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0167B1 - 무선 네트워크에 있어서 공급자 서비스 이용가능성의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네트워크에 있어서 공급자 서비스 이용가능성의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0167B1
KR100630167B1 KR1020050036140A KR20050036140A KR100630167B1 KR 100630167 B1 KR100630167 B1 KR 100630167B1 KR 1020050036140 A KR1020050036140 A KR 1020050036140A KR 20050036140 A KR20050036140 A KR 20050036140A KR 100630167 B1 KR100630167 B1 KR 100630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out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provider service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6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7647A (ko
Inventor
제이슨 알. 킨케이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47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7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0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0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04W48/04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based on user or terminal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moving direction, sp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04W12/082Access security using revocation of author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하나 또는 다수의 블랙아웃 영역들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공급자 서비스의 이용가능성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공급자 서비스에 대한 요구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공급자 서비스에 대한 블랙아웃 영역들 중의 하나의 범위 내에 있는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블랙아웃 영역들 중의 하나의 범위 내에 있을 때 그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요구된 공급자 서비스가 무력화(차단)된다.
무선 네트워크, 무선통신 장치, 공급자(provider) 서비스, 블랙아웃 영역(blackout zone), 블랙아웃 데이터베이스

Description

무선 네트워크에 있어서 공급자 서비스 이용가능성의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ROVIDER SERVICE AVAILABILITY IN A WIRELESS NETWORK}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자 서비스 이용가능성을 관리하도록 동작하는 무선통신 네트워크의 개념적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들 중의 하나를 예시하는 블록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 및 도 2의 기능 정지(블랙아웃) 데이터베이스의 실현가능한 내용을 예시하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무선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공급자 서비스의 이용가능성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는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 네트워크에 있어서 공급자(provider) 서비스의 이용가능성(availability)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셀룰러 방식의 전화기 및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이용이 점차적으로 널리 확산되고 있다. 셀룰러 방식의 전화기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서 하나의 셀룰러 전화용 무선 네트워크 내에서 셀룰러 전화기들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점점 더 중요하게 되었다. 예를 들면, 어느 호출자가 119와 같은 비상 전화번호를 호출할 때, 해당 셀룰러 전화기가 그 비상 호출의 시점에서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가를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점 때문에 미국 연방 통신 위원회(FCC)는 최근에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의 운용자들에게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 내에서 셀룰러 전화기의 위치를 찾아내는 것이 가능하도록 요구하는 규정들을 공표하였다. 따라서 셀룰러 전화기에 대한 위치확인(locating) 기술은 무선 네트워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었고, 더 많은 관심과 자원이 그러한 기술의 개발에 전적으로 투입되고 있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점에 더하여, 무선 네트워크 공급자(provider)들로부터 셀룰러 전화기의 이용자들에게 제공되는 이용가능한 공급자 서비스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면, 많은 셀룰러 전화기들이 최근에는 사용자가 그 자신의 셀룰러 전화기를 갖고 디지털 이미지를 만들어내서 그것을 전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카메라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특정한 기능은 프라이버시나 보안 문제에 대하여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예를 들면, 셀룰러 전화기에 설치된 카메라의 은밀한 사용을 통해서 지적재산권에 대한 무단 절도나 아니면 다른 형태의 산업스파이 활동을 비교적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관점에서 산업계에 많은 우 려를 끼쳐왔다. 이와 아울러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은밀한 형태의 카메라에 의하여 그들 자신의 프라이버시가 침해당할 가능성에 대하여 우려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방법과 시스템에 따른 단점과 문제점을 거의 제거하거나 또는 경감시킬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 있어서 공급자 서비스의 이용가능성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또는 다수의 기능 정지(blackout) 구역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 있어서 공급자 서비스의 이용가능성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공급자 서비스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 다음, 무선통신 장치가 공급자 서비스에 대한 기능 정지 지역들 중의 하나의 범위 내에 있는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요청된 공급자 서비스는 무선통신 장치가 상기 기능 정지 구역들 중의 하나의 범위 내에 있을 경우 그 무선통신 장치에 대해서는 차단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또는 다수의 기능 정지 구역(blackout zone)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 있어서 공급자 서비스의 이용가능성을 관리하도록 동작이 가능한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것은 기능 정지 구역 데이터베이스와 기능 정지 구역 서버를 구비한다. 상기 기능 정지 구역 데이터베이스는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기능 정지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동작이 가능하다. 상기 기능 정지 서버는 기능 정지 데이터베이스에 연결된다. 상기 기능 정지 서버는 무선 통 신 장치로부터 공급자 서비스를 위한 요청을 수신하도록 동작하고, 해당 무선 통신 장치가 기능 정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기능 정지 데이터에 기초하는 공급자 서비스를 위한 기능 정지 구역들 중의 하나의 범위 내에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동작하고, 또한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한 기능 정지 지역들 중의 하나의 범위 내에 존재할 때 그 무선통신 장치에 대한 요청된 공급자 서비스를 차단(disable)시키도록 동작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로컬 기능 정지(blackout) 데이터베이스 및 기능 정지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무선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로컬 기능 정지 데이터베이스는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기능 정지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동작한다. 상기 기능 정지 컨트롤러는 무선통신 장치로부터 공급자 서비스에 대한 요청(request)을 수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로컬 기능 정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기능 정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공급자 서비스에 대한 기능 정지 지역들 중의 하나의 범위에 있는지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기능 정지 지역들 중의 하나의 범위 내에 존재할 때 그 무선통신 장치에 대한 요청된 공급자 서비스를 차단시키도록 동작한다.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시작하기 전에 본 특허출원서의 전체에 걸쳐서 사용된 임의의 단어 또는 용어들에 대한 정의를 내리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를 들면, “~을 포함한다(include)” 또는 “구비한다”라는 용어 또는 그들의 파생어(derivative)들은 제한 없이 포함함을 의미하고, “또는”이라는 용어는 포괄적인, "and/or"를 의미하고; “~에 관련(연관)되는”이라는 용어 또는 그들의 파생어는 “~을 포함한다, ~에 포함된다, ~과 서로 연결된다, 함유한다, ~에 내포된다, ~에 연결된다, ~에 결합된다, ~과 통한다, ~과 협동한다, ~을 번갈아 포개다(interleave), ~을 나란히 놓다(juxtapose), ~에 근접한, ~에 구속되는(bound), 갖는다, ~의 속성을 갖는다”라는 표현, 또는 그와 유사한 표현들을 총괄적으로 의미한다. 또한 "제어기 또는 컨트롤러(controller)"라는 용어는 하나의 장치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적어도 두 개의 조합으로부터의 어떤 것으로 구현되던지 간에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어떤 장치, 시스템 또는 그의 일부분을 의미한다. 임의의 특정한 컨트롤러는 로컬 또는 원격으로 중앙화 또는 분산화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임의의 단어 및 용어들에 대한 정의가 본 특허출원서의 전체에 걸쳐서 제공될 것이며, 당해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그러한 정의가 많은 경우(대부분은 아닐지라도) 종래의 기술뿐만 아니라 미래의 이용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 이점 및 특징들은 첨부한 도면들과 함께 아래와 같은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 중, 동일한 참조기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후술하는 도 1 내지 도 4와 본 출원에서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여러 가지의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방식으로 주어지는 것이며, 발명의 영역을 제한하는 어떤 방식으로도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당해 기술 분야의 전 문가라면 본 발명의 원리는 어떠한 다른 적절한 구성의 무선 네트워크에서도 구현될 수가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자 서비스 이용가능성을 관리하도록 동작하는 무선통신 네트워크의 개념적 블록도이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다수의 셀 사이트들(102-104)을 포함하고, 각각의 셀 사이트(102-104)는 기지국(BS)(106-108)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각각의”라는 용어는 식별된 항목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셋(subset)의 모두를 하나씩 의미한다.
