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9849B1 - 인라인스케이트 겸용 신발 - Google Patents

인라인스케이트 겸용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9849B1
KR100509849B1 KR10-2002-0083762A KR20020083762A KR100509849B1 KR 100509849 B1 KR100509849 B1 KR 100509849B1 KR 20020083762 A KR20020083762 A KR 20020083762A KR 100509849 B1 KR100509849 B1 KR 100509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housing
drive device
wheel assembly
manip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3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7003A (ko
Inventor
이홍길
Original Assignee
이홍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홍길 filed Critical 이홍길
Priority to KR10-2002-0083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9849B1/ko
Priority to CN 03109414 priority patent/CN1265856C/zh
Priority to JP2003357750A priority patent/JP2004305700A/ja
Priority to PCT/KR2003/002713 priority patent/WO2004058366A1/en
Priority to AU2003303371A priority patent/AU2003303371A1/en
Publication of KR20040057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7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9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98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0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fixable wheels permitting the skates to be used for walk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8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retractable wheel, i.e. movable relative to the chassis out of contact from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63C17/0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2Details of chassis of ice or roller skates, of decks of skateboard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상적인 보행상태에서는 일반적인 신발로 이용할 수 있고 필요시 인라인 스케이팅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인라인스케이트 겸용 신발을 제공한다. 그 신발은 사용자의 발에 착화되는 몸통과, 그 몸통의 하부에 일체로 부착되며 수용홈이 종방향으로 형성된 솔을 구비한 본체; 본체의 수용홈에 삽설되는 커버; 및 커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전방에 이동 가능하게 삽설되는 전방 구동장치와, 하우징의 후방에 이동 가능하게 삽설되는 후방 구동장치, 하우징에 고정되며 전방 구동장치와 후방구동장치를 상호 상대방향으로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장치와, 전방 구동장치 및 후방 구동장치에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휠 조립체 쌍과, 후방 구동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조작기를 구비하는 롤러장치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인라인스케이트 겸용 신발{SHOES WITH INLINE SKATE}
본 발명은 인라인스케이트 겸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상상태에서는 일반적인 신발로 사용할 수 있고 필요시 인라인스케이팅 또는 롤러블레이딩을 즐길 수 있도록 휠조립체가 돌출 가능한 롤러장치를 구비하며, 그 롤러장치의 착탈 및 수리가 용이한 인라인스케이트겸용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러 블레이드라 칭하는 인라인 스케이트는 운동, 레크레이션 등의 목적으로 어린이뿐 아니라 많은 대중들도 널리 이용하고 있다. 이 같은 롤러블레이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발에 착용할 수 있는 부츠형 신발(1)과, 그 신발의 하부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휠 블레이드 조립체(2)를 구비하고 있다. 휠 블레이드 조립체(2)는 실제적으로 부츠(1)에 고정 장착된 런너 또는 블레이드(3)와, 그 블레이드(3)에 샤프트(4)에 의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호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5개 또는 4개의 롤러 또는 휠(5)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발에 부츠(1)를 착용한 후 일반적인 빙상용 스케이트를 타는 방식으로 롤러블레이딩 또는 인라인 스케이팅을 즐길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스케이팅을 즐기는데는 많은 제약 및 불편함이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롤러블레이드를 즐기기 위해서는, 예컨대 아스팔트, 콘크리트 등과 같이 바닥이 강하고 평탄한 지역에서만 효과적으로 즐길 수 있다. 