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4787B1 - 연삭유청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연삭유청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4787B1
KR100514787B1 KR10-2001-0073137A KR20010073137A KR100514787B1 KR 100514787 B1 KR100514787 B1 KR 100514787B1 KR 20010073137 A KR20010073137 A KR 20010073137A KR 100514787 B1 KR100514787 B1 KR 100514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guide
grinding
grinding oil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3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2392A (ko
Inventor
조철호
한상빈
선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73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4787B1/ko
Publication of KR20030042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2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4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47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12Devices for exhausting mist of oil or coolant; Devices for collecting or recovering materials resulting from grinding or polishing, e.g. of precious metals, precious stones, diamond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2Equipment for cooling the grinding surfaces, e.g. devices for feeding coolant
    • B24B55/03Equipment for cooling the grinding surfaces, e.g. devices for feeding coolant designed as a complete equipment for feeding or clarifying cool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연롤(51)의 표면 연삭작업 중 압연롤(51)과 지석(53)의 마찰방지에 사용하는 연삭유(57)에 포함된 윤활유(55)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삭유(57)에 함유된 윤활유(55)를 제거하기 위해 연삭유 저장탱크(63)의 전면을 반복이동하면서 회전하는 벨트(7)에 의해 연삭유(57)에 함유된 윤활유(55)를 분리제거처리하기 위한 연삭유청정화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삭유청정화장치{APPARATUS FOR PURIFYING A GRINDING OIL}
본 발명은 압연롤의 표면 연삭작업 중 압연롤과 지석의 마찰방지에 사용하는 연삭유에 포함된 윤활유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삭유에 함유된 윤활유를 제거하기 위하여 연삭유 저장탱크의 전면을 반복이동하면서 회전하는 벨트에 의해 연삭유에 함유된 윤활유를 분리제거처리하기 위한 연삭유청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일반적인 연삭유저장탱크(63)와 이와 연결된 연삭기(50)를 평면에서 도시하고, 도 1b는 도 1a의 A부인 연삭기(50)의 연삭작업을 측면에서 도시하며, 도 1c는 도 1a의 B부인 칩제거기(61)의 측면을 도시한다. 또한, 도 1d는 도 1a의 C부인 연삭유저장탱크(63)의 측면을 도시한다.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면, 종래의 압연롤(51)은 정기적인 회전을 하여 냉연제품을 생산하면, 정도가 하락하므로 새로운 압연롤로 교환하여 사용하며, 냉연제품을 생산하고 나온 압연롤(51)은 연삭기(50)로 이송되어 지지대(52)에 안착된 후 고속으로 회전하는 지석(53)과 마찰하면서 그 표면이 연삭된다.
그런데, 연삭작업 중에는 상기 지석(53)과 상기 압연롤(51)의 마찰을 줄이고 연삭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연삭유(57)를 공급하고, 사용된 연삭유(57)는 연삭유 이동로(62)와 칩제거기(61)를 거쳐 칩(56)이 제거된 후, 연삭유 저장탱크(63)에 수집되어 재사용된다.
연삭과정에서 상기 압연롤(51)의 지지부(52)와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서는 윤활유 인출구(54)를 통해 적당량의 윤활유(55)를 계속적으로 공급하는데, 공급된 윤활유(55)는 회수하는 장치가 없기 때문에 그대로 흘러내려 상기 연삭유 이동로(62)로 유입되며, 이에 따라 윤활유(55)와 연삭유(57)는 혼합된 상태로 이동되어 상기 칩제거기(61)를 거치고, 상기 칩제거기(61)에서는 연속적으로 모터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롤러들(65a)(65b)에 지지되어 회전되는 필터(64)에 의해 연삭작업 중 발생된 칩(56) 또는 철가루가 제거된다.
