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5515B1 - 쓰레기 매립장의 쓰레기 매립공법 및 이의 이동식 차단벽 - Google Patents

쓰레기 매립장의 쓰레기 매립공법 및 이의 이동식 차단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5515B1
KR100515515B1 KR10-2003-0060702A KR20030060702A KR100515515B1 KR 100515515 B1 KR100515515 B1 KR 100515515B1 KR 20030060702 A KR20030060702 A KR 20030060702A KR 100515515 B1 KR100515515 B1 KR 100515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fill
block
waste
small
barrie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0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4638A (ko
Inventor
한기만
Original Assignee
금호이엔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이엔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이엔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0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5515B1/ko
Publication of KR20050024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4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5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55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1/00Dumping solid was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30Landfill technologies aiming to mitigate methane e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립 기간 중에 쓰레기의 보유수와 분해수 및 매립층에 유입된 우수에 의하여 생기는 침출수를 매립장 내에서 차단시켜 침출수의 양을 줄이고, 이의 처리비용을 줄이며, 침출수에 의한 환경 오염을 방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구획된 다수의 블록(3, 5, 7) 중 어느 한 블록(3)에 쓰레기를 매립하고 순차적으로 다른 블록(5, 7)에 쓰레기를 매립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각 블록에 쓰레기를 매립하는 공정은, 해당 블록(3)을 소 면적의 소 블록(3a)으로 구획하여 이동식 차단벽(33)을 설치하는 단계(a), 이 이동식 차단벽에 의하여 구획된 소 블록(3a)에 쓰레기(35)를 매립하는 단계(b), 이 소 블록에 쓰레기 매립 완료 후 이 소 블록을 형성하고 있던 이동식 차단벽(33)을 이동시켜 이 소 블록에 연속되는 다른 소 블록(3a)을 구획하여 설치하는 단계(c), 및 이 이동식 차단벽에 의하여 구획된 다른 소 블록(3a)에 쓰레기(35)를 매립하는 단계(3d)의 반복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쓰레기 매립장의 쓰레기 매립공법 및 이의 이동식 차단벽 {method for covering waste in landfill and movable blocking wall thereof}
본 발명은 쓰레기 매립장의 쓰레기 매립공법 및 이의 이동식 차단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매립 기간 중에 쓰레기의 보유수와 분해수 및 매립층에 유입된 우수에 의하여 발생되는 침출수를 매립장 내에서 차단시키는 쓰레기 매립장의 쓰레기 매립공법 및 이의 이동식 차단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레기 매립장의 차수시설은, 매립 작업 시 차수 시트의 파손에 대한 안전성을 가지고 매립 작업에 지장이 없어야 하며, 강한 내화학성을 가져야 하고, 직사광선에 장시간 노출되어도 광화학적 반응에 의한 분해나 변색 또는 경화되지 않는 재료로 구성되어야 하며, 미생물 및 각종 유기물의 침투에 대한 강한 대응력을 가지고 있어야 하고, 계절 변화에 따른 온도 변화에 강해야 하며, 평지 및 경사면부 설치 가능해야 하고, 매립장은 장기간 사용되고 사용종료 후 안정화기간이 필요한 바, 내구성을 가지고 안정적이어야 하며, 토지이용에 지장이 없어야 하고, 침출수의 누출을 억제할 수 있는 재질이어야 한다.