다음으로, 롤러블레이드를 즐기기 위해서는 항상 별도로 롤러블레이드를 구비해야 하며, 평탄하지 않은 지역을 이동하거나 또는 스케이팅을 마친 후에는 롤러블레이드를 벗고 일반적인 신발로 갈아 신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결국, 롤러브레이드의 사용자는 항상 롤러블레이드와 일반적인 신발중 하나를 상황에 따라 갈아신어야 하며, 착용하지 않은 다른 하나는 별도로 보관하거나 휴대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할 뿐 아니라 2개 모두를 각각 별도로 구입해야하는데 따라 별도의 비용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롤러 장치를 부츠에 장착시켜 인라인 스케이팅으로 사용할 수 있는 종래의 예로서 미국특허 제6,042,125호가 있다. 이 특허의 인라인 스케이트는 신발에 롤러장치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인라인 스케이트는 사용자가 롤러장치를 취급하기가 곤란하며, 외관이 콤팩트하지 못할 뿐 아니라 일반적인 신발로의 사용시 착용감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전개식으로 롤러를 구비하는 겸용신발들의 경우에는 롤러장치를 신발에 장착한 후에는 교체 및 수리가 불가하거나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상적인 보행상태에서는 일반적인 신발로 이용되고 착용자가 원하는 경우 인라인스케트로 전환하여 안정적인 인라인스케이팅을 즐길 수 있는 인라인스케이트 겸용 신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발기능과 롤러블레이드기능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변환될 수 있는 롤러장치를 구비한 인라인스케이트겸용 신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롤러장치의 제조가 간단하며 수리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신속한 인라인스케이트 겸용 신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 같은 목적들은, 사용자의 발에 착화되는 몸통과, 그 몸통의 하부에 일체로 부착되며 수용홈이 종방향으로 형성된 솔을 구비한 본체; 그 본체의 수용홈에 삽설되는 커버; 및 그 커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과, 그 하우징의 전방에 이동 가능하게 삽설되는 전방 구동장치와, 하우징의 후방에 이동 가능하게 삽설되는 후방 구동장치, 하우징에 고정되며 전방 구동장치와 후방 구동장치를 상호 상대방향으로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장치와, 전방 구동장치 및 후방 구동장치에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휠 조립체 쌍과, 후방 구동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조작기를 구비하는 롤러장치를 포함하는 인라인스케이트 겸용 신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스케이트 겸용 신발은 사용자 또는 착용자가 신을 수 있는 본체(10)를 구비한다. 본체(10)는 실제로 사용자의 발이 착화되는 몸통(12)과, 그 몸통(12)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 또는 솔(14)을 구비한다. 솔(14)에는 상세히 후술되는 롤러장치가 삽입되는 수용홈(16)이 형성된다. 또한, 솔(14)의 후방에는 후술되는 조작기의 레버가 좌우로 회동할 수 있는 홈(18)이 형성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솔(14)에는 후술되는 롤러장치의 안정적이고 원활한 장착을 위해 커버(20)가 삽입된다. 커버(20)는 경량이지만 강한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내측의 각각의 모서리부에는 후술되는 롤러장치의 연동장치 및 조작기가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프레임(22)이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5). 또한, 커버의 상부면의 적정위치 즉, 후술되는 롤러장치의 각각의 작동요소가 방해를 받지 않는 위치에 볼트(B) 또는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체결공(2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체결공에는 용접너트(N)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와 같은 체결공(24)은 커버(20)의 측벽에 형성될 수 도 있다.
본체(10)의 수용홈(15)에 삽입된 커버(20)에는 롤러장치(30)가 삽설된다. 롤러장치(30)는 실제로 커버(2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하우징(32)을 구비한다. 하우징(32)은 장방형 입방체로 형성되며 전방 및 후방은 개방되어 있다. 하우징(32)의 상부면인 지지면(34)의 전방 및 후방에는 후술되는 구동장치가 안내 및 구동될 수 있도록 2쌍의 가이드홈(36,38;40,42)이 형성된다. 각각의 가이드홈 쌍(36,38;40,42)은 상호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가이드홈 쌍들 중 가이드홈(36;40)은 다른 가이드홈(38;42)보다 길게 형성되는 바, 이는 후술되는 구동장치의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지지면(34)의 중앙에는 후술되는 연동장치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홈(44)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면(34)의 전방에는 상세히 후술되는 조작기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홈(46)이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하우징(32)의 양 측부(48)에는 상세히 후술되는 휠 조립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링크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복수개의 장착공(50)이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하우징(32)의 지지면(34)에는 커버(20)의 체결공(24)에 연통하는 관통공(34a)이 천공될 수 있다.
