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1750B1 - 벤투리 효과를 이용한 이젝터 - Google Patents

벤투리 효과를 이용한 이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1750B1
KR100511750B1 KR10-2003-0072258A KR20030072258A KR100511750B1 KR 100511750 B1 KR100511750 B1 KR 100511750B1 KR 20030072258 A KR20030072258 A KR 20030072258A KR 100511750 B1 KR100511750 B1 KR 100511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slope
compression
pipe
inl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2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6554A (ko
Inventor
문성원
이기오
강현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피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피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피씨
Priority to KR10-2003-0072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1750B1/ko
Publication of KR20050036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6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1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175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30Injector mixers
    • B01F25/31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 B01F25/312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with Venturi elements;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81Apparatus supplied with low pressure gas, e.g. "hvlp"-guns; air supplied by a fan
    • B05B7/0087Atmospheric air being sucked by a gas stream, generally flowing through a venturi, at a location upstream or inside the spraying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78Provisions for mixing or aeration of the mixed liquor
    • C02F3/1294"Venturi" aeration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되는 유체의 유속을 증대시켜 줄 수 있도록 된 벤투리효과를 이용한 이젝터에 관한 것으로써, 유출관에 각각 분리 형성되어 있는 압축선경사면과 압축후경사면의 간격을 조절해줌으로써 메인유체의 속도와 배출압력을 조절해줄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이질유체의 유입량과 속도도 조절해줄 수 있으며, 이질유체가 압축선경사면과 압축후경사면과의 사이에서 공급되어 흡입되므로 공급되는 메인유체의 속도와 흡입력에 의해 원활하게 흡입되어질 뿐만 아니라 압축후경사면에서 유출경사면으로 배출될 때에는 메인 유체와 함께 비산되면서 분사되어지므로 고르게 혼합되어진 상태로 분사되어지게 된다.

