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7854B1 - 추진수단이 장착된 빙상용 스케이트보드 - Google Patents

추진수단이 장착된 빙상용 스케이트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7854B1
KR100627854B1 KR1020050027438A KR20050027438A KR100627854B1 KR 100627854 B1 KR100627854 B1 KR 100627854B1 KR 1020050027438 A KR1020050027438 A KR 1020050027438A KR 20050027438 A KR20050027438 A KR 20050027438A KR 100627854 B1 KR100627854 B1 KR 100627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ulsion
board
plate
turning
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7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광
Original Assignee
김시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광 filed Critical 김시광
Priority to KR1020050027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78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5/00Other sledges; Ice boats or sailing sledges
    • B62B15/001Other sledges; Ice boats or sailing sledges propelled by sails
    • B62B15/002Other sledges; Ice boats or sailing sledges propelled by sails having skis or runn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63C17/018Ice skate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7/00Accessories or details of sledges
    • B62B17/08Bra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메인보드판 상에 놓여진 방향전환판과 결합된 추진발판을 밟아주면 추진발판상에 설치된 추진부 후미의 푸트부재가 빙판을 마찰하여 가속시킬 수 있는 추진수단이 장착된 빙상용 스케이트보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제1지지축에서 앞뒤로 조금 움직이는 스케이트날과 일직선 안쪽으로 적어도 한방향 회전가능한 방향전환날이 전후로 설치되는 메인보드판과, 상기 방향전환날의 제2지지축으로 결합하여 상기 메인보드판상에 놓여지는 방향전환판이 겹치도록 구비하여; 이 메인보드판상의 방향전환판과 연결되는 추진발판은 상기 방향전환판에 대해 상하로 소정각도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추진발판을 가압할 때 빙판을 경사지게 가압하여 메인보드판의 스케이트날을 전진시키는 상기 방향전환날과 연결된 추진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수단이 장착된 빙상용 스케이트보드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고 벗는 번거로움을 해소하면서도 초보자라도 쉽게 익숙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추진수단이 장착되어 체력소모를 줄이면서도 빙상용 운동을 만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추진발판, 추진대, 추진판, 스케이트보드, 방향전환판, 회전축, 추진수단, 메인보드판, 푸트부재

Description

추진수단이 장착된 빙상용 스케이트보드 {Skate-board having propelling mean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추진수단이 장착된 빙상용 스케이트보드를 도시해 놓은 분리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추진수단이 장착된 빙상용 스케이트보드를 도시해 놓은 결합 사시도,
도 3 은 도 2 에 도시된 메인보드판과 방향전환판이 결합한 상태에서 회전베어링 영역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4 는 도 2 에 도시된 추진발판에서 레일 영역을 나타낸 확대도,
도 5 는 도 1 에 도시된 추진부에서 추진대와 푸트부재 간의 배치를 도시해 놓은 상세 상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추진수단이 장착된 빙상용 스케이트보드에서 거치대 영역을 나타낸 배치 상태도,
도 7 내지 도 10 은 본 발명의 추진수단이 장착된 빙상용 스케이트보드의 동작상태를 보인 도면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인보드판 14 : 스케이트날
20 : 방향전환판 24 : 방향전환날
30 : 추진발판 32 : 레일
34 : 이탈저지판 40 : 추진부
41 : 추진대 43 : 롤러
45 : 푸트부재 47 : 지지부재
49 : 탄성부재 50 : 거치대
본 발명은 스케이트날이 부착된 메인보드판과 방향전환날을 조정하는 방향전환판을 체결한 상태에서 추진발판의 추진부를 설치함으로 사용자가 추진발판을 밟아주면 추진부의 푸트부재가 빙판을 마찰하여 가속시킬 수 있는 추진수단이 장착된 빙상용 스케이트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케이트화와 같은 신고 벗는 번거로움을 해소하면서도 초보자라도 쉽게 익숙해질 수 있고 추진발판의 추진부가 장착되어 체력소모를 줄이면서도 빙상용 운동을 만끽할 수 있도록 추진수단이 장착된 빙상용 스케이트보드에 관한 것이다.