하우징(32)의 전방에는 전방 구동장치(52)가 왕복 가능하게 설치된다. 전방 구동장치(52)는 일부가 절취 형성된 상부면(54)과, 그 상부면의 양측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며 하우징(32)의 지지면(34)에 형성된 가이드홈(36;38)에 각각 삽입되는 지지판(56;58)을 구비한다. 전방 구동장치(52)의 상부면의 절취부의 후방단에는 후술되는 연동장치의 돌출편이 삽입되어 왕복동 되는 구동홈(60)이 횡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지지판(56;58)의 전,후방에는 후술되는 휠조립체가 상하왕복은 물론 회동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의 장착홈(62;64)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특히, 각각의 장착홈(62;64)의 하단에는 인라인스케이트로의 전환시 휠조립체의 링크가 안정적으로 고정 유지 될 수 있는 스토퍼홈(62a;64a)이 대체로 직각으로 연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32)의 후방에는 전방 구동장치(52)에 대응하는 후방 구동장치(66)가 왕복 가능하게 설치된다. 후방 구동장치(66)는 일부가 절취 형성된 상부면(68)과, 그 상부면의 양측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며 하우징(32)의 지지면(34)의 후방에 형성된 가이드홈(40;42)에 각각 삽입되는 지지판(70;72)을 구비한다. 후방 구동장치(66)의 상부면의 전방단에는 후술되는 연동장치의 돌출편이 삽입되어 왕복동되는 구동홈(73)이 횡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지지판(70;72)에는 후술되는 휠조립체가 상하 왕복은 물론 회동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의 장착홈(74;76)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특히, 각각의 지지판(70;72)에 형성된 장착홈(74;76)의 하단에는 인라인스케이트로의 전환시 휠조립체의 링크가 안정적으로 고정 유지 될 수 있는 스토퍼홈(74a;76a)이 대체로 직각으로 연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면(68)의 후방단에는 후술되는 조작장치가 삽설되어 작동될 수 있으며 하우징(32)의 후방에 형성된 고정홈(46)과 연통하는 종방향 홈(78)과 그 총방향 홈의 일측에 형성된 횡방향 홈(80)이 소정의 사이즈로 형성된다.
하우징(32)에는 각각의 구동장치(52;66)를 작동시키기 위한 연동장치(82)가 설치된다. 연동장치(82)는 고정편(84)에 의해 하우징(32)의 지지면(34)의 중앙에 형성된 고정홈(44)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몸체(86)를 구비한다. 그 몸체(86)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동장치(82)의 몸체(86)의 하부면의 제위치에는 전방 구동장치(42)의 후단에 형성되는 구동홈(60)에 왕복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돌출편(88)이 형성되며, 그 제1돌출편(88)이 설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후방 구동장치(66)의 전방단에 형성되는 구동홈(73)에 왕복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돌출편(90)이 형성된다.
하우징(32)의 후단에 형성된 고정홈(46)에는 조작기(92)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조작기(92)는 하우징(32)의 고정홈(46)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후방 구동장치(66)의 종방향 홈(78)에 삽입되는 회전축(94)과, 그 회전축(94)에 대해 거의 직각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종단에 후방 구동장치(66)의 횡방향 홈(80)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편(96)이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부재(98)를 일체로 구비한다. 또한, 조작기(92)는 실제로 착화자 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좌,우로 회전시켜 구동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솔(14)의 홈(18)을 통해 신발의 후방으로 노출되는 레버(100)를 일체로 구비한다. 그 레버(100)는 롤러장치(30)의 본체(10) 및 커버(20)에 장착시 커버(20)의 관통구 및 본체(10)의 솔(14)의 홈(18)을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레버(100)는 커버(20)로의 조립장치(20)의 용이한 삽설을 위해 분리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레버(100)는 고정부(100a)와 그 고정부(100a)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며 솔(14)의 홈(18)을 통해 고정부에 결합할 수 있는 파지편(100b)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고정부(100a)와 파지편(100b)은 볼트 및 너트 체결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32) 및 각각의 구동장치(52,66)에는 복수의 휠조립체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우징(32)의 전방부와 전방 구동장치(52)에는 전방휠 조립체 쌍(102)이 설치된다. 전방 휠조립체 쌍(102)의 각각의 휠조립체는 굴곡 형성되는 링크(104)와 그 링크(104)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휠(106)을 구비한다. 각각의 링크(104)의 적정위치, 즉, 굴곡부에는 핀(108)에 의해 하우징(32)의 양 측벽(48)의 전방에 형성된 각각의 장착공(5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관통공(110)이 천공 형성된다. 