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9281B1 - 대체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대체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9281B1
KR100969281B1 KR20070095494A KR20070095494A KR100969281B1 KR 100969281 B1 KR100969281 B1 KR 100969281B1 KR 20070095494 A KR20070095494 A KR 20070095494A KR 20070095494 A KR20070095494 A KR 20070095494A KR 100969281 B1 KR100969281 B1 KR 100969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ocation
video
im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95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0143A (ko
Inventor
최종윤
조정제
김낙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20070095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9281B1/ko
Publication of KR20090030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0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28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체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대체 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대체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체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은, 영상 전송을 수행하는 제1 단말기로부터 제1 미디어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미디어 스트림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 대신 대체 영상이 삽입된 제2 미디어 스트림을 제2 단말기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영상 통화, 대체 영상

Description

대체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substitute image service}
본 발명은 대체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대체 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대체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의 발전에 따라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고품질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보급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영상 통화는 영상 촬영 기능을 갖는 무선 단말기가 사용자의 모습을 촬영하여 생성한 비디오 데이터를 음성을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와 함께 상대 단말기에 전송하여 음성과 영상을 복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통신 서비스이다.
그러나, 영상 통화 서비스는 자신의 현재 모습 및 주변 상황이 상대방에게 공개되기 때문에, 특히 보안이 요구되는 장소에서는 영상 통화 서비스가 아닌 일반 통화 서비스를 이용해야 하거나, 카메라를 다른 곳으로 돌리거나, 전화를 끊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대체 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대체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체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은, 영상 전송을 수행하는 제1 단말기로부터 제1 미디어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미디어 스트림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 대신 대체 영상이 삽입된 제2 미디어 스트림을 제2 단말기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체 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간의 영상 전송을 위한 세션을 형성시키는 통신망; 상기 제1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 및 상기 제1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1 미디어 스트림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 대신 대체 영상이 삽입된 제2 미디어 스트림을 상기 제2 단말기에게 송신하는 미디어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대체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대체 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체 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대체 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이동 통신망(110)과 지능망(130)을 포함한다.
이동 통신망(110)은 발신측 단말기(102a)와 수신측 단말기(102b) 간의 통신 세션을 형성시킬 수 있다. 즉, 이동 통신망(110)은 발신측 단말기(102a)와 수신측 단말기(102b) 사이에서 영상 통화를 위한 미디어 스트림을 중계해 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통신망(110)은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예로서, EVDO rA(Evolution Data Only revision A)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으며,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동 통신망(110)은, 단말기(102)와 무선 구간으로 연결되어 단말기(102)를 제어하고 통화 채널을 연결시켜 주는 기지국(112)과, 여러 대의 기지국(112)들을 관리하면서 교환기(116)와 연동하는 기지국 제어기(114)와, 이동 통신망(110)의 핵심 망 요소로서, 음성 통화 및 각종 부가 서비스를 제어하고, 통화로를 설정하며, 여러 다른 장비들 및 외부 망과의 연결 기능을 제공하는 교환기(116)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이동 통신망(110)이 EVDO rA 방식의 통신망이면, 기지국(112), 기지국 제어기(114), 및 교환기(116)는 각각 BTS(Base station Tranceiver Subsystem), BSC(Base Station Controller), 및 동기식 MSC(Mobile Switching Center)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동 통신망(110)이 WCDMA 방식의 통신망이면 기지국(112), 기지국 제어기(114), 및 교환기(116)는 각각 노드 B(Node B), RNC(Radio Network Controlloer), 및 비동기식 MSC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망(110)은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118)와, 방문자 위치 등록기(Visitor Location Register; VLR)(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홈 위치 등록기(118)는 단말기(102)의 전화번호, 단말기 가입자 혹은 단말기(102)의 식별번호, 인적 정보, 서비스 종류, 인증 정보 등의 고정 정보와 현재의 동적인 단말기(102)의 위치 정보(현재 위치한 곳의 VLR 주소, 교환기(116) 주소 등)를 저장하는 시스템으로서, 홈 위치 등록기(118)는 교환기(116)에 설치되거나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다. 단말기(102)는 전원을 켜는 순간부터 지속적으로 자신의 홈 위치 등록기(118)에게 자신의 현재 위치("어느 기지국(112), 교환기(116) 밑에 있다" 등)를 등록한다. 홈 위치 등록기(118)에 저장된 단말기(102)의 현재 위치 정보는 교환기(116)에 의해 입수되고, 입수된 단말기(102)의 현재 위치 정보에 따라 단말기(102) 가입자에 대한 착신을 가능하게 한다. 방문자 위치 등록기는 교환기(116)의 관할 영역으로 들어오는 단말기(102)의 위치 정보를 등록 및 관리하며, 새로 획득한 단말기(102)의 위치 정보를 홈 위치 등록기(118)로 통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방문자 위치 등록기는 홈 위치 등록기(118)로부터 수신한 단말기(102)의 프로파일(Profile) 정보의 복사본을 넘겨 받아 관리하면서, 단말기(102)의 위치 제어, 호 처리, 부가 서비스 처리 등에 활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프로파일 정보는 단말기(102)의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ESN(Electrical Serial Number), 부가 서비스 정보 등을 말한다.
