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3693B1 - 가습기 - Google Patents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3693B1
KR100513693B1 KR10-2004-0017612A KR20040017612A KR100513693B1 KR 100513693 B1 KR100513693 B1 KR 100513693B1 KR 20040017612 A KR20040017612 A KR 20040017612A KR 100513693 B1 KR100513693 B1 KR 100513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tube
water
valve body
couple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7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2483A (ko
Inventor
권영일
Original Assignee
(주)휴메이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메이커 filed Critical (주)휴메이커
Priority to KR10-2004-0017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3693B1/ko
Publication of KR20040072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2483A/ko
Priority to PCT/KR2005/000692 priority patent/WO200508820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3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36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는, 하우징과,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부와 그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물저장조와, 상기 물저장조의 배출구를 통해 물저장조로부터 공급된 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와 그 수용부내에 설치되어 상기 물을 무화상태의 가습입자로 만들기 위한 초음파 진동자를 구비하는 가습용기와, 상기 물저장조의 배출구와 상기 가습용기의 수용부를 연결하는 수로와, 상기 가습용기에서 발생된 가습입자를 추동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송풍기유닛을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가습용기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분리가능하게 설치된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가습기{Humidifier}
본 발명은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이 용이하여 위생관리에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비가 오지 않는 겨울철, 특히 아파트와 같은 콘크리트 건물에서는 겨울철에 실내가 극히 건조해지며, 이렇게 건조한 실내는 피부병이나 호흡기 질환등의 질병을 일으키는 하나의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현대인은 대부분의 시간을 실내에서 지내기 때문에 실내의 습도유지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사무실 등의 실내공간에서는 실내공기의 습도유지를 위해 가습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병원의 입원실이나 유아가 있는 가정에서는 가습기가 필수적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실내의 습도유지를 위하여 종래의 가습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에 설치되어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조(2)와 상기 물저장조(2)로 부터 물을 수로(3)를 통해 공급받아 수용하는 수용부(4)와, 상기 수용부(4)내에 설치되며 그 수용부(4)내의 물을 무화시키는 초음파진동자(5)와, 상기 초음파진동자(5)에 의해 발생된 가습입자를 추동하기 위한 송풍팬(6) 및 상기 송풍팬(6)에 의하여 추동된 가습입자를 실내공간 등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분무노즐(7)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가습기는 일반적으로 상기 물저장조(2)를 상기 하우징(1)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이 물저장조(2)를 꺼내어 물을 용이하게 보충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종래의 가습기가 장시간 사용되면, 상기 초음파진동자(5)가 위치한 부분과 그 주변에 오물이 발생하여 물이 오염되며, 결국 실내공간으로 분무되는 가습입자가 오염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가습기는 상기 물저장조(2)만이 상기 하우징(1)으로부터 분리되며, 가습입자의 오염의 주원인이 되는 초음파진동자(5)가 위치된 부분은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진동자(5)부위를 세척하기 위해서는 가습기 전체를 들고가서 세척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가습기의 기능이 추가되는 경우 등 가습기의 용량이 큰 경우에는 가습기의 무게가 커지므로 이러한 불편함은 더욱 커지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세척이 불편하다는 이유로 장기간 세척을 하지 않게 되면, 오염된 가습입자에 의해 실내공기가 오염되어 호흡기질환이나 피부질환 등이 발병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과 세척이 용이하여 실내로 분무되는 가습입자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가습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우징과,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부와 그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물저장조와, 상기 물저장조의 배출구를 통해 물저장조로부터 공급된 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와 그 수용부내에 설치되어 상기 물을 무화상태의 가습입자로 만들기 위한 초음파 진동자를 구비하는 가습용기와, 상기 물저장조의 배출구와 상기 가습용기의 수용부를 연결하는 수로와, 상기 가습용기에서 발생된 가습입자를 추동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송풍기유닛을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가습용기는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분리가능하게 설치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습용기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분리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연결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가습용기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물저장조로부터 상기 가습용기로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수로를 개방하고, 상기 가습용기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물저장조로부터 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수로를 폐쇄하기 위한 밸브기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물저장조의 배출구에 결합되어 있으며 양단이 개방되어 있는 파이프형의 제1접속관부재와, 상기 가습용기에 결합되어 있으며 양단이 개방되어 있는 파이프형의 제2접속관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있으며 양단이개방되어 있고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접속관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있으며 양단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제2접속관부재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접속관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로는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제3접속관부재의 내부공간과, 상기 제3접속관부재와 상기 제4접속관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파이프형의 연결관 및 상기 제4접속관부재와 제2접속관부재의 내부공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밸브기구는, 상기 제1접속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수로를 폐쇄하는 위치 및 개방하는 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접속관부재에 설치되는 제1밸브체와, 상기 수로를 폐쇄하는 위치로 상기 제1밸브체를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제1스프링과, 상기 제2접속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수로를 폐쇄하는 위치 및 개방하는 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2접속관부재에 설치되는 제2밸브체와, 상기 수로를 폐쇄하는 위치로 상기 제2밸브체를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제2스프링과, 상기 제3접속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수로를 폐쇄하는 위치 및 개방하는 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3접속관부재에 설치되는 제3밸브체와, 상기 수로를 폐쇄하는 위치로 상기 제3밸브체를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제3스프링과, 상기 제4접속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수로를 폐쇄하는 위치 및 개방하는 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4접속관부재에 설치되는 제4밸브체 및 상기 수로를 폐쇄하는 위치로 상기 제4밸브체를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제4스프링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제3접속관부재가 상호 결합될 때 상기 제1밸브체와 제3밸브체가 서로에 의해 눌려서 각각 상기 수로를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제2접속관부재와 제4접속관부재가 상호 결합될 때 상기 제2밸브체와 제4밸브체가 서로에 의해 눌려서 각각 상기 수로를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제3접속관부재 사이 및 상기 제2접속관부재와 제4접속관부재 사이에는 각각 반경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며 그 외주면과 내주면이 각각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제3접속관부재 및 제2접속관부재와 제4접속관부재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고리형의 탄성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제3접속관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제1접속관부재 사이의 마찰력 및 상기 제3접속관부재와 탄성부재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결합되어 그 마찰력보다 큰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제3접속관부재가 분리 가능하며, 상기 제2접속관부재와 제4접속관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제2접속관부재 사이의 마찰력 및 상기 제4접속관부재와 탄성부재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결합되어 그 마찰력보다 큰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제2접속관부재와 제4접속관부재가 분리 가능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제3접속관부재 사이 및 상기 제2접속관부재와 제4접속관부재 사이의 실링을 겸하는 리데나 또는 오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물저장조의 배출구에 결합되어 있으며 양단이 개방되어 있는 파이프형의 제1접속관부재와, 상기 가습용기에 결합되어 있으며 양단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이프형의 제2접속관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수로는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제2접속관부재의 