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1841B1 - 경사판을 갖춘 카 캐리어 - Google Patents

경사판을 갖춘 카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1841B1
KR100511841B1 KR10-2002-0049435A KR20020049435A KR100511841B1 KR 100511841 B1 KR100511841 B1 KR 100511841B1 KR 20020049435 A KR20020049435 A KR 20020049435A KR 100511841 B1 KR100511841 B1 KR 100511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rame
downward
loading
hin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9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1820A (ko
Inventor
박종환
Original Assignee
(주)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텍 filed Critical (주)알텍
Priority to KR10-2002-0049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1841B1/ko
Publication of KR20020071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1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1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18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08Multilevel-deck construction carry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Abstract

본 발명은 승용차의 적재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경사판을 갖춘 카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승용차의 적재를 용이하게 하고, 적재면적을 최소화하여 적재되는 자동차 댓수를 증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대의 승용차를 상,하 2단으로 적재하여 견인차량에 의해 운반되는 카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카 캐리어는, 견인차량의 후미에 장착되는 견인부(12)가 전방에 형성되고, 후방에는 도로를 주행할 수 있도록 주행부(14)가 설치되고, 상기 견인부(12) 전방 양측으로 프론트포스트(130)가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포스트(130)와 소정거리 떨어진 중간부 양측으로 미들포스트(140)가 배치되고, 상기 미들포스트(140)와 소정거리 떨어진 후방 양측에 리어포스트(150)가 배치되고, 상기 견인부(12) 후방에 전단이 힌지결합되고, 후단은 미들포스트(140)에 장착되는 승하강장치에 결합되어 상,하 힌지회동하는 제1적재판(120a)과, 상기 제1적재판(120a)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주행부(14) 전방에 힌지결합된 후단에 의해 전단이 상기 제1적재판(120a)에 승용차가 적재되도록 적재실린더(50)에 의해 상,하 힌지회동하는 제2적재판(120b)으로 이루어지는 적재가이드(120)가 마련된 하부프레임(100)과;
상기 프론트포스트(130)에 장착되는 승하강장치에 전단이 결합되고, 후단은 상기 미들포스트(140)에 장착되는 승하강장치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하는 제1프레임(200)과, 상기 제1프레임(200)의 후방에 배치되어 전단은 상기 미들포스트(140)에 장착되는 승하강장치에 결합되고, 후단은 상기 리어포스트(150)에 장착되는 승하강장치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하며, 전단부에 힌지결합되는 제2경사판(310)과 상기 제2경사판(310)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3경사판(350)이 마련된 제2프레임(300)이 마련된 상부프레임(40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적재된 승용차가 상호 포개지도록 경사를 형성하며 적재되므로 적재면적은 최소화하고, 적재량은 증가시켜 승용차 운반에 따른 물류비용을 절감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경사판을 갖춘 카 캐리어{CAR CARRIER HAVING A INCLINATION BOARD}
본 발명은 카 캐리어(Car Carrier)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하부 프레임에 마련되는 제1경사판을 소정각도 경사지게 함으로서, 승용차가 경사지게 적재되도록 하여 다른 적재될 승용차가 경사져서 적재된 승용차의 하부에 겹쳐지듯이 적재됨으로서, 적재면적을 최소화하고, 적재량을 최대한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경사판을 갖춘 카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대의 승용차를 운반하는 카 캐리어(CC)에 대해서는 여러가지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카 캐리어(CC)가 그 대표적인 형태의 것으로서, 선두의 견인차(FT) 후방에 결합되는 견인부(KP)는 후방으로 길게 형성되는 하부프레임(LF)과 상부프레임(UF)으로 이루어지고, 하부프레임(LF)에는 후방에 도로를 주행할 수 있도록 바퀴(WL)가 배치된 주행부(DP)가 마련된다.
한편, 하부프레임(LF)의 전단 양측에는 각 내측방향 수직하는 스크류(미도시)가 마련된 포스트(PS)가 배치되고, 후단의 주행부(DP)의 후방에는 실린더(CY)에 의해 힌지 회동하는 링크(LK)가 양측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부프레임(LF)의 상측에 2단으로 승용차(CR)의 적재가 가능하도록 상부프레임(UF)이 배치되는데, 이 상부프레임(UF)의 전단은 상기한 포스트(미도시)의 각 내측에 배치된 스크류(미도시)와 나사결합되는 스크류블럭(미도시)이 양측으로 배치되고, 후단에는 링크(LK)의 단부가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는 힌지브라켓(HB)이 배치된다.
