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0834B1 - 롤러 장치를 구비한 신발 - Google Patents

롤러 장치를 구비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0834B1
KR100530834B1 KR10-2001-0070569A KR20010070569A KR100530834B1 KR 100530834 B1 KR100530834 B1 KR 100530834B1 KR 20010070569 A KR20010070569 A KR 20010070569A KR 100530834 B1 KR100530834 B1 KR 100530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shoe
link
housing
wheel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0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9603A (ko
Inventor
유상철
Original Assignee
이홍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홍길 filed Critical 이홍길
Priority to KR10-2001-0070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0834B1/ko
Priority to PCT/KR2002/002091 priority patent/WO2003041526A1/en
Priority to US10/294,031 priority patent/US20030227153A1/en
Publication of KR20030039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9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0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08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16Skating boots
    • A43B5/1633Multipurpose skate boo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8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retractable wheel, i.e. movable relative to the chassis out of contact from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0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fixable wheels permitting the skates to be used for walking

Abstract

본 발명은 정상적인 보행상태에서는 일반적인 신발로 이용할 수 있고 스케이팅시에는 안정적인 롤러블레이드로 이용할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한다. 그 신발은 사용자의 발에 착화되는 몸통과, 그 몸통의 하부에 일체로 부착되며 수용홈이 종방향으로 형성된 솔을 구비한 본체; 솔에 내장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전,후방으로 왕복가능한 스토퍼와, 하우징의 전방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스토퍼에 의해 신발사용상태 및 인라인 스케이트 사용 상태로 고정 유지되는 제1휠조립체와, 하우징의 후방에 설치되고 제1휠조립체의 회동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스토퍼에 의해 신발사용상태 및 스케이팅 사용 상태로 고정 유지되는 제2휠조립체를 구비하는 롤러 장치; 및 롤러 장치의 스토퍼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스토퍼에 연계되며 본체의 솔의 측방에 설치되는 스위치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롤러 장치를 구비한 신발{SHOES WITH ROLLER DEVICE}
본 발명은 롤러 장치를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상상태에서는 일반적인 신발로 사용할 수 있고 필요시 인라인스케이팅 또는 롤러블레이딩을 즐길 수 있도록 휠조립체가 바닥에 돌출 가능한 롤러 장치를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러 블레이드라 칭하는 인라인 스케이트는 운동, 레크레이션 등의 목적으로 어린이뿐 아니라 많은 대중들도 널리 이용하고 있다. 이 같은 롤러블레이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발에 착용할 수 있는 부츠형 신발(1)과, 그 신발의 하부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휠 블레이드 조립체(2)를 구비하고 있다. 휠블레이드 조립체(2)는 실제적으로 부츠(1)에 고정장착된 런너 또는 블레이드(3)와, 그 블레이드(3)에 샤프트(4)에 의해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호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5개 또는 4개의 롤러 또는 휠(5)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발에 부츠(1)를 착용한 후 일반적인 빙상용 스케이트를 타는 방식으로 롤러블레이딩 또는 인라인 스케이팅을 즐길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스케이팅을 즐기는데는 많은 제약 및 불편함이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롤러블레이드를 즐기기 위해서는, 예컨대 아스팔트, 콘크리트 등과 같이 바닥이 강하고 평탄한 지역에서만 효과적으로 즐길 수 있다. 다음으로, 롤러블레이드를 즐기기 위해서는 항상 별도로 롤러블레이드를 구비해야 하며, 평탄하지 않은 지역을 이동하거나 또는 스케이팅을 마친 후에는 롤러블레이드를 벗고 일반적인 신발로 갈아 신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결국, 롤러브레이드의 사용자는 항상 롤러블레이드와 일반적인 신발중 하나를 상황에 따라 갈아신어야 하며, 착용하지 않은 다른 하나는 별도로 보관하거나 휴대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할 뿐 아니라 2개 모두를 각각 별도로 구입해야하는데 따라 별도의 비용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 롤러 장치를 부츠에 장착시켜 인라인 스케이팅으로 사용할 수 있는 종래의 예로서 미국특허 제6,042,125호가 있다. 이 특허의 인라인 스케이트는 신발에 롤러장치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인라인 스케이트는 사용자가 롤러장치를 취급하기가 곤란하며, 와관이 콤팩트하지 못할 뿐 아니라 일반적인 신발로의 사용시 착용감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상적인 보행상태에서는 일반적인 신발로 이용되고 인라인 스케이팅시에는 롤러블레이드로 이용할 수 있는 롤러장치를 구비한 신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발기능과 롤러블레이드기능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변환될 수 있는 롤러장치를 구비한 신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경량이며 안전한 롤러장치를 구비한 신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 같은 목적들은, 사용자의 발에 착화되는 몸통과, 그 몸통의 하부에 일체로 부착되며 수용홈이 종방향으로 형성된 솔을 구비한 본체; 그 솔에 내장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전,후방으로 왕복가능한 스토퍼와, 하우징의 전방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스토퍼에 의해 신발사용상태 및 인라인 스케이트 사용 상태로 고정 유지되는 제1휠조립체와, 하우징의 후방에 설치되고 제1휠조립체의 회동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스토퍼에 의해 신발사용상태 및 스케이팅 사용 상태로 고정 유지되는 제2휠조립체를 구비하는 롤러 장치; 및 그 롤러 장치의 스토퍼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수단을 포함하는 롤러장치를 구비한 신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롤러장치를 구비한 신발은 사용자 또는 착용자가 신을 수 있는 본체(10)를 구비한다. 