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1346B1 - 침술치료를 위한 새로운 침 세트 - Google Patents

침술치료를 위한 새로운 침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1346B1
KR100511346B1 KR10-2002-0068708A KR20020068708A KR100511346B1 KR 100511346 B1 KR100511346 B1 KR 100511346B1 KR 20020068708 A KR20020068708 A KR 20020068708A KR 100511346 B1 KR100511346 B1 KR 100511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upuncture
needle
skin
stagna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8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2873A (ko
Inventor
김원희
Original Assignee
김원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희 filed Critical 김원희
Priority to KR10-2002-0068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1346B1/ko
Publication of KR20020092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2873A/ko
Priority to CNB2003801027482A priority patent/CN100418503C/zh
Priority to PCT/KR2003/002189 priority patent/WO2004041147A1/en
Priority to AU2003269567A priority patent/AU200326956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1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13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에 얇은 막 구조의 외피를 씌워 일체를 이루고, 외피를 뜯지 않은 일체화된 상태로 직접 침을 놓을 수 있도록 하여 침과 시술자의 피부접촉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멸균상태의 침만 공기 등 외부 접촉 없이 직접 체내로 진입되고, 외피는 피부 표면에 막혀 침체에 접혀진 상태로 남도록 함으로서 위생적이고, 감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침술치료를 위한 새로운 침 세트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침체와 침병으로 구성된 종래 한방침의 외부에 얇은 막으로 된 외피를 씌워 일체를 이루고, 외피가 씌워진 상태로 신체 피부에 직접 자침 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멸균된 내부의 침체가 외기 및 시술자와 격리된 상태로 체내로 직접 자침이 이루어져 오염물질의 접촉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술치료를 위한 새로운 침 세트를 제시한다.

