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7844Y1 - 가습기의 가습부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가습기의 가습부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7844Y1
KR940007844Y1 KR92016543U KR920016543U KR940007844Y1 KR 940007844 Y1 KR940007844 Y1 KR 940007844Y1 KR 92016543 U KR92016543 U KR 92016543U KR 920016543 U KR920016543 U KR 920016543U KR 940007844 Y1 KR940007844 Y1 KR 9400078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fier
water
main body
humidify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65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6075U (ko
Inventor
백종후
김동환
윤대환
이영기
정종연
Original Assignee
최창선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창선,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창선
Priority to KR920165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7844Y1/ko
Publication of KR9400060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0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78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8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습기의 가습부 분리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분리장치가 실시된 가습기의 정단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가습기의 일부 평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가습기에서 가습부를 분리시키는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
제 4a, b 도는 본 고안 장치중 잠금수단부의 측면 및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물 공급부 2 : 수로관
3 : 가습부 4 : 수납부
5 : 잠금수단 21 : 플렉시블관
22 : 연결관 23, 24 : 걸림홈
32 : 물 유입구 33 : 가습소자
34, 41 : 걸림돌기 42 : 관체삽입봉
51 : 작동부 52 : 축수부
53 : 가동부 54 : 탄성부재
100 : 가습기 본체
본 고안은 가습기의 가습부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습기의 본체와 일체로 형성된 물 공급부로부터 소정의 가습부만을 별도로 분리시켜 청소등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한 가습기의 가습부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물을 튀겨주는 원심분무식, 모터의 회전력에 의한 바람으로 물을 직접 기화시키는 기화식, 초음파 진동에 의한 초음파 진동식 및 니크롬선을 이용하여 물을 직접 끓여주는 전열식이 있는데, 이들은 각기 소정의 물탱크에 물을 저장시켜 두고 가습기능을 수행하는 가습부로 공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이때, 상기 가습부에는 고인물에 의해 물때가 끼게 되므로 잡균(항원)들이 서식하게 되어 가습시 잡균들이 물분자 속에 포함되어 가습되므로 알레르기성 폐렴을 일으키게 되는 원인이 되어 왔다.
따라서, 상기 가습부는 특히 자주 청소를 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가습기에서는 가습부가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가습부를 청소하고자 할 때 상기 가습기의 몸체를 전체적으로 이동시켜 청소를 실시해야 할 뿐만 아니라, 청소시에도 가습기를 다루는데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가습기를 구성할때 가습기 본체에서 가습부만을 별도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가습기를 청소할때 가습부만을 따로 분리시켜 청소를 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가습부를 청소하는데 매우 편리할 뿐만아니라, 가습부를 깨끗이 관리할 수 있어 각종 잡균들의 서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잡균들에 의해 발생되는 알레르기성 폐렴등의 발병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가습부 분리장치는 제 1 도 내지 제 4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의 유입을 개폐하는 봉(11)과 물이 없을때 가습기의 구동을 차단시키는 센서가 내장된 부구(12)가 설치된 물 공급부(1)를 가습기 본체(100)의 일측부에 형성하여서된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타측부에 형성된 수납부(4)에 본체(100)와 별개로 형성된 가습부(3)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물 공급부(1)와 가습부(3)사이에 설치되어 물 공급부(1)에 공급되어 있는 물을 가습부(3)로 송수시켜 주는 수로관(2)의 일단부는 본체(100)에 축지되어 단부가 외부로 돌출된 잠금수단(5)에 의해 가습부(3)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하여서된 것이다.
상기 가습기 수납부(4)는 내벽면 상측부에 걸림돌기(41)를 돌출 형성하고 일측 하단부에 관체삽입봉(42)을 소정각도로 돌출 형성한다.
