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6465B1 - 쌍롤형 박판주조에 있어서의 주편 에지부 핫밴드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쌍롤형 박판주조에 있어서의 주편 에지부 핫밴드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6465B1
KR100516465B1 KR10-2000-0079600A KR20000079600A KR100516465B1 KR 100516465 B1 KR100516465 B1 KR 100516465B1 KR 20000079600 A KR20000079600 A KR 20000079600A KR 100516465 B1 KR100516465 B1 KR 100516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edge
casting
belt
hot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9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0451A (ko
Inventor
최주태
강태욱
김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0-0079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6465B1/ko
Publication of KR20020050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0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6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64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22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formed by two casting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37Accessories therefor
    • B22D11/0648Casting surfaces
    • B22D11/066Side d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37Accessories therefor
    • B22D11/068Accessories therefor for cooling the cast product during its passage through the mould surfaces
    • B22D11/0682Accessories therefor for cooling the cast product during its passage through the mould surfaces by cooling the casting 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편의 양측 에지부가 양호한 형상이 되도록 주조중, 롤 측방 에지면과 에지댐(edge dam)의 접촉부에서 발생되는 에지댐 재질의 세라믹 마모분을 제거하므로써, 상기 마모분의 롤 표면 오염에 의해 주편 에지부에서 발생되는 응고지연에 의한 핫 밴드(hot band) 방지를 통해 주편의 형상 품질 및 실수율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는 쌍롤형 박판주조에 있어서의 주편 에지부 핫밴드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용융 금속을 두 개의 냉각롤 사이로 주입하여 롤과의 접촉을 통해 급속 응고시켜 박판을 제조하는 쌍롤형 박판주조장치에서, 롤 측면부(측방 에지면)와 에지댐(edge dam)의 접촉부에서 발생되는 에지댐 재질의 세라믹 마모분을 제거하는 제거수단을 상기 롤측면부에 인접 배치하여 상기 마모분의 롤 표면 오염에 의해 주편 에지부에서 발생되는 응고지연에 의한 핫밴드(hot band)를 방지하는 쌍롤형 박판주조에 있어서의 주편 에지부 핫밴드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쌍롤형 박판주조에 있어서의 주편 에지부 핫밴드 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HOT BAND FROM FORMING ON STRIP EDGE IN TWIN ROLL STRIP CASTING}
본 발명은 용융 금속을 두 개의 냉각롤 사이로 주입하여 롤과의 접촉을 통해 급속응고시켜 박판을 제조하는 쌍롤형 박판주조장치에서 주편의 양측 에지부에 핫밴드의 형성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주편의 양측 에지부가 양호한 형상이 되도록 주조중, 롤 측방 에지면과 에지댐(edge dam)의 접촉부에서 발생되는 에지댐 재질의 세라믹 마모분을 제거하므로써, 상기 마모분의 롤 표면 오염에 의해 주편 에지부에서 발생되는 응고지연에 의한 핫 밴드(hot band) 방지를 통해 주편의 형상 품질 및 실수율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는 쌍롤형 박판주조에 있어서의 주편 에지부 핫밴드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쌍롤형 박판주조장치(2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강(202)을 노즐(204)을 통해 두 개의 롤(210)과 롤 측면에 부착된 에지댐(212)으로 형성되는 공간에 공급하여 용강 풀(215)이 형성되게 한 후, 서로 반대 방향으로 롤(210)을 회전시키면서 롤(210)과 용강 풀(215)의 접촉을 통해, 롤(210) 내부로의 열 유출(heat flux)에 의해 용강을 급속 응고시켜 주편(216)을 제조하는 장치이며, 상기 장치로 제조된 주편(216)의 두께 방향에서 그 단면 형상(profile)은 주조 공간내에서 롤 외측표면의 형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상기 공정에 의해 제조된 주편(216)은 후처리 공정인 냉간압연 단계에서 압연이 잘 되어 최종제품의 판 평탄도가 양호해지기 위해서는 그 단면형상이 사각형이든가, 중앙부가 약간 볼록한 형상으로 되는 것이 이상적이다. 이러한 주편(216)의 단면 형상을 가지지 위해서는 각 롤(210)의 모선은 주조공간에서 두 개의 롤(210)이 최고로 근접하는 롤닢에서 직선이든가, 약간은 오목한 형상인 것이 좋다.