각각의 기지국(106-108)은 다수의 무선통신 장치들(WC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110-113)과 통신하도록 동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106-108)들은 IS-2000-C 표준(즉, CDMA2000의 릴리스 C)에 따라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채널들 상으로 무선 통신 장치들(110-113)과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각의 무선 통신 장치들(110-113)은 셀룰러 폰과 같은 이동 무선 장치, PCS 핸드셋, 개인 디지털 단말(PDA), 휴대용(portable) 컴퓨터, 원격측정(telemetry) 장치,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을 포함하거나, 또는 고정된 무선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링크들을 통해 상기 기지국들(106-108) 중의 하나와 통신하는 것이 가능한 기타의 적절한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무선 통신 장치(110-113)는 무선 네트워크(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무선 통신 장치(110-113)는 그 자신의 위치 식별이 가능할 수도 있고, 기지국(106-108)들은 각각의 무선 통신 장치(110-113)의 위치를 알아낼 수가 있으며, 또는 어떤 무선 통신 장치들(110-113)은 그들 자신의 위치를 알아낼 수가 있는데, 반면에 다른 것들은 기지국들(106-108)에 의해 위치가 식별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기지국(106-108) 대신에, 또는 그에 추가하여, 무선 네트워크(100)의 다른 적절한 구성요소들이 무선 통신 장치들(110-113)의 위치를 찾도록 동작이 가능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장치(110-113)의 위치를 식별하는 것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삼각 측량법(triangulation)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위치확인(locating) 방법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가 있다.
점선으로 된 부분은 기지국(106-108)들이 배치되어 있는 셀 사이트들(102-104)의 대략적인 경계영역을 지시하고 있다. 상기한 셀 사이트들 (102-104)은 예시와 설명의 목적상 대체적으로 원형으로 도시된다. 셀 사이트(102-104)들은 선택된 셀 구성과 자연 및 인공적인 방해물에 따라서 다른 불규칙적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상기한 셀 사이트들(102-104)은 다수의 섹터들(미도시)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기지국(106-108)에 결합된 방향성(directional) 안테나는 각 섹터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에 예시된 실시예는 셀 사이트(102-104)의 중심에 기지국들(106-108)을 예시하고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방향성 안테나들이 섹터들의 구석부분에 또는 임의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어떤 특정한 셀 사이트의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셀 사이트(102-104)들은 또한 공급자 서비스가 차단될 수가 있는 하나 또는 다수의 통신기능 정지 영역들(이하 “블랙아웃 영역(blackout zone: BZ)”이라 칭 함)을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것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통신기능 정지 영역은 블랙아웃 영역들(114, 116)과 같이 하나의 셀 사이트(102-104) 내에 존재하거나, 또는 블랙아웃 영역(115)과 같이 복수의 셀 사이트들(102-104) 내에 존재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한 블랙아웃 영역들(114-116)은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하여 대략적으로 사각형 모양으로 도시된다. 상기한 블랙아웃 영역들(114-116)은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불규칙적이거나 또는 다른 적절한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또한 블랙아웃(blackout) 서버(118)와 그에 연결되는 블랙아웃 데이터베이스(119)를 포함한다. 상기 블랙아웃 서버(118)는 무선 네트워크(100)에서의 공급자 서비스의 이용가능성을 관리하도록 동작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랙아웃 서버(118)는 무선 통신 장치(110-113)의 위치에 입각하여 상기 무선 네트워크(100) 내에서 무선 통신 장치(110-113)를 위한 카메라 기능을 작동(enabling)시키거나 차단(disabling)함으로써 카메라 서비스의 이용가능성을 관리하도록 동작이 가능하다. 게다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르면, 하나 또는 다수의 공급자 서비스들은 블랙아웃 서버(118)에 대한 접속이 이용가능하지 않을 때에는 디폴트로 차단될 수도 있다.
블랙아웃 서버(118)는 무선 통신 장치들(110-113)을 위한 지원을 함으로써 직간접적으로 공급자 서비스 이용가능성을 관리할 수도 있다. 도 2와 관련하여 더 상세하게 기술되는 이러한 간접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들(110-113)은 블랙아웃 서버(118)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110-113)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공급자 서비스의 이용가능성을 관리하도록 동작이 가능하다.
