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2487B1 - 블루투스 기반 원격모니터링에 의한 차량 운행정보의효율적 관리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기반 원격모니터링에 의한 차량 운행정보의효율적 관리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2487B1
KR100512487B1 KR10-2003-0003887A KR20030003887A KR100512487B1 KR 100512487 B1 KR100512487 B1 KR 100512487B1 KR 20030003887 A KR20030003887 A KR 20030003887A KR 100512487 B1 KR100512487 B1 KR 100512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tooth
vehicle
driving information
vehicle driving
do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3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6966A (ko
Inventor
장현상
Original Assignee
(주)이니티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니티움 filed Critical (주)이니티움
Priority to KR10-2003-0003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2487B1/ko
Publication of KR20040066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6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2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24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6Q50/40

Abstract

블루투스 기반 원격모니터링에 의한 차량 운행정보의 효율적 관리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차체 내에 내장된 OBD 시스템과 블루투스 동글을 연결하여 차량 운행정보를 블루투스 동글에 내장된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차량이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가 설치된 핫스팟의 서비스 존에 위치할 때, 블루투스 동글의 메모리에 저장된 차량 운행정보를 사용자의 개입없이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 근거리 통신을 통해 광대역망에 연결된 중앙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전송된 데이터로부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차량운행정보의 정기적 전송이 가능하며, 또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 근거리 통신을 이용함으로써 저비용을 달성할 수 있으며, ISM 밴드의 사용과 전세계적인 표준으로 차량판매 지역에 상관없는 서비스의 구축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블루투스 기반 원격모니터링에 의한 차량 운행정보의 효율적 관리방법 및 시스템{ENHANCED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RIVE INFORMATION OF A CAR THROUGH BLUETOOTH-BASED REMOTE MONITORING}
본 발명은 차량 운행정보의 효율적 관리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블루투스 기반 원격모니터링에 의한 차량 운행정보의 효율적 관리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신규 자동차 시장의 포화 상태로 최근 들어 차량 제작사들은 차량 자체의 품질 향상 외에도 차별화된 고객 서비스와 출시된 차량의 사후 관리를 위하여 다양한 투자를 하고 있다. 특히 출시 차량의 사후 관리는 갈수록 강화되는 자동차 배기가스 규제와 맞물려 차량제작사들이 지속적인 투자를 하고 있는 부분이다.
종래, 차량의 운전자는 결함 지시등인 MIL (Malfunction Indicator Lamp)를 통하여 차량의 이상을 감지하거나 차량 고장의 발생으로 정비소에 방문 수리를 하는 형태를 취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사후 처방의 문제점은 대부분의 운전자들이 차량의 이상 상태를 적시에 감지 못하거나 혹은 MIL을 통한 경고 시에도 불구하고 차량의 운행이 가능하면 비용 및 시간상의 문제로 정비를 소홀히 한다는 것이다. 차량의 이상 또는 고장이 발생하여 정비를 수행하는 경우에도, 운전자들이 차량의 상태를 정확히 알려주는데는 그 한계가 있으며, 때때로 정비소 방문 시 문제점이 재현되지 않기도 한다. 그리고, 정비사가 짧은 시간 내에 차량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는 데도 그 한계가 있으며, 따라서 추측에 의한 교체(guess-and-replace) 형태의 정비가 수행되어 왔었다. 따라서, 시행착오적인 정비에 의해 정비에 요구되는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이것은 운전자의 불만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더 나아가, 정비사의 부적절한 조치에 의한 차량사고로 인해 인명피해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량 내부에 고장진단 기능이 통합되어 있는 시스템인 OBD(On-Board Diagnostics)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OBD 시스템은 1980년대 초 미국 자동차 메이커인 GM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고, 1988년에 이르러 캘리포니아 정부가 모든 자동차 메이커에게 OBD 시스템을 장착할 것을 강제화 하게 되면서 "OBD I"이란 이름을 얻게 되었다. 이 때까지만 해도 OBD 시스템이란 단지 시스템의 결함을 자동차 제어장치가 인식하고 저장하여 나중에 정비사들이 정비하는데 도움을 주는 정도였다. 이 후 미국연방법은 모든 자동차 메이커에게 새로운 규정인 "OBD II"를 준수할 것을 요구하게 되었으며 이는 1996년부터 효력을 발생하게 되어 있었다.