하지만 실제적으로는 주조중 롤(210)이 높은 온도로 가열되기 때문에, 냉각시에는 완전히 직선의 모선을 가졌던 롤(210)도 열팽창으로 인해 롤(210) 외측 표면이 볼록한 형상이 되므로, 응고된 주편(216)의 판 두께 프로파일(profile)은 이러한 롤(210)의 간극부의 주조공간의 단면 형상을 정확히 재현하기 때문에, 중심에서 부터 에지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약간 두꺼워지는 단면 형상의 주편이 제조된다.
이러한 판 두께 프로파일의 형상불량인 주편(216)은 냉간 압연시, 압연불량을 유발시켜 최종재의 품질 및 실수율을 크게 저하시킨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주조롤(210)의 열팽창 현상을 보상하기 위해 롤 중앙이 오목하고, 롤 양측 에지부가 볼록한 형상으로 롤 크라운을 부여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조치를 함에도 불구하고 주편(216)의 양측 에지부(218)에서 판 두께 중심부의 미응고 용강의 벌징(bulging)에 의해 주편(216)의 중앙부는 편평하지만, 주편의 양측 에지부(218)가 오히려 두꺼운 형상을 가지며, 이 부위에서 주편(216)의 온도가 중앙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서 롤 닢 하부에서 고온의 스트립(hot strip)을 비디오로 촬영할 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와 구별되어 밝은 색으로 관찰된다.
즉, 롤 양단부의 에지댐 구속에 의해 용강풀을 형성하는 쌍롤형 박판주조공정에서는 주조가 경과됨에 따라서 롤 측면부(end face)와 에지댐과의 마모에 의해 마모분이 불가피하게 생성되는데, 이러한 마모분은 에지댐 재질인 BN, Zr2O3, Al2O 3, SiO2,성분의 초미립의 분말 형태를 지닌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회전하는 롤 측면부 자유공간내에 유동체가 존재할 경우 이러한 유동체는 롤 회전력에 의해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서 롤 양단부의 배럴로 이동하려는 힘이 존재하는데, 상기의 롤 측면부에서 생성된 에지댐 마모분 또한 입자가 미세한 초미분이기 때문에 주위 가스에 혼입되어 롤 양단부 배럴 표면으로 이동하게 되며, 따라서 이의 결과로 롤 양단부 배럴 표면에 부착된 세라믹 마모분은 열전달계수가 매우 낮기 때문에 이 부위에서 롤의 냉각능이 급격히 저하되어 미응고 현상인 벌징이나 핫밴드를 유발시킬 수 있음이 많은 실험 결과를 통해 확인되었다.
상기에 설명한 롤 측면부(에지면)와 에지댐 사이에서 발생한 마모분에 의한 실제 박판주조중 나타난 현상과 발생 원인 그리고 실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주편(216)의 양단부에서 관찰되는 핫밴드(218)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의 발생 원인은 롤 측면부(210a)와 에지댐(212)과의 마모에 의해 발생되는 에지댐 재질의 세라믹 마모분과 매우 밀접한 상관성이 있음이 많은 주조결과로 통해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을 규명하기 위해 회전체 주위의 유동체 거동의 모의실험 결과와 실제 주조시의 에지댐 마모분 추적을 통해 그 원인이 명확히 파악될 수 있었다.