이상과 같은 하부프레임(LF)에 수직으로 배치된 포스트(미도시)의 스크류(미도시)를 회전시키면 상부프레임(UF)이 하강한다. 이때, 후단의 실린더(CY)도 하강하여 상부프레임(UF) 상부에 승용차의 적재가 용이한 상태가 되도록 하고, 적재가 완료되면 상부프레임(UF)은 하부프레임(LF)에 승용차를 적재할 수 있도록 상승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카 캐리어는 승용차를 일렬로 적재하므로서 견인차량을 포함한 총 차량의 길이가 도로교통법상 17m를 초과할 수 없는 법 규정상, 승용차를 3대 이상 적재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운송량의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승용차를 경사지게 적재하여 적재면적을 최소화하고, 그로 인해 더 많은 대수의 승용차 적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경사판을 갖춘 카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대의 카 캐리어에 의해 다수 대의 승용차 운송이 가능하여 물류비용을 절감하도록 하는 경사판을 갖춘 카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다수대의 승용차를 상,하 2단으로 적재하여 견인차량에 의해 운반되는 카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카 캐리어는, 견인차량의 후미에 장착되는 견인부(12)가 전방에 형성되고, 후방에는 도로를 주행할 수 있도록 주행부(14)가 설치되고, 상기 견인부(12) 전방 양측으로 프론트포스트(130)가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포스트(130)와 소정거리 떨어진 중간부 양측으로 미들포스트(140)가 배치되고, 상기 미들포스트(140)와 소정거리 떨어진 후방 양측에 리어포스트(150)가 배치되고, 상기 견인부(12) 후방에 전단이 힌지결합되고, 후단은 미들포스트(140)에 장착되는 승하강장치에 결합되어 상,하 힌지회동하는 제1적재판(120a)과, 상기 제1적재판(120a)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주행부(14) 전방에 힌지결합된 후단에 의해 전단이 상기 제1적재판(120a)에 승용차가 적재되도록 적재실린더(50)에 의해 상,하 힌지회동하는 제2적재판(120b)으로 이루어지는 적재가이드(120)가 마련된 하부프레임(100)과;
상기 프론트포스트(130)에 장착되는 승하강장치에 전단이 결합되고, 후단은 상기 미들포스트(140)에 장착되는 승하강장치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하는 제1프레임(200)과, 상기 제1프레임(200)의 후방에 배치되어 전단은 상기 미들포스트(140)에 장착되는 승하강장치에 결합되고, 후단은 상기 리어포스트(150)에 장착되는 승하강장치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하며, 전단부에 힌지결합되는 제2경사판(310)과 상기 제2경사판(310)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3경사판(350)이 마련된 제2프레임(300)이 마련된 상부프레임(40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카 캐리어의 일측면도이고, 도3a는 본 발명에 따른 카 캐리어의 하부프레임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3b는 도3a의 "B"부분을 확대한 상세사시도이고, 도4는 도3a의 "C-C"선의 단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카 캐리어의 상부프레임을 보인 일측면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카 캐리어의 상부프레임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7의 가)와 나)는 본 발명의 제2경사판의 평면과 일측면을 보인 것이고, 도8은 도7의 나)의 "E-E"선의 단면도이고, 도9의 가)와 나)는 본 발명에 따른 카 캐리어의 제 3 경사판의 평면과 일측면을 보인 것이고,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카 캐리어의 제 3 경사판에 의해 연동되는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카 캐리어에 의해 승용차의 적재가 완료된 상태를 보인 참고도이다. (이하,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명칭을 붙여 설명하고, 부호만 다르게 붙여 설명한다.)
도2 내지 도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경사판을 갖춘 카 캐리어는 하부프레임(100)과, 이 하부프레임(100)으로부터 일정 고도의 상측에서 위치하여 상, 하로 슬라이딩하며, 승용차를 적재하는 제1, 2프레임(200,300)으로 이루어진 상부프레임(400)으로 구성된다.
하부프레임(100)은 견인차(미도시)의 후미에 연결되도록 일정 높이를 유지하는 견인부(12)가 전방에 위치하고, 후방에는 도로를 주행할 수 있도록 주행부(14)가 마련되고, 격자형으로 배치되는 보강부재(SM)에 의해 강도가 유지되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하부레일(110)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양측으로 각각 배치되고, 이 하부레일(110)의 전방에는 양측의 하부레일(110)에 대칭되도록 수직으로 프론트포스트(130)가 각각 설치되고, 이 프론트포스트(130)로부터 소정 간격을 유지하며 양측의 하부레일(110)에 대칭되도록 미들포스트(140)가 각각 설치되고, 하부레일(110)의 후방에는 양측의 하부레일(110)에 대칭되도록 리어포스트(150)가 각각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하부프레임(100)의 견인부(12)와 주행부(14) 사이의 양측으로 배치되는 하부레일(110) 사이에는 상호 대향하도록 힌지회동하는 제1적재판(120a)과 제2적재판(120b)으로 이루어진 적재가이드(120)가 배치된다.