상기 가습부(3)는 상단 일측부에 전원연결단자(31)를 설치하고, 타측 하단부에는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패킹(35)과 걸림돌기(36)가 일체로 형성된 물 유입구(32)를 형성하며, 바닥면 일측부에는 가습소자(33)를 설치하고, 외벽면상측부에는 상기 걸림돌기(41)에 대응되는 걸림홈(34)을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수로관(2)은 일단부가 물 공급부(1)에 고정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플렉시블관(21)과, 상기 걸림돌기(36)에 대응되는 걸림홈(23)과 잠금수단(5)의 작동부(51)가 축지되는 힌지(24)가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관체삽입봉(42)를 통해 가습부(3)의 물 유입구(32)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연결관(22)으로 구성한다.
상기 잠금수단(5)은 상기 힌지(24)가 끼워지는 장방형 안내홈(511)이 형성된 역 U자형 작동부(51)와, 본체(100)의 힌지(6)에 축지되는 축수부(52) 및 본체(100)에 형성된 통공(7)을 통해 돌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가동되는 가동부(53)로 구성되어 축수부(52)의 걸림공(521)과 본체(100)의 수납부(4) 외벽에 형성된 걸림고리(8) 사이에 인장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54)를 설치하여서된 것이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9는 콘센트 형식의 전원연결부, 10은 전원연결부에 설치된 도어, 11은 외부전원 연결단자 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습기 본체(100)의 타측부에 형성된 수납부(4)에 가습부(3)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가습부(3)만을 탈거시켜 청소등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형성된 통공(7)을 통해 돌출된 상기 잠금수단(5)의 가동부(53)를 A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상기 잠금수단(5)이 탄성부재(54)의 탄발력을 받으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물 유입구(32)의 걸림돌기(36)에 걸림홈(23)이 끼워져 있던 상기 수로관(2)의 연결관(22)이 걸림돌기(36)로부터 해제되어 제 3 도와 같이 가습부(3)의 물 유입구(32)로부터 빠져나와 관체삽입봉(42)에 위치된다.
즉, 상기 잠금수단(5)의 가동부(53)를 A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상기 잠금수단(5)이 힌지(6)를 중심으로 지렛대 역할을 수행하므로 작동부(51)의 장방형안내홈(511)에 힌지(24)가 끼워진 수로관(2)의 연결관(22)이 가습부(3)의 물 유입구(32)로부터 빠져 나오게 되는데, 이때 힌지(24)는 역 U자형 작동부(51)의 장방형 안내홈(511)을 따라 습동하게 되므로 잠금수단(5)의 회전운동에 무관하에 직선운동을 수행하여 상기 연결관(22)은 관체삽입봉(42)의 경사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상기 본체(100)의 수납부(4) 일측에 설치된 도어(10)를 열고, 가습부(3)를 상측으로 잡아 올리게 되면, 상기 가습부(3)의 상단 일측부에 설치된 전원연결단자(31)가 콘센트 형식의 전원연결부(9)에 설치된 외부전원 연결단자(11)로부터 분리되어 전기의 공급이 차단되고, 동시에 외벽의 걸림홈(34)에 걸림돌기(41)가 끼워져 수납부(4)에 고정되어 있던 상기 가습부(3)가 가습기 본체(100)의 수납부(4)로부터 완전히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가습부(3)만을 별도의 장소로 옮겨 청소할 수 있으므로 청소를 하는등 매우 편리하고, 또 가습부(3)를 깨끗이 관리할 수 있어 각종 잡균들의 서식이 방지되므로 잡균들에 의한 알레르기성 폐렴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와 같이 A방향으로 잡아 당겼던 잠금수단(5)으로 부터 손을 떼게 되면, 상기 잠금수단(5)이 탄성부재(54)의 복원력에 의해 축수부(52)가 축지된 본체(100)의 힌지(6)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원상태로 복귀되므로 상기 관체삽입봉(42)에 위치되어 있던 수로관(2)의 연결관(22) 단부가 관체연결봉(42)을 따라 습동하여 수납부(4)내로 돌출되어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로관(2)을 구성하고 있는 플렉시블관(21)은 상기 연결관(22)이 관체삽입봉(42)을 통해 물 유입구(32) 등에 삽입되거나 잠금수단(5)의 회전운동에 의해 물 유입구(32) 등으로 부터 빠져나올시 상기 수로관(2)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수로관(2)의 착탈이 용이하다.