본체(10)는 실제로 사용자의 발이 착화되는 몸통(12)과, 그 몸통(12)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 또는 솔(14)을 구비한다. 특히, 솔(14)에는 상세히 후술되는 롤러장치가 삽입되는 수용홈(16)과, 그 롤러장치의 조절을 위해 그 롤러장치에 연계되는 스위치가 삽입되는 설치공(18)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본체(10)의 솔(14)에 형성된 수용홈(16)에는 롤러 장치(20)가 삽설된다. 롤러 장치(20)는 실제로 본체(1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하우징(22)을 구비한다. 하우징(22)은 대체로 장방형의 입방체형으로 형성되며 하부는 완전히 개방되어 있다. 하우징(22)의 양측부에는 상세히 후술되는 휠 조립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링크를 장착하기 위한 복수개의 장착공(24,26,28,30)이 각각 상호 대칭관계로 형성된다. 특히, 이들 장착공 중 장착공(24,28)에는 상세히 후술되는 링크에 구비되는 코일스프링을 탄성적으로 설치하기 위한 고정홈(24a,28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양측부 중 어느 일측부의 중앙부에는 후술되는 핸들이 장착될 수 있도록 전술된 솔의 설치공(18)과 연통하는 설치공(32)이 천공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22)의 양측부의 중앙부에는, 양단부가 해당 측부에 각각 고정되는 보강부재(3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우징(22)의 전방에는 후술되는 롤러 장치의 스토퍼의 전방단이 출입가능한 하나의 개구부(36)가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는 후방벽에는 그 스토퍼에 형성된 스위치가 왕복 가능하게 삽입되는 다른 하나의 개구부(38)가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22)의 양 측벽의 내측에는 상호 대향하는 3개의 핀 고정홈(40,42,4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22)의 양 측벽에 하나의 쌍으로 형성된 각각의 고정홈(40,42,44)에는 각각 핀(46,48,50)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하우징(22)에는 스토퍼(52)가 일정범위 내에서 왕복 가능하게 삽설된다. 스토퍼(52)의 양단부의 하부에는 각각 고정판(54,56)이 구비된다. 스토퍼(52)의 전방단은 스토퍼(52)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하우징(22)의 하나의 개구부(36)에 삽입될 수 있고, 후방단은 스토퍼(52)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다른 하나의 개구부(38)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토퍼(52)가 하우징(22)에 왕복동 가능하게 삽설되는 것이다.
그리고, 하우징(22)의 중앙부에는 일정 크키로 일체로 형성되며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홈(60)이 형성된 접동부(62)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22)의 일측부의 적정위치에는 스프링 고정편(64)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그 스프링 고정편(64)에는 일단부가 하우징(22)에 구비된 핀들 중 하나의 핀(46)에 고정되는 스프링(66)의 타단부가 고정된다. 이 같은 구성에 따라, 하우징(22)과 스토퍼(52)는 스프링(66)에 의해 탄성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스토퍼(52)의 양단으로부터 일정거리의 양측부에는 후술되는 각각의 링크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2개의 고정편(68,70)이 상호 쌍을 이루며 하방 및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스토퍼(52)의 하부의 하우징(22)의 내측의 전방에는 제1휠조립체(72)가 돌출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휠조립체(72)는 하우징(22)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링크(74)를 구비한다.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링크(74)는 고정로드(76) 와 그 고정로드의 양단에 구비되는 코일스프링(78)에 의해 하우징(22)의 양측방에 형성된 장착공(24)에 탄성적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코일스프링(78)의 양단부(78a)는 장착공(24)의 고정홈(24a)에 고정됨으로써, 고정로드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제1링크(74)의 대체로 상부의 양측에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정상상태, 즉, 사용자가 일반적인 신발로 이용하는 경우 스토퍼(52)의 전방단에 형성된 고정판(54)과 접하는 제1교접부(80)가 형성되며, 반대측에는 사용자가 인라인 스케이팅 또는 롤러블레이딩을 즐기기 위해 롤러조립체를 돌출시키는 경우 그 링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스토퍼(52)의 고정판(54)이 안착되는 제2교접부(82)가 형성된다. 또한, 제1링크(74)의 일단부에는 실제로 지면에서 구름운동하는 휠 또는 롤러(84)가 고정볼트(86) 및 너트(8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한편, 제1휠조립체(72)는 제1링크(74)에 종동적으로 연결되는 제2링크(90)를 구비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링크(90)의 양측 상단에는 하우징(22)의 양측에 형성된 다른 하나의 장착공(26)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편(92)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특히, 제2링크(90)의 상단의 일측에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정상상태, 즉, 사용자가 일반적인 신발로 이용하는 경우 스토퍼(52)의 전방측에 형성된 하나의 고정편(68)에 접하는 교접부(94)가 형성된다. 물론, 제2링크(90)의 일단부에는 롤러 또는 휠(96)이 고정볼트(98) 및 너트(100)에 의해 구름 가능하게 고정된다.
