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9286B1 - 영상 호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호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9286B1
KR100969286B1 KR20080097814A KR20080097814A KR100969286B1 KR 100969286 B1 KR100969286 B1 KR 100969286B1 KR 20080097814 A KR20080097814 A KR 20080097814A KR 20080097814 A KR20080097814 A KR 20080097814A KR 100969286 B1 KR100969286 B1 KR 100969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erminal
video call
mobile communication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97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8732A (ko
Inventor
조정제
김경엽
김낙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20080097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9286B1/ko
Publication of KR20100038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8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28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호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영상 호 처리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발신 단말기 또는 착신 단말기가 영상 호 송수신 불가 셀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그 결과에 따라 영상 호 처리 여부를 결정하는 영상 호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호를 관리하는 장치는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발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및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간의 호 구성 여부를 결정하는 판단부를 포함한다.
영상 호, 이동 통신 셀

Description

영상 호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video call}
본 발명은 영상 호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 호 처리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발신 단말기 또는 착신 단말기가 영상 호 송수신 불가 셀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그 결과에 따라 영상 호 처리 여부를 결정하는 영상 호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집적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다양한 휴대 기기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근래의 테이프 재생 장치, CD 플레이어 등의 음향 재생 장치로 시작하여 무선 호출기가 등장하기도 하였으며, 현재는 휴대 전화 및 MP3 플레이어가 널리 보급되고 있고, 휴대용 게임기도 등장하게 되었다.
특히, 휴대 전화의 경우 통신 수단으로서의 용도를 넘어서 다양한 수단으로 이용되기도 하는데 그 중 시계,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및 메시지 송수신기로서의 역할이 대표적이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용도로도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는 유럽을 중심으로 한국, 일본, 미국의 표준화 기구들이 비동기(WCDMA) 문제를 상호 조정하는 국제 협력 프로젝트로서, 3GPP에서는 시스템 표준의 진화 개념을 Release라는 표현을 빌어 사용하고 있는데, Release에는 GSM/GPRS(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General Packet Radio Service)를 그대로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에 옮겨 호환성을 유지한 Release 99(R99) 또는 Release 3(R3), VoIP를 지원하는 Release 4(R4) 및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IMS(IP Multimedia Subsystem) 등 IP 기반의 멀티미디어 패킷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Release 5(R5) 등이 있다.
또한, 3GPP에 대응하기 위하여 미국에서 주도하여 구성된 단체인 3GPP2가 존재하는데, 3GPP 및 3GPP2는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재, 영상 통화 가입자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이에 따라 영상 통화에 의한 보안상의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다. 즉, 보안 구역에 보관되어 있는 자료가 영상 통화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보안 구역으로 지정된 지역에서 발송한 영상 호를 제한하는 발명의 등장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영상호 처리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발신 단말기 또는 착신 단말기가 영상호 송수신 불가 셀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그 결과에 따라 영상호 처리 여부를 결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호를 관리하는 장치는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발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및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간의 호 구성 여부를 결정하는 판단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호를 관리하는 방법은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발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및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간의 호 구성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영상 호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영상호 처리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발신 단말기 또는 착신 단말기가 영상호 송수신 불가 셀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그 결과에 따라 영상호 처리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영상 통화에 의한 보안상의 문제점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가 영상 호 설정 불가 셀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동 통신 셀은 그 유효 반경에 따라 피코 셀(pico cell), 마이크로 셀(micro cell) 또는 매크로 셀(macro cell)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 셀은 기지국 또는 중계기에 의하여 형성되는데, 도 1에서 110 및 120은 각각 기지국 또는 중계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하 기지국으로 기재된 것은 이동 통신 셀을 형성하는 기지국 또는 중계기로 이해될 수 있다.
하나의 기지국이 제공하는 전파의 유효 반경 내에 존재하는 단말기는 해당 기지국과 통신하게 되는데, 단말기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단말기는 최초 기지국의 유효 반경을 벗어나게 되고 또 다른 기지국의 유효 반경 내로 진입하게 된다.
도 1은 단말기(100)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기지국(110, 120)에 의한 이동 통신 셀도 변경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최초 기지국(이하, 제 1 기지국이라 한다)(110)의 이동 통신 셀(115) 내에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던 단말기(100)가 이동하여 이후의 기지국(이하, 제 2 기지국이라 한다)(120)의 이동 통신 셀(125) 내에서 이동 통신 서비스를 받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같이 단말기(100)가 이동하게 되면 기지국(110, 120)간의 핸드오버(hand over)가 수행되어 단말기(100)는 이동 통신 서비스를 끊김 없이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단말기(100)가 이동함에 따라 이동 통신 셀(115, 125)이 변경될 수 있는데, 특정 지역 또는 건물의 경우 보안이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군사 지역이나 연구소와 같이 보안 사항을 취급하는 곳의 관리자는 보안 사항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호를 관리하는 시스템(이하, 영상 호 관리 시스템이라 한다)은 보안 지역 내에 존재하는 단말기가 영상 호를 요청하는 경우, 이를 거절할 수 있다.
