 후, 여기에 글리세린, 사카린, 향미료, 에탄올, 소르브산 및 증류수로 이루어진 용액을 제조하여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100 ㎖가 되게 하였다.
상기 시럽제의 구성성분은 다음과 같다.
실시예 1의 화합물의 산부가염············ 2 g
사카린 ····· ·················0.8 g
당 ························ 25.4 g
글리세린······················ 8.0 g
향미료 ······················ 0.04 g
에탄올 ·······················4.0 g
소르브산 ······················0.4 g
증류수 ·······················정량
<제제예 3> 정제의 제조방법
유효성분 15 mg이 함유된 정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다.
실시예 1의 화합물 250 g을 락토오스 175.9 g, 감자전분 180 g 및 콜로이드성 규산 32 g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10% 젤라틴 용액을 첨가시킨 후, 분쇄해서 14 메쉬체를 통과시켰다. 이것을 건조시키고 여기에 감자전분 160 g, 활석 50 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 g을 첨가해서 얻은 혼합물을 정제로 만들었다.
상기 정제의 구성성분은 다음과 같다.
실시예 1의 화합물··············· 250 g
락토오스 ···················175.9 g
감자전분 ····················180 g
콜로이드성 규산 ················ 32 g
10% 젤라틴 용액
감자전분 ····················160 g
활석 ······················ 50 g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 5 g
상기 실시예 1∼53에 의한 본 발명의 화합물산 유도체의 lck의 SH2 도메인에 대한 활성 억제 효과 및 T 세포의 증식을 야기하는 IL-2 유전자의 발현 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하기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예 1> 본 발명의 화합물의 시험관내 lck의 SH2 도메인과 그 도메인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펩티드 간의 결합 억제 효과
본 발명에서는 시험관내 결합 분석 시스템 (BIAcore 2000)을 사용하여 GST (Glutathione transferase)와 결합한 lck의 SH2 도메인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pYEEI와 동일한 서열을 포함하는 펩티드 SGSGEEPQpYEEIPI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페닐 유도체의 결합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먼저 상기 펩티드를 바이오틴화하여 BIAcore 분석기기 표면에 고정화시킨 다음 GST-lckSH2 단백질을 흘려주었다. 측정치는 상기 펩티드에 대한 GST-lckSH2의 결합은 공명유닛 (resonance units, 이하 "RU"라 약칭함)으로 나타내어지며 1,000 RU는 결합된 단백질 1 ng/ 1 mm2 유면 (flow surface)을 의미한다. 고정화된 펩티드에 GST-lckSH2가 결합하는 경우 난용인덱스 (refractory index)를 변화시켜 RU가 증가되고, 고정화된 펩티드에 GST-lckSH2의 결합이 저해되면 RU의 값이 감소된다. 상기 실험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의 GST-lckSH2와 고정화된 펩티드간의 결합 억제 능력은 IC50값 (50% inhibition concentration)으로 + : 25-50 uM; ++ : 10-25 uM; +++ : 10 uM으로 나타내었다.