상기 블랙아웃 데이터베이스(119)는 블랙아웃 서버(118)를 위한 블랙아웃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동작되는 임의의 적절한 데이터 저장장치를 구비한다. 도 3a 및 도 3b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기술되듯이, 상기 블랙아웃 데이터는 블랙아웃 구역들(114-116)을 식별하는 데이터, 차단(무력화)된 서비스들을 식별하는 데이터, 최우선권(override privilege)을 갖는 무선 통신 장치들(110-113)을 식별하는 데이터, 및/또는 블랙아웃 서버(118)에 유용한 어떤 다른 적절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블랙아웃 서버(118)는 하나 또는 다수의 서버들을 구비하고, 블랙아웃 데이터베이스(119)는 하나 또는 다수의 데이터베이스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추가적으로, 블랙아웃 서버(118)와 블랙아웃 데이터베이스(119)는 본 발명의 영역을 벗어남이 없이 기지국(106-108) 범위 내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110) 내에서, 또는 어떤 다른 적절한 장소 내에서, 어느 곳에서든지 구현될 수가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랙아웃 서버(118)는 소정의 기록매체에 인코딩 된 논리장치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논리장치는 프로그램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명령어들을 구비한다.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 디스크 또는 그 밖의 컴퓨터로 읽기가 가능한 기록매체,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회로소자들, 필드-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디지털 신호처리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 기타 적절한 범용 또는 특정 목적의 프로세서 장치들, 전송 매체 또는 소정의 논리(logic)가 부호화되어 이용되는 다른 적절한 기록 매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기지국(106-108)은 기지국 컨트롤러(base station controller)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송수신기 서브시스템을 포함한다. 기지국 제어기는 무선 네트워크(100) 내에서 특정한 셀들(102-104)을 위한, 기지국 송수신기 서브시스템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자원들을 관리하도록 동작이 가능하다. 상기 기지국 송수신기 서브시스템은 무선주파수(RF) 송수신기, 안테나, 및 각각의 셀 사이트(102-104)에 위치한 다른 전기적 장치를 포함한다. 이 장치는 공기조절장치(냉난방 장치), 가열장치, 전원 공급장치, 전화선 인터페이스, 및 무선주파수 송신기와 수신기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106-108)들은 통신선로(120)를 통해 공중교환망(PSTN)(미도시)과 이동교환센터(MSC)(130)와 다른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음성 및 데이터 신호들을 전달하도록 동작한다. 상기 기지국들(106-108)은 또한 패킷 데이터와 같은 데이터 신호들을 통신선(120)과 패킷 데이터 서버 노드(PDSN)(140)를 경유하여 인터넷(미도시)으로 또는 인터넷으로부터 전송하도록 하는 동작이 가능하다. 패킷 제어 기능(PCF) 장치(150)는 기지국(106-108)들과 상기 PDSN(140) 간의 데이터 패킷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동작한다. 상기 패킷 제어기능(PCF) 장치(150)는 PDSN(140)의 일부로서, 기지국들(106-108)의 일부로서, 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PDSN(140)과 통신하는 독립형(stand-alone) 장치로서 구현될 수가 있다. 통신 라인(120)은 또한 이동 교 환센터 MSC(130)와 기지국들(106-108) 사이의 음성 및 데이터 회로들을 위한 연결부와, 그리고 기지국들(106-108)을 통해 무선 통신 장치들(110-113)과 블랙아웃 서버(118) 사이의 공급자 서비스의 이용가능성을 관리하기 위한 연결부를 설정하도록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통신 선로(120)는 T1 라인, T3 라인, 광통신 링크, 또는 어떠한 다른 형태의 데이터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연결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통신 선로(120) 상의 상기 연결장치들은 아날로그 음성 신호, 또는 펄스 코드 변조(PCM) 방식,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포맷, 비동기 전송 모드(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방식, 또는 그와 유사한 것에 의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선로(120)는 또한 무선 네트워크(100)의 기지국들(106-108) 사이에 데이터 패킷을 전달하는 IP 연결부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라인(120)은 PDSN(140)을 사용하지 않고도 기지국들(106-108) 사이에 직접적인 IP 접속을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로컬 통신망(LAN)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동교환센터 MSC(130)는 인터넷이나 공중교환망(PSTN)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들과 무선 네트워크(100)의 가입자들 사이에서 서비스와 조정을 행하도록 동작하는 교환 장치이다.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에서는 통신 라인(120)은 여러 개의 다른 데이터 링크들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여기서 각각의 데이터 링크는 기지국들(106-108) 중의 하나를 상기 MSC(130)에 연결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무선 네트워크(100)의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통신 장치 110 및 무선통신 장치 111은 셀 사이트(102)에 위치하여 기지국(106)과 통신하도록 동작한다. 무선 통신 장치 112는 셀 사이트(103)에 위치하여 기지국(107)과 통신하도록 동작한다. 무선 통신 장치 113은 셀 사이트(104)에 위치하여 기지국(108)과 통신하도록 동작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들 중의 하나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여기서 무선 통신 장치(110)가 하나의 예로써 도시되는데 상기 무선 통신 장치(110)에 관하여 예시되고 설명된 요소들은 무선 통신 장치들(111-113)의 일부라는 점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예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 110은 안테나(205), 무선(RF) 송수신기(210), 송신(TX) 프로세싱 회로(215), 수신(RX) 프로세싱 회로(225), 마이크로폰(220), 및 스피커(230)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 장치(110)는 또한 메인 프로세서(240), 입출력(I/O) 인터페이스(IF)(245), 키패드(250), 디스플레이(255), 및 메모리(260)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통신 장치(110)는 또한 카메라(270)를 구비한다.
상기 RF 송수신기(210)는 무선 네트워크(100)의 기지국들(106-108) 중의 하나에 의해 송신된 입력하는 RF 신호를 안테나(205)로부터 수신하도록 동작된다. RF 송수신기(210)는 또한 중간 주파수(IF) 또는 베이스밴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입력하는 RF 신호를 하향 변환하도록 동작이 된다. IF 또는 베이스밴드 신호는 수신기 프로세싱 회로(225)로 전송될 수 있는데, 이것은 베이스밴드 또는 IF 신호를 필터링, 디코딩, 및/또는 디지털화함으로써 처리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생성하도록 동작된다. 수신기 프로세싱 회로(225)는 또한 스피커(230)에 처리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전송하거나(예를 들면, 처리된 베이스밴드 신호가 음성 데이터를 포함할 경우) 또는 후속 처리를 위해 메인 프로세서(240)에 전송하도록(예를 들면, 처리된 베이스밴드 신호가 웹 브라우징에 관한 것일 경우) 동작이 이루어진다.
송신기 프로세싱 회로(215)는 마이크로폰(220)으로부터의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 또는 메인 프로세서(240)로부터의 다른 출력 베이스밴드 데이터(예를 들면, 웹 데이터, 이메일, 상호동작(interactive)형 비디오 게임 데이터 및 그와 유사한 것들)를 수신하도록 동작한다. 상기 송신기 프로세싱 회로(215)는 또한 출력 베이스밴드 데이터를 부호화, 다중화 및/또는 디지털화하여 소정의 처리된 베이스밴드 또는 IF 신호를 생성하도록 동작이 가능하다. 상기 RF 송수신기(210)는 송신기 프로세싱 회로(215)로부터 상기 처리된 출력 베이스밴드 또는 IF 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한다. 상기 RF 송수신기(210)는 또한 안테나(205)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는 무선주파수 신호로 상기한 베이스밴드 또는 IF 신호를 상향 변환하도록 동작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프로세서(24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메모리(260)는 메인 프로세서(240)에 연결되는데,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또는 독출 전용 메모리(ROM)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메인 프로세서(240)는 무선 통신 장치(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메모리(260)에 저장된 기본적인 오퍼레이팅 시스템 프로그램(275)을 실행하도록 동작한다.
