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0384B1 - 유동매질량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유동매질량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0384B1
KR100510384B1 KR10-1998-0701003A KR19980701003A KR100510384B1 KR 100510384 B1 KR100510384 B1 KR 100510384B1 KR 19980701003 A KR19980701003 A KR 19980701003A KR 100510384 B1 KR100510384 B1 KR 100510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measuring
flow
width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1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6335A (ko
Inventor
악셀 스타알
볼프강 뮐러
우베 콘젤만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19990036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0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03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68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thermal effects
    • G01F1/684Structural arrangements; Mounting of elements, e.g. in relation to fluid fl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68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thermal effects
    • G01F1/684Structural arrangements; Mounting of elements, e.g. in relation to fluid flow
    • G01F1/6842Structural arrangements; Mounting of elements, e.g. in relation to fluid flow with means for influencing the fluid flow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도 의존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맥동하는 유동 매질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1)는 유입부(35)에서 배출부(36)로 연장되어 있는 하나의 측정 채널(30)을 구비하며, 이 배출부에는 편향 채널(31)의 제 1 부분(32)이 연결되어 있고, 매질이 배출부(36)에서 제 1 부분(32) 내로 유입되며, 상기 편향 채널(31)의 제 2 부분(33)에 배치된 측면(45)에 의해 편향된다. 상기 편향 채널(31)의 제 1 부분(32)의 측면(45)은 측정 채널(30)에서의 유동 방향(29)에 대해 경사지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특히 내연기관으로의 흡입 공기량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Description

유동 매질량 측정장치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유동 매질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측정 채널내에 내장된 온도 의존 측정부재를 구비한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DE-OS 44 07 209). 상기 측정 채널은 장치내에서 유입부로부터 배출부로 연장되고, 상기 배출부에 S-형 편향 채널이 연결된다. 상기 편향 채널은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부분은 직각 모서리를 갖고 있으며, 측면이 제 2 부분으로 이어진다. 유동 매질은 측정 채널의 배출부로부터 먼저 유동 단면이 측정 채널보다 더 큰 편향 채널의 상기 제 1 부분으로 유입된다. 이로써 상기 제 1 부분에 대해 갑작스러운 계단형 유동 변이가 존재한다. 이어서 상기 제 1 부분에 의해 편향된 상기 매질은 상기 제 1 부분에서 모서리를 돌아 상기 제 1 부분의 측면을 따라 수직으로 연결된 상기 편향 채널의 제 2 부분으로 유입되고, 배출구를 통해 제 2 부분으로부터 유출됨으로써, 상기 장치를 돌아 흐르는 매질과 재차 혼합된다.
내연기관에서 개별 실린더들의 유입 밸브를 개방/폐쇄함으로써 유동의 심한 변동 또는 맥동이 일어난다. 그 강도는 각 피스톤의 흡입 주파수 또는 내연기관의 회전수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유동의 맥동은 유입 밸브에서부터 흡입 파이프를 거쳐 측정 채널 내부의 측정 부재에까지 그리고 그뒤로 계속 이어진다. 상기 맥동은 맥동의 강도에 따라 측정 부재의 열적 관성과 방향 불감지성으로 인해, 측정 채널의 중앙부에서 발생하는 유동 속도 및 그 속도로부터 산출 가능한 내연기관의 흡입 공기량과는 현저히 다른 측정 결과가 생기게 한다. 상기 측정 채널 및 편향 채널의 크기는 흡입 파이프 내에 맥동하는 유동이 있을 경우, 유동 변동 때문에 발생하는 측정 부재의 에러가 최소로 되도록 서로 매칭된다. 그러나, 맥동 주파수 및 특정한 맥동 진폭이 높을 경우에 편향 채널 내에서의 유동 음향적인 과정으로 인해 흡입 공기량에 있어 에러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에러는, 유동의 맥동시 측정 부재의 하류에서 측정 채널의 출구와 편향 채널의 제 1 부분측 모서리 사이의 단차부에서 압력파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 압력파가 상기 편향 채널의 측면에서 모서리에 반사됨으로써 피드백 효과에 의해 상기 측정 부재의 측정 신호가 간섭을 받기 때문에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장치의 단면도.
