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9169B1 - 1 회 파종하여 다수 회 수확하는 인삼재배방법 - Google Patents

1 회 파종하여 다수 회 수확하는 인삼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9169B1
KR100509169B1 KR10-2003-0049789A KR20030049789A KR100509169B1 KR 100509169 B1 KR100509169 B1 KR 100509169B1 KR 20030049789 A KR20030049789 A KR 20030049789A KR 100509169 B1 KR100509169 B1 KR 100509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harvesting
year
ridges
uni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9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1015A (ko
Inventor
김영구
Original Assignee
김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구 filed Critical 김영구
Priority to KR10-2003-0049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9169B1/ko
Publication of KR20050011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1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9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91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0Forcing-frames; Lights, i.e. glass panels covering the forcing-fram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일반적인 인삼 파종량에 비해 동일 면적당 적어도 4배 많은 수량의 인삼씨를 파종하는 과정과; 파종 후 2년차 되는 해부터 이중 차광막 중 하나의 차광막을 제거하여 태양광의 조사량(照射量)을 높이는 성장조건 변경 과정과; 파종 후 3년이 경과되는 해에 앞· 뒤 이랑에 근접한 양쪽 부분(각 단위블록의 1/6씩)의 인삼만을 남기고 가운데 부분(각 단위블록의 2/3)의 인삼을 이랑의 길이 방향으로 수확하는 1차 수확과정과; 각 이랑의 깊이가 60㎝가 될 때까지 앞· 뒤 이랑의 흙을 파서 1차 수확에 의해 생긴 공간에 복토(覆土)하는 1차 복토과정과; 파종 후 4년이 경과된 이후의 수확기에 나머지 인삼을 수확하는 2차 수확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1 회 파종하여 다수 회 수확하는 인삼재배방법.

Description

1 회 파종하여 다수 회 수확하는 인삼재배방법 {A method of ginseng cultivation at least having twice harvest for onetime seeding}
본 발명은 인삼 재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 번 심어 두 번 또는 세 번 수확할 수 있는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삼은 다년초 약용식물로서 키는 60cm 가량이고, 줄기는 해마다 1개가 곧게 자라고 그 끝에 3-4개의 잎이 돋아난다. 잎은 잎자루가 길고 잎몸은 5갈래져서 장상복엽(掌狀複葉)을 이룬다. 여름에 1개의 가는 꽃줄기가 나와서 그 끝에 4-40개의 담황록색의 작은 꽃이 산형화서(傘形花序)에 붙는다. 꽃잎은 5개, 수술도 5개이며 암술은 1개로서 씨방하위이다. 열매는 핵과로 편구형이며 지름 5-9mm이고 성숙하면 선홍색으로 된다.
인삼의 재배는 예정지 선정 및 관리, 개강관리, 파종, 일복가설 및 이식, 시비, 채종 및 수확의 과정으로 행하여지며, 과정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예정지 선정 및 관리]
지세는 평탄지 또는 북향이나 동북향의 완경사지로서 북쪽에 높은 산이나 방풍물이 없이 넓게 트인 곳이 적지이며 토양은 표토가 사양토 내지는 식양토이고 심토는 점토질이 다소 많은 식양토로서 토층의 구분이 명료한 곳으로 특히 배수가 잘되는 곳이라야 한다. 초작지가 좋으며 연작할 때에는 밭의 경우 10년 이상, 논인 경우 6년 이상 경과지라야 한다. 예정지는 최소한 1-2년간 휴한하여야 하며 휴한 중에는 연중 15회 이상 15cm 이상 깊이로 갈고 기비를 시여하는 동시 일광 또는 약제살포로 토양소독을 하여 병충해 예방을 한다.
[개갑관리 및 파종]
인삼의 종자는 인공적으로 개갑관리를 하여 묘포에 식부하여야 하는데 그 관리는 독특하다. 종자의 보관은 다른 작물과 달라 특유한 시설로 매장하였다가 식부기 가까운 때에 개갑 관리한다. 개갑관리는 수분과 온도를 적절히 하여 건강한 발아를 할 수 있도록 하다. 파종할 종자는 파종 2-3일 전에 개갑장에서 꺼내어 종자와 같이 섞어 저장하였던 모래를 분리시킨 후, 물로 깨끗이 씻은 다음 종자만을 골라 건조하지 않도록 그늘지고 서늘한 곳에 보관하였다가 종자소독을 한 후 파종한다. 파종시기는 추파는 10월 하순에서 11월 중순에, 춘파인 경우 3월 중순에 한다. 먼저 파종할 상면(床面)에 점파용 장척을 사용하여 간격을 균일하게 구멍을 뚫고 한 구멍에 종자 한 알씩을 주의 깊게 파종한다.
