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1674B1 - 이동 단말기의 화상 전송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방법 및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의 화상 전송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방법 및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1674B1
KR100511674B1 KR10-2003-0056914A KR20030056914A KR100511674B1 KR 100511674 B1 KR100511674 B1 KR 100511674B1 KR 20030056914 A KR20030056914 A KR 20030056914A KR 100511674 B1 KR100511674 B1 KR 100511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image
base station
main exchange
call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6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9263A (ko
Inventor
홍준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6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1674B1/ko
Publication of KR20050019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9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1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16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04W48/04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based on user or terminal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moving direction, sp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및 주교환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에서의 화상 전송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기지국이 이동 단말기에 의한 호요청을 기지국 제어기를 통해 주교환기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호요청을 수신한 주교환기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화상제한구역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화상제한구역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주교환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전송된 영상 대신에 사전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을 착신측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폰이나 화상전화기의 화상송출 기능을 이용한 기업의 중요 비밀의 유출이나 개인 사생활의 침해를 사전에 자동으로 차단함으로써 개인의 권인을 보호하고 기업 비밀의 유출에 의한 전국가적인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의 화상 전송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방법 및 시스템{A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preventing transmission of picture in a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서 화상의 전송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까운 장래에 상용화될 IMT-2000 시스템에서 상용화될 화상 전화기나 기타 이동 전화기에서 사용자가 원할 경우 서비스 사업자가 미리 준비한 배경화면이나 사용자가 만든 배경화면을 통화중인 상대방에서 송출함으로써 사용자의 개인 사생활이나 기업의 중요 비밀이 뜻하지 않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화상 전송의 자동 차단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형 카메라가 장착되어 정지화상을 생성하고 송수신할 수 있는 카메라폰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비록 카메라폰이 아니더라도 상당수의 단말기는 다른 단말기와 화상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더욱이, 가까운 장래에 상용화될 IMT-2000 시스템에서는 통화 당사자가 서로의 얼굴을 동화상으로 확인하면서 통화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전화기가 제공될 예정이다.
도 1은 이러한 통상의 이동통신 시스템 또는 장래 상용화될 IMT-2000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시스템은 개략적으로 단말기와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주교환기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 제어기는 현재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BSC로 불리며, IMT-2000 통신에서는 기지국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으로 불리는데, 주교환기와 기지국 사이에 위치하면서 핸드오버, 전력제어, 수락제어, 혼잡제어 기능 등을 수행하며, 주교환기는 상기 BSC 또는 기지국 제어기에서 보낸 정보를 분석하여 대국으로 스위칭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통신 시스템에서 통화가 성립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예컨대, 사용자1이 사용자2에게 전화를 한다고 가정할 때, 먼저 사용자1은 자신의 전화기의 키패드를 통해 사용자2의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발신 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사용자1이 현재 위치한 곳에 있는 기지국(20)이 통화 요구 신호를 받아서 그 기지국(20)과 연결되어 있는 기지국 제어기(30)로 그 정보를 전달한다. 또한, 기지국 제어기(30)는 자신과 연결되어 있는 주교환기(40)에게 이 정보를 알려주게 되고, 주교환기(40)에서는 사용자2를 관리하고 있는 기지국 제어기(50)로 연결 요청 신호를 보낸다. 신호를 받은 기지국 제어기(50)는 사용자2와 통화를 제공하기 위해 해당 기지국(60)으로 신호를 보내고 사용자2가 후크-온(hook-on) 하면 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사용하는 전화기가 IMT-2000 시스템의 화상전화기인 경우에는, 통화중에 상대방의 목소리뿐만 아니라 단말기에 부착되어 있는 카메라에서 보내오는 영상도 함께 상대방에게 송신된다.
한편, 이러한 단말기에는 영상송출금지 기능이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는 단말기의 영상을 상대방으로 보내지 않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이러한 기능을 활성화시키지 않은 경우에는 단말기는 카메라에 촬영되는 영상을 상대방에게 자동으로 보내게 된다. 즉, 종래의 기줄에서는 사용자의 단말기에 부착되어 있는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이 상대방에게 전달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단말기를 조작하여야만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기업의 연구소와 같이 보안이 요구되는 지역에서 사용자는 영상정보의 송출을 금지하기 위해서 자신의 단말기를 매번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영상송출금지 기능을 설정해 두지 않는다면 화상전화기의 사용은 자칫 개인 사생활 침해나 기업의 회사 비밀이 의도적으로 유출시키거나 또는 뜻하지 않게 밖으로 새어 나감으로써 개인과 기업의 권익을 침해하고 나아가서는 국가의 이익에도 위배되는 결과를 가지고 올 수도 있다.