내부공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1접속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수로를 폐쇄하는 위치 및 개방하는 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접속관부재에 설치되는 제1밸브체와, 상기 수로를 폐쇄하는 위치로 상기 제1밸브체를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제1스프링과, 상기 제2접속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수로를 폐쇄하는 위치 및 개방하는 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2접속관부재에 설치되는 제2밸브체와, 상기 수로를 폐쇄하는 위치로 상기 제2밸브체를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제2스프링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제2접속관부재가 상호 결합될 때 상기 제1밸브체와 제2밸브체가 서로에 의해 눌려서 각각 상기 수로를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제2접속관부재 사이에는 반경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며 그 외주면과 내주면이 각각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제2접속관부재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고리형의 탄성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제2접속관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제1접속관부재 사이의 마찰력 및 상기 제2접속관부재와 탄성부재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결합되어, 그 마찰력보다 큰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제2접속관부재가 분리 가능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제2접속관부재 사이의 실링을 겸하는 리데나 또는 오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물저장조에 결합되며 양단이 개방되어 있는 파이프형의 제1접속관부재와, 상기 가습용기에 마련되며 그 타단은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양단이 개방된 파이프형의 접속연결관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로는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접속연결관부의 내부공간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수로를 폐쇄하는 위치 및 개방하는 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접속관부재에 설치되는 제1밸브체와, 상기 수로를 폐쇄하는 위치로 상기 제1밸브체를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제1스프링과,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접속연결관부가 상호 결합될 때 상기 제1밸브체가 눌릴 수 있도록 상기 제1밸브체에 대응되도록 상기 접속연결관부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지지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접속연결관부가 상호 결합될 때, 상기 제1밸브체가 상기 접촉지지부에 의해 눌려서 상기 수로를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접속연결관부 사이에는 반경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며 그 외주면과 내주면이 각각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접속연결관부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고리형의 리데나 또는 오링이 설치되며,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접속연결관부는, 상기 리데나 또는 오링과 상기 제1접속관부재 사이의 마찰력 및 상기 접속연결관부와 리데나 또는 오링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결합되어, 그 마찰력보다 큰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접속연결관부가 분리 가능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물저장조는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가습용기 위에 배치되며; 상기 수로는 상기 가습용기에 형성되며; 상기 물저장조의 배출구를 개방하는 위치 및 폐쇄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상기 물저장조에 설치되는 밸브와, 이 밸브를 상기 폐쇄위치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과, 상기 물저장조가 상기 가습용기위에 배치될 때 상기 밸브가 눌릴 수 있도록 상기 밸브에 대응되도록 상기 가습용기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지지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물저장조가 상기 가습용기위에 배치될 때 상기 밸브는 상기 가습용기에 의하여 눌려서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되어 수로가 개방되며, 상기 물저장조와 상기 가습용기가 서로 분리될 때 상기 밸브는 상기 폐쇄위치로 이동되어 수로가 폐쇄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개략적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습기의 Ⅲ-Ⅲ선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가습기의 Ⅳ-Ⅳ선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A부위의 확대도이며, 도 6a는 본 발명의 연결수단과 밸브기구에 대한 개략적 분리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연결수단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제1실시예)에 따른 가습기(900)는, 하우징(10), 물저장조(20), 가습용기(30), 수로(40), 송풍기유닛(50) 및 연결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물저장조(20)는 상기 하우징(10)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물저장조(20)에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부(21)가 마련되며, 이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부 일측에 배출구(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물저장조(20)의 상부에는 물을 보충하기 위한 물보충구(미도시)와 이 물보충구를 개폐하기 위한 마개(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가습용기(30)는 상기 하우징(10)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습용기(30)의 내부에는 상기 물저장조(20)로부터 배출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하는 유입구(37)와, 이 유입된 물을 수용하는 수용부(34)가 마련된다. 상기 수용부(34)에는 그 바닥면(33)에 이 수용부(34)에 수용된 물을 가습입자로 무화시키기 위한 초음파진동자(32)가 설치된다. 상기 초음파진동자(32)는 공지의 요소로서 예컨대 공개특허공보 출원번호 제10-2001-0003765호 또는 출원번호 제 특1997-01961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공지의 초음파진동자등이 사용될 수 있다.상기 가습용기(30)가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된 전원(70)과 연결되며, 상기 가습용기(30)가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전원(70)과의 연결이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가습용기(30)에는 전기단자(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기단자는 도선(35)을 통해 상기 초음파진동자(32)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가습용기(30)의 상부에는 상기 수용부쪽으로 돌출된 돌기(34)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습용기(30)의 후면에는, 후술할 송풍기유닛(50)에 의하여 생성된 바람이 상기 수용부(31)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송풍구(3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습용기(30)의 상부에는 상기 초음파진동자(30)에 의하여 발생된 가습입자를 가이드하기 위한 분무관(60)이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분무관(60)의 하단에는 상기 가습용기(30)의 상부에 마련된 복수의 돌기(34)에 대응되는 복수의 홈(62)들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34)들이 각기 대응되는 상기 홈(62)들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분무관(60)과 가습용기(30)가 결합된다. 상기 분무관(60)의 상단에는, 가습입자 실내공간 등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분무노즐(63)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 분무노즐(63)은 상기 분무관(6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상기 분무관(6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습입자의 배출방향을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송풍기유닛(50)은, 상기 가습용기(30)의 수용부(31)에서 발생된 가습입자를 추동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된다. 상기 송풍기유닛(50)은 바람을 발생시키는 송풍팬(51)과 이 발생된 바람을 상기 가습용기(30)의 수용부(31)쪽으로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송풍팬(51)에 연결되어 있는 가이드관(52)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송풍팬(51)은 상기 전원(7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된다. 상기 가습용기(30)가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면, 이 가습용기(30)의 송풍구(36)와 상기 가이드관(52)이 서로 연결되게 된다.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가습용기(30)가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물저장조(20)로부터 상기 가습용기(30)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후술할 수로(40)를 개방하고, 상기 가습용기(30)가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물저장조(20)로부터 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후술할 수로(40)를 폐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연결수단은 접속관부재와 밸브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접속관부재는 제1접속관부재(81) 내지 제4접속관부재(8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접속관부재(81)는, 양단이 개방되어 있는 중공의 파이프형으로서, 그 일단의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물저장조(20)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물저장조(20)에 결합된다.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의 내주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4개의 리브(811)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리브(811)들 사이는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뚫려 있다. 상기 제2접속관부재(82)도, 양단이 개방되어 있는 중공의 파이프형으로서, 그 일단의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습용기(30)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가습용기(30)에 결합된다. 상기 제2접속관부재(82)의 내주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4개의 리브(8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리브(821)들 사이는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뚫려 있다.