링크(104)의 상단에는 전방 구동장치(52)에 형성된 각각의 해당 장착홈(62,64)에 상하로 왕복 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편(112)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물론, 각각의 휠(106)은 각각의 링크(104)의 단부에 볼트(114)에 의해 교체 및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며, 또한 다양한 재질로 형성됨은 물론 통상의 발광 휠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응하게, 하우징(32)의 후방부와 후방 구동장치(66)에는 전방휠 조립체 쌍(102)과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는 후방 휠 조립체 쌍(116)이 설치된다. 후방 휠 조립체 쌍(116)의 각각의 휠 조립체는 굴곡 형성되는 링크(118)와 그 링크(118)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휠(120)을 구비한다. 각각의 링크(118)의 적정위치, 즉, 굴곡부에는 핀(122)에 의해 하우징(32)의 양 측벽(48)의 후방에 형성된 각각의 장착공(50)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관통공(124)이 천공 형성되며, 링크(118)의 상단에는 후방 구동장치(66)에 형성된 각각의 해당 장착홈(74,76)에 상하로 왕복 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편(126)이 일체로 형성된다. 물론, 각각의 휠(120)은 각각의 링크(118)의 단부에 볼트(128)에 의해 교체 및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며, 또한 다양한 재질로 형성됨은 물론 통상의 발광휠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라인스케이트 겸용 신발에 적용되는 롤러장치(30)는 인라인스케이트 사용상태에서 휠조립체를 보다 본 안정적으로 고정 유지시키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즉, 전방 구동장치(52)의 각각의 지지판(56;58)의 내측에는 인라인스케이트로의 전환시 전방 휠조립체 쌍(102)의 휠조립체의 링크(104)가 접촉되어 고정 지지되는 스토퍼(56a;58a)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후방 구동장치(66)의 각각의 지지판(70;72)의 내측에는 인라인스케이트로의 전환시 후방 휠조립체 쌍(116)의 휠조립체의 링크(118)가 접촉되어 고정 지지되는 스토퍼(70a;72a)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게, 전방 휠조립체 쌍(102)의 각각의 링크(104)의 상부에는 전방 구동장치(52)의 각각의 스토퍼(56a,58a)와 접촉 유지되어 임의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평탄한 쇄정면(104a)이 형성된다. 또한, 후방 휠조립체 쌍(116)의 각각의 링크(118)의 상부에는 후방 구동장치(66)의 각각의 스토퍼(70a,72a)와 접촉 유지되어 임의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평탄한 쇄정면(118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이 각각의 구동장치에 별도의 스토퍼가 구비되는 경우 하우징(32)과 각각의 구동장치(52,66)간의 용이한 조립을 위해, 각각의 가이드홈(36,38;40,42)에는 각각의 구동장치(52,56)의 조립시 각각의 스토퍼(56a,58a;70a,72a)가 출입될 수 있는 보조홈(36a,38a;40a,42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전술된 제2실시예와 같은 구성에서는 각각의 장착홈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스트퍼홈들이 생략될 수 있다.
이하,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인라인스케이트 겸용 신발의 사용방식 및 그 작용모드에 대해 도 1a 및 1b 와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체(10)에 대한 롤러장치(30)의 조립을 간단히 설명하면, 본체(10)의 솔(14)에 형성된 수용홈(16)에 먼저 커버(20)를 삽입하여 열접착을 통해 수용홈(16)에 일체화시킨다. 이 상태에서, 완전히 조립된 롤러장치(30)를 커버(20)에 삽설한 후 볼트(B)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각각의 체결공(24) 및 그 체결공에 구비된 용접너트(N)에 체결하여 결합을 완료한다. 이후, 작업자는 조작기(92)의 레버(100)의 파지편(100b)을 고정부(100a)에 결합시키거나 또는 별도로 사용자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
이 같은 완성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일반적인 신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솔(14)의 바닥면이 지면에 접촉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전방 구동장치(52)와 후방 구동장치(66)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최대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각각의 구동휠 조립체 쌍(102;116)의 각각의 휠조립체 모두는 하우징(32)의 내부에 완전히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사용자는 일반적인 운동화 또는 신발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와 같이 신발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구동휠 조립체 쌍(102;116)의 각각의 링크(104;118)는 2개의 지점, 즉 하우징(32)의 장착공(50)에 회전축 역할을 하는 핀(108;122)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동시에 링크(104;118)의 상단 모서리에 형성된 고정편(112;126)이 구동장치(252;265)의 각각의 장착홈(62,64;74,76)의 상단에 