제1적재판(120a)은 소정크기의 사각판 형상으로서, 승용차가 미끄럼 없이 등판하도록 상측으로 돌출되는 엠보싱(Embossing) 성형된 알루미늄 타공(打空)판으로 된 발판(FP)이 상측에 구비되어 등판하는 승용차의 미끄럼이 방지되고, 타공(打空)으로 인한 중량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발판(FP)의 하측에는 격자형상으로 보강부재(SM)가 결합됨으로서, 승용차의 등판시에도 승용차의 무게를 용이하게 지탱할 수 있게 된다.(이하, 후술할 제2적재판(120b)의 발판(FP)의 구성이 제1적재판(120a)의 발판(FP)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1적재판(120a)의 전단은 견인부(12)의 후방에 힌지 결합되며, 후단은 후술하는 미들포스트(140)에 상하로 설치된 제2스크류(141)에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블럭(SB)에 연결되어 제2스크류(141)의 회동으로 인한 스크류블럭(SB)의 상, 하 이동으로 인해 힌지회동하게 함으로서, 후술할 제2적재판(120b)을 통해 승용차가 적재되면, 제1적재판(120a)이 경사지도록 제1적재판(120a)의 후단을 상승시켜서 후적재될 승용차의 일부가 선적재된 승용차의 하부에 겹치듯 적재되도록 하여 적재면적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제2적재판(120b)은 상기한 제1적재판(120a)과는 반대로 후단이 주행부(14) 전방에 힌지결합되고, 전단은 대략 미들포스트(140)가 배치된 위치의 양측 하부레일(110) 사이의 중앙부에 설치된 적재실린더(50)에 의해 상,하 이동하게 됨으로서, 승용차의 적재시 제2적재판(120b)을 경사지도록 하여 제2적재판(120b)의 전단부와 제1적재판(120a)의 후단부의 고도를 일치시켜 제1적재판(120a)에 승용차를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적재판(120b)의 상측에는 제1경사판(160)이 배치되는데, 이 제1경사판(160)은 각각의 미들포스트(140)의 후면 하단에 각각 설치되는 힌지브라켓(163)에 각각의 로드(161) 전단이 힌지결합되고, 각 로드(161)의 후단부 사이에는 2열의 고정부재(162)가 설치되어 적재되는 승용차의 뒷바퀴(후진하여 적재될 때에는, 앞바퀴)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고정부재(162)가 배치되는 로드(161)의 전단은 'ㄴ'자 형태가 대칭되는 구조로서, 바닥면과 측면에 고정공(161a)이 다수 형성되어 고정부재(162) 양단을 고정구(162a)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또한, 측면에 형성된 고정공(161a)에 삽입되는 고정구(162a) 상단에는 레버(162b)가 장공이 형성된 고정부재(162)의 상단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장공의 일측 즉, 로드(161)의 내측방향으로 밀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고정부재(162)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레바(162b)를 장공의 타측으로 당겨서 측면에 형성된 고정공(161a)에 삽입되는 고정구(162a)를 빼낸 후, 바닥면에 고정된 고정부재(162)를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 용이하게 분리된다.
그러므로, 차종에 따라 타이어의 외경(外俓)이 달라짐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2열로 형성되는 고정부재(162)의 간격을 조절하여 안정적인 적재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로드(161)의 하측에는 일단이 하부레일(11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로드실린더(55)의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고정부재(162) 사이로 적재되는 승용차의 바퀴가 놓이게 되면, 로드실린더(55)에 의해 힌지 결합된 제1경사판(160)이 상측으로 회동하여 승용차가 경사지게 적재된다.
그로 인해, 후적재될 승용차는 제1경사판(160)에 의해 경사지게 선적재된 승용차의 하부에 겹치듯 적재되어 적재면적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하부레일(110)의 양측에는 전방에서부터 후방으로 소정간격을 유지하며 대칭되도록 프론트포스트(130)와 미들포스트(140), 리어포스트(150)가 각각 설치되는데,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프론트포스트(130)의 각 대향면에는 제1스크류(131)가 수직으로 각각 설치되고, 대칭된 미들포스트(140)의 각 대향면에는 제2,3,4스크류(141,142,143)가 병렬로 각각 설치되고, 대칭된 리어포스트(150)의 각 대향면에는 제5스크류(151)가 각각 설치된다.
한편, 미들포스트(140)와, 리어포스트(150)는 전방으로 약간 기울어져 있는 상태로 배치되는데, 이는 후술할 제2프레임(300)의 승하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제1 내지 제5스크류(131,141,142,143,151)의 구성이 동일하므로 설명의 편의상 "승하강장치"라 통칭하고, 도4를 참조하여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며 제1적재판(120a) 및 제1,2프레임(200,300)을 상,하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각 포스트(130,140,150)의 대향면에 설치되는 승하강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승하강장치는 제2기어박스(GB2)에 장착된 유압모터(HM)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입력축(IS)과 베벨치합되는 출력축(OS)이 포스트에 상하로 설치되는 스크류(SC)의 하단에 축결합되는데, 이 입력축(IS)과 출력축(OS)은 제1기어박스(GB1)의 내측에서 베벨치합되고, 이 제1기어박스(GB1)는 대칭되는 각 포스트(130,140,150)의 하부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각 입력축(IS)에 수평으로 결합된 연결축(JS)에 의해 축결합된 제2기어박스(GB2)는 그 일측에 유압모터(HM)가 일체로 장착되고, 이 유압모터(HM)의 회동에 의해 양측의 제1기어박스(GB1)와 스크류(SC)가 연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스크류(SC)에는 스크류블럭(SB)이 나사결합되어 상술한 제1적재판(120a)의 후단부와 후술할 제1,2프레임(200,300)의 각 단부에 구비되는 각각의 브라켓에 힌지결합된다.