상기 제3접속관부재(83)는 그 타단부의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어 그 타단부는 나사결합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10)에 고정되며, 일단부는 상기 제1접속관(8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3접속관부재(83)는 양단이 개방되어 있는 중공의 파이프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3접속관부재(83)의 내주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4개의 리브(8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리브(831)들 사이는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뚫려 있다. 상기 제4접속관부재(84)도 그 타단부의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어 그 타단부는 나사결합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10)에 고정되며, 일단부는 상기 제2접속관(8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4접속관부재(84)는 양단이 개방되어 있는 중공의 파이프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4접속관부재(83)의 내주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4개의 리브(8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리브(841)들 사이는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뚫려 있다.
상기 제3접속관부재(83)의 내주면과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의 외주면 사이 및 제4접속관부재(84)의 내주면과 상기 제2접속관부재(82)의 외주면 사이에는 탄성부재인 고리형의 리데나(103,104)가 끼워진다. 이 리데나(103,104)는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와 제3접속관부재(83) 및 제2접속관부재(82)와 제4접속관부재(84)를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고, 또한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와 제3접속관부재(83) 사이 및 제2접속관부재(82)와 제4접속관부재(84) 사이를 실링하기 위한 것이다. 이 리데나(103,104)는 예컨대 공개특허공보 출원번호 제1998-037060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리데나(103,104)의 외경은 상기 제3접속관부재(83)와 제4접속관부재(84)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리데나(103,104)의 내경은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와 제2접속관부재(82)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데나(103,104)는 탄성소재로 이루어져 그 반경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하다. 또한, 상기 리데나(103,104)에는 그 리데나(103,104)의 둘레방향을 따라 고리형의 스프링(미도시)이 끼워져 있어 상기 리데나(103,104)의 내주면을 반경방향의 내측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킨다.
한편, 상기 리데나(103,104)를 사용하는 대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의 외주면과 제3접속관부재(83)의 내주면 사이 및 상기 제2접속관부재(82)의 외주면과 제4접속관부재(84)의 내주면 사이에는 탄성부재인 고리형의 오링(105, 106)이 끼워질 수도 있다. 이 오링(105,106)의 두께는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의 외주면과 제3접속관부재(83)의 내주면 사이 및 상기 제2접속관부재(82)의 외주면과 제4접속관부재(84)의 내주면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링(105,106)은 그 반경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와 제3접속관부재(83)가 상호 결합되어 그 내부에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밀폐된 내부공간(41)이 생기며, 상기 제2접속관부재(82)와 제4접속관부재(84)가 결합되어 그 내부에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밀폐된 내부공간(43)이 생긴다. 한편, 상기 제2접속관부재(82)의 타단부와 상기 제4접속관부재(84)의 타단부는 각기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어 있고 연결관(42)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와 제3접속관부재(83)에 의하여 형성된 내부공간(41)과, 연결관(42) 및 상기 제2접속관부재(82)와 제4접속관부재(84)에 의하여 형성된 내부공간(43)이 상기 수로(40)를 형성한다. 상기 수로(40)를 통해 상기 물저장조(20)의 배출구(22)로부터 배출된 물이 상기 가습용기(30)의 유입구(37)를 통해 수용부(31)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 밸브기구는 제1밸브체(85) 내지 제4밸브체(87)와, 제1스프링(95) 내지 제4스프링(98)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밸브체(85)는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수로(40)를 폐쇄하는 위치 및 개방하는 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에 설치된다. 상기 제1밸브체(85)는 차단부(851), 연결봉(852) 및 지지부(853)를 구비한다. 상기 차단부(851)는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의 일단부 내주면에 밀착되게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의 개방된 일단을 차단하는 부분으로서 원형의 단면을 가진다. 상기 지지부(853)는,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와 제3접속관부재(83)이 서로 결합될 때, 후술할 상기 제3밸브체(87)의 지지부(873)와 접촉되는 부분이다. 상기 연결봉(852)은 전체적 형상이 봉형으로서 상기 차단부(851)와 지지부(853) 사이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스프링(95)은 상기 연결봉(852)에 끼워져, 그 일단은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의 리브(811)에 지지되며, 타단은 상기 지지부(853)에 지지된다. 상기 제1스프링(95)은 상기 제1밸브체(85)를 상기 수로(40)를 폐쇄하는 위치로 탄성바이어스 시킨다.
상기 제2밸브체(86)는 상기 제2접속관부재(8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수로(40)를 폐쇄하는 위치 및 개방하는 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2접속관부재(82)에 설치된다. 상기 제2밸브체(86)는 차단부(861), 연결봉(862) 및 지지부(863)를 구비한다. 상기 차단부(861)는 상기 제2접속관부재(82)의 일단부 내주면에 밀착되게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접속관부재(82)의 개방된 일단을 차단하는 부분으로서 원형의 단면을 가진다. 상기 지지부(863)는, 상기 제2접속관부재(82)와 제4접속관부재(84)가 서로 결합될 때, 후술할 상기 제4밸브체(88)의 지지부(883)와 접촉되는 부분이다. 상기 연결봉(862)은 전체적 형상이 봉형으로서 상기 차단부(861)와 지지부(863) 사이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스프링(96)은 상기 연결봉(862)에 끼워져, 그 일단은 상기 제2접속관부재(82)의 리브(821)에 지지되며, 타단은 상기 지지부(863)에 지지된다. 상기 제2스프링(96)은 상기 제2밸브체(86)를 상기 수로(40)를 폐쇄하는 위치로 탄성바이어스 시킨다.