페닐 유도체에 의한 lckSH2의 활성억제효과
실시예 구조식 lck의 SH2와의 결합도 실시예 구조식 lck의 SH2와의 결합도
1 +++ 11 ++
2 +++ 12 ++
3 +++ 13 +
4 +++ 14 ++
5 +++ 15 ++
6 ++ 16 +
7 +++ 17 ++
8 ++ 18 ++
9 + 19 ++
10 ++ 20 +
+ : 25∼50 μM ; ++ : 10∼25 μM ; +++ : 10 μM 미만
실시예 구조식 lck의 SH2와의 결합도 실시예 구조식 lck의 SH2와의 결합도
21 ++ 35 ++
22 + 36 +
23 + 37 +
24 ++ 38 ++
25 ++ 39 ++
26 + 40 ++
27 + 41 +
28 ++ 42 ++
29 ++ 43 +
30 + 44 +
31 ++ 45 ++
32 ++ 46 +
33 ++ 47 +
34 + 48 +
+ : 25∼50 μM ; ++ : 10∼25 μM ; +++ : 10 μM 미만
실시예 구조식 lck의 SH2와의 결합도 실시예 구조식 lck의 SH2와의 결합도
49 ++ 52 ++
50 +++ 53 +
51 +++
+ : 25∼50 μM ; ++ : 10∼25 μM ; +++ : 10 μM 미만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특히 본 발명의 화합물 중 Y1과 Y2가 에스테르 또는 아마이드를 형성하는 경우 lck의 SH2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펩티드의 결합 저해활성이 높고, X1이 -NH- 또는 -O-이고; X2가 -C(=O)- 또는 -C(=S)-이고; X3 일 때 결합 저해활성이 높다. 이처럼 GST-lckSH2와 강한 결합을 가지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lck의 SH2 도메인과 결합하는 단백질과의 결합을 저해함으로써 이들 신호전달 복합체의 형성을 막아 상기 신호전달 복합체가 매개하는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실험예 2> 시험관내 IL-2 유전자 발현에 대한 억제 효과
본 발명의 화합물이 세포막을 투과하여 T 세포의 증식을 야기하는 IL-2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IL-2 프로모터 하류에 융합되어 있는 루시페라제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T 세포 활성을 확인하였다.
IL-2 프로모터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IL-2의 프로모터 부위와 루시페라제의 구조유전자 부위를 융합한 플라스미드로 1×106 저캣 (Jurkat) T 세포를 Superfect TM (Qiagen Inc.)를 사용하여 트랜스펙션시켰다.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T 세포를 활성화시키기 전에 다양한 농도 (1μM∼50μM)의 화합물을 2시간 동안 처리하고 5 ㎍/㎖ anti-CD3 항체로 도포된 35㎜ 접시에서 16시간동안 배양함으로써 T 세포를 활성화시켰다. 루시페라제 활성은 Berthold 광도측정기 (luminometer) LB953으로 측정하였으며, IL-2 프로모터 활성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50% 저해농도 (IC50, 50% inhibition concentration)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IL-2 프로모터 활성 측정 실시예 IL-2 프로모터 활성 측정
IC50 (μM) IC50 (μM)
4 7.8 29 7.6
5 6.5 30 15.8
6 7.8 31 8.9
7 2.4 32 9.0
8 10.9 33 7.8
9 18.2 34 14.9
10 4.4 35 9.7
11 4.9 36 15.0
12 9.5 37 17.3
13 7.2 38 11.0
14 6.9 39 9.7
15 17.1 40 8.7
16 6.7 41 15.7
17 4.6 42 14.6
18 5.6 43 21.2
19 8.9 44 17.4
20 21.4 45 7.8
21 7.8 46 19.0
22 13.9 47 21.0
24 16.0 48 22.3
24 10.8 49 20.4
25 9.7 50 18.6
26 18.7 51 17.5
27 20.1 52 21.0
28 14.1 53 24.4
상기 표 2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화합물은 1-25 uM의 농도에서 IL-2 프로모터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특히 실시예 1 , 3 , 7 , 10 , 11 , 17의 화합물은 강력하게 IL-2 프로모터의 활성을 억제하며, 그 중 실시예 1의 화합물은 1.2 uM만으로도 IL-2 프로모터 활성을 50% 감소시키므로 우수한 면역 억제제로 사용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이 T 세포 증식을 야기하는 IL-2 유전자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자기면역 질환이나 만성 염증질환과 같은 T 세포 매개성 반응에 관련된 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실험예 3> 피부이식 거부반응에 대한 억제 효과
본 발명의 페닐 유도체의 피부이식 거부반응에 대한 억제효능은 동물 이식 피부의 생존 시간을 측정하는 생체 내 표준 약리 테스트로 확인하였다.