Description

벤투리 효과를 이용한 이젝터{Ejector using venturi effect}
본 발명은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되는 유체의 유속을 증대시켜 줄 수 있도록 벤투리 효과를 이용한 이젝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관을 서로 결합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되, 유입관과 유출관의 내부에는 벤투리(Venturi)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내부 단면적을 급격히 줄여 최소단면적으로 형성하고 다시 관의 단면적을 완만하게 확대시켜 주도록 하며, 유입관을 통하여 이질 유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되 이질유체가 최소단면적을 형성하기 위하여 단면적이 급격히 줄여지는 유입관과 유출관이 서로 연접되는 곳으로 공급되어지도록 된 벤투리 효과를 이용한 이젝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본 발명과 같이 벤투리효과를 이용하여 유체를 공급하도록 하는 이젝터로는 여러 가지가 알려져 있다.
국내 공개 특허 공개번호 제 1992-627호 "이젝터 및 정화장치"가 알려져 있는데, 이는 축류노즐이 설치된 배관의 선단에 제 3유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흡입관이 측면에 형성된 케이싱을 결합시키고, 케이싱의 전면에는 배출관을 결합시켜서된 것으로써,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메인유체를 축류노즐에서 케이싱에 분사시켜 주도록 하되 흡입관을 통해서는 별도의 제 3유체를 공급하여 축류노즐에서 분사되는 압력에 의해 제 3유체가 배출관으로 배출되어지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축류노즐이 수용되어 있는 케이싱이 일반적인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축류노즐에서 분사되는 메인유체의 배출압력이 급속히 약화되어 배출능력이 떨어지게 되고, 배출능력이 떨어진 메인 유체의 흡입력(배출력)에 의해 제 3유체가 케이싱의 내부로 유입되어 배출되어지므로, 제 3유체와 메인유체가 원활하게 혼합되지 못하고 배출력도 현저하게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다른 기술로는 국내 공개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 1996-29202호"이젝터"가 알려져 있다. 이는 벤투리관의 노즐부에 별도의 흡입관을 연통되게 형성하여, 벤투리관을 통과하는 메인유체의 배출압력에 의해 흡관으로 공급되는 제 3유체가 흡입되어지면서 메인유체와 함께 배출되어지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벤투리관의 내벽이 두껍게 되어 노즐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노즐모양이 일정한 만곡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체를 일정하게 배출시킬 수는 있으나 메인 유체가 노즐에 흡착되어 노즐이 막히거나 제 3유체가 역류하는 문제가 있었고, 내부를 효율적으로 청소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의 또다른 기술로는 국내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 173268호 가 일려져 있다. 이는 본체에 유입실과 배출관을 연통되게 뚫어주고 제 3공급관을 측면에서 뚫어 유입실과 연통시켜 주며, 유입실에는 노즐을 장전시키되 유입실의 외면을 폐쇄시켜서 된 것으로써, 노즐을 통하여 메인 유체를 공급하여 배출관으로 배출(분출)시켜 주도록 하되 제 3공급관을 통하여 제 3유체를 공급하여 메인유체의 분사력에 의해 제 3유체가 흡입되면서 함께 배출되어지도록 된 이젝터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이젝터는 제 3유체가 공급하는 유입실의 배출구의 단면적이 노즐의 단면적 보다 매우 넓으므로 노즐의 배출압력이 낮을 경우에는 흡입력이 약하여 제 3유체를 효율적으로 배출시켜줄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배출력을 강화시켜 주기 위해서는 유입실과 노즐의 단면적에 반비례하여 노즐의 압력(배출력)을 상대적으로 매우 크게 유지시켜 주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다른 것으로서는 국내 실용신안 등록 제210393호 "액체이젝터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는 노즐이 형성된 이젝터 본체와 배출공이 형성된 배출구를 나사에 의해 분해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이젝터 본체에서 제 3유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되 노즐과 배출구와의 사이에 부압실을 형성하여 노즐을 통하여 분사되는 메인유체의 압력(배출력)에 의해 부압실에 유입되어 있는 제 3유체가 흡입되어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되어지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노즐에서 분사되어지는 메인 유체가 배출구의 배출공으로 유입되어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노즐에서 분사되어지는 메인 유체의 압력을 강하게 유지시켜주면 노즐에서 분사되는 메인유체가 비산(분무)되어져 배출공에 효율적으로 