이에 반하여,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들을 포함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동 매질량 측정장치는, 유동의 변동 또는 맥동과 거의 무관하게 변함없이 정확한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특징적인 점은 이것이 편향 채널의 제 1 부분의 측면들간의 측정 채널 배출부에 대한 간격을 변동시킬 필요 없이 이루어짐으로써, 측정 채널 및 편향 채널로 이루어진 전체 채널이 조정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장치의 컴팩트한 구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이다.
종속항에 설명된 조치들을 통해 청구항 제 1 항에 제시된 상기 장치의 적합한 실시 및 개선이 가능하다.
특히 적합하게는, 외부 유동에 대해 편향 채널 내에 제공된 유동 연결부가 흡입 파이프 내부에 개구부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에 의해 사실상 기존에 있던 편향 채널내의 압력파의 잔류 간섭을 완전히 차단시킴으로써 더욱 개선된 측정 결과를 얻는다. 더욱이, 상기 장치는 측정 채널내에 발생한 난류(亂流)에 의해 발생가능한 측정 신호 노이즈를 현격하게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에서 간략하게 도시되어 있고 아래의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도면 부호 1로 표시된 장치 측면의 부분적인 단면도이다. 상기 장치는 유동 매질의 양, 특히 내연기관의 흡입 공기량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이다. 상기 장치(1)는 적합하게는 종축(10)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된 슬림 블록형 형상을 가지며, 벽(5)에 형성된 흡입 파이프(7)의 개구부(6) 내로, 예를 들어 꽂혀지는 방식으로 삽입된다. 상기 장치(1)는 밀봉링(3)을 이용해서 벽(5)내에 밀봉되거나, 예를 들어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나사 결합을 통해 상기 벽과 결합된다. 빗금으로 표시된 벽(5)은 예를 들어 원통형 흡입 파이프(7) 부분인데, 이 파이프를 통해 상기 내연기관이,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공기 필터를 거쳐 공기를 주위로부터 흡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흡입 파이프(7)의 벽(5)은 유동 단면을 제한한다. 이 유동 단면은 원통형 흡입 파이프(7)일 경우에는 거의 원형 단면이며, 그 가운데에는 축방향으로 상기 벽(5)에 평행하게 중심축(11)이 연장되어 있는데, 이 중심축은 상기 종축(10)에 수직하게 배향된다. 상기 장치(1)는 하기에서 측정부(17)라 칭하는 부분이 유동 매질 내로 돌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측정부(17)는, 예를 들어 상기 흡입 파이프(7)의 중간까지 연장되어 있고, 도면 평면에 있는 중심축(11)을 통과하는 평면에 의해 대칭으로 분할된다. 이로써 측정부(17)내에 장착되는 온도 의존 측정 부재(20)가 벽(5)의 에지 영향 없이 가능한 한 넓은 범위에 걸쳐 유입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매질은 우측에서 좌측으로 유동한다. 이 때의 유동 방향은 화살표 29에 상응한다.