도 3은 롤(300)이 회전하는 경우에 있어서 롤 주위의 유동체 거동(fluid behaviour)을 모의 실험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롤이 회전하게 되면 롤 표면과 측면 그리고 롤 샤프트(310) 주위의 유동체는 서로 다른 3종류의 힘을 받게 된다. 예를 들어 회전하는 롤 측면 P1 위치에 일정한 크기의 액적(309)을 떨어뜨리면 곧 바로 원심력에 의해 P2 위치로 퍼져나가려는 F1의 힘이 생성되고, 또한 P2 위치 즉 롤 측면 외주면로 이동된 유동체는 롤 배럴(324)로 이동하려는 F2의 힘에 의해 배럴 측면부로 이동하고 또한 롤 회전력에 의해 롤 배럴부의 유동체는 서서히 롤 양단부로 퍼져나가려는 F3의 힘이 존재함이 확인되었다.
이처럼 서로 각기 다른 3가지 구동력은 회전체의 회전속도, 유동체의 물리적 특성 및 롤 표면의 특성 등에 의해 결정되지만 롤 배럴 에지부로 유동체가 집중되는 것은 회전하고 있는 롤(300)의 일반적인 현상으로 보여지며, 에지부로 집중되는 유동체의 양이나 폭은 각기 다른 방향의 구동력 F1, F2 및 F3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됨이 실험 결과를 통해 관찰되었다. 즉, 롤 측면에서 공급되는 유동체가 없을 경우에는 구동력 F2가 존재하지 않고, 구동력 F3만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간 경과에 따라 점차적으로 완전 에지부로 이동해 가지만, 만약 측면에서 유동체가 계속해서 공급되면 상대적으로 큰 힘의 F2가 생성되면서 F2, F3 힘의 균형(force balance)에 의해 에지부로의 집중 위치나 폭이 결정되었다.
쌍롤형 박판주조공정의 실제 상황은 빠른 속도로 주조롤이 회전하고 있으며, 롤 측면부에서는 롤 측면부(210a)와 에지댐(212)과의 마모에 의해 미세한 세라믹 마모분이 계속해서 생성될 뿐만 아니라 롤 표면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해 설치된 측면 브러쉬 롤(207)에 의해서도 다량의 산화물 성분의 오염물이 발생될 수 있고, 또한 주조롤 하부에서는 주편 표면의 산화스케일이나 에지댐 마모분이 기체의 대류(convection)현상에 의해 롤 측면부로 이동하려는 양상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실제의 주조상황은 롤 측면부로 많은 양의 에지댐 마모분, 산화스케일 등 유동체가 계속해서 공급된다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유동체는 빠른 속도의 롤 회전력에 의해 롤 표면 특히 롤 에지부로 집중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현상은 주조 시간이 경과될수록 더욱 심해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도 4는 롤 표면의 흑피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설치한 브러쉬 롤(207)의 솔(bristle) 표면(207a)과 그 표면에 부착된 오염물을 관찰한 주사전자현미경 조직으로, 도 4의 (207b)은 표면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나타낸다. 그리고 이러한 오염물질을 분석한 결과, 대상 강종인 STS304강의 전형적인 흑피성분인 Fe-O, Cr-O, Mn-O, Ni-O, Si-O, Al-O 산화물(oxide)이외에도 B, N, Zr 원소가 다량 검출된 사실로부터 브러쉬 롤(207)의 솔(207a) 표면에는 많은 양의 에지댐 마모분으로 덮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현상은 롤 에지부 특정 구간에서 특히 심한 양상을 나타내었을 뿐만 아니라, 주조 시간이 경과될수록 도 3에 도시된 롤 측면부 오염물 집중밴드(311)의 폭이 넓어지고 그 정도가 심한 것을 확인되었다. 