또한, 착신 단말기가 보안 지역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도, 착신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된 영상이 발신 단말기로 송신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호 관리 시스템은 발신 단말기의 영상 호 요청을 거절할 수 있다.
영상 호를 관리함에 있어서, 영상 호 관리 시스템은 발신 단말기 또는 착신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는 이동 통신 셀을 참조할 수 있다. 즉, 발신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는 이동 통신 셀 또는 착신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는 이동 통신 셀이 기 저 장되어 있는 보안 지역으로 설정된 이동 통신 셀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영상 호 관리 시스템은 발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호 설정 요청을 거절하는 것이다.
한편,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영상 통화를 수행하면서 이동할 수 있는데, 이 때 이동 통신 셀에 의한 영상 통화 허용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기지국(110)에 의하여 형성되는 이동 통신 셀(115)은 영상 통화를 허용하지만, 제 2 기지국(1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이동 통신 셀(125)은 영상 통화를 허용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호 관리 시스템은 발신 단말기 및 착신 단말기 간에 진행 중인 영상 통화를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기지국(110)에 의하여 형성되는 이동 통신 셀(115)에서 제 2 기지국(1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이동 통신 셀(125)로 이동하는 단말기(100)는 발신 단말기 또는 착신 단말기 어느 것일 수 있는 것으로서, 영상 통화를 차단한 영상 호 관리 시스템은 발신 단말기 및 착신 단말기에게 영상 통화가 차단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호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영상 호 관리 시스템(200)은 기지국(211, 212), 무선망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RNC)(220), 이동 통신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MSC)(230), 장비 신원 등록기(Equipment Identity Register; EIR)(240),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250), 인증 장치(Authentication Center; AuC)(260), 단문 서비스 센터(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SC)(270) 및 서비스 제어 장치(Service Control Point; SCP)(2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말기(201, 202)는 휴대폰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이동 통신 장치일 수 있는데, 단말기(201, 202)는 단말기 식별자를 보유할 수 있다. 단말기 식별자는 다른 단말기로부터 해당 단말기(201, 202)를 식별해주는 고유한 값으로서, 단말기(201, 202)가 생산될 때 단말기 제조업체나 공인된 기관에 의해 단말기(201, 202)별로 할당될 수 있다.
단말기(201, 202)에는 가입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정보 카드가 연결될 수 있다. 가입자 식별자는 가입자를 식별할 수 있게 하는 고유한 정보로서, 그 일 예로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들 수 있다. 또한, 정보 카드는 소정의 인증 함수를 이용하여 인증값을 생성할 수 있는데, 인증값은 이동 통신망에서 가입자를 인증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정보 카드는 단말기(201, 202)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도 있고, 가입자가 임의로 단말기(201, 202)로부터 정보 카드를 분리하지 못하도록 단말기(201, 202)에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정보 카드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와 소정의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카드의 예로써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와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를 들 수 있다.
도 2에는 영상 호 관리 시스템(200)을 구성하는 각 장비들이 하나씩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영상 호 관리 시스템(200)의 기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영상 호 관리 시스템(200)은 복수 개의 각 장비들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일부 장비가 제거되어 운용 될 수도 있다. 또한, 영상 호 관리 시스템(200)은 둘 이상의 장비가 하나로 통합되어 운용될 수 있으며, 하나의 장비에 의하여 수행되는 기능이 복수 개의 장비로 분할되어 운용될 수도 있다.
기지국(211, 212)은 단말기(201, 202)의 일차 접속 지점으로서, 단말기(201, 202)와 각종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기지국(211, 212)은 안테나와 송수신 모뎀으로 구성된 무선 모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기(201, 202)로부터 기지국 방향의 통신 채널을 상향 채널이라 하고, 기지국(211, 212)으로부터 단말기(201, 202) 방향의 통신 채널을 하향 채널이라 한다.
무선망 제어기(220)는 기지국(211, 212)을 제어하고 무선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망 제어기(220)는 단말기(201, 202)에 대한 통신 채널의 할당을 기지국(211, 212)에게 지시하고, 기지국(211, 212)의 송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무선망 제어기(220)는 기지국(211, 212)간을 이동하는 단말기(201, 202)에 대한 핸드오버(hand over)를 지원할 수도 있다.