Description

침술치료를 위한 새로운 침 세트{ A NEW NEEDLE SET FOR ACUPUNCTURE TREATMENT }
본 발명은 침술치료를 위한 침에 관한 것으로 소독된 침에 무균 상태의 얇은 외피를 씌운 새로운 침 세트를 만들어서 자침 시 침과 시술자의 피부 접촉이 원천적으로 차단되도록 구성한 것이며, 시술자는 침관을 쓰지 않고 외피를 제거하지 않은 채로 자침 하기 때문에 소독된 침만이 환자에게 자입되고 외피는 구겨진 채 피부에 남는 상태가 되며, 이는 침술치료의 모든 감염 합병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일종의 개량된 비접촉 침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 한의학적 처방에 따른 침술을 시행할 때, 조직이 치밀하고 두꺼운 피부를 절피(切皮)하고, 체내로 진침(進鍼) 하며, 정밀한 수기(手技)를 행하기 위하여 압수(押手)와 자수(刺手)의 손가락 끝으로 침체(鍼體)를 잡고 힘을 가하는 방식으로 자침(刺針)이 이루어지는데, 이 과정에서 시술자의 손가락에 묻어 있는 각종 세균에 의한 감염 우려가 매우 높은 점이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침의 보관이나 관리에 있어서 통상 침통에 많은 수의 침을 넣거나 여러 단위를 포장하여 넣어 두고, 시침 시 맨손으로 한 개씩 꺼내어 쓴다.그러나 여러 곳을 자침 하기 위하여 여러 개의 침을 입에 무는 등, 보관이나 취급과정에서도 오염의 우려가 있고, 침체의 굵기가 가는 양침(洋鍼)의 경우 절피시에 침체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침관(鍼管)을 사용하는 불편을 감수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오염에 의한 세균감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침체에 소독된 탈지면이나 종이를 감아서 자침 하는 방법이 권장되고 있고, 서구 의사들은 핀셋을 사용하기까지 하고 있으나, 전통적으로 이러한 방법에 익숙하지 않고 번거롭기 때문에 실제 임상에서는 지켜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또 침체에 손이 닿지 않도록 한 손만으로 침병만을 쥐고, 자침하기 때문에 수기가 부자연스럽고 침감을 느끼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머릿속 등에는 가는 침이 눈에 잘 띄지 않기 때문에 발침시(拔鍼時) 잊고 회수하지 않아 장시간 유침시키는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매우 높고, 통상 1회용 침을 사용하는데 사용한 침과 사용 전 침의 구별이 육안으로 구분하기가 매우 어려워 재사용하는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소독된 침에 얇은 막으로 된 무균 외피를 입힌 구조로 침 세트를 구성하여 자침 시 피복된 침을 그대로 사용하여 침 끝이 외피를 뚫고 체내로 직접 자입되도록 하여 절피,자침,수기에 의한 침체의 오염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유침상태를 쉽게 확인하여 발침을 잊는 등의 사고 우려를 예방하며, 양쪽 손가락을 마음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침관 사용 없이도 직경 0.2-0.3mm에 불과한 가는 양침도 용이하게 자침 할 수 있도록 할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침체의 외부에 얇은 막으로 된 외피를 입혀 상기 외피가 침체의 포장과 보호막의 기능을 갖도록 세트로 구성하여, 침체와 시술자의 피부 접촉을 차단함으로써 위생적이고 감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의 침 세트를 제시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침 구조를 예시하기 위한 도면으로, 본 발명은 침체(11)와 침병(12)으로 구성된 침(10)의 전부를 얇은 외피(20)로 씌운 세트로 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한 외피는 얇은 비닐, 종이와 같은 촉감 전달이 용이한 소재를 사용하여 각각의 침체를 감싸는 구조로 피복되며, 시술자의 피부로부터 침체를 격리시킴으로써 피부 접촉에 따른 감염을 예방하고, 동시에 얇은 막에 의해 수기시 수술자의 감각이 그대로 유지되도록 하는 작용을 하며, 또한, 보관시에는 포장지와 같은 작용을 하여 외부의 감염원이 침체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한 외피는 도2와 같이 시술시 압수(30)와 자수(40)를 사용하여 침체를 가볍게 잡고, 외피에 감싸 여진 바늘 끝을 시술부위 피부(50)에 대고 침병부분을 가볍게 치면 바늘 끝이 외피를 뚫고 나오면서 바로 피부를 뚫고 자침이 이루어지고, 진침의 감각이 손으로 직접 전달되어 감각이 유지된 채로 수기를 행할 수 있게 되고, 외피는 피부에 막혀 침체에 접혀져 남게 된다.
따라서, 내부의 침체는 피부 진입단계에서도 외부와 격리된 상태로 자침이 이루어지고, 압수나 자수에 의한 접촉시에도 외피에 차단 격리된 상태로 간접 접촉이 이루어짐으로써 피부 접촉이나 외부 노출에 따른 오염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또한, 매우 얇은 막으로 이루어진 외피는 직접 접촉시와 차이가 없는 촉감을 그대로 시술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수기를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진침 시 외피(20)는 밀려나면서 후퇴하며, 시술 후 침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위치표시기능을 수행하고, 이러한 표시기능에 의해 발침을 잊고 유침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되고, 일단 발침(拔鍼)한 사용된 침은 도3과 같은 형태가 되므로 사용된 침과 미사용 침의 구분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삭제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침을 구성함에 있어서, 각각의 침 세트를 하나씩 절취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된 외피에 절취부(21)를 만든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이와 같이 함으로서 여러 개의 침을 함께 묶어 보관하고, 사용시에는 하나씩 떼어내어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시 외피에 의한 침체의 보호 및 감염차단기능은 그대로 유지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각각의 침이 시술자의 감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충분히 얇은 외피에 의해 보호되도록 세트를 구성함으로써 보관시의 침체 오염이나 시술시 시술자의 피부접촉에 따른 감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사상을 갖는 것으로서 외피의 소재 및 형태에 의해 제한됨이 없이 다양한 형태로 실시 가능하며,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형태를 배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외피에 의해 내부의 침체가 보호되고, 외피는 침의 촉감을 그대로 전달할 정도로 충분히 얇게 구성됨으로써 손가락으로 침체를 마음 놓고 다룰 수 있고, 절피, 자침 및 수기, 발침 단계에서 각종 오염 우려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침체와 손의 접촉면을 안심하고 늘릴 수 있음으로 획기적인 침감(鍼感)향상을 기대할 수 있고, 자침 후 침병에 외피가 그대로 남아 위치 표시기능을 발휘함으로써 회수가 용이하여 머릿속 등 은폐된 부위에서 발침을 잊고 장시간 유침시키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한 번 사용된 침은 침체가 외피를 뚫고 나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있어 사용된 침과 사용되지 않는 침의 구분이 매우 확실하여 일단 사용된 침이 재사용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침의 구조도
도2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침의 사용 후 상태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침의 다른 실시례도
*주요부호의 설명
10.침 11.침체 12.침병
20.외피 21.절취부

Claims (2)

  1. 침체와 침병으로 구성된 침의 외부에 얇은 막으로 된 외피를 씌워 세트를 이루고, 내부의 침체가 외부 및 시술자와 격리된 상태로 신체 피부에 직접 자침 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외피는 침체에 잔존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술치료를 위한 새로운 침 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침체를 감싸는 외피를 절취 가능하도록 연결한 구조로 하여 여러 개의 침을 함께 묶어 보관하고, 사용시에는 하나씩 떼어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침술치료를 위한 새로운 침 세트.
KR10-2002-0068708A 2002-11-07 2002-11-07 침술치료를 위한 새로운 침 세트 KR100511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708A KR100511346B1 (ko) 2002-11-07 2002-11-07 침술치료를 위한 새로운 침 세트
CNB2003801027482A CN100418503C (zh) 2002-11-07 2003-10-18 新型的针灸针
PCT/KR2003/002189 WO2004041147A1 (en) 2002-11-07 2003-10-18 A new needel set for acupuncture treatment
AU2003269567A AU2003269567A1 (en) 2002-11-07 2003-10-18 A new needel set for acupuncture treat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708A KR100511346B1 (ko) 2002-11-07 2002-11-07 침술치료를 위한 새로운 침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2873A KR20020092873A (ko) 2002-12-12
KR100511346B1 true KR100511346B1 (ko) 2005-08-30