유입되지 못하게 되고, 비산되는 메인유체의 일부가 부압실에 까지 분사되어 제 3유체가 배출공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해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노즐에서 분사되는 메인유체의 압력을 낮추어주어야 하지만 메인유체의 압력을 낮추어주게 되면 노즐에서 배출되는 메인유체가 원기둥을 형성하면서 배출공으로 용이하게 유입되지만 이때에도 부압실에 유입되어 있는 제 3유체가 배출공으로 원활하게 유입되지는 못하고 일부가 유입되어질 뿐이며, 배출공으로 유입된 유체는 확대부에서 확산되지 못하게 되고, 따라서 메인유체와 제 3유체가 원활하게 혼합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배출력도 매우 약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입관과 유출관을 나사방식에 의해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되, 유입관에는 중간의 압축돌턱에 의해 분할되는 메인유체 유입실과 유출관 결합실을 서로 연통되게 형성하고 유출관 결합실의 외측에는 이질물질공급공을 형성하며, 유출관의 내부에는 유출경사면을 완만하게 형성하되 그의 선단에는 압축후경사면을 형성하여서 된 벤투리효과를 이용한 이젝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급되는 메인유체의 단면적을 줄여주도록 함에 있어 유입관의 압축돌턱에 형성된 압축선경사면과 배출관에 형성된 압축후경사면에 의해 유체의 단면적을 줄여줄 수 있도록 하고, 압축선경사면과 압축후경사면과의 사이에서 이질물질이 유입되어지도록 하여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메인유체의 압력에 의해 이질물질이 원활하게 흡입되어지도록 하면서 메인유체와 이질유체가 더욱 원활하고 고른 분포로 혼합되어지도록 된 벤투리효과를 이용한 이젝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를 극히 간단히 하여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고장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벤투리효과를 이용한 이젝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입관과 유출관으로 분할하여 나사부에 의해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고, 메인유체의 압력에 의해 이질유체를 혼합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유입관의 내부에는 중간의 압축가이드돌턱에 의해 분할되는 메인유체 유입실과 유출관 결합실을 서로 연통되게 형성하고, 내측삽입관과 외측관이 일체로 된 유출관의 내부에는 유출경사면을 완만하게 형성한 것과, 상기 압축가이드돌턱의 전면에는 압축선경사면을 형성하고 유출경사면의 선단 내면에는 압축후경사면을 압축선경사면과 동일한 각도로 연장되도록 분할 형성하여 단면적을 급격히 줄여주도록 한 것과, 유출관결합실의 외측에는 이질유체공급공을 연통되게 뚫어 이질유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되, 공급되는 이질유체는 유출관의 선단에 형성된 이질유체인입부를 거쳐 유입관의 압축가이드돌턱과 유출관의 외경사부의 선단 사이를 통하여 유입되어지도록 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할 형성된 압축선경사면과 압축후경사면의 유격을 조절하여 유입실로 유입되는 유체의 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목적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벤투리효과를 이용하는 이젝터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예시도로서, 도 1은 결합된 상태도이고, 도 2는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분해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젝터(1)는 유입관(10)과 유출관(20)으로 형성하여 서로 결합 및 분리(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유입관(10)은 선단의 외면에 전방플랜지(12)가 형성된 몸체(11)의 내부에 메인유체유입실(11-1)과 유출관결합실(11-2)을 서로 연통되게 형성하고, 이들 중간에는 압축가이드돌턱(13)을 형성하여 이들을 분리시켜 주되 압축가이드돌턱(13)은 전면을 압축선가이드면(14)으로 형성하고 배면을 단턱면(15)으로 형성하였으며, 유출관결합실(11-2)이 형성된 외주에는 이질물질공급공(19)을 뚫어주어서 이질물질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유입관(10)에서 전방플랜지(12)의 내주에는 공급관결속홈(12-1)을 형성하여 메인유체가 공급되는 공급관(2)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유출관 결합실(11-2)에서 이질유체 공급공(19)의 후측에는 나사부(16)를 형성하였으며, 선단에는 오링(10)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오링홈(17)을 형성하였다.
또한, 유출관(20)은 굵기가 다른 내측삽입관(21-1)과 외측관(21-2)이 일체가 되도록 몸체(21)를 형성하여 외측관(21-2)의 전면이 스톱면(26)으로 되도록 하였고, 몸체(21)의 내부에는 유출경사면(24)을 점진적으로 확대되도록 형성하였다.