이와 같은 조건을 갖춘 차수시설을 구비한 쓰레기 매립장은 매립 대상인 쓰레기(및 폐기물)가 적치되는 바닥과 이 바닥을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블록으로 구획하는 경사면부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쓰레기 매립장에 쓰레기를 매립하는 방법은 대면적의 한 블록에 쓰레기를 완전히 채운 후에 복토하고, 다른 블록에 쓰레기를 완전히 채운 후 복토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하는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한 블록에 쓰레기를 채우는데 수년이 걸리므로 이 기간동안 매립장에 기 적치된 쓰레기는 우수에 그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쓰레기 매립장의 쓰레기 위에 내린 우수는 쓰레기 내부로 침투되어, 쓰레기의 보유수 및 분해수와 함께 침출수로 변화된다. 따라서 침출수의 양이 증대되면서 침출수의 처리비용이 증대된다. 그리고 미 처리된 침출수는 공공 수역 및 지하수로 유입되어 주변 및 생활 환경을 오염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매립 기간 중에 쓰레기의 보유수와 분해수 및 매립층에 유입된 우수에 의하여 생기는 침출수를 매립장 내에서 차단시켜 침출수의 양을 줄이고, 이의 처리비용을 줄이며, 침출수에 의한 환경 오염을 방지시키는 쓰레기 매립장의 쓰레기 매립공법 및 이의 이동식 차단벽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매립장의 쓰레기 매립공법은, 구획된 다수의 블록 중 어느 한 블록에 쓰레기를 매립하고 순차적으로 다른 블록에 쓰레기를 매립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각 블록에 쓰레기를 매립하는 공정은,
해당 블록을 소 면적의 소 블록으로 구획하여 이동식 차단벽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이동식 차단벽에 의하여 구획된 소 블록에 쓰레기를 매립하는 단계,
상기 소 블록에 쓰레기 매립 완료 후 이 소 블록을 형성하고 있던 이동식 차단벽을 이동시켜 이 소 블록에 연속되는 다른 소 블록을 구획하여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식 차단벽에 의하여 구획된 다른 소 블록에 쓰레기를 매립하는 단계의 반복 공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이동식 차단벽 설치 단계는 다수의 이동식 차단벽을 조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이동식 차단벽 설치 단계는 이동식 차단벽을 매립장의 바닥면에 기밀 상태로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이동식 차단벽 설치 단계는 이동식 차단벽을 매립장의 바닥에 차수 구조를 형성하는 차수 시트에 기밀 상태로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이동식 차단벽 설치 단계는 이동식 차단벽을 매립장의 바닥에 차수 구조를 형성하는 차수 시트의 부직포 보호층 상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매립장의 이동식 차단벽은, 쓰레기 매립장에서 다수의 블록으로 구획된 어느 한 블록 바닥면의 차수 시트에 부착되는 부착부; 및
상기 부착부 상측에 소정의 폭 길이 및 높이를 가지는 상협하광으로 형성되어 상기 블록을 소 블록으로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부착부는 차수 시트에 부착된 상태로 부압이 작용하도록 하측이 오목하한 고무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획부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부착부와 분리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획부는 이웃하는 다른 부착부와 견고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삽입되는 연결홈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획부는 물을 충전하여 자체 중량을 증대시킴으로서 소 블록 내에 적치되는 쓰레기의 측방 압력에 강한 저항력을 가지도록 중공 구조로 형성되고, 이 중공 구조 내부에 물을 주입케 하는 주입구 및 주입된 물을 드레인시키는 드레인구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이점과 장점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함으로서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매립장의 매립공법에 의한 쓰레기 매립장의 평면도로서, 경사면부(1)에 의하여 다수의 블록(3, 5, 7)으로 구획된 쓰레기 매립장을 도시하고 있다. 이 블록(3, 5, 7)들은 각 블록에 내린 우수와 표면수 및 침출수를 별도로 처리할 수 있는 배수시설(미도시)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경사면부(1)는 하나 이상의 경사부(1a)와 수평부(1b)로 이루어지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부(1)의 높이에 따라 1단 이상의 수평부(1b)를 형성하게 된다.
이 경사면부(1)는 침출수의 차수를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지반(9), 토목합성수지배제층(11), 벤토나이트 매트로 형성되는 토목합성지점토층(13), 고밀도폴리에틸렌 시트로 형성되는 차수 시트(15), 및 토목합성수지배수층(17)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경사부(1a)는 토목합성수지배수층(17) 위에 폐타이어 모래채움층(19)을 더 구비하여 경사부(1a)를 자중으로 가압하여 차수 시트(15)를 보호하고 있다. 이 폐타이어 모래채움층(19)의 폐타이어(19a)는 이웃하는 다른 폐타이어(19a)와 연결부재(19b)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원지반(9), 토목합성수지배제층(11), 토목합성지점토층(13), 차수 시트(15), 및 토목합성수지배수층(17)의 작용 효과는 종래의 쓰레기 매립장에서의 작용 효과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사면부(1)에 의하여 구획되는 각 블록(3, 5, 7)의 바닥면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지반(21), 잡석으로 형성되는 지하수배수층(23), 토목합성지점토층(25), 고밀도폴리에틸렌 시트로 형성되는 차수 시트(27), 부직포 보호층(29), 잡석으로 형성되는 침출수 배수층(31)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 블록(3, 5, 7)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상기 적층 구조의 작용 효과는 종래의 쓰레기 매립장에서의 작용 효과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경사면부(1)에 의하여 구획되는 다수의 블록(3, 5, 7)은 순차적으로 쓰레기에 의하여 매립 완료된다. 즉, 각 블록(3, 5, 7)을 쓰레기로 매립하는 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쓰레기 매립공법이 적용된다.