상기 "OBD II" 규정은 자동차 부품명칭의 표준화, 결함코드번호체계의 표준화를 포함하며 특히 자동차 배기가스 수준을 점검하고 진단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데이터 연결 컨텍터(DLC-data link connector, 현재 16핀 배열이 표준화되어 있음), 산소 센서, 배기가스 재순환 밸브(EGR 밸브), EVAP 벤트 솔레노이드, EVAP 연료탱크압력 센서, 캠샤프트 포지션 센서를 통상 포함된다. 상기 시스템에 의해, 엔진의 실화 여부, 촉매성능의 이상 여부, 증발가스 제어장치의 이상 유무, 연료장치의 이상 유무, 산소센서의 이상 유무, EGR 가스제어장치의 이상 유무가 측정된다. 예를 들면, 미연방 테스트 규정인 FTP(Federal Test Procedure)에서 제시한 배기가스 규정치의 1.5배를 초과하게 되면 결함 경고등인 MIL(Malfunction Indicator Lamp)을 점등하게 된다.
현재에는, 각종 센서(예를 들면, 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 도어개폐센서, 급정차 감지 센서)가 상기 OBD II 시스템에 부가되어, 다양한 운행 정보(운행시간, 운행거리, 사고감지, 일정 운전 기간중의 시간 및 거리, 급가속/급제동 등)에 대한 데이터의 축적을 가능케하고 있다.
상기한 OBD II의 등장으로 과거의 경험에 의존한 추측에 의한 교체 형태의 차량정비는 많이 줄었으나 정비소 시험 운전을 통하여는 OBDII 스캐너가 실제 운전 중 문제점을 진단하는 데는 한계가 있는 것이 또한 현실이다.
이렇듯 보다 확실한 사후 관리를 위하여는 실제 차량 운전중의 정보가 일정 주행기간 동안 저장되고 이를 통한 차량 진단이 보다 효과적이라 하겠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최근 차량용 블랙박스(이와 관련해서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0-13317호, 제1998-20145호, 제1997-47928호 및 제1999-51466호를 참조하기 바란다)라는 형태의 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나 이들 또한 저장된 차량의 운행정보를 활용하는 형태는 기존의 유선 OBDII 스캐너와 크게 다르지 않다. 이러한 차량 진단 정보 효율적 전달의 문제점은 배기가스 규제와 맞물려 OBDIII의 탄생 동기를 제공한다.
OBDIII가 OBDII와 다른 점은 우선 배기가스와 관련된 차량의 이상 상태를 보다 효과적으로 정비소 및 환경 오염관련 규제/단속기관에 전달하는 것으로 현재 이러한 원격 모니터링을 위하여 노변 기록기(roadside reader), 로컬 스테이션 네트워크(local station network) 및 위성 등이 제안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현재 OBD III에서 제안된 방법 대부분은 법규 제정과 연계된 광범위한 사회적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들로 현실화까지는 상당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측된다. 원격모니터링의 현실화는 전세계적인 표준화에 의한 국지성의 탈피, 장치의 단순화, 정기적인 운행정보의 전달, 차량 내에 설치된 기존 OBD II 시스템과의 호환성 및 저비용, 등의 조건을 만족시켜야 하며, 현재까지는 이러한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방법은 제공되어 있지 아니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국지성의 탈피, 장치의 단순화, 정기적인 운행정보의 전달, 차량 내에 설치된 기존 OBD II 시스템과의 호환성 및 저비용 등의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차량 운행 정보의 효율적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 운행정보의 원격모니터링을 통한 차량 운행정보의 전달을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현실화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가 설치된 핫스팟(Hotspot)을 통한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차량 운행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개입없이 정기적으로 차량 운행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블루투스 기반 원격모니터링에 의한 차량 운행정보의 효율적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첫 번째 관점에 따르면, 차체 내에 내장된 OBD 시스템에 블루투스 동글을 연결하여 차량 운행정보를 블루투스 동글에 내장된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차량이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가 설치된 핫스팟의 서비스 존에 위치할 때, 블루투스 동글의 메모리에 저장된 차량 운행정보를 사용자의 개입없이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 근거리 통신을 통해 광대역망에 연결된 중앙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전송된 데이터로부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기반 원격모니터링에 의한 차량 운행정보의 효율적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관점에 따르면, 차체 내에 내장된 OBD 시스템, 차량 운행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OBD 시스템에 연결되는 블루투스 동글,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가 설치된 핫스팟, 광대역망에 연결된 중앙서버를 포함하며, 차량이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가 설치된 핫스팟의 서비스 존에 위치할 때, 상기 블루투스 동글의 메모리에 저장된 차량 운행정보가 사용자의 개입없이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 근거리 통신을 통해 광대역망에 연결된 중앙 서버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기반 원격모니터링에 의한 차량 운행정보의 효율적 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기술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동글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루투스 동글(100)은 메모리(101), 블루투스 모듈(102), 컨넥터(103), 중앙처리장치(104) 및 백업용 배터리(105)를 포함한다. 