동종이식 거부반응은 동종이계 Balb/c (H-2d) 마우스 꼬리 피부를 C57BL/6 (H-2b) 마우스에 이식하여 수행하였으며 한 화합물에 대하여 7마리의 마우스를 1군으로 분류하여 실험하였다. 모든 페닐 유도체는 100% 에탄올에 녹인 다음 올리브유와 혼합하여 에탄올의 최종농도가 5% 이상이 되지 않도록 제조하였다. 100 mg/kg/day 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이식한 날부터 거부하는 날까지 복강 내 (i.p) 투약하였으며, 처리를 하지 않은 쥐는 거부 대조군으로서 올리브유-에탄올을 투여하였다. 이식피부의 생존시간은 7~9일째에 붕대를 제거한 후 피부이식 조직을 매일 관찰하였으며, 이식조직의 80% 이상이 네크로시스 (necrosis)를 일으킬 때 거부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얻어진 실험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피부이식 거부 억제 효과
실시예 피부이식 조직의 생존기간(days±표준편차) 실시예 피부이식 조직의 생존기간(days±표준편차)
1 15.1±1.5 36 12.9±0.9
2 14.8±0.5 39 14.1±1.2
8 15.2±1.1 41 13.7±0.6
9 14.8±0.9 42 14.3±0.9
10 15.3±0.8 43 13.1±0.9
11 14.4±0.9 44 12.5±0.9
12 15.7±0.8 46 11.9±0.9
13 14.5±0.6 47 11.7±1.0
14 15.3±0.9 48 12±1.6
23 13.2±0.8 49 13±1.5
25 14.8±0.6 50 12.8±0.9
27 12.3±0.6 51 12.5±1.1
28 13.9±0.9 52 13.4±1.2
비교예 10.5±0.9 시클로스포린 A 13±1.4
라파마이신 4 mg/kg/day 16.2±1.0
라파마이신 1 mg/kg/day 12.7±1.5
라파마이신 1 mg/kg/day+ 실시예(1) 50 mg/kg/day 18.3±1.3
실시예 (1) 50 mg/kg/day 11.2±0.5
비교예 (control) 10.3±0.5
상기 표 3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합물이 면역 억제를 야기하여 피부이식 거부를 방지함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로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거부 대조군에서 거부반응을 일으키는 9∼10일 사이에는 거부반응이 관찰되지 않거나 피부이식 조직의 20%보다 작은 부위에서 상처가 검고 주름진 딱지가 생기는 거부반응을 보였으며 피부이식 생존을 3∼5일 연장시키는 효과를 보여주었다.
병용투여 효과는 실시예 1의 화합물을 부최적량(suboptimal dose)인 50 mg/kg/day을 투여하고 기존의 면역억제제로 사용되는 라파마이신을 적정량(optimal dosage)인 4 mg/kg/day의 25% 양을 투여한 경우, 라파마이신 단독으로 사용시 면역억제효과보다 월등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이 T 세포 증식을 야기하는 IL-2 유전자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이식거부증상 등 T 세포 매개성 반응에 관련된 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데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시험관내 콜라겐-유도된 관절염 억제 효과
DBA/1LacJ mice (수컷 8주령)에 100 μg bovine type Ⅱ collagen (CⅡ)와 CFA 에멀젼을 꼬리 베이스(base)에 피하주사하여 콜라겐으로 유도된 관절염 (collagen-induced arthritis)를 유발했다. 2주 뒤 50 μg CII/IFA로 면역증강(booster immunization)하였다. 일차 면역 후 3주 째 되는 날부터 15일 동안 시약을 군당 6마리에 반복적으로 복강 주사했다.
대조군은 5% 에탄올-올리브유 혼합 대조군을 사용하여 100 μL/day 용량으로 매일 총 15번 주사하였다. 공지된 관절염 치료제인 메소트렉세이트(Methotrexate)는 PBS에 녹여 1 mg/kg/day 용량으로 2일에 한번씩 총 8번을 주사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 (조사군)은 에탄올에 녹여 최종 농도가 5%가 되도록 올리브유에 에멀젼화한 다음, 50 mg/kg/day 용량으로 매일 총 15번을 주사하였다.