이 쓰레기 매립장의 쓰레기 매립공법은 이동식 차단벽 설치 단계(a), 소 블록 쓰레기 매립단계(b), 이동식 차단벽 이동 설치 단계(c), 및 다른 소 블록 쓰레기 매립단계(d)의 반복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이 이동식 차단벽 설치 단계(a)는 다수의 블록(3, 5, 7) 중 해당 블록(3)에 이동식 차단벽(33)을 설치함으로서, 해당 블록(3)을 소 면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소 블록(3a)으로 구획하게 된다.
이 이동식 차단벽 설치 단계(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식 차단벽 조립 단계(aa)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식 차단벽 조립 단계(aa)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이동식 차단벽(33)을 다수 개로 조립하여 소 블록(3a)의 크기에 상응할 수 있게 한다. 이 이동식 차단벽 조립 단계(aa)의 공정수는 소 블록(3a)의 크기 및 이동식 차단벽(33)의 길이에 따라 결정된다.
이 이 이동식 차단벽 설치 단계(a)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식 차단벽(33)을 매립장의 바닥면에 기밀 상태로 부착시키는 단계(a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기밀 상태 부착 단계(ab)에 의한 기밀 구조는 이동식 차단벽(33) 내의 소 블록(3a)에 매립된 쓰레기의 침출수를 소 블록(3a) 내에 차단시키게 된다. 이 침출수는 매립 기간 중에 쓰레기의 보유수와 분해수 및 매립층에 유입된 우수 및 표면수에 의하여 발생량이 결정된다.
이 이동식 차단벽(33)은 매립장 바닥에 차수 구조를 형성하는 차수 시트(27)에 기밀 상태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차수 시트(27) 위에 부직포 보호층(29)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이 부직포 보호층(29) 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식 차단벽 설치 단계(a)에 이어 쓰레기 매립 단계(b)가 진행된다. 이 쓰레기 매립 단계(b)는 상기 이동식 차단벽(33)에 의하여 구획된 소 블록(3a) 내에 쓰레기(35)를 매립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이 쓰레기 매립 단계(b)는 소 블록(3a) 내에 쓰레기를 투하하여 소 블록(3a)을 완전히 채운 후에 복토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소 블록(3a)을 쓰레기로 매립하는 매립 기간은 블록(3) 전체를 쓰레기로 매립하는 기간에 비하여 현저하게 짧다. 따라서 매립 중인 쓰레기가 우수 및 표면수에 노출되는 시간이 짧아지게 된다. 결국, 우수로 인한 침출수의 발생이 현저히 저감된다.
쓰레기 매립 단계(b)에 이어 이동식 차단벽 이동 설치 단계(c)가 진행된다. 이 이동식 차단벽 이동 설치 단계(c)는 소 블록(3a)에 쓰레기 매립 완료 후 이 소 블록(3a)을 형성하고 있던 이동식 차단벽(33)을 이동시켜 이 소 블록(3a)에 연속되는 다른 소 블록(3a)을 구획하여 설치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이 이동식 차단벽 이동 설치 단계(c)는 수 개의 이동식 차단벽(33)을 블록(3, 5, 7) 내에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설치하여 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 이동식 차단벽 이동 설치 단계(c)에 이어 쓰레기 매립 단계(d)가 진행된다. 이 쓰레기 매립 단계(d)는 이동된 이동식 차단벽(33)에 의하여 구획된 다른 소 블록(3a)에 쓰레기를 매립하는 단계로서, 상기 쓰레기 매립 단계(b)와 동일한 공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즉, 이동식 차단벽 설치 단계(a)는 각 블록(3, 5, 7)의 매립 최초 공정으로서, 각 블록(3, 5, 7)에서 1회만 거치게 되고, 나머지 단계(b, c, d)는 반복적으로 진행된다.
이와 같은 쓰레기 매립장의 쓰레기 매립공법에 사용되는 이동식 차단벽(33)은 부착부(33a)와 구획부(33b)를 포함하고 있다. 이 부착부(33a)는 쓰레기 매립장에서 다수의 블록(3a)으로 구획된 어느 한 블록(3a) 바닥면의 차수 시트(27)에 부착되고, 구획부(33b)는 부착부(33a) 상측에 소정의 폭과 길이 및 높이를 가지는 상협하광의 안정된 구조로 형성되어 소 블록(3a)을 구획하게 된다.