또한, 포토에칭으로 표면처리된 주조롤로 몇 차례 주조가 종료된 후의 롤 표면 형상과 표면조도를 관찰하여 보면, 롤 배럴부는 에칭된 딤플부가 주조가 종료된 후에도 여전히 에칭된 초기 깊이를 그대로 유지하였지만, 이와는 달리 롤 측면 에지부는 에칭된 딤플부는 딤플-딤플사이의 민자부와 깊이 차이가 거의 없을 정도로 그 내부가 상기의 에지댐 마모분으로 가득 채워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롤 측면 에지부에서 발생되는 미응고 현상인 벌징이나 핫밴드는 주조시 롤 측면부-에지댐과의 마모에 의해 발생되는 세라믹 성분의 마모분과 매우 밀접한 상관성이 있음이 확인되었고, 또한 핫밴드 발생의 시간 경과성 즉, 주조가 진행됨에 따라 그 정도가 심해지는 현상도 롤 표면의 마모분 축적도와 직접적인 관련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처럼 일단 주편의 양측 에지부에서 벌징(bulging) 또는 핫밴드(hot band) 현상이 발생되면, 박판의 품질 저하 및 실수율 저하를 초래하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킨다. 따라서, 안정된 조업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주편의 품질 향상 및 실수율 향상 측면에서 주편 양측 에지부의 미응고 현상인 벌징이나 핫밴드 발생을 방지하는 기술은 박판연속주조공정(이하, S/C 공정이라함)의 상업화를 위해 필수적이다.
상술한 주편 양측 에지부의 미응고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들이 그 동안 많은 발명자들에 의해 다각도로 검토되어 왔으며, S/C공정개발 초기 단계에는 주편 양측 에지부의 벌징 또는 핫밴드 현상이 근본적으로 롤 양측 에지부에서 롤 자체의 상대적인 응고능 저하에 기인한다고 판단하여 이에 대한 대책으로 롤 초기 크라운 양을 조절하는 방법과 롤의 폭 방향의 냉각능 차등 부여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였다.
특히, 특개평 6-297108호와, 특개평 6-328205호 등에서는 냉각수로(cooling channel)를 폭 방향으로 여러 개로 분할하여 냉각능을 조정하는 방법이 제시되었고, 특개평 9-103845호 등에서는 롤닢에서 주편 양측 에지부의 두께 중심부에서 일정 고상분율 이상이 될 수 있도록 롤 크라운 양을 부여하는 방법을 고안되었고, 또 다른 방법으로는 특개평 9-327753호 등에서 개시되었듯이, 롤 표면의 표면처리 차등 시공을 통해 롤 폭방향으로 냉각능을 조정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주조기의 롤 사양이 동일하거나, 대상 강종이나 주편 두께 등 일정한 주조 조건에서는 주편 양측 에지부의 미응고 현상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지만, 대상 강종이나 주편 두께, 주조 용량(heat size) 등이 변화되면 그에 적정한 조건으로 변화시켜야 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 99-42986호에서 롤 표면의 가스막 두께 및 조성의 온-라인 제어(On-line control)를 통해 주편 에지부에서 발생되는 응고지연에 의한 핫밴드 현상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상기에서 제시된 발명들 즉, 롤 크라운 조절 방법, 롤 폭 방향의 냉각능 차등 부여 방법, 롤 폭 방향의 표면처리 차등 부여 방법 등은 대상 강종의 다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없다는 문제점 외에도, 주조 시간이 경과될수록 핫밴드 현상이 심해지는 핫밴드의 시간 경과성을 해결할 수 없는 문제점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주편 에지부에서 발생되는 응고지연에 의한 핫 밴드(hot band) 방지를 통해 주편의 형상 품질을 향상시키고, 후공정의 압연시에 제품 실수율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개선된 쌍롤형 박판주조에 있어서의 주편 에지부 핫밴드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용융 금속을 두 개의 냉각롤 사이로 주입하여 롤과의 접촉을 통해 급속 응고시켜 박판을 제조하는 쌍롤형 박판주조장치에 있어서, 롤 측면부(측방 에지면)와 에지댐(edge dam)의 접촉부에서 발생되는 에지댐 재질의 세라믹 마모분을 제거하는 면벨트를 구비한 제거수단을 상기 롤측면부에 인접 배치하여 상기 마모분의 롤 표면 오염에 의해 주편 에지부에서 발생되는 응고지연에 의한 핫밴드(hot band)를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형 박판주조에 있어서의 주편 에지부 핫밴드 방지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주조중 