그러나, 연삭유(57)에 포함된 윤활유(55)는 상기 칩제거기(61)에서 제거되지 않고, 연삭유(57)와 함께 그대로 연삭유 저장탱크(63)에 모이고, 상기 저장탱크(63)에 모인 연삭유(57)는 미도시된 펌프작동으로 배관을 통해 이동되는데, 연삭유(57)에 포함된 윤활유(55)도 같이 포함되어 이동하여 연삭작업에 재분사된다.
상기와 같이 윤활유(55)가 연삭유(57)와 같이 연삭작업에 재분사되면, 윤활유(55)에 의해 지석(53)의 눈막힘 현상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슬립현상이 발생되어 상기 압연롤(51)의 표면가공정도가 불량하게 되어 냉연제품의 정도가 하락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현상이 지속되면, 상기 압연롤(51)의 재연삭 횟수가 많아지게 되므로 원가가 상승되고, 상기 압연롤(51)의 가공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적기에 압연롤의 교체가 이루어지지 않아 냉연제품의 품질저하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연삭유 저장탱크의 가이드를 따라 연삭유 저장탱크의 전, 후, 좌, 우 전면을 이동하면서 회전되는 벨트에 의해 연삭유에서 부유된 윤활유를 분리하고, 이를 처리하기 위한 연삭유청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써 본 발명은, 연삭유 저장탱크 내 연삭유에 함유된 윤활유를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탱크 외주부에 형성된 가이드들을 따라 주행되는 회전부재들과 이와 연결된 제 1모터 및 상기 회전부재들 상에서 지지되며 안내나사축으로 연결된 제 1블록들을 갖는 X축이동부; 상기 나사축에 끼워진 제 2블록과 상기 나사축 끝단과 연결된 제 2모터를 갖는 Y축이동부; 상기 제 2블록 내에 상하이동가능한 제 3블록과, 그 내부에 장착된 지지대에 지지되어 상하로 회전구동토록 설치된 벨트를 갖는 벨트구동부와, 상기 지지대 양측에 고정된 부레를 갖는 윤활유수거부; 상기 제 3블록 내면에 배치되어 상기 벨트면 상의 윤활유를 긁어내는 제거날과 내부에 윤활유 수집홈을 갖는 제거통을 포함하여, 상기 연삭유탱크 내에 포함된 윤활유를 제거토록 구성된 연삭유청정화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삭유청정화장치(100)를 전체적으로 도시하고, 도 3은 상기 연삭유청정화장치(100)를 분해도시하며, 도 4a와 도 4b는 각각 상기 연삭유청정화장치(100)의 정면과 측면을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삭유청정화장치(100)는 크게 연삭유 저장탱크(63)의 외주부에 형성된 가이드들(65a)(65b)을 따라 이동되고 서로 안내나사축(15)으로 연결된 제 1블록들(11)(12)을 갖는 X축이동부(10), 상기 나사축(15)에 끼워진 제 2블록(21)과 상기 나사축(15) 끝단과 연결된 제 2모터(22)를 갖는 Y축이동부(20), 상기 제 2블록(21) 내에 상하이동가능한 벨트구동부(8)를 갖고 상기 벨트구동부(8)의 회전되는 벨트로 윤활유를 수거하는 윤활유수거부(30) 및 상기 제 3블록(31) 내면에 장착되어 상기 벨트(7)면 상의 윤활유를 긁어내는 제거통(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X축이동부(10)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블록들(11)(12)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블록들(11)(12) 내부에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홈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가이드들(65a)(65b)을 따라 주행되는 회전부재들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2를 기준으로 상기 좌측 가이드(65a)는 상면에 랙기어(65c)를 형성하고, 상기 좌측 제 1블록(11) 내의 회전부재들(17a)(17b)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면에 상기 랙기어(65c)와 맞물리도록 기어이(6a)(6b)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17a)의 중심축은 상기 제 1블록(11)의 측방에 장착된 제 1모터(13)와 연결된다.
한편, 상기 우측가이드(65b)는 상면이 평평한 레일이고 상기 우측 제 1블록(12) 내의 회전부재들(14a)(14b)은 상기 레일 상에서 주행되는 롤러들이다.