블루투스 동글(100)은 상기 컨넥터(103)를 통해 차체 내에 내장된 OBD 시스템(200)과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연결은 블루투스 동글(100)의 컨넥터(103)와 OBD 시스템(200)의 데이터 연결 컨넥터(DLC-data link connector)가 상호 결합함으로서 성취된다. 상기 데이터 연결 컨넥터의 핀 배열은 현재 16핀 배열이 표준화되어 있으며, 블루투스 동글(100)의 컨넥터(103)는 상기 OBD 시스템(200)의 데이터 연결 컨넥터와 상보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연결은 운전석의 계기 판넬(Instrument Panel) 근처,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이용 편의를 위하여 운전대의 우측 바로 아래에서 이루어진다(도 2 참조).
상기 메모리(101)는 OBD 시스템(200)에 내장된 각종 센서(예를 들면, 산소 센서, 배기가스 재순환 밸브, EVAP 벤트 솔레노이드, EVAP 연료탱크압력 센서, 캠샤프트 포지션 센서, 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 도어개폐센서 및 급정차 감지 센서 등)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이들을 통합하여, 이하 "차량 운행정보"라 함)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메모리(101)에 저장되는 차량 운행정보의 예로는 차량의 상태를 진단하거나 차량의 운행을 진단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러한 예로는 운전 시간 및 거리, 매 5초 마다의 속도, 급가속/급제동, 엔진이상진단코드와 관련 파라미터, 사고 감지를 위한 급제동 전후의 20초 동안의 속도를 들 수 있다. 상기 메모리(101)의 용량은 저장되는 차량 운행정보의 종류,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의 설치 위치, 차량의 용도(예를 들면, 출퇴근용 또는 영업용)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가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통상의 차량 운전자가 하루에 2시간 정도의 운행시간을 갖고, 주 1회 정도 주유소를 방문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상기 메모리(101)의 용량은 12시간 이상의 운행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2시간 내지 128시간, 가장 바람직하게는 12시간 내지 75시간의 차량 운행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102)은 차량이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가 설치된 핫스팟의 서비스 존에 위치할 경우 안테나(106)를 통해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 근거리 통신을 가능케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명세서에서 "블루투스"라 함은 가정이나 사무실 내에 있는 컴퓨터, 프린터, 휴대폰, PDA 등 정보통신기기는 물론 각종 디지털 가전제품을 물리적인 케이블 접속없이 무선으로 연결해주는 무선 근거리 통신 규격을 말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정보는 www.bluetooth.com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동글(1)은 차량이 운행될 때에는 차량 내에 내장된 배터리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으며, 차량의 시동이 꺼져 있을 때에는 백업용 배터리(105)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 원격모니터링에 의한 차량 운행정보의 관리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행정보의 관리시스템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행정보의 관리 방법은 차체 내에 내장된 OBD 시스템과 블루투스 동글을 연결하여 차량 운행정보를 블루투스 동글에 내장된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S100), 차량이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가 설치된 핫스팟의 서비스 존에 위치할 때, 블루투스 동글의 메모리에 저장된 차량 운행정보를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 근거리 통신을 통해 광대역망에 연결된 중앙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S200), 및 전송된 데이터로부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구축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사용자의 요청시 사용자의 로컬 스테이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S40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시스템은 차체 내에 내장된 OBD 시스템(200), 차량 운행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OBD 시스템(200)에 연결되는 블루투스 동글(100),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301)가 설치된 핫스팟(300) 및 광대역망(500)(WAN - wide area network)에 연결된 중앙서버(400)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또는 운전자)가 차량(600)을 운행할 경우, 차체 내에 내장된 OBD 시스템(200)은 각종의 센서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면, 운전 시간 및 거리, 매 5초 마다의 속도, 급가속/급제동, 엔진이상진단코드와 관련 파라미터, 사고 감지를 위한 급제동 전후의 20초 동안의 속도를 측정한다. 측정된 데이터는 데이터 연결 컨넥터를 통하여 상기 OBD 시스템(200)에 연결된 블루투스 동글(100)에 전달되어 블루투스 동글(100)의 메모리에 저장된다(S100).