롤 측면부(210a)와 에지댐(212)의 접촉부에서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에지댐(212) 재질의 세라믹 성분의 마모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5∼8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장치(1)는 에지댐(212)과의 접촉에 의해서 주조롤(210)의 측방 에지면(210a)에 부착된 세라믹 성분의 마모분을 연속적으로 제거하는 제거수단을 갖는 바, 상기 제거수단은 크게 면 벨트(5), 면 벨트 누름기구(10), 벨트 가이드롤(16), 출측부 벨트 릴(20), 입측부 벨트 릴(21) 그리고 각 벨트 릴의 구동모터(30)(40)들로 구성되며, 또한 이들 구동모터(30)(40)들을 제어하는 미도시된 제어부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거수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조롤(210)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프레임(50)의 상부측에서 복수의 구동모터(30)(40)들이 장착되고, 상기 구동모터(30)(40)에는 각각 입측 및 출측 벨트릴(20)(21)이 회전축(30a)(40a)에 연결되어 감기게 되며, 상기 주조롤(210)의 에지면(210a)에 인접한 브라켓(60)상에는 면벨트 누름기구(10)가 장착된다.
상기 면벨트 누름기구(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아이들 롤(14)과 복수의 가이드롤(16)들이 장착된 누름대(18)를 구비하며, 상기 누름대(18)를 전,후진시키기 위한 공압실린더(25)를 가지고, 누름대(18)를 직선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봉(27)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공압실린더(25)의 작동은 그 로드(25a)에 연결된 누름대(18)를 전,후진시켜, 아이들 롤(14)에 접촉하여 진행하는 면 벨트(5)를 주조롤(210)의 측방 에지부(210a)에 접촉시키는 것이다.
이는 면 벨트(5)를 주조롤(210)의 측방 에지면(210a)에 일정한 하중으로 누르면서 연속적으로 제거하는 것이다.
입측부 벨트 릴(21)에 감겨진 깨끗한 미사용의 면 벨트(5)는 벨트 이송 롤(19)과 벨트 이탈 방지용 가이드롤(16)을 거쳐 누름대(18)의 3개의 접촉부 아이들 롤(14)로 연결되어 인입되며, 주조롤(210)의 에지면(210a)에서 에지댐(212) 마모분을 닦은 면 벨트(5)는 또 다른 벨트 이탈 방지용 롤(16)과 벨트 이송롤(19)을 거쳐 출측부 벨트 릴(20)에 감겨진다.
이때, 면 벨트(5)의 방향은 주조롤(210)의 회전 방향과 반대로 진행시켜 주조롤(210)과의 상대속도를 크게 하므로써 마모분 제거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입측부 벨트 릴(21)과 출측부 벨트 릴(20)은 각각 입측 벨트 릴 구동모터(40)와 출측 벨트 릴 구동모터(30)에 연결되어 있고, 입측 벨트 릴 구동모터(40)는 토크 기어드 모터(Torque geared motor)로, 출측 벨트 릴 구동모터(30)는 기어드 모터(geared motor)로 이루어지며, 이들 2개의 모터(30)(40)와 밸트 이동속도 감지계(28)의 조합에 의해 면 벨트(5)의 인장력(tension)을 부가하도록 되어 있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면 벨트 - 주조롤 측방 에지면(210a)의 접촉부에서 에지댐(212) 마모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공압 실린더(25)가 누름대(18)를 통하여 면 벨트(5)를 에지면(210a)에 가할 수 있다. 또한 면 벨트 - 주조롤 측방 에지면(210a) 접촉부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기 위해 3개의 접촉부 아이들 롤(14)을 사용하며, 작동중 면 벨트(5)가 접촉부 아이들 롤(14)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가이드롤(16)의 끝단(16a)의 직경을 중앙부보다 약간 크게 가공하여 아이들 롤(14)의 양 측면에 위치시키고 있다.