도2 및 도3a에 도시한 바에 의하면, 하부프레임(100)의 후단에는 승차대(170)가 배치되는데, 승차대(170)는 하부프레임(100) 후방에 삽입되며 양측의 하부레일(110) 사이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승차실린더(175)에 의해 슬라이딩되며 출몰되는 것으로, 후단에는 일측이 지면과 접촉하는 보조발판(SFP)을 배치하여 지면으로부터 적재될 승용차의 등판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도5와 도6을 참조하면, 상술한 하부프레임(100) 상측에는 일정 고도를 유지하는 제1,2프레임(200,300)으로 된 상부프레임(400)이 배치된다.
제1프레임(200)은 상술한 제1,2적재판(120a,120b)과 마찬가지로 양측으로 나란히 발판(FP)이 마련되고, 이 발판(FP)의 하측에 보강부재(SM)가 격자형으로 장착된다.
또한, 제1프레임(200)의 전단 하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211)이 형성된 제1브라켓(210)이 설치되며, 제1브라켓(210)의 장공(211)에는 프론트포스트(130)에 장착된 제1스크류(131)에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블럭(SB)에 결합된 수평축(307)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된다.
이와 같이, 제1브라켓(210)에 장공(211)이 형성되는 것은 후술하는 제2브라켓(220)과 힌지결합된 제3브라켓(230)이 제3스크류(142)에 의해 상,하 이동할 때, 달라지는 힌지점에 의해 제1프레임(200) 전단의 위치가 달라져도 상, 하 슬라이딩 하는데 지장을 주지 않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1프레임(200)의 후단 하측에는 제2브라켓(220)이 설치되어 하향 경사지는 일정길이의 제3브라켓(230)의 일단과 힌지결합되며, 제3브라켓의 타단은 미들포스트(140)에 병렬로 배치된 다수의 스크류 중 제3스크류(142)에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블럭(SB)에 고정 결합되어 제3스크류(142)의 회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만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프레임(200)은 승용차가 적재되면, 전,후단의 높이를 달리하여 전단으로 경사지게 되는데, 이는 후술하는 제2프레임(300)의 제2경사판(310)에 후적재될 승용차의 일부가 선적재된 제1프레임(200) 상의 승용차의 하부에 겹치듯 적재되도록 하여 적재면적을 최소화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제1프레임(200)의 후방에는 제2프레임(300)이 배치되는데, 제2프레임(300)은 길이방향으로 한쌍의 상부레일(301)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나란히 배치되고, 전단에는 제2경사판(310)이 설치되고, 제2경사판(310)의 후방으로 제3경사판(350)이 설치된다.
각 상부레일(301)의 전단은 미들포스트(140)에 상하로 설치된 제4스크류(143)와 나사결합된 스크류블럭(SB)에 힌지결합되고, 후단에는 장공(302)이 형성되어 리어포스트(150)의 제5스크류(151)에 나사결합된 스크류블럭(SB)에 설치되는 수평축(307)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하 이동에 의해 힌지점이 달라져도 상, 하 슬라이딩 하는데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상기한 제1브라켓(210)의 장공(211)과 제2프레임(300) 후단의 장공(302)과 힌지결합되는 스크류블럭(SB)에는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롤러(308)가 구비된 수평축(307)이 배치되어 장공(211,302)의 내부에서 전,후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도7과 도8을 참조하면, 본 발명 카 캐리어의 제2프레임(300)의 전단에 설치되는 제2경사판(310)은 제2프레임(300)의 힌지축(303)과 힌지결합되어 승용차가 적재되면, 하방으로 경사를 형성하는 제2하향판(311)과, 이 제2하향판(311) 측면에 장착된 제1하향브라켓(312)의 링크동작에 의해 상방으로 경사가 형성되는 제2상향판(315)으로 이루어진다.
제2하향판(311)은 길이방향으로 발판(FP)이 마련되고, 발판(FP)의 하측으로는 보강부재(SM)가 격자형으로 배치되며, 후단하부는 제2프레임(300)의 힌지축(303)과 힌지결합되며, 제2하향판(311)의 양측으로는 상향하는 유도장공(312a)이 형성된 제1하향브라켓(312)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2프레임(300)의 하측에는 제2하향브라켓(304)이 고정되는데, 이 제2하향브라켓(304)에는 하향하는 유도장공(304a)이 형성되어 제1하향브라켓(312)의 유도장공(312a)과 후단이 일치하도록 배치되며, 전단으로 갈수록 엇갈림의 차이가 크게 된다.