한편, 상기 OBD 시스템(200) 및 이에 연결된 블루투스 동글(100)이 장착된 차량(600)이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301)가 설치된 핫스팟(300)의 서비스 존(302)에 위치하게 되면, 블루투스 동글(100)의 메모리에 저장된 차량운행정보는 사용자의 개입없이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 근거리 통신을 통해 광대역망(500)에 연결된 중앙 서버(400)에 전송된다(S200). 구체적으로는, 차량(600)이 서비스 존(302)에 진입할 경우, 핫스팟(300)에 설치된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301)는 차량(600) 내에 장착된 블루투스 동글(100)을 자동적으로 인식하고, 블루투스 동글(100)의 메모리에 저장된 차량 운행정보를 광대역망(500)을 통해 중앙 서버(400)에 전달한다. 상기 중앙 서버(400)는 전송된 데이터로부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차량 운행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한다(S300). 상기 중앙 서버(400)에 의해 관리되는 차량 운행정보는 사용자(또는 정비사)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또는 정비사)의 로컬 스테이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S400).
본 발명에 있어서,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301)가 설치된 핫스팟(300)은 차량의 정기적인 방문이 행해지는 곳이 적절하다. 바람직하게는 주유소, 정비소 및 주차장을 들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주유소이다. 일반적으로, 출퇴근용 차량의 운전자의 경우 일주일에 1회 또는 2주일에 1회 정도는 주유소를 정기적으로 방문한다. 그리고, 영업용 차량의 운전자는 일주일에 1회 내지 2회 정도를 정기적으로 방문한다. 따라서, 주유소에 상기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301)를 설치함으로써, 정기적으로 차량 운행정보를 효율적으로 원격 모니터링할 수 있다.
원격 모니터링에 의해 수집된 차량 운행정보들은 차량 소유자, 차량 제작자 및 정비소들에 의해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차량 운행정보는 차량의 이상유무를 판별하는 중요한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만약, 수집된 차량 운행정보를 기초한 판단한 결과 차량에 이상이 있다고 의심되는 경우, 이러한 사실은 다양한 전달 경로를 통해 사용자에게 통보된다. 여기서 전달 경로는 다양한 형태(예를 들면, 음성메시지, 문자메시지 및 이메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정보의 중요도에 따라 중앙서버(400)가 선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차량 소유자는 차량 이상의 정확한 사전 감지에 따라 차량의 잦은 고장으로 발생하는 시간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제로 많은 차량소유자들은 정비소의 사기 및 과다 비용청구에 대한 불만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불만은 소비자보호센터에 신고되는 소비자 불만사항의 5위안에 매년 랭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판매 및 서비스를 동시에 운영하고 있는 차량제작사에 의한 보다 신뢰성 있는 중앙집중식 차량 이상유무의 사후 관리는 이러한 소비자 불만사항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러한 차량 이상의 사전 감지 및 관리는 출고된 차들의 철저한 사후관리로 고객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제로 판매 및 사후 서비스망을 동시에 운영하는 차량제작사는 차량의 이상을 단순히 운전자에게 통보만 하는 것이 아니라 자사의 서비스망으로 고장차량을 유도하여 서비스를 통한 수익 증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차량제작사의 실제 차량의 운행상태 및 사고의 유무의 통합적 관리는 차량 제작사로 하여금 중고차 시장관리 및 신규 자동차 수요를 예측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고객관리 데이터로서, 이러한 자료의 중요함은 설명이 필요치 아니할 것이다. 이러한 고객 데이터는 자동차 보험회사에도 보험료 산정을 위한 매우 중요한 데이터로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량운행정보는 정비사가 차량의 이상 또는 고장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사회적으로는, 운선 차량의 이상의 사전 관리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급가속/감속, 과속등의 운전 습관의 교정을 통한 연료 절감 및 사고의 사전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 교통사고 절감과 연비 향상 및 관리를 통한 유류 수입비용의 절감 및 연비관리를 통한 매연 감소로 인한 환경보전이라는 사회간접비용 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한 블루투스에 기반한 차량 운행정보의 원격모니터링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한다.