본 발명의 장치에 사용된 면 벨트(5)는 주조롤(210)과의 마모열에 의해 쉽게 타거나 올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마모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표면 조도가 큰(roughly textured) 울(wool) 재질이다. 또한 주조롤(210)의 측방 에지면(210a)과 접촉부 아이들 롤(14) 사이에서 큰 접촉 면적을 부여하여 효과적으로 마모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1.5∼3mm의 두께의 면 벨트(5)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조롤(210) 각 측면 에지부(210a)에 각각 1대씩 부착되어 에지댐(212)의 마모분을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총 4대는 각 개별적으로 면 벨트(5)의 속도 및 부하를 미도시된 제어부를 통해 제어가 가능하며, 또한 미도시된 중앙 연동제어기를 통해 4대의 상기 장치를 일체로 제어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6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40)의 작동으로 입측부 벨트 릴(21)에 감겨진 깨끗한 미사용의 면 벨트(5)는 벨트 이송 롤(19)과 벨트 이탈 방지용 가이드 롤(16)을 거쳐 누름기구(10) 전단의 3개의 접촉부 아이들 롤(14)로 연결되어 인입되며(feeding), 구동모터(30)의 작동으로 출측부 벨트 릴(20)에는 면 벨트 - 주조롤 측방 에지면(210a)에서 에지댐(212) 마모분을 닦은 면 벨트(5)가 벨트 이탈 방지용 가이드 롤(16)과 벨트 이송롤(19)을 거쳐 출측부 벨트 릴(20)에 감겨진다. 이때 면 벨트(5)의 이동 방향은 주조롤(210)의 회전 방향과 반대로 진행되므로 주조롤(210)과의 상대 속도를 크게 하므로써 세라믹 마모분의 제거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한편, 면 벨트 - 주조롤 측방 에지면(210a) 접촉부에 면 벨트(5)가 확고히 접촉하도록 공압 실린더(25)가 작동되어 면 벨트(5)가 접촉되어지는 3개의 아이들 롤(14) 부분을 주조롤(210)의 측방 에지면(210a)으로 밀착시킴으로서 에지댐(212) 마모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장치에 사용된 면 벨트(5)은 표면 조도가 큰(roughly textured) 울(wool)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주조롤(210)과의 마모열에 의해 쉽게 타거나 올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마모분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주조롤(210)의 측방 에지면(210a)와 접촉부 아이들 롤(14) 사이에서 3개의 아이들 롤(14) 부분이 접촉됨으로써 큰 접촉 면적을 부여하여 효과적으로 마모분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쌍롤형 박판주조장치에서 주조중 롤 측방 에지면(210a)와 에지댐(edge dam)의 접촉부에서 발생되는 에지댐(212) 재질의 세라믹 마모분을 면 벨트(5)로서 효과적으로 제거하므로써, 상기 마모분의 롤 표면 오염에 의해 주편 에지부에서 발생되는 응고지연에 의한 벌징(bulging)이나 핫밴드(hot band)를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서 주편(216)의 양측 에지부(218)가 양호한 형상이 되어 주편의 형상 품질 및 실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쌍롤형 박판주조장치의 개략구성도;
도 2는 주편 에지부의 미응고 부분인 핫밴드(hot band)부분을 도시한 설명도;
도 3은 일반적인 회전체 주위의 유동체 거동(fluid behaviour)의 개략도;
도 4는 주조롤 측면부 브러쉬 롤(brush roll)의 솔(bristle)과 부착 오염물의 형상을 도시한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쌍롤형 박판주조에 있어서의 주편 에지부 핫밴드 방지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삭제
삭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쌍롤형 박판주조에 있어서의 주편 에지부 핫밴드 방지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도 6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주편 에지부 핫밴드 방지장치에 갖춰진 누름기구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면 벨트 10..... 구동기구