특히, 제1링크(74)와 제2링크(90)는 상호 동시적으로 적용 및 작동되고 또한 연동되도록 가이드(102)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22)의 후방에는, 전술된 제1휠조립체(72)와 동일 구성을 갖지만 반대로 배치되는 제2휠조립체(104)가 장착된다. 제2휠조립체(104)는 하우징(22)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링크(106)를 구비한다. 제1링크(106)는 고정로드(108) 와 그 고정로드의 양단에 구비되는 코일스프링(110)에 의해 하우징(22)의 양측방에 형성된 장착공(28)에 탄성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코일스프링(110)의 양단부(110a)는 장착공(28)의 고정홈(28a)에 고정됨으로써, 고정로드(108)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링크(106)의 대체로 상부의 일측에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정상상태, 즉, 사용자가 일반적인 신발로 이용하는 경우 스토퍼(52)의 후방단에 형성된 다른 하나의 고정판(56)과 접하는 제1교접부(112)가 형성되며, 반대측에는 사용자가 인라인 스케이팅 또는 롤러블레이딩을 즐기기 위해 롤러조립체를 돌출시키는 경우 그 링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스토퍼(52)의 고정판(56)이 안착되는 제2교접부(114)가 형성된다. 또한, 제1링크(106)의 일단부에는 실제로 지면에서 구름운동하는 휠 또는 롤러(116)가 고정볼트(118) 및 너트(12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한편, 제2휠조립체(104)는 제1링크(106)에 종동적으로 연결되는 제2링크(122)를 구비한다. 제2링크(122)의 양측 상단에는 하우징(22)의 양측에 형성된 다른 하나의 장착공(3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편(124)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특히, 제2링크(122)의 상단의 일측에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정상상태, 즉, 사용자가 일반적인 신발로 이용하는 경우 스토퍼(52)의 후방측에 형성된 다른 하나의 고정편(70)에 접하는 교접부(126)가 형성된다. 물론, 제2링크(122)의 일단부에는 휠 또는 롤러(128)가 고정볼트(130) 및 너트(132)에 의해 구름 가능하게 고정된다.
특히, 제1링크(106)와 제2링크(122)는 상호 동시적으로 적용 및 작동되고 또한 연동되도록 가이드(134)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우징(22)의 일측에는 각각 휠조립체(72,104)를 회동시키거나 이동시켜 각각의 롤이 돌출되거나 후퇴될 수 있도록 스토퍼(52)를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136)가 설치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136)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회전시킬 수 있는 핸들(138)과, 본체(10)의 솔(14) 및 하우징(22)의 일측부에 각각 형성된 설치공(18,32)에 삽입되며 일단부가 볼트(140)에 의해 핸들(138)에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스토퍼(52)의 접동부(62)에 형성된 각각의 홈(60)에 치합되는 기어(142)가 형성되는 로드(144)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같은 구성에 따라, 핸들(138)의 회전방향에 따라 스토퍼(52)가 전,후로 이동되는 구성을 갖게되는 것이다.
한편, 도 10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된 제1휠조립체(72)와 제2휠조립체(104)는 상호 동시적으로 또한 대응되도록 작동되기 위해 연동장치(146)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연동장치(146)는 2개의 와이어, 즉, 제1와이어(148)와 제2와이어(15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예컨대 제1와이어(148)의 일단부는 제1휠조립체(72)의 제2링크(90)의 일측부의 중앙부에 형성된 고정편(90a)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제2휠조립체(104)의 제2링크(122)의 일측부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편(122b)에 고정되는 반면, 제2와이어(150)의 일단부는 제1휠조립체(72)의 제2링크(90)의 타측부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편(90b)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제2휠조립체(104)의 제2링크(122)의 타측부의 중앙부에 형성된 고정편(122a)에 고정된다. 이 같은 구성에 따라 각각의 와이어(148;150)는 상호 교차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와이어(148;150)가 상호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것은 일반적인 신발상태 또는 롤러블레이딩 상태로의 전환시 상호 대향하는 방식으로 원활하게 회동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즉, 휠조립체(72;104)의 제2링크(90;122)는 상호 시이소오 또는 지렛대 방식으로 작용하여 상호 반대방향 내지는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장치를 구비한 신발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152)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레이크(152)는 장착시 신발의 바닥 즉, 솔(14)의 후단에 접촉되는 지지홈(154)이 형성된 몸체(156)를 구비한다. 몸체(156)의 지지홈(154)의 전방에는 하우징(22)의 후방단과 제2휠조립체(104)의 제2링크(122)사이에 삽입되어 접촉결합되는 고정부재(158)가 돌출 형성된다. 고정부재(158)의 전면 양측에는 브레이크(152) 전체가 좌우로 요동되거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편(160)이 일체로 형성된다. 물론, 몸체(156)의 하부에는 실제로 지면에 접촉되어 마찰에 의한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스토퍼(162)가 구비되어 있다. 스토퍼(162)는 물론 마찰력 및 다소의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빈번한 사용으로 인해 과도하게 마멸되는 경우 이를 교체할 수 있도록 몸체(156)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4 내지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장치를 구비한 신발은, 스토퍼를 신발의 본체의 후방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스토퍼 후방에는 버튼(58)이 일체로 형성된다. 버튼(58)은 하우징(22)에 후방에 형성된 다른 하나의 개구부(38)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며 전후로 이동 가능하다.