이러한 이동 통신망(110)은 위치 확인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 확인부(120)는 대체 영상이 사용되도록 선택된 위치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대체 영상이 사용되도록 선택된 위치 정보는 단말기 가입자에 의해 사전에 선택해 둔 위치 정보일 수 있으며, 일례로 보안이 필요한 회사, 집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대체 영상이 사용되도록 선택된 위치 정보는 단말기 가입자에 의해 사전에 선택해 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기 가입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사업자(예를 들면, KTF와 같은 보안 유지가 필요한 사업자)나 기관(예를 들면, 군부대) 등에서 사전에 선택해 둔 위치 정보일 수도 있다.
위치 확인부(120)는 단말기(102)의 현재 위치 정보와 대체 영상이 사용되도록 선택된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단말기(102)의 현재 위치 정보가 대체 영상이 필요한 위치 정보인지를 판단한다. 위치 확인부(120)는 단말기(102)의 현재 위치 정보가 대체 영상이 필요한 위치 정보인 것으로 판단되면, 미디어 처리 서버(132)를 통해 대체 영상을 제공하도록 한다.
이러한 위치 확인부(120)는 홈 위치 등록기(118) 혹은 방문자 위치 등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확인부(120)가 홈 위치 등록기(118) 혹은 방문자 위치 등록기를 포함하는 경우, 홈 위치 등록기(118) 혹은 방문자 위치 등록기는 단말기(102)의 현재 위치 정보와 대체 영상이 사용되도록 선택된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그 판단 결과를 교환기(116)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홈 위치 등록기(118) 혹은 방문자 위치 등록기가 교환기(116)와 함께 있는 경우 교환기(116)에서 미리 자신의 영역 하에 대해 대체 영상이 사용되도록 선택된 위치가 존재하는지 기록해 둘 수도 있다.
또한, 위치 확인부(120)는 후술할 지능망(130)의 미디어 처리 서버(132)에 그 기능이 구현되도록 구성하거나, 지능망(130)에 별도의 장치로 구성할 수도 있 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위치 확인부(120)는 단말기(102) 자체 내에 구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기(102) 내에 대체 영상이 사용되도록 선택된 위치 정보가 저장되며, 단말기(102)에서 영상 통화를 시도할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단말 제어 필드값을 확인하여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가 대체 영상이 필요한 위치 정보인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가 대체 영상이 필요한 위치 정보인 경우, 교환기(116)를 통해 미디어 처리 서버(132)로 대체 영상을 요청하도록 한다.
지능망(130)(Intelligent Network)은 교환기(116)의 소프트웨어 변경 없이 새로운 서비스를 이동 통신망(110)에 적용할 수 있는 망 환경을 의미한다. 이러한 지능망(130)은 미디어 처리 서버(132)를 포함한다.