전술한 동작에 따라서, 메인 프로세서(240)는 RF 송수신기(210), 수신기 프로세싱 회로(225) 및 송신기 프로세싱 회로(215)에 의해 상향(forward) 채널 신호의 수신과 하향(reverse) 채널 신호의 송신을 제어한다. 상기 메인 프로세서(240)는 또한 메모리(260)에 상주하는 다른 프로세스들과 프로그램들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메인 프로세서(240)는 실행과정에 의해 요구되는 대로 메모리(260)로 또는 그로부터 데이터를 이동시킬 수가 있다.
메인 프로세서(240)는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245)에 접속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45)는 랩탑 컴퓨터와 같은 다른 장치들, 휴대용 컴퓨터들 및 그와 유사한 것들에 연결되는 기능을 무선 통신 장치(110)에 제공하도록 동작한다.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245)는 이러한 주변장치들과 메인 컨트롤러(240) 간의 통신 통로를 제공한다.
메인 프로세서(240)는 또한 키패드(250)와 디스플레이 장치(255)에 연결된다. 무선 통신 장치(110)의 조작자는 무선 통신 장치(110)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하여 키패드(250)를 사용해도 좋다. 디스플레이 장치(255)는 소정의 웹사이트로부터 텍스트 및/또는 그래픽을 제공할 수 있는 액정 표시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부가적인 실시예들에서는 다른 형태의 표시장치들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메인 프로세서(240)는 또한 카메라(27)에 접속된다. 카메라(270)는 디지털 이미지를 포착하고, 그들을 메인 프로세서(240)에 제공함으로써 메모리(260)에 저장하는 것과 같은 부가적인 과정, 송신기 프로세싱 회로(215)와 RF 송수신기 (210)를 통해 안테나를 거쳐 송신하는 과정, 및/또는 임의의 다른 과정을 위하여 사용되도록 동작한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270)는 무선 통신 장치(11)가 블랙아웃 영역들(114-116) 중의 하나에 존재할 때 차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260)는 블랙아웃 컨트롤러 프로그램(280)과 로컬 블랙아웃 데이터베이스(285)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대해서는 상기 블랙아웃 컨트롤러(280)는 블랙아웃 서버(118)에 의해 제공되고 로컬 블랙아웃 데이터베이스(285)에 저장된 데이터에 입각하여 공급자 서비스의 이용가능성을 관리하도록 동작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랙아웃 컨트롤러(280)는 무선 통신 장치(110)의 위치에 근거하여 무선 통신 장치(110)를 위한 카메라(270)를 동작(enabling)시키거나 또는 차단(disabling)시킴으로써 카메라 서비스의 이용가능성을 관리하도록 동작된다.
로컬 블랙아웃 데이터베이스(285)는 블랙아웃 컨트롤러(280)를 위하여 블랙아웃 서버(118)로부터 수신된 블랙아웃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동작된다. 도 3a 및 3b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블랙아웃 데이터는 블랙아웃 영역들(114-116)을 식별하는 데이터, 차단(무력화)된 서비스를 식별하는 데이터, 무선 통신 장치(110)가 최우선권을 보유하는지 아닌지를 식별하는 데이터, 및/또는 블랙아웃 컨트롤러(280)에 유용한 다른 적절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컬 블랙아웃 데이터베이스(285)는 블랙아웃 데이터베이스(119)에 저장된 블랙아웃 데이터의 사본을 저장하여도 좋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로컬 블랙아웃 데이터베이스(285)는 무선 통신 장치(110)가 통신 중인 커버리지 영역에 기초하여 그리고/또는 어떤 다른 적절한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한 블랙아웃 데이터베이스(119)에 저장된 블랙아웃 데이터의 일부를 저장할 수도 있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 및 도 2의 기능 정지(블랙아웃) 데이터베이스의 실현가능한 내용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여기서는 표(테이블) 300으로 예시되었지만, 블랙아웃 데이터베이스(119) 및/또는 로컬 블랙아웃 데이터베이스(285)의 내용은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임의의 다른 적절한 형식으로 저장될 수도 있다.
도 3a는 영역 칼럼 302, 블랙아웃 칼럼 304, 선택적인 서비스 차단 칼럼 306, 및 선택적인 최우선 식별자(optional override identifier) 칼럼 308을 포함하는 하나의 블랙아웃 테이블 300a를 나타낸다. 영역 칼럼(302)은 하나 또는 다수의 셀 사이트들(102-104) 또는 무선 네트워크(100)의 임의의 다른 미리 정의된 영역을 구성하는 다수의 영역들을 식별하도록 동작한다. 블랙아웃 칼럼(304)은 해당되는 영역 칼럼들(302)에서 식별된 영역들 중의 어느 것이 블랙아웃 영역들(114-116)인지를 식별하도록 동작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랙아웃 칼럼(304)에서 1의 값은 하나의 블랙아웃 영역(114-116)을 식별하고 블랙아웃 칼럼(304)에서 0의 값은 블랙아웃 영역(114-116)이 아닌 하나의 영역을 식별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랙아웃 서버(118) 또는 블랙아웃 컨트롤러(280)는 영역 칼럼(302)의 일정한 영역에 대하여 블랙아웃 테이블 300a를 서치하고 그 다음 해당하는 블랙아웃 칼럼(304)에 있는 데이터를 읽음으로써 하나의 블랙아웃 영역(114-116)을 식별 할 수가 있다.
예시된 실시예가 증량성(incremental) 수치 값들을 갖는 영역 칼럼(302)에서의 영역들을 식별할지라도 상기 영역 칼럼(302)은 본 발명의 영역을 이탈함이 없이 어떤 다른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영역들을 식별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상기 예시된 실시예가 1의 값을 갖는 블랙아웃 칼럼(304)에서의 블랙아웃 영역들(114-116)을 식별할지라도 상기 블랙아웃 칼럼(304)은 본 발명의 영역을 이탈함이 없이 어떤 다른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0의 값을 갖는 블랙아웃 영역들(114-116)을 식별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선택적으로 무력화된(disabled) 서비스 칼럼(306)은 영역 칼럼(302)의 해당 위치에 의해 식별된 블랙아웃 영역(114-116) 내에서 무력화될 수 있는 하나 또는 다수의 공급자 서비스들을 식별하도록 동작한다. 따라서 무력화된 서비스 칼럼(306)은 두 개 이상의 공급자 서비스가 무력화될 수 있는 실시예를 위한 블랙아웃 테이블 300a의 일부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 서비스에 추가하여 비디오 서비스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공급자 서비스가 또한 무력화될 수도 있다. 그러나 단지 하나의 공급자 서비스가 무력화되는 실시예에 대해서는 선택적인 무력화된 서비스 칼럼(306)은 생략되어도 좋다.
