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6306B1 - 전자 제품과 이의 장애 처리 중계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 제품과 이의 장애 처리 중계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6306B1
KR100516306B1 KR10-2002-0073452A KR20020073452A KR100516306B1 KR 100516306 B1 KR100516306 B1 KR 100516306B1 KR 20020073452 A KR20020073452 A KR 20020073452A KR 100516306 B1 KR100516306 B1 KR 100516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ilure
information
unit
electronic product
processing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3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2829A (ko
Inventor
이석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담
Priority to KR10-2002-0073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6306B1/ko
Publication of KR20030012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2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6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63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53Generation of additional signals, e.g. additional pulses
    • H04M1/54Arrangements wherein a dial or the like generates identifying signals, e.g. in party-lin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자체 장애 처리 요청 기능을 갖는 전자 제품과 이의 장애 처리 중계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시한다. 복수의 장애 처리 요청부는 전자 제품 각각 내장되어, 전자 제품의 장애 발생 원인과 함께 장애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장애 처리 요청 패킷을 생성하고, DTMF 신호를 이용하여 장애 처리 요청 패킷을 전송하고, 복수의 호스트는 공중 교환망을 경유하여 장애 처리 요청부로부터 수신된 DTMF 신호를 이용하여 장애 발생 원인 정보를 추출한 후 저장하고, 전자 제품의 장애를 처리하는 해당 장애 처리 서비스 장치로 복수의 장애 발생 원인 정보를 포함하는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전자 제품의 장애 발생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사용자의 조작 없이 장애 발생에 대한 정보가 자동으로 해당 장애 처리 서비스 장치로 접수됨으로써, 미처 감지하지 못한 전자 제품의 장애 발생을 감지할 수 있어 조기에 수리가 가능하고, 전자 제품의 장애 처리가 신속히 이루어 질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제품과 이의 장애 처리 중계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ELECTRONIC DEVICE, METHOD FOR RELAYING A BEFORE/AFTER SERVICE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 제품과 이의 장애 처리 중계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체 장애 처리 요청 기능을 갖는 전자 제품과 상기 전자 제품의 장애 발생에 따른 사전 또는 사후 처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자 제품의 장애 처리 중계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컴퓨터, 냉장고, 에어컨 등과 같은 가전 제품이나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각종 사무용 전자 제품 등에 이상이 발생하면, 사용자가 해당 전자 제품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여 해당 사후 관리 서비스 센터로 전화를 한 후 전자 제품의 이상 발생 처리를 위해 서비스 요원이 방문하는 형태로 전자 제품의 사후 관리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전자 제품의 이상현상이 내부적으로 발생하였으나 외부로 그것이 표출되지 않을 경우 사용자가 인지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가 전자 제품의 장애를 발견하지 못하면, 사후 관리 서비스를 요청할 수 없고, 전자 제품 생산자는 사후 관리를 통한 제품의 결함이나 취약점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사용자가 전자 제품의 이상을 발견하고 이를 직접 수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는 전자 제품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부족하므로 오히려 이상현상이 더 심각해지거나 또 다른 이상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초기에 발견할 경우 간단하게 처리될 수도 있는 이상 현상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미처 감지하지 못하여 그 현상이 심각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과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신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전자 제품의 장애를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해 자기 장애 처리 요청 기능을 갖는 전자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전자 제품의 장애 처리 중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장애 처리 중계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애 처리 중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전자 제품은, 전자 제품 각각 내장되어 상기 전자 제품의 장애를 감지하여 발생한 장애에 대응하는 장애 내역 코드를 생성하는 장애 발생 감지부 및 상기 장애 발생 감지부로부터 수신된 장애 내역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장애 처리 요청 패킷을 생성하여 DTMF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장애 처리 요청부를 포함하되, 상기 장애 처리 요청부는, 각각의 장애 처리 요청 장치별로 부여된 식별자를 나타내는 해당 장애 처리 요청 장치에 대응하는 장애 처리 요청부 ID와, 전자 제품별로 유일하게 설정되는 제품 일련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제품정보 및 해당 호스트부의 전화번호 정보를 저장하는 설정사항 기억부, 상기 장애 발생 감지부로부터 발생된 장애에 대응하는 장애 내역 코드 값을 수신받는 장애 발생 감지 접속부, 상기 장애 발생 감지 접속부로부터 상기 장애 내역 코드값을 수신받는 경우에 상기 설정사항 기억부를 참조하여 상기 장애 처리 요청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해당 호스트로 전화 걸기 명령 및 생성된 상기 장애 처리 요청 패킷을 전송하는 중앙 제어부, 상기 중앙 제어부의 제어에 응답하여 상기 장애 처리 요청 패킷을 송신용 DTMF 신호로 변환하여 해당 호스트로 전송하는 DTMF 송신부 및 상기 호스트로부터 수신용 DTMF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디짓 정보인 DTMF 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 제어부에 제공하는 DTMF 수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전자 제품의 장애 처리 중계 방법은, (a) 전자 제품의 장애 발생 원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제품에 장애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장애 처리 요청 패킷을 DTMF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DTMF 신호를 수신 받아 상기 장애 발생 원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전자 제품의 장애를 처리하는 장애 처리 센터로부터 복수의 장애 발생 원인 정보를 포함하는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를 요청하는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 요청이 존재하는지 체크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c)에서 상기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 요청이 존재하는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해당 장애 처리 장치에 대응하는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전자 제품의 장애 처리 중계 방법은, (e) 상기 복수의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를 통합 장애 서비스 DB로 전송하는 단계; (f) 인터넷을 경유하여 수신된 전자 제품 장애 발생에 대한 정보 제공을 요청하는 전자 제품 장애 서비스 요청이 존재하는지 체크하는 단계; (g) 상기 단계(f)에서 전자 제품 장애 서비스 요청이 존재하는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통합 장애 서비스 DB를 참조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h) 상기 전자 제품 장애 서비스 요청이 사용자의 전자 제품에 대한 장애 내역 및 처리 현황을 조회하는 장애 내역 조회 요청인지를 체크하는 단계; (i) 상기 단계 (h)에서 상기 전자 제품 장애 서비스 요청이 장애 내역 조회 요청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장애 내역 조회 요청에 대응하는 장애 발생 정보를 통합 장애 서비스 DB추출하는 단계; 및 (j) 상기 단계 (h)에서 상기 전자 제품 장애 서비스 요청이 전자 제품에 발생한 장애 처리 요청을 위해 장애 발생 내역을 등록하는 장애 처리 서비스 요청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장애 발생 내역 정보를 인터넷을 경유하여 수신 받아 해당 호스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전자 제품의 장애 처리 중계 시스템은, 전자 제품 각각 내장되어, 상기 전자 제품의 장애 발생 원인과 함께 상기 장애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장애 처리 요청 패킷을 생성하고, DTMF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장애 처리 요청 패킷을 전송하는 복수의 장애 처리 요청부; 및 공중 교환망을 경유하여 상기 장애 처리 요청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DTMF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장애 발생 원인 정보를 추출한 후 저장하고, 전자 제품의 장애를 처리하는 해당 장애 처리 서비스 장치로 복수의 장애 발생 원인 정보를 포함하는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복수의 호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자 제품과 이의 장애 처리 중계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에 의하면, 전자 제품의 장애 발생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조작 없이 장애 발생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해당 장애 처리 서비스 장치로 접수시키므로써, 미처 감지하지 못한 전자 제품의 장애 발생을 감지할 수 있어 조기에 수리가 가능하고, 전자 제품의 장애 처리가 신속히 이루어 질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품 장애 처리 중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제품 장애 처리 중계 시스템은 복수의 전자 제품을 사용하는 전자 제품 사용자 그룹(100)과, 장애 처리 중계 장치(300) 및 전자 제품의 장애를 처리하는 장애 처리 서비스 시스템(500)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는, 전자 제품 사용자 그룹(100)은 복수의 전자 제품(111, 112, ..., 11N, 121, 122, ..., 12N, 131, 132, ..., 13N)을 복수의 전자 제품이 위치하는 사용자 댁내별로 분류하여 그룹화한 복수의 전자 제품 사용자군(110, 120, 130)을 포함한다. 복수의 전자 제품(111, 112, ..., 11N, 121, 122, ..., 12N, 131, 132, ..., 13N)은 전자 제품을 생산하는 복수의 전자 제품 업체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종류의 전자기기로서, 예를 들면 컴퓨터나 냉장고 TV 등이 있다.