모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추후 구동장치가 작동되지 않는 한 각각의 구동휠들은 수평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하우징(32)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유지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신발 이용상태에서 착화자 또는 사용자가 인라인스케이팅 또는 롤러블레이딩을 즐기기 위해서는 각각의 휠조립체 쌍(102;116)의 각각의 휠조립체를 회동시켜 이들에 구비된 각각의 휠(106;120)을 솔(14)의 수용홈(16)의 외부로, 즉, 하우징(22)의 외부로 돌출시켜야 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솔(14)의 후방단의 홈(18)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조작기(92)의 핸들(100)의 파지편(100b)을 파지하여 화살표(A1)와 같이 회전시키면, 그 조작기(92)에 연결된 후방 구동장치(66)가 화살표(A2)와 같이 전방으로 전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후방 구동장치(66)가 전진됨과 동시에, 그 후방 구동장치(66)의 전방단의 구동홈(73)에 제2돌출편(90)에 의해 연설된 연동장치(82)의 몸체(86)가 화살표(A3)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그 연동장치(82)의 제1돌출편(88)이 후방단의 구동홈(60)에 연설된 전방 구동장치(52)가 화살표(A4)와 같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각각의 구동장치(52;66)의 이동은 이들의 각각의 지지판(56,58;70,72)이 하우징(32)의 지지면(34)에 형성된 대응하는 가이드홈(36,38;40,42)에 삽입되어 원활하게 실행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연동장치(82)에 의한 전방 구동장치(52)와 후방 구동장치(66)의 상호간 상대운동에 따라 이들 각각의 구동장치(52;66)에 설치된 휠조립체 쌍(102;116)의 각각의 휠조립체가 각각 화살표(A5;A6)방향으로 회동되어 전개되는 것이다(도 8 및 도 9). 즉, 조작기(92)가 화살표(A1)방향으로 계속해서 회전됨으로 인해 각각의 구동장치(52;66)가 연동장치(82)에 의해 상대방향으로 계속 이동됨에 따라, 각각의 구동장치(52;66)의 장착홈(62,64;74,76)에 고정편(112;126)에 의해 연설된 해당하는 각각의 휠조립체 쌍(102;116)의 각각의 휠조립체의 각각의 링크(104;118)가 핀(108;122)을 축으로 하여 각각 화살표(A5;A6)방향으로 회동되어 전개되는 것이다.
이때, 각각의 링크(104;118)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편(112;126)은 각각의 구동장치(52;66)에 형성된 장착홈(62,64;74,76)을 따라 하방으로 점진적으로 이동하게 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하방으로 이동되어 각각의 휠조립체가 완전히 전개될 때까지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 같은 각각의 휠조립체의 링크(104;118)의 회동은, 각각의 관통공(110;124)에 삽입되어 하우징(32)의 각각의 장착공(50)에 고정되는 핀(108;122)을 고정축으로 하는 각각의 링크(104;118)의 고정편(112;126)의 원운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각각의 회전조립체 쌍(102;116)의 회동은, 조작기(92)의 레버(100)가 화살표(A1)방향으로 완전히 회전됨으로써,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조립체의 링크(104;118)에 구비된 고정편(112;126)이 전,후방 구동장치(52;66)의 각각의 측벽(56,58;70,72)에 형성된 각각의 장착홈(62,64;74,76)의 하단에 연통하는 스토퍼홈(62a,64a;74a,76a)에 삽입되어 고정될 때까지 계속된 후 정지된다. 이 상태는 물론, 조작기(92)의 레버(100)가 화살표(A1)방향으로 완전히 회전된 상태이고, 각각의 구동장치(52;66)가 서로를 향해 화살표(A2;A4) 방향으로 최대로 이동된 상태이며, 연동장치(82)는 화살표(A3)방향으로 최대로 회전된 상태이고, 휠 조립체 쌍(102;116)의 각각의 휠 조립체는 화살표(A5;A6)방향으로 최대로 회동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각각의 회전 조립체의 링크(104;118)에 구비된 고정편(112;126)이 각각의 구동장치(52;66)의 각각의 스토퍼홈(62a,64a;74a,76a)에 삽입되어 고정되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휠 조립체 쌍의 각각의 휠조립체가 완전히 전개되어 각각의 휠(106;120)이 솔(14)의 하방으로 완전히 노출 고정되어 인라인스케이트 형태를 취함으로써, 사용자는 안정적으로 인라인스케이팅 또는 롤러 블레이딩을 즐길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는 레버(100)의 파지편(100b)을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할 수 있어 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롤러장치를 적용한 경우에는 전술된 바와 같은 유사한 작동에 의해 휠조립체가 전개되면, 전방 휠조립체 쌍(102)의 각각의 링크(104)의 상부에 형성된 쇄정면(104a)이 전방 구동장치(52)의 각각의 스토퍼(56a,58a)와 접촉 유지되며, 또한 후방 휠조립체 쌍(116)의 각각의 링크(118)의 상부에 형성된 쇄정면(118a)이 후방 구동장치(66)의 각각의 스토퍼(70a,72a)와 접촉 유지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링크(104;118)의 고정편(112;126)과 각각의 구동장치(52;66)의 스토퍼홈(62a,64a;74a,76a)간의 구속력에 더하여 각각의 링크(104;118)의 쇄정면(104a;118a)과 각각의 구동장치(52;66)의 스토퍼(56a,58a;70a,72a)간의 교합력에 의해 상호간의 더욱 견고한 체결을 이루어, 각각의 휠조립체가 임의로 접히거나 후퇴되는 것이 차단되어 안정적인 인라인스케이팅을 즐길 수 있는 것이다.