[일복가설 및 이식]
인삼은 직사광선을 기피하므로 일복가설이 필요하다. 일복가설은 전주 높이 180cm, 후주 120cm로 하고, 피복물은 이엉을 덮어 햇볕의 직사와 폭우의 피해를 막아 적절한 광선과 습도를 유지하게 한다. 묘포에서 1년간 생장한 묘삼은 3월 하순에서 4월 상순에 본포에 이식한다.
[채종 및 수확]
인삼의 채종은 4년근에서 1회 하는 것이 원칙이다. 수확에 있어서 홍삼의 원료로 할 것은 6년근, 백삼으로 할 것은 4 내지 5년근을 수확한다.
인삼을 재배하는 궁극적인 목적이 소득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것인데, 상기한 바와 같이 인삼을 경작지에 심은 후에 일정시간이 경과하기까지는 비용과 노동만이 투입될 뿐, 실제적인 소득을 전혀 기대할 수가 없는 것이다. 따라서, 인삼의 생산시기 및 출하시기는 이미 경작을 시작할 때 결정되어 있는 것이고, 이에 따라 인삼생산시기 및 출하시기에 따라 가격의 변화가 심하여 농가 소득이 불안한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어느 나라보다 우수한 품질의 인삼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홍보가 부족하여 인삼에 관한 지식과 관심이 널리 알려져 있지 않으며, 농가에서 인삼을 재배하여 소득을 증대시키는 것을 기대하기에는 아직도 미흡한 실정이다.
인삼재배를 위한 최적의 환경조건을 갖추기 위해 봄, 가을의 저온기에는 이중의 차광막 및 해가림을 설치하고, 여름의 고온기에는 고온을 막아 적정온도를 맞추기 위해 여러 겹의 해가림용 차광막을 설치하였으나, 상기 차광막 시설은 3∼4월중에 설치가 완료되어 연중 고정되어 있으므로, 봄, 가을의 저온기에는 두꺼운 차광막으로 덮혀 있기 때문에 햇빛이 차단되어 차광막내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여 인삼의 성장을 저해할 뿐 아니라, 광투과율이 지나치게 낮아서 인삼 잎이 웃자라서 생육이 극도로 억제될 뿐 아니라, 인삼뿌리의 비대 생육도 저해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인삼을 1회 파종하여 2회 또는 3회 수확할 수 있는 인삼재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삼의 생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해가림 방법을 적용한 인삼재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삼의 전엽기(展葉期)에 최적의 광도, 광투과율 및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인삼재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여러겹으로 사용되던 차광막대신 일정시기 이후에는 단일차광막을 사용하므로써 차광막의 설치 비용절감 및 시공이 간편하여 경제적 여건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삼재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인삼밭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단위블록은 지주와 지주 사이의 일정거리(W)와, 이랑과 이랑 간의 폭(L)으로 이루어지는 일정공간을 의미한다. 상기 단위블록은 180㎝×90㎝ 크기로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는 인삼의 생산량과 부패삼 및 수삼의 체형불량 등의 인삼품질의 저하를 방지를 위한 최적화된 수치로써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종래 기술에 따른 단위블록당 파종 및 인삼 생장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대개 단위블록(180㎝×90㎝)당 약 60 내지 80 개체의 인삼을 수확할 수 있도록 점파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삼 재배방법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인삼재배방법의 일 실시에 따른 단위블록당 파종 및 생장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즉, 한 번 심어 두 번 수확하는 방법을 적용하는 예를 나타낸다. 따라서, 단위블록(180㎝×90㎝)당 50그루 내지 80그루 정도를 파종 및 수확하는 종래의 기술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인삼재배방법은 단위 블록당 4배 내지 10배(3회 수확시) 정도 많은 양(量)의 씨를 파종한다.(S1 과정) 이때의 차광막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중차광막(1)을 설치하여 태양광을 제한한다.