제2하향브라켓(304)의 후방에는 제2프레임(300)의 하측에 구비된 실린더브라켓(305)에 힌지결합되는 제2실린더(306)가 설치되어 제2실린더로드(306a)에 형성된 수평축(307)이 제1,2하향브라켓(312,304)에 형성된 각 유도장공(312a,304a)의 일치된 후단에 삽입 결합된다.
또한, 수평축(307)에는 롤러(308)가 장착되어 제1,2하향브라켓(312,304)의 각 유도장공(312a,304a)에 삽입되어 용이하게 이동하게 된다.
제1하향브라켓(314)의 후단 상부에는 후술할 제2상향판(315)의 로드(315a) 상부와 연결되도록 연결링크(JL)가 결합되어 제2실린더(306)가 작동하면, 하향하는 제2하향판(311)의 동작으로 인하여 제2상향판(315)은 상향하는 동작을 하게 된다.
제2상향판(315)은 상술한 하부프레임(100)에 배치된 제1경사판(160)과 동일한 구성으로, 제2하향판(311)이 힌지결합된 제2프레임(300)의 힌지축(303)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다른 힌지축(303)에 전단하부가 힌지결합되는 로드(315a)와, 로드(315a)의 후단부에 횡방향(로드 사이에)으로 2열의 고정부재(162)가 배치되어 적재되는 승용차의 뒷바퀴가 고정되도록 한다.(고정부재의 착탈에 대해서는 제1경사판(160)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제2경사판(310)은 제2실린더(306)의 전진행정에 의해 제2실린더로드(306a)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제2상부프레임(300)에 장착, 고정된 제2하향브라켓(304)의 하향하는 유도장공(304a) 방향으로 제2실린더로드(306a)가 하향함으로서, 제1하향브라켓(312)의 상향하는 유도장공(312a)의 전단이 상기한 제2하향브라켓(304)의 하향하는 유도장공(304a)의 전단과 일치하도록 하방향으로 회동하며 제2하향판(311)이 경사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제1하향브라켓(312)과 연결링크(JL)에 의해 연결된 제2상향판(315)은 상향회동하게 된다.
도9과 도10을 참조하면, 본 발명 카 캐리어의 제2프레임(300)의 상기한 제2경사판(310)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3경사판(350)은 제2프레임(300)의 상부레일(301) 사이에 배치되는 크로스멤버(360)에 힌지결합된 제3하향판(351)과, 이 제3하향판(351)의 후방에 배치되고, 제2프레임(300) 상측에 배치된 힌지브라켓(HB)에 힌지결합된 제3상향판(355)으로 이루어진다.
제3경사판(350)의 제3하향판(351)은 길이방향으로 발판(FP)이 마련되고, 발판(FP)의 하측으로는 보강부재(SM)가 격자형으로 배치되며, 후단하부는 제2프레임(300)에 힌지결합되며, 제3하향판(351)의 양측으로는 상향하는 유도장공(352a)이 형성된 제1하향브라켓(352)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2프레임(300)의 하측에는 제2하향브라켓(354)이 고정되는데, 이 제2하향브라켓(354)에는 하향하는 유도장공(354a)이 형성되어 제1하향브라켓(352)의 유도장공(352a)과 후단이 일치하도록 배치되며, 전단으로 갈수록 엇갈림의 차이가 크게 된다.
제2하향브라켓(354)의 전방에는 제2프레임(300)의 하측에 구비된 실린더브라켓(357)에 힌지결합되는 제3실린더(356)가 설치되어 제3실린더로드(356a)에 형성된 수평축(307)이 제1,2하향브라켓(352,354)에 형성된 각 유도장공(352a,354a)의 일치된 후단에 삽입 결합된다.
또한, 수평축(307)에는 롤러(308)가 장착되어 제1, 2하향브라켓(352,354)의 각 유도장공(352a,354a)에 삽입되어 용이하게 이동함으로서, 제3실린더(356)의 후진행정에 의해 제3하향판(351)이 하향하는 경사가 형성된다.