상기 제3밸브체(87)는 상기 제3접속관부재(83)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수로(40)를 폐쇄하는 위치 및 개방하는 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3접속관부재(83)에 설치된다. 상기 제3밸브체(87)는 차단부(871), 연결봉(872) 및 지지부(873)를 구비한다. 상기 차단부(871)는 상기 제3접속관부재(83)의 타단부 내주면에 밀착되게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3접속관부재(83)의 개방된 타단을 차단하는 부분으로서 원형의 단면을 가진다. 상기 지지부(873)는, 상기 제3접속관부재(83)와 제1접속관부재(81)가 서로 결합될 때, 상기 제1밸브체(85)의 지지부(853)와 접촉되는 부분이다. 상기 연결봉(872)은 전체적 형상이 봉형으로서 상기 차단부(871)와 지지부(873) 사이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3스프링(97)은 상기 연결봉(872)에 끼워져, 그 타단은 상기 제3접속관부재(83)의 리브(831)에 지지되며, 일단은 상기 지지부(873)에 지지된다. 상기 제3스프링(97)은 상기 3밸브체(87)를 상기 수로(40)를 폐쇄하는 위치로 탄성바이어스 시킨다
상기 제4밸브체(88)는 상기 제4접속관부재(84)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수로(40)를 폐쇄하는 위치 및 개방하는 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4접속관부재(84)에 설치된다. 상기 제4밸브체(88)는 차단부(881), 연결봉(882) 및 지지부(883)를 구비한다. 상기 차단부(881)는 상기 제4접속관부재(84)의 타단부 내주면에 밀착되게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4접속관부재(84)의 개방된 타단을 차단하는 부분으로서 원형의 단면을 가진다. 상기 지지부(883)는, 상기 제4접속관부재(84)와 제4접속관부재(82)가 서로 결합될 때, 상기 제2밸브체(86)의 지지부(863)와 접촉되는 부분이다. 상기 연결봉(882)은 전체적 형상이 봉형으로서 상기 차단부(881)와 지지부(883) 사이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4스프링(98)은 상기 연결봉(882)에 끼워져, 그 타단은 상기 제4접속관부재(84)의 리브(841)에 지지되며, 일단은 상기 지지부(883)에 지지된다. 상기 제4스프링(98)은 상기 제4밸브체(88)를 상기 수로(40)를 폐쇄하는 위치로 탄성바이어스 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용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습기(900)의 물저장조(20)를 상기 하우징(10)에 설치한다. 이 때, 상기 물저장조(20)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1접속관부재(81)는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어 있는 제3접속관부재(83)와 결합된다. 이 때, 상기 제3접속관부재(83)에는 상기 리데나(103)가 끼워져 있다. 상기 리데나(103)의 외경은 상기 제3접속관부재(83)의 내경보다 크지만, 상기 리데나(103)가 반경방향으로 탄성변형되므로 상기 제3접속관부재(83)의 내주면과 상기 리데나(103)의 외주면은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상기 리데나(103)는 상기 제3접속관부재(83)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의 외경은 상기 리데나(103)의 내경보다 크지만, 상기 리데나(103)가 반경방향으로 탄성변형되므로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의 외주면과 상기 리데나(103)의 내주면은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상기 제1접속관부재(81)는 상기 리데나(103)에 끼워진다. 이렇게 결합이 되면, 상기 제3접속관부재(83)의 내주면과 상기 리데나(103)의 외주면 사이의 마찰력 및 상기 리데나(103)의 내주면과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의 외주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와 상기 제3접속관부재(83)의 결합은 유지되게 된다. 한편, 이렇게 상기 제1접속관부재(81)를 제3접속관부재(83)에 삽입시키면 상기 제1밸브체(85)의 지지부(853)와 상기 제3밸브체(87)의 지지부(873)은 서로 접촉되게 되고, 계속적으로 삽입시키면 상기 제1밸브체(85)와 제3밸브체(87)는 서로에 의해 눌리게 되므로 상기 제1밸브체(85)의 차단부(851)와 제3밸브체(87)의 차단부(871)는 상기 수로(40)를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1스프링(95) 및 제3스프링(97)은 압축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습용기(30)를 상기 하우징(10)에 설치한다. 즉, 상기 가습용기(30)에 결합되어 있는 제2접속관부재(82)가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어 있는 제4접속관부재(84)에 삽입되므로써 결합되게 된다. 이 결합은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와 제3접속관부재(83)가 결합되는 방식과 동일하다. 이렇게 결합이 완료되게 되면 , 상기 제2밸브체(86)와 제4밸브체(88)는 서로에 의해 눌리게 되므로 상기 제2밸브체(86)의 차단부(861)와 제4밸브체(88)의 차단부(881)는 상기 수로(40)를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2스프링(96) 및 제4스프링(98)은 압축되게 된다. 이렇게 결합이 되면, 상기 제4접속관부재(88)의 내주면과 상기 리데나(104)의 외주면 사이의 마찰력 및 상기 리데나(104)의 내주면과 상기 제2접속관부재(82)의 외주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제2접속관부재(82)와 상기 제4접속관(84)의 결합은 유지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물저장조(20)와 가습용기(30)를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면 상기 수로(40)가 형성된다. 상기 물저장조(20)로부터 배출된 물은 상기 수로(40) 즉,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와 제3접속관부재(83)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내부공간(41)과 상기 제3접속관부재(83)와 상기 제4접속관부재(84)사이의 연결관(42) 및 상기 제4접속관부재(82)와 제2접속관부재(82)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43)을 거쳐 상기 가습용기(30)의 수용부(31)로 유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90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송풍팬(51)이 작동되며, 초음파진동자(32)는 진동하게 된다. 상기 초음파진동자(32)의 진동에 의하여 상기 수용부(31)에 있던 물은 무화되어 가습입자가 된다. 상기 송풍팬(51)에 의하여 발생된 바람은 가이드관(52)을 따라 진행되어 상기 송풍구(37)를 통해 가습용기(30)쪽으로 배출되며, 이 바람은 상기 가습입자를 추동하게 된다. 이 추동된 가습입자는 상기 분무노즐(6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전원이 해제되면 상기 송풍팬(51)과 초음파진동자(32)의 작동이 정지되어 더이상 가습입자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가습기(900)를 장시간 사용함에 따라 초음파진동자(32)가 설치된 부분에 오물이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가습용기(30)를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시켜서 세척시킨다. 즉, 사용자는 상기 제4접속관부재(84)에 끼워져 있는 리데나(104)의 내주면과 상기 제2접속관부재(82)의 외주면 사이의 마찰력보다 더 큰 힘으로 상기 가습용기(30)를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제2접속관부재(82)는 제4접속관부재(84)로부터 분리된다. 이렇게 하여 사용자는 매우 용이하게 상기 가습용기(30)부분만을 세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렇게 결합이 해제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되어 있던 상기 제2스프링(96)과 제4스프링(98)은 탄성복원되어 상기 제2밸브체(96)와 제4밸브체(98)를 상기 폐쇄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4밸브체(98)가 폐쇄위치에 놓여지게 되면 상기 연결관(42)이 폐쇄되어 물이 배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밸브체(96)가 폐쇄위치에 놓여지게 되면 상기 가습용기(30)의 수용부(31)에 수용되어 있던 물도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게 된다. 이렇게 사용자는 단지 일정정도 이상의 힘으로 상기 가습용기(30)를 당겨주기만 하면 물의 유출이 없이 안전하게 상기 가습용기(30)를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그 사용과 세척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지금까지 상기 가습용기(30)가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어 있는 형태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제2실시예), 상기 가습용기(30)는 상기 물저장조(20)에 직접 결합되는 방식으로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물저장조(20)에 결합되어 있는 제2접속관부재(82)에 리데나(미도시)가 끼워지게 되며, 상기 제1접속관부재(81)는 상기 제2접속관부재(82)에 끼워짐으로써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결합은 상기 리데나의 내주면과 상기 제2접속관부재(82)의 외주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유지되며, 이 마찰력 이상의 힘으로 사용자가 상기 가습용기(30)를 잡아당기면 이 결합이 해제된다. 이렇게 결합을 해제할 때, 상기한 바와 동일하게, 상기 제1밸브체(85)와 제2밸브체(86)은 각각 폐쇄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물저장조(20)와 상기 수용부(31)로부터 물이 배출되지 않으므로, 상기 가습용기(30)를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매우 안전하면서도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저장조(20)는 수도에 직접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플롯트밸브(110)에 의하여 상기 물저장조(20)내의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수도에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형태(제2실시예), 즉 상기 가습용기(30)가 물저장조(20)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형태에서, 상기 제1접속관부재(81), 제2접속관부재(82), 제1밸브체(85), 제2밸브체(86) 및 상기 이 밸브체들(85,86)를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들의 구성은, 상기 도 2 내지 도 6a에 도시된 형태에서의 제1접속관부재(81), 제3접속관부재(83), 제1밸브체(85), 제3밸브체(87), 제1스프링(95) 및 제3스프링(97)과 의 구성과 각각 완전히 동일하며, 그 결합 및 분리도 상기 도 2 내지 도 6a에 도시된 형태에서의 제1접속관부재(81)와 제3접속관부재(83)사이의 결합 및 분리와 완전히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제1밸브체(85)와 제2밸브체(86) 및 스프링들의 작용도 상기 도 2내지 도 6a에 도시된 제1밸브체(85)와 제3밸브체(87) 및 스프링들(95,97)의 작용과 완전히 동일하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제3실시예)는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를 변형한 것이다. 즉,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물저장조(20)와 가습용기(30)는 각각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며, 상기 물저장조(20)와 상기 가습용기(30)가 제1접속관부재(81) 및 접속연결관부(82a)에 의하여 직접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접속관부재(81)는 상기 물저장조(20)의에 결합되어 있으며, 접속연결관부(82a)는 상기 가습용기(30)에 마련되어 있으며 이 접속연결관부(82a)의 타단이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에는 제1밸브체(85)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제1밸브체(85)에는 이 제1밸브체(85)를 개방위치로 탄성바이어스시키기 위한 제1스프링(9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접속관부재(81), 제1밸브체(85) 및 제1스프링(95)의 구성은 도 2 내지 도6a에 도시된 제1접속관부재(81), 제1밸브체(85) 및 제1스프링(95)의 구성과 각각 완전히 동일하다.