이와 같이, 스토퍼(52)의 후방에 그 스토퍼의 이동을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버튼(58)이 형성됨으로써, 전술된 하나의 실시예의 스토퍼(52)에 일측방에 형성된 접동부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52)에 접동부가 생략됨으로써, 스토퍼(52)를 조작하기 위해 그 접동부의 홈에 치합되는 스위치가 생략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휠브레이드 장치를 구비한 신발의 사용방식 및 그 작용모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일반적인 신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휠조립체(72,104)는 본체(10)의 솔(14)에 형성되는 홈(16)에 완전히 삽입되어 그 솔(14)의 바닥면이 지면에 접촉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각각의 휠조립체(72;104)의 제1링크(74;106)의 제1교접부(80;112)는 스토퍼(52)의 양측단 하부에 형성된 고정판(54;56)과 접촉되어 눕혀진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휠조립체(72;104)의 제2링크(90;122)의 교접부(94;126)는 스토퍼(52)의 양측에 각각 돌출 형성된 고정편(68;70)에 각각 접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스토퍼(52)는 대체로 중앙위치에 고정 유지된다. 이때, 스토퍼(52)를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136)의 기어(142)는 스토퍼(52)의 접동부(62)의 대체로 중앙위치에 즉, 접동부(62)의 중앙부에 형성된 각각의 홈(60)들과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정상상태에서 사용자가 스케이팅 또는 블레이딩을 즐기기 위해서는 각각의 휠조립체(72;104)를 회동시켜 이들에 구비된 각각의 롤(84,96:116,128)을 지면과 접촉하여 구름 가능하게 솔(14)의 수용홈(16) 외부로 돌출시켜야 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솔(14)의 측부에 돌출되어 구비된 스위치(136)의 핸들(138)을 파지하여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A1)방향으로 돌리면, 그 핸들에 연설된 기어(142)에 의해 스토퍼(52)가 화살표(A2)방향으로 전진된다. 이와 같이, 스토퍼(52)가 전진되면, 그 스토퍼(52)의 각각의 고정판(54;56)이 휠조립체(72;104)의 제1링크(74;106)의 제1교접부(80;112)로부터 해제되고, 또한 각각의 휠조립체(72;104)의 제2링크(90;122)의 교접부(94;126)는 스토퍼(52)의 양측에 각각 돌출 형성된 고정편(68;70)으로부터 해제된다.
이와 같이, 스토퍼가 이동되어 각각의 링크가 그로부터 해제되면, 각각의 제1링크(74;106)를 지지하고 있는 각각의 고정로드(76;108)가 코일스프링(78;110)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됨과 동시에 그 고정로드에 고정된 각각의 제1링크(74;106)는 화살표(A3;A4)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와 함께, 제1링크(74;106)에 각각 가이드(102;134)에 의해 연결된 제2링크(90;122)도 각각 동일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각각의 제2링크(90,122)는 상호간의 연동장치(146)를 구성하는 제1와이어(148)와 제2와이어(150)가 상호 교차하는 방식으로 또한 시이소오방식으로 회전됨으로써, 그 회전력이 대칭적이고 균등하게 적용되어 원활하고 정확하게 회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각각의 휠조립체(72;104)가 회동되어 이들의 각각의 롤(84,96:116,128)이 완전히 돌출되면,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스프링(66)에 의해 스토퍼(52)가 후방으로 즉, 화살표(A5)방향으로 이동된다. 스토퍼(52)가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되면 그 스토퍼(52)의 전후방에 구비된 각각의 고정판(54;56)이 각각의 휠조립체(72,104)의 제1링크(74;106)의 제2교접부(82;114)에 접하게 된다. 물론, 이 경우, 스위치(136)는 스토퍼(52)의 이동에 연동되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방향으로 자동으로 회전된다. 선택적으로 또는 비상적으로 인장스프링(66)의 인장력이 저하되어 스토퍼(52)가 원활하고 완전하게 후진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스위치(136)의 레버(138)를 이용하여 스토퍼(52)를 강제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안정적으로 스케이팅 또는 블레이딩을 즐길 수 있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보다 안정적인 스케이팅을 즐기기 위해 사용자는 솔(14)의 후방에 브레이크(152)를 장착할 수 있다. 브레이크(152)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전술된 바와 같이 휠조립체를 회동시켜 롤을 돌출시키기 전에 솔(14)의 후방단에 장착해야 한다. 즉, 사용자는 브레이크(152)의 몸체(156)를 잡고 지지홈(154)을 솔(14)의 수용홈(14)의 후단에 외삽한 후, 전술된 바와 같이 휠조립체를 회동시키면, 고정부재(158)가 하우징(22)의 후방단과 제2휠조립체(104)의 제2링크(122)사이에 삽입되어 결합되어 고정된다. 또한, 돌출편(160)에 의해 브레이크(152)가 좌우로 요동되거나 이동되는 것을 방지되어 더욱 안정적인 브레이크의 장착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브레이크(152)가 장착되면, 비상시 또는 감속시 스토퍼(162)를 지면에 접촉시켜 마찰에 의한 제동력을 제공받음으로써, 안정적인 스케이팅을 즐길 수 있는 것이다.