(1) 블루투스에 기초한 근거리 무선 기술의 범용적 상용화에 의한 저비용 (모듈당 US$10).
(2) ISM 밴드의 사용과 전세계적인 표준으로 차량판매 지역에 상관없는 범용적 서비스.
(3) 주유소 등과 같이 정기적인 방문을 행하는 곳을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가 설치된 핫스팟을 이용함으로써 정기적인 원격모니터링.
(4) OBD II 시스템과 블루투스 동글의 연결에 의한 원격 모니터링에 의한 장치의 단순화.
더 나아가, 상기한 블루투스 기반 원격모니터링은 다른 무선 기술, 예를 들면,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무선랜, 가까운 미래에 상용화가 기대되는 UWB(Ultra Wide Band) 또는 지그비(ZigBee)에 비해 보다 향상된 효과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무선랜의 경우 OBD 커넥터와의 연결이 복잡하고 서비스 지역의 한계로 자동차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으며, UWB와 ZigBee는 블루투스에 비하여 전력소모 면에서는 훨씬 장점을 가진 기술들이나 자동차와 같이 항시 배터리로 전원 공급이 가능한 응용분야에서는 그 장점을 발휘하기가 힘들어 적용하기 곤란하다는 단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동글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블루투스 동글을 차량 내에 장착하는 바람직한 구현예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 원격모니터링에 의한 차량 운행정보의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 원격모니터링에 의한 차량 운행정보의 관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Claims (9)

  1. 차체 내에 내장된 OBD 시스템과 블루투스 동글을 연결하여 차량 운행정보를 블루투스 동글에 내장된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차량이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가 설치된 핫스팟의 서비스 존에 위치할 때, 블루투스 동글의 메모리에 저장된 차량 운행정보를 사용자의 개입없이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 근거리 통신을 통해 광대역망에 연결된 중앙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전송된 데이터로부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기반 원격모니터링에 의한 차량 운행정보의 관리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동글이 상기 차량 운행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 근거리 통신을 가능케 하는 블루투스 모듈, 차체 내에 내장된 OBD 시스템과 블루투스 동글을 연결시키는 컨넥터 및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중앙처리장치 및 백업용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운행정보가 운전 시간 및 거리, 매 5초 마다의 속도, 급가속/급제동, 엔진이상진단코드와 관련 파라미터, 사고 감지를 위한 급제동 전후의 20초 동안의 속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차체 내에 내장된 OBD 시스템,
    차량 운행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OBD 시스템에 연결되는 블루투스 동글,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가 설치된 핫스팟,
    광대역망에 연결된 중앙서버를 포함하며, 차량이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가 설치된 핫스팟의 서비스 존에 위치할 때, 상기 블루투스 동글의 메모리에 저장된 차량 운행정보가 사용자의 개입없이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 근거리 통신을 통해 광대역망에 연결된 중앙 서버에 전송되는 블루투스 기반의 원격모니터링에 의한 차량 운행정보의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동글이 차량 운행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 근거리 통신을 가능케 하는 블루투스 모듈, 차체 내에 내장된 OBD 시스템과 블루투스 동글을 연결시키는 컨넥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중앙처리장치 및 백업용 배터리를 포함하는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운행정보가 운전 시간 및 거리, 매 5초 마다의 속도, 급가속/급제동, 엔진이상진단코드와 관련 파라미터, 사고 감지를 위한 급제동 전후의 20초 동안의 속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OBD 시스템이 OBDII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핫스팟이 주유소, 정비소 또는 주차장인 시스템.