또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카메라폰이나 화상 전송이 가능한 전화기의 경우에도, 악의의 사용자가 이를 악용하여 기업이나 국가의 비밀을 의도적으로 유출시키거나 사생활을 침해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상전화기의 사용자가 영상송출금지 기능을 수동으로 설정해 두지 않더라도 보안이 요구되는 지역에서 상대방에게 의도하지 않은 영상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화상 전송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안이 요구되는 장소에서 악의의 사용자가 화상전화기나 카메라폰 등을 이용하여 기업이나 국가의 비밀을 의도적으로 유출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화상 전송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및 주교환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에서의 화상 전송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기지국이 이동 단말기에 의한 호요청을 기지국 제어기를 통해 주교환기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호요청을 수신한 주교환기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화상제한구역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화상제한구역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주교환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전송된 영상 대신에 사전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을 착신측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서의 화상 전송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호요청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기지국 제어기로 전달하는 기지국;
복수의 기지국을 제어하며, 기지국으로부터 전달받은 호요청을 주교환기로 전달하는 기지국 제어기; 및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호요청에 따라 호연결을 제어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화상제한구역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화상제한구역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전송된 영상 대신에 사전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을 착신측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주교환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구성 및 상기 시스템 구성에서 주교환기가 화상 송출을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서, 주교환기(40)는, 임의의 기지국 제어기(30)에 들어오는 발신 요청 신호가 화상제한구역 내에 있는 단말기에서 발신되는 신호이거나 화상제한구역 내에 있는 단말기로 수신되는 신호인지를 구분하고, 만약 그러한 신호라면 단말기에서 전송된 원래의 영상이 아닌, 서비스 제공업체가 미리 준비한 영상이나 사용자가 미리 서비스 제공업체를 통해 지정한 영상을 대신 발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화상제한구역은, 일반적으로 보안이 요구되는 기업이나 정부 기관 등이 그 기업이나 정부 기관이 있는 지역을 화상제한구역으로 설정할 것을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에게 요구하였을 경우,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그 지역을 담당하는 기지국에 화상제한구역의 위치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지정된다. 그러면, 해당 기지국이 자신의 서비스 영역 내에 있는 모든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여 화상제한구역 내에 있는 이동 단말기의 목록을 작성하여 저장한다. 만약, 화상제한구역 내에 있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신호가 전달되면, 기지국 제어기로 발신 요청 신호를 송출할 때, 화상제한구역 내에 있는 이동 단말기임을 알리기 위한 특별한 신호를 상기 발신 요청 신호에 추가한다. 여기서, 기지국이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은 이미 여러 가지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전국의 주요도로/이면도로/빌딩/지하의 전파환경에 관한 DB를 구축한 다음, 현재 이동 단말기가 속한 섹터의 기지국의 위치, PN 정보, 안테나 각도 등을 파악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수신한 전파의 RSSI, Ec/Io 값들을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장 근사치의 값을 전파환경 DB에서 찾아서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방법 보다는 정확도가 다소 떨어지지만, 간단하게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단말기 전송신호의 기지국 도달 입사각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하는 방법과, 현재 단말기가 속한 섹터의 이동전화 기지국의 위치, PN 정보, 안테나각도 등을 파악한 다음, 단말기가 수신한 전파의 RSSI, Ec/Io 값들을 분석하고,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기에 전파가 착신된 시간차를 구하여 삼각측량법에 따라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이 있다.
한편, 보안이 요구되는 기업이나 정부 기관이 있는 지역이 광범위하여 하나의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 전체를 화상제한구역으로 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기지국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지 않아도 된다. 기지국 제어기로 송출되는 모든 신호에 화상제한구역임을 알리는 신호를 추가하면 되기 때문이다.
그러면, 본 발명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화상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또는, IMT-2000 시스템의 경우에는 RNC), 및 주교환기로 구성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화상제한구역 내에 있는 사용자1(10)이 사용자2(70)에게 통화를 시도하거나 화상을 전송하려고 한다고 가정하면, 먼저, 화상제한구역에 있는 사용자1(10)이 자신의 이동 단말기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사용자2(70)의 전화번호를 눌러 통화를 시도한다. 그러면, 현재 사용자1(10)이 있는 지역을 담당하는 기지국(20)은 사용자1(10)의 단말기로부터 발신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이 속해 있는 기지국 제어기(30)로 상기 신호를 보내게 된다. 상기 신호를 수신한 기지국 제어기(30)는 다시 자신과 연결된 주교환기(40)로 신호를 전송한다.