또한, 상기 제 1블록들(11)(12)은 각각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 상에 홀들(11a)(11b)(12a)(12b)을 갖고 상기 홀들에는 상기 제 1블록들(11)(12)을 연결하는 안내나사축(15)과 안내봉(16)이 각각 삽입된다. 상기 안내나사축(15)은 상기 홀들(11a)(11b)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안내봉(16)은 상기 홀들(12a) (12b)에 고정장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모터(13)가 회전구동되면, 상기 제 1모터(13)와 연결된 회전부재(17a)는 상기 좌측 가이드(65a) 상의 랙기어(65c)와 맞물리면서 회전주행되고 상기 회전부재들(14a)(14b)은 상기 우측 가이드(65b) 상에서 안내주행되며, 그 결과 상기 나사축(15)과 안내봉(16)으로 일체연결된 제 1블록들(11)(12)이 X축을 따라 이동된다.
한편, 상기 Y축이동부(20)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내부형성된 관통공들 (21b)(21c)을 통해 각각 상기 나사축(15) 및 안내봉(16)에 끼워진 제 2블록(21)을 포함한다. 상기 관통공(21b)은 내부에 암나사가 형성되므로 상기 나사축(15)과 나사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 2블록(21)은 내부에 사각관통공(21d)을 갖고 상기 관통공 (21d)의 상부 내측면에 형성된 안내돌기들(21a)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 2블록(21)은 이 후 기술될 제거통(40)의 배출구(41b)를 막지 않도록 일측벽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삭제홈(21d)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나사축(15)의 일측끝단부는 상기 우측 제 1블록(12)의 측면에 장착된 제 2모터(22)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모터(22)가 회전구동되면, 상기 나사축(15)이 회전되어 상기 나사축(15)에 나사결합되면서 끼여진 제 2블록(21)이 상기 안내봉(16)을 따라 Y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한편, 상기 윤활유수거부(30)는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 2블록(21) 내에 삽입가능한 크기를 갖는 제 3블록(31)을 포함한다. 상기 제 3블록(31)은 내부에 관통공(31e)을 갖고, 상기 관통공(31e)의 일측부에는 보다 깊게 파여진 홈(31b)이 형성되며 상기 홈(31b)는 이후 기술될 제 1, 2워엄기어축들(36)(39)을 내부에 배치시키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3블록(31)은 양측 외주면에는 상기 제 2블록(21)에 형성된 돌기들(21a)에 맞게 형성된 안내홈(31a)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 3블록(31)은 상기 돌기들 (21a)을 따라 상기 제 2블록(21) 내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3블록(31)의 하부 내면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대(32a) (32b)가 장착되고, 상기 지지대(32a)(32b)의 측면에는 각각 부레(33a)(33b)가 고정된다. 상기 지지대(32a)(32b) 사이에는 상기 벨트구동부(8)가 배치된다.