역으로, 사용자가 스케이팅을 마친 후 다시 정상상태 즉, 일반적인 신발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스위치(136)의 핸들(138)을 파지하여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A1)방향으로 돌리면, 그 핸들에 연설된 기어(142)에 의해 스토퍼(52)가 화살표(A2)방향으로 전진된다. 이와 같이, 스토퍼(52)가 전진되면, 그 스토퍼(52)의 각각의 고정판(54;56)이 휠조립체(72;104)의 제1링크(74;106)의 제2교접부(82;114)로부터 해제된다. 제1링크(74;106)가 스토퍼(52)로부터 해제된 상태에서 각각의 휠(84,96;116,128)을 가압하면 각각의 제1링크(74;106)와, 그 제1링크(74;106)에 가이드(102;134)에 의해 연결된 제2링크(90;122)가 화살표(A6;A7)방향으로 회동되어 원위치로 복귀된다. 물론, 이 경우에도, 각각의 제2링크(90,122)는, 연동장치(146)의 제1와이어(148)와 제2와이어(150)에 의해 회전력이 대칭적이고 균등하게 적용되어 원활하고 정확하게 회동되는 것이다.
이후, 사용자가 스위치(136)의 핸들(138)을 놓으면, 인장스프링(66)에 의해 스토퍼(52)가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스토퍼(52)가 원위치로 복귀되면,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휠조립체(72,104)가 수용홈(16)에 완전히 삽입되어 각각의 제1링크(74:106)의 제1교접부(78;110)가 스토퍼(52)의 양측단 하부에 형성된 고정판(54;56)과 접촉됨은 물론 각각의 휠조립체(72;104)의 제2링크(90;122)의 교접부(94;126) 또한 스토퍼(52)의 양측에 각각 돌출 형성된 고정편(68;70)에 각각 접하여 각각의 링크가 눕혀진 상태의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신발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브레이크(152)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브레이크(152)를 솔(14)로부터 분리시킨 후 신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장치를 신발에서는 사용자가 스토퍼에 일체로 형성된 버튼을 이용하여 그 스토퍼를 직접 조작함으로써, 신발 또는 인라인 스케이트로 이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일반적인 신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휠조립체(72,104)는 본체(10)의 솔(14)에 형성되는 홈(16)에 완전히 삽입되어 그 솔(14)의 바닥면이 지면에 접촉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각각의 휠조립체(72;104)의 제1링크(74;106)의 제1교접부(80;112)는 스토퍼(52)의 양측단 하부에 형성된 고정판(54;56)과 접촉되어 눕혀진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휠조립체(72;104)의 제2링크(90;122)의 교접부(94;126)는 스토퍼(52)의 양측에 각각 돌출 형성된 고정편(68;70)에 각각 접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스토퍼(52)는 대체로 중앙위치에 고정 유지된다. 이때, 스토퍼(52)를 조작하기 위한 버튼(58)은 하우징(22)의 후방의 개구부(38)내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정상상태에서 사용자가 스케이팅 또는 블레이딩을 즐기기 위해서는 각각의 휠조립체(72;104)를 회동시켜 이들에 구비된 각각의 롤(84,96:116,128)을 지면과 접촉하여 구름 가능하게 솔(14)의 수용홈(16) 외부로 돌출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토퍼(52)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된 버튼(58)을 화살표(A1)방향으로 밀면 스토퍼(52)가 화살표(A2)방향으로 전진된다. 이에 따라, 스토퍼(52)의 각각의 고정판(54;56)이 휠조립체(72;104)의 제1링크(74;106)의 제1교접부(80;112)로부터 해제되고, 또한 각각의 휠조립체(72;104)의 제2링크(90;122)의 교접부(94;126)는 스토퍼(52)의 양측에 각각 돌출 형성된 고정편(68;70)으로부터 해제된다.