동절기에 넓은 빙판에서 이용하는 빙상용 운동종목 중에는 스피드, 피겨및 아이스하키 등의 해당 스케이트를 이용한 것이 보통이다. 비단 전문적인 운동선수가 아니더라도 빙상에서의 운동을 즐기는 남녀노소라면 추운 동절기에 한번쯤은 스케이트를 타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스케이트들은 신발과 같이 양발에 스케이트화를 직접 신은 다음, 운동을 즐겨야 하기 때문에 해당 스케이트화를 신고 벗는데 상당히 불편할 수 있으며, 발을 조이기 때문에 쉽게 피로감을 느낄 수도 있다. 특히, 초보자인 경우에는 넓은 빙상에서 자유롭게 스케이트를 즐기는 데에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며, 부상의 위험도도 그만큼 높고 체력 역시 많이 소모되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초보자의 경우에는 빙상 운동을 좋아하더라도 쉽게 접근하기가 힘들 수밖에 없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일반 스케이트화의 신고 벗는 번거로움을 해소하면서도 초보자라도 쉽게 익숙해질 수 있도록 스케이트보드를 개발하는 한편, 별도의 추진수단이 장착되어 체력소모를 줄이면서도 빙상용 운동을 만끽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빙상용 스케이트보드를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케이트날이 부착된 메인보드판과 방향전환날의 방향전환판을 체결한 상태에서 추진발판의 추진부를 설치함으로 신고 벗는 번거로움을 해소하면서도 초보자라도 쉽게 익숙해질 수 있고, 별도의 추진수단이 장착되어 체력소모를 줄이면서도 빙상용 운동을 만끽할 수 있는 추진수단이 장착된 빙상용 스케이트보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메인보드판 상에 놓여진 방향전환판과 결합된 추진발판을 밟아주면 추진발판상에 설치된 추진부 후미의 푸트부재가 빙판을 마찰하여 가속시킬 수 있고, 또 보드의 휴대및 결합이 간편하여 빙판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서든지 간편하게 조작하여 쉽게 빙상용 운동을 즐길 수 있는 추진수단이 장착된 빙상용 스케이트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지지축에서 앞뒤로 조금 움직이는 스케이트날과 일직선 안쪽으로 적어도 한방향 회전가능한 방향전환날이 전후로 설치되는 메인보드판과, 상기 방향전환날의 제2지지축으로 결합되어 상기 메인보드판상에 놓여지는 방향전환판이 겹치도록 구비하여; 이 메인보드판상의 방향전환판과 연결되는 추진발판은 상기 방향전환판에 대해 상하로 소정각도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추진발판을 가압할 때 빙판을 경사지게 가압하여 메인보드판의 스케이트날을 전진시키는 상기 방향전환날과 연결된 추진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수단이 장착된 빙상용 스케이트보드인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하면에 제1지지축에서 앞뒤로 조금 움직이는 스케이트날이 장착되어 있는 메인보드판과; 상기 메인보드판에 대해 적어도 한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방향전환판과; 상기 방향전환판의 하면에 마련되어 상기 방향전환판과 함께 방향전환이 가능한 방향전환날과; 상기 방향전환판에 대해 상하로 소정각도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추진발판과; 상기 추진발판에 결합되어 상기 추진발판의 가압시 빙판을 경사지게 가압하여 상기 스케이트날을 전진시키는 추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수단이 장착된 빙상용 스케이트보드인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진부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고 곡선으로 운동하는 추진대와; 상기 추진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추진발판의 일측에 마련된 레일을 따라 소정거리 왕복운동하는 롤러와; 상기 추진대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빙판을 가압하는 푸트부재와; 일단은 상기 방향전환날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추진대가 통과하도록 관상체로 형성되어 상기 추진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롤러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의 추진대에 마련되어 가압된 상기 추진발판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이 