도 3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상기 벨트구동부(8)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벨트구동부(8)는 상기 제 3블록(31)의 양측면에 형성된 홀들(31c)과 상기 지지대(32a)(32b) 하부에 형성된 홀들에 각각 회전토록 설치되고 외주면에 기어이(34a)(35a)가 형성된 회전축들(34)(35)과, 상기 회전축들(34)(35)의 기어이(34a) (35a)와 맞물리는 기어홈(7a)이 내주면에 형성된 기어벨트(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들 중 상회전축(34)은 내부에 키홈(34b)이 형성되고, 상기 키홈(34b)에는 이에 맞는 돌기(36b)가 외주면에 형성되며, 일측부 외주면에는 워엄기어(36a)가 형성된 제 1워엄기어축(36)이 삽입결합된다. 상기 제 1워엄기어축(36)는 상기 제 3블록(31)의 홈(31d)에 배치되고, 그 일측부(36c)는 상기 제 3블록(31)의 내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 1워엄기어축(36)의 상부에는 이와 맞물리는 워엄기어(39a)가 외주면에 형성된 제 2워엄기어축(39)이 배치되고, 상기 제 2워엄기어축(39)은 상기 제 3블록(31) 상부에 볼트부재들로 고정되는 덮개(37) 상측에 장착되는 제 3모터(38)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벨트구동부(8)의 구동에 의해 상기 벨트(7)가 회전되고, 상기 벨트구동부(8)를 장착한 제 3블록(31)은 상기 지지대(32a)(32b)의 측방에 장착된 부레(33a)(33b)의 부력에 의해 항상 연삭유(57) 상에 떠 있으며, 연삭유(57)의 많고 적음에 따라 상기 제 2블록(21) 내에서 상기 안내돌기들(21a)을 따라 상하이동된다. 이 때, 상기 벨트(7)는 항상 연삭유(57)의 표면과 접하도록 위치되어 회전되면서 연삭유(57) 표면 상에 떠 있는 윤활유(55)를 수거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거통(40)은 상기 제 3블록(31) 내면에 핀(45) 부재를 통해 끼움결합되고 상기 핀들(45) 주위에는 상기 제거통(40)을 탄력지지하는 스프링들(44)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거통(40)은 전면에 상기 벨트(7)면상의 윤활유를 긁어내는 제거날(42)과 상기 벨트(7)를 안내하는 안내벽(41)을 갖고, 측벽에는 배출구 (41b)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 3블록(31)도 상기 배출구(41b)에 맞는 위치에 관통공(31d)을 갖고, 상기 배출구(41b)와 관통공(31d)으로는 이들을 통과하여 상기 제거통(40) 내부와 외부의 윤활유 수집함(9)을 연결하는 호스(5)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좌측가이드(65a) 양끝단에는 상기 X축이동부(10)의 X축이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모터(13)에 연결된 제 1위치감지센서들(1)(2)이 설치되고, 상기 제 1블록들(11)(12) 전면에는 상기 Y축이동부(20)의 Y축이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제 2모터(22)에 연결된 제 2위치감지센서들(3)(4)이 설치된다. 상기 위치감지센서들(1) (2)(3)(4)은 미도시된 제어판넬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판넬이 이들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모터들(13)(22)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연삭유청정화장치(100)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삭유청정화장치(100)는 상기 제 1모터(13)의 회전에 의하여 이와 연결된 상기 회전부재(17a)가 상기 좌측가이드 (65a) 상면의 랙기어(65c)와 맞물리면서 회전되고, 상기 회전부재(17a)가 회전되면 상기 롤러들(14a)(14b)도 상기 우측가이드(65b)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나사축(15)과 안내봉(16)으로 일체연결된 제 1블록들(11)(12)이 X축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은 이동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 2모터(22)가 회전되면 상기 나사축(15)이 회전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 2블록(21)이 상기 나사축(15)과 안내봉(16)을 따라 Y축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제 3모터(38)가 회전되면, 이와 연결된 제 2워엄기어축(39)이 회전되고, 이어서 이와 90°방향에서 배치되어 맞물리는 제 1워엄기어축(36)이 회전되며, 이와 키결합을 하는 상회전축(34)이 회전된다. 상기 상회전축(34)이 회전되면, 이와 내면에서 기어맞물림을 하는 벨트(7)가 회전되고 상기 벨트(7)는 상기 지지대들(32a)(32b)에 지지된 하회전축(34)을 회전시킨다. 이 때, 상기 지지대들 (32a)(32b) 측방에는 부레들(33a)(33b)이 장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부레들(33a) (33b)의 부력에 의해 상기 벨트(7)를 포함하는 벨트구동부(8)는 항상 연삭유(57)의 표면에 떠 있게 되고, 상기 벨트구동부(8)를 포함하는 상기 제 3블록(31)은 연삭유(57)의 표면 수위가 바뀔 때마다 상기 제 2블록(21)에 형성된 안내홈(31a)을 따라 상하이동된다.