상기 접속연결관부(82a)는 양단이 개방되어 있다. 상기 접속연결관부(82a)는 제2접촉지지부(828)를 구비한다. 이 제2접촉지지부(828)는 상기 제1접속관부재(81)가 상기 접속연결관부(82a)에 결합될 때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에 설치되어 있는 제1밸브체(85)가 눌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밸브체(85)와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접속관부재(81)가 상기 접속연결관부(82a)에 끼워져 결합될 때, 상기 제1밸브체(85)는 상기 제2접촉지지부(828)에 접촉되게 되며, 계속적으로 끼워넣어지면 이 제1밸브체(85)는 눌려서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와 접속연결관부(82a)의 내부공간인 수로(40)를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되게 되며, 상기 제1스프링(95)은 압축되게 된다. 상기 수로(40)가 개방되면 상기 물저장조(20)내의 물은 상기 수로(40)를 거쳐 자유낙하하여 상기 가습용기(30)의 수용부(31)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와 상기 접속연결관부(82a)사이에는 상기 리데나(103)가 끼워진다. 이 리데나(103)의 외주면은 상기 접속연결관부(82a)의 내주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며, 이 리데나(103)의 내주면은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된다. 이 리데나(103)의 외주면과 접속연결관부(82a)의 내주면 사이의 마찰력 및 상기 리데나(103)의 내주면과 제1접속관부재(81)의 외주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와 접속연결관부(82a)의 결합이 유지되며, 이들 마찰력보다 더 큰 외력이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와 접속연결관부(82a)를 분리하는 방향으로 가해지면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와 접속연결관부(82a)는 상호 분리되게 된다.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와 접속연결관부(82a)가 상호 분리되면, 압축되었던 스프링(95)은 탄성복원되어 상기 제1밸브체(95)를 폐쇄위치로 이동시키게 되어 물이 상기 수로(40)로부터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제4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0)에 상기 가습용기(30)에 놓여져 설치된다. 이 가습용기(30)위에는 상기 물저장조(20)가 놓여진다. 상기 수로(40)는 상기 가습용기(30)내에 형성된다. 상기 물저장조(20)의 배출구(22)에는 이 배출구(22)를 개방하는 위치 및 폐쇄하는 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밸브(85a)가 설치된다. 이 밸브(85a)에는 스프링(95a)이 끼워지며 이 스프링(95a)은 상기 밸브(85a)를 상기 폐새하는 위치로 탄성바이어스 시킨다. 상기 가습용기(30)에는 접촉지지부(38)가 형성된다. 이 접촉지지부(38)는 상기 물저장조(20)가 상기 가습용기(30)위에 놓여질 때, 상기 밸브(85a)가 눌리는 부분이다.
상기 물저장조(20)가 상기 가습용기(30)위에 놓여지면, 상기 밸브(85a)는 상기 접촉지지부(38)에 눌리게 되어 상기 배출구(22)가 개방되면서 상기 스프링(95a)은 압축되게 된다. 상기 배출구(22)가 개방되면, 상기 물저장조(20)내의 물은 상기 배출구(22)를 통해 자유낙하하게 되고 상기 수로(40)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가습용기(30)의 수용부(31)에 수용되게 된다. 상기 가습용기(20)위에 배치되어 있던 물저장조(20)를 들어냄으로써 상기 물저장조(20)를 가습용기(30)로부터 분리시키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95a)은 탄성복원되며, 이 때 이 스프링(95a)은 상기 밸브(85a)를 밀어내어 상기 배출구(22)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물저장조(20)로부터 물이 배출되지 않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제5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5실시예에서는 수로(40)가 상기 하우징(10)내에 형성된다. 이 수로(40)는 상기 하우징(10)내에 설치되어 상기 물저장조(20)의 배출구(22)와 상기 가습용기(30)의 수용부(31)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물저장조(20)로부터 배출된 물은 이 수로(40)를 따라 상기 가습용기(30)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 물저장조(20)는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된다. 상기 물저장조(20)에는, 상기 제4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이 물저장조(20)의 배출구(22)를 개방하는 위치 및 폐쇄하는 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밸브(85a)가 설치된다. 또한, 이 밸브(85a)에는 스프링(95a)이 끼워짐으로써 이 밸브(85a)를 상기 폐쇄위치로 탄성바이어스 시킨다. 한편, 상기 수로(40)에는 접촉지지부(4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접촉지지부(48)는, 상기 물저장조(20)가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될 때 이 물저장조(20)에 결합되어 있는 밸브(85a)가 눌리게 되는 부분이다. 이렇게 상기 밸브(85a)가 상기 접촉지지부(48)에 눌리게 되면 상기 스프링(95a)은 압축되며 상기 밸브(85a)는 상기 배출구(22)를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물저장조(20)로부터 수로(40)로 물이 배출되게 된다. 반면, 상기 물저장조(20)가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될 때,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95a)은 탄성복원되며 상기 밸브(85a)를 상기 폐쇄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배출구(22)를 밀폐하게 된다. 미설명된 참조번호 113은 리데나로서, 상기 물저장조(20)가 하우징(10)에 설치될 때, 이 들 둘 사이에 끼워진다.