Family

ID=27729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8708A KR100511346B1 (ko) 2002-11-07 2002-11-07 침술치료를 위한 새로운 침 세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0511346B1 (ko)
CN (1) CN100418503C (ko)
AU (1) AU2003269567A1 (ko)
WO (1) WO20040411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584B1 (ko) * 2012-10-19 2014-10-21 전형태 무침관 일회용 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21256B (zh) * 2015-09-18 2022-03-25 沈良洙 高频加热针的涂层方法及高频加热针
CN108836847A (zh) * 2018-05-14 2018-11-20 广西中医药大学第附属医院 一种针灸油针及其制备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6371U (ko) * 1987-09-11 1989-05-13 한주영 포장침
KR900003798U (ko) * 1988-07-11 1990-02-08 삼성전관 주식회사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KR900003798A (ko) * 1988-08-31 1990-03-27 최진홍 자동차 교통 지도 시간제 표시기
JPH08112331A (ja) * 1994-10-18 1996-05-07 Taiho Ika Kogyo Kk 鍼灸針
JP2000202001A (ja) * 1999-01-14 2000-07-25 Toshio Kaneko 針 管
KR200191007Y1 (ko) * 2000-01-04 2000-08-16 김세영 허브에센셜오일이 코팅된 한방침
KR200264358Y1 (ko) * 2001-11-01 2002-02-16 유태우 수지용 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9496A (en) * 1982-04-22 1984-10-30 Hsu John J Acupuncture needle and needle guide assembly
CN2099578U (zh) * 1991-09-04 1992-03-25 宗扬 无菌操作针灸针
JPH072284U (ja) * 1993-06-11 1995-01-13 大宝医科工業株式会社 鍼灸針包装用針管容器
KR970004286U (ko) * 1995-07-19 1997-02-19 유태우 호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6371U (ko) * 1987-09-11 1989-05-13 한주영 포장침
KR900003798U (ko) * 1988-07-11 1990-02-08 삼성전관 주식회사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KR900003798A (ko) * 1988-08-31 1990-03-27 최진홍 자동차 교통 지도 시간제 표시기
JPH08112331A (ja) * 1994-10-18 1996-05-07 Taiho Ika Kogyo Kk 鍼灸針
JP2000202001A (ja) * 1999-01-14 2000-07-25 Toshio Kaneko 針 管
KR200191007Y1 (ko) * 2000-01-04 2000-08-16 김세영 허브에센셜오일이 코팅된 한방침
KR200264358Y1 (ko) * 2001-11-01 2002-02-16 유태우 수지용 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584B1 (ko) * 2012-10-19 2014-10-21 전형태 무침관 일회용 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69567A1 (en) 2004-06-07
CN1711065A (zh) 2005-12-21
KR20020092873A (ko) 2002-12-12
WO2004041147A1 (en) 2004-05-21
CN100418503C (zh) 2008-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0626A (en) Protective guard
US4919966A (en) Covering such as a glove, condom or sheath for inhibiting the spread of contagious diseas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5704906A (en) Method of using a topical anesthetic-cleaning solution and applicator
GB2221394A (en) An injection device
US4197944A (en) Probe cover
US20120029542A1 (en) Micro-scalpel used to treat carpal tunnel syndrome
JPH0323867A (ja) 改良滅菌ドレッシング装置および皮膚穿刺のための方法
US20100043120A1 (en) Medical glove
KR100511346B1 (ko) 침술치료를 위한 새로운 침 세트
US5740943A (en) Sterile biased cot and examination glove dispensers
KR200416533Y1 (ko) 피부미용팩
CN205658977U (zh) 用于直肠指检的手套
KR20210026718A (ko) 침술치료를 위한 새로운 침 세트
US10772695B2 (en) Glove with medicinal pads and differing thickness regions
KR200449599Y1 (ko) 의료 시술용 고무장갑
JP2012034865A (ja) 鍼治療具
KR0130359Y1 (ko) 일회용 밴드
JP2021146168A (ja) 組み合わせ型鍼管
US20210196418A1 (en) Glove with Medicinal Pads and Differing Thickness Regions with Attached Sticker
JP3269040B2 (ja) 針 管
JPH01178264A (ja) 注射器
JP2507138Y2 (ja) 円皮針ユニット
KR200311276Y1 (ko) 앰플이 내장된 소독 솜
US20230124250A1 (en) Sanitary finger cover for use with a finger probe
KR102155169B1 (ko) 의료용 이중 장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