이동 통신 교환기(230)는 하나 이상의 무선망 제어기(220)와 연결되어, 발신 단말기(201)와 착신 단말기(202)간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교환기(230)는 단말기(201, 202)의 사용자에 대한 인증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장비 신원 등록기(240)는 단말기 제조업체에서 생산되는 단말기들의 단말기 식별자를 관리할 수 있다. 단말기 식별자의 일 예로써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를 들 수 있다. 신규로 생산된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자는 단 말기 제조업체로부터 직접 획득될 수도 있고, 각 제조업체의 신규 단말기에 대한 등록을 처리하는 서버(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획득될 수도 있다.
또한, 장비 신원 등록기(240)는 단말기(201, 202)의 상태 정보도 관리할 수 있다. 단말기(201, 202)의 상태 정보는 단말기(201, 202)가 정상인지의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201, 202)의 상태 정보는 '정상(White)', '비정상(Black)', 및 '비정상 추정(Gray)'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단말기(201, 202)의 상태 정보는 '정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도난신고가 접수된 단말기나 이동 통신망에 오작동을 유발시킬 수 있는 단말기(201, 202)의 상태 정보는 '비정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망에서 요구되는 통신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단말기나 상태 정보가 '정상'인지 '비정상'인지 불명확한 단말기의 상태 정보는 '비정상 추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장비 신원 등록기(240)가 단말기(201, 202)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방식에 대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동 통신망에서 상태 정보가 '비정상'인 단말기(201, 202)의 통신은 차단될 수 있는데, 상태 정보가 '비정상 추정'인 단말기(201, 202)에 대한 통신 차단 여부는 실시예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장비 신원 등록기(240)는 각 단말기(201, 202)의 단말기 식별자에 해당 단말기(201, 202)의 상태 정보를 매핑시켜 매핑 정보를 보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규로 생성된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자를 획득한 경우, 장비 신원 등록기(240)는 단말기 식별자에 상태 정보로서 '정상'을 매핑시킬 수 있다. 만약, 단말기(201, 202)에 대한 분실 신고가 접수된다면, 장비 신원 등록기(240)는 해당 단말기(201, 202)의 단말기 식별자에 매핑된 상태 정보를 '정상'에서 '비정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서비스 제어 장치(280)는 단말기(201, 202)에 제공할 지능망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어 장치(280)는 단말기(201, 202)에 대해 SMS(Short Message Service)나 USSD(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s Data) 기반의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서비스 제어 장치(280)는 단말기(201, 202)의 속성 정보에 따라서 단말기(201, 202)에게 적합한 서비스 로직을 구동시킬 수 있다. 서비스 제어 장치(280)는 단말기 제조업체가 생산하는 각종 단말기의 속성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물론 속성 정보를 관리하는 별도의 서버(도시하지 않음)가 존재하고, 서비스 제어 장치(280)는 해당 서버에 접근하여 단말기(201, 202)의 속성 정보를 확인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여기서 속성 정보는 단말기(201, 202)가 지원 가능한 언어, 단말기(201, 202)의 화면 해상도, 단말기(201, 202)에 구비된 코덱(codec)의 종류 등 단말기(201, 202)의 기능이나 성능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홈 위치 등록기(250)는 가입자의 위치 정보(예를 들어, 단말기(201, 202)가 현재 위치한 곳의 VLR(Visitor Location Register) 주소, MSC 주소 등)와 가입자 부가 서비스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인증 장치(260)는 이동 통신망 가입자에 대한 인증 및 무선 통화 구간에 대 한 암호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도 2에는 인증 장치(260)가 홈 위치 등록기(250)로부터 독립된 장치로 도시되어 있지만, 인증 장치(260)는 홈 위치 등록기(25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이동 통신 교환기(230)는 영상 통화가 제한되는 이동 통신 셀의 리스트(이하, 호 제한 셀 리스트라 한다)를 저장하고 있는데, 발신 단말기(201)가 영상 통화를 위한 호 설정을 요청하면, 이동 통신 교환기(230)는 발신 단말기(201)가 위치하고 있는 이동 통신 셀이 호 제한 셀 리스트에 포함되는지를 확인하여 그 결과에 따라 영상 통화의 진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발신 단말기(201)가 위치하고 있는 이동 통신 셀이 호 제한 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동 통신 교환기(230)는 발신 단말기(201)로 호 진행 메시지(Call Proceeding Message)를 송신하고, 무선망 제어기(220)로 RAB 요청 메시지(Radio Access Bearer Assignment Request)를 송신하여 발신 단말기(201)와 무선망 제어기(220)간에 무선 베어러(Radio Bearer)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발신 단말기(201)로 하여금 영상 통화를 위한 준비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발신 단말기(201)가 위치하고 있는 이동 통신 셀이 호 제한 셀 리스트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발신 단말기(201)측 이동 통신 셀의 식별자가 호 제한 셀 리스트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호 제한 셀 리스트는 영상 통화를 위한 호가 제한되는 이동 통신 셀의 식별자 리스트로 구성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발신 단말기(201)가 위치하고 있는 이동 통신 셀이 호 제한 셀 리스트 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동 통신 교환기(230)는 수신된 호 설정 요청을 무시하고 영상 통화를 위한 진행을 중지한다.