상기 내측삽입관(21-1)의 외주 선단에 외측경사부(27)를 형성하고 그 내측으로 나사부(25)를 형성하여 외측경사부(27)와 나사부(25)와의 사이에 이질유체인입부(28)가 형성되도록 하였고, 유출경사면(24)의 선단에는 압축후경사면(23)을 형성하고 후방플랜지(22)가 형성된 후단에는 배출관결속홈(22-1)을 형성하여 배출관(3)을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작동원리를 설명한다.
이와 구성된 유입관(10)과 유출관(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링홈(17)에 오링(18)을 안치시킨 상태에서 유출관(20)의 내측삽입관(21-1)을 유입관(10)의 유출관결합실(11-2)에 삽입시키면서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나사부(16) (25)를 나사 결합시켜 주게 되면, 유출관결합실(11-2)과 내측삽입관(21-1)과의 사이에는 이질물질인입부(28)가 형성되고, 압축가이드돌턱(13)의 단턱면(15)과 내측삽입관(21-1)에 형성된 외경사부(27)의 전면이 서로 이격 되어 이들 사이에는 이질유체유입부(29)가 형성되어지며, 압축선경사면(14)과 압축후경사면(23)은 서로 인접하여 동일한 경사면을 이루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젝터(1)는 도 2에 도시된바와 같이 공급관결속홈(12-1)에는 공급관(2)을 결합시키고, 배출관결속홈(22-1)에는 배출관(3)을 결합시키며, 이질물질공급공(19)에는 이질물질공급관(4)을 결합시켜 준다.
이와 같이 공급관(2)과 배출관(3) 및 이질물질공급관(4)을 결합시켜 준 상태에서 공급관(2)을 통해서는 메인 유체를 공급시켜 주고, 이질물질공급관(4)을 통해서는 다른 이질물질을 공급시켜 주게 된다.
공급관(2)을 통하여 메인 유체를 공급시켜 주면 메인유체 유입실(11-1)로 유입된 메인 유체는 급격한 경사면을 이루면서 단면적이 좁아지는 압축선경사면(14)과 압축후경사면(23)에 의해 압축되어 통과하면서 속도가 빨라지게 되고, 압축후경사면(23)의 후 단부를 통과하여 유출관(20)의 유출경사면(24)으로 유입되면서 신속하게 통과하여 배출관(3)으로 배출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메인 유체가 이젝터(1)를 통과하면서 빠른 속도록 배출되어질 때에 이질유체공급관(4)을 통하여 이질유체를 공급시켜주면, 이질유체는 이질유체인입부(28)를 거쳐 이질유체유입부(29)로 유입되고, 이질유체유입부(29)로 유입된 이질유체는 압축선경사면(14)과 압축후경사면(23)을 통과하면서 속도가 빨라지는 메인 유체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되어지며, 이질유체흡입부(29)를 통하여 흡입된 이질유체는 압축선경사면(14)과 압축후경사면(23)을 통과하는 메인 유체와 함께 유출관(20)의 유출경사면(24)으로 비산되므로 메인 유체와는 고르게 혼합되어지면서 배출관(3)으로 배출되어지게 된다.
특히, 메인유체 유입실(11-1)로 유입되는 메인유체는 단턱면(15)과 외경사부(27)의 선단 면과의 유격(간격)에 따라 유입상태가 달라지게 된다.
즉, 유격이 좁을 때에는 압축선경사면(14)과 압축후경사면(23)이 서로 인접하여 폭이 좁아 급경사면을 이루게 되므로 유체의 유속은 빨라지게 되고, 따라서 유출경사면(24)으로 배출될 때의 빠른 유속으로 인하여 이질유체유입부(29)의 이질유체도 강한 흡입력에 의해 강하게 흡입되어 신속하게 통과하게 된다.
반면에 유격이 넓어 폭이 넓어지게 되면 근접상태보다 경사가 상대적으로 완만하게 되므로 유속은 느려지게 되고 흡입력도 떨어지게 되며, 따라서 이질유체유입부(29)에서 흡입되는 이질유체의 량도 적을 뿐만 아니라 속도도 늦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유입관(10)과 배출관(20)의 결합상태를 조정하여 압축선경사면(14)과 압축후경사면(23)과의 간격 즉, 이질유체유입부(29)의 간격을 조절해 줌으로써 유체의 속도와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고, 더불어 이질유체공급공(19)을 통하여 공급되는 이질유체가 유입되는 량도 함께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젝터는, 유입관과 배출관을 나사결합방식에 의해 결합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되, 유입관과 유출관에 각각 분리 형성되어 있는 압축선경사면과 압축후경사면의 간격을 조절해줌으로써 메인유체의 속도와 배출압력을 조절해줄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이질유체의 유입량과 속도도 조절해줄 수 있으며, 이질유체가 압축선경사면과 압축후경사면과의 사이에서 공급되어 흡입되므로 공급되는 메인유체의 속도와 흡입력에 의해 원활하게 흡입되어질 뿐만 아니라 압축후경사면에서 유출경사면으로 배출될 때에는 메인 유체와 함께 비산되면서 분사되어지므로 고르게 혼합되어진 상태로 분사되어지게 된다.
또한, 구조를 극히 용이하게 설계하여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어 생산비를 절감시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젝터를 보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젝터를 결합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젝터를 분리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이젝터 2. 공급관
3. 배출관 10. 유입관
11.21. 몸체 13. 압축가이드돌턱
14. 압축선경사면 15. 단턱
16.25. 나사부 19. 이질유체공급공
20. 유출관 23. 압축후경사면
24. 유출경사면 26. 스톱면
27. 외경사면 28. 이질유체인입부
29. 이질유체유입부