각각의 전자 제품에는 전자 제품의 장애 발생 유무를 감지하고, 복합 주파수 신호(Dual Tone Multi Frequency : 이하 DTMF)를 이용하여 장애 발생 처리 요청을 장애 처리 중계 장치(300)로 전송하는 전자 제품(111, 112, ..., 11N, 121, 122, ..., 12N, 131, 132, ..., 13N)을 포함한다. DTMF 신호는 후술하는 도 2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자 제품(111, 112, , 13N)에서 생성된 DTMF 신호는 교환국을 통해 불특정 다수의 가입자들에게 음성 전화나 자료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중 전화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이하 PSTN)(200)을 경유하여 장애 처리 중계 장치(300)로 전송된다.
장애 처리 중계 장치(300)는 전자 제품 사용자 그룹(100)으로부터 PSTN(200)을 경유하여 수신된 DTMF 신호를 통해 장애 발생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고, 복수의 장애 발생 정보를 장애 처리 서비스 시스템(500)으로 전송하고, 전자 제품 사용자 그룹(100)에게 복수의 전자 제품 회사별로 취합된 장애 발생 정보를 인터넷(400)을 통해 제공한다.
장애 처리 서비스 시스템(500)은 장애 처리 중계 장치(300)로부터 복수의 장애 발생 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전자 제품을 수리하는 서비스 요원을 적절히 배치하고, 장애 발생 정보를 통해 제품모델 별로 취약점을 파악하여 개선 정보를 데이터화하는 복수의 장애 처리 서비스 장치(510, 520, 530, 540)를 포함한다.
장애 처리 서비스 장치(510, 520, 530, 540)는 장애가 발생한 전자 제품에 대한 장애를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장애 처리 중계 장치(300)에서 취합한 장애 발생 정보가 존재하는지 일정 시간 간격으로 검사하여 취합된 장애 발생 정보를 장애 처리 중계 장치(300)로부터 수신 받는다.
이때, 장애 처리 서비스 장치(510, 520, 530, 540)는 수신된 장애 발생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화하고, 제품 모델별 또는 지역별로 데이터를 관리한다. 그리고, 이러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제품의 모델별로 장·단점을 파악하여 차세대 모델 개발에 참고한다. 이러한 장애 처리 서비스 장치(510, 520, 530, 540)는 전자 제품 생산 업체별 서비스 센터 단말이 될 수도 있으며, 전자 제품 장애 처리를 전담하는 사후 서비스 업체의 단말이 될 수 도 있다.
동작시, 장애 처리 중계 시스템(300)은 장애가 발생한 복수의 전자 제품(111, 112, ..., 11N, 121, 122, ..., 12N, 131, 132, ..., 13N)으로부터 PSTN(200)을 경유하여 수신된 복수의 장애 발생 정보를 저장하고, 복수의 장애 처리 서비스 장치(510, 520, 530, 540)의 일정 시간 간격별 요청에 따라 저장된 복수의 장애 발생 정보를 해당 장애 처리 서비스 장치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애 처리 중계 시스템은 전자 제품의 장애 발생을 전자 제품 내의 클라이언트부에 의해 감지하고, 장애 처리 중계 장치(300)에 특정 전자 제품에 장애가 발생했음을 자동으로 통보함으로써, 사용자가 미처 감지하지 못한 전자 제품의 장애 발생을 감지할 수 있어 조기에 수리가 가능하다.
또한, 전자 제품 사용자가 일일이 해당 전자 제품의 장애 처리 서비스 센터에 전화해야하는 번거로움 없이 장애 처리 중계 장치(300)에서 자동으로 해당 장애 처리 서비스 센터로 장애 발생에 대한 정보가 접수된다.
또한, 장애가 발생된 전자 제품을 수리하는 해당 전자 제품 서비스 센터는 자동으로 전자 제품의 장애를 접수받아 이를 수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한 장애까지도 사전에 감지하여 해당 장애를 수리하는 고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고객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복합 주파수 부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제품(111, 121, , 13N)과 장애 처리 중계 장치(300) 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DTMF 신호로 송수신된다.
DTMF 신호는 전화기에서 송출하는 숫자 또는 부호 정보로서, 전자 교환기에서 사용하며, 전화기의 해당 번호를 누르면 DTMF 신호가 교환기에 인가되고 교환기에서는 이를 해독하여 디짓(digit) 정보로 변환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전화 키패드의 할당은 0부터 9 까지는 이미 지정된 DTMF 값으로 표시하고, 나머지 알파벳은 3개의 DTMF 값으로 표시하며, 각각의 알파벳 문자와 숫자에 대한 DTMF 값은 하기하는 표 1과 같다.
숫자 알파벳 대문자 알파벳 소문자
문자 DTMF값 문자 DTMF값 문자 DTMF값 문자 DTMF값 문자 DTMF값
0 0 A *21 N *62 a #21 n #62
1 1 B *22 O *63 b #22 o #63
2 2 C *23 P *71 c #23 p #71
3 3 D *31 Q *02 d #31 q #02
4 4 E *32 R *72 e #32 r #72
5 5 F *33 S *73 f #33 s #73
6 6 G *41 T *81 g #41 t #81
7 7 H *42 U *82 h #42 u #82
8 8 I *43 V *83 i #43 v #83
9 9 J *51 W *91 j #51 w #91
K *52 X *92 k #52 x #92
L *53 Y *93 l #53 y #93
M *61 Z *01 m #61 z #01
상기한 표 1을 참조하면, 처음에 '*'가 나오면 알파벳 대문자를 나타내고, '#'가 나오면 알파벳 소문자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알파벳 대문자 'K'를 나타내는 DTMF 값은 '*52'가 된다. 이때, '*'는 알파벳 대문자를 나타내고, '5'는 키패드의 숫자 5를 나타내며, 2는 각각의 키패드 숫자에 할당된 3개의 알파벳들 중 대응하는 알파벳의 순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숫자 5에 포함되는 알파벳 'JKL'중 두번째 알파벳인 'K'를 나타낸다.
전자 제품과(111, 112, ..., 11N, 121, 122, ..., 12N, 131, 132, ..., 13N)와 장애 처리 중계 장치(300)는 해당 데이터에 대응하는 DTMF 값인 DTMF 신호를 송수신하며, 디짓 정보별 DTMF 신호의 주파수 분포는 하기하는 표 2와 같다.
DIGIT DTMF 신호
하위 주파수[㎐] 상위 주파수[㎐]
1 697 1209
2 697 1336
3 697 1477
4 770 1209
5 770 1336
6 770 1477
7 852 1209
8 852 1336
9 852 1477
0 941 1336
* 941 1209
# 941 1477
상기한 표 2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전자 제품(111, 121, , 13N)이 장애 처리 중계 장치(300)로 디짓정보 '1'을 전송할 시, '1'에 대응하는 DTMF 신호는 697[㎐]과 1209[㎐]의 DTMF 신호가 PSTN(200)으로 인가되어, 장애 처리 중계 장치(300)로 전송된다.
도 3a 및 도 3b는 상기한 도 1에 도시된 전자 제품의 클라이언트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클라이언트부(141, 151, ..., 15N)는 각각의 전자 제품 내에 위치하고, 전자 제품의 이상 발생을 감지하여 이상 발생에 대한 정보를 장애 처리 중계 장치(300)로 전송하는 것으로서, 유·무선을 이용하여 장애 처리 중계 장치(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도 3a는 유선을 이용하여 장애 처리 중계 장치(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클라이언트부(141)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클라이언트부(141)는 장애 발생 감지부(30) 및 장애 처리 요청부(40)를 포함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장애 발생 감지부(30)는 전자 제품을 자체 진단하고, 전자 제품의 장애 발생을 감지하여 장애 처리 요청부(40)로 장애 발생했음을 알린다. 이때, 장애 발생 감지부(30)는 해당 전자 제품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장애의 종류에 따라 특정 코드 값이 부여되는 장애 내역 코드 중 발생한 장애에 대응하는 장애 내역 코드 값을 장애 처리 요청부(40)로 전송한다.