이 때, 이동 통신 교환기(230)는 중지 이유(Release Cause)를 발신 단말기(201)로 송신할 수 있다. 중지 이유를 수신한 발신 단말기(201)는 수신된 중지 이유를 참조하여 대응하는 텍스트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신 단말기(201)에는 중지 이유에 대응하는 텍스트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동 통신 교환기(230)는 착신 단말기(202)가 위치하고 있는 이동 통신 셀이 호 제한 셀 리스트에 포함되는지를 확인하여 그 결과에 따라 영상 통화의 진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착신 단말기(202)가 위치하고 있는 이동 통신 셀이 호 제한 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동 통신 교환기(230)는 무선망 제어기(220)로 RAB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여 착신 단말기(202)와 무선망 제어기(220)간에 무선 베어러(Radio Bearer)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착신 단말기(202)로 하여금 영상 통화를 위한 준비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착신 단말기(202)가 위치하고 있는 이동 통신 셀이 호 제한 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동 통신 교환기(230)는 발신 단말기(201)로부터 수신된 호 설정 요청을 무시하고 영상 통화를 위한 진행을 중지한다.
본 발명의 이동 통신 교환기(230)는 발신 단말기(201)로부터 호 설정 요청 메시지(Setup Message)를 수신하는 경우, 사전에 수신된 호 관리 서비스 요청 메시 지(Call Management Service Request Message)에 포함된 발신 단말기(201)가 위치하고 있는 이동 통신 셀의 식별자를 참조하여 영상 통화 진행 여부를 결정하는데, 이에 따라 발신 단말기(201) 또는 착신 단말기(202)가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영상 통화를 관리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망 제어기(220)도 영상 통화가 제한되는 이동 통신 셀의 리스트(호 제한 셀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하여, 단말기(201, 202)의 핸드오버를 관리하는 무선망 제어기(220)는 발신 단말기(201) 또는 착신 단말기(202)가 핸드오버하는 경우 이동 후의 이동 통신 셀이 호 제한 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확인 결과에 따라 영상 통화의 진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핸드오버 이후의 이동 통신 셀이 호 제한 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무선망 제어기(220)는 영상 통화를 지속시키고, 핸드오버 이후의 이동 통신 셀이 호 제한 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단말기(201, 202)와의 세션을 차단하는 것이다.
단말기(201, 202)와의 세션을 차단한 무선망 제어기(220)는 이동 통신 교환기(230)로 세션 차단 사실을 통지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서비스 제어 장치(280)는 발신 단말기(201) 및 착신 단말기(202)로 영상 통화가 차단되었음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201, 202)와의 세션 차단 사실 즉, 영상 통화가 제한되었다는 사실이 포함된 안내 메시지는 무선망 제어기(220) 또는 이동 통신 교환기(230)에 의하여 생성되어 직접 발신 단말기(201) 및 착신 단말기(202)로 송신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는 무선망 제어기(220) 및 이동 통신 교환기(230)가 하나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발신 단말기(201) 및 착신 단말기(202)가 위치하고 있는 각각의 이동 통신 셀을 관리하는 별도의 무선망 제어기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동 통신 교환기(230)도 발신 단말기(201)측 이동 통신 교환기 및 착신 단말기(202)측 이동 통신 교환기가 존재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호를 관리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영상 호 관리 장치(300)는 통신부(310), 저장부(320), 판단부(330), 메시지 관리부(340) 및 메시지 확인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호 관리 장치(300)의 역할은 무선망 제어기(220) 또는 이동 통신 교환기(23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영상 호 관리 시스템(200)을 구성하는 다른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영상 호 관리 시스템(200)에 포함되어 있지 않는 별도의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하나의 영상 호 관리 장치(300)가 발신 단말기(201) 및 착신 단말기(202)의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영상 호를 관리할 수 있으며, 각 단말기(201, 202)측의 영상 호 관리 장치(300)가 별도로 존재하여 해당 단말기의 위치 정보만을 참조하여 영상 호를 각각 관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호 관리 장치(300)가 이동 통신 교환기(230)인 경우 발신 단말기(201) 및 착신 단말기(202) 모두의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영상 호를 관리할 수 있으며, 