선택적인 최우선 식별자 칼럼(308)은, 영역 칼럼(302)의 해당 위치에 의해 식별된 블랙아웃 영역(114-116)에 있어서의 무력화된 서비스 칼럼(306)에서 식별된 공급자 서비스들(또는 무력화된 서비스 칼럼 306이 생략될 경우에는 무력화될 수 있는 하나의 공급자 서비스)을 상기 식별된 무선 통신 장치들(110-113)이 계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최우선권을 갖는 영(zero), 하나 또는 다수의 무선 통신 장치들(110-113)을 식별하도록 동작한다. 어떤 무선 통신 장치들(110-113)에도 최우선권이 허용되지 않을 실시예에 대해서는 상기한 선택적인 최우선 식별자 칼럼(308)이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예시된 실시예는 텍스트로 된 식별자(textual identifier)로써 무력화된(disabled) 서비스 칼럼(306)에서의 무력화된 서비스들을 식별할지라도, 상기 무력화된 서비스 칼럼(306)은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무력화된 서비스들을 식별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부가적으로, 예시된 실시예는 전화번호로써 최우선 식별자 칼럼(308)에 있어서의 최우선권을 갖는 무선 통신 장치들(110-113)을 식별할지라도, 상기 최우선 식별자 칼럼(308)은 본 발명의 영역에서 벗어남이 없이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최우선권을 갖는 무선 통신 장치들(110-113)을 식별할 수도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무선 통신 장치(110-113)들이 공급자 서비스 이용가능성을 관리하도록 동작하는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최우선 식별자 칼럼(308)에 저장된 식별자는 '1' 또는 '0', 'yes' 또는 'no', 'off' 또는 'on', 또는 최우선권(override privilege)을 갖던 아니던 해당하는 무선 통신 장치(110-113)를 식별하도록 동작이 가능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식별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b는 블랙아웃 영역 칼럼(310), 선택적 무력화 서비스 칼럼(312) 및 선택적 최우선 식별자 칼럼(314)을 포함하는 블랙아웃 테이블 300b를 나타낸다. 상기 블랙아웃 영역 칼럼(310)은 위치에 의해 하나 또는 다수의 블랙아웃 영역들(114- 116)을 식별하도록 동작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블랙아웃 영역 칼럼(310)에 제공된 위치들은 블랙아웃 영역들(114-116)의 경계를 형성하는 일정 범위의 위도 및 경도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블랙아웃 영역 칼럼(310)에 제공된 위치들은 각각의 블랙아웃 영역(114-116)의 지리적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블랙아웃 서버(118) 또는 블랙아웃 컨트롤러(280)는 블랙아웃 영역 칼럼(310)에 저장될 수 있는 특정 위치에 대하여 블랙아웃 테이블 300b를 검색함으로써 하나의 블랙아웃 영역(114-116)을 식별할 수도 있다. 만일 상기 위치가 블랙아웃 영역 칼럼(310)에서 발견된다면, 그 위치는 블랙아웃 영역(114-116)의 일부이다. 상기 블랙아웃 영역 칼럼(310)이 경도 및 위도 데이터의 범위들을 포함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블랙아웃 서버(118) 또는 블랙아웃 컨트롤러(280)는 상기 특정 위치가 저장된 범위들 중의 어떤 것의 범위 내에 있는지 아닌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그 특정 위치를 상기 블랙아웃 영역 칼럼(310)에 저장된 범위에 비교할 수도 있다.
상기한 선택적인 무력화된 서비스 칼럼(312)은 블랙아웃 영역 칼럼(310)에 있는 해당하는 위치에 의해 식별된 블랙아웃 영역(114-116) 내에서 무력화될 수 있는 하나 또는 다수의 공급자 서비스들을 식별하도록 동작한다. 따라서 무력화된 서비스 칼럼(312)은 둘 이상의 공급자 서비스가 무력화 될 수도 있는 실시예에 대한 블랙아웃 테이블 300b의 일부로서 제공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카메라 서비스에 부가하여, 비디오 서비스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공급자 서비스가 또한 무력 화되어도 좋다. 그러나 단지 하나의 공급자 서비스가 무력화되는 실시예에 대해서는 상기한 선택적인 무력화된 서비스 칼럼(312)이 생략될 수도 있다.
선택적 최우선 식별자 칼럼(314)은, 블랙아웃 영역 칼럼(310)의 해당 위치에 의해 식별된 블랙아웃 영역(114-116)에 있어서의 무력화된 서비스 칼럼(312)에서 식별된 공급자 서비스들(또는 무력화된 서비스 칼럼 312가 생략될 경우에는 무력화될 수 있는 하나의 공급자 서비스)을 상기 식별된 무선 통신 장치들(110-113)이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최우선 특권을 갖는 영(zero), 하나 또는 다수의 무선 통신 장치들(110-113)을 식별하도록 동작한다. 어떤 무선 통신 장치들(110-113)에도 최우선 특권이 허용되지 않을 실시예에 대해서는 상기한 선택적 최우선 식별자 칼럼(314)이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예시된 실시예는 텍스트로 된 식별자(textual identifier)로써 무력화된 서비스 칼럼(312)에서의 무력화된 서비스들을 식별할지라도, 상기 무력화된 서비스 칼럼(312)은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그러한 무력화된 서비스들을 식별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부가적으로, 예시된 실시예는 전화번호로써 최우선 식별자 칼럼(314)에 있어서의 최우선권을 갖는 무선 통신 장치들(110-113)을 식별할지라도, 상기 최우선 식별자 칼럼(314)은 본 발명의 영역에서 벗어남이 없이도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최우선권을 갖는 무선 통신 장치들(110-113)을 식별할 수도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무선 통신 장치(110-113)들이 공급자 서비스의 이용가능성을 관리하도록 동작하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최우선 식별자 칼럼(314)에 저장된 식별자는 '1' 또 는 '0', 'yes' 또는 'no', 'off' 또는 'on', 또는 최우선 특권을 갖던 아니던 해당하는 무선 통신 장치(110-113)를 식별하도록 동작이 가능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식별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블랙아웃 데이터베이스(119) 또는 로컬 블랙아웃 데이터베이스(285)에 저장된 블랙아웃 데이터는, 하나 또는 다수의 무선 통신 장치들(110-113)을 하나 또는 다수의 서비스들에 대한 최우선권을 갖는 것으로서 식별하는 반면에, 어느 하나의 블랙아웃 영역(114-116)에서의 하나 또는 다수의 다른 서비스들에 대하여는 최우선권을 갖지 않는 것으로서 식별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하나의 무선 통신 장치(110-113)가 어느 특정한 블랙아웃 영역(114-116)에서의 제1의 공급자 서비스에 관하여 최우선권이 허용될 수도 있지만 그러나 같은 블랙아웃 영역(114-116)에서의 제2 및 제3의 공급자 서비스에 관하여는 그러한 최우선권이 허용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것은 상기 테이블 300a-b의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각각의 무력화된 서비스에 대한 추가적인 열(row)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무선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공급자 서비스의 이용가능성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은 블랙아웃 데이터베이스(119) 및, 선택적으로는, 로컬 블랙아웃 데이터베이스(285)가 제공되는 단계 400에서 시작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랙아웃 데이터베이스(119 및 285)들은 블랙아웃 테이블 300a 또는 300b와 같은 블랙아웃 테이블에 블랙아웃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제공될 수도 있 다. 부가적으로, 상기한 블랙아웃 데이터베이스(119)는 적절한 블랙아웃 데이터가 블랙아웃 데이터베이스(119)에 저장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적절한 방식으로 갱신되고 유지될 수가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로컬 블랙아웃 데이터베이스(285)는, 이것이 구현된다면, 블랙아웃 서버(118)에 의해 정기적으로 갱신될 수도 있는데, 이 때 무선 통신 장치(110-113)는 상기 블랙아웃 데이터베이스(119)에 대한 변화에 입각하거나 아니면 적절한 블랙아웃 데이터가 상기 로컬 블랙아웃 데이터베이스(285)에 저장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기준에 입각하여 새로운 커버리지 영역으로 이동된다.