장애 내역 코드 값은 클라이언트부(141)와 장애 처리 중계 장치(300) 및 해당 장애 처리 서비스 장치간의 규약에 의해 장애 코드 값의 크기를 결정하며, 장애의 종류 별로 그 값이 설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애 처리 요청부(40)는 장애 발생 감지부(30)로부터 전자 제품에 장애가 발생했음을 보고 받아 DTMF 신호를 이용하여 장애 발생 정보를 장애 중계 처리 장치(300)로 전송하는 것으로서, 인터페이스부(41), 설정사항 기억부(42), 장애 발생 감지 접속부(43), 마이크로 컨트롤러(44), DTMF 송신부(45), DTMF 수신부(46) 및 PSTN 접속부(47)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41)는 전자 제품 초기 셋팅시 설정사항 기억부(42)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전자 제품 생산자에 의해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분으로서, 예를 들어 컴퓨터가 모뎀과 같은 다른 직렬장치들과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사용하는 RS323C 등이 있다.
설정사항 기억부(42) 전자 제품의 기본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인터페이스부(41)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마이크로 컨트롤러(47)에 의해 수신받아 저장한다. 이때, 저장되는 기본 정보는 클라이언트부(141) 별로 유일하게 부여된 식별자인 클라이언트 ID, 장애 처리 중계 장치(300)의 전자 제품의 모델별로 설정되는 제품 모델명, 각각의 전자 제품별로 유일하게 설정되는 제품 일련번호 및 장애 처리 중계 장치(300)의 전화 번호를 저장한다.
장애 발생 감지 접속부(43)는 전자 제품의 장애 발생 정보를 장애 발생 감지부(30)로부터 수신 받는다.
마이크로 컨트롤러(44)는 인터페이스부(41)와 설정사항 기억부(42)와 DTMF 송·수신부(45, 46)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인터페이스부(41)를 통해 입력된 기본 정보를 설정사항 기억부(42)에 저장하고, 장애 처리 요청 패킷을 생성한다. 장애 처리 요청 패킷은 전자 제품에 장애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데이터 패킷(Data packet)으로서, 제품 모델명과 제품 일련번호 및 장애 내역 코드를 포함한다. 장애 처리 요청 패킷은 후술하는 도 4a 및 도 4b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DTMF 송신부(45)는 해당 호스트로 전화를 걸고, 디짓(digit) 데이터인 장애 처리 요청 패킷을 DTMF 신호로 변환하여 PSTN 접속부(46)를 통해 PSTN(200)을 경유하여 장애 중계 처리 장치(300)로 전송한다.
DTMF 수신부(45)는 장애 처리 중계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DTMF 신호를 PSTN 접속부(46)를 통해 수신받아 마이크로 컨트롤러(44)로 전송한다.
PSTN 접속부(46)는 PSTN(200)과 연결되어 클라이언트부(141)와 장애 처리 중계 장치(300) 간의 DTMF 신호를 송수신한다.
동작시, 장애 발생 감지 접속부(43)는 전자 제품에 장애가 발생하면 장애 발생 감지부(30)로부터 발생된 장애에 대응하는 장애 내역 코드 값을 수신 받고, 장애가 발생했음을 마이크로 컨트롤러(44)로 알린다.
마이크로 컨트롤러(44)는 설정사항 기억부(42)에 저장된 기본 정보를 이용하여 제품 모델명 정보와 제품 일련번호 정보를 추출하고, 장애 발생 감지 접속부(43)에 저장된 장애 내역 코드 값과 제품 모델명 정보 및 제품 일련번호 정보를 통해 장애 처리 요청 패킷을 생성한다.
마이크로 컨트롤러(44)는 설정사항 기억부(42)의 기본 정보를 참조하여 클라이언트 ID 정보와 장애 처리 중계 장치(300)의 전화번호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전화번호로 클라이언트 ID를 전송한다. 장애 처리 중계 장치(300)로부터 인증된 클라이언트부임을 승인 받으면 장애 처리 요청 패킷을 DTMF 송신부(45)로 전송한다.
DTMF 송신부(45)는 장애 처리 요청 패킷을 DTMF 신호를 이용하여 PSTN(200)을 통해 장애 처리 중계 장치(300)로 전송한다.
도 3b는 무선을 이용하여 장애 처리 중계 장치(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클라이언트부(151, , 15N)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클라이언트부(151, , 15N)는 장애 발생 감지부(30a, 30b) 및 장애 처리 요청부(50a, 50b)를 포함한다. 이때, 전자 제품 사용자군(150)은 복수의 클라이언트부(151, , 15N)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PSTN(200)을 통해 장애 처리 장치(300)로 전송하는 무선신호 집중부(15)를 더 포함한다. 무선신호 집중부(15)의 예로는 데이터 외에도 음성채널을 최대 3개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일대일 방식이나 일대다 방식이 가능하고, 최대 통신 가능 범위가약 10m이며, 내장 암호화 및 검증 기능이 제공되는 블루투스(Bluetooth) 등이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장애 발생 감지부(30)는 도 3a의 장애 발생 감지부(30)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애 처리 요청부(40)는, 인터페이스부(51a, 51b), 설정사항 기억부(52a, 52b), 장애 발생 감지 접속부(53a, 53b), 마이크로 컨트롤러(54a, 54b), DTMF 송신부(55a, 55b), DTMF 수신부(56a, 56b), 무선 접속부(57a, 57b) 및 무선 ID 설정부(58a, 58b)를 포함한다.
상술한 도 3a와 도 3b의 인터페이스부(51a, 51b), 설정사항 기억부(52a, 52b), 장애 발생 감지 접속부(53a, 53b), 마이크로 컨트롤러(54a, 54b) 및 DTMF 송신부 및 수신부(55a, 55b, 56a, 56b)는 그 기능이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무선을 이용한 장애 처리 요청부(151, , 15N)는 유선을 이용한 장애 처리 요청부(40)의 PSTN 접속부(47) 대신 무선 접속부(57a, 57b) 및 무선 ID 설정부(58a, 58b)를 포함한다.
무선 접속부(57a, 57b)는 DTMF 송신부(55a, 55b)로부터 수신된 DTMF 신호를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 이하 RF) 신호를 이용하여 무선신호 집중부(15)로 전송하고, 무선신호 집중부(15)로부터 수신된 RF 신호를 DTMF 수신부(56a, 56b)로 전송한다.
무선 ID 설정부(58a, 58b)는 각각의 장애 처리 요청부(50a, 50b) 별로 부여된 부여되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에 필요한 식별자인 무선 ID 정보를 저장한다. 장애 처리 요청부는 무선 ID 정보 및 장애 처리 요청 패킷을 포함하는 DTMF 신호를 RF 신호를 이용하여 무선신호 집중부(15)로 전송한다. 이때, 무선신호 집중부(15)는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된 무선 ID를 통해 복수의 장애 처리 요청부(151, , 15N) 중 RF 신호를 전송한 장애 처리 요청부를 판별한다.
상기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클라이언트부(141, 151, 15N)가 DTMF를 이용하여 장애 처리 중계 장치(300)로 장애 발생을 하는데 드는 시간은 대략 20에서 1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사용하는 전자 제품 내에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언트부(141, 151, ..., 15N)를 내장하면, 사용자가 일일이 전자 제품의 장애 발생을 감시할 필요가 없으며, 장애 발생 시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없이 해당 장애 처리 서비스 센터로 장애 발생 접수가 자동으로 이루어져 신속한 장애 처리가 이루어진다.
또한, 전자 제품의 장애 발생을 사용자가 감지하기까지에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나,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언트부(141, 151, ..., 15N)는 해당 전자 제품의 장애가 발생함과 동시에 이를 감지하여 해당 장애 처리 서비스 센터로 통보함으로써, 신속하게 장애를 처리할 수 있으며, 장애 발생으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상기한 도 1에 도시된 장애 처리 요청부에서 생성하는 장애 처리 요청 패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4a는 장애 처리 요청 패킷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장애 처리 요청 패킷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애 처리 요청 패킷(440)의 구조는 데이터의 길이와 값으로 나타낸다. 즉, 데이터의 길이는 2자리의 디짓으로 나타내고 전체 데이터 패킷의 길이는 3자리 digit로 나타내며, 데이터 길이 정보(441)와 제품모델 길이 정보(442)와 제품 모델명 정보(443)와 제품 일련번호 길이 정보(444)와 제품 일련번호 정보(445)와 장애 코드 길이 정보(446) 및 장애 내역 코드 정보(447)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는, 데이터 길이 정보(441)는 전체 데이터의 길이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자신의 길이를 제외한 전체 데이터의 길이를 나타낸다. 즉, 제품모델 길이 정보(442)와 제품 모델명 정보(443)와 제품 일련번호 길이 정보(444)와 제품 일련번호 정보(445)와 장애 코드 길이 정보(446) 및 장애 내역 코드 정보(447)의 길이를 합친 데이터 길이를 나타낸다.