이후, 상기에서 분리시켜 청소를 완료한 가습부(3)를 가습기본체(100)에 장착하고자 할때에는 상기에서와 같이 잠금수단(5)의 가동부(53)를 A방향으로 잡아 당겨 상기 수로관(2)의 연결관(22)이 제 3 도와 같이 관체삽입봉(42)에 위치되게한 상태에서, 가습부(3)를 본체(100)의 수납부(4)에 장착시키면, 상기 수납부(4)의 내벽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41)가 가습부(3)의 걸림홈(34)에 끼워지고, 상기 가습부(3)의 상단 일측부에 설치된 전원 연결단자(31)가 전원연결부(9)의 외부전원 연결단자(11)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가습부(3)에 본체(100) 수납부(4)에 수납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습부(3)의 타측 하단부에서 소정의 경사각을 갖고 형성된 물 유입구(32)는 상기 수납부(4)의 외벽 일측 하단부에 형성된 관체삽입봉(42)과 상호 일치된다.
이후, 상기에서 A방향으로 회전시켰던 잠금수단(5)으로부터 사용자의 손을 떼게 되면, 상기 잠금수단(5)이 탄성부재(54)의 강한 복원력에 의해 힌지(6)를 중심으로 시계방향(B)으로 회전되어 원상태로 복귀되므로 상기 관체삽입봉(42)에 위치되어 있던 수로관(2)의 연결관(22)이 관체연결봉(42)을 따라 습동하여 가습부(3)의 물 유입구(32)로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물 유입구(32)로 끼워진 상기 연결관(22)의 걸림홈(23)에 물 유입구(32)의 걸림돌기(36)가 끼워져 걸리게 되므로 상기 물 공급부(1)에 일단이 고정된 수로관(2)의 타단이 가습부(3)의 물 유입구(32)에 고정되어 상기 물 공급부(1)에 공급되어 있는 물이 상기 수로관을 통해 가습부(3) 내로 송수될 수 있게 되는데, 이때 상기 물 유입구(32)에 설치된 고무패킹(35)은 연결관(22)의 단부와 밀착되어 가습부(3)의 물이 물 유입구(32)를 통해 밖으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상기 물 공급부(1)에 소정의 물을 주입시켜 주면, 상기 물 공급부(1)에 공급된 물이 수압에 의해 수로관(2)을 통해 가습부(3)로 송수되어 가습부(3) 내에는 점선과 같이 물이 공급되며, 이후 상기 가습부(3)의 바닥면에 설치된 가습소자(33)에 소정의 전원전압을 인가시켜 주면, 가습소자(33)가 구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습부(3) 내의 물이 가습되어 도시생략된 뚜껑체의 토출공을 통해 밖으로 토출되고, 물 공급부(1)에 공급된 물이 소정수위 이하로 떨어지면 부구(12) 내의 센서가 오프되어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장치에 의하면, 가습기에 설치되는 가습부가 가습기 본체에서 선택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가습기 본체에서 가습부만을 별도로 분리시켜 청소를 수행할 수 있어 가습부를 청소하는데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가습부를 보다 깨끗이 관리할 수 있어 각종 잡균들의 서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잡균들의 서식에 의한 알레르기성 폐렴등의 발병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도를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5)

  1. 물의 수위를 조절하는 봉(11)과 물이 없을때 가습기의 구동을 차단시키는 센서가 내장된 부구(12)가 설치된 물 공급부(1)를 가습기 본체(100)의 일측부에 형성하여서 된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타측부에 수납부(4)를 형성하여 본체(100)와 별개로 형성된 가습부(3)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물 공급부(1)와 가습부(3) 사이에 설치되어 물을 송수시켜 주는 수로관(2)의 일단부는 본체(100)에 축지되어 단부가 외부로 돌출된 잠금수단(5)에 의해 가습부(3)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가습부 분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관(2)은 일단부가 물 공급부(1)에 고정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플렉시블관(21)과, 상기 걸림돌기(36)에 대응되는 걸림홈(23)과 잠금수단(5)의 작동부(51)가 축지되는 힌지(24)가 구비되어 상기 관체삽입봉(42)를 통해 가습부(3)의 물 유입구(32)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연결관(22)으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가습부 분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부(3)는 상단 일측부에 전원연결단자(31)를 설치하고, 타측 하단부에는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패킹(35)과 걸림돌기(36)가 일체로 형성된 물 유입구(32)를 형성하며, 바닥면 일측부에는 가습소자(33)를 설치하고, 외벽면 상측부에는 상기 걸림돌기(41)에 대응되는 걸림홈(34)을 일체로 형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가습부 