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6237B1 - 자동차용 배기계 파이프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배기계 파이프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6237B1
KR100516237B1 KR10-2003-0044217A KR20030044217A KR100516237B1 KR 100516237 B1 KR100516237 B1 KR 100516237B1 KR 20030044217 A KR20030044217 A KR 20030044217A KR 100516237 B1 KR100516237 B1 KR 100516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bolt
nut
muffler
reson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4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5082A (ko
Inventor
서경원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4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6237B1/ko
Publication of KR20050005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5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6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62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3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between parts of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e.g. between housing and tubes, between tubes and baffles
    • F01N13/1844Mechanical joints
    • F01N13/1855Mechanical joints the connection being realised by using bolts, screws, rivet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50/00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 F01N2450/24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by bolts, screws, rive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배기계 파이프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머플러(100)와 레저네이터(200)에 형성된 배기계파이프(110)(210)의 플랜지(111)와 플랜지(211) 사이에 가스켓(300)을 설치하고, 상기 가스켓(300)이 설치된 플랜지(111)와 플랜지(211)는 볼트(400)와 너트(500)가 체결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11)와 플랜지(211)에 형성된 삽입공(111a)과 결합공(211a)의 중심과 내경이 동일한 관통공(610)이 좌우 양측부에 각각 형성된 브라켓트(600)가 플랜지(111)와 플랜지(211)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트(600)의 일측 외측면에는 관통공(610)을 통과한 볼트(400)가 체결되는 너트(500)가 용착되어, 차량을 조립시 너트(500)가 용착되어 있는 브라켓트(600)를 설치하는 방향에 따라 볼트(400)의 체결방향이 정해지게 됨으로서, 작업자가 편리한 방향으로 볼트(400)를 너트(500)에 체결시킬 수 있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됨은 물론, 차량을 사용중 머플러(100)나 레저네이터(200)에 이상이 발생하여 부품을 교체 수리시, 상기 머플러(100) 및 레저네이터(20)의 배기계파이프(110)(210) 플랜지(111)(211) 상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트(600)의 너트(500)로 부터 볼트(400)가 분리되지 않거나 부러지는 경우에도 볼트(400)와 브라켓트(600) 및 배기계에 이상이 발생한 부품만을 교체 수리할 수 있게 됨으로서 차량을 유지관리시 비용이 절감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배기계 파이프의 연결구조{Connecting Structure of Exhaust Pipe for Vehicles}
본 발명은 자동차용 배기계 파이프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머플러나 레저네이터에 이상이 발생하여 부품을 교체 수리하기 위해 상기 머플러 및 레저네이터의 배기계파이프 플랜지 상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트의 너트로 부터 볼트가 분리되지 않거나 부러지는 경우에도 볼트와 브라켓트 및 배기계에 이상이 발생한 부품만을 교체 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배기계 파이프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연소실에서 연소가 이루어진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시 소음이 저감된 상태로 배출되도록 하는 머플러(100)와 레저네이터(200)를 배기계 파이프(110)(210)로 연결시켜, 상기 연소가스의 폭음이 순차적으로 흡수된 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여기에서 종래 자동차용 배기계 파이프의 연결구조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머플러(100)와 레저네이터(200)에 형성된 배기계 파이프(110)(210)의 플랜지(111)와 플랜지(211) 사이에 가스켓(300)을 설치하고, 상기 가스켓(300)이 설치된 플랜지(111)와 플랜지(211)를 볼트(400)와 너트(500)를 이용해 체결시켜 결합시키고 있다.