상기 장치(1)는 측정부(17), 지지부(18) 및 고정부(19)로 일체로 이루어져 있고, 예를 들어 플라스틱 사출 성형에 의해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상기 측정 부재(20)는 예를 들어 기판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종래 기술, 예컨대 DE-OS 36 38 138에 제시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다수개의 온도 의존 저항(28)을 포함하고 있다. 이 저항들은 저항층의 형태로 이른바 열막저항(hot film resistor)으로서 지지체(22) 역할을 하는 평판형 세라믹 기판 위에 제공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고, 예를 들어 DE-OS 43 38 89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 부재(20)를 이른바 마이크로 메카닉 부품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측정 부재(20)는 에칭에 의해 형성되는 극도로 얇은 두께를 지닌 막형 센서 영역을 지닌 지지체(22)를 포함하며, 마찬가지로 에칭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저항층, 즉 적어도 하나의 온도 의존 측정 저항(28)과 예를 들어 하나의 열저항을 구성하는 저항층들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측정 부재(20)는, 예를 들어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평판형 지지체(22)와 적어도 하나의 온도 의존 저항(28)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체(22)는 일례로 금속으로 이루어진 수납부(23)의 리세스(34) 내로 이 수납부와 동일 높이로 수납되는데, 예를 들어 접착과 같은 방법으로 고정된다. 상기 수납부(23)는 상기 유동 방향(29)을 향하는 측에, 적합하게는 경사지게 구성된 선단 에지를 갖는다. 상기 측정 부재(20)의 개별 저항층(28)들은 상기 장치(1)의 내부에서 연장되는 접속 라인(24)들에 의해 도 1에 점선으로 표시된 전자 평가 회로(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평가 회로는, 예를 들어 브리지형(bridge-like) 저항 측정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평가 회로(25)는, 예를 들어 상기 장치(1)의 지지부(18) 또는 고정부(19)내에 장착된다. 상기 평가 회로(25)가 예를 들어 지지부(18)내에 장착되면, 이 평가 회로는 상기 흡입 파이프(7)내에 유동하는 매질 및 냉각체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9)에 있는 플러그 접속부(26)를 사용하여, 상기 평가 회로(25)에 의해 발생된 전기 신호들은, 예를 들어 또 하나의 평가용 전자 제어 기기로 인가된다. 온도 의존 측정 부재의 기능 및 구성은 당업자가 종래 기술을 통하여 알 수 있는 사항이므로 여기서는 설명하지 않는다.
도 1의 II-II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1)의 측정부(17)는 4각형 구조를 가지며 측정 채널(30)을 갖는다. 상기 측정 채널(30)은 그 중심을 통해 연장되는 측정 채널축(12)을 따라, 예를 들어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진 유입부(35)로부터 예를 들어 마찬가지로 직사각형 단면을 가진 배출부(36)까지 연장되어 있다. 상기 장치(1)는 흡입 파이프(7) 내에서, 적합하게는 상기 측정 채널축(12)이 중심축(11)에 평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도 2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측정 채널축(12')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1)를 회전된 설치 위치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상기 측정 채널축(12')은 중심축(11)과 몇 도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 채널(30)은 S-형태를 가진 편향 채널(31)로 이어진다. 상기 측정 채널(30)은 중심축(11)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부면(37) 및 중심축(11)에 인접한 하부면(38)과, 아울러 도 2에 도시된 2개의 측면(39,40)에 의해 한정된다. 도 1에 따른 실시예에서 측정 채널(30)의 측정 채널축(12)은 중심축(11)에 편심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도 3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장치(1)의 제 2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 채널(30)의 측정 채널축(12)은 흡입 파이프(7)의 중심축(11)에 동심으로 또는 그 중심축 영역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평판형 측정 부재(20)를 위한 수납부(23)는 측정 부재(20)의 양 측면(21)이 상기 측정 채널축(12)에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태에서 상기 수납부(23) 주위로 매질이 유동하도록, 상부면(37) 측에서 지지부(18)의 일측에 고정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채널(30)의 양 측면(39,40)은 상기 측정 채널축(12)과 종축(10)에 의해 형성된 평면(14)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평면과 예각을 형성함으로써, 유동 방향(29)으로 볼 때 측정 채널(30)이 축방향으로 가늘어지고, 그 결과 배출부(36)에서의 가장 작은 단면이 편향 채널(31)의 제 1 부분(32) 내로 연장된다. 