14.... 아이들 롤 16..... 가이드 롤
20.... 입측 벨트릴 21..... 출측 벨트릴
30,40.... 구동모터 50..... 프레임
60.... 브라켓트 200.... 쌍롤형 박판주조장치
202... 용강 210.... 주조롤
216... 주편

Claims (6)

  1. 용융 금속을 두 개의 냉각롤 사이로 주입하여 롤과의 접촉을 통해 급속 응고시켜 박판을 제조하는 쌍롤형 박판주조장치에 있어서, 롤 측방 에지면(210a)과 에지댐(212)의 접촉부에서 발생되는 에지댐(212) 재질의 세라믹 마모분을 제거하는 면벨트를 구비한 제거수단을 상기 롤 측방 에지면(210a)에 인접 배치하여 상기 마모분의 롤 표면 오염에 의해 주편 에지부에서 발생되는 응고지연에 의한 핫밴드(hot band)를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형 박판주조에 있어서의 주편 에지부 핫밴드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수단은 주조롤(210)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프레임(50)의 상부측에서 복수의 구동모터(30)(40)들이 장착되고, 상기 구동모터(30)(40)에는 각각 입측 및 출측 벨트릴(20)(21)이 회전축(30a)(40a)에 연결되어 감기게 되며, 상기 주조롤(210)의 에지면(210a)에 인접한 브라켓(60)상에는 면벨트 누름기구(10)가 장착되고, 상기 입측부 벨트 릴(21)에 감겨진 깨끗한 미사용의 면 벨트(5)는 면벨트 누름기구(10)의 3개의 접촉부 아이들 롤(14)로 연결되어 인입되며, 주조롤(210)의 에지면(210a)에서 에지댐(212) 마모분을 닦은 면 벨트(5)는 출측부 벨트 릴(20)에 감겨짐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형 박판주조에 있어서의 주편 에지부 핫밴드 방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면벨트 누름기구(10)는 다수의 아이들 롤(14)과 복수의 가이드롤(16)들이 장착된 누름대(18)를 구비하며, 상기 누름대(18)를 전,후진시키기 위한 공압실린더(25)를 가지고, 누름대(18)를 직선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봉(27)을 구비하며, 상기 공압실린더(25)의 작동은 그 로드(25a)에 연결된 누름대(18)를 전,후진시켜, 아이들 롤(14)에 접촉하여 진행하는 면 벨트(5)를 주조롤(210)의 측방 에지부(210a)에 접촉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형 박판주조에 있어서의 주편 에지부 핫밴드 방지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면 벨트(5)의 방향은 주조롤(210)의 회전 방향과 반대로 진행시켜 주조롤(210)과의 상대속도를 크게 하므로써 마모분 제거 효과를 극대화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형 박판주조에 있어서의 주편 에지부 핫밴드 방지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면 벨트(5)는 주조롤과의 마모열에 의해 쉽게 타거나 올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마모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표면 조도가 큰(roughly textured) 울(wool) 재질이며, 또한 주조롤의 측방 에지면(210a)와 아이들 롤(14) 사이에서 큰 접촉 면적을 부여하여 효과적으로 마모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1.5∼3mm의 두께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형 박판주조에 있어서의 주편 에지부 핫밴드 방지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수단은 주조롤(210)의 각 측면 에지부(210a)에 각각 1대씩 부착되어 에지댐(212)의 마모분을 제거하도록 구성되며, 총 4대는 각각 개별적으로 면 벨트(5)의 속도 및 부하를 미도시된 제어부를 통해 제어가 가능하며, 또한 미도시된 중앙 연동제어기를 통해 4대의 상기 장치를 일체로 제어가능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형 박판주조에 있어서의 주편 에지부 핫밴드 방지장치.