역으로, 사용자가 인라인스케이팅을 마친 후 다시 정상상태 즉, 일반적인 신발로 사용하려 하는 경우, 사용자는 조작기(92)의 레버(100)의 파지부를 파지하여 도 10으로부터 도 7과 같이 화살표(A11)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조작기(92)에 연결된 후방 구동장치(66)가 화살표(A12)와 같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후방 구동장치(66)가 후진함과 동시에, 그 후방 구동장치(66)의 전방단의 구동홈(73)에 제2돌출편(90)에 의해 연설된 연동장치(82)의 몸체(86)가 화살표(A13)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그 연동장치(82)의 제1돌출편(88)이 후방단의 구동홈(60)에 연설된 전방 구동장치(52)가 화살표(A14)방향으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각각의 구동장치(52;66)가 각각 반대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각각의 휠조립체의 링크(104;118)의 고정편(112;126)이 각각의 구동장치(52;66)의 측벽(56,58;70.72)에 형서된 스토퍼홈(62a,64a;74a,76a)으로부터 이탈되어 각각의 장착홈(62,64;74,76)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또한, 연동장치(82)에 의한 전방 구동장치(52)와 후방 구동장치(66)의 상호간 상대운동에 따라 이들 각각의 구동장치(52;66)에 설치된 휠조립체 쌍(102;116)의 각각의 휠조립체가 각각 화살표(A15;A16)방향으로 회동되어 원위치로, 즉, 하우징(32)의 내부를 향해 회동되기 시작한다. 즉, 조작기(92)가 화살표(A11)방향으로 계속해서 회전됨으로 인해 각각의 구동장치(52;66)가 연동장치(82)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계속 이동됨에 따라, 각각의 구동장치(52;66)의 장착홈(62,64;74,76)에 고정편(112;126)에 의해 연설된 해당하는 휠조립체 쌍(102;116)의 각각의 휠조립체의 링크(104;118)가 핀(108;122)을 축으로 하여 각각 화살표(A15;A16)방향으로 회동되어 접혀지는 것이다.
이때, 각각의 휠조립체의 링크(104;118)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편(112;126)은 각각의 전,후 구동장치(52;66)에 형성된 장착홈(62,64;74,76)을 따라 상방으로 점진적으로 이동하게 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상방으로 이동되어 각각의 휠조립체가 완전히 후퇴될 때까지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 같은 각각의 휠조립체의 링크(104;118)의 회동은, 각각의 관통공(110;124)에 삽입되어 하우징(32)의 양측벽(56,58;70,72)에 형성된 장착공(50)에 고정되는 핀(108;122)을 회전축으로 하는 각각의 링크(104;118)의 고정편(112;126)의 원운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각각의 회전조립체 쌍(102;116)의 회동은, 조작기(92)의 레버(100)가 화살표(A11)방향으로 완전히 회전됨으로써, 휠 조립체의 링크(104;118)에 구비된 각각의 고정편(112;126)이 각각의 구동장치(52;66)의 양측벽(56,58;70,72)에 각각 형성된 스토퍼홈(62a,64a;74a,76a)로부터 이탈되어 하우징(32)의 내부로 완전히 후퇴될 때까지 계속된다. 이 상태는 물론 최초의 정상상태, 즉 통상의 운동화 또는 신발 상태로써, 조작기(92)의 레버(100)는 화살표(A11) 방향으로 최대로 회전된 상태이고, 각각의 구동장치(52;66)는 상호 반대로 화살표(A12;A14)방향으로 최대로 이동된 상태이며, 연동장치(82)는 화살표(A13)방향으로 최대로 회전된 상태이고, 휠 조립체 쌍(102;116)의 각각의 휠 조립체는 화살표(A15;A16)방향으로 최대로 회동된 상태이며, 또한 각각의 휠조립체의 고정편(112;126)은 각각의 구동장치(52;66)의 장착홈(62,64;74,76)의 최상부에 위치되는 상태로 복귀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편안하고 안정적인 보행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도 물론, 구동휠 조립체 쌍(102;116)의 각각의 링크(104;118)는 2개의 지점, 즉 하우징(32)의 장착공(50)에 회전축 역할을 하는 핀(108;122)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동시에 링크(104;118)의 상단 모서리에 형성된 고정편(112;126)이 구동장치(252;265)의 각각의 장착홈(62,64;74,76)의 상단에 모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추후 구동장치가 작동되지 않는 한 각각의 구동휠들은 수평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하우징(32)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유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롤러 장치를 조작하여 휠을 돌출시키거나 또는 원위치로 복귀시켜 인라인스케이팅 또는 롤러블레이딩을 즐기거나 일반적인 신발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장치를 구비한 신발에 의하면, 정상적인 보행상태에서는 일반적인 신발로 이용할 수 있고 스케이팅시에는 안정적인 롤러블레이드로 이용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되며, 인라인스케이트 상태일 때 각각의 휠조립체가 전개상태로 견고하게 쇄정되어 유지됨으로써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고가 있다.