일차 면역 후 3주 째 되는 날부터 관절의 종창과 부종정도를 매일 관찰하여 관절염 점수를 결정하였으며, 마우스의 각 다리에 대한 관절염 지수의 기준은 아래 표 4와 같으며, 표 4에서는 각 화합물의 관절염 억제 효과를 마우스 한 개체 당 각 다리의 관절염 지수를 모두 합산한 후 ([관절염 지수 최고4점/다리] x [4 다리/마우스] = 개체 당 최고 관절염 지수는 16점) 다른 쥐의 관절염 지수와의 평균치+표준편차로 표시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관절염 지수* 증상
0점1점 2점3점4점 부종 또는 종창 없슴족 근골(mid foot, tarsal bone) 또는 발목 관절(ankle joint)에 국한된 경한 부종과 발적발목 관절에서 족근골에 걸친 경한 부종과 발적발목 관절에서 중족골(metatarsal bone)에 걸친 중등도의 부종과 발적발목에서 발가락(digit) 전체에 걸쳐 부종과 발적이 있는 경우
관절염 억제 효과
실시예 관절염 지수* 실시예 관절염 지수
1 4.3±1.5 27 6.6±1.1
2 7.2±1.5 28 5.8±0.6
3 4.5±0.8 29 6.1±2.1
4 5.6±0.5 30 6.5±0.6
5 4.9±1.2 31 5.9±2.1
6 5.8±0.9 32 5.3±1.7
7 4.3±1.5 33 5.7±0.9
8 6.0±1.1 34 6.3±0.8
9 7.2±1.2 35 6.8±1.9
10 5.8±0.8 36 6.1±1.9
11 6.1±1.3 37 6.7±0.7
12 5.1±0.7 38 5.5±1.3
13 6.9±1.1 39 5.7±1.2
14 5.3±1.2 40 5.9±0.4
15 5.7±0.9 41 6.7±1.6
16 7.2±1.2 42 5.1±1.9
17 5.4±0.7 43 6.0±1.9
18 5.8±0.3 44 6.8±1.0
19 5.1±1.1 45 5.7±0.9
20 6.7±0.4 46 6.1±0.7
21 5.8±1.3 47 6.9±1.1
22 6.9±1.2 48 7.1±0.4
23 6.7±0.8 49 5.1±0.9
24 6.1±0.6 50 4.8±1.1
25 5.7±0.4 51 5.5±0.5
26 7.0±0.9 52 4.9±0.7
비교예 14.0±2.0 메소트렉세이트 4.0±1.1
* : 관절염 지수는 네 다리의 관절염 지수를 합산하여 표시하였으며 (최고 16점), 표의 관절염 지수는 투약 15일 (일차면역 후 36일 후)의 관절염 지수이다.
상기 표 5에 따르면, 하이드록실 페닐 유도체는 대부분 효과적인 관절염 치료를 보였다. 앞에서 예시한 IL-2 프로모터 에세이와 마찬가지로 하이드록실 페닐 유도체는 카복실 잔기에 메틸, 에틸 잔기를 첨가하였을 경우 더욱 효과가 증가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결합 에세이(binding assay)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바 잔기의 첨가로 인한 세포투과력의 향상 때문으로 사료된다.