영상 호 관리 장치(300)가 무선망 제어기(220)인 경우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에 대한 영상 호만을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영상 호 관리 장치(300)가 발신 단말기(201) 및 착신 단말기(202)의 위치 정보 모두를 참조하여 영상 호를 관리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영상 호 관리 장치(300)의 통신부(310)는 발신 단말기(201) 및 착신 단말기(202)와 통신을 수행하여 제어 메시지 등을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310)는 발신 단말기(201)로부터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발신 단말기(201) 또는 착신 단말기(202)로부터 해당 단말기(201, 202)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발신 단말기(201) 및 착신 단말기(202)로 RAB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통신부(310)는 판단부(330)의 결정 결과에 따라 발신 단말기(201) 및 착신 단말기(202) 중 적어도 하나로 호 설정이 차단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판단부(330)는 단말기(201, 202)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참조하여 발신 단말기(201)와 착신 단말기(202)간의 호 구성 여부를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호 구성 여부는 호 설정의 차단 여부로 이해될 수 있다. 즉, 발신 단말기(201)로부터 호 설정 요청이 수신된 경우 판단부(330)는 해당 호 설정이 진행되도록 할 것인지 차단되도록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호 구성 여부를 결정함에 있어서, 판단부(330)는 발신 단말기(201)의 위치 정보에 포함된 발신 단말기(201)가 위치하고 있는 이동 통신 셀(이하, 제 1 이동 통신 셀이라 한다)의 식별자 또는 착신 단말기(202)의 위치 정보에 포함된 착신 단말기(202)가 위치하고 있는 이동 통신 셀(이하, 제 2 이동 통신 셀이라 한다)의 식별자의 참조하여 호 구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판단부(330)는 제 1 이동 통신 셀의 식별자 또는 제 2 이동 통신 셀의 식별자가 호 제한 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발신 단말기(201) 및 착신 단말기(202)간의 호 구성을 제한하는 것이다.
여기서, 판단부(330)는 발신 단말기(201)로부터 호 설정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수신된 시점에 호 구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판단부(330)는 호 설정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제 1 이동 통신 셀의 식별자 및 제 2 이동 통신 셀의 식별자를 참조하여 호 구정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다.
저장부(320)는 호 제한 셀 리스트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호 제한 셀 리스트는 각 이동 통신 셀의 식별자별로 호 구성 제한 시간 범위 및 안내 메시지 송신 여부가 대응되어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부(32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호 처리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영상 호 처리 테이블(400)은 셀 식별자 필드(410), 호 구성 제한 시간 필드(420) 및 안내 메시지 필드(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셀 식별자 필드(410)에는 영상 호의 구성이 제한된 이동 통신 셀의 식별자가 명시된다.
호 구성 제한 시간 필드(420)에는 해당 이동 통신 셀의 영상 호 구성 제한이 적용되는 시간 범위가 명시된다. 예를 들어, 호 구성 제한 시간이 00:00~06:00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 해당 시간 범위에만 영상 호 구성이 제한되고, 나머지 시간에는 영상 호가 자유롭게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호 구성 제한 시간이 명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는 항상 영상 호 구성이 제한되는 것을 의미한다.
안내 메시지 필드(430)에는 안내 메시지의 송신 여부가 명시된다. 예를 들어, 안내 메시지 필드(430)에 0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 해당 이동 통신 셀에 위치하고 있는 단말기(201, 202)로는 호 구성이 제한되었음을 통지하는 메시지가 송신되지 않으며, 안내 메시지 필드(430)에 1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 해당 이동 통신 셀에 위치하고 있는 단말기(201, 202)로는 호 구성이 제한되었음을 통지하는 메시지가 송신되는 것이다.
다시 도 3을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단부(330)는 도 4에 도시된 영상 호 처리 테이블(400)을 참조하여 호 구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판단부(330)는 제 1 이동 통신 셀 또는 제 2 이동 통신 셀에 설정되어 영상 호 처리 테이블(400)에 명시된 호 구성 제한 시간 범위 및 안내 메시지 송신 여부를 참조하여 해당 이동 통신 셀에 위치하고 있는 단말기(201, 202)의 호 구성 여부를 결정하고, 안내 메시지 송신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다.