기지국 제어기(30)로부터 발신 요청 신호를 받은 주교환기(40)는 통상적인 호처리 과정에 따라 먼저 사용자1(10)이 연결을 요구하는 사용자2(70)의 전화번호를 번역하여 사용자1(10)과 사용자2(70)의 위치를 확인한다. 그런 후,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사용자간의 화상전송 제어를 위해 화상제어 모듈로 정보를 전달한다. 화상제어 모듈은 상기 주교환기(40) 내에서 화상전송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모듈로서, 상기 주교환기(40)의 다른 호 처리 모듈과 마찬가지로 소프트웨어적인 실행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화상제어 모듈은 우선 사용자가 화상제한구역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가 화상제한구역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는, 앞서 설명하였듯이, 기지국이 기지국 제어기로 전송하는 신호(예컨대, 발신측의 기지국인 경우에는 발신 요청 신호, 착신측의 기지국인 경우에는 통화 응답 신호)에 추가된 특정 신호를 식별함으로써 판단하는 방법이 있다.
만약 이동통신 시스템이 IMT-2000 시스템이고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이동 단말기가 화상전화기인 경우에는, 상기 화상제어 모듈은 사용자1(10)과 사용자2(70) 모두에 대해서 그들이 화상제한구역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만약 사용자1(10)만이 화상제한구역 내에 있다면, 사용자2(70)로 전송되는 영상은 현재 사용자1(10)의 전화기에 있는 카메라에서 찍히는 영상이 아니라 사용자1(10)이 미리 지정한 다른 영상이다. 예컨대, 사용자는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에 미리 자신의 사진이나 아바타 등을 등록하여 두고, 자신이 화상제한구역에 있을 때 상기 서버에 등록된 영상이 상대방에게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1(10)이 미리 지정한 영상이 없다면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자가 임의로 지정한 다른 영상을 사용자2(70)에게 전송한다. 이때, 상기 주교환기(40)는 사용자1(10)에게 그가 현재 화상제한구역 내에 있으며, 따라서 자신의 현재 영상이 사용자2(70)에게 전달되고 있지 않음을 경고하는 신호를 보낼 수도 있다. 지금까지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자1(10)만이 화상제한구역 내에 있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사용자2(70)가 화상제한구역 내에 있거나 쌍방이 모두 화상제한구역 내에 있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사용하는 이동 단말기가 화상전화기가 아닌 경우 또는 현재 제공되고 있는 통상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화상을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착신측인 사용자2(70)에 대해서는 화상제한구역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없고, 단지 발신측 사용자1(10)에 대해서만 화상제한구역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화상제한구역 내에 있는 사용자1(10)이 사용자2(70)에게 화상을 전송하려고 하면, 주교환기(40)는 화상의 전송을 거부하고, 현재의 위치에서는 화상전송이 금지되었음을 경고하는 신호를 사용자1(10)에 보낼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카메라폰이나 향후 도래할 IMT-2000 화상전화기의 화상송출기능을 이용한 기업의 중요 비밀의 유출이나 개인 사생활의 침해를 사전에 차단함으로써 개인의 권인을 보호하고 기업 비밀의 유출에 의한 전국가적인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화상 전송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방법에 따라 화상의 송출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70.....사용자 20,60.....기지국
30,50.....기지국 제어기 40........주교환기

Claims (10)

  1.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및 주교환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에 의한 화상 전송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이 이동 단말기에 의한 호요청을 기지국 제어기를 통해 주교환기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호요청을 수신한 주교환기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화상제한구역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화상제한구역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주교환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전송된 영상 대신에 사전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을 착신측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화상 전송 자동 차단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가 화상제한구역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기지국이 자신의 서비스 영역 내에 있는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여 화상제한구역 내에 있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호 요청 신호를 받으면, 주교환기로 전송되는 호 요청 신호에 화상제한구역임을 알리는 신호를 추가하고, 주교환기는 상기 추가된 신호를 식별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화상 전송 자동 차단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 전체가 화상제한구역인 경우,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지 않고 주교환기로 전송되는 모든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호 요청 신호에 화상제한구역임을 알리는 신호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화상 전송 자동 차단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은 이동통신 가입자가 미리 지정한 영상 또는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자가 미리 준비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화상 전송 자동 차단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가 화상제한구역 내에 있는 경우, 화상 전송을 시도한 이동 단말기에게 현재의 위치가 화상제한구역임을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화상 전송 자동 차단 방법.