KR10-2000-0079600A 2000-12-21 2000-12-21 쌍롤형 박판주조에 있어서의 주편 에지부 핫밴드 방지장치 KR100516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600A KR100516465B1 (ko) 2000-12-21 2000-12-21 쌍롤형 박판주조에 있어서의 주편 에지부 핫밴드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600A KR100516465B1 (ko) 2000-12-21 2000-12-21 쌍롤형 박판주조에 있어서의 주편 에지부 핫밴드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0451A KR20020050451A (ko) 2002-06-27
KR100516465B1 true KR100516465B1 (ko) 2005-09-23

Family

ID=27684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9600A KR100516465B1 (ko) 2000-12-21 2000-12-21 쌍롤형 박판주조에 있어서의 주편 에지부 핫밴드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64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4802A (en) * 1987-08-05 1988-07-05 Nisshin Steel Co., Ltd. Continuous casting apparatus for steel plate
JPS63116149U (ko) * 1987-01-22 1988-07-27
JPH01133649A (ja) * 1987-11-20 1989-05-25 Nippon Steel Corp ツインドラム方式の連続鋳造装置
KR200159538Y1 (ko) * 1995-12-29 1999-10-15 김종진 박판주조기의 에지댐 균일 밀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6149U (ko) * 1987-01-22 1988-07-27
US4754802A (en) * 1987-08-05 1988-07-05 Nisshin Steel Co., Ltd. Continuous casting apparatus for steel plate
JPH01133649A (ja) * 1987-11-20 1989-05-25 Nippon Steel Corp ツインドラム方式の連続鋳造装置
KR200159538Y1 (ko) * 1995-12-29 1999-10-15 김종진 박판주조기의 에지댐 균일 밀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0451A (ko) 200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60487B2 (ja) 金属ストリップの連続ベルト鋳造装置および方法
KR100584751B1 (ko)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표면 가스층두께 조절장치
US7380583B2 (en) Belt casting of non-ferrous and light metals and apparatus therefor
JP3058185B2 (ja)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薄肉連続鋳造鋳片
KR100516465B1 (ko) 쌍롤형 박판주조에 있어서의 주편 에지부 핫밴드 방지장치
US658167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casting of metals
JPS5921696B2 (ja) 鋼スラブ押出し鋳造装置、特に彎曲スラブ押出し鋳造装置用の支持ロ−ラ機構
CA2753380C (en) Continuous casting apparatus for casting strip of variable width
KR100605700B1 (ko) 주편엣지의 응고지연을 해소하기 위한 쌍롤형박판주조기의 쉴딩가스 공급장치
JP3497170B2 (ja) ストリップの二重ベルト鋳造方法及び装置
JP2695089B2 (ja) 金属薄帯の連続鋳造方法及び装置
JP7196318B2 (ja) 双ベルト式鋳造機用のショートベルトサイドダム
JP5088568B2 (ja) 双ロール鋳造機の操業方法及び冷却ロール清掃装置
JPH02290651A (ja) 薄肉鋳片の連続鋳造方法及び装置
KR100605706B1 (ko) 쌍롤식 박판주조공정에서의 주편 에지부 핫밴드 방지방법
KR100470662B1 (ko) 쌍롤형 박판주조기를 이용한 박판제조방법
JP3042324B2 (ja) 広幅薄鋳片連続鋳造用ダミーバヘッド
JPH07112606B2 (ja) 双ベルト式連続鋳造装置
JP2944262B2 (ja) 薄板連続鋳造のスタート法。
CN1227146A (zh) 包覆连铸产品的生产方法和设备
JPH05318047A (ja) 双ドラム式薄板連続鋳造装置
JPH0970648A (ja) 炭素鋼薄肉鋳片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503367A (ja) 連続圧延鋳造装置
KR19990054413A (ko) 쌍롤식 박판제조 장치용 박판 응고량 제어방법
JPS5865556A (ja) 連続鋳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