메시지 확인부(350)는 수신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메시지에 포함된 각 필드를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통신부(310)가 발신 단말기(201)로부터 수신하는 메시지에는 호 설정 요청 메시지 및 호 관리 서비스 요청 메시지가 포함되는데, 메시지 확인부(350)는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서 착신 단말기(202)의 정보를 추출하거나 현재 요청된 호가 영상 호인지 음성 호인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추출할 수 있으며, 호 관리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서 발신 단말기(201)의 위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가 착신 단말기(202)로부터 수신하는 메시지에는 페이징 응답 메시지가 포함되는데, 메시지 확인부(350)는 페이징 응답 메시지에서 착신 단말기(202)의 위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메시지 확인부(350)에 의하여 추출된 정보는 판단부(330)로 전달되고, 판단부(330)는 전달받은 정보를 참조하여 호 구성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다.
메시지 관리부(340)는 판단부(330)의 판단 결과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판단부(330)에 의하여 호 구성이 제한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메시지 관리부(340)는 호 구성이 제한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이다. 메시지 관리부(340)에 의하여 생성된 메시지는 통신부(310)를 통하여 발신 단말기(201) 또는 착신 단말기(202)로 송신될 수 있다.
한편, 발신 단말기(201)의 호 설정 요청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 영상 호 관리 장치(300)는 발신 단말기(201)로 중지 이유(Release Cause)를 송신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 구성이 제한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는 중지 이유로도 이해될 수도 있다.
다음은 영상 호 관리 장치(300)가 발신 단말기(201) 및 착신 단말기(202) 중 하나의 위치 정보 모두를 참조하여 영상 호를 관리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영상 통화 중에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말기(201, 202)는 위치 등록 갱신을 위한 메시지를 영상 호 관리 장치(300)로 송신하는데, 위치 등록 갱신 메시지에는 해당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는 이동 통신 셀의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영상 호 관리 장치(300)의 판단부(330)는 해당 이동 통신 셀의 식별자가 호 제한 셀 리스트에 포함되는지를 확인하여 현재 구성되어 있는 영상 호의 유지 여부를 결정한다.
즉,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이동 통신 셀의 식별자가 호 제한 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구성되어 있는 영상 호를 차단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구성되어 있는 영상 호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다.
한편, 통신부(310), 저장부(320), 메시지 관리부(340) 및 메시지 확인부(350)의 역할은 발신 단말기(201) 및 착신 단말기(202) 모두의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영상 호를 관리하는 경우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호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이동 통신 교환기(230)가 영상 호 관리 장치(300)의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착신 단말기(202)와의 영상 통화를 수행하고자 하는 발신 단말기(201)는 호 관리 서비스 요청 메시지(Call Management Service Request Message)를 영상 호 관리 장치(300)로 송신한다(S511).
호 관리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는 단말기 식별자(Mobile Identity)가 포함되는데, 단말기 식별자에는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TMSI(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및 IMEISV(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together with the Software Version number)가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TMSI는 VLR에 의하여 무작위로 생성되어 할당되는 4 옥텟(octet)의 정보로서, 해당 지역을 대표하는 숫자로 구성된다.
호 관리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영상 호 관리 장치(300)는 그 응답으로 호 관리 서비스 허용 메시지(Call Management Service Accept Message)를 발신 단말기(201)로 송신한다(S512).
그리고, 호 관리 서비스 허용 메시지를 수신한 발신 단말기(201)는 호 설정 요청 메시지(Setup Message)를 영상 호 관리 장치(300)로 송신한다(S520). 여기서,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는 착신 단말기(202)의 번호 및 현재 요청된 호가 영상 호인지 여부가 명시된다.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영상 호 관리 장치(300)는 호 관리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TMSI를 참조하여 발신 단말기(201)가 위치하고 있는 이동 통신 셀의 식별자를 추출하고, 추출된 식별자가 호 제한 셀 리스트에 포함되는지를 확인한다(S530).
그리하여, 추출된 셀의 식별자가 호 제한 셀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영상 호 관리 장치(300)는 발신 단말기(201)로 중지 이유를 송신한다(S540). 예를 들어, 영상 호 관리 장치(300)는 #57의 중지 이유를 송신할 수 있는데, 베어러 기능 권한 없음(Bearer Capability Not Authorized)의 의미를 갖는 중지 이유를 수신함에 따 라, 발신 단말기(201)의 화면에는 영상 호의 구성이 허용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텍스트가 표시된다. 또한, 추출된 셀의 식별자가 호 제한 셀 리스트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별도의 중지 이유가 정의되어 영상 호 관리 장치(300) 및 발신 단말기(201)간에 송수신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영상 호 관리 장치(300)는 중지 이유를 송신하지 않고,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여 발신 단말기(201)로 송신할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추출된 셀의 식별자가 호 제한 셀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영상 호 관리 장치(300)는 호 설정에 필요한 모든 정보가 수집되었음을 알리는 호 진행 메시지(Call Proceeding Message)를 발신 단말기(201)로 송신한다(S550).