Claims (2)

  1. 유입관(10)과 유출관(20)으로 분할하여 나사부(16) (25)에 의해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고, 메인유체의 압력에 의해 이질유체를 혼합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유입관(10)의 내부에는 중간의 압축가이드돌턱(13)에 의해 분할되는 메인유체유입실(11-1)과 유출관결합실(11-2)을 서로 연통되게 형성하고, 내측삽입관(21-1)과 외측관(21-2)이 일체로 된 유출관(20)의 내부에는 유출경사면(24)을 완만하게 형성한 것과,
    상기 압축가이드돌턱(13)의 전면에는 압축선경사면(14)을 형성하고 유출경사면(24)의 선단 내면에는 압축후경사면(23)을 압축선경사면(14)과 동일한 각도로 연장되도록 분할 형성하여 단면적을 급격히 줄여주도록 한 것과,
    유출관결합실(11-2)의 외측에는 이질유체공급공(19)을 연통되게 뚫어 이질유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되, 공급되는 이질유체는 유출관(20)의 선단에 형성된 이질유체인입부(28)를 거쳐 유입관(10)의 압축가이드돌턱(13)과 유출관(20)의 외경사부(27)의 선단 사이를 통하여 유입되어지도록 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투리효과를 이용한 이젝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형성된 압축선경사면(14)과 압축후경사면(23)의 유격을 조절하여 유입실(11-1)로 유입되는 유체의 속도 및/또는 압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투리효과를 이용한 이젝터.
KR10-2003-0072258A 2003-10-16 2003-10-16 벤투리 효과를 이용한 이젝터 Expired - Lifetime KR100511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258A KR100511750B1 (ko) 2003-10-16 2003-10-16 벤투리 효과를 이용한 이젝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258A KR100511750B1 (ko) 2003-10-16 2003-10-16 벤투리 효과를 이용한 이젝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554A KR20050036554A (ko) 2005-04-20
KR100511750B1 true KR100511750B1 (ko) 2005-09-05

Family

ID=37239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2258A Expired - Lifetime KR100511750B1 (ko) 2003-10-16 2003-10-16 벤투리 효과를 이용한 이젝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17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339B1 (ko) 2012-03-05 2014-03-04 황성일 유기성 폐기물의 발효 교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990B1 (ko) * 2014-09-29 2016-06-27 박정훈 배출량 조절 가능한 에어 블로워 유닛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7814A (en) * 1985-01-04 1989-02-28 Saint Gobain Vitrage Pneumatic powder ejector
KR890002612Y1 (ko) * 1986-11-17 1989-04-29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펌핑용 벤튜리관
JP2003090266A (ja) * 2001-09-18 2003-03-28 Honda Motor Co Ltd 内燃機関における燃料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7814A (en) * 1985-01-04 1989-02-28 Saint Gobain Vitrage Pneumatic powder ejector
KR890002612Y1 (ko) * 1986-11-17 1989-04-29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펌핑용 벤튜리관
JP2003090266A (ja) * 2001-09-18 2003-03-28 Honda Motor Co Ltd 内燃機関における燃料供給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339B1 (ko) 2012-03-05 2014-03-04 황성일 유기성 폐기물의 발효 교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554A (ko) 200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4272A (en) Detergent/water mixing system for a water spray gun
CN100581755C (zh) 真空抽吸装置
CN101945708A (zh) 吸气淋浴头球窝接头
US4810170A (en) Jet pump
JPH11107876A (ja) 燃料システム
WO2005046830A3 (en) Zero waste reverse osmosis water filtering
JPH0543879Y2 (ko)
KR100511750B1 (ko) 벤투리 효과를 이용한 이젝터
DE602004002593D1 (de) Wasserzirkulationseinheit mit erhöhtem durchsatz für schwimmbecken und diese enthaltende filtereinheit
CA2558698A1 (en) Aspirator for a shower fitting
RU2002130802A (ru) Дозатор жидкости, способ дозирования жидкости и топливная форсунка турбомашины
DE60117357D1 (de) Ventil mit Öffnungverstärkung und Druckregler versehen mit einem solchen Ventil
JP4243365B2 (ja) 燃料噴射ポンプ内に組み込むための絞りエレメント
CN213194189U (zh) 增压式喷嘴
CN109681656A (zh) 一种两级消能的调节阀
JPH11222890A (ja) 水道用蛇口装置
EP0961022A2 (en) Venturi pump
RU2187383C2 (ru) Распылитель
JP2001193660A (ja) 水圧機の流量調節装置
CA2529776A1 (en) Quiet, low water volume toilet
CN102667177A (zh) 可调节的流体压力放大器
CN2309882Y (zh) 多种液体的混合控制装置
RU2162968C2 (ru) Вихревой эжектор
CN222872613U (zh) 发泡枪喷液形状控制装置
JP3847553B2 (ja) 流量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0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8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8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2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29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28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3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19

Start annual number: 19

End annual number: 19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40416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