<실험예 5> 랫트에 대한 경구투여 급성 독성실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급성 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6주령의 특정병원부재 (SPF) SD계 랫트를 사용하여 급성독성실험을 실시하였다. 군당 2 마리씩의 동물에 본 발명의 화합물을 각각 0.5% 메틸셀룰로오스 용액에 현탁하여 1g/㎏/15㎖의 용량으로 단회 경구 투여하였다. 시험물질 투여 후 동물의 폐사 여부, 임상증상 및 체중변화 등을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복강장기와 흉강장기의 이상여부를 관찰하였다. 시험 결과, 시험물질을 투여한 모든 동물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은 없었고 폐사된 동물도 없었으며, 또한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부검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실험된 화합물은 모두 랫트에서 500 mg/㎏까지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으며 경구 투여 최소치사량 (LD50)은 1 g/㎏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며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정맥, 피하 (subcutaneous), 코 (intranasal), 기관지 (intrabronichial), 직장 (rectal)뿐만 아니라 경구투여하여도 부작용이 적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합물은 lck의 SH2 도메인의 활성을 저해하고 면역반응을 야기하는 세포내 IL-2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여 시험관내 및 생체내 면역반응을 저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lck의 SH2 도메인 또는 Src계 단백질 타이로신 키나아제의 SH2 도메인을 억제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장기이식거부 증상, 자가면역 증상, 염증 등을 완화하는데 사용할 수 있고 활성효과가 뛰어나 투여량을 줄일 수 있어 관절염 치료제보다 경구투여 시 부작용이 적어 새로운 염증질환 치료제 또는 관절염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1) 3-(3,4-디하이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7) N-[카바모일-2-(3,4-디하이드록시-페닐)-에틸]-(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아마이드;
    10) 3-(3,4-디하이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11) 3-(3,4-디하이드록시-페닐)-(S)-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프로필에스테르;
    17) 3-(3,4-디하이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티오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18) 3-(3,4-디하이드록시-페닐)-(R)-2-[3-트랜스-(3,4-디하이드록시-페닐)-티오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피온산 프로필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되는 하이드록시 페닐 유도체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4. 삭제
  5. 제 3항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장기 또는 조직의 이식 거부반응, 만성 이식거부반응, 이식편-대-숙주 질환 (graft-versus-host disease, GVHD)의 치료, 진단, 또는 예방을 목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7. 제 5항에 있어서, 자가면역 질환의 치료, 진단 또는 예방을 목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자가면역 질환은 홍반성 루푸스 (lupus erythematous), 전신성 홍반 (systemic erythematosus), 류마티스성 관절염, 당뇨병, 중증 근무력증 (myasthemia gravis), 다발성 경화증 (multiple sclerosis), 건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9. 제 5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지의 면역억제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억제제가 시클로스포린 A (cyclosporin) 및 그 유사체, FK506 및 그 유사체, 코르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 아자티오프린 (azathioprine), 미코페놀산 (micophenolic acid), 라파마이신 (rapamycin), 15-디옥시스퍼구아린 (15-depxyspergualin), 미조리빈 (mizoribine), 레플루노미드 (leflunomide), OKT3, IL-2 수용체에 대한 항체, 미소프로스톨 (misoprostol),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시클로포스파미드 (yclophsphamide), 항임파구/흉선세포 혈청, 프레드니손 (prednisone) 및 메틸프레드니손과 (methylprednisone)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11. 제 3항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12. 제 11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지의 항염증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항염증제가 아스피린, 이부프로펜 (ibuprofen), 나프록센 (naproxen), 인도메타신 (indomethacin), 디클로페낙 (diclofenac), 설린닥 (sulindac), 피록시캄 (piroxicam), 에토돌락 (etodolac), 케토프로펜 (ketoprofen), 메클로페나메이트 (meclofenamate), 수프로펜 (suprofen) 및 톨메틴 (tolmetin)을 포함하는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의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14. 제 3항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면역질환에 의한 관절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5. 화학식 3의 카르복실기 또는 티오카르복실기 화합물을 커플링 시약 (coupling reagent)과 염기 존재 하에 화학식 2의 아민 화합물과 축합반응시켜 분자구조내 아마이드 결합을 포함하는 청구항 3항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반응식 1
