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6284B1 - 통신 단말기에서의 영상 및 음성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단말기에서의 영상 및 음성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6284B1
KR100516284B1 KR10-2003-0029331A KR20030029331A KR100516284B1 KR 100516284 B1 KR100516284 B1 KR 100516284B1 KR 20030029331 A KR20030029331 A KR 20030029331A KR 100516284 B1 KR100516284 B1 KR 100516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video
image
voice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9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6350A (ko
Inventor
윤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3-0029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6284B1/ko
Publication of KR20040096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6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6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62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8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에서의 영상 및 음성 처리 장치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서 피사체 촬상시 영상과 함께 음성을 실시간으로 녹음하여 저장해 두고(영상정보+음성정보), 추후 영상 및 음성의 동시 재생 및 타 단말기로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되, 특히 촬영시간과 녹음시간이 다른 영상과 음성을 일체형의 정보로 가공하기 위한 영상 및 음성 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카메라가 장착된 단말기에서의 영상 및 음성 처리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위한 사용자 입력수단; 사용자의 키조작에 따라, 촬상 구동 제어신호 및 음성 입력/종료 제어신호를 동시에 발생하여 영상 촬영과 동시에 음성 녹음을 시작/종료 제어하고, 촬영시간과 녹음시간이 다른 촬상된 영상과 발화된 음성을 일체형의 정보로 가공하며, 영상 재생 제어신호 및 음성 출력 제어신호를 동시에 발생하여 영상 재생과 함께 영상 재생시간 동안 해당 음성을 동시에 출력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 촬영시간과 녹음시간이 다른 영상과 음성이 혼합된 상기 일체형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수단; 상기 촬상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카메라를 구동하여 촬상된 영상을 신호처리하고, 상기 영상 재생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영상을 신호처리하여 화면 출력하기 위한 영상처리수단; 및 상기 음성 입력/종료 제어신호에 따라 음성입력장치를 구동하여 입력된 음성을 신호처리하고, 상기 음성 출력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해당 영상에 맵핑된 음성을 신호처리하여 음성출력장치를 통해 상기 해당 영상의 영상 재생시간 동안 실시간으로 출력하기 위한 음성처리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통신 단말기에서의 영상 및 음성 처리 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video and audio in tele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에서의 영상 및 음성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서 피사체 촬상시 음성을 동시에 녹음하여 함께 저장해 두고(영상정보+음성정보), 추후 재생 및 타 단말기로의 전송이 가능한 것이다.
현재, 이동통신 호출기로부터 시작하여 셀룰라 폰(cellular phone), 개인휴대전화기(PCS)를 거쳐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기반의 이동통신까지 최근 몇 년 사이에 이동통신 환경은 엄청난 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전과 함께 단말기를 통해 가능한 부가 서비스에 대한 모색도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특히,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IMT-2000, UMTS로의 초고속 이동통신의 발전은 무선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분야의 성장을 예고하고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 통신 중에서 현재 가장 관심을 많이 받고 있는 분야가 다름 아닌 무선 인터넷을 통한 다양한 정보의 송수신이며, 무선 데이터 송수신의 전송속도가 향상됨에 따라 데이터 크기가 큰 영상까지도 송수신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하드웨어의 발전으로 이와 같이 전송된 이미지를 이용하는 통신 단말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IMT-2000이라 하여 영상을 전송하기에 부족함이 없도록 그 이동통신속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시스템이 구축되어, 상용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통상 카메라 기능을 내장한 휴대용 단말장치를 이용한 사진 촬영은 피사체를 촬상하여 보관하고, 추후 표시장치(LCD)를 통해 보거나 통신을 통해 타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이 주를 이룬다. 