이 때 상기 측정 부재(20)는 측정 채널(30)의 가장 좁은 지점의 상류에서 또는 측정 채널(30)내 배출부(36)의 상류에서 상기 수납부(23) 내에 배치된다. 상기 측정 채널(30)의 유동 방향(29)으로 진행할수록 첨예해지는 구성은 측정 부재(20) 영역내에서 가능한 한 방해받지 않고 균일하게 평행한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측정 채널(30)의 유입부(35) 영역 내에서의 기포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측정 채널(30)의 유입 영역은 도 1에 도시된 라운딩된 측면(42)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편향 채널(31)의 대향 벽 상의 배출부(36)의 유동 방향(29) 투영 부분에 배치된, 편향 채널(31)의 제 1 부분(32)의 측면(45)은 유동 방향(29)에 대해 수직하게 구성되지 않고, 오히려 상기 측정 채널축(12) 및 측면(45)에 의해 형성된 경사각(α)이, 적합하게는 약 45 를 형성하도록 경사지게 구성된다. 또한, 측면(45)이 약 30 내지 60°범위인 경사각(α)을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45)의 하류에서는, 상기 제 1 부분(32)에 대해 측방향으로 또는 상기 종축(10)에 대해 측방향으로 상기 편향 채널(31)의 제 2 부분(33)이 연장되어 있다. 상기 경사진 측면(45)은 상기 측정 채널(30)의 배출부(36)로부터 상기 제 1 부분(32)으로 유입된 매질이 측면(45)을 따라 상기 제 2 부분(33)으로 전환되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측면(45)은 대략 도 1의 파단선 II-II 또는 중심축(11)까지 연장된다. 상기 측면(45)의 종축(10) 방향 폭(br)은 상기 측정 채널(30)의 종축 방향 폭(b)보다 작다. 그러나, 상기 측면(45)의 폭(br)을 측정 채널(30)의 폭(b)에 맞추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측면(45)의 폭(br)은 적어도 상기 측정 채널(30)의 폭(b)의 2/3는 되어야 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측면(45)은 폭(br)에 수직을 이루는 깊이(tr)을 갖고 있는데, 이 깊이(tr)는 특히 유입부(35)측의 폭(b)에 수직을 이루는 측정 채널(30)의 깊이(t)에 대략 상응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측면(45)의 깊이(tr)가 상기 측정 채널(30)의 유입부(35)의 깊이(t)보다 약간 작도록 구성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 측면(45)에 이어서 상기 제 1 부분(32)의 벽이 종축(10)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1 부분(32) 및 제 2 부분(33)으로 구성된 편향 채널(31)은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이 직사각형 단면은 상기 측정 채널(30)의 유입부(35)의 단면에 상응하는 것이다. 이로써 유동 단면적이 측정 채널(30)과 편향 채널(31) 사이의 배출부(36)에 있는 단차부(43)에서 갑자기 커진다. 상기 측정 채널(30)내에 유동하는 매질은 배출부(36)의 하류에서 먼저 제 1 부분(32)으로 유입되어, 상기 측면(45)에서 편향되어 제 2 부분(33)으로 계속 유입된다. 도 1 및 도 3에 표시된 화살표 46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매질은 그 다음에 제 2 부분(33) 및 배출 개구부(47)를 거쳐 사실상 유동 방향(29)에 대해 측방향으로 다시 흡입 파이프(7)로 유입된다. 상기 배출 개구부(47)는 상기 편향 채널(31)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측정 채널축(12)에 평행을 이루는 측정부(17)의 하부 외측면(50)에 제공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사각형 배출 개구부(47)의 우측에서 상기 하부 외측면(50)에 대해 측방향으로 유동 방향(29)에 대향하는 상기 측정부(17)의 측면(42)이 연결되어 있는데, 이 측면은 상기 측정 채널(30)의 유입부(35) 상류에서, 하부 외부면(50)으로부터 측정 채널(30)의 하부면(38)쪽으로 상기 유입부(35)에까지 라운딩된 형태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편향 채널(31)의 측면(45)의 경사진 구성은 측정 채널(30)의 배출부(36)에서 나오는 유동 내에서 발생하는, 예를 들면 소용돌이나 압력파와 같은 형태의 간섭이 상기 측면(45)에 반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소용돌이 또는 압력파의 형성 지점에 따라 상기 종축(10) 방향으로 연장된 단차부(43) 또는 배출부(36)의 폭에 걸쳐 상기 측면(45)에 대하여 상이한 간격이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폭을 따라 형성된 개별 소용돌이 또는 압력파들은 시간 지연 형태로 상기 측면(45)에서 반사된다. 그 결과로 소용돌이의 방향이 전환되어 상기 측정 부재(20)에 대한 소용돌이의 간섭 작용이 전체적으로 약해진다. 따라서, 유동이 맥동할 시에 발생하는 측정 부재(20)의 에러가 현격하게 감소되거나,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도 3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또는 동일한 작용을 하는 유닛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하였다. 도 3에는 상기 측면(45)의 하류에서 개구부(55)가 편향 채널(31)내에 도시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구멍(hole)과 같은 형태를 지니는 상기 개구부는 편향 채널(31)내의 유동 매질을 흡입 파이프(7)의 외부 유동 매질과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개구부(55)는 측정부(17)의 측벽(27)들 중 하나로부터 제 1 부분(32)의 교차 영역을 거쳐 편향 채널(31)의 제 2 부분으로 연장되어 있는, 예를 들어 원형의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55)는 상기 측정부(17)의 하부 외측면(50)으로부터 제 2 부분(33)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55)는 수 밀리미터, 예를 들어 2mm의 개구 직경을 갖고 있다. 