미디어 처리 서버(132)는 단말기(102)가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단말기(102)로부터 전송되는 미디어 스트림을 처리한다. 본 발명에서, 미디어 스트림을 처리한다는 것은 영상 통화가 가능하도록 단말기(102) 간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중계한다는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림은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통화를 가정한다면 미디어 스트림이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디어 처리 서버(132)는 대체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단말기(102)로부터 전송된 미디어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를 가입자 혹은 사업자나 기관 등에서 사전에 선택해 둔 대체 영상으로 대체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발신측 단말 기(102a)와 수신측 단말기(102b) 간의 영상 통화시 대체 영상 서비스가 필요하면, 발신측 단말기(102a) 또는 수신측 단말기(102b)가 전송한 미디어 스트림은 이동 통신망(110)을 거쳐 지능망(130)으로 전달되며, 지능망(130)의 미디어 처리 서버(132)에 의해 처리된 후 다시 이동 통신망(110)을 거쳐서 수신측 단말기(102b) 또는 발신측 단말기(102a)에게 전달될 수 있다.
대체 영상은 정지 영상일 수도 있고, 동영상일 수도 있다. 대체 영상은 미디어 처리 서버(132) 또는 미디어 처리 서버(132)와 연동 가능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비디오 데이터 중에서 대체 영상 서비스 가입자 혹은 사업자나 기관 등에 의해 사전에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미디어 처리 서버(132)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입자 혹은 사업자나 기관 등에서 사전에 선택해 둔 대체 영상과 가입자 정보를 매핑해 둔 정보 테이블을 관리할 수 있다.
[표 1]
가입자 정보 대체 영상
가입자A 1930.avi
가입자B 5403.jpg
가입자C 3240.avi
표 1 및 이하의 실시예에서 가입자 정보는 가입자가 사용하는 전화번호, 가입자 ID 등 가입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표 1을 참조하면 가입자A와 가입자C에 대해서는 확장자가 avi인 동영상 파일을 대체 영상으로 선택해 두었고, 가입자B에 대해서는 확장자가 jpg인 정지영상 파일을 대체 영상으로 선택해 두었음을 알 수 있다. 만약, 가입자A가 대체 영상이 사용되도록 선택된 위치에 서 단말기(102)로 영상 통화를 시도할 경우, 미디어 처리 서버(132)는 단말기(102)로부터 전송된 미디어 스트림에서 단말기(102)가 촬영한 비디오 데이터를 제거하고 미디어 스트림 내의 나머지 데이터를 1930.avi로 식별되는 동영상 데이터와 믹싱하여 단말기(102)와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상대 단말기(102)에게 스트리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통화의 상대방에 따라서 대체 영상의 종류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를 위하여 미디어 처리 서버(132)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정보 테이블을 관리할 수 있다.
[표 2]
가입자 정보 영상 통화 상대 대체 영상
가입자A
가입자F 1930.avi
가입자F 이외의 가입자 2041.avi
가입자B 모든 가입자 5403.jpg
표 2를 참조하면 가입자A가 대체 영상이 사용되도록 선택된 위치에서 가입자F와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1930.avi라는 동영상 데이터가 대체 영상으로 사용되고, 가입자A가 대체 영상이 사용되도록 선택된 위치에서 가입자F를 제외한 나머지 가입자와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2041.avi라는 동영상 데이터가 대체 영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가입자B가 대체 영상이 사용되도록 선택된 위치에서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통화 상대에 관계없이 5403.jpg라는 정지영상 데이터가 대체 영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102) 가입자의 위치에 따라서 대체 영상의 종류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를 위하여 미디어 처리 서 버(132)는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정보 테이블을 관리할 수 있다.