이와 같이, 스토퍼가 이동되어 각각의 링크가 그로부터 해제되면, 각각의 제1링크(74;106)를 지지하고 있는 각각의 고정로드(76;108)가 코일스프링(78;110)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됨과 동시에 그 고정로드에 고정된 각각의 제1링크(74;106)는 화살표(A3;A4)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와 함께, 제1링크(74;106)에 각각 가이드(102;134)에 의해 연결된 제2링크(90;122)도 각각 동일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각각의 제2링크(90,122)는 상호간의 연동장치(146)를 구성하는 제1와이어(148)와 제2와이어(150)가 상호 교차하는 방식으로 또한 시이소오방식으로 회전됨으로써, 그 회전력이 대칭적이고 균등하게 적용되어 원활하고 정확하게 회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각각의 휠조립체(72;104)가 회동되어 이들의 각각의 롤(84,96:116,128)이 완전히 돌출되면,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스프링(66)에 의해 스토퍼(52)가 후방으로 즉, 화살표(A5)방향으로 이동된다. 스토퍼(52)가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되면 그 스토퍼(52)의 전후방에 구비된 각각의 고정판(54;56)이 각각의 휠조립체(72,104)의 제1링크(74;106)의 제2교접부(82;114)에 접하게 된다. 물론, 이 경우, 버튼(58)은 스토퍼(52)의 이동에 연동되어 화살표(A8)방향으로 이동된다. 선택적으로 또는 비상적으로 인장스프링(66)의 인장력이 저하되어 스토퍼(52)가 원활하고 완전하게 후진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버튼(58)을 이용하여 스토퍼(52)를 강제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스케이팅 또는 블레이딩을 즐길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보다 안정적인 스케이팅을 즐기기 위해 사용자는 전술된 바와 같이, 솔(14)의 후방에 브레이크(152)를 장착하여 스케이팅을 즐길 수 있다.
역으로, 사용자가 스케이팅을 마친 후 다시 정상상태 즉, 일반적인 신발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버튼(58)을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화살표(A1)방향으로 누르면 스토퍼(52)가 화살표(A2)방향으로 전진된다. 이와 같이, 스토퍼(52)가 전진되면, 그 스토퍼(52)의 각각의 고정판(54;56)이 휠조립체(72;104)의 제1링크(74;106)의 제2교접부(82;114)로부터 해제된다. 제1링크(74;106)가 스토퍼(52)로부터 해제된 상태에서 각각의 휠(84,96;116,128)을 가압하면 각각의 제1링크(74;106)와, 그 제1링크(74;106)에 가이드(102;134)에 의해 연결된 제2링크(90;122)가 화살표(A6;A7)방향으로 회동되어 원위치로 복귀된다. 물론, 이 경우에도, 각각의 제2링크(90,122)는, 연동장치(146)의 제1와이어(148)와 제2와이어(150)에 의해 회전력이 대칭적이고 균등하게 적용되어 원활하고 정확하게 회동되는 것이다.
이후, 사용자가 버튼(58)을 놓으면, 인장스프링(66)에 의해 스토퍼(52)가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스토퍼(52)가 원위치로 복귀되면,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휠조립체(72,104)가 수용홈(16)에 완전히 삽입되어 각각의 제1링크(74:106)의 제1교접부(78;110)가 스토퍼(52)의 양측단 하부에 형성된 고정판(54;56)과 접촉됨은 물론 각각의 휠조립체(72;104)의 제2링크(90;122)의 교접부(94;126) 또한 스토퍼(52)의 양측에 각각 돌출 형성된 고정편(68;70)에 각각 접하여 각각의 링크가 눕혀진 상태의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신발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브레이크(152)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브레이크(152)를 솔(14)로부터 분리시킨 후 신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롤러 장치를 조작하여 휠을 돌출시키거나 또는 원위치로 복귀시켜 인라인 스케이팅 또는 롤러블레이딩을 즐기거나 일반적인 신발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장치를 구비한 신발에 의하면, 정상적인 보행상태에서는 일반적인 신발로 이용할 수 있고 스케이팅시에는 안정적인 롤러블레이드로 이용할 수 있어 편의성 및 유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휠조립체의 휠을 신속하고 안정적이며 균형적으로 돌출시키거나 복귀시킬 수 있어 신발기능과 롤러블레이드 기능이 상호간 신속하고 용이하게 변환될 수 있어 제품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인라인 스케이트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장치를 구비한 신발의 사시도로서, 휠조립체가 돌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의 신발에 적용되는 롤러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롤러 장치의 스토퍼를 상세히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롤러 장치의 각각의 휠조립체의 제1링크의 전방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제1링크의 배면사시도.