물론 다수의 개구부(55)가 있을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55)에 의해, 편향 채널(31)에 의해 형성되며 측정 채널(30)의 배출부(36) 하류에서 나오는 압력파를 위한 공진 공간은 압력 보상에 의해 측면(45)에서 반사되는 압력파들의 약화를 야기한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55)의 단면 크기를 통해, 상기 공진 공간의 고유 주파수를 상기 압력파 주파수에 매칭시킴으로써, 상기 측정 부재(20)에서 나오는 측정 결과를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다.
그 밖에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55)는 흡입 파이프(7) 내의 유동에 대해 편향 채널(31) 내의 유동의 압력을 보상함으로써 경우에 따라 약화되었지만 여전히 존재하는 편향 채널(31)의 압력파들이 상기 측정 부재(20)에서 나오는 측정 결과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흡입 파이프(7) 내로 빠져 나갈수 있게 한다.

Claims (9)

  1. 주변으로 매질이 유동하는 온도 의존 측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 부재는 장치내의 측정 채널 내에 배치되고, 상기 측정 채널은 유입부로부터 배출부로 연장되며, 상기 배출부에 편향 채널의 제 1 부분이 연결되며, 상기 매질은 배출부로부터 상기 제 1 부분으로 유동하며 상기 제 1 부분의 측면에 의해 상기 편향 채널의 제 2 부분으로 편향되는, 유동 매질, 특히 내연기관의 흡입 공기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유동 매질량 측정 장치(1)에 있어서,
    상기 편향 채널(31)의 제 1 부분(32)의 측면(45)은 상기 제 1 부분(32)의 대향 벽상의 상기 배출부(36)의 유동 방향(29) 투영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측정 채널(30)을 향한 측면(45)의 시작부분이 상기 측정 채널(30) 내의 유동 방향(29)으로 볼 때 상기 편향 채널(31)의 제 2 부분(33)을 향한 측면(45)의 끝분보다 상기 측정 채널(30)의 배출부(36)에 대해 작은 간격을 갖도록, 상기 측정 채널(30)에서의 유동 방향(29)에 대해 경사지게 구성되고,
    상기 편향 채널(31)의 제 1 부분(32)에는 제 2 부분(33)이 유동 방향(29)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부분(32) 또는 제 2 부분(33) 내에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55)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장치(1) 주위로 유동하는 매질에 대한 연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매질량 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45)은 깊이(tr)와, 상기 깊이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폭(br)을 가지며, 상기 폭(br)은 상기 측정 채널(30)의 유입부(35)의 폭(b)에 대략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매질량 측정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45)과 상기 측정 채널(30) 내의 유동 방향(29)이 형성하는 경사각(α)은 대략 30° 내지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매질량 측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α)은 대략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매질량 측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45)의 폭(br)은 상기 측정 채널(30)의 폭(b)의 적어도 2/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매질량 측정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45)은 폭(br)과, 상기 폭(br)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깊이(tr)를 가지며, 상기 측면(45)의 깊이(tr)는 상기 측정 채널(30)의 유입부(35)측 깊이(t)에 대략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매질량 측정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부(55)는 상기 장치(1)의 상기 측정 채널(30)이 형성된 측정부(17)의 측벽(27)들 및 하부 외측면(50)으로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매질량 측정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채널(30)은 상기 유입부(35)에서 상기 배출부(36)쪽으로 진행할수록 첨예해지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매질량 측정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채널(31)은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 1 부분(32)의 유동 단면은 상기 측정 채널(30)의 배출부(36)의 하류에서 갑자기 확대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매질량 측정장치.