단계 402에서 상기 블랙아웃 서버(118)(또는 무선 통신 장치들(110-113)이 공급자 서비스 이용가능성을 관리하도록 동작하는 실시예에 대해서는 블랙아웃 컨트롤러 280)는 무력화될 수 있는 하나의 공급자 서비스에 대한 요구(request)를 수신하여, 이것은 상기 블랙아웃 데이터베이스(119)에 접속함으로써 블랙아웃 서버(118)에 의해 또는 상기한 로컬 블랙아웃 데이터베이스(285)에 접속함으로써 블랙아웃 컨트롤러(280)에 의해 식별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결정 단계 404에서, 상기 블랙아웃 서버(118) 또는 블랙아웃 컨트롤러(280)는 공급자 서비스를 요구했던 무선 통신 장치(110-113)가 상기 블랙아웃 데이터베이스(119) 또는 로컬 블랙아웃 데이터베이스(285)에 저장된 블랙아웃 데이터에 입각한 블랙아웃 영역(114-116) 내에 존재하는지 아닌지에 관한 결정을 한다. 무선 통신 장치(110-113)의 위치는 상기 요구 시에 결정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110-113)가 주기적으로 그의 위치를 블랙아웃 서버 (118)에 제공하거나, 또는 블랙아웃 서버(118)가 주기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110-113)에 폴링(poll)을 하여 그의 위치를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위치가 임의의 다른 적절한 방법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만일 상기 무선 통신 장치(110-113)가 하나의 블랙아웃 영역(114-116) 내에 있지 않으면, 상기 방법은 결정 단계 404에서 단계 406으로의 "No" 가지를 따르게 된다. 단계 406에서 블랙아웃 서버(118) 또는 블랙아웃 컨트롤러(280)는 무선 통신 장치(110-113)를 위한 요구된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데, 이 시점에서 상기 방법은 종료하게 된다.
결정 단계 404로 되돌아가서, 만일 상기 블랙아웃 서버(118) 또는 블랙아웃 컨트롤러(280)가 무선 통신 장치(110-113)가 하나의 블랙아웃 영역(114-116) 내에 존재한다고 결정하면, 상기 방법은 결정 단계 404에서 선택적인 결정 단계 408로의 "Yes" 가지를 따르게 된다.
결정 단계 408에서, 상기 블랙아웃 서버(118) 또는 블랙아웃 컨트롤러(280)는 무선 통신 장치(110-113)가 통신하고 있는 블랙아웃 영역(114-116)에서 상기 요구된 공급자 서비스가 무력화되어야 하는지 아닌지에 관한 결정을 내린다. 따라서 둘 이상의 공급자 서비스가 무력화될 수 있는 실시예에 대해서는 상기 블랙아웃 서버(118) 또는 블랙아웃 컨트롤러(280)는 상기한 요구된 서비스가 그 특정한 블랙아웃 영역(114-116)에서 무력화되어야만 하는 서비스들 중의 하나인지 아닌지를 결정하게 된다.
만일 상기 요구된 서비스가 그 특정한 블랙아웃 영역(114-116)에 대하여 무 력화되어야만 하는 서비스가 아니라면, 상기 방법은 결정 단계 408에서 단계 406으로의 "No" 가지(branch)를 따르게 되고, 여기서 상기 블랙아웃 서버(118) 또는 블랙아웃 컨트롤러(280)는 무선 통신 장치(110-113)를 위한 요구된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고 상기 방법은 종료하게 된다.
결정 단계 408로 되돌아가서, 만일 상기 블랙아웃 서버(118) 또는 블랙아웃 컨트롤러(280)가 상기 요구된 서비스가 그 특정한 블랙아웃 영역(114-116)에 대하여 무력화되어야만 하는 서비스라고 결정한다면, 상기 방법은 결정 단계 408에서 선택적 결정단계 410으로의 "Yes" 가지(branch)를 따르게 된다.
결정 단계 410에서, 상기 블랙아웃 서버(118) 또는 블랙아웃 컨트롤러(280)는 해당 서비스를 요구했던 무선 통신 장치(110-113)가 그 서비스에 대한 최우선권을 갖고 있는지 아닌지에 관한 결정을 내린다. 따라서 하나 또는 다수의 무선 통신 장치(110-113)에 대하여 최우선권이 허용될 수 있는 실시예에 대해서는, 상기 블랙아웃 서버(118) 또는 블랙아웃 컨트롤러(280)는 요구하고 있는 무선 통신 장치(110-113)가 해당하는 블랙아웃 영역(114-116)에서의 요구된 서비스에 대한 최우선권을 갖고 있는지 아닌지를 결정하게 된다.
만일 상기 서비스를 요구했던 무선 통신 장치(110-113)가 최우선권을 갖고 있다면, 상기 방법은 결정 단계 410에서 단계 406으로의 "Yes" 가지(branch)를 따르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블랙아웃 서버(118) 또는 블랙아웃 컨트롤러(280)는 그 무선 통신 장치(110-113)를 위한 요구된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고 상기 방법은 종료하게 된다.