또한, 휠조립체의 휠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돌출시키거나 복귀시킬 수 있어 신발기능과 인라인스케이트 기능이 상호간 신속하고 용이하게 변환될 수 있어 제품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분해, 조립,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고 신속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인라인 스케이트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스케이트 겸용 신발의 휠조립체가 후퇴되어 신발로 사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휠조립체가 돌출되어 인라인스케이트로 사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신발에 적용되는 롤러장치의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롤러 장치의 결합된 사시도로서, 커버는 점선으로 도시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선Ⅴ-Ⅴ에 따른 확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스케이트 겸용 신발에 적용되는 롤러장치의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부분 분해 사시도.
도 7 내지 도 10은 도 2의 롤러장치가 장착된 신발을 인라인스케이트로 사용하기 위한 롤러조립체의 작동순서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본체 및 커버는 생략되고 하우징은 점선으로 도시된 사시도.
도 11은 도 6의 롤러장치의 인라인스케이트 사용상태에서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본체 및 커버는 생략되고 하우징은 점선으로 도시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20: 커버
30: 롤러장치 32: 하우징
52: 전방 구동장치 66: 후방 구동장치
82: 연동장치 92: 조작기
102: 전방 휠조립체 쌍 116: 후방 휠조립체 쌍

Claims (8)

  1. 사용자의 발에 착화되는 몸통과, 그 몸통의 하부에 일체로 부착되며 수용홈이 종방향으로 형성된 솔을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의 수용홈에 삽설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이동 가능하게 삽설되는 전방 구동장치와,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이동 가능하게 삽설되는 후방 구동장치,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며 전방 구동장치와 상기 후방구동장치를 상호 상대방향으로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장치와, 상기 전방 구동장치 및 후방 구동장치에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휠 조립체 쌍과, 상기 후방 구동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조작기를 구비하는 롤러장치를 포함하는 인라인스케이트 겸용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전방, 후방 및 하부가 개방된 입방체로 형성되며, 상기 전방 구동장치와 상기 후방 구동장치가 삽설되어 안내될 수 있도록 상호 대향하며 2개의 가이드홈으로 각각 이루어진 가이드홈 쌍이 형성되며 중앙에 상기 연동장치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공과 후방에 상기 조작기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공이 형성되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휠조립체 쌍의 각각의 휠 조립체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복수의 장착공이 형성되는 측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스케이트 겸용 신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구동장치는 일부가 절취 형성되며 후방단에 상기 연동장치가 회전 가능하게 연설되도록 횡으로 형성된 구동홈이 형성되는 상부면과, 상기 상부면의 양측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지지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각각의 휠조립체가 회동 가능하게 삽설되는 장방형 장착홈이 형성되는 지지판을 구비하며; 상기 후방 구동장치는 일부가 절취 형성되며 전방단에 상기 연동장치가 회전 가능하게 연설되도록 횡으로 형성된 구동홈이 형성되고 후방단에 상기 조작기가 관통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형성된 고정공과 연통하는 종방향 홈과 상기 조작기에 의해 연동될 수 있도록 상기 조작기가 삽입되는 횡방향 홈이 형성되는 상부면과, 상기 상부면의 양측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지지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각각의 휠조립체가 이동 가능하게 삽설되는 장방형 장착홈이 형성되는 지지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스케이트 겸용 신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지지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지지편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원판형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면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전방 구동장치의 후단에 형성되는 구동홈에 왕복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돌출편과, 상기 제1돌출편이 설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후방 구동장치의 전방단에 형성되는 구동홈에 