그러나, 이때 카메라를 통해 영상정보만을 수집하거나, 영상정보 수집(촬상)후에 독립적으로 음성정보를 수집하거나 혹은 문자정보를 입력할 수 있을 뿐, 영상정보를 수집할 당시의 분위기나 상세한 설명 등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영상정보와 함께 음성정보를 동시에 녹음(첨부)할 수 있는 기능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카메라가 장착된 단말기에 피사체 촬상 단계에서부터 촬상 당시의 주변 환경적인 요소(분위기나 상세한 설명 등의 음성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할 수 있는 기능을 갖게 한다면, 카메라 기능과 함께 매우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서 피사체 촬상시 영상과 함께 음성을 실시간으로 녹음하여 저장해 두고(영상정보+음성정보), 추후 영상 및 음성의 동시 재생 및 타 단말기로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되, 특히 촬영시간과 녹음시간이 다른 영상과 음성을 일체형의 정보로 가공하기 위한 영상 및 음성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카메라가 장착된 단말기에서의 영상 및 음성 처리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위한 사용자 입력수단; 사용자의 키조작에 따라, 촬상 구동 제어신호 및 음성 입력/종료 제어신호를 동시에 발생하여 영상 촬영과 동시에 음성 녹음을 시작/종료 제어하고, 촬영시간과 녹음시간이 다른 촬상된 영상과 발화된 음성을 일체형의 정보로 가공하며, 영상 재생 제어신호 및 음성 출력 제어신호를 동시에 발생하여 영상 재생과 함께 영상 재생시간 동안 해당 음성을 동시에 출력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 촬영시간과 녹음시간이 다른 영상과 음성이 혼합된 상기 일체형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수단; 상기 촬상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카메라를 구동하여 촬상된 영상을 신호처리하고, 상기 영상 재생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영상을 신호처리하여 화면 출력하기 위한 영상처리수단; 및 상기 음성 입력/종료 제어신호에 따라 음성입력장치를 구동하여 입력된 음성을 신호처리하고, 상기 음성 출력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해당 영상에 맵핑된 음성을 신호처리하여 음성출력장치를 통해 상기 해당 영상의 영상 재생시간 동안 실시간으로 출력하기 위한 음성처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영상과 음성이 혼합된 상기 일체형의 정보를 타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서 피사체 촬상과 동시에 혹은 촬상 직후 단말기의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영상정보와 함께 저장해 두고, 추후 영상정보를 LCD에 표시하거나 타 단말기로 전송할 때 영상정보와 함께 음성정보를 동시에 출력 혹은 전송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에서의 영상 및 음성 처리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 촬상 및 음성 동시 녹음 기능은 카메라가 장착된 단말기 상에서 카메라 모드 동작시 사용자의 메뉴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즉, 카메라 모드에서, 사용자의 메뉴 선택에 따라 피사체 촬상만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영상 기능), 피사체 촬상과 동시에 음성 녹음이 가능하다(영상+음성 기능).
이하에서는 카메라 모드 동작시 피사체 촬상만이 가능한 기능(영상 기능)은 논외로 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피사체 촬상과 동시에 음성 녹음이 가능한 기능(영상+음성 기능)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의 카메라 모드 동작이라 함은 피사체 촬상과 음성 녹음이 동시 가능한 "영상+음성 기능"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에서의 영상 및 음성 처리 장치는, 사용자 입력(피사체 촬상 및 음성 입력키, 음성 종료키, 영상 및 음성 재생키)을 위한 키입력부(19)와, 사용자의 키조작에 따라, 촬상 구동 제어신호 및 음성 입력/종료 제어신호를 동시에 발생하여 촬상된 영상과 발화된 음성을 일체형의 정보(영상정보+음성정보)로 가공하고, 영상 재생 제어신호 및 음성 출력 제어신호를 동시에 발생하여 영상 재생과 함께 영상 재생시간 동안 해당 음성을 동시에 출력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2)와, 영상과 음성이 혼합된 일체형의 정보(영상정보+음성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20)와, 촬상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카메라(18)를 구동하여 촬상된 영상을 신호처리하고, 영상 재생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영상을 신호처리하여 표시부(LCD)(17)를 통해 화면 출력하기 위한 영상처리부(16)와, 음성 입력/종료 제어신호에 따라 마이크(14)를 구동하여 입력된 음성을 신호처리하고, 음성 출력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영상에 맵핑된 음성을 신호처리하여 스피커(15)를 통해 해당 영상의 영상 재생시간 동안 실시간으로 출력하기 위한 음성처리부(13)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12)의 제어하에, 영상과 음성이 혼합된 일체형의 정보(영상정보+음성정보)를 무선망을 통해 타 단말기와 무선통신하기 위한 RF부(11)를 더 포함한다. 