그리고, 영상 호 관리 장치(300)는 발신 단말기(201)측 무선망 제어기(221)로 RAB 요청 메시지(RAB Assignment Request Message)를 송신하는데(S560), 이에 따라 무선망 제어기(221)와 발신 단말기(201)간에 무선 베어러 설정 메시지(Radio Bearer Setup Message) 및 무선 베어러 설정 확인 메시지(Radio Bearer Setup Confirmation Message)가 송수신되면서(S571, S572) 무선망 제어기(221)와 발신 단말기(201)간에 무선 베어러가 형성되고, 무선망 제어기(221)는 영상 호 관리 장치(300)로 무선 베어러 형성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RAB 응답 메시지(Radio Access Bearer Assignment Response Message)를 송신한다(S580).
RAB 응답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영상 호 관리 장치(300)는 착신 단말기(202)도 무선 베어러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와 같이 발신 단말기(201) 및 착신 단말기(202)의 무선 베어러 형성이 완료되면, 발신 단말기(201)와 착신 단 말기(202)간의 영상 통화 호가 구성된다(S590).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호 관리 장치(300)는 착신 단말기(202)가 위치하고 있는 이동 통신 셀의 식별자를 참조하여 영상 호의 구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발신 단말기(201)로부터 RAB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영상 호 관리 장치(300)는 착신 단말기(202)로 페이징 요청 메시지(Paging Request Message)를 송신한다(S611).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착신 단말기(202)는 페이징 응답 메시지(Paging Response Message)를 영상 호 관리 장치(300)로 송신하는데(S612), 영상 호 관리 장치(300)는 페이징 응답 메시지를 참조하여 착신 단말기(202)가 위치하고 있는 이동 통신 셀의 식별자를 추출하고 추출된 셀의 식별자를 호 제한 셀 리스트와 비교하여 요청된 영상 호가 허용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620).
그리하여, 영상 통화가 제한되는 이동 통신 셀에 착신 단말기(202)가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영상 호 관리 장치(300)는 발신 단말기(201)로 중지 이유 또는 단문 메시지를 송신한다(S630).
한편, 착신 단말기(202)의 영상 통화가 허용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영상 호 관리 장치(300)는 착신 단말기(202)로 호 설정 요청 메시지(Setup Message)를 송신한다(S640). 그리고,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착신 단말기(202)가 영상 호 관리 장치(300)로 호 승인 메시지(Call Confirmation Message)를 송신하면(S650), 영상 호 관리 장치(300)는 착신 단말기(202)측 무선망 제어기(222)로 RAB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S660).
RAB 요청 메시지(RAB Assignment Request Message)를 수신함에 따라 무선망 제어기(222)는 무선 베어러 설정 메시지(Radio Bearer Setup Message)를 착신 단말기(202)로 송신하고(S671), 그에 대한 응답으로 무선 베어러 설정 확인 메시지(Radio Bearer Setup Confirmation Message)를 수신함에 따라(S672) 착신 단말기(202)와의 무선 베어러를 형성하며, 무선 베어러 형성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RAB 응답 메시지(RAB Assignment Response Message)를 영상 호 관리 장치(300)로 송신한다(S680).
그리고, 베어러 형성이 완료된 착신 단말기(202)는 발신 단말기(201)와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S690).
한편,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발신 단말기(201) 및 착신 단말기(202)측 무선망 제어기가 발신 단말기(201) 및 착신 단말기(202)의 핸드오버를 제어하면서, 영상 통화 호의 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상 호가 제한된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안내 메시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는 발신 단말기(201) 또는 착신 단말기(202)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영상 통화가 제한되는 이동 통신 셀 내에 발신 단말기(201) 또는 착신 단말기(202)가 위치하고 있음에 따라 발신 단말기(201)의 호 설정 요청이 거절되는 경우, 그리고 핸드오버에 따라 영상 통화가 제한되는 이동 통신 셀로 발신 단말기(201) 또는 착신 단말기(202)가 진입하는 경우 영상 호 관리 장치(300)는 중지 이유 또는 단문 메시지를 발신 단말기(201) 또는 착신 단말기(202)로 송신하는데, 이에 따라 발신 단말기(201) 또는 착신 단말기(202)의 화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내 메시지(700)가 표시된다.