제품모델 길이 정보(442) 제품모델명 정보(443)의 데이터 길이를 나타내며, 제품 모델명 정보(443)는 전자 제품의 모델명을 나타낸다.
제품 일련번호 길이 정보(444)는 제품 일련번호 정보(445) 데이터 길이를 나타내며, 제품 일련번호 정보(445)는 전자 제품의 일련번호를 나타낸다.
장애 코드 길이 정보(446)는 장애 내역 코드 정보(447)의 데이터 길이를 나타내며, 장애 내역 코드 정보(447)는 전자 제품에 발생된 장애에 대응하는 장애 내역 코드 값을 나타낸다.
장애 처리 서비스 장치(510, 520, 530, 540)는 장애 처리 요청 패킷에 포함된 데이터를 통해 장애가 발생한 전자 제품의 모델 종류와 제품의 일련번호 및 발생한 장애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장애 발생을 통한 제품의 장·단점 파악이 용이하고, 장애 수리 이전 단계에서 해당 제품에 발생한 장애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수리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b는 장애 처리 요청 패킷(440)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품 모델명이 'SCHa8800'이고 제품 일련번호가 '200450'이며 장애 내역 코드 '34'가 냉장고의 냉매 부족을 나타내는 장애 내역 코드 값이라고 가정할 경우의 장애 처리 요청 패킷을 나타낸다.
도 4b를 참조하면, '30'(a)은 전체 데이터 길이(441)를 나타내고, '16'(b)은 제품모델 길이(442)를 나타내며, '*73*23*42#218800'(c)은 제품 모델명 'SCHa8800'을 DTMF 값으로 변환하여 나타낸 것이고, '06'(d)은 제품 일련번호 길이(444)를 나타내며, '200450'(e)은 제품 일련번호(445)를 나타낸다. 그리고, '02'(f)는 장애 코드 길이(446)를 나타내며, '34'(g)는 장애 발생 원인인 냉매 부족을 나타내는 장애 내역 코드 값을 나타낸다.
도 5는 상기한 도 1에 도시된 장애 처리 중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상기한 도 5에 도시된 호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상기한 도 6에 도시된 장애 서비스 DB의 장애 발생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애 처리 중계 장치(300)는 호스트부(310), 통합 장애 서비스 DB(320), 중앙 처리 장치(330), 웹 서버(340) 및 인증 서버(350)를 포함한다.
호스트부(310)는 복수의 전자 제품(111, 121, , 13N)으로부터 수신된 장애 처리 요청 패킷을 포함하는 복수의 DTMF 신호로부터 장애가 발생한 전자 제품의 제품 모델명 정보, 제품 일련번호 정보 및 장내 내역 코드 값을 추출하고, 해당 클라언트부의 전화 번호를 나타내는 발신번호 정보를 검출하여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하며, 대응하는 장애 처리 서비스 장치로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를 전송하는 복수의 호스트(311, 312, 313, 314)를 포함한다. 여기서, 각각의 호스트는 각각의 장애 처리 서비스 장치와 연결되어 있다.
그러면, 후술하는 도 6을 참조하여 호스트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호스트는 PSTN 접속부(31), DTMF 송수신부(32, 33), 발신번호 수신부(34), 클라이언트 인증 DB(35), 장애 서비스 DB(36), RTC(Real Time Clock : 이하 RTC)부(37), 마이크로 컨트롤러(38), 이더넷 접속부(39) 및 통신부(40)를 포함한다.
PSTN 접속부(31)는 PSTN(200)과 연결되어 있으며, 복수의 전자 제품(111, 112, ..., 11N, 121, 122, ..., 12N, 131, 132, ..., 13N)과, DTMF 송수신부(32, 33)간의 DTMF 신호를 송수신한다.
DTMF 송신부(32)는 PSTN 접속부(31)로부터 수신된 DTMF 신호를 DTMF 값으로 변환하여 마이크로 컨트롤러(38)에 제공하고, DTMF 수신부(33)는 마이크로 컨트롤러(38)로부터 제공되는 DTMF 값을 DTMF 신호로 변환하여 PSTN 접속부(31)로 전송한다.
발신번호 수신부(34)는 PSTN 접속부(31)로부터 DTMF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해당 전자 제품이 위치하는 댁내 또는 사무실의 전화번호를 나타내는 발신번호 검출하여 마이크로 컨트롤러(38)에 제공한다.
클라이언트 인증 DB(35)는 복수의 클라이언트부(141, 151, ..., 15N) 중 호스트에서 인증한 클라이언트부를 판별하기 위해 클라이언트부별로 부여된 식별자인 클라이언트 ID 정보를 저장한다.
장애 서비스 DB(36)는 복수의 클라이언트부(141, 151, ..., 15N)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장애 처리 요청 패킷 통해 생성된 복수의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하는 장애 발생 히스토리 테이블(360)을 포함한다. 여기서, 장애 발생 히스토리 테이블(360)은 장애 처리 요청 패킷이 수신된 시간순으로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애발생일 정보(361)와 발신번호 정보(362)와 제품 모델명 정보(363)와 제품 일련번호 정보(364) 및 장애 내역 코드 정보(365)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는, 장애 발생일 정보(361)는 장애 처리 요청 패킷이 수신된 날짜 정보를 나타내고, 발신번호 정보(362)는 발신번호 수신부(34)에서 검출한 발신번호 정보를 나타낸다. 그리고, 제품 모델명 정보(363)와 제품 일련번호 정보(364) 및 장애 내역 코드 정보(365)는 장애 처리 요청 패킷으로부터 추출하며, 각각 제품 모델명과 제품 일련번호 및 장애 내역 코드 값을 나타낸다.
또한, 장애 서비스 DB(36)에 저장된 데이터들은 장애 처리 중계 장치(300)의 CPU(350)에서도 엑세스할 수 있다.
RTC부(37)는 호스트(311)의 시스템 시간을 관리하는 것으로서, 마이크로 컨트롤러(38)의 요청에 응답하여 현재의 날짜 정보와 시각 정보를 제공한다.
마이크로 컨트롤러(38)는 DTMF 송신부(32, 33), 발신번호 수신부(34), 클라이언트 인증 DB(35), 장애 서비스 DB(36), RTC부(37), 이더넷 접속부(39) 및 통신부(40)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한다.
이더넷 접속부(39) 및 통신부(40)는 장애 처리 서비스 시스템(500)에 구비되는 장애 처리 서비스 장치(510)로부터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를 요청받는 경우에 해당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장애 처리 서비스 장치(510)에 전송한다.
동작시, 마이크로 컨트롤러(38)는 복수의 클라이언트부(141, 151, ..., 15N)로부터 장애 처리 요청 패킷을 전송을 위한 클라이언트 ID를 수신 받으면, 클라이언트 인증 DB(35)를 통해 인증된 클라이언트부(141, 151, ..., 15N)인지를 검사한다.
마이크로 컨트롤러(38)는 해당 클라이언트부가 인증된 클라이언트부(141, 151, ..., 15N)이면 장애 처리 요청 패킷을 포함하는 DTMF 신호를 PSTN 접속부(31)를 통해 수신받는다.
발신번호 수신부(34)는 수신된 DTMF 신호로부터 발신번호를 검출하고, DTMF 송신부(32)는 수신된 DTMF 신호를 DTMF 값으로 변환한다. 호스트(311)는 이러한 발신번호 수신부(34)에 의해 검출된 발신 번호를 통해 해당 클라이언트부의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전화번호를 통해 장애가 발생한 해당 전자 제품의 현재 위치한 곳의 주소 정보까지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장애 접수에 따라 장애 수리를 위해 장애가 발생한 전자 제품 수리를 위해 방문시, 해당 전자 제품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일일이 전화를 거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제품 사용자의 전화번호가 변경되어도 발신번호 수신부(34)에서 자동으로 전화번호를 검출함으로써, 전화번호 변경 신고를 위해 사용자가 일일이 장애 처리 서비스 센터에 전화번호 변경 신고를 해야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장애 처리 서비스 센터는 해당 사용자의 전화번호 변경에 따른 정보 확인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38)는 발신번호 수신부(34)에서 추출한 발신번호 정보와, RTC부(37)로부터 현재 날짜정보와, DTMF 값으로 변환된 장애 처리 요청 패킷으로부터 추출한 제품 모델명과 제품 일련번호 및 장애 내역 코드 값을 포함하는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를 장애 서비스 DB(36)의 장애 발생 히스토리 테이블에 저장한다.