분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가습기 수납부(4)는 내벽면 상측부에 걸림돌기(41)를 돌출 형성하고 일측 하단부에 관체삽입봉(42)을 소정각도로 돌출 형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가습부 분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5)은 상기 힌지(24)가 끼워지는 장방형 안내홈(511)이 형성된 작동부(51)와, 본체(100)의 힌지(6)에 축지되는 축수부(52) 및 본체(100)에 형성된 통공(7)을 통해 돌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가동되는 가동부(53)로 구성되어 축수부(52)의 걸림공(521)과 본체(100)의 수납부(4) 외벽에 형성된 걸림고리(8) 사이에 탄성부재(54)를 설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가습부 분리장치.
KR92016543U 1992-08-31 1992-08-31 가습기의 가습부 분리장치 KR9400078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6543U KR940007844Y1 (ko) 1992-08-31 1992-08-31 가습기의 가습부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6543U KR940007844Y1 (ko) 1992-08-31 1992-08-31 가습기의 가습부 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075U KR940006075U (ko) 1994-03-22
KR940007844Y1 true KR940007844Y1 (ko) 1994-10-24

Family

ID=19339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6543U KR940007844Y1 (ko) 1992-08-31 1992-08-31 가습기의 가습부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78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693B1 (ko) * 2004-03-16 2005-09-23 (주)휴메이커 가습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646B1 (ko) * 2018-09-10 2021-01-05 주식회사 미로 시소식 구조의 가습기용 수위조절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693B1 (ko) * 2004-03-16 2005-09-23 (주)휴메이커 가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075U (ko) 1994-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31574A (en) Timed ventilator for toilets
US5604950A (en) Anti-clogging, variable throat suction nozzle and suction cleaning device equipped therewith
US4994177A (en) Bait well water spray aerator with vast filtering capacity
EP1736089A2 (en)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wet/dry vacuum cleaner
MXPA03008616A (es) Filtro de combustible con valvula de paso.
ZA200109033B (en) Gravel-or-the-like removing device.
CN113729573B (zh) 一种清洁装置
US4185337A (en) Portable toilet with improved flush apparatus
US6063270A (en) Swimming pool skimming device
KR940007844Y1 (ko) 가습기의 가습부 분리장치
KR950000753Y1 (ko) 시동기의 배수 장치
US4493117A (en) Continuously deodorized toilet
RU226415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шланга с пылесосом и пылесос для влажной/сухой очистки
KR200439635Y1 (ko) 상부 급수식 가습기
KR940007845Y1 (ko) 가습부 분리형 가습기의 전원 연결장치
US4589982A (en) Removable power pack pump assembly
US3426381A (en) Housing and air-water separator assembly for floor treating machines
US5340281A (en) Protective device for a water-pump apparatus
US20040011090A1 (en) Backflow preventor
KR930005905Y1 (ko) 진공 청소기
KR920000603Y1 (ko) 가습기의 급수개폐장치
KR920004545Y1 (ko) 워터펌프
KR970005194A (ko) 습식 및 건식 진공청소기
WO2024076945A1 (en) Dispensers with automatic refill latch locking member
US3429334A (en) Water level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2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