[표 3]
가입자 정보 가입자 위치 대체 영상
가입자A
회사 1930.avi
2041.avi
가입자B 회사 5403.jpg
표 3을 참조하면, 가입자A가 회사에서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1930.avi라는 동영상 데이터가 대체 영상으로 사용되고, 가입자A가 집에서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2041.avi라는 동영상 데이터가 대체 영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가입자B가 회사에서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5403.jpg라는 정지영상 데이터가 대체 영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표 1 내지 표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대체 영상 서비스의 실시예 중 둘 이상을 조합한 실시예도 구현 가능하다. 또한, 표 1 내지 표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 유사하거나 이를 응용한 다른 유형의 실시예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대체 영상 서비스를 담당하는 미디어 처리 서버(132)는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 AS, 도시하지 않음)와 MRF(Multimedia Resource Func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S는 서비스 로직을 보유하며, 가입자에게 제공할 서비스 유형을 관리할 수 있다. MRF는 AS와 연동하여 미디어 데이터를 직접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미디어 처리 서버(132)는 동일한 대체 영상이라도 네트워크 상태, 발신자 혹은 착신자의 회선 상태에 따라 화질을 조절하여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 다. 이를 위해, 미디어 처리 서버(132)는 네트워크 상태, 발신자 혹은 착신자의 회선 상태를 감지하는 구성과, 감지된 네트워크 상태, 발신자 혹은 착신자의 회신 상태에 따라 화질을 조절하는 구성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대체 영상이 사용되도록 선택된 위치에서 영상 통화가 개시될 때부터 영상 통화가 종료될 때까지 대체 영상 서비스가 지속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단말기(102)의 요청에 따라서 미디어 처리 서버(132)는 대체 영상 서비스를 중지하거나 개시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체 영상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발신측 단말기(102a)에서 호가 발신되면(S200), 교환기(116)는 발신된 호가 영상 호인가를 판단한다(S202). 본 발명에서는 영상 호인 경우에 의미가 있으므로 영상 호가 아닌 경우에 대해서는 그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교환기(116)는 발신된 호가 영상 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위치 확인부(120)에게 대체 영상이 필요한지를 질의한다(S204). 이 때, 교환기(116)는 발신 위치 정보와 발신 번호 정보를 위치 확인부(120)로 전송한다. 여기서, 발신 번호 정보는 IMS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 MSISDN(Mobile Station International ISDN Number),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중 어느 하나 혹은 그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치 확인부(120)는 교환기(116)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바탕으로 발신측 단말기(102a)의 위치 정보가 대체 영상이 필요한 위치 정보인가를 판단한다(S206). 그 리고, 위치 확인부(120)는 판단 결과를 교환기(116)로 송신한다(S208).
발신측 단말기(102a)의 위치 정보가 대체 영상이 필요한 위치 정보이면, 교환기(116)는 미디어 처리 서버(132)에게 대체 영상 서비스를 요청한다(S210).
대체 영상 서비스가 요청되면, 미디어 처리 서버(132)는 저장된 대체 영상을 검색한다. 대체 영상 검색시 발신측 단말기(102a)의 가입자 정보가 이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디어 처리 서버(132)가 표 1 내지 표 3을 통해 나타낸 바와 같은 정보 테이블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후, 발신측 단말기(102a)로부터 미디어 스트림이 전송되면, 미디어 처리 서버(132)는 미디어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에서 검색한 대체 영상으로 대체할 수 있다(S212). 이 때, 미디어 처리 서버(132)는 교환기(116)를 통해 발신측 단말기(102a)로 대체 영상이 사용되고 있음을 통보할 수 있다(S214, S216). 과정 S212에서 미디어 처리 서버(132)는 미디어 스트림에서 비디오 데이터를 분리하고, 대체 영상을 미디어 스트림에 삽입할 수 있다. 대체 영상을 미디어 스트림에 삽입한다는 것은 미디어 스트림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나 텍스트 데이터를 대체 영상과 믹싱한다는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처리 서버(132)는 대체 영상을 포함하는 미디어 스트림을 출력한다. 이렇게 출력되는 미디어 스트림은 발신측 단말기(102a)와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수신측 단말기(102b)에게 전송될 수 있다.
도 2는 발신측 단말기(102a)가 대체 영상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동일한 과정에 의해 수신측 단말기(102b)도 대체 영상 서비스를 이 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체 영상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위치 확인부(120)가 단말기(102) 자체에 포함되도록 구성된 경우에 대한 것이다.