  9. 차량 운행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 근거리 통신을 가능케 하는 블루투스 모듈, 차체 내에 내장된 OBD 시스템과 블루투스 동글을 연결시키는 컨넥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중앙처리장치 및 백업용 배터리를 포함하고,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가 설치된 핫스팟과의 무선 근거리 통신에 의해 메모리에 저장된 차량 운행정보를 사용자의 개입없이 전송하는 차체 내에 내장된 OBD 시스템에 연결된 블루투스 동글.
KR10-2003-0003887A 2003-01-21 2003-01-21 블루투스 기반 원격모니터링에 의한 차량 운행정보의효율적 관리방법 및 시스템 KR100512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887A KR100512487B1 (ko) 2003-01-21 2003-01-21 블루투스 기반 원격모니터링에 의한 차량 운행정보의효율적 관리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887A KR100512487B1 (ko) 2003-01-21 2003-01-21 블루투스 기반 원격모니터링에 의한 차량 운행정보의효율적 관리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966A KR20040066966A (ko) 2004-07-30
KR100512487B1 true KR100512487B1 (ko) 2005-09-05

Family

ID=37356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3887A KR100512487B1 (ko) 2003-01-21 2003-01-21 블루투스 기반 원격모니터링에 의한 차량 운행정보의효율적 관리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24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073B1 (ko) 2006-03-22 2008-04-21 호진형 차량 연계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것의 운용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515B1 (ko) * 2007-03-30 2009-01-09 이태현 차량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실시간 교통정보 수집/제공방법및 그 장치
US20090079555A1 (en) * 2007-05-17 2009-03-26 Giadha Aguirre De Carcer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ly configuring vehicle alerts and/or controls
US20170200324A1 (en) * 2016-01-11 2017-07-13 Blackberry Limited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collecting user-based insurance data in vehicl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073B1 (ko) 2006-03-22 2008-04-21 호진형 차량 연계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것의 운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966A (ko) 200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2031B1 (en) Wireless diagnostic system for vehicles
CN101434221B (zh) 车辆故障诊断设备
US8924071B2 (en) Online vehicle maintenance
US637045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maintaining mechanized equipment
US20080082221A1 (en) System for monitoring, controlling, and reporting vehicle operation through onboard diagnostic port
US20080015748A1 (en) System for monitoring, controlling, and reporting vehicle operation through onboard diagnostic port
KR101433307B1 (ko) 차량 관리 및 진단 장치
JP4661380B2 (ja) 故障診断装置、故障診断システム、故障診断方法、及び車載装置
US20120029759A1 (en) Method of providing vehicle maintenance information and service
JPH08232753A (ja) 所定の車両型式に対する診断しきい値の決定方法および車両用電子計算装置
KR20120075555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운전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H0156009B2 (ko)
CN101231513A (zh) 基于短消息服务的汽车故障诊断系统
KR101835344B1 (ko)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JP3179387B2 (ja) 車両管理用データ伝送システム
KR102105821B1 (ko) Obdⅱ 데이터 정보를 이용한 차량 이상 진단 시스템
KR100843930B1 (ko)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차량 진단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160136139A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50121352A (ko) 차량 종합 관제시스템
US11381422B2 (en) Method to write requests on a vehicle diagnostic bus
WO2005057519A1 (ja) 車両情報収集管理方法、車両情報収集管理システム、その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情報管理基地局装置および車両
CN113906483A (zh) 用于识别对车辆的篡改的方法和系统
KR100512487B1 (ko) 블루투스 기반 원격모니터링에 의한 차량 운행정보의효율적 관리방법 및 시스템
CN111679032A (zh) 监测车辆车队排放量的方法
KR20070047468A (ko) 무선 통신 단말을 이용한 차량의 정비 진단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