상기 수로(40)에는 양단이 개방된 파이프형의 제1접속관부재(81)가 결합되며, 상기 가습용기(30)에도 양단이 개방된 접속연결관부(82a)가 마련된다.
한편,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에는 상기 수로(40)를 폐쇄하는 위치 및 개방하는 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제1밸브체(85)가 설치되며, 이 제1밸브체(85)에는 제1스프링(95)이 끼워져 상기 제1밸브체(85)를 상기 수로를 폐쇄하는 위치로 탄성 바이어스시킨다. 상기 접속연결관부(82a)에는, 상기 제1밸브체(85)에 대응되게 제2접촉지지부(828)가 형성된다.
이 제2접촉지지부(828)는 상기 제1접속관부재(81)가 상기 접속연결관부(82a)에 결합될 때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에 설치되어 있는 제1밸브체(85)가 눌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밸브체(85)와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접속관부재(81)가 상기 접속연결관부(82a)에 끼워져 결합될 때, 상기 제1밸브체(85)는 상기 제2접촉지지부(828)에 접촉되게 되며, 계속적으로 끼워넣어지면 이 제1밸브체(85)는 눌려서 상기 수로(40)를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되게 되며, 상기 제1스프링(95)은 압축되게 된다. 상기 수로(40)가 개방되면 상기 물저장조(20)내의 물은 상기 수로(40)를 거쳐 자유낙하하여 상기 가습용기(30)의 수용부(31)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와 상기 접속연결관부(82a)사이에는 고리형의 탄성부재인 리데나(103) 또는 오링(미도시)이 끼워진다. 상기 리데나(103)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리데나(103)의 외주면은 상기 접속연결관부(82a)의 내주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며, 이 리데나(103)의 내주면은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된다. 이 리데나(103)의 외주면과 접속연결관부(82a)의 내주면 사이의 마찰력 및 상기 리데나(103)의 내주면과 제1접속관부재(81)의 외주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와 접속연결관부(82a)의 결합이 유지되며, 이들 마찰력보다 더 큰 외력이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와 접속연결관부(82a)를 분리하는 방향으로 가해지면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와 접속연결관부(82a)는 상호 분리되게 된다.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와 접속연결관부(82a)가 상호 분리되면, 압축되었던 스프링(95)은 탄성복원되어 상기 제1밸브체(95)를 폐쇄위치로 이동시키게 되어 물이 상기 수로(40)로부터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 제5실시예에서는 상기 물저장조(20)와 분무관(60)이 단일한 피스로 형성되어 있지만,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와 같이 분리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 도 15에 도시된 제6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제6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6실시예에서는 수로(40)가 상기 하우징(10)내에 형성된다. 이 수로(40)는 상기 하우징(10)내에 설치되어 상기 물저장조(20)의 배출구(22)와 상기 가습용기(30)의 수용부(31)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물저장조(20)로부터 배출된 물은 이 수로(40)를 따라 상기 가습용기(30)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 물저장조(20)는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된다. 상기 물저장조(20)에는, 상기 제4실시예 및 제5실시예와 동일하게, 이 물저장조(20)의 배출구(22)를 개방하는 위치 및 폐쇄하는 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밸브(85a)가 설치된다. 또한, 이 밸브(85a)에는 스프링(95a)이 끼워짐으로써 이 밸브(85a)를 상기 폐쇄위치로 탄성바이어스 시킨다. 한편, 상기 수로(40)에는 접촉지지부(4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접촉지지부(48)는, 상기 물저장조(20)가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될 때 이 물저장조(20)에 결합되어 있는 밸브(85a)가 눌리게 되는 부분이다. 이렇게 상기 밸브(85a)가 상기 접촉지지부(48)에 눌리게 되면 상기 스프링(95a)은 압축되며 상기 밸브(85a)는 상기 배출구(22)를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물저장조(20)로부터 수로(40)로 물이 배출되게 된다. 반면, 상기 물저장조(20)가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될 때,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95a)은 탄성복원되며 상기 밸브(85a)를 상기 폐쇄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배출구(22)를 밀폐하게 된다. 미설명된 참조번호 113은 리데나로서, 상기 물저장조(20)가 하우징(10)에 설치될 때, 이 들 둘 사이에 끼워진다.
상기 수로(40)에는 양단이 개방되어 있는 파이프형의 제1접속관부재(81)가 결합되며, 상기 가습용기(30)에도 역시 양단이 개방되어 있는 파이프 형의 제2접속관부재(82)가 결합된다. 이 제2접속관부재(82)는 반경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고리형의 탄성부재인 리데나(103)또는 오링(미도시)에 의하여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리데나(103)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와 제2접속관부재(82)가 상호 결합되면, 이 리데나(103)는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와 제2접속관부재(82)의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즉, 이 리데나(103)의 외주면은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의 내주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며, 그 내주면은 상기 제2접속관부재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된다. 이 리데나(103)의 내주면과 제2접속관부재(82)의 외주면 사이의 마찰력 및 상기 리데나(103)의 외주면과 제1접속관부재(81)의 내주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와 제2접속관부재(82)의 결합이 유지되며, 이들 마찰력보다 더 큰 외력이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와 제2접속관부재(82)를 분리하는 방향으로 가해지면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와 제2접속관부재(82)는 상호 분리되게 된다.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수로(40)를 폐쇄하는 위치 및 개방하는 위치사이에서 왕복이동가능한 제1밸브체(85)가 설치되며, 이 제1밸브체(85)에는 제1스프링(95)이 끼워진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접속관부재(82)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수로(40)를 폐쇄하는 위치 및 개방하는 위치사이에서 왕복이동가능한 제2밸브체(86)가 설치되며, 이 제2밸브체(86)에는 제2스프링(96)이 끼워진다. 상기 제1스프링(95) 및 제2스프링(96)은 각각 상기 제1밸브체(85)와 제2밸브체(86)를 상기 수로(40)를 폐쇄하는 위치로 탄성바이어스 시킨다.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와 제2접속관부재(82)가 상호 결합될 때, 상기 제1밸브체(95)와 제2밸브체(96)는 서로에 의해 눌려서 각각 상기 수로(40)를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되어 결합이 완료되면 수로(40)를 통해 상기 물저장조(20)의 물이 상기 가습용기(30)의 수용부(31)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이렇게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와 제2접속관부재(82)가 결합되면 상기 제1스프링(95)과 제2스프링(96)은 각각 압축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제1접속관부재(81)와 제2접속관부재(82)가 상호 분리되면, 압축되었던 상기 스프링들(95,96)은 탄성복원되어 각각 상기 제1밸브체(85)와 제2밸브체(86)를 가압하여, 상기 밸브체(85,86)들이 상기 수로(40)를 폐쇄하는 위치로 이동되게 한다. 이렇게 되면 수로(40)가 폐쇄되어 상기 물저장조(20)로부터 물이 배출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는 초음파진동자가 설치되어 있는 가습용기 부분만을 가습기로부터 매우 용이하게 분리시켜낼 수 있으므로 그 사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초음파진동자 부분에 대한 세척이 용이하므로 실내로 분무되는 가습입자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습기에 관한 개략적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제1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개략적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습기의 Ⅲ-Ⅲ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가습기의 Ⅳ-Ⅳ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A부위의 확대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연결수단과 밸브기구에 대한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연결수단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Ⅶ-Ⅶ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연결수단의 실링을 오링으로 대체한 형태를 보여주는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제2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개략적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가습기가 수도와 직결된 형태를 보여주는 개략적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제3실시예) 따른 가습기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ⅩⅡ-ⅩⅡ선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제4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제5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제6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00 ... 가습기 10 ... 하우징
20 ... 물저장조 30 ... 가습용기
40 ... 수로 50 ... 송풍기유닛
70 ... 전원 81,82,83,84 ... 접속관부재