위치하는 상기 추진발판의 일측면에는 상기 레일의 이탈을 저지하는 이탈저지판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메인보드판에는 방향전환날을 지지하는 제2지지축과 상기 방향전환판 사이에 회전베어링이 장착되면서 방향전환판과 메인보드판사이에도 회전베어링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2지지축은 상기 방향전환판에 풀림방지핀으로 지지되어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추진수단이 장착된 빙상용 스케이트보드를 도시해 놓은 분리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추진수단이 장착된 빙상용 스케이트보드를 도시해 놓은 결합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보드는 크게 스케이트날(14)과 방향전환날(24)의 메인보드판(10), 이 메이보드판(10)에 결합한 방향전환판(20)과 추진부(40)의 추진발판(30)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메인보드판(10) 상에 놓여진 방향전환판(20)과 결합된 추진발판(30)을 밟아주면 추진발판(30)상에 설치된 추진부(40) 후미의 푸트부재(45)가 빙판을 마찰하여 가속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메인보드판(10)의 전면에 제1지지축(12)에서 앞뒤로 조금 움직이는 스케이트날(14)을 장착하고 그 후면에 방향전환과 브레이크 기능을 함께 갖춘 방향전환날(24)을 장착하게 되고, 상기 메인보드판(10)상에 설치된 방향전환판(20)과 추진발판(30)후미의 푸트부재(45)를 밟아주면 추진부(40)가 곡선운동을 행하게 되며, 이로서 추진부(40)후미의 푸트부재(45)가 빙판을 마찰하여 가속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메인보드판(10)의 하면에는 제1지지축(12)에서 앞뒤로 조금 움직이는 제1지지축(12)에 의해 스케이트날(14)이 고정되어 있다. 이때 스케이트날(14)의 전면은 일정한 곡률로 라운딩처리됨으로, 전진하는데 있어 장애를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리고, 후면에 후술할 방향전환날(24)이 장착될 구멍 상하로 홈(21)이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 메인보드판(10)상에 놓여지는 방향전환판(20)은 일측에 돌조홈의 홈(21')을 형성하면서 상부의 고정와샤(23), 상하의 회전베어링(27, 27'), 베어링덮개(22') 및 제2지지축(22)의 구조에 의거하여 메인보드판(10)에 대해 적어도 한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는 도 9 및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의 방향전환판(20)이 하부의 메인보드판(10)에 대해 일정한 각도(안쪽 한방향의 90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안정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메인보드판(10)밑에 놓여진 방향전환판(20)의 하면에는 제2지지축(22)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방향전환날(24)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메인보드판(10)은 고정되고 방향전환날(24)을 제2지지축(22)으로하여 방향전환판(20)이 안쪽 한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메인보드판(10)에 결합된 방향전환판(20)에는 2 개의 힌지(28) 를 통해 추진발판(30)에 연결되어 있다. 이 추진발판(30)의 후미에 설치되는 추진부(40)에는 추진발판(30)에 결합되어 추진발판(30)의 가압시 빙판을 경사지게 가압하여 메인보드판(10)의 스케이트날(14)와 회전전환날(24)을 전진시킨다.
이러한 추진부(40)는 바나나와 같이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고 곡선으로 운동하는 추진대(41), 이 추진대(41)의 일측에 결합되어 추진발판(30)의 일측에 마련된 레일(32)을 따라 소정거리 왕복운동하는 롤러(43), 추진대(41)의 타측에 결합되어 빙판을 가압하는 푸트부재(45), 일단은 방향전환날(24)의 제2지지축(22)에 지지되고 타단은 추진대(41)가 통과하도록 관상체로 형성되어 추진대(4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47)및, 상기 롤러(43)와 지지부재(47)사이의 추진대(41)에 마련되어 가압된 추진발판(3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49)를 포함한다.