제3하향판(351)이 힌지결합된 크로스멤버(360)의 후방으로는 중간판(MP)이 배치되는데, 중간판(MP)은 제1상부프레임(200)과 제2상부프레임(300) 전단의 제2경사판(310)에 적재되는 자동차가 지날 때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제3상향판(355)은 상술한 하부프레임(100)에 배치된 제1경사판(160)과 동일한 구성으로, 제2프레임(300) 상측에 배치된 힌지브라켓(HB)에 힌지결합되는 로드(355a)와, 로드(355a)의 후단부에 횡방향(로드 사이에)으로 2열의 고정부재(162)가 배치되어 적재되는 승용차의 뒷바퀴가 고정되도록 하였다.(고정부재의 착탈에 대해서는 제1경사판(160)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3상향판(355) 하측에는 슬라이드가이더(355b)가 대칭형으로 배치되며, 이 슬라이드가이더(355b)는 횡단면이 "ㄷ"자형태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슬라이더(370)가 안착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슬라이더(370)는 그 하측에 슬라이더브라켓(371)이 장착되어 후술하는 제3링크(384)와 힌지결합됨으로서, 후술하는 유압모터(HM)의 회동력을 전달하는 제1링크(381)의 회동에 의해 슬라이드가이더(355b)의 내부에서 슬라이딩하여 제3상향판(355)을 상측으로 들어 올려서 경사시킨다.
한편, 상기한 크로스멤버(360)의 중간부위에는 모터축(MS)이 스크류로 형성된 유압모터(HM)가 배치되며, 유압모터(HM)의 일측방에는 모터축(MS)에 나사결합되는 부시(BS)가 힌지결합되는 제1링크(381)가 중간에 장착되는 링크축(380)이 폭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링크축(380)에는 제1링크(381)의 양외측으로부터 일정거리를 유지하며 제2링크(382)가 각각 장착되고, 각 제2링크(382)의 말단에는 "ㄱ"자 형태의 하향링크(383)가 각각 힌지결합된다.
하향링크(383)의 절곡부 하측에는 링크축(380)과 평행하게 배치된 환형(環形)의 회동축(390)이 설치되어 이 회동축(390)을 힌지점으로 하향링크(383)가 용이하게 상,하 회동하게 된다.
각 하향링크(383) 사이의 말단에는 받침부재(383a)가 설치되고, 받침부재(383a)의 상부에는 제2상부프레임(300) 최후방의 후하향판(395)의 전단이 얹혀진 상태로 배치된다.
한편, 링크축(380)에는 제2링크(382)의 양외측으로부터 일정거리를 유지하며 제3링크(384)가 각각 장착되는데, 이 제3링크(384)의 단부가 상기한 제3상향판(355)의 슬라이드가이더(355b)에 안착되는 슬라이더(370)의 슬라이더브라켓(371)과 힌지결합된다.
이와 같은 제3경사판(350)은 유압모터(HM)의 회전과 동시에 제3실린더(356)가 동작하므로서 제1,2하향브라켓(352,354)의 각각 엇갈리게 배치된 유도장공(352a,354a)에 의해 제3하향판(351)이 하향 회동하고, 그에 따라 유압모터(HM)의 회전에 의해서 모터축(MS)과 나사결합된 부시(BS)가 이동하므로서 제1링크(381)가 장착된 링크축(380)도 상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링크(382)도 상향회동하며 전단에 힌지 결합된 하향링크(383)는 하측방향으로 회동하며 제2프레임(300)의 최후방에 배치된 후하향판(395)을 하향하도록 하여 마지막 승용차의 적재가 용이하도록 하는 상태가 된다.
이와 동시에 링크축(380)의 회동으로 인해 상향회동하는 제3링크(384)에 의해 슬라이더브라켓(371)과 결합된 슬라이더(370)는 상향판(351)의 하측에 장착된 슬라이더브라켓(355b) 내부에서 슬라이딩하며 제3상향판(355)을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서 경사가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슬라이더브라켓(371) 내부에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37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리스 니플(Grease Nipple)에 의해 원활한 미끄럼운동을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2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 캐리어에 승용차를 적재하도록 하는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카 캐리어의 후방에 배치된 승차대(170)를 후방으로 돌출시키고, 후단에는 보조발판(SFP)을 결합하여 승용차가 용이하게 등판될 수 있도록 하고, 제1,2프레임(200,300)으로 이루어진 상부프레임(400)을 하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각 유압모터(HM)를 회전시켜 이 유압모터(HM)와 베벨치합된 제1,2기어박스(GB1,GB2)와 축결합된 각 스크류(131,142,143,151)가 회전한다.
이때,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프레임(200,300)은 승용차의 등판이 용이하도록 보조발판(SFP)을 시작점으로 완만한 경사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적재준비가 완료되어 제1프레임(200)에 첫 번째 승용차가 적재되면, 제1스크류(131)와 제3스크류(142)를 회전시켜 제1프레임(200)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첫 번째 승용차의 적재는 완료된다.
두 번째 승용차는 제2상부프레임(300) 전단의 제2경사판(310)에 적재한 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실린더(306)의 동작시켜 제2경사판(310)의 경사가 형성되면 적재가 완료되고, 그 후, 세 번째 승용차도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제3경사판(350) 상부에 적재하면 된다.