85,86,87,88 ... 밸브체 95,96,97,98 ... 스프링
103,104 ... 리데나

Claims (15)

  1. 하우징과,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부와 그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물저장조와, 상기 물저장조의 배출구를 통해 물저장조로부터 공급된 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와 그 수용부내에 설치되어 상기 물을 무화상태의 가습입자로 만들기 위한 초음파 진동자를 구비하는 가습용기와, 상기 물저장조의 배출구와 상기 가습용기의 수용부를 연결하는 수로와, 상기 가습용기에서 발생된 가습입자를 추동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송풍기유닛을 구비하는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가습용기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분리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연결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가습용기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물저장조로부터 상기 가습용기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수로를 개방하고, 상기 가습용기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물저장조로부터 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수로를 폐쇄하기 위한 밸브기구를 포함하여,
    상기 가습용기는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분리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물저장조의 배출구에 결합되어 있으며 양단이 개방되어 있는 파이프형의 제1접속관부재와, 상기 가습용기에 결합되어 있으며 양단이 개방되어 있는 파이프형의 제2접속관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있으며 양단이개방되어 있고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접속관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있으며 양단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제2접속관부재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접속관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로는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제3접속관부재의 내부공간과, 상기 제3접속관부재와 상기 제4접속관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파이프형의 연결관 및 상기 제4접속관부재와 제2접속관부재의 내부공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밸브기구는, 상기 제1접속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수로를 폐쇄하는 위치 및 개방하는 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접속관부재에 설치되는 제1밸브체와, 상기 수로를 폐쇄하는 위치로 상기 제1밸브체를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제1스프링과, 상기 제2접속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수로를 폐쇄하는 위치 및 개방하는 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2접속관부재에 설치되는 제2밸브체와, 상기 수로를 폐쇄하는 위치로 상기 제2밸브체를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제2스프링과, 상기 제3접속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수로를 폐쇄하는 위치 및 개방하는 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3접속관부재에 설치되는 제3밸브체와, 상기 수로를 폐쇄하는 위치로 상기 제3밸브체를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제3스프링과, 상기 제4접속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수로를 폐쇄하는 위치 및 개방하는 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4접속관부재에 설치되는 제4밸브체 및 상기 수로를 폐쇄하는 위치로 상기 제4밸브체를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제4스프링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제3접속관부재가 상호 결합될 때 상기 제1밸브체와 제3밸브체가 서로에 의해 눌려서 각각 상기 수로를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제2접속관부재와 제4접속관부재가 상호 결합될 때 상기 제2밸브체와 제4밸브체가 서로에 의해 눌려서 각각 상기 수로를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제3접속관부재 사이 및 상기 제2접속관부재와 제4접속관부재 사이에는 각각 반경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며 그 외주면과 내주면이 각각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제3접속관부재 및 제2접속관부재와 제4접속관부재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고리형의 탄성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제3접속관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제1접속관부재 사이의 마찰력 및 상기 제3접속관부재와 탄성부재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결합되어 그 마찰력보다 큰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제3접속관부재가 분리 가능하며, 상기 제2접속관부재와 제4접속관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제2접속관부재 사이의 마찰력 및 상기 제4접속관부재와 탄성부재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결합되어 그 마찰력보다 큰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제2접속관부재와 제4접속관부재가 분리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제3접속관부재 사이 및 상기 제2접속관부재와 제4접속관부재 사이의 실링을 겸하는 리데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기구는,
    상기 물저장조의 배출구에 결합되어 있으며 양단이 개방되어 있는 파이프형의 제1접속관부재와, 상기 가습용기에 결합되어 있으며 양단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이프형의 제2접속관부재와, 상기 제1접속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수로를 폐쇄하는 위치 및 개방하는 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접속관부재에 설치되는 제1밸브체와, 상기 수로를 폐쇄하는 위치로 상기 제1밸브체를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제1스프링과, 상기 제2접속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수로를 폐쇄하는 위치 및 개방하는 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2접속관부재에 설치되는 제2밸브체 및 상기 수로를 폐쇄하는 위치로 상기 제2밸브체를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제2스프링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수로는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제2접속관부재의 내부공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제2접속관부재가 상호 결합될 때 상기 제1밸브체와 제2밸브체가 서로에 의해 눌려서 각각 상기 수로를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제2접속관부재 사이에는 반경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며 그 외주면과 내주면이 각각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제2접속관부재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고리형의 탄성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제2접속관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제1접속관부재 사이의 마찰력 및 상기 제2접속관부재와 탄성부재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결합되어, 그 마찰력보다 큰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제2접속관부재가 분리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제2접속관부재 사이의 실링을 겸하는 리데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기구는,
    상기 물저장조에 결합되며 양단이 개방되어 있는 파이프형의 제1접속관부재와, 상기 가습용기에 마련되며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양단이 개방된 파이프형의 접속연결관부와, 상기 수로를 폐쇄하는 위치 및 개방하는 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접속관부재에 설치되는 제1밸브체와, 상기 수로를 폐쇄하는 위치로 상기 제1밸브체를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제1스프링 및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접속연결관부가 상호 결합될 때 상기 제1밸브체가 눌릴 수 있도록 상기 제1밸브체에 대응되도록 상기 접속연결관부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지지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수로는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접속연결관부의 내부공간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접속연결관부가 상호 결합될 때, 상기 제1밸브체가 상기 접촉지지부에 의해 눌려서 상기 수로를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접속연결관부 사이에는 반경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며 그 외주면과 내주면이 각각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접속연결관부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고리형의 리데나가 설치되며,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접속연결관부는, 상기 리데나와 상기 제1접속관부재 사이의 마찰력 및 상기 접속연결관부와 리데나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결합되어, 그 마찰력보다 큰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접속연결관부가 분리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물저장조의 배출구를 개방하는 위치 및 폐쇄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상기 물저장조에 설치되는 밸브와, 이 밸브를 상기 폐쇄위치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과, 상기 물저장조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될 때 상기 밸브가 눌릴 수 있도록 상기 밸브에 대응되게 상기 수로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밸브기구는,