이렇게 구성되는 추진부(40)는 추진발판(20)의 후미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추진대(41)의 롤러(43)가 추진발판(30)의 후방으로 이탈되어서는 아니되기 때문에 레일(32)의 개구부에는 이탈저지판(34)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스케이트날(14)과 방향전환날(24)의 메인보드판(10), 이 메이보드판(10)에 결합한 방향전환판(20)과 추진부(40)의 추진발판(30)을 구성되는 본 발명의 스케이트보드는 미끄럼 방지를 위하여 메인보드판(10), 방향전환판(20)및 추진발판(30)의 윗면에는 각각 고무판을 대여준다.
도 3 은 도 2 에 도시된 메인보드판과 방향전환판이 결합한 상태에서 회전베어링 영역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4 는 도 2 에 도시된 추진발판에서 레일 영역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상기 메인보드판(10)상에 방향전환판(20)이 놓여져 결 합된 상태에서의 방향전환날(24)을 지지하는 제2지지축(22)은 일측으로 요홈부가 형성되고 베어링덮개(22')가 결합되며 그 단부가 방향전환판(20)의 상부로 노출되게 배치된다. 상기 메인보드판(10)과 방향전환판(20)의 구멍사이에는 각기 상하로 회전베어링(27', 27)이 고정되는 홈(21, 21')이 형성되면서 상부의 핀공(25 : 도 1 참조)과 고정와샤(23)를 통해 풀림방지핀(26)이 체결된 상태를 갖는다.
이때 방향전환날(24)의 제2지지축(22)과 방향전환판(20)사이에는 제2지지축(22)의 길이방향을 따라 베어링덮개(22')와 회전베어링(27)이 장착되어 있고, 또 정확히 결합된 메인보드판(10)과 방향전환판(20)사이의 홈사이에 회전베어링(27')이 장착되어 있다. 물론, 제2지지축(22)은 베어링덮개(22')내 회전베어링(27)의 위치에서 보스구조로 결합됨으로써 헛도는 것이 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회전베어링(27, 27') 구조에 의해서 회전축의 방향전환판(20)은 고정축의 메인보드판(10)에 대해 안쪽 한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바, 이때는 그 하면에 마련된 방향전환날(24)도 역시 함께 회전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메인보드판(10)상에 놓여진 방향전환판(20)의 추진발판(30)을 밟아 가압하면, 이 추진발판(30)에 설치된 추진부(40)에서 바나나처럼 휜 추진대(41)가 경사진 방향으로 곡선 운동하면서 푸트부재(45)가 빙판을 경사지게 밀도록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추진대(41)의 일측에 마련된 롤러(43)가 직선 왕복운동을 해야 하는 바, 이를 위해 추진발판(30)의 일측면에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43)가 왕복 운동하기 위한 좌우 레일(3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추진대(41)의 롤러(43)가 추진발판(30)의 후방으로 이탈되어서는 아니 되기 때문에 레일(32)의 개구부에는 이탈저지판(34)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탈저지판(34)이 결합되기 위해서 추진발판(30)의 후면에는 이탈저지판(34)을 끼우기 위한 좌우 고리부(35)가 형성되어져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조는 하나의 예의 불과한 바, 다른 모양으로써 구조를 변경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5 는 도 1 에 도시된 추진부에서 추진대와 푸트부재 간의 배치를 도시해 놓은 상세 상태도로서, 추진발판(30)에 설치되는 추진대(41)의 타측에는 실제로 빙판을 가압하는 푸트부재(45)가 마련되어 있다. 이 푸트부재(45)는 빙판에 미끄러지지 않는 예를 들어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미끌림이 방지된다면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푸트부재(45)는 추진대(41)의 타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한 데, 이를 위해 푸트부재(45)에는 착탈식고리(46)가 체결되어 있다. 푸트부재(45)가 배치되는 추진대(41)의 타측에는 위치고정홈(42)이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 착탈식고리(46)에는 고정 돌출부가 형성되어 푸투부재(45)를 체결할 때 위치고정홈(42)에 끼워져서 움직이지 않게 된다.