발신측 단말기(102a)에서 영상 호를 시도하면(S300), 발신측 단말기(102a) 자체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단말 제어 필드값을 확인하여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가 대체 영상이 필요한 위치 정보인지를 판단한다(S302). 판단 결과,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가 대체 영상이 필요한 위치 정보인 경우, 교환기(116)를 거쳐 미디어 처리 서버(132)로 대체 영상을 요청하도록 한다(S304, S306).
대체 영상 서비스가 요청되면, 미디어 처리 서버(132)는 저장된 대체 영상을 검색한다.
그 후, 발신측 단말기(102a)로부터 미디어 스트림이 전송되면, 미디어 처리 서버(132)는 미디어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에서 검색한 대체 영상으로 대체할 수 있다(S308). 이 때, 미디어 처리 서버(132)는 교환기(116)를 통해 발신측 단말기(102a)로 대체 영상이 사용되고 있음을 통보할 수 있다(S310, S312).
한편, 발신측 단말기(102a)의 현재 위치가 대체 영상이 사용되도록 선택된 위치가 아니면, 수신측 단말기(102b)와 일반적인 영상 통화를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지능망(130) 내의 미디어 처리 서버(132)에서 대체 영상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술하였으나, 단말기(102a) 자체에 대체 영상을 저장하고, 저장된 대체 영상을 단말기(102a)의 위치에 따라 수신측 단말기(102b)로 송신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대체 영상 서비스에 대해 과금을 할 지 여부는 망 관리자의 선택 사항이 될 것이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위치 확인부(120)가 홈 위치 등록기(118) 또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에 의해 단말기(102)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는 것으로 상술하였으나, 위치 확인부(12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을 이용하여 단말기(102)의 현재 위치를 추적하는 GPS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영상 통화를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영상 메일 등 기타 다른 영상 전송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대체 영상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체 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체 영상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체 영상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2 : 단말기 110 : 이동 통신망
112 : 기지국 114 : 기지국 제어기
116 : 교환기 118 : 홈 위치 등록기
120 : 위치 확인부 130 : 지능망
132 : 미디어 처리 서버

Claims (11)

  1. 미디어 처리 서버가 영상 전송을 수행하는 제1 단말기로부터 제1 미디어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위치 확인부가 대체 영상이 사용되도록 선택된 위치 정보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단말 제어 필드값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1 단말기의 위치가 대체 영상이 필요한 위치 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미디어 처리 서버가 상기 제1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미디어 스트림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 대신 대체 영상이 삽입된 제2 미디어 스트림을 제2 단말기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상기 대체 영상이 사용되도록 선택된 위치 정보는 단말기 가입자에 의해 선택되어 상기 제 1단말기 내에 저장되며,
    상기 위치 확인부는 상기 제 1 단말기 내에 구성되는, 대체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영상이 사용되도록 선택된 위치 정보를 미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위치가 상기 대체 영상이 사용되도록 선택된 위치 정보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미디어 스트림을 상기 제2 단말기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체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영상은,
    상기 제1 단말기의 소유자 정보와 상기 대체 영상을 매핑한 정보 테이블에 의해 관리되는, 대체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영상은,
    상기 제1 단말기의 소유자 정보와, 상기 제2 단말기의 소유자 정보별 대체 영상을 매핑한 정보 테이블에 의해 관리되는, 대체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영상은,
    상기 제1 단말기의 소유자 정보와, 상기 제1 단말기의 위치별 대체 영상을 매핑한 정보 테이블에 의해 관리되는, 대체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영상은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인, 대체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간의 영상 전송을 위한 세션을 형성시키는 통신망;
    상기 제1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 및
    상기 제1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1 미디어 스트림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 대신 대체 영상이 삽입된 제2 미디어 스트림을 상기 제2 단말기에게 송신하는 미디어 처리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대체 영상이 사용되도록 선택된 위치 정보는 단말기 가입자에 의해 선택되어 상기 제1 단말기 내에 저장되며,
    상기 위치 확인부는 상기 제1 단말기 내에 구성되고, 상기 대체 영상이 사용되도록 선택된 위치 정보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단말 제어 필드값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1 단말기의 위치가 대체 영상이 필요한 위치 인지를 확인하는, 대체 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확인부는 상기 대체 영상이 사용되도록 선택된 위치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제1 단말기의 위치가 상기 대체 영상이 사용되도록 선택된 위치 정보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미디어 처리 서버를 통해 상기 제2 미디어 스트림을 상기 제2 단말기에게 송신하도록 하는, 대체 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영상은,