도 7은 도3의 롤러 장치의 각각의 휠조립체의 제2링크의 일측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3의 롤러 장치에 적용되는 스위치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본체에 적용되는 브레이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일반적인 신발로 사용할 때의 롤러 장치의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1은 신발사용상태에서 스케이팅 사용상태로의 변환중의 스토퍼의 이동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2는 스케이팅 사용시 롤러 장치의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3은 스케이팅 사용시 브레이크의 장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에 적용되는 롤러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롤러 장치의 스토퍼를 상세히 보여주는 사시도.
도 16은 일반적인 신발로 사용할 때의 롤러 장치의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7은 신발사용상태에서 스케이팅 사용상태로의 변환중의 스토퍼의 이동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8은 스케이팅 사용시 롤러 장치의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9는 스케이팅 사용시 휠이 신발의 하부바닥으로 완전히 돌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2: 몸통
14: 솔 20: 롤러장치
22: 하우징 40,42,44: 고정홈
52: 스토퍼 60: 홈
62: 접동부 66: 스프링
72: 제1휠조립체 74,106: 제1링크
84,96,116,128: 휠 90,122: 제2링크
104: 제2휠조립체 146: 연동장치
148: 제1와이어 150: 제2와이어
152: 브레이크

Claims (20)

  1. 사용자의 발에 착화되는 몸통과, 그 몸통의 하부에 일체로 부착되며 수용홈이 종방향으로 형성된 솔을 구비한 본체;
    상기 솔에 내장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전,후방으로 왕복가능한 스토퍼와,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스토퍼에 의해 신발사용상태 및 인라인 스케이트 사용 상태로 고정 유지되는 제1휠조립체와,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1휠조립체의 회동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스토퍼에 의해 신발사용상태 및 스케이팅 사용 상태로 고정 유지되는 제2휠조립체를 구비하는 롤러 장치; 및
    상기 롤러 장치의 스토퍼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수단을 포함하는 롤러장치를 구비한 신발.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장치의 하우징은 하부가 개방된 입방체형으로 형성되고, 양 측부에는 상기 각각의 휠조립체를 회동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장착공이 각각 상호 대칭적으로 천공되며, 양측부 중 하나의 측부에는 상기 조작수단이 연통 설치되는 설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장치를 구비한 신발.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양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양측부의 내측에 일체로 고정되는 보강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장치를 구비한 신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장치의 스토퍼의 양단부의 하부에는 상기 휠조립체에 각각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고정판이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장치를 구비한 신발.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중앙부에는 상기 조작수단과 연동하도록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홈이 형성된 접동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장치를 구비한 신발.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스토퍼는 인장스프링에 의해 상호 탄성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장치를 구비한 신발.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장치의 제1휠조립체는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휠을 구비한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를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로드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휠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링크와, 상기 제1링크 와 제2링크를 상호 연동 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장치를 구비한 신발.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로드의 단부에는, 상기 고정로드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탄성적으로 고정되도록 코일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장치를 구비한 신발.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일반적인 신발로 이용할 때 상기 스토퍼의 전방단에 형성된 고정판과 접하는 제1교접부와, 사용자가 인라인 스케이트로 사용하기 위해 휠조립체를 돌출시키는 경우 상기 스토퍼의 고정판과 접하는 제2교접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장치를 구비한 신발.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의 상부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일반적인 신발로 이용하는 경우 상기 스토퍼의 전방측에 형성된 하나의 고정편에 접하는 교접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장치를 구비한 신발.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장치의 제2휠조립체는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휠을 구비한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를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로드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휠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링크와, 상기 제1링크 와 제2링크를 상호 연동 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장치를 구비한 신발.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로드의 단부에는, 상기 고정로드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탄성적으로 고정되도록 코일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장치를 구비한 신발.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일반적인 신발로 이용할 때 상기 스토퍼의 전방단에 형성된 고정판과 접하는 제1교접부와, 사용자가 인라인 스케이트로 사용하기 위해 휠조립체를 돌출시키는 경우 상기 스토퍼의 고정판과 접하는 제2교접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장치를 구비한 신발.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의 상부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일반적인 신발로 이용하는 경우 상기 스토퍼의 전방측에 형성된 하나의 고정편에 접하는 교접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장치를 구비한 신발.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은 사용자가 파지하여 회전시킬 수 있는 핸들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부에 형성된 설치공에 삽입되며 일단부가 볼트에 의해 핸들에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스토퍼의 접동부에 형성된 각각의 홈에 치합되는 기어가 형성되는 로드로 구성되는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장치를 구비한 신발.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휠조립체의 제2링크와 상기 제2휠조립체의 제2링크를 동시적이고 대응되도록 운동시키기 위한 연동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장치를 구비한 신발.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장치는 일단부가 제1휠조립체의 제2링크의 대체로 중앙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제2휠조립체의 제2링크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1와이어와, 일단부가 상기 제1휠조립체의 제2링크의 상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제2롤조립의 제2링크의 대체로 중앙부에 고정되는 제2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장치를 구비한 신발.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스케이팅으로 이용시 감속 및 정지를 위한 브레이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장치를 구비한 신발.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는 본체의 솔의 후단에 접촉되는 지지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지지홈의 전방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후방단과 제2휠조립체의 제2링크사이에 삽입되어 접촉결합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전면 양측에 형성되며 좌우 요동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편과, 상기 몸체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며 지면에 접촉되어 마찰에 의한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장치를 구비한 신발.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은 상기 스토퍼의 후방에 일체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후바의 개구부를 통해 왕복가능한 버튼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장치를 구비한 신발.