이러한 추진발판(30)의 추진부(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분리가 가능하다. 즉, 푸트부재(45)를 추진대(41)로부터 분리할 수도 있고, 이탈저지판(34)을 뽑아 레일(32)로부터 롤러(43)를 분리할 수도 있다. 심지어 지지부재(47)에 대해 추진대(41)도 분리할 수 있다. 이처럼 추진부(40)가 부분적으로 분리될 경우, 이를 보관하기 위한 수단이 강구될 필요가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추진수단이 장착된 빙상용 스케이트보드에서 거치대 영역 을 나타낸 배치 상태도로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메인보드판(10)상에 결합된 방향전환판(20)과, 이 방향전환판(20)에 연결된 추진발판(30)에서 상기 메인보드판(10)의 하면에 거치대(50)를 마련하여 분리된 추진부(40)의 일부를 거치시키고 있다. 도시된 것처럼 방향전환날(24)을 안쪽으로 접어 스케이트날(14)과 일렬로 놓은 다음 추진부(40)의 일부를 거치대(50)에 거치시키고 힌지(28)를 축으로 하여 추진발판(30)을 접어 메인보드판(10)에 포개놓으면, 본 발명의 스케이트보드의 부피가 줄게 되어 휴대하거나 취급하기가 쉬워지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7 내지 도 10 은 본 발명의 추진수단이 장착된 빙상용 스케이트보드의 동작상태를 보인 것으로, 본 발명은 고정된 스케이트날(14)과 일직선 안쪽으로 적어도 한방향 회전가능한 방향전환날(24)이 전후로 설치되는 메인보드판(10)과, 상기 방향전환날(24)로 상기 메인보드판(10)상에 놓여지는 방향전환판(20)을 구비하고 있다. 이 메인보드판(10)상의 방향전환판(20)과 연결되는 추진발판(30)은 상기 방향전환판(20)에 대해 상하로 소정각도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추진발판(30)을 가압할 때 빙판을 경사지게 가압하여 메인보드판(10)의 스케이트날(14)을 전진시키는 상기 방향전환날(24)과 연결된 추진부(40)가 설치된다.
도 7 및 도 8 과 같이 추진발판(30)이 연결된 방향전환판(20)에 놓여지는 메인보드판(10)에서의 방향전환날(24)이 스케이트날(14)과 동축적으로 배치되면 본 스케이트보드가 전진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도 9 및 도 10 과 같이 추진발판(30)이 연결된 방향전환판(20)에 놓여지는 메인보드판(10)에서의 방향전환날(24)이 스케이트날(14)에 대해 직각 내지는 일정 각도로 이축 배치되면 본 발명의 스케이트 보드가 정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추진발판(30)은 방향전환판(20)의 단부에서 힌지(28)로 결합되어 방향전환판(20)에 대해 상하로 소정각도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추진발판(30)은 후술하는 추진부(40)와 함께 본 발명의 스케이트보드를 전진시키는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왼발이나 오른발을 메인보드판(10)에 위치시키고 나머지 발로써 추진발판(30)을 밟아 가압하면 추진부(40)에 의해 본 발명의 스케이트보드가 빙판을 밀치면서 전진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스케이트보드는 추진발판(30)을 가압하는 동작만으로도 일정한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어 빙상 놀이로써의 흥미를 배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추진수단이 장착된 빙상용 스케이트보드의 동작을 도 7 내지 도 10 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스케이트보드를 조립한 도 7 의 상태에서 왼발이나 오른발을 메인보드판(10)에 위치시키고 나머지 발로써 도 8 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메인보드판(10)상에 결합된 방향전환판(20)과 일렬로 연결된 뒤쪽의 추진발판(30)을 밟아 가압한다.