이 부착부(33a)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이 오목한 고무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오목형 고무재의 부착부(33a)는 차수 시트(27)에 부착되어 부압에 의하여 견고한 부착력을 발휘하게 한다.
이 부착부(33a) 상에 구비되는 구획부(33b)는 구획부(33b) 자체 및 이동식 차단벽(33) 전체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부착부(33a)와 분리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부착부(33a)와 구획부(33b)는 본 실시 예에서와 같이 단순히 접착제(미도시)로 부착될 수도 있으나 별도의 결합 구조(미도시)를 구비하여 분해 가능한 결합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 구획부(33b)는 그 일측에 연결홈(33c)은구비하고 있다. 이 연결홈(33c)에 연결부재(33d)를 결합함으로서 양측 구획부(33b)는 견고하게 연결된다. 이 연결부재(33d)는 도 6에서 화살표(a) 방향으로 삽입되어, 구획부(33b)의 길이 방향에 대한 결합 해제력에 강하게 저항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연결홈(33c)은 구획부(33b) 전 후방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구획부(33b)는 중공구조로 형성되어 중공 구조 내부에 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물은 구획부(33b)의 자체 중량을 증대시켜 소 블록(3a) 내에 매립되는 쓰레기의 측방 압력에 강한 저항력을 가지게 한다.
이 구획부(33b)는 주입구(37)와 드레인구(39)를 구비하여, 중공부 내에 물을 주입하거나, 주입된 물의 드레인을 가능하게 한다. 이 주입구(37)와 드레인구(39)는 구획부(33b) 내에 물을 주입 및 배출시키게 하여 이동식 차단벽(33)의 용이한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쓰레기 매립장의 한 블록을 이동식 차단벽에 의한 소 블록으로 구획하고, 이 소 블록을 쓰레기로 매립 완료한 후, 기 설치된 이동식 차단벽을 이동시켜 다른 소 블록을 구획하고, 이 다른 소 블록에 쓰레기를 매립 완료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쓰레기 매립장의 전 블록을 쓰레기 매립 완료함으로서, 매립 기간 중 쓰레기가 우수에 노출되는 기간을 단축시켜 우수 및 표면수에 의한 침출수의 발생량을 저감시키므로 침출수의 처리비용을 줄이고, 침출수에 의한 환경 오염을 방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매립장의 매립공법에 의한 쓰레기 매립장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쓰레기 매립장 경사면부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상세 단면도.
도 4는 쓰레기 매립장 바닥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매립장의 매립공법의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매립장의 이동식 차단벽의 사시도.
도 7은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도 6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경사면부 1a : 경사부
1b : 수평부 3, 5, 7 : 블록
3a : 소, 다른 블록 9, 21 : 원지반
11 : 토목합성수지배제층 13 : 토목합성지점토층
15, 27 : 차수 시트 17 : 토목합성수지배수층
19 : 폐타이어 모래채움층 19a : 폐타이어
19b : 연결부재 23 : 지하수배수층
25 : 토목합성지점토층 29 : 부직포 보호층
31 : 침출수 배수층 33 : 이동식 차단벽
33a : 부착부 33b : 구획부
33c : 연결홈 33d : 연결부재
35 : 쓰레기 37 : 주입구
39 : 드레인구 a : 이동식 차단벽 설치 단계
aa : 이동식 차단벽 조립 단계 ab :기밀 상태 부착 단계
b : 소 블록 쓰레기 매립단계 c : 이동식 차단벽 이동 설치 단계
d : 다른 소 블록 쓰레기 매립단계

Claims (10)

  1. 다수로 구획된 블록 중 어느 한 블록에 쓰레기를 매립하고 순차적으로 다른 블록에 쓰레기를 매립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각 블록에 쓰레기를 매립하는 공정은,
    해당 블록을 소 면적의 소 블록으로 구획하여 이동식 차단벽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이동식 차단벽에 의하여 구획된 소 블록에 쓰레기를 매립하는 단계,
    상기 소 블록에 쓰레기 매립 완료 후 이 소 블록을 형성하고 있던 이동식 차단벽을 이동시켜 이 소 블록에 연속되는 다른 소 블록을 구획하여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식 차단벽에 의하여 구획된 다른 소 블록에 쓰레기를 매립하는 단계의 반복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쓰레기 매립장의 쓰레기 매립공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차단벽 설치 단계는 다수의 이동식 차단벽을 조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쓰레기 매립장의 쓰레기 매립공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차단벽 설치 단계는 이동식 차단벽을 매립장의 바닥면에 기밀 상태로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쓰레기 매립장의 쓰레기 매립공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차단벽 설치 단계는 이동식 차단벽을 매립장의 바닥에 차수 구조를 형성하는 차수 시트에 기밀 상태로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쓰레기 매립장의 쓰레기 매립공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차단벽 설치 단계는 이동식 차단벽을 매립장의 바닥에 차수 구조를 형성하는 차수 시트의 부직포 보호층 상에 설치하는 쓰레기 매립장의 쓰레기 매립공법.