그리고, 마이크로 컨트롤러(38)는 호스트(311)에 대응하는 장애 처리 서비스 장치(510)로부터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 요청을 이더넷 접속부(39) 또는 통신부(40)를 경유하여 수신 받으면, 복수의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를 장애 처리 서비스 장치(510)와 통합 장애 서비스 DB(320)로 전송하고, 장애 발생 히스토리 테이블(36)에 저장된 데이터를 효율적인 메모리 관리를 위해 삭제한다. 이때, 통합 장애 서비스 DB(320)로 복수의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를 전송할 경우에는 각각의 호스트별로 부여된 식별자를 나타내는 호스트 ID 정보를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와 함께 전송한다.
장애 처리 중계 장치(300)의 통합 장애 서비스 DB(320)는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를 복수의 호스트(311, 312, 313, 314)로부터 수신받아 저장하고, 장애 처리 중계 장치에서 관리하는 복수의 전자 제품 업체에 대한 정보와 복수의 전자 제품에 대한 제품 정보 및 인터넷상에서 등록한 사용자들에 정보를 저장한다. 통합 장애 서비스 DB(320)에서 관리하는 데이터 테이블은 후술하는 도 8a 내지 도 8d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중앙 처리 장치(330)는 호스트부(310)와 통합 장애 서비스 DB(320)와 웹 서버(340) 및 인증 서버(350)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특정 호스트로부터 수신된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를 통합 장애 서비스 DB(320)로 전송한다. 또한, 중앙 처리 장치(330)는 웹 서버(340)를 통해 전자 제품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전자 제품에 대한 장애 발생 현황 정보를 제공하고, 미등록된 장애 발생 요청 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호스트로 전송하며, 특정 제품 또는 특정 업체에 대한 장애 발생 현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웹 서버(340)는 일종의 홈페이지나 웹페이지를 관리하며, 인터넷(400)을 경유하여 엑세스하는 단말의 요청에 따라 해당 홈페이지나 웹 페이지를 제공한다.
인증서버(350)는 등록된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통합 장애 서비스 DB(320)를 참조하여 인증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장애 처리 중계 장치(300)는 장애 처리 중계 장치(300)가 인터넷상에 제공하는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에게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전자 제품에 대한 장애 발생 내역과 현재 처리 중인 장애에 대한 현황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각각의 전자 제품의 장애 처리 서비스 센터에 일일이 알아보아야 하는 불편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특정 제품 또는 대한 장애 발생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특정 전자 제품을 구입할 경우 해당 제품의 완성도를 체크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한다.
도 8a 내지 도 8d는 상기한 도 6에 도시된 통합 장애 서비스 DB에 저장된 데이터 테이블들을 설명하기 도면으로서, 상기 통합 장애 서비스 DB는 제품 정보 테이블(321)과 장애 코드 테이블(322)과 통합 장애 발생 히스토리 테이블(323) 및 인증 테이블(324)을 포함한다.
먼저, 도 8a을 참조하면, 복수의 전자 제품 생산 업체에 대한 정보 및 복수의 전자 제품별 정보를 저장하는 제품 정보 테이블(321)은 전자 제품 생산 업체명을 나타내는 제휴 업체명 정보(211), 해당 업체에 호스트 ID를 나타내는 호스트 ID 정보(212), 전자 제품의 종류를 나타내는 전자 제품 종류 정보(213), 제품 종류에 따라 부여되는 코드 값을 나타내는 제품 종류별 코드 값 정보(214), 제품의 명칭을 나타내는 제품명 정보(215), 제품 모델명 정보(216) 및 제품 일련번호 정보(217)를 포함한다.
한편, 장애 코드 테이블(322)은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애 종류에 따른 코드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장애 종류에 따른 코드 값을 나타내는 장애 내역 코드 정보(221) 및 장애 내역 코드 값에 대응하는 장애 종류를 나타내는 장애 내용 정보(222)를 포함한다.
상기한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합 장애 발생 히스토리 테이블(323)은 복수의 호스트(311, 312, 313, 31N)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수신된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에 대응하는 호스트의 식별자를 나타내는 호스트 ID 정보(231)와 호스트에 대응하는 제휴 업체명 정보(232)와 장애발생일 정보(233)와 발신번호 정보(234)와 제품 모델명 정보(235)와 제품 일련번호 정보(326)와 장애 내역 코드 정보(237) 및 발생한 해당 장애에 대한 현재 처리 현황을 나타내는 장애 처리현황 정보(238)를 나타낸다.
상기한 도 8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증 테이블(324)은 인터넷상에서 전자 제품 장애 발생에 대한 정보 제공시, 사용자 인증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각각의 사용자별로 부여된 사용자 ID 정보(241)와, 사용자 성명을 나타내는 성명 정보(242)와, 사용자가 사용하는 전화번호를 나타내는 서비스 연결번호-1(243) 및 서비스 연결번호-2(244)와,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나타내는 주민등록번호 정보(245) 및 사용자의 주소를 나타내는 주소 정보(246)를 포함한다. 이때, 서비스 연결번호(243, 244)는 사용자에 대응하는 장애 발생 내역을 조회할 경우, 통합 장애 발생 히스토리 테이블(323)을 참조하여 서비스 연결번호(243, 244)와 동일한 발신번호를 검색하고, 해당 서비스 연결번호(243, 244)와 동일한 발신번호에 대응하는 통합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자 제품 장애 처리 중계 서비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먼저 전자 제품 출하시 해당 전자 제품의 기본정보를 설정사항 기억부(42, 52a, 52b)에 저장하여 클라이언트부(141, 151, ..., 15N)를 셋팅한다(단계 S10).
또한, 장애 처리 중계 장치(300)는 복수의 전자 제품 업체에 대한 업체 정보와 복수의 전자 제품에 대한 정보를 통합 장애 서비스 DB(320)의 제품 정보 테이블(321)에 저장하여 업체 정보와 제품 정보를 셋팅한다(단계 S11).
또한, 장애 처리 중계 장치(300)는 인터넷(400)을 통해 등록한 전자 제품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통합 장애 서비스 DB(320)의 인증 테이블(324)로 저장하여 사용자 정보를 셋팅한다(단계 S12). 여기서, 상기한 단계 S10 내지 12의 순서는 램덤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어, 해당 전자 제품이 댁내나 사무실 등에서 사용됨에 따라 복수의 클라이언트부(141, 151, ..., 15N)는 해당 전자 제품에 장애가 발생했는지 감지하고, 상기 장애가 발생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장애 처리 요청 패킷을 포함하는 DTMF 신호를 장애 처리 중계 장치(300)의 해당 호스트로 전송한다(단계 S13). 물론, 이때 상기 전자 제품은 댁내나 사무실에 구비되는 PSTN망의 종단이라 할 수 있는 전화연결잭에 유선 연결되거나 또는 무선신호 집중부(15)를 경유하여 상기 전화연결잭에 무선 연결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하다.
이어, 호스트는 장애가 발생한 클라이언트부(141, 151, ..., 15N)로부터 PSTN(200)을 경유하여 수신된 DTMF 신호를 이용하여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고,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를 장애 서비스 DB(36)에 저장한다(단계 S14).
이어, 호스트는 해당 장애 서비스 장치로부터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 요청이 존재하는지 체크한 후(단계 S15),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 요청이 미존재하는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대기한다.
단계 S15에서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 요청이 존재하는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해당 호스트는 복수의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를 해당 장애 처리 서비스 장치와 통합 장애 서비스 DB(320)로 전송한다(단계 S16).
이어, 장애 처리 중계 장치(300)는 인터넷(400)을 통한 전자 제품 장애 발생에 대한 정보 제공을 요청하는 전자 제품 장애 서비스 요청이 존재하는지 체크하고(단계 S17), 전자 제품 장애 서비스 요청이 미존재하는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대기한다.
단계 S17에서 전자 제품 장애 서비스 요청이 존재하는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통합 장애 서비스 DB(320)의 인증 테이블(324)을 참조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단계 S18), 인증된 사용자인지를 체크한다(단계 S19).