이러한 종래 자동차용 배기계 파이프의 연결구조는 머플러(100)에 형성된 배기계 파이프(110)와 레저네이터(200)에 형성된 배기계 파이프(210)가 상호 플랜지(111)와 플랜지(211)가 가스켓(300)에 일측면이 접한 상태에서 볼트(400)와 너트(500)가 체결되는 것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서, 머플러(100)에서 소음이 감소된 연소가스가 레저네이터(200)로 전달이 이루어지면서 소음을 재차 감소시킨 후 외부로 배출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자동차용 배기계 파이프의 연결구조는 머플러(100) 배기계파이프(110)의 플랜지(111)에 형성된 삽입공(111a)과 레저네이터(200) 배기계 파이프(210)의 플랜지(211)에 형성된 결합공(211a)을 일치시키는 것이 난해한 관계로, 차량을 조립시 1차적으로 머플러(100) 배기계 파이프(110)의 플랜지(111)에 형성된 삽입공(111a)에 볼트(400)를 용착시킨 상태에서 너트(500)를 체결시키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볼트(400)을 플랜지(111)의 삽입공(111a)에 용착시에는 조립방향이 일정한 방향으로 정해지게 됨으로서, 작업공구가 상대물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공간이 확보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너트(500)를 볼트(400)에 체결시 작업자가 애로를 느끼게 됨은 물론, 차량을 사용중 머플러(100)나 레저네이터(200)에 이상이 발생하여 부품을 교체 수리시, 상기 머플러(100)의 배기계파이프(110) 플랜지(111)에 용착되어 있는 볼트(400)가 부러지는 경우에는, 상기 볼트(400)가 용접타입이라 배기계 전체를 교체해야 함으로서, 차량을 소유하고 있는 소유자가 과도하게 많은 수리비를 부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머플러와 레저네이터에 형성된 배기계 파이프의 플랜지와 플랜지 사이에 가스켓을 설치하고, 상기 가스켓이 설치된 플랜지와 플랜지는 볼트와 너트가 체결되는 것에 결합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와 플랜지에 형성된 삽입공과 결합공의 중심과 내경이 동일한 관통공이 좌우 양측부에 각각 형성된 브라켓트가 플랜지와 플랜지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트의 일측 외측면에는 관통공을 통과한 볼트가 체결되는 너트가 용착되어, 차량을 조립시 너트가 용착되어 있는 브라켓트를 설치하는 방향에 따라 볼트의 체결방향이 정해지게 됨으로서, 작업자가 편리한 방향으로 볼트를 너트에 체결시킬 수 있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됨은 물론, 차량을 사용중 머플러나 레저네이터에 이상이 발생하여 부품을 교체 수리시, 상기 머플러 및 레저네이터의 배기계파이프 플랜지 상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트의 너트로 부터 볼트가 분리되지 않거나 부러지는 경우에도 볼트와 브라켓트 및 배기계에 이상이 발생한 부품만을 교체 수리할 수 있게 됨으로서 차량을 유지관리시 비용이 절감되도록 하는 자동차용 배기계 파이프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그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배기계 파이프의 연결구조도 도 1과 도 3 및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머플러(100)와 레저네이터(200)에 형성된 배기계 파이프(110)(210)의 플랜지(111)와 플랜지(211) 사이에 가스켓(300)을 설치하고, 상기 가스켓(300)이 설치된 플랜지(111)와 플랜지(211)는 볼트(400)와 너트(500)가 체결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11)와 플랜지(211)에 형성된 삽입공(111a)과 결합공(211a)의 중심과 내경이 동일한 관통공(610)이 좌우 양측부에 각각 형성된 브라켓트(600)가 플랜지(111)와 플랜지(211)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트(600)의 일측 외측면에는 관통공(610)을 통과한 볼트(400)가 체결되는 너트(500)가 용착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차량을 조립시 머플러(100)의 배기계 파이프(110)와 레저네이터(200)의 배기계 파이프(210) 에 형성된 플랜지(111)와 플랜지(211) 사이에 가스켓(30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111)와 플랜지(211)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삽입공(111a)과 결합공(211a)의 중심과 내경이 동일한 관통공(610)이 좌우 양측부에 각각 형성된 브라켓트(600)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머플러(100) 배기계 파이프(110)의 플랜지(111)에 형성된 삽입공(111a)과 레저네이터(200) 배기계 파이프(210)의 플랜지(211)에 형성된 결합공(211a)의 중심이 일치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브라켓트(600)가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에 의해 중심이 일치되어진 관통공(610)과 삽입공(111a) 및 결합공(211a) 사이로는 볼트(400)가 관통하며 브라켓트(600)의 일측부에 용착되어 있는 너트(500)에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을 조립시 너트(500)가 용착되어 있는 브라켓트(600)를 설치하는 방향에 따라 볼트(400)의 체결방향이 정해지게 됨으로서, 작업자가 편리한 방향으로 볼트(400)를 너트(500)에 체결시킬 수 있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됨은 물론, 차량을 사용중 머플러(100)나 레저네이터(200)에 이상이 발생하여 부품을 교체 수리시, 상기 머플러(100) 및 레저네이터(20)의 배기계파이프(110)(210) 플랜지(111)(211) 상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트(600)의 너트(500)로 부터 볼트(400)가 분리되지 않거나 부러지는 