이때, 영상과 음성이 혼합된 일체형의 정보(영상정보+음성정보)는 유에스비(USB) 포트 등을 통해 PC로의 송출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카메라(18)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서 카메라 모드(영상+음성 기능) 동작시에 피사체를 촬상하거나 촬상 직후 마이크(14)를 개방하고 음성을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음성 변조 과정(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 →음성 코딩(vocoding) 등)을 거쳐 촬상된 영상과 함께 메모리(11)에 저장한다. 이후에, 사용자가 촬상된 영상을 표시부(17)에 표시할 때 해당되는 음성을 음성 복조 과정(디코딩(decoding) →디지털/아날로그(D/A) 변환 등)을 거쳐 영상과 함께 들려 줌으로써, 촬상 당시의 분위기 등을 반영한 사진의 현장감을 살려 준다. 또한, 메모리(11)에 일체형으로 저장되어 있는 정보(영상과 매핑된 음성정보)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타 단말기(PC, 노트북, 개인휴대단말기(PDA), 셀룰러폰 혹은 PCS폰, IMT-2000폰, UMTS폰 등)로의 송출이 가능하다.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카메라 모드(영상+음성 기능) 선택시 촬상 버튼(음성 입력 버튼 기능을 동시에 수행)이 눌림에 따라 카메라 구동신호와 함께 음성 입력 제어신호(마이크 구동신호)가 동시에 자동으로 발생되어, 카메라(18)를 통해 피사체를 촬상하고 마이크(14)를 통해 음성을 수집한다. 이때, 피사체 촬상시간보다 사람의 음성 녹음은 통상 훨씬 긴 경우가 많으므로, 피사체 촬상이 끝난 후 사용자의 키 조작이 없이도 자동으로 음성 녹음을 위해 일정 시간(바람직하게는 5초 정도)을 지속시켜 주거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키 조작(음성 종료 버튼을 누름)에 의해 음성 종료 제어신호(마이크 종료신호)를 발생하여 음성 녹음시에 가변적인 길이를 확보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른 카메라 모드(영상+음성 기능)에서 피사체 촬상을 위한 촬상 버튼과는 별도로 음성 녹음의 시작을 알리는 음성 입력 버튼을 추가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음성 종료 버튼은 별도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 내장된 카메라(18)로 피사체를 촬상하고자 할 때 음성을 동시에 녹음하기 위하여 카메라 모드에서 피사체 촬상 및 음성 동시 녹음 메뉴를 선택하여 카메라 모드(영상+음성 기능)를 활성화시킨다.
이후, 촬상 버튼이 눌림에 따라 제어부(12)에서 촬상 구동 제어신호(카메라 구동신호)를 발생하고, 이에 따라 영상처리부(16)에서 카메라(18)의 드라이브 IC(Integrated Circuit)를 구동하여 피사체 촬상정보(영상정보)를 영상처리한다(영상 변조 과정). 즉, 촬상 구동 제어신호(카메라 구동신호)에 따라, 카메라(18)에서 광/전변환을 통해 촬상대상 피사체의 영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영상처리부(16)에서 촬상대상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인코딩(encoding)한다.
이와 동시에, 음성 입력 버튼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촬상 버튼의 눌림 혹은 별도의 음성 입력 버튼의 눌림이 감지되면 제어부(12)에서는 촬상 구동 제어신호(카메라 구동신호)와 함께 음성 입력 제어신호(마이크 구동신호)를 발생하여, 음성 입력 제어신호(마이크 구동신호)에 따라 음성처리부(13)에서 마이크(14)를 동작시키고,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음성 종료 버튼의 눌림이 감지되면 제어부(12)에서는 음성 종료 제어신호(마이크 종료신호)를 발생하여, 음성 종료 제어신호(마이크 종료신호)에 따라 음성처리부(13)에서 마이크(14)를 종료시켜, 음성의 시작과 끝에 의해 수집된 음성정보를 음성처리한다(음성 변조 과정). 즉, 음성 입력 제어신호(마이크 구동신호) 및 음성 종료 제어신호(마이크 종료신호)에 따라, 음성처리부(13)에서는 마이크(14)를 통해 수집된 음성신호를 코덱(codec)에서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하여 펄스부호변호(PCM) 방식으로 디지털 비트스트림으로 변환하고, 보코더(vocoder)에서 이를 압축한다.
이후, 제어부(12)에서는 영상 및 음성 신호처리된 영상 및 음성을 일체형의 정보(영상정보+음성정보)로 가공하여 메모리(20)에 저장한다. 물론, 메모리(20)에는 타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영상 및 음성의 일체형 정보(영상정보+음성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다.