한편, 상기 벨트(7)는 회전구동되면서 연삭유(57) 표면 상에 떠 다니는 윤활유(55)를 벨트표면 상에 수거하고, 윤활유(55)를 수거한 벨트(7)는 상기 제거통 (40)의 안내벽(41)을 따라 통과되면서 상기 제거날(42)에 의해 긁혀져 제거되어 상기 제거통(40) 내부의 수집홈(43) 내로 수집된다.
상기 제거통(40)은 후면에 배치된 스프링들(44)에 의해 항상 탄력지지되므로 상기 벨트(7)에 보다 잘 밀착하면서 윤활유(55)를 제거한다. 또한, 상기 제거통 (40) 내에 수집된 윤활유(55)는 일정이상 수집되면, 측방에 형성된 배출구(41b)를 통해 이와 연결된 호스(5)를 거쳐 외부에 설치된 수집함(9)에 모여진다.
한편, 상기 좌측가이드(65a)의 양끝단부에 장착된 제 1위치감지센서들(1)(2)이 각각 전방의 일정구역 내에 들어서는 제 1블록(11)을 감지하면, 이 신호는 미도시된 제어판넬로 전달되고, 상기 제어판넬은 상기 신호를 다시 상기 제 1모터(13)에 전달하며, 이 신호를 받은 제 1모터(13)는 역회전되어 상기 X축이동부(10)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제 블록들(11)(12)의 내측면에 장착된 제 2위치감지센서들(3)(4)도 각각 전방의 일정구역 내에 들어서는 제 2블록(2)을 감지하면, 이 신호는 상기 제어판넬로 전달되고, 상기 제어판넬은 상기 신호를 다시 상기 제 2모터(22)에 전달하며, 이 신호를 받은 제 2모터(22)는 역회전되어 상기 Y축이동부(20)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연삭유청정화장치(100)는 상기 연삭유 저장탱크(63)의 상부 전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효과적으로 윤활유(55) 제거작업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연삭유청정화장치에 의하면, 연삭유 저장탱크의 전체 표면을 이동하면서 회전구동되는 벨트에 의해 윤활유가 효과적으로 수집되어 연삭유가 청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압연롤의 연삭성 향상에 의한 정도가공을 수행하여 냉연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a는 일반적인 연삭유저장탱크와 이와 연결된 연삭기의 평면도;
도 1b는 도 1a의 A부인 연삭기의 연삭작업을 도시한 측면도;
도 1c는 도 1a의 B부인 칩제거기의 측면도;
도 1d는 도 1a의 C부인 연삭유저장탱크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삭유청정화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삭유청정화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연삭유청정화장치의 정면도;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연삭유청정화장치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2 .... 제 1위치감지센서 3, 4 .... 제 2위치감지센서
10 .... X축이동부 11, 12 .... 제 1블록
13 .... 제 1모터 14a, 14b .... 회전부재
15 .... 안내나사축 17a, 17b .... 회전부재
20 .... Y축이동부 21 .... 제 2블록
21a .... 안내돌기 22 .... 제 2모터
30 .... 윤활유수거부 31 .... 제 3블록
33a, 33b .... 부레 34, 35 .... 상하 회전축
36 .... 제 1워엄기어축 37 .... 덮개
38 .... 제 3모터 39 .... 제 2워엄기어축
40 .... 제거통 41 .... 안내벽
42 .... 제거날 43 .... 수집홈
50 .... 연삭기 51 .... 압연롤
52 .... 지지대 53 .... 지석
55 .... 윤활유 57 .... 연삭유
61 .... 칩제거기 63 .... 연삭유 저장탱크
100 ... 본 발명에 따른 연삭유청정화장치

Claims (6)

  1. 연삭유 저장탱크 내 연삭유에 함유된 윤활유를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탱크(63) 외주부에 형성된 가이드들(65a)(65b)을 따라 주행되는 회전부재들과 이와 연결된 제 1모터(11) 및 상기 회전부재들 상에서 지지되며 안내나사축 (15)으로 연결된 제 1블록들(11)(12)을 갖는 X축이동부(10);
    상기 나사축(15)에 끼워진 제 2블록(21)과 상기 나사축(15) 끝단과 연결된 제 2모터(22)를 갖는 Y축이동부(20);
    상기 제 2블록(21) 내에 상하이동가능한 제 3블록(31)과, 그 내부에 장착된 지지대(32a)(32b)에 지지되어 상하로 회전구동토록 설치된 벨트(7)를 갖는 벨트구동부(8)와, 상기 지지대 양측에 고정된 부레(33a)(33b)를 갖는 윤활유수거부(30);