단계 S19에서 비인증된 사용자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비인증 사용자임을 알리는 에러 메시지를 생성한 후 인터넷(400)을 경유하여 사용자의 해당 단말기(미도시)로 전송한다(단계 S20).
단계 S19에서 인증된 사용자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전자 제품 장애 서비스 요청이 사용자의 전자 제품에 대한 장애 내역 및 처리 현황을 조회하는 장애 내역 조회 요청인지를 체크한다(단계 S21).
단계 S21에서 장애 내역 조회 요청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에 대응하는 장애 발생 정보를 통합 장애 서비스 DB(320)로부터 추출한 후 인터넷(400)을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미도시)로 전송한다(단계 S22).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전자 제품 사용자의 인터넷 연결 가능한 컴퓨터나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이다.
단계 S21에서 장애 내역 조회 미요청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전자 제품 장애 서비스 요청이 전자 제품에 발생한 장애 처리 요청을 위해 장애 발생 내역을 등록하는 장애 처리 서비스 요청인지를 체크한다(단계 S23).
단계 S23에서 장애 처리 서비스 요청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미도시)로부터 인터넷(400)을 경유하여 장애 발생 내역 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호스트의 장애 서비스 DB(36)로 전송한다(단계 S24).
단계 S23에서 장애 처리 서비스 미요청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전자 제품 장애 서비스 요청이 다른 부가 서비스 요청인지를 체크하고(단계 S25), 해당 부가 서비스를 제공한다(단계 S26).
도 10은 상기한 도 9a에 도시된 전자 제품 장애 발생 감지 및 장애 처리를 요청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클라이언트부(141, 151, ..., 15N)는 전자 제품에 장애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체크하고(단계 S131), 장애 미발생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장애 발생을 계속 감시한다.
단계 S131에서 장애 발생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해당 호스트와 연결된 전화 회선이 사용중인지를 체크하고(단계 S132), 사용중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대기한다.
단계 S132에서 전화 회선이 미사용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저장된 해당 호스트의 전화번호로 연결을 요청한다(단계 S133).
이어, 해당 호스트가 다른 클라이언트부와 미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훅 오프 상태인지를 체크하고(단계 S134), 훅 온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훅 오프상태가 될 때까지 대기한다.
단계 S134에서 훅 오프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자신의 클라이언트 ID를 DTMF 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호스트로 전송한다(단계 S135).
이어, 호스트로부터 비인증된 클라이언트부임을 나타내는 에러 메시지가 수신됐는지 여부를 체크하고(단계 S136), 에러 메시지 수신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호스트와의 연결을 끊고 단계 S132로 피드백한다.
단계 S136에서 에러 메시지 미수신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장애 처리 요청 패킷을 DTMF 신호로 변환하여 해당 호스트로 전송한다(단계 S137).
이어, 해당 호스트로부터 장애 처리 요청 패킷을 수신 받았음을 나타내는 호스트 ID가 수신됐는지 여부를 체크하고(단계 S138), 호스트 ID 미수신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대기한다.
단계 S138에서 호스트 ID 수신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호스트와의 연결을 끊는다(단계 S139).
도 11은 상기한 도 9a에 도시된 전자 제품 장애 처리 요청을 접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호스트는 특정 클라이언트부(141, 151, ..., 15N)와 연결된 링(Ring) 상태인지를 체크하고(단계 S141), 여러 클라이언트부(141, 151, ..., 15N)가 접속을 요청하는 폴(Poll) 상태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접속을 요청한 시간 순서대로 해당 클라이언트부와 연결한다(단계 S142).
단계 S141에서 링 상태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연결된 해당 클라이언트부로부터 수신된 클라이언트 ID를 포함하는 DTMF 신호를 통해 해당 클라이언트부(141, 151, ..., 15N)의 발신번호를 검출하고, 클라이언트 인증 DB를 참조하여 수신된 클라이언트 ID가 존재하는지 검색하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단계 S143).
이어, 인증된 클라이언트부인지를 체크하고(단계 S144), 비인증된 클라이언트부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에러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클라이언트부(141, 151, ..., 15N)로 전송한다(단계 S145).
단계 S146에서 인증된 클라이언트부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해당 클라이언트부(141, 151, ..., 15N)로부터 장애 처리 요청 패킷을 포함하는 DTMF 신호를 수신 받는다(단계 S146).
이어, 장애 처리 요청 패킷의 수신이 성공했음을 해당 클라이언트부(141, 151, ..., 15N)로 알리기 위해 호스트 ID를 해당 클라이언트부(141, 151, ..., 15N)로 전송한다(단계 S147).
이어, 수신된 장애 처리 요청 패킷을 이용하여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한 후 장애 서비스 DB(36)에 저장한다(단계 S148).
도 12는 상기한 도 9a에 도시된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먼저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 요청을 수신 받은 호스트부는 장애 서비스 DB(36)에 저장된 복수의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를 해당 장애 처리 서비스 장치로 전송한다(단계 S161).
이어,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 및 호스트 ID를 통합 장애 서비스 DB(320)로 전송하고(단계 S162), 장애 서비스 DB(36) 내에 존재하는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를 삭제한다(단계 S163).
도 13은 상기한 도 9b에 도시된 장애 내역 조회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먼저 장애 처리 중계 장치(300)는 통합 장애 서비스 DB(320)의 인증 테이블(324)을 참조하여 사용자의 서비스 연결번호 정보를 추출한다(단계 S221).
이어, 통합 장애 발생 히스토리 테이블(323)을 참조하여 서비스 연결번호와 동일한 발신번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하고(단계 S222), 동일한 발신번호 미존재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 대응하는 장애 발생 내역이 미존재함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인터넷(400)을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미도시)로 전송한다.
단계 S222에서 서비스 연결번호와 대응하는 발신번호가 존재하는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해당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를 추출한 후(단계 S224), 인터넷(400)을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단계 S225)
도 14는 상기한 도 9b에 도시된 인터넷상에서 장애 발생 내역을 접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먼저 장애가 발생한 전자 제품에 대한 제품 정보와 장애 원인 정보를 포함하는 장애 처리 요청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미도시)로부터 인터넷(400)을 경유하여 수신 받는다(단계 S241).
이어, 통합 장애 서비스 DB(320)의 제품 정보 테이블(321)을 참조하여 장애가 발생한 해당 전자 제품의 제품 일련번호에 대응하는 호스트 ID 정보를 추출하고(단계 S242), 해당 호스트로 장애 처리 요청 데이터를 전송한다(단계 S242).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애 처리 중계 시스템은 전자 제품의 장애 발생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사용자의 조작 없이 장애 발생에 대한 정보가 자동으로 해당 장애 처리 서비스 장치로 접수됨으로써, 전자 제품의 장애 처리가 신속히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장애 처리 서비스 요원이 전자 제품의 장애 발생 종류를 방문 전에 미리 인지할 수 있으므로, 장애 수리가 용이하며, 각 제품 종류별 장애 발생에 대한 정보를 취합하여 데이터화하는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장애 발생 내역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이 용이하다.
그리고, 장애 처리 서비스 센터 요원은 사용자에게 전화번호를 물어야하는 번거로움 없이 발신 번호의 자동 검출로 인해 장애 발생 접수받은 장애 처리 서비스 센터에서 해당 전자 제품 사용자에게 직접 전화를 걸 수 있다.