추후, 메모리(20)에 저장된 영상 및 음성의 일체형 정보(영상정보+음성정보)의 재생시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일체형의 정보(영상정보+음성정보)에 대해 재생 버튼이 눌림에 따라 제어부(12)에서 영상 재생 제어신호(표시부 구동신호)를 발생하고, 이에 따라 영상처리부(16)에서 영상 변조 과정의 역과정을 통해 영상 복조하여 표시부(17)에 해당 영상을 표시한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12)에서는 영상 재생 제어신호(표시부 구동신호)와 함께 음성 출력 제어신호(스피커 구동신호)를 발생하여, 이에 따라 음성처리부(13)에서 음성 변조 과정의 역과정을 통해 음성 복조하여 스피커(15)를 통해 해당 영상에 맵핑된 음성을 출력한다.
상기 키입력부(19)는 다수의 숫자 키와 메뉴 키 및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키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12)로 키 데이터를 출력한다.
특히, 키입력부(19)는 피사체 촬상키(음성 입력키 포함), 별도의 음성 입력키, 음성 종료키, 영상 및 음성 재생키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 키 버튼의 의 위치는 기존 키패드(0~9,*,#), 네비게이션키, 기능키, 사이드 방향키 중 하나를 설정할 수도 있고, 단말기 상에 별도의 키를 새로 부가할 수도 있다.
한편, 메모리(11)에 일체형으로 저장되어 있는 정보(영상과 매핑된 음성정보)를 타 단말기로 송출하고자 할 때에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혹은 통상적인 단문서비스(SMS)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통상적인 SMS는 문자메시지만을 전송할 수 있으므로, SMS에 따른 단문메시지를 다음과 같은 포맷으로 생성하여 전송한다.
헤더 영상/음성의 조합에 의하여 생성한 메시지 파일 데이터 트레일러
상기 포맷은 통상적인 단문메시지에서 헤더 정보로서 SMS 메시지 타입을 구별하도록 하고, 사용자 데이터 필드에 "영상데이터+음성데이터의 조합에 의하여 생성한 메시지 파일 데이터"를 넣은 것이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영상데이터+음성데이터의 조합에 의하여 생성한 메시지 파일 데이터"의 데이터 양은 하나의 단문메시지의 사용자 데이터 크기만으로는 부족할 것이므로, 이러한 경우 하나의 "영상데이터+음성데이터의 조합에 의하여 생성한 메시지 파일"을 여러 개의 단문메시지를 사용하여 전송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혼합 메시지(영상+음성 메시지)의 크기가 큰 경우 사용자 데이터 필드의 끝부분에 혼합 메시지 파일 데이터가 뒤이어 전송되는 단문메시지로 계속되는지 아니면 종료인지를 나타내는 인식부호로서 트레일러(trailer) 정보를 넣어, 수신측에서 수신되는 메시지를 연속하여 받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카메라(18)를 통해 촬상된 영상은 마이크(14)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된 음성(육성)과 혼합시키는 것 외에도, 독립적으로 추후 육성을 혼합하거나 메모리(20)에 다운로드된 MP3나 효과음 등과도 혼합할 수 있는 바, 이때에는 먼저 카메라(18)를 통해 촬상된 영상을 불러와 메뉴 조작을 통해 음성을 믹싱하는 기능을 선택하여, 육성 믹싱시에는 마이크를 동작시켜 녹음하고, MP3나 효과음 믹싱시에는 해당 음원을 선택해 촬상된 영상에 혼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사용하여 영상정보를 수집하고, 이와 동시에 마이크를 통해 음성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수집된 영상정보와 음성정보를 일체형의 정보로 합성(가공)하여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추후 재생시 더욱 현실감 있는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재생할 수 있고, 영상 및 음성의 일체형 정보를 타 단말기로도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에서의 영상 및 음성 처리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 : RF부 12 : 제어부
13 : 음성처리부 14 : 마이크
15 : 스피커 16 : 영상처리부
17 : 표시부(LCD) 18 : 카메라
19 : 키입력부 20 : 메모리

Claims (3)

  1. 카메라가 장착된 단말기에서의 영상 및 음성 처리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위한 사용자 입력수단;
    사용자의 키조작에 따라, 촬상 구동 제어신호 및 음성 입력/종료 제어신호를 동시에 발생하여 영상 촬영과 동시에 음성 녹음을 시작/종료 제어하고, 촬영시간과 녹음시간이 다른 촬상된 영상과 발화된 음성을 일체형의 정보로 가공하며, 영상 재생 제어신호 및 음성 출력 제어신호를 동시에 발생하여 영상 재생과 함께 영상 재생시간 동안 해당 음성을 동시에 출력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
    촬영시간과 녹음시간이 다른 영상과 음성이 혼합된 상기 일체형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수단;
    상기 촬상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카메라를 구동하여 촬상된 영상을 신호처리하고, 상기 영상 재생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영상을 신호처리하여 화면 출력하기 위한 영상처리수단; 및