KR10-1998-0701003A 1996-06-12 1997-01-10 유동매질량측정장치 KR1005103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23334.8 1996-06-12
DE19623334A DE19623334A1 (de) 1996-06-12 1996-06-12 Vorrichtung zur Messung der Masse eines strömenden Mediu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335A KR19990036335A (ko) 1999-05-25
KR100510384B1 true KR100510384B1 (ko) 2005-10-25

Family

ID=7796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1003A KR100510384B1 (ko) 1996-06-12 1997-01-10 유동매질량측정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148663A (ko)
EP (1) EP0845099B1 (ko)
JP (1) JP3877777B2 (ko)
KR (1) KR100510384B1 (ko)
CN (1) CN1119626C (ko)
DE (2) DE19623334A1 (ko)
RU (1) RU2174673C2 (ko)
WO (1) WO19970479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2070B2 (en) * 1994-03-04 2002-07-23 Robert Bosch Gmbh Device for measuring the mass of a flowing medium
DE19741031A1 (de) * 1997-09-18 1999-03-25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r Messung der Masse eines strömenden Mediums
DE19847303B4 (de) * 1998-10-14 2006-11-30 Robert Bosch Gmbh Sensorelement mit antiadhäsiver Oberflächenbeschichtung
DE19927818C2 (de) * 1999-06-18 2003-10-23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r Messung der Masse eines strömenden Mediums
JP3555017B2 (ja) * 1999-09-22 2004-08-18 三菱電機株式会社 感熱式流量センサ
JP4811695B2 (ja) 2000-05-30 2011-11-09 株式会社デンソー 流量測定装置
DE10036290A1 (de) 2000-07-26 2002-02-07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r Bestimmung zumindest eines Parameters eines strömenden Mediums
DE10135142A1 (de) 2001-04-20 2002-10-31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r Bestimmung zumindest eines Parameters eines in einer Leitung strömenden Mediums
DE10135819B4 (de) * 2001-07-23 2004-01-29 Siemens Ag Luftmassendurchflußmesser
DE10144327C1 (de) * 2001-09-10 2002-12-12 Siemens Ag Luftmassendurchflussmesser mit Strömungselementen
US6622555B2 (en) 2001-10-11 2003-09-23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Fluid flow meter
US6786089B2 (en) 2002-03-28 2004-09-07 Denso Corporation Airflow meter
US6708561B2 (en) 2002-04-19 2004-03-23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Fluid flow meter having an improved sampling channel
DE10230531B4 (de) 2002-07-05 2018-01-18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r Bestimmung wenigstens eines Parameters eines in einer Leitung strömenden Mediums
US6826955B2 (en) * 2002-09-20 2004-12-07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Mass fluid flow sensor having an improved housing design
DE10245965B4 (de) * 2002-09-30 2021-06-02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r Bestimmung wenigstens eines Parameters eines in einer Leitung strömenden Mediums
DE10246069A1 (de) 2002-10-02 2004-04-15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r Bestimmung wenigstens eines Parameters eines in einer Leitung strömenden Mediums
US6973825B2 (en) * 2003-02-24 2005-12-13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Hot-wire mass flow sensor with low-loss bypass passage
DE102006010374A1 (de) * 2006-03-03 2007-09-06 Mann + Hummel Gmbh Anordnung eines Luftmassenmessers an einem Strömungskanal
JP5047079B2 (ja) 2008-07-02 2012-10-10 三菱電機株式会社 流量測定装置
JP2010101704A (ja) * 2008-10-22 2010-05-06 Mitsubishi Electric Corp 流量測定装置