또한,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가 자신의 전자 제품에 대한 장애 발생 내역 및 등록된 장애 발생에 대한 처리 현황을 조회할 수 있으므로, 장애 처리 현황을 조회를 위해 해당 장애 처리 서비스 센터로 전화를 해야하는 번거로움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전 또는 사후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해 자체 장애 처리 요청 기능을 갖는 전자 제품의 클라이언트부는 당업자라면 일반적인 데이터 송수신에 사용되는 전화 모뎀(Dial up Modem)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한 전화 모뎀은 경우는 비용이 고가인 점을 감안하면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DTMF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왜냐하면, 본 발명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그 양이 많지 않을 뿐더러 전송 속도의 고속화도 요구되지 않으므로 굳이 고가의 전화 모뎀을 이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제품의 장애 발생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없이 장애 발생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해당 장애 처리 서비스 장치에 접수시킴으로써, 미처 감지하지 못한 전자 제품의 장애 발생을 감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조기에 전자 제품을 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전자 제품의 장애 처리를 신속히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제품에 장애 발생시, 자동으로 해당 장애 처리 서비스 센터로 장애 발생에 대한 정보를 접수시킬 수 있으므로 전자 제품 사용자가 일일이 해당 전자 제품의 장애 처리 서비스 센터에 전화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전자 제품 장애 발생에 대한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 제품에 장애가 발생한 사용자의 전화번호가 자동으로 검출됨으로써, 전화번호가 변경될 때마다 사용자가 해당 전자 제품의 장애 처리 센터로 전화번호 변경 등록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장애 처리 서비스 센터는 사용자의 전화번호가 자동으로 검출됨으로써, 변경된 사용자의 정보를 자동으로 갱신하여 관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정보 변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능동적인 데이터 갱신에 따라 정보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제품에 장애 발생시, 전자 제품의 장애 발생을 사용자가 감지하기까지에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나, 전자 제품의 장애가 발생함과 동시에 이를 감지하여 해당 장애 처리 서비스 센터로 신속한 통보가 이루어짐으로써, 신속하게 장애를 처리할 수 있으며, 장애 발생으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 제품과의 데이터 송수신시, 일반적으로 데이터 송수신에 사용하는 고가의 전화 모뎀을 사용하지 않고, 저렴한 DTMF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장애 처리 서비스 센터 요원이 전자 제품의 장애 발생 종류를 방문 전에 미리 인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신속, 정확하고 용이하게 전자 제품의 장애를 수리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제품의 제조사측에서는 자사에서 제조된 각종 제품들의 결합이나 장애의 종류 등을 일목요연하게 관리할 수 있으므로 일종의 고객별 불만 사항 등에 보다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고, 향후 제품 제조시, 빈번하게 발생하는 결함에 대해서 보다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제품의 제조사측은 자동으로 전자 제품의 장애를 접수받아 이를 수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한 장애까지도 사전에 감지하여 해당 장애를 수리하는 고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고객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가 자신의 전자 제품에 대한 장애 발생 내역 및 등록된 장애 발생에 대한 처리 현황을 조회할 수 있으므로, 장애 처리 현황의 조회를 위해 해당 장애 처리 서비스 센터로 전화를 해야하는 번거로움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품 장애 처리 중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복합 주파수 부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장애 처리 요청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장애 처리 요청부에서 생성하는 패킷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장애 처리 중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호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호스트의 장애 서비스 DB에 저장된 장애 발생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도 6에 도시된 통합 장애 DB에 저장된 데이터 테이블들을 설명하기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품 장애 처리 중계 서비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9a에 도시된 전자 제품 장애 발생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9a에 도시된 전자 제품 장애 처리 요청을 접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도 9a에 도시된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도 9b에 도시된 장애 내역 정보를 조회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도 9b에 도시된 인터넷상에서 장애 발생 내역을 접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자 제품 사용자 그룹 300 : 장애 처리 중계 장치
310 : 호스트부 320 : 통합 장애 서비스 DB
330 : 중앙 처리 장치 340 : 웹 서버
350 : 인증 서버 500 : 장애 처리 서비스 시스템
111,112,...,11N,121,122,...,12N,131,132,...,13N : 전자 제품

Claims (15)

  1. 전자 제품 각각 내장되어 상기 전자 제품의 장애를 감지하여 발생한 장애에 대응하는 장애 내역 코드를 생성하는 장애 발생 감지부; 및
    상기 장애 발생 감지부로부터 수신된 장애 내역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장애 처리 요청 패킷을 생성하여 DTMF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장애 처리 요청부를 포함하되,
    상기 장애 처리 요청부는,
    각각의 장애 처리 요청 장치별로 부여된 식별자를 나타내는 해당 장애 처리 요청 장치에 대응하는 장애 처리 요청부 ID와, 전자 제품별로 유일하게 설정되는 제품 일련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제품정보 및 해당 호스트부의 전화번호 정보를 저장하는 설정사항 기억부;
    상기 장애 발생 감지부로부터 발생된 장애에 대응하는 장애 내역 코드 값을 수신받는 장애 발생 감지 접속부;
    상기 장애 발생 감지 접속부로부터 상기 장애 내역 코드값을 수신받는 경우에 상기 설정사항 기억부를 참조하여 상기 장애 처리 요청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해당 호스트로 전화 걸기 명령 및 생성된 상기 장애 처리 요청 패킷을 전송하는 중앙 제어부;
    상기 중앙 제어부의 제어에 응답하여 상기 장애 처리 요청 패킷을 송신용 DTMF 신호로 변환하여 해당 호스트로 전송하는 DTMF 송신부; 및
    상기 호스트로부터 수신용 DTMF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디짓 정보인 DTMF 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 제어부에 제공하는 DTMF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처리 요청부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에 필요한 식별자인 무선 ID 정보를 저장하는 무선 아이디 설정부; 및
    상기 DTMF 송신부로부터 송신용 DTMF 신호가 제공됨에 따라 상기 무선 ID와 송신용 DTMF 신호를 송신용 RF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그의 응답에 따라 수신되는 수신용 RF 신호를 송신용 DTMF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DTMF 수신부에 제공하는 무선 접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품의 장애 처리 중계 시스템.
  4. (a) 전자 제품의 장애 발생 원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제품에 장애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장애 처리 요청 패킷을 포함하는 DTMF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DTMF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장애 발생 원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전자 제품의 장애를 처리하는 장애 처리 센터로부터 복수의 장애 발생 원인 정보를 포함하는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를 요청하는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 요청이 존재하는지 체크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c)에서 상기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 요청이 존재하는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해당 장애 처리 장치에 대응하는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제품의 장애 처리 중계 서비스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품 장애 처리 중계 서비스 방법은,
    (e) 상기 복수의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를 통합 장애 서비스 DB로 전송하는 단계;
    (f) 인터넷을 경유하여 수신된 전자 제품 장애 발생에 대한 정보 제공을 요청하는 전자 제품 장애 서비스 요청이 존재하는지 체크하는 단계;
    (g) 상기 단계(f)에서 전자 제품 장애 서비스 요청이 존재하는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통합 장애 서비스 DB를 참조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h) 상기 전자 제품 장애 서비스 요청이 사용자의 전자 제품에 대한 장애 내역 및 처리 현황을 조회하는 장애 내역 조회 요청인지를 체크하는 단계;
    (i) 상기 단계(h)에서 상기 전자 제품 장애 서비스 요청이 장애 내역 조회 요청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장애 내역 조회 요청에 대응하는 장애 발생 정보를 통합 장애 서비스 DB를 추출하는 단계; 및
    (j) 상기 단계(h)에서 상기 전자 제품 장애 서비스 요청이 전자 제품에 발생한 장애 처리 요청을 위해 장애 발생 내역을 등록하는 장애 처리 서비스 요청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장애 발생 내역 정보를 인터넷을 경유하여 수신받아 해당 호스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품의 장애 처리 중계 서비스 방법.