이때, 제3경사판(350)의 동작에 의해 제2상부프레임(300) 최후단의 후하향판(395)이 하향회동하게 되어 마지막으로 네 번째 승용차의 적재가 용이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승용차의 적재가 완료되면, 제1,2프레임(200,300)으로 이루어진 상부프레임(400)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하부프레임(100)에 승용차를 적재할 수 있도록 한다.
하부프레임(100)도 전단의 제1,2적재판(120a,120b)으로 이루어진 적재가이드(120)를 승용차의 등판이 용이하도록 비스듬히 경사지게 한 후, 전단의 견인부(12) 상단에 1차 적재가 완료되면, 제1적재판(120a)의 후단을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제2적재판(120b)의 전단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다음 승용차를 적재시킨다.
그런 다음에 두 번째 승용차가 제2적재판(120b)의 전단에 적재되면 제1경사판(160)을 상측으로 회동시켜 승용차를 경사지게 적재시킨 후, 다음 적재되는 승용차의 선두를 경사지게 선적재된 승용차의 하부에 일부가 겹치도록 적재시킨 후, 계속해서, 세 번째, 네 번째 승용차의 적재시킨다.
적재가 완료되어 후방의 승차대(170)를 원위치로 삽입시키면,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견인차(미도시)에 의해 운송이 용이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적재되는 승용차의 후단을 상측으로 회동시키고, 그 하부로 다음 승용차의 선두가 포개어 지도록 적재하면 적재면적은 최소화하되, 적재량을 크게하여 승용차 운반에 따른 물류비용을 대폭 절감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항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승용차의 적재시 전방의 승용차와 포개지도록 경사져서 적재되므로 적재면적은 최소화하고, 그에 따라 더 많은 승용차의 적재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잇다.
또한, 한대의 카 캐리어에 의해 다수의 승용차 운반이 가능하여 물류비용을 절감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카 캐리어를 보인 일측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카 캐리어의 일측면도이고,
도3a는 본 발명에 따른 카 캐리어의 하부프레임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3b는 도3a의 "B"부분을 확대한 상세사시도이고,
도4는 도3a의 "C-C"선의 단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카 캐리어의 상부프레임을 보인 일측면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카 캐리어의 상부프레임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7의 가)와 나)는 본 발명에 따른 카 캐리어의 제2경사판의 평면과 일측면을 보인 것이고,
도8은 도7의 나)의 "E-E"선의 단면도이고,
도9의 가)와 나)는 본 발명에 따른 카 캐리어의 제 3 경사판의 평면과 일측면을 보인 것이고,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카 캐리어의 제 3 경사판에 의해 연동되는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카 캐리어에 의해 승용차의 적재가 완료된 상태를 보인 참고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견인부 14;주행부
100;하부프레임 110;하부레일
120;적재가이드 120a;제1적재판
120b;제2적재판 130;프론트포스트
140;미들포스트 150;리어포스트
160;제1경사판 200;제1프레임
300;제2프레임 310;제2경사판
350;제3경사판 400;상부프레임

Claims (6)

  1. 삭제
  2. 견인차량의 후미에 장착되는 견인부가 전방에 형성되고, 후방에는 도로를 주행할 수 있도록 주행부가 설치되고, 상기 견인부 전방 양측으로 프론트포스트가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포스트와 소정거리 떨어진 중간부 양측으로 미들포스트가 배치되고, 상기 미들포스트와 소정거리 떨어진 후방 양측에 리어포스트가 배치되고, 상기 견인부 후방에 전단이 힌지결합되고, 후단은 미들포스트에 장착되는 승하강장치에 결합되어 상,하 힌지회동하는 제1적재판과, 상기 제1적재판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주행부 전방에 힌지결합된 후단에 의해 전단이 상기 제1적재판에 승용차가 적재되도록 적재실린더에 의해 상,하 힌지회동하는 제2적재판으로 이루어지는 적재가이드가 마련된 하부프레임과;
    상기 프론트포스트에 장착되는 승하강장치에 전단이 결합되고, 후단은 상기 미들포스트에 장착되는 승하강장치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후방에 배치되어 전단은 상기 미들포스트에 장착되는 승하강장치에 결합되고, 후단은 상기 리어포스트에 장착되는 승하강장치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하며, 전단부에는 힌지결합되는 제2경사판과 상기 제2경사판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3경사판이 마련된 제2프레임이 마련된 상부프레임으로 구성되고, 다수대의 승용차를 상,하 2단으로 적재하여 견인차량에 의해 운반되는 카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제2적재판에는, 상기 미들포스트의 양측 후방하단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한쌍의 로드와;
    상기 로드 사이에 소정 간격을 유지하며 2열로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로드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로드를 상하로 회동시키는 로드실린더로 이루어진 제1경사판이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을 갖춘 카 캐리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경사판은, 상기 제2프레임의 전단부에 후단이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2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향하는 유도장공이 형성된 제2하향브라켓에 일단이 일치되는 상향하는 유도장공이 형성된 제1하향브라켓이 하측에 장착되어 하방으로 경사를 형성하는 제2하향판과;
    상기 제2프레임에 전단이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2하향판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2하향판의 후단상부에 연결되는 제2상향판과;