    상기 음성 입력/종료 제어신호에 따라 음성입력장치를 구동하여 입력된 음성을 신호처리하고, 상기 음성 출력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해당 영상에 맵핑된 음성을 신호처리하여 음성출력장치를 통해 상기 해당 영상의 영상 재생시간 동안 실시간으로 출력하기 위한 음성처리수단
    을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에서의 영상 및 음성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영상과 음성이 혼합된 상기 일체형의 정보를 타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수단
    을 더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에서의 영상 및 음성 처리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은,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상기 영상과 혼합될 음성의 시작과 종료를 상기 제어수단으로 알려 주어, 상기 제어수단에서 상기 촬상 구동 제어신호 및 상기 음성 입력/종료 제어신호를 동시에 발생하도록 하고, 상기 해당 영상 및 상기 해당 영상에 맵핑된 음성의 재생을 상기 제어수단으로 알려 주어, 상기 제어수단에서 상기 영상 재생 제어신호 및 상기 음성 출력 제어신호를 동시에 발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에서의 영상 및 음성 처리 장치.
KR10-2003-0029331A 2003-05-09 2003-05-09 통신 단말기에서의 영상 및 음성 처리 장치 KR100516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9331A KR100516284B1 (ko) 2003-05-09 2003-05-09 통신 단말기에서의 영상 및 음성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9331A KR100516284B1 (ko) 2003-05-09 2003-05-09 통신 단말기에서의 영상 및 음성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6350A KR20040096350A (ko) 2004-11-16
KR100516284B1 true KR100516284B1 (ko) 2005-09-21

Family

ID=37375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9331A KR100516284B1 (ko) 2003-05-09 2003-05-09 통신 단말기에서의 영상 및 음성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628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6350A (ko) 2004-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6060B1 (ko) 휴대단말기의 데이터를 외부장치로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US6795715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camera interface for im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KR100566253B1 (ko) 휴대단말기의 영상표시 장치 및 방법
KR100678206B1 (ko)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감정표시 방법
EP1819141A1 (en) Multimedia content production method for portable device
KR20080073520A (ko) 통신이 가능한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41108A (ko) Udta 정보를 이용한 MP4 동영상 연속 촬영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JPH0965268A (ja) 電子スチルカメラ装置
KR100341987B1 (ko) 카메라가 실장된 휴대폰에서 사진/음성 동시 편집방법
KR100516284B1 (ko) 통신 단말기에서의 영상 및 음성 처리 장치
CN201114207Y (zh) 3d商务信息电话机
KR101232537B1 (ko) 화상통신 단말기 및 화상통신 단말기에서 화상통신 방법
KR20060127307A (ko) 휴대단말기의 영상첨부모드 전환방법
JP2001203997A (ja) 通信装置及び電子カメラ
KR100386568B1 (ko) 영상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
KR20080032751A (ko) 휴대 단말기의 동영상 생성 방법 및 콘텐츠 제공 방법
KR100800835B1 (ko) 휴대용 전화기의 카메라를 개인용 컴퓨터의 카메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
KR20060124179A (ko)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용량 데이터 획득방법
KR10063007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 데이터 재구성방법
KR19990048409A (ko) 비주얼 이동 전화기
KR100620689B1 (ko) 고속으로 연속 촬영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023301B1 (ko) 휴대단말기에서 mp3파일 편집 및 전송방법
JP2001223823A (ja) 移動体通信端末
KR20010028585A (ko) 디지털 카메라를 결합시킨 이동통신 단말기
JP2004328241A (ja) 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