경우에도 볼트(400)와 브라켓트(600) 및 배기계에 이상이 발생한 부품만을 교체 수리할 수 있게 됨으로서 차량을 유지관리시 비용이 절감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머플러와 레저네이터에 형성된 배기계 파이프의 플랜지와 플랜지에 형성된 삽입공과 결합공의 중심과 내경이 동일한 관통공이 좌우 양측부에 각각 형성된 브라켓트를 플랜지와 플랜지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트의 일측 외측면에는 관통공을 통과한 볼트가 체결되는 너트를 용착시켜, 차량을 조립시 너트가 용착되어 있는 브라켓트를 설치하는 방향에 따라 볼트의 체결방향이 정해지게 됨으로서, 작업자가 편리한 방향으로 볼트를 너트에 체결시킬 수 있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됨은 물론, 차량을 사용중 머플러나 레저네이터에 이상이 발생하여 부품을 교체 수리시, 상기 머플러 및 레저네이터의 배기계파이프 플랜지 상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트의 너트로 부터 볼트가 분리되지 않거나 부러지는 경우에도 볼트와 브라켓트 및 배기계에 이상이 발생한 부품만을 교체 수리할 수 있게 됨으로서 차량을 유지관리시 비용이 절감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배기계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종래 배기계 파이프의 연결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배기계 파이프의 연결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브라켓트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머플러 110 : 배기계 파이프
111,211 : 플랜지 200 : 레저네이터
111a,211a : 삽입공 300 : 가스켓
400 : 볼트 500 : 너트
600 : 브라켓트 610 : 관통공

Claims (1)

  1. 머플러(100)와 레저네이터(200)에 형성된 배기계 파이프(110)(210)의 플랜지(111)와 플랜지(211) 사이에 가스켓(300)을 설치하고, 상기 가스켓(300)이 설치된 플랜지(111)와 플랜지(211)는 볼트(400)와 너트(500)가 체결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11)와 플랜지(211)에 형성된 삽입공(111a)과 결합공(211a)의 중심과 내경이 동일한 관통공(610)이 좌우 양측부에 각각 형성된 브라켓트(600)가 플랜지(111)와 플랜지(211)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트(600)의 일측 외측면에는 관통공(610)을 통과한 볼트(400)가 체결되는 너트(500)가 용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기계 파이프의 연결구조.
KR10-2003-0044217A 2003-07-01 2003-07-01 자동차용 배기계 파이프의 연결구조 KR100516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4217A KR100516237B1 (ko) 2003-07-01 2003-07-01 자동차용 배기계 파이프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4217A KR100516237B1 (ko) 2003-07-01 2003-07-01 자동차용 배기계 파이프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5082A KR20050005082A (ko) 2005-01-13
KR100516237B1 true KR100516237B1 (ko) 2005-09-20

Family

ID=37219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4217A KR100516237B1 (ko) 2003-07-01 2003-07-01 자동차용 배기계 파이프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62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924B1 (ko) * 2012-11-08 2014-03-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배기파이프의 연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5082A (ko) 2005-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43613A (ko) 자동차용 현수 장치
WO1998037354A1 (en) Exhaust repair kit for exhaust system and methods therefor
KR100516237B1 (ko) 자동차용 배기계 파이프의 연결구조
JP2007278221A (ja) 内燃機関のシール構造及びそのシール構造に使用されるガスケット
CN210858905U (zh) 一种带尾气过滤的排气尾管
JP4446386B2 (ja) 車両用の燃焼式ヒータの取り付け構造およびその方法
JP7206598B2 (ja) パイプ取付構造
US4547344A (en) Multiple piece catalytic converter flange
KR20210066259A (ko) 배기 파이프용 클램프 및 이를 갖는 배기 파이프 구조물
KR100376860B1 (ko) 엔진 배기관 체결구조
CN202789059U (zh) 一种排气系统用环箍机构
CN111456834B (zh) 用于车辆的排气系统的装置
CN100535404C (zh) 排气管催化转化器的可拆卸安装结构
KR19990034222A (ko) 차량용 배기파이프구조
KR100680630B1 (ko) 변속기의 오일 필러 튜브 결합장치
US20090200433A1 (en) Mounting flange configuration for exhaust component
KR970000526Y1 (ko) 배기파이프 고정용 이음체
KR19980047130A (ko) 파이프 연결 구조
KR100356869B1 (ko) 자동차의 이중패널 조립구조
KR100820687B1 (ko) 촉매가 분리되는 머플러
KR20230109402A (ko) 배관 연결 조립체
KR100412888B1 (ko) 자동차용 카울크로스멤버의 마운팅부 구조
KR19980059577A (ko) 자동차의 소음기 고정장치
KR19980065584U (ko) 차량용 소음기의 배기 파이프 연결구조
CN111895204A (zh) 一种膨胀节安装方法及拆卸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