    상기 제2프레임의 하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2하향브라켓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각 유도장공에 삽입되는 수평축이 제2실린더로드의 단부에 장착되는 제2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을 갖춘 카 캐리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상향판은 상기 제2프레임에 전단 하부가 각각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2하향판의 후단상부와 연결링크에 의해 전단 상부가 각각 연결되는 한쌍의 로드와;
    상기 로드 사이에 소정 간격을 유지하며 2열로 설치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을 갖춘 카 캐리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경사판은, 상기 제2프레임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크로스멤버에 후단이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2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향하는 유도장공이 형성된 제2하향브라켓에 일단이 일치되는 상향하는 유도장공이 형성된 제1하향브라켓이 하측에 장착되어 하방으로 경사를 형성하는 제3하향판과;
    상기 제2프레임의 하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2하향브라켓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각 유도장공에 삽입되는 수평축이 제3실린더로드의 단부에 장착되는 제3실린더와;
    상기 제2프레임의 중앙부에 전단이 힌지결합되며, 상기 크로스멤버에 설치되는 유압모터의 회동력을 전달받는 제1링크가 상기 제2프레임사이에 설치되는 링크축에 결합되고, 상기 링크축에 장착되어 상기 제1링크와 연동되는 제3링크의 단부가 슬라이더와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삽입안착되는 슬라이드가이더가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후단부에는 2열의 고정부재가 설치되는 제3상향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을 갖춘 카 캐리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상향판의 링크축에는 제1링크의 양외측으로부터 일정거리를 유지하며 제2링크가 장착되고, 상기 제2링크의 말단에는 "ㄱ"자 형태의 하향링크가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2프레임사이에 설치되는 회동축의 상단에 절곡부가 안착되고, 상기 하향링크의 말단에는 받침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제2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하향판의 전단이 안착되는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을 갖춘 카 캐리어.
KR10-2002-0049435A 2002-08-21 2002-08-21 경사판을 갖춘 카 캐리어 KR100511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435A KR100511841B1 (ko) 2002-08-21 2002-08-21 경사판을 갖춘 카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435A KR100511841B1 (ko) 2002-08-21 2002-08-21 경사판을 갖춘 카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1820A KR20020071820A (ko) 2002-09-13
KR100511841B1 true KR100511841B1 (ko) 2005-09-02

Family

ID=27727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9435A KR100511841B1 (ko) 2002-08-21 2002-08-21 경사판을 갖춘 카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184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3815A (en) * 1977-04-23 1978-11-22 Marubun Co Ltd Carrier plate for transporting automobile
JPH03107347A (ja) * 1989-09-19 1991-05-07 Takara Seisakusho:Kk 振動型偏平ブラシレスモー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3815A (en) * 1977-04-23 1978-11-22 Marubun Co Ltd Carrier plate for transporting automobile
JPH03107347A (ja) * 1989-09-19 1991-05-07 Takara Seisakusho:Kk 振動型偏平ブラシレスモ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1820A (ko) 200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4889E (en) Vehicle service ramp
CN103201195B (zh) 用于车辆运输的可移除的框架系统
EP0775666B1 (en) Fork lift
CN210883783U (zh) 仓储系统
JPS63212140A (ja) 自動車包囲装置及び自動車を積み込む方法
US3704794A (en) Vehicle mounted equipment deck and ramp
CN109476252A (zh) 运输平台
KR100511840B1 (ko) 경사판을 갖춘 카 캐리어
KR100511841B1 (ko) 경사판을 갖춘 카 캐리어
KR100511842B1 (ko) 경사판을 갖춘 카 캐리어
CN110962726A (zh) 一种车辆运输车
CN112520285A (zh) 仓储系统
KR20020071818A (ko) 경사판을 갖춘 카 캐리어
CN109650262A (zh) 一种便于私家车运输搬运装置
KR102204661B1 (ko) 차량 운반 구조물
CN114701784A (zh) 一种仓储物流下车滑道装置
WO1982002031A1 (en) Height adjustable stairway with an elevator platform
DE60310619T2 (de) Selbstfahrendes Fahrzeug zum Handhaben und Transportieren von Kisten
CN209888860U (zh) 多功能手推车
KR100530012B1 (ko) 2단 적재함을 갖춘 화물운송용 트레일러.
KR200388309Y1 (ko) 2단 적재함을 갖춘 화물운송용 트레일러.
CN219604988U (zh) 一种多层同升降载车系统
CN219564897U (zh) 运输车
CN110373996B (zh) 一种公路桥梁施工用空走车
KR101847819B1 (ko) 개선된 차량 적재 데크 승강구조를 구비한 차량 운송 트레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