KR10-2001-0070569A 2001-11-13 2001-11-13 롤러 장치를 구비한 신발 KR100530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569A KR100530834B1 (ko) 2001-11-13 2001-11-13 롤러 장치를 구비한 신발
PCT/KR2002/002091 WO2003041526A1 (en) 2001-11-13 2002-11-12 Shoes with roller device
US10/294,031 US20030227153A1 (en) 2001-11-13 2002-11-12 Shoes with rolle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569A KR100530834B1 (ko) 2001-11-13 2001-11-13 롤러 장치를 구비한 신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988U Division KR200265497Y1 (ko) 2001-11-14 2001-11-14 롤러장치를 구비한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9603A KR20030039603A (ko) 2003-05-22
KR100530834B1 true KR100530834B1 (ko) 2005-11-28

Family

ID=19715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0569A KR100530834B1 (ko) 2001-11-13 2001-11-13 롤러 장치를 구비한 신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30227153A1 (ko)
KR (1) KR100530834B1 (ko)
WO (1) WO20030415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75160B1 (en) 1999-04-01 2003-10-08 Heeling Sports Limited Heeling apparatus and method
JP4228204B2 (ja) * 2003-07-07 2009-02-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有機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CN102068805B (zh) * 2011-01-27 2012-07-04 段龙华 步行轮滑两用鞋
US10945485B2 (en) 2012-08-03 2021-03-16 Heeling Sports Limited Heeling apparatus
CN112023379B (zh) * 2020-09-15 2022-05-03 重庆第二师范学院 一种带可拆卸辅助刹车机构的越野轮滑鞋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56677A (de) * 1972-08-21 1974-12-13 Frespa Ag Rollschuh.
US3983643A (en) * 1974-07-03 1976-10-05 Walter Schreyer Shoe usable for walking and roller-skating
US4333249A (en) * 1979-01-23 1982-06-08 Schaefer Hans Joachim Convertible sports device
FR2715320B1 (fr) * 1994-01-26 1996-05-24 Frederic Fichepain Semelle de chaussure dotée de roulettes rétractables.
US6446982B1 (en) * 1995-06-07 2002-09-10 Richard S. Gaster In-line skate conversion apparatus
US5785327A (en) * 1997-06-20 1998-07-28 Gallant; Raymond J. Skates having retractable rollers
US6042125A (en) * 1998-02-10 2000-03-28 Wu; Elbert Hsin En Inline skate with detachable roller device
TW370888U (en) * 1998-12-19 1999-09-21 Chun-Cheng Chang Structure of roller stand of roller skate
US6120039A (en) * 1999-08-16 2000-09-19 Clementi; Fred Walking and in-line skate shoe
TW549118U (en) * 2000-03-07 2003-08-21 Yi-Chiuan Shiu Shoes for walking or roller-skating
US6450508B1 (en) * 2001-03-02 2002-09-17 Wei-Yen Chu Shoe for skating and wal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41526A1 (en) 2003-05-22
US20030227153A1 (en) 2003-12-11
KR20030039603A (ko) 200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11181B2 (en) Wearable device
CA2095076C (en) Braking device particularly for skates
KR100530834B1 (ko) 롤러 장치를 구비한 신발
KR200265497Y1 (ko) 롤러장치를 구비한 신발
US5704619A (en) Slidable skate brake and methods
US20130147137A1 (en) Wearable Device With Attachment System
EP0613705B1 (en) Roller skate with braking device
KR200364894Y1 (ko) 신발 겸용 변신 인라인 스케이트
US20040178588A1 (en) Roller blade shoes
KR100722369B1 (ko) 인라인 스케이트 및 프레임 유니트
KR200339041Y1 (ko) 바퀴달린 썰매
KR100533786B1 (ko) 인라인스케이트 겸용 신발
KR100509849B1 (ko) 인라인스케이트 겸용 신발
WO2002021953A1 (en) Roller blade shoes
WO2004058366A1 (en) Shoe with inline skate
KR200211686Y1 (ko) 롤러 블레이드가 내장된 신발
JPH09182827A (ja) ローラスケート靴
KR20040035034A (ko) 인라인스케이트 겸용 신발
KR20020008984A (ko) 롤러 블레이드가 내장된 신발
KR20050022579A (ko) 롤러 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