    상기 제1 단말기의 소유자 정보와 상기 대체 영상을 매핑한 정보 테이블에 의해 관리되는, 대체 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영상은,
    상기 제1 단말기의 소유자 정보와, 상기 제2 단말기의 소유자 정보별 대체 영상을 매핑한 정보 테이블에 의해 관리되는, 대체 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영상은,
    상기 제1 단말기의 소유자 정보와, 상기 제1 단말기의 위치별 대체 영상을 매핑한 정보 테이블에 의해 관리되는, 대체 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070095494A 2007-09-19 2007-09-19 대체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969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95494A KR100969281B1 (ko) 2007-09-19 2007-09-19 대체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95494A KR100969281B1 (ko) 2007-09-19 2007-09-19 대체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143A KR20090030143A (ko) 2009-03-24
KR100969281B1 true KR100969281B1 (ko) 2010-07-09

Family

ID=40696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95494A KR100969281B1 (ko) 2007-09-19 2007-09-19 대체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928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0375A (ko) * 2001-01-10 2002-07-18 구자홍 화상통화 가능한 무선 이동 단말기의 배경화면 절환 방법
KR20040079459A (ko) * 2003-03-07 2004-09-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화상전화 단말기의 배경화면 변환 방법
KR20050019263A (ko) * 2003-08-18 2005-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화상 전송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방법 및시스템
KR20070076645A (ko) * 2006-01-19 2007-07-25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사용 제한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0375A (ko) * 2001-01-10 2002-07-18 구자홍 화상통화 가능한 무선 이동 단말기의 배경화면 절환 방법
KR20040079459A (ko) * 2003-03-07 2004-09-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화상전화 단말기의 배경화면 변환 방법
KR20050019263A (ko) * 2003-08-18 2005-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화상 전송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방법 및시스템
KR20070076645A (ko) * 2006-01-19 2007-07-25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사용 제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143A (ko) 2009-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0451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acket-switched telephony
KR101110722B1 (ko) 통신 네트워크의 복합 서비스의 활성화 방법
CN102057726B (zh) 处理移动设备到受限制区域的漫游的方法
TWI411287B (zh) 共享多媒體能力分配之方法
US2008000202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a video cal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100081432A1 (en) Locally providing core-network services
KR100969281B1 (ko) 대체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8868054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storing transferred mobile terminal by mobile transfer service
KR100627788B1 (ko) 3g 324m 화상 전화를 이용한 영상 사서함 제공 시스템 및방법
KR10100218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 번호 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US7590407B1 (en) Method and device for carrying out security procedures involving mobile stations in hybrid cellular telecommunication systems
KR101495222B1 (ko) 교환기 경계 지역에서의 호 설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995477B1 (ko) 식별번호 통합 환경에서의 발신 지역명 표시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KR100815559B1 (ko) 멀티 페이징에 의한 음성호 로밍 방법 및 시스템
EP3035627A1 (en) Method of providing coverage extension to an existing mobile network, and corresponding system.
KR20100068692A (ko) Imsi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368595B1 (ko) 메시지 사서함 직접 억세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93034A (ko) 상대방과 동시 통화 시 통화연결 방법
KR100784217B1 (ko)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821201B1 (ko) 교환장치에서의 인증 방법 및 그 교환장치
KR100836259B1 (ko)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40109975A (ko) 번호 이동성 도입에 따른 acq/qor 혼용 수용 방법및 시스템
KR100887751B1 (ko) Wcdma 사설 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10060989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폐쇄사용자그룹 서비스 제공방법
KR100822618B1 (ko) 발신자에게 착신자의 주변 동영상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