    상기 수로에 결합되며 양단이 개방되어 있는 파이프형의 제1접속관부재와, 상기 가습용기에 마련되며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양단이 개방된 파이프형의 접속연결관부와, 상기 수로를 폐쇄하는 위치 및 개방하는 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접속관부재에 설치되는 제1밸브체와, 상기 수로를 폐쇄하는 위치로 상기 제1밸브체를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제1스프링 및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접속연결관부가 상호 결합될 때 상기 제1밸브체가 눌릴 수 있도록 상기 제1밸브체에 대응되게 상기 접속연결관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2접촉지지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접속연결관부가 상호 결합될 때, 상기 제1밸브체는 상기 제2접촉지지부에 의해 눌려서 상기 수로를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접속연결관부 사이에는 반경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며 그 외주면과 내주면이 각각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접속연결관부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고리형의 탄성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접속연결관부는,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제1접속관부재 사이의 마찰력 및 상기 접속연결관부와 탄성부재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결합되어, 그 마찰력보다 큰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접속연결관부가 분리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물저장조의 배출구를 개방하는 위치 및 폐쇄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상기 물저장조에 설치되는 밸브와, 이 밸브를 상기 폐쇄위치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과, 상기 물저장조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될 때 상기 밸브가 눌릴 수 있도록 상기 밸브에 대응되게 상기 수로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밸브기구는,
    상기 수로에 결합되어 있으며 양단이 개방되어 있는 파이프형의 제1접속관부재와, 상기 가습용기에 결합되어 있으며 양단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이프형의 제2접속관부재와, 상기 제1접속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수로를 폐쇄하는 위치 및 개방하는 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접속관부재에 설치되는 제1밸브체와, 상기 수로를 폐쇄하는 위치로 상기 제1밸브체를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제1스프링과, 상기 제2접속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수로를 폐쇄하는 위치 및 개방하는 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2접속관부재에 설치되는 제2밸브체 및 상기 수로를 폐쇄하는 위치로 상기 제2밸브체를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제2스프링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제2접속관부재가 상호 결합될 때 상기 제1밸브체와 제2밸브체가 서로에 의해 눌려서 각각 상기 수로를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제2접속관부재 사이에는 반경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며 그 외주면과 내주면이 각각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제2접속관부재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고리형의 탄성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제2접속관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제1접속관부재 사이의 마찰력 및 상기 제2접속관부재와 탄성부재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결합되어, 그 마찰력보다 큰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제1접속관부재와 제2접속관부재가 분리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KR10-2004-0017612A 2004-03-16 2004-03-16 가습기 KR100513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7612A KR100513693B1 (ko) 2004-03-16 2004-03-16 가습기
PCT/KR2005/000692 WO2005088202A1 (ko) 2004-03-16 2005-03-11 Humid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7612A KR100513693B1 (ko) 2004-03-16 2004-03-16 가습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9489U Division KR200369034Y1 (ko) 2004-07-08 2004-07-08 가습기
KR20-2004-0019496U Division KR200363857Y1 (ko) 2004-07-08 2004-07-08 유체접속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2483A KR20040072483A (ko) 2004-08-18
KR100513693B1 true KR100513693B1 (ko) 2005-09-23

Family

ID=35064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7612A KR100513693B1 (ko) 2004-03-16 2004-03-16 가습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13693B1 (ko)
WO (1) WO200508820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0527A1 (ko) * 2015-05-28 2016-12-01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입자 분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268B1 (ko) * 2005-10-04 2007-01-02 (주)휴메이커 가습기
DE102007010808A1 (de) * 2007-03-02 2008-09-04 Boga GmbH Gesellschaft für moderne Gerätetechnik Fluidzerstäubungsvorrichtung
EP2123985A1 (en) * 2008-05-23 2009-11-25 Ballesteros Avellaneda, Gerardo Ultrasonic water evaporator for air conditioner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9554A (en) * 1982-11-08 1985-04-09 Failla William G High and low pressure, quick-disconnect coupling
KR940007844Y1 (ko) * 1992-08-31 1994-10-24 최창선 가습기의 가습부 분리장치
JPH09152083A (ja) * 1995-11-30 1997-06-10 Aiwa Co Ltd バルブ付き連結機構
KR200157776Y1 (ko) * 1995-08-30 1999-10-01 전주범 가습기
KR20030020631A (ko) * 2001-09-04 2003-03-10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유체 차단 커플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9554A (en) * 1982-11-08 1985-04-09 Failla William G High and low pressure, quick-disconnect coupling
KR940007844Y1 (ko) * 1992-08-31 1994-10-24 최창선 가습기의 가습부 분리장치
KR200157776Y1 (ko) * 1995-08-30 1999-10-01 전주범 가습기
JPH09152083A (ja) * 1995-11-30 1997-06-10 Aiwa Co Ltd バルブ付き連結機構
KR20030020631A (ko) * 2001-09-04 2003-03-10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유체 차단 커플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0527A1 (ko) * 2015-05-28 2016-12-01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입자 분무장치
US10639666B2 (en) 2015-05-28 2020-05-05 Seoul National University R&Db Foundation Superparticle atomiz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2483A (ko) 2004-08-18
WO2005088202A1 (ko) 2005-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42363B2 (ja) 上部給水式加湿器
US4989590A (en) Irrigation appliance
US20110156288A1 (en) Ultrasonic aroma humidifier capable of facilitating cleaning
RU2609211C2 (ru) Увлаж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6560806B1 (en) Process of cleaning carpets and the like
US20040159332A1 (en) Cleaning device and method of use
KR101457537B1 (ko) 분리형 가습기
CN208926670U (zh) 清洁器具
US11649150B2 (en) Cartridge and a base unit for use in an oral care appliance
EA000234B1 (ru) Зубная щетка с насосом
KR100513693B1 (ko) 가습기
JP2008272442A (ja) 香り発生装置を備えた真空掃除機
KR200369034Y1 (ko) 가습기
KR200439635Y1 (ko) 상부 급수식 가습기
ZA200608280B (en) Liquid dispensing device
JP3926600B2 (ja) 加湿装置
KR200271923Y1 (ko) 가습기
US5383237A (en) Toilet seat deodorizer apparatus
KR100663268B1 (ko) 가습기
KR102352996B1 (ko) 가습기능을 갖는 헤어드라이어
KR20220089158A (ko) 가습기
KR20180072236A (ko) 수조통과 가습조가 일체형 구조를 갖는 가습기
WO2008100077A1 (en) Built-in humidifier
JP2013068352A (ja) 加湿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加湿温風機
CN215347011U (zh) 一种雾化器和气溶胶生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