결정 단계 410으로 되돌아가서, 만일 상기 블랙아웃 서버(118) 또는 블랙아웃 컨트롤러(280)가 상기 서비스를 요구했던 무선 통신 장치(110-113)가 최우선권을 갖고 있지 않다고 결정한다면, 상기 방법은 결정 단계 410에서 단계 412로의 "No" 가지(branch)를 따르게 된다.
결정 단계 408 및 410은 선택적이기 때문에 이들 단계들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생략된다면, 상기 방법은 결정 단계 404에서 후속되는 결정 단계 408 또는 410으로 또는 둘 모두 생략될 시에는 단계 412로의 "Yes" 가지(branch)를 따르게 된다. 단계 412에서는 상기 블랙아웃 서버(118) 또는 블랙아웃 컨트롤러(280)는 그 무선 통신 장치(110-113)에 대한 요구된 서비스를 무력화하고 상기 방법은 종료하게 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블랙아웃 서버(118) 또는 블랙아웃 컨트롤러(280)는 당해 서비스를 요구했던 무선 통신 장치(110-113)의 위치에 입각하여, 카메라 서비스와 같은 하나 또는 다수의 공급자 서비스들을 선택적으로 무력화(차단)시킴으로써 무선 통신 장치(110-113)에 대한 공급자 서비스의 이용가능성을 관리할 수가 있게 된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면, 위치가 특정된 프라이버시(privacy) 및 보안 문제가 비민감한 위치에서 공급자 서비스의 이용가능성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 해결될 수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특히 예시된 몇 가지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주 로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정신과 교시를 크게 이탈함이 없이도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변형(물)은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본 발명의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될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들에 있어서의 기술적 장점 중의 하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장치들에 대한 공급자 서비스 이용가능성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과정에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서비스와 같은 하나 또는 다수의 공급자 서비스는 그 서비스를 요청하는 무선 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차단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특정 위치에 대한 프라이버시 및 보안문제는 보안에 민감하지 않은 위치에서 카메라와 같은 특정 서비스의 이용가능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서도 해결될 수가 있다.

Claims (20)

  1. 하나 또는 다수의 블랙아웃 영역들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공급자 서비스의 이용가능성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공급자 서비스에 대한 요구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공급자 서비스에 대한 블랙아웃 영역들 중의 하나의 범위 내에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블랙아웃 영역들 중의 하나의 범위 내에 있을 때 그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요구된 공급자 서비스를 무력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된 공급자 서비스가 블랙아웃 영역에서 무력화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자 서비스는 카메라 서비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블랙아웃 영역들 중의 하나의 범위 내에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블랙아웃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블랙아웃 데이터에 입각한 블랙아웃 영역들 중의 하나의 범위 내에 있는지 아닌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아웃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아웃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블랙아웃 데이터베이스의 블랙아웃 테이블에 있는 블랙아웃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블랙아웃 영역들 중의 하나의 범위 내에 있지 않을 경우 그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요구된 공급자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블랙아웃 영역에서의 최우선적 권리를 갖는지 아닌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및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블랙아웃 영역들 중의 하나의 범위 내에 있고 그리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블랙아웃 영역에서 어떠한 최우선적 권리를 갖지 않을 때,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요구된 공급자 서비스를 무력화(디스에이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블랙아웃 영역들 중의 하나의 범위 내에 있을 때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요구된 공급자 서비스를 무력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을 하는 방법.
  9. 하나 또는 다수의 블랙아웃 영역들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공급자 서비스의 이용가능성을 관리하도록 동작이 가능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블랙아웃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동작이 가능한 블랙아웃 데이터베이스; 및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공급자 서비스에 대한 요구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블랙아웃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블랙아웃 데이터에 입각하여 공급자 서비스를 위한 블랙아웃 영역들 중의 하나의 범위 내에 있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블랙아웃 영역들 중의 하나의 범위 내에 있을 때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요구된 공급자 서비스를 무력화(디스에이블)하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상기 블랙아웃 데이터베이스에 접속된 블랙아웃 서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아웃 서버는 요구된 공급자 서비스가 블랙아웃 영역에서 무력화되어야만 하는지를 결정하는 동작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아웃 서버는 요구된 공급자 서비스가 무력화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블랙아웃 데이터베이스에 접속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아웃 서버는,
    무선 통신 장치가 블랙아웃 영역에서 최우선적 권리를 갖는지를 결정하고, 그리고 무선 통신 장치가 블랙아웃 영역들 중의 하나의 범위 내에 있고 또한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블랙아웃 영역에서 어떠한 최우선적 권리를 갖지 않을 때에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요구된 공급자 서비스를 무력화시키는 동작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자 서비스는 카메라 서비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아웃 서버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블랙아웃 영역들 중의 하나의 범위 내에 있지 않을 때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요구된 공급자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동작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5.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블랙아웃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동작이 가능한 로컬 블랙아웃 데이터베이스와; 및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공급자 서비스에 대한 요구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로컬 블랙아웃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블랙아웃 데이터에 입각하여 공급자 서비스를 위한 블랙아웃 영역들 중의 하나의 범위 내에 있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블랙아웃 영역들 중의 하나의 범위 내에 있을 때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요구된 공급자 서비스를 무력화(디스에이블)하는 동작이 수행 가능하도록 구성된 블랙아웃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아웃 컨트롤러는 요구된 공급자 서비스가 블랙아웃 영역에서 무력화되어야만 하는지를 결정하는 동작이 수행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아웃 컨트롤러는 요구된 공급자 서비스가 무력화되어도 좋은지를 결정하기 위한 로컬 블랙아웃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는 동작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아웃 컨트롤러는,
    무선 통신 장치가 블랙아웃 영역에서 최우선적 권리를 갖는지를 결정하고, 그리고 무선 통신 장치가 블랙아웃 영역들 중의 하나의 범위 내에 있고 또한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블랙아웃 영역에서 어떠한 최우선적 권리를 갖지 않을 때에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하여 요구된 공급자 서비스를 무력화시키는 동작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자 서비스는 카메라 서비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아웃 컨트롤러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블랙아웃 영역들 중의 하나의 범위 내에 있지 않을 때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요구된 공급자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동작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KR1020050036140A 2004-04-30 2005-04-29 무선 네트워크에 있어서 공급자 서비스 이용가능성의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6301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836,885 2004-04-30
US10/836,885 US20050245273A1 (en) 2004-04-30 2004-04-30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provider service availability in a wireless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647A KR20060047647A (ko) 2006-05-18
KR100630167B1 true KR100630167B1 (ko) 2006-09-29

Family

ID=34935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6140A KR100630167B1 (ko) 2004-04-30 2005-04-29 무선 네트워크에 있어서 공급자 서비스 이용가능성의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50245273A1 (ko)
EP (1) EP1592277A3 (ko)
KR (1) KR100630167B1 (ko)
CN (1) CN169456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372B1 (ko) * 2003-12-23 2011-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작업 스케쥴러를 이용한 다수의 디바이스 초기화 방법