왕복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돌출편을 일체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 겸용 신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기는 상기 하우징의 고정홈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후방 구동장치의 종방향 홈에 관통 삽입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일체로 형성되며 종단에 상기 후방 구동장치의 횡방향 홈에 왕복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편이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부재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는 레버를 일체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 겸용 신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휠 조립체 쌍의 각각의 휠조립체는 굴곡 형성되며 핀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장착공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관통공이 천공되며 상단에 상기 각각의 구동장치에 형성된 장착홈에 상하로 왕복 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편이 일체로 형성되는 링크와, 상기 링크의 단부에 회전 및 분해 가능하게 고정되는 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 겸용 신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구동장치 및 후방구동장치의 각각의 지지판에 형성된 장착홈의 하단에는, 인라인스케이트 사용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휠조립체의 링크가 삽입되어 유지되는 스토퍼홈이 연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스케이트 겸용 신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각각의 가이드홈에는 각각의 가이드홈과 일체로 연통하는 보조홈이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전방 구동장치의 지지판 및 후방 구동장치의 지지판에는 상기 휠조립체의 링크를 전개된 상태로 고정 유지시키기 위한 스토퍼가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 겸용 신발.
KR10-2002-0083762A 2002-12-24 2002-12-24 인라인스케이트 겸용 신발 KR100509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3762A KR100509849B1 (ko) 2002-12-24 2002-12-24 인라인스케이트 겸용 신발
CN 03109414 CN1265856C (zh) 2002-12-24 2003-04-07 直排轮鞋
JP2003357750A JP2004305700A (ja) 2002-12-24 2003-10-17 インラインスケート兼用シュー
PCT/KR2003/002713 WO2004058366A1 (en) 2002-12-24 2003-12-11 Shoe with inline skate
AU2003303371A AU2003303371A1 (en) 2002-12-24 2003-12-11 Shoe with inline sk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3762A KR100509849B1 (ko) 2002-12-24 2002-12-24 인라인스케이트 겸용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003A KR20040057003A (ko) 2004-07-01
KR100509849B1 true KR100509849B1 (ko) 2005-08-23

Family

ID=37349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3762A KR100509849B1 (ko) 2002-12-24 2002-12-24 인라인스케이트 겸용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98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3214B1 (ko) * 2005-04-08 2006-03-21 (주)빌리브 보조용 휠조립체가 구비된 신발겸용 인라인 스케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003A (ko) 2004-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90613A1 (en) Wheeled skate
KR100509849B1 (ko) 인라인스케이트 겸용 신발
US6394468B1 (en) Dual-purpose shoe
KR100533786B1 (ko) 인라인스케이트 겸용 신발
KR100530834B1 (ko) 롤러 장치를 구비한 신발
JPH06292604A (ja) かんじき
JP2004305700A (ja) インラインスケート兼用シュー
KR200265497Y1 (ko) 롤러장치를 구비한 신발
KR200301227Y1 (ko) 인라인스케이트 겸용 신발
KR200332078Y1 (ko) 보행식 차량장치
KR100490349B1 (ko) 롤러 블레이드
KR200330176Y1 (ko) 힐링 슈즈
KR200364894Y1 (ko) 신발 겸용 변신 인라인 스케이트
KR20040035034A (ko) 인라인스케이트 겸용 신발
US20040178588A1 (en) Roller blade shoes
JP3055879B2 (ja) スノーボードブーツの揺動機構
CA2181212C (en) In-line skate with slotted midsole
KR100627854B1 (ko) 추진수단이 장착된 빙상용 스케이트보드
WO2006083102A1 (en) Inline skates having straight drive type joint structure
KR200325200Y1 (ko) 힐링 슈즈
KR20030030376A (ko) 스케이트
KR20040038288A (ko) 인라인스케이트 겸용 신발
KR200292550Y1 (ko) 롤러가 구비된 신발 구조
KR200351477Y1 (ko) 인라인 스케이트의 착용이 용이한 다기능 직립 보행 장치.
JP3082431U (ja) ローラースケート兼用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