DE102010030438A1 (de) * 2010-06-23 2011-12-29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r Erfassung einer Eigenschaft eines strömenden fluiden Mediums
US10415865B2 (en) 2012-10-08 2019-09-17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with wet ice storage
DE102012224049A1 (de) * 2012-12-20 2014-06-26 Robert Bosch Gmbh Sensorvorrichtung zur Erfassung mindestens einer Strömungseigenschaft eines fluiden Mediums
US10145716B2 (en) * 2016-03-16 2018-12-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ass airflow sensor including one or more flow deflectors for inhibiting reverse airflow through the mass airflow sensor
CN111579264B (zh) * 2020-05-22 2022-10-18 浙江银轮机械股份有限公司 测温方法及测温工装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13089A2 (en) * 1987-10-23 1989-04-26 Hitachi, Ltd. Hot wire type of air flow meter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41523B2 (en) * 1990-02-07 2001-05-09 Hitachi, Ltd. Air flow rate measuring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355726A (en) * 1994-01-03 1994-10-18 Ford Motor Company Housing for reducing back air flow to mass air flow sensors
DE4407209C2 (de) * 1994-03-04 1996-10-17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r Messung der Masse eines in einer Leitung strömenden Mediums
JP3193837B2 (ja) * 1994-10-18 2001-07-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発熱抵抗式流量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13089A2 (en) * 1987-10-23 1989-04-26 Hitachi, Ltd. Hot wire type of air flow meter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877777B2 (ja) 2007-02-07
DE59712961D1 (de) 2008-10-02
KR19990036335A (ko) 1999-05-25
EP0845099A1 (de) 1998-06-03
RU2174673C2 (ru) 2001-10-10
CN1194690A (zh) 1998-09-30
DE19623334A1 (de) 1997-12-18
WO1997047952A1 (de) 1997-12-18
US6148663A (en) 2000-11-21
CN1119626C (zh) 2003-08-27
JPH11511262A (ja) 1999-09-28
EP0845099B1 (de) 2008-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0384B1 (ko) 유동매질량측정장치
US5948975A (en) Device for measuring the mass of a flowing medium
KR100402728B1 (ko) 발열저항식 유량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연기관 제어시스템
US7252015B2 (en) Ultrasonic flow meter including guide elements
JP4700242B2 (ja) 流動する媒体の量を測定するための装置
US7530267B2 (en) Flow rate measuring apparatus
US6779393B1 (en) Device for measuring the mass of a flowing medium in an intake tube
RU215067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массового расхода текучей среды
KR100705305B1 (ko) 유동 매질의 질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장치
US6820479B2 (en) Device for determining at least one parameter of a flowing medium
KR20060039904A (ko) 관 내에 흐르는 매체의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결정하기위한 장치
CN107076592B (zh) 用于确定流经通道结构的流体介质的至少一个参数的传感器组件
US6868722B2 (en) Air flow rate measuring apparatus
KR102301752B1 (ko) 채널을 관류하는 유체 매체의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를 측정하는 센서 장치
KR100254718B1 (ko) 유동매체의 질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장치
JP2006522921A (ja) 管路内を流動する媒体の少なくとも1つのパラメータを測定するための装置
JP3260552B2 (ja) 発熱抵抗式空気流量測定装置
US20230160731A1 (en) Ultrasonic Flow Meter
JP2000002573A (ja) 気体流量計測装置
JPH0943020A (ja) 発熱抵抗式流量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