US20060009265A1 (en) * 2004-06-30 2006-01-12 Clapper Edward O Communication blackout feature
WO2006035231A1 (en) * 2004-09-29 2006-04-06 Rafe Communications Llc Controlling portable digital devices
US9325890B2 (en) * 2005-03-25 2016-04-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and system to control a camera of a wireless device
CN1968500A (zh) * 2006-04-13 2007-05-23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移动通讯设备功能的方法及设备
US8467808B1 (en) 2007-04-17 2013-06-18 At&T Mobility Ii Llc Mobile object location-based privacy protection
WO2009145729A1 (en) * 2008-05-29 2009-12-03 Nanyang Polytechnic Method and system for disabling features of a mobile device
KR101537966B1 (ko) * 2009-01-23 2015-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주변장치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9426179B2 (en) 2009-03-17 2016-08-23 Sophos Limited Protecting sensitive information from a secure data store
US9015789B2 (en) * 2009-03-17 2015-04-21 Sophos Limited Computer security lock down methods
US8675553B2 (en) * 2009-03-26 2014-03-18 Qualcomm Incorporated Regulating the scope of service geographically in wireless networks based on priority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2805A (en) * 1988-10-05 1995-08-15 Motorola, Inc. Location-based adaptive radio control
US5594947A (en) * 1994-03-10 1997-01-14 Motorola, Inc. Method for providing alternate communication services based on geographic location
US5778304A (en) * 1994-03-10 1998-07-07 Motorola, Inc.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s based on geographic location
US6011973A (en) * 1996-12-05 2000-01-04 Ericss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ricting operation of cellular telephones to well delineated geographical areas
JPH10276473A (ja) * 1997-03-28 1998-10-13 Nec Corp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および移動体通信装置
US6016424A (en) * 1997-10-29 2000-01-18 Ericsson Inc. User notification of mobile station originated teleservice transaction delay
AU3343799A (en) * 1998-04-22 1999-11-08 Gil Israeli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ellular communications services
FI982363A (fi) * 1998-10-30 2000-05-01 Nokia Mobile Phones Ltd Menetelmä ja järjestelmä radiolaitteen toiminnan rajoittamiseksi tietyllä alueella
US7263367B1 (en) * 1999-04-28 2007-08-28 Sabot Associat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tting a mode of operation of electronic devices
US6643517B1 (en) * 1999-10-15 2003-11-04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of using location information for interference protection
US6496703B1 (en) * 1999-12-13 2002-12-17 Lucent Technologies Inc. System for disabl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20010031631A1 (en) * 2000-01-12 2001-10-18 Pitts Robert L. Secure area communication arrester
EP1139684A1 (en) * 2000-03-30 2001-10-04 Dawoon Syscom Co., Lt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witching operation mode of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unit
US7076255B2 (en) * 2000-04-05 2006-07-11 Microsoft Corporation Context-aware and location-aware cellular phones and methods
US6650894B1 (en) * 2000-05-30 2003-11-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conditionally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US6690940B1 (en) * 2000-09-22 2004-02-10 James W. Brown System for selective prevention of non-emergency use of an electronic device
US6920326B2 (en) * 2000-12-05 2005-07-19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ricting call terminations when a mobile unit is roaming
GB2371907A (en) * 2001-02-03 2002-08-07 Hewlett Packard Co Controlling the use of portable cameras
US6799052B2 (en) * 2001-02-08 2004-09-28 Michael K. Agness Hand-held cellular telephone system with location transmission inhibit
US6973333B1 (en) * 2001-04-10 2005-12-06 At&T Corp. Modification of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 operation in vehicles
US6961561B2 (en) * 2002-01-16 2005-1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nhancing/limiting use of mobile electronic devices
US6937868B2 (en) * 2002-01-16 2005-08-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mobile phone answering mode and outgoing message based on a location of the mobile phone
EP1435749A1 (en) * 2002-12-30 2004-07-07 Evolium S.A.S. Location based call barring
JP4396245B2 (ja) * 2003-02-04 2010-01-13 日本電気株式会社 撮影機能付き移動通信端末の動作制限システム及び撮影機能付き移動通信端末
US20050037819A1 (en) * 2003-08-11 2005-02-17 Adir Naor Cellular telephone with automatic turn on and off function
KR20050029493A (ko) * 2003-09-23 2005-03-2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몰래 카메라 방지 시스템 및 방법
US20050170850A1 (en) * 2004-02-04 2005-08-04 Eric Edward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electively disabling functionality of a device
US20050221841A1 (en) * 2004-03-31 2005-10-06 Piccionelli Gregory A Location-based control of functions of electronic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647A (ko) 2006-05-18
CN1694568A (zh) 2005-11-09
EP1592277A3 (en) 2010-05-26
EP1592277A2 (en) 2005-11-02
US20050245273A1 (en) 2005-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0167B1 (ko) 무선 네트워크에 있어서 공급자 서비스 이용가능성의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8078165B2 (en) Configuring preferred user zone lists for private access points for wireless networking
RU2459387C1 (ru)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системы управления передачей обслуживания, ассоциативно связанной с сетью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US8805368B2 (en) Method and system for load-balancing across multiple access networks
US6957076B2 (en) Location specific reminders for wireless mobiles
RU2487494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сетью
EP1915012B1 (en) Method to control radio devices based on user environment policy requirements
US20220124581A1 (en) Satellite cell reselection control method and related device
US845762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status information based on access class restriction lis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80080365A1 (en) Wireless Access Point Failover System and Method
CN1666539A (zh) 在移动设备上启动与位置相关的应用的系统和方法
GB2517528A (en) Selection method for rapidly obtaining hotspot information
EP1900244B1 (en) Identifying and tracking target subscribers in a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KR100429606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멀티미디어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RU2308806C2 (ru) Доставка широковещательной информации в подвижную станцию в системе радиосвязи
US200700196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function of a mobile phon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10081437A (ja) 無線通信端末および無線通信方法
EP2091262B1 (en) Method and device for paging in trunking system
KR20150136900A (ko) 무선랜 망에서 무선 액세스포인트간 로밍을 위한 로밍 파라미터 설정 장치 및 방법
US8479269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directing unauthoriz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away from a femtocell
JP2004140563A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端末装置
KR100511674B1 (ko) 이동 단말기의 화상 전송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방법 및시스템
US20110013604A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Controlling Devices Us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N112492521B (zh) WiFi漫游的触发条件确定方法及装置、移动终端、存储介质
WO2024093935A1 (zh) 一种校验隐私配置的方法及相关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