그러면,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발판(30)이 가압된 만큼 추진대(41)가 곡선 운동하면서 후방으로 밀리게 되는 데, 이때 추진부(40)의 푸트부재(45)는 빙판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추진발판(30)에 설치된 추진부(40)의 푸트부재(45)가 추진발판(30)의 저면으로하여 보이지 않는 원형의 힘을 형성시켜 안정된 가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라운드진 추진대(41)를 일부분으로하여 보이지 않게 원형 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추진발판(30)에서의 추진부(40)의 푸트부재(45)가 경사진 방향으로 힘이 발생하기 때문에 메인보드판(10)의 스케이트날(14)와 방향전환날(24)은 전진하게 된다. 물론, 이때 상기 추진대(41)의 탄성부재(49)는 압축된 상태이며, 방향전환판(20)이 결합된 메인보드판(10)에서의 방향전환날(24)은 스케이트날(14)과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함께 전진하게 된다.
다음, 상기 방향전환판(20)에 연결된 추진발판(30)의 가압력을 해제하면, 추진대(41)의 탄성부재(49)가 팽창되면서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추진발판(30)은 상승하고 추진대(41) 역시 원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케이드보드는 도 7 및 도 8 에 도시된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많은 힘을 들이지 않더라도 빙판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사용자가 정지시키고 싶을 경우에는, 도 9 및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보드판(10)에 대해 방향전환판(20)을 안쪽 한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방향전환판(20)의 하면에 위치한 메인보드판(10)의 방향전환날(24)이 스케이트날(14)에 대해 이축적으로 배치됨으로써 이번에는 브레이크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케이트보드는 아무리 미끄러운 빙판이라 하더라도 메인보드판(10)의 스케이트날(14)에 대한 방향전환날(24)의 각도 변경에 의해 용이하게 멈추어 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 달리 신고 벗는 번거로움을 해소하면서도 초보자라도 쉽게 익숙해질 수 있고, 별도의 추진수단이 장착되어 체력소모를 줄 이면서도 빙상용 운동을 만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스케이트보드는 휴대가 간편하여 빙판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서든지 간편하게 조작하여 쉽게 빙상용 운동을 즐길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신고 벗는 번거로움을 해소하면서도 초보자라도 쉽게 익숙해질 수 있고, 별도의 추진수단이 장착되어 체력소모를 줄이면서도 빙상용 운동을 만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가 간편하여 빙판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서든지 간편하게 조작하여 쉽게 빙상용 운동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장기적으로는 새로운 스포츠의 탄생을 바라볼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진수단이 장착된 빙상용 스케이트보드에 대한 기술사상을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했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5)

  1. 제1지지축에서 앞뒤로 조금 움직이는 스케이트날과 일직선 안쪽에서 적어도 한방향 회전가능한 방향전환날이 전후로 설치되는 메인보드판과, 상기 방향전환날의 제2지지축으로 결합되어 상기 메인보드판상에 놓여지는 방향전환판이 겹치도록 구비하여;
    이 메인보드판상의 방향전환판과 연결되는 추진발판은 상기 방향전환판에 대해 상하로 소정각도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추진발판을 가압할 때 빙판을 경사지게 가압하여 메인보드판의 스케이트날을 전진시키는 상기 방향전환날과 연결된 추진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수단이 장착된 빙상용 스케이트보드.