    (X2는 C=O 또는 C=S이고, Y2는 NH2 또는 C1~C3 알콕시기이다)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시약이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피롤리딘 포스포니윰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benzotriazole-1-yl-oxytripyrollidine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및 브로모-1-트리피롤리딘 포스포니윰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bromo-1-tripyrrolidine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가 파라-디메틸아미노피리딘 (p-dimethylaminopyridine), 트리에틸아민 및 디이소에틸아민(diisopropylamine)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2002-0020481A 2002-04-15 2002-04-15 하이드록실 페닐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약학적 조성물 KR100517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0481A KR100517056B1 (ko) 2002-04-15 2002-04-15 하이드록실 페닐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약학적 조성물
US10/411,772 US20040082664A1 (en) 2002-04-15 2003-04-11 Derivatives of hydroxyphenyl, a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and their pharmaceutical composition
PCT/KR2003/000751 WO2003089405A1 (en) 2002-04-15 2003-04-14 Derivatives of hydroxyphenyl, a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and their pharmaceutical composition
CNA038083434A CN1646480A (zh) 2002-04-15 2003-04-14 羟基苯基衍生物,制备其的方法和它们的药物组合物
AU2003221144A AU2003221144A1 (en) 2002-04-15 2003-04-14 Derivatives of hydroxyphenyl, a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and their pharmaceutical composition
JP2003586126A JP2005522523A (ja) 2002-04-15 2003-04-14 ヒドロキシフェニル誘導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含む薬学的組成物
EP03715837A EP1499585A1 (en) 2002-04-15 2003-04-14 Derivatives of hydroxyphenyl, a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and their pharmaceutical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0481A KR100517056B1 (ko) 2002-04-15 2002-04-15 하이드록실 페닐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2006A KR20030082006A (ko) 2003-10-22
KR100517056B1 true KR100517056B1 (ko) 2005-09-27

Family

ID=29244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0481A KR100517056B1 (ko) 2002-04-15 2002-04-15 하이드록실 페닐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40082664A1 (ko)
EP (1) EP1499585A1 (ko)
JP (1) JP2005522523A (ko)
KR (1) KR100517056B1 (ko)
CN (1) CN1646480A (ko)
AU (1) AU2003221144A1 (ko)
WO (1) WO20030894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69146A2 (en) 2003-02-07 2004-08-19 Yissum Research Development Company Of The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L-dopa amide derivatives and uses thereof
KR20050078743A (ko) * 2004-02-02 2005-08-08 재단법인 목암생명공학연구소 로즈마린산의 하이드록실페닐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항암용 약학 조성물
DE102006033321A1 (de) * 2006-07-17 2008-01-24 Westfälische Wilhelms-Universität Münster Medizinische Verwendung von N-Phenylpropenoyl-Aminosäurederivaten und verwandten Verbindungen
CN106242987B (zh) * 2016-07-29 2019-02-22 西安科技大学 一种防治糖尿病和糖尿病肾病药物及其合成方法和应用
CN106349099B (zh) * 2016-07-29 2018-08-07 西安科技大学 咖啡酸-赖氨酸及其衍生物、制备方法和用途
CN109420175A (zh) * 2017-09-01 2019-03-05 任洁 基于cox的血糖调节机制
JOP20210298A1 (ar) 2019-05-14 2023-01-30 Provention Bio Inc طرق وتركيبات للوقاية من مرض السكري من النوع الأول
IL298999A (en) 2020-06-11 2023-02-01 Provention Bio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prevention of type 1 diabet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5451A (en) * 1990-03-08 1991-12-24 American Home Products Corporation Pyrrolimidazolones useful as renin inhibitors
US6140363A (en) * 1998-05-16 2000-10-31 Mogam Bio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Use of rosmarinic acid and derivatives thereof as an immunosuppressant or an inhibitor of SH2-mediated processes
KR20000072988A (ko) * 1999-05-04 2000-12-05 허영섭 로즈마린산 및 그 유도체의 면역억제제 또는 sh2 억제제로서의 용도