  6. 전자 제품 각각 내장되어, 상기 전자 제품의 장애 발생 원인과 함께 상기 장애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장애 처리 요청 패킷을 생성하고, DTMF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장애 처리 요청 패킷을 전송하는 복수의 장애 처리 요청부; 및
    공중 교환망을 경유하여 복수의 장애 처리 요청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DTMF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장애 처리 요청부의 전화번호를 추출하고 상기 장애 발생 원인 정보를 추출한 후 저장하고, 복수의 장애 발생 원인 정보를 포함하는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전자 제품의 장애를 처리하는 해당 장애 처리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복수의 호스트를 갖는 중계부를 포함하는 전자 제품의 장애 처리 중계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부는,
    상기 복수의 호스트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와, 복수의 전자 제품 및 복수의 전자 제품 생산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통합 장애 서비스 DB;
    다수의 웹 페이지를 관리하고, 인터넷 백본망을 경유하여 엑세스하는 단말의 요청에 따라 해당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웹 서버; 및
    상기 복수의 호스트와 통합 장애 서비스 DB 및 웹 서버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고, 상기 웹 서버를 통해 수신된 장애 발생 내역 조회 요청이 제공됨에 따라 상기 통합 장애 서비스 DB를 참조하여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중앙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품의 장애 처리 중계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장애 서비스 DB는,
    상기 복수의 전자 제품 생산 업체에 대한 정보 및 복수의 전자 제품별 정보를 저장하는 제품 정보 테이블, 상기 복수의 전자 제품에서 발생하는 장애의 종류에 대응하는 장애 코드값을 각각의 장애 종류별로 나타내는 장애 코드 테이블, 상기 복수의 호스트로부터 수신된 상기 복수의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하는 통합 장애 발생 히스토리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장애 처리 요청 패킷은,
    상기 전자 제품의 모델명을 나타내는 제품 모델명 정보;
    상기 전자 제품의 일련번호를 나타내는 제품 일련번호 정보; 및
    장애의 종류를 나타내는 장애 내역 코드 값들 중 상기 전자 제품에 발생된 장애에 대응하는 장애 내역 코드값을 나타내는 장애 내역 코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는,
    상기 장애 처리 요청 패킷이 수신된 날짜정보를 나타내는 장애 발생 시간 정보;
    상기 장애 처리 요청부의 전화번호를 나타내는 발신번호 정보; 및
    제품의 사양 및 제품 일련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제품 정보; 및
    발생된 장애의 종류에 대응하는 장애 내역 코드 값을 나타내는 장애 내역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품의 장애 처리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처리 요청부는,
    각각의 장애 처리 요청 장치별로 부여된 식별자를 나타내는 해당 장애 처리 요청 장치에 대응하는 장애 처리 요청부 ID와, 전자 제품별로 유일하게 설정되는 제품 일련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제품정보 및 해당 호스트부의 전화번호 정보를 저장하는 설정사항 기억부;
    상기 장애 발생 감지부로부터 발생된 장애에 대응하는 장애 내역 코드 값을 수신받는 장애 발생 감지 접속부;
    상기 장애 발생 감지 접속부로부터 상기 장애 내역 코드 값을 수신받는 경우에 상기 설정사항 기억부를 참조하여 장애 처리 요청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해당 호스트로 전화 걸기 명령 및 상기 생성된 장애 처리 요청 패킷을 전송하는 중앙 제어부;
    상기 중앙 제어부의 제어에 응답하여 상기 장애 처리 요청 패킷을 송신용 DTMF 신호로 변환하여 해당 호스트로 전송하는 DTMF 송신부; 및
    상기 호스트로부터 수신용 DTMF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디짓 정보인 DTMF 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 제어부에 제공하는 DTMF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품의 장애 처리 중계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처리 요청부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에 필요한 식별자인 무선 ID 정보를 저장하는 무선 아이디 설정부;
    상기 DTMF 송신부로부터 송신용 DTMF 신호가 제공됨에 따라 상기 무선 ID와 송신용 DTMF 신호를 송신용 RF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그의 응답에 따라 수신되는 수신용 RF 신호를 송신용 DTMF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DTMF 수신부에 제공하는 무선 접속부; 및
    상기 장애 처리 중계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무선 접속부를 경유하여 수신된 상기 송신용 RF 신호를 유선용 DTMF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유선용 DTMF 신호를 근거로 다이얼링하고, 그의 응답에 따른 수신용 DTMF 신호를 상기 수신용 RF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무선 접속부에 제공하는 무선 신호 집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품의 장애 처리 중계 시스템.
  13. 삭제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는,
    상기 장애 처리 요청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DTMF 신호로부터 상기 장애 처리 요청부의 전화번호를 나타내는 발신번호를 검출하기 위한 발신번호 검출부;
    각각의 장애 처리 요청부에 대응하는 클라이언트 ID 정보를 저장하는 클라이언트 인증 DB;
    상기 장애 처리 요청 패킷이 수신된 시간순으로 상기 복수의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하는 장애 서비스 DB;
    현재의 날짜 정보와 시간 정보를 관리하는 RTC부;
    상기 호스트와 상기 장애 처리 서비스 장치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애 처리 서비스 센터 접속부;
    상기 클라이언트 인증 DB를 이용하여 상기 장애 처리 요청부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장애 처리 요청부로부터 수신된 DTMF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를 상기 장애 서비스 DB에 저장하며, 상기 장애 처리 서비스 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장애 처리 서비스 센터 접속부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장애 발생 히스토리 정보를 해당 장애 처리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상기 중앙 제어부;
    상기 장애 처리 요청부로부터 수신용 DTMF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장애 처리 요청 패킷을 포함하는 수신용 DTMF 신호를 디짓 정보인 DTMF 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 제어부에 제공하는 DTMF 수신부; 및
    상기 중앙 제어부의 제어에 응답하여 상기 호스트에 대응하는 식별자 정보인 호스트 ID 값을 송신용 DTMF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장애 처리 요청부로 전송하는 DTMF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품의 장애 처리 중계 시스템.
  15. 삭제
KR10-2002-0073452A 2002-11-25 2002-11-25 전자 제품과 이의 장애 처리 중계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위한 시스템 KR100516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3452A KR100516306B1 (ko) 2002-11-25 2002-11-25 전자 제품과 이의 장애 처리 중계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3452A KR100516306B1 (ko) 2002-11-25 2002-11-25 전자 제품과 이의 장애 처리 중계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829A KR20030012829A (ko) 2003-02-12
KR100516306B1 true KR100516306B1 (ko) 2005-09-21

Family

ID=27729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3452A KR100516306B1 (ko) 2002-11-25 2002-11-25 전자 제품과 이의 장애 처리 중계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630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7637A (ko) * 1992-12-29 1994-07-27 백중영 공중전화기의 고장 자동 통보장치 및 방법
KR970056688A (ko) * 1995-12-28 1997-07-31 김광호 무인경비 시스템의 통화로 자동 고장진단 장치 및 방법
KR19980016037U (ko) * 1996-09-14 1998-06-25 송기성 전화식 경보장치
KR20010016763A (ko) * 1999-08-03 2001-03-05 문성준 중계기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010112974A (ko) * 2000-06-15 2001-12-24 이계철 통신장비 이상경보 전달 시스템
KR20020011527A (ko) * 2000-08-02 2002-02-09 유근영 무정전 전원장치의 이상상태 통보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7637A (ko) * 1992-12-29 1994-07-27 백중영 공중전화기의 고장 자동 통보장치 및 방법
KR970056688A (ko) * 1995-12-28 1997-07-31 김광호 무인경비 시스템의 통화로 자동 고장진단 장치 및 방법
KR19980016037U (ko) * 1996-09-14 1998-06-25 송기성 전화식 경보장치
KR20010016763A (ko) * 1999-08-03 2001-03-05 문성준 중계기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010112974A (ko) * 2000-06-15 2001-12-24 이계철 통신장비 이상경보 전달 시스템
KR20020011527A (ko) * 2000-08-02 2002-02-09 유근영 무정전 전원장치의 이상상태 통보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829A (ko) 2003-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55230B (zh) 一种网络家电故障反馈系统
JP3785451B2 (ja) 家電製品保守修理サービスシステム
CN101299684B (zh) 一种检测网络家电设备通讯功能的装置
CN102739570B (zh) 一种通过智能手机WiFi开通家庭网关的方法
US74369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elephone number, and computer product
CN101510089B (zh) 电气设备管理系统、电气设备管理服务器及电气设备管理方法
NO309120B1 (no) Celledelt mobilt radiotelefonsystem og fremgangsmÕte for automatisk identifisering av en valgt mobiltelefon
WO2001095652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upport to a mobile communications unit
WO2006098279A1 (ja) 無線ネットワーク接続支援装置、それを用いた接続支援システムと接続支援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1491008A (zh) 站点、设置信息管理设备、无线通信系统、设置信息获取方法、计算机可读介质
US6934542B2 (en) System for managing operation status of equipment and apparatus used therein
EP2158690B1 (en)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setup of wireless device for home network
JP4580811B2 (ja) 無線データ通信システム
JP2008108111A (ja) 電子機器異常通知システム及び電子機器異常通知方法
JP2006050651A (ja) 家電製品保守修理サービスシステム
KR100516306B1 (ko) 전자 제품과 이의 장애 처리 중계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위한 시스템
CN105187651B (zh) 一种手机app添加周边设备的方法
JP2003241827A (ja) ネットワークを用いた家電製品の管理システム
KR20000050224A (ko)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네트워크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06100904A (zh) 设备连接方法和设备连接系统
KR101500299B1 (ko) 원격 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055399A (zh) 智能家电的配网系统和方法
JP2007011542A (ja) 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管理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管理方法
JP3212802B2 (ja) 遠隔監視装置
KR20040037607A (ko) 다수의 지역에 설치되어 체감품질을 감시하기 위한 체감품질 서비스 감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