여기서, 중지 이유 또는 단문 메시지의 송신 여부는 도 4에 도시된 영상 호 처리 테이블(400)을 참조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메시지(700)를 통지받은 사용자는 구비된 버튼 또는 화면상에 나타난 아이콘 중 통화 아이콘(710)을 선택함으로써 상대방과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취소 아이콘(720)을 선택함으로써 더 이상의 통화를 생략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가 영상 호 설정 불가 셀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호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호를 관리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호 처리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호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상 호가 제한된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안내 메시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310 : 통신부 320 : 저장부
330 : 판단부 340 : 메시지 관리부
350 : 메시지 확인부

Claims (14)

  1.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발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및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간의 호 구성 여부를 결정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영상 호를 관리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발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포함된 상기 발신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는 제 1 이동 통신 셀의 식별자 또는 상기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포함된 상기 착신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는 제 2 이동 통신 셀의 식별자를 참조하여 상기 호 구성 여부를 결정하는 영상 호를 관리하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 1 이동 통신 셀 또는 상기 제 2 이동 통신 셀에 설정된 호 구성 제한 시간 범위를 참조하여 상기 호 구성 여부를 결정하는 영상 호를 관리하는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 1 이동 통신 셀의 식별자 또는 상기 제 2 이동 통신 셀의 식별자가 기 설정된 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간의 호 구성을 제한하는 영상 호를 관리하는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간에 호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구성된 호를 차단하는 영상 호를 관리하는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호 설정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호 설정을 차단하는 영상 호를 관리하는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호 구성이 제한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영상 호를 관리하는 장치.
  8.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발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및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간의 호 구성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호를 관리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호 구성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포함된 상기 발신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는 제 1 이동 통신 셀의 식별자 또는 상기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포함된 상기 착신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는 제 2 이동 통신 셀의 식별자를 참조하여 상기 호 구성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호를 관리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호 구성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이동 통신 셀 또는 상기 제 2 이동 통신 셀에 설정된 호 구성 제한 시간 범위를 참조하여 상기 호 구성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호를 관리하는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호 구성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이동 통신 셀의 식별자 또는 상기 제 2 이동 통신 셀의 식별자가 기 설정된 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간의 호 구성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호를 관리하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호 구성을 제한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간에 호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구성된 호를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호를 관리하는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호 구성을 제한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호 설정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호 설정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호를 관리하는 방법.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호 구성이 제한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호를 관리하는 방법.
KR20080097814A 2008-10-06 2008-10-06 영상 호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969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97814A KR100969286B1 (ko) 2008-10-06 2008-10-06 영상 호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97814A KR100969286B1 (ko) 2008-10-06 2008-10-06 영상 호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732A KR20100038732A (ko) 2010-04-15
KR100969286B1 true KR100969286B1 (ko) 2010-07-09

Family

ID=42215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97814A KR100969286B1 (ko) 2008-10-06 2008-10-06 영상 호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928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9263A (ko) * 2003-08-18 2005-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화상 전송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방법 및시스템
KR20090113544A (ko) * 2008-04-28 2009-11-02 주식회사 케이티 화상제한구역 내에서 화상 전송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방법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9263A (ko) * 2003-08-18 2005-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화상 전송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방법 및시스템
KR20090113544A (ko) * 2008-04-28 2009-11-02 주식회사 케이티 화상제한구역 내에서 화상 전송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방법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732A (ko) 201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7781B1 (ko) 콘텍스트 전달을 인증하는 시스템 및 방법
EP3585107A1 (en) Multi-access management implementation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EP2844011B1 (en) Method, network device and base station for paging narrow band terminal
KR101712865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비계층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 지원 방법 및 장치
CN103262625B (zh) 用于dsds的基于ip的寻呼
JP5648762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ゲートウェイ装置、コアネットワーク装置、通信方法
US200800705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cure network access in fixed mobile converged telecommunications networks
JP4957864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
KR20040101497A (ko) 이동전화용 재난 및 비상 모드
EP2173120B1 (en)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portable terminal and system therefor
US20170070867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iggering terminal group
TW201429283A (zh) 即時sms傳送機制
JP5262662B2 (ja) コアネットワーク装置、無線ネットワーク制御装置、位置登録方法、及び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0878073B1 (ko) 이동통신망에서 분실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695087B1 (ko) Ussd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969286B1 (ko) 영상 호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3183316A1 (ja) 通信システム
KR10098365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인증 장치 및 방법
KR101485801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인증과 비계층 프로토콜 보안 운영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01137203A (zh) 建立用户平面的方法
KR101050639B1 (ko) 호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296080B1 (ko) 5g sa 코어망 장애 발생 시의 서비스 복구 방법
KR20100068692A (ko) Imsi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47883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호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방법 및장치
US8533809B1 (en) Forced state-change to facilitate blacklist evalu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