    상기 제 3블록(31)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벨트(7)면 상의 윤활유를 긁어내는 제거날(42)과 내부에 윤활유 수집홈(43)을 갖는 제거통(40)을 포함하여,
    상기 연삭유탱크 내에 포함된 윤활유를 제거토록 구성된 연삭유청정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X축이동부(10)의 제 1블록들(11)(12) 사이에는 상기 Y축이동부(20)의 제 2블록(21)을 보다 안전하게 안내하도록 상기 제 2블록(21)을 관통하는 안내봉 (16)이 설치되고, 상기 제 2블록(21)은 상부 내측면에 안내돌기들(21a)을 가지며, 상기 제 3블록(31)은 양측 외주면에 상기 안내돌기들(21a)에 맞게 형성된 안내홈 (31a)을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유청정화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들중 좌측가이드(65a)는 상면에 랙기어(65c)가 형성되고, 그 위에서 주행토록 상기 좌측 제 1블록(11) 내에 설치된 회전부재들(17a)(17b)은 외주면에 상기 랙기어(65c)와 맞물리는 기어이(6a)(6b)를 가지며, 상기 우측가이드 (65b)는 상면이 평평한 레일이고 그 위에서 주행토록 상기 우측 제 1블록(12) 내에 설치된 회전부재들(14a)(14b)은 롤러들이며, 상기 제 1모터(13)는 상기 좌측 제 1블록(11) 내에 설치된 회전부재(17a)에 연결되고, 상기 제 2모터(22)는 상기 우측 제 2블록(12) 측방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나사축(15)과 연결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유청정화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 수거부(30)의 벨트구동부(8)는 상기 제 2블록(21) 상부와 상기 지지대(32a)(32b) 하부에 각각 회전토록 설치되고 외주면에 기어이(34a)(34b)가 형성된 상하 회전축들(34)(35) 및 상기 기어이(34a)(34b)와 맞물리는 기어홈(7a)이 내주면에 형성된 기어벨트(7)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회전축(34)은 내부에 키홈(34b)이 형성되고, 상기 키홈(34b)에는 이에 맞는 돌기(36b)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일측부 외주면에 워엄기어(36a)가 형성된 제 1워엄기어축(36)이 삽입되며, 상기 제 1워엄기어축(36)의 일측부(36c)는 상기 제 3블록의 내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워엄기어축(36) 상부에는 이와 맞물리는 워엄기어(39a)가 외주면에 형성된 제 2워엄기어축(39)이 배치되고, 상기 제 2워엄기어축(39)은 상기 제 3블록(31) 상부에 고정되는 덮개(37) 상측에 장착되는 제 3모터(38)와 연결되어, 상기 벨트(7)를 회전구동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유청정화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통(40)은 상기 제 3블록(31)에 고정된 핀들(45)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핀들(45) 주위에는 상기 제거통(40)을 탄력지지하는 스프링들(44)이 배치되며, 상기 제거날(42) 양측방으로는 상기 벨트(7)를 안내하는 안내벽(41)을 갖고, 측벽에는 배출구(41b)를 가지며, 상기 제 3블록(31)도 상기 배출구(41b)에 맞는 위치에 관통공(31c)을 가지며, 상기 배출구와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거통(40) 내부와 외부에 설치된 윤활유 수집함(9)을 연결하는 호스(5)가 설치되어, 수집된 윤활유(55)를 외부배출토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유청정화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X축이동부(10)의 X축이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가이드(65a) 양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13)에 연결된 제 1위치감지센서들(1)(2)과 상기 Y축이동부(20)의 Y축이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제 1블록들(11)(12)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 2모터 (22)에 연결된 제 2위치감지센서들(3)(4)을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유청정화장치.