  2. 하면에 제1지지축에서 앞뒤로 조금 움직이는 스케이트날이 장착되어 있는 메인보드판;
    상기 메인보드판에 대해 적어도 한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방향전환판;
    상기 방향전환판의 하면에 마련되어 상기 방향전환판과 함께 방향전환이 가능한 방향전환날;
    상기 방향전환판에 대해 상하로 소정각도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추진발판; 그리고
    상기 추진발판에 결합되어 상기 추진발판의 가압시 빙판을 경사지게 가압하여 상기 스케이트날을 전진시키는 추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수단이 장착된 빙상용 스케이트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부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고 곡선으로 운동하는 추진대;
    상기 추진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추진발판의 일측에 마련된 레일을 따라 소정거리 왕복운동하는 롤러;
    상기 추진대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빙판을 가압하는 푸트부재;
    일단은 상기 방향전환날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추진대가 통과하도록 관상체로 형성되어 상기 추진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및;
    상기 롤러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의 추진대에 마련되어 가압된 상기 추진발판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수단이 장착된 빙상용 스케이트보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이 위치하는 상기 추진발판의 일측면에는 상기 레일의 이탈을 저지하는 이탈저지판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수단이 장착된 빙상용 스케이트보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드판에는 상기 방향전환날을 지지하는 제2지지축과 상기 방향전환판사이에 회전베어링이 장착되면서 방향전환판과 메인보드판사이에도 회전베어링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2지지축은 상기 방향전환판에 풀림방지핀으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수단이 장착된 빙상용 스케이트보드.
KR1020050027438A 2005-04-01 2005-04-01 추진수단이 장착된 빙상용 스케이트보드 KR100627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7438A KR100627854B1 (ko) 2005-04-01 2005-04-01 추진수단이 장착된 빙상용 스케이트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7438A KR100627854B1 (ko) 2005-04-01 2005-04-01 추진수단이 장착된 빙상용 스케이트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7854B1 true KR100627854B1 (ko) 2006-09-26

Family

ID=37628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7438A KR100627854B1 (ko) 2005-04-01 2005-04-01 추진수단이 장착된 빙상용 스케이트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785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9881A (en) 1975-06-16 1978-01-24 Saroy Engineering Control system for a skateboard type device
US4132425A (en) 1975-06-27 1979-01-02 Duoroll A.G. Multi-wheel in-line roller skates
JPH10211313A (ja) 1997-01-28 1998-08-11 New Technol Kenkyusho:Kk 自走式ローラーボードにおける操舵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9881A (en) 1975-06-16 1978-01-24 Saroy Engineering Control system for a skateboard type device
US4132425A (en) 1975-06-27 1979-01-02 Duoroll A.G. Multi-wheel in-line roller skates
JPH10211313A (ja) 1997-01-28 1998-08-11 New Technol Kenkyusho:Kk 自走式ローラーボードにおける操舵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24592A (ko) 수동 조종가능한 스포츠 스쿠터
US8636288B2 (en) Street board
US20080084034A1 (en) Personnel transportation devices
JP2018533454A (ja) 自体推進力の提供が可能なスケートボード
US7621541B2 (en) Swiveling and pivoting chassis for skates
EP1791608A1 (en) Roll sliding device
US5857942A (en) Treadmill
US6302415B1 (en) Skateboard foot brake
US20070200305A1 (en) Individual foot-skates for transportation, exercise, and sport
KR100627854B1 (ko) 추진수단이 장착된 빙상용 스케이트보드
CN206045357U (zh) 双板式多人协同滑行设备
US20150001818A1 (en) Steerable sled board and the like
US7641203B1 (en) Triple-blade ice skating footwear and associated method
WO2003033090A1 (en) Skate board with wear resisting means
WO2004018286A1 (en) Rotatable control surface for a ride-on device
KR101190777B1 (ko) 레저 스포츠기구용 무릎 지지기구
KR200237520Y1 (ko) 외발 롤러 썰매
KR200333079Y1 (ko) 롤러 보드
KR100959942B1 (ko) 직진 가속 주행되는 인라인 스케이트
KR100769330B1 (ko) 슬라이딩 스키보드
KR200205787Y1 (ko) 킥 브레이드
KR200419034Y1 (ko) 스케이트보드
KR200419755Y1 (ko) 롤러식 썰매
KR200372428Y1 (ko) 스키보드
KR20020028361A (ko) 인라인 스케이트 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