  6.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호요청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기지국 제어기로 전달하는 기지국;
    복수의 기지국을 제어하며, 기지국으로부터 전달받은 호요청을 주교환기로 전달하는 기지국 제어기; 및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호요청에 따라 호연결을 제어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화상제한구역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화상제한구역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전송된 영상 대신에 사전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을 착신측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주교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 의한 화상 전송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자신의 서비스 영역 내에 있는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여 화상제한구역 내에 있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호 요청 신호를 받으면, 주교환기로 전송되는 호 요청 신호에 화상제한구역임을 알리는 신호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 의한 화상 전송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 전체가 화상제한구역인 경우, 상기 기지국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지 않고 주교환기로 전송되는 모든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호 요청 신호에 화상제한구역임을 알리는 신호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 의한 화상 전송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주교환기는 상기 추가된 신호를 식별함으로써 상기 이동 단말기가 화상제한구역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 의한 화상 전송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은 이동통신 가입자가 미리 지정한 영상 또는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자가 미리 준비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 의한 화상 전송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KR10-2003-0056914A 2003-08-18 2003-08-18 이동 단말기의 화상 전송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방법 및시스템 KR100511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914A KR100511674B1 (ko) 2003-08-18 2003-08-18 이동 단말기의 화상 전송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방법 및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914A KR100511674B1 (ko) 2003-08-18 2003-08-18 이동 단말기의 화상 전송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방법 및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9263A KR20050019263A (ko) 2005-03-03
KR100511674B1 true KR100511674B1 (ko) 2005-08-30

Family

ID=37228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6914A KR100511674B1 (ko) 2003-08-18 2003-08-18 이동 단말기의 화상 전송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방법 및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16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281B1 (ko) * 2007-09-19 2010-07-09 주식회사 케이티 대체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048190B1 (ko) * 2008-04-28 2011-07-08 주식회사 케이티 화상제한구역 내에서 화상 전송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방법및 장치
KR101478839B1 (ko) * 2008-07-25 2015-01-05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호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방법 및장치
KR100969286B1 (ko) * 2008-10-06 2010-07-09 주식회사 케이티 영상 호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9263A (ko) 2005-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32069B2 (en) Local area wireless airspace management
KR100630167B1 (ko) 무선 네트워크에 있어서 공급자 서비스 이용가능성의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050250482A1 (en) Peer-to-peer discovery for location-based forwarding
JPH07154859A (ja) 移動機及び交換局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US20020094805A1 (e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therefor and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KR100511674B1 (ko) 이동 단말기의 화상 전송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방법 및시스템
JP2003230172A (ja) 許諾確認付き位置情報通知システム
KR101085669B1 (ko) 통화 방식 전환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830444B1 (ko) 화상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정보에 따른 이미지 전송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 이동통신 단말기
KR100968023B1 (ko) 카메라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진 촬영 방법
KR20070076645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사용 제한 방법
KR101002284B1 (ko) 가입 통신망 식별자 표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H10285630A (ja) 携帯無線電話機の広域ローミング認証装置および広域ローミング認証方法
KR101048190B1 (ko) 화상제한구역 내에서 화상 전송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방법및 장치
KR100233910B1 (ko) 개인 통신 교환기의 이동 단말기 분실에 따른 안내 방송서비스 방법
KR100899442B1 (ko) 영상 통화 제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47883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호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방법 및장치
KR20100028419A (ko) 한시적 착신거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995477B1 (ko) 식별번호 통합 환경에서의 발신 지역명 표시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KR0142944B1 (ko) 이동무선 단말기의 이동무선 결합기에의 가입시 네트워크 플러딩 방지방법
KR10060344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주파수 선택을 이용한 도청 방지 방법
KR20030074305A (ko) 보조 방문자위치 등록기를 이용한 이동단말기의 위치등록방법 및 시스템
KR200335607Y1 (ko) 식별번호 통합 환경에서의 발신 지역명 표시 서비스 시스템
KR200337320Y1 (ko) 식별번호 통합 환경에서의 착신 지역명 표시 서비스 시스템
KR100401785B1 (ko) 화상 전송 제어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