  6. 쓰레기 매립장에서 다수의 블록으로 구획된 어느 한 블록 바닥면의 차수 시트에 부착되는 부착부; 및
    상기 부착부 상측에 소정의 폭 길이 및 높이를 가지는 상협하광으로 형성되어 상기 블록을 소 블록으로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하는 쓰레기 매립장의 이동식 차단벽.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차수 시트에 부착된 상태로 부압이 작용하도록 하부이 오목한 고무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매립장의 이동식 차단벽.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부착부와 분리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매립장의 이동식 차단벽.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는 이웃하는 다른 부착부와 견고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삽입되는 연결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매립장의 이동식 차단벽.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는 물을 충전하여 자체 중량을 증대시킴으로서 소 블록 내에 적치되는 쓰레기의 측방 압력에 강한 저항력을 가지도록 중공 구조로 형성되고, 중공 구조 내부에 물을 주입케 하는 주입구 및 주입된 물을 드레인시키는 드레인구를 포함하는 쓰레기 매립장의 이동식 차단벽.
KR10-2003-0060702A 2003-09-01 2003-09-01 쓰레기 매립장의 쓰레기 매립공법 및 이의 이동식 차단벽 KR100515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702A KR100515515B1 (ko) 2003-09-01 2003-09-01 쓰레기 매립장의 쓰레기 매립공법 및 이의 이동식 차단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702A KR100515515B1 (ko) 2003-09-01 2003-09-01 쓰레기 매립장의 쓰레기 매립공법 및 이의 이동식 차단벽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8003U Division KR200337183Y1 (ko) 2003-09-01 2003-09-01 쓰레기 매립장의 이동식 차단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4638A KR20050024638A (ko) 2005-03-11
KR100515515B1 true KR100515515B1 (ko) 2005-09-16

Family

ID=37231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0702A KR100515515B1 (ko) 2003-09-01 2003-09-01 쓰레기 매립장의 쓰레기 매립공법 및 이의 이동식 차단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551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4638A (ko) 200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1437A (en) Multi-layer waste containment barrier
US4358221A (en) System for pollution control
CN1108883C (zh) 用潜埋式逆流池盛装沥滤液的系统和方法
JP2006204965A (ja) 遮水層の構築工法
KR101528674B1 (ko) 폐석산 또는 대사면을 활용한 단계별 성토층에 의한 폐기물 매립방법
KR101016718B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가스 배제정 구조
KR20100012273A (ko) 폐타이어 칩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장의 침출수 배수구조
KR100515515B1 (ko) 쓰레기 매립장의 쓰레기 매립공법 및 이의 이동식 차단벽
KR200337183Y1 (ko) 쓰레기 매립장의 이동식 차단벽
JP2012255250A (ja) 雨水処理施設
KR20060016586A (ko) 폐기물 매립장의 호기성 촉진 시스템
JP2004211533A (ja) 埋立用護岸及びその構築方法
RU2683443C1 (ru) Способ 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ия устройства противофильтрационного защитного экрана на полигонах ТБО
JP2004204524A (ja) 圧密促進埋立工法および圧密促進埋立構造
KR100218901B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배수 및 폐기물 매립방법
KR0173306B1 (ko) 연약지반상의 폐기물매립시설 및 그 조성방법
KR100218546B1 (ko) 침출수 재순환과 가스취출을 겸한 쓰레기 매립조성방법
JP3106769B2 (ja) 廃棄物処分場
US5820298A (en) Seamless landfill sump
KR100619147B1 (ko) 폐기물 매립시설의 차수층 보호배수구조물
JPS61109816A (ja) 廃棄物処分場における遮水シ−トの補修方法
KR102253356B1 (ko) 폐기물 매립장의 우수 및 침출수 제거방법
JPH1157645A (ja) 廃棄物処分場の埋立工法
JPH0376371B2 (ko)
KR100328358B1 (ko) 폐기물매립장의 경사면보호층 성형재 및 그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