KR10-2001-0073137A 2001-11-22 2001-11-22 연삭유청정화장치 KR100514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137A KR100514787B1 (ko) 2001-11-22 2001-11-22 연삭유청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137A KR100514787B1 (ko) 2001-11-22 2001-11-22 연삭유청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392A KR20030042392A (ko) 2003-05-28
KR100514787B1 true KR100514787B1 (ko) 2005-09-14

Family

ID=29570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3137A KR100514787B1 (ko) 2001-11-22 2001-11-22 연삭유청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478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4853A (en) * 1981-05-21 1982-11-30 Toshiba Mach Co Ltd Supply device of cutting fluid or the like
KR950008923U (ko) * 1993-09-09 1995-04-19 이희근 벨트식 오일 제거장치
JPH08243558A (ja) * 1995-03-01 1996-09-24 Elf Antar Fr 浮上油回収用ベルト
KR19980053797U (ko) * 1996-12-31 1998-10-07 추호석 절삭유 탱크의 유수분리장치
KR19990027992U (ko) * 1997-12-24 1999-07-15 이구택 롤연삭유 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4853A (en) * 1981-05-21 1982-11-30 Toshiba Mach Co Ltd Supply device of cutting fluid or the like
KR950008923U (ko) * 1993-09-09 1995-04-19 이희근 벨트식 오일 제거장치
JPH08243558A (ja) * 1995-03-01 1996-09-24 Elf Antar Fr 浮上油回収用ベルト
KR19980053797U (ko) * 1996-12-31 1998-10-07 추호석 절삭유 탱크의 유수분리장치
KR19990027992U (ko) * 1997-12-24 1999-07-15 이구택 롤연삭유 정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392A (ko) 2003-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833581A (zh) 一种铁艺制品生产用打磨装置
KR100514787B1 (ko) 연삭유청정화장치
CN210232682U (zh) 一种钢管表面打磨装置
KR100749671B1 (ko) 연삭기 절삭유 내의 철분 제거장치
CN216967335U (zh) 一种储液槽底部去毛刺装置
CN216170419U (zh) 一种酸洗线的废液处理回收装置
CN215788822U (zh) 一种硅钢板带加工用表面成型设备
CN209679637U (zh) 抛光除尘机除污箱的过滤装置
CN211517120U (zh) 一种珩磨机双重过滤油泥装置
KR20000007688U (ko) 탈지용액에 함유된 이물질 제거장치
KR100742874B1 (ko) 스트립 표면의 오염물 제거장치
KR100779709B1 (ko) 탈지용기의 부유 슬러지 제거장치
CN110640617A (zh) 一种珩磨机双重过滤油泥装置
CN219747231U (zh) 一种数控机床用切削液过滤机构
CN213003086U (zh) 一种齿轮加工用具有复位功能的插齿机
KR20020047568A (ko) 연삭유 필터장치
KR20040087026A (ko) 롤 연마유의 금속성 연마칩 분리장치
KR100779646B1 (ko) 탈지용기의 이물제거장치
CN214269162U (zh) 一种带有清洗功能的煤矿开采用传输装置
CN219648795U (zh) 方便清理废渣的铣床
CN218774418U (zh) 一种带有清洗功能的滚筒微滤机
CN209292024U (zh) 一种带式撇油机
CN220676888U (zh) 一种污水处理设备
JP3491731B2 (ja) スクリュープレスにおける目詰り物の除去装置
CN217613367U (zh) 一种硅铁合金液体离心式过滤除渣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