KR20020006643A (en) * 2000-07-11 2002-01-24 Mogam Biotechnology Inst Rosmarinic acid derivatives as an immunosuppressant and an inhibitor of sh2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52114C2 (de) * 1979-12-22 1984-01-05 A. Nattermann & Cie GmbH, 5000 Köln Verwendung von Rosmarinsäure bei der Bekämpfung von Entzündungen und hierbei eingesetzte Arzneimittel
US5910307A (en) * 1996-09-19 1999-06-08 Sunkyong Industries, Ltd. Process of extracting and purifying biologically effective ingredients from combined medicinal plants and their extract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5451A (en) * 1990-03-08 1991-12-24 American Home Products Corporation Pyrrolimidazolones useful as renin inhibitors
US6140363A (en) * 1998-05-16 2000-10-31 Mogam Bio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Use of rosmarinic acid and derivatives thereof as an immunosuppressant or an inhibitor of SH2-mediated processes
KR20000072988A (ko) * 1999-05-04 2000-12-05 허영섭 로즈마린산 및 그 유도체의 면역억제제 또는 sh2 억제제로서의 용도
KR20020006643A (en) * 2000-07-11 2002-01-24 Mogam Biotechnology Inst Rosmarinic acid derivatives as an immunosuppressant and an inhibitor of sh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2006A (ko) 2003-10-22
WO2003089405A1 (en) 2003-10-30
EP1499585A1 (en) 2005-01-26
JP2005522523A (ja) 2005-07-28
US20040082664A1 (en) 2004-04-29
AU2003221144A1 (en) 2003-11-03
CN1646480A (zh) 2005-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07751B2 (en) Substituted 2,4-imidazolidinedione compounds as pharmaceutical active ingredients
DK1876169T3 (en) PHENYL-CONTAINING N-ACYL-AMINE AND AMINO ACID DERIVATIVES, PROCEDURES FOR PRODUCING THEREOF,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APPLICATION OF THEREOF
JP2005532982A (ja) 肥満の処置のためのピロール誘導体の製造及び使用
FR2480747A1 (fr) Derives d&#39;acides amines et leur application therapeutique
JP2005507932A (ja) 肥満の処置のためのフェニル置換5−員窒素含有複素環
JP2009505962A (ja) 肥満を治療するためのビフェニルアミノ酸誘導体の製造および使用
CA3101626A1 (en) Cannabinoids and uses thereof
KR100517056B1 (ko) 하이드록실 페닐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약학적 조성물
EP2382206B1 (en) Compound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pain and other diseases
AU2011360973A1 (en) Compound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pain and other disorders
WO1996033968A1 (fr) Inhibiteur des metalloproteinases, tres soluble dans l&#39;eau
CA2037812A1 (fr) Derives d&#39;imidazo [1,2-c] quinazoline,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s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les renfermant
EP1937248B1 (en) Alcanoic acid amides substituted by saturated o-heterocycles
PL198827B1 (pl) ω-Amidy N-arylosulfonyloaminokwasów, sposób ich wytwarzania, środek farmaceutyczny i zastosowanie ω-amidów N-arylosulfonyloaminokwasów
RU2361855C2 (ru) Аминобензофеноны
EP0925295B1 (fr) Derives de n-benzenesulfonyl-l-proline en tant qu&#39; antagonistes du recepteur b2 de la bradykinine
KR101711731B1 (ko) 패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01253146A (zh) 用于治疗肥胖症及相关病症的新的氨基酸衍生物
JP4594084B2 (ja) 非ペプチド性brs−3アゴニスト
JP2008533122A (ja) 新規なチロシン誘導体
FR2756562A1 (fr) Nouveaux composes de n-benzenesulfonyl-l-proline, procede de preparation et utilisation en therapeutique
FR2597865A1 (fr) Nouveaux derives d&#39;un acide benzyl alkyl carboxylique substitue par un radical 4-pyridinyl aminocarbonyle, leur procede de preparation, les nouveaux intermediaires obtenus, leur application a titre de medicaments et les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les renfermant
US5922697A (en) Compound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ibiting the binding of proteins containing an SH2 domain to cognate phosphorylated proteins
EP0991650B1 (fr) Nouveaux composes de n-benzenesulfonyl-l-proline, procede de preparation et utilisation en therapeutique
EA022158B1 (ru) Модуляторы активности гидролазы амидов жирных кисло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