이후, 파종 후 2년차 되는 해부터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중 차광막 중 하나의 차광막을 제거하여 태양광의 조사량(照射量)을 높여 성장 조건을 변경한다(S2 과정). 종래에는 이 시기에도 이중차광막(1)을 사용함으로써 햇빛 투과량이 전체광의 4% 정도인 5,000룩스(lux)이하로써, 최적 광도인 15,000룩스(lux)의 1/3 수준이므로, 상기 다년생 음지성 식물인 인삼재배를 위한 최적의 환경조건에 미치지 못하여 인삼의 생장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성장조건을 광도는 15,000lux, 광투과율은 10% 정도, 온도는 22℃가 될 수 있도록 인삼 생육 조건을 변경한다. 이와 같이 인삼이 성장하기 위한 최적의 광도, 광투과율, 온도를 유지시켜 준다. 따라서, 전엽기에 인삼의 잎의 기공수를 증가시키고, 고온에 대한 적응력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엽면적을 적게하고 잎을 두껍게 함과 동시에 줄기를 짧게 할 수 있다.
파종 후 3년이 경과되는 해에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앞· 뒤 이랑(2)에 근접한 양쪽 부분(각 단위블록의 1/6씩)의 인삼만을 남기고 가운데 부분(각 단위블록의 2/3)(3)의 인삼을 이랑의 길이 방향으로 수확한다.(S3 과정)
이후,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이랑의 깊이가 60㎝가 될 때까지 앞· 뒤 이랑(2)의 흙을 파서 1차 수확에 의해 생긴 공간(3)에 복토(覆土)한다(S4 과정).
일반적인 재배방법과 달리 태양광이 성장에 적합하도록 충분히 제공됨으로써 양쪽 이랑(2) 부근에만 존재하는 인삼들이 1차 수확으로 인해 생성된 공간(3)으로 그 잎들을 전개시킨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밀도가 높은 지역에서 벗어나 생존확률이 높은 곳으로 잎들이 뻗어 나가게 되어 성장하면서 1차 수확으로 인해 생성된 공간이 양쪽 이랑쪽으로부터 전개된 인삼들의 잎으로 덮어지게 된다. 도 10은 도 9의 B-B선 단면도이다.
이후,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 수확시기에 2차 수확을 하게 된다.
이상은 한 번 심어 두 번 수확하는 방법에 관한 설명이었으며, 3회 수확을 하기 위해서는 도 11a 내지 도 11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인 파종 수량의 10배에 해당하는 양(量)을 파종한다.
이후, 위에서 설명한 과정중 1차복토(S4과정)까지는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한다. 그러나, 도 9와 달리 비율은 동일하나 그 개체 수가 많으므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남아 있는 부분의 1/2에 해당하는 영역의 4년근 인삼을 수확한다(S5 과정). 이후에도 도 8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양쪽 이랑(2)의 깊이가 적어도 70㎝가 되도록 흙을 파서 수확에 의해 생성된 공간(4)에 복토를 수행한다(S6 과정).
이후 용도에 따라 5년근 또는 6년근의 수확시기에 수확을 한다(S7 과정).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인삼재배방법은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삼재배방법을 적용하면 동일한 면적에서 2회 또는 3회에 걸쳐 수확할 수 있어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인삼밭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종래 방법에 따른 인삼재배방법에 따른 단위 블록의 파종 및 생장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삼재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단위블록당 파종 및 생장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이중막 차광의 예시도,
도 6은 단일막 차광의 예시도,
도 7은 1차 수확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1차 복토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1차 복토후 소정 기간이 경과된 상태의 단위블록당 생장 상태도,
도 10은 도 9의 단면도,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에 따른 단위블록당 파종 및 생장을 나타낸 예시도,
도 12는 4년근 수확을 위한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Claims (2)

180㎝×90㎝ 크기의 단위블록당 50~80 개체의 인삼을 수확하는 일반적인 인삼 파종량에 비해 동일 면적당 적어도 4배 많은 수량의 인삼씨를 파종하는 과정과;
파종 후 2년차 되는 해부터 이중 차광막 중 하나의 차광막을 제거하여 태양광의 조사량(照射量)을 높이는 성장조건 변경 과정과;
파종 후 3년이 경과되는 해에 앞· 뒤 이랑에 근접한 양쪽 부분(각 단위블록의 1/6씩)의 인삼만을 남기고 가운데 부분(각 단위블록의 2/3)의 인삼을 이랑의 길이 방향으로 수확하는 1차 수확과정과;
각 이랑의 깊이가 60㎝가 될 때까지 앞· 뒤 이랑의 흙을 파서 1차 수확에 의해 생긴 공간에 복토(覆土)하는 1차 복토과정과;
파종 후 4년이 경과된 이후의 수확기에 나머지 인삼을 수확하는 2차 수확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1 회 파종하여 다수 회 수확하는 인삼재배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수확과정은,
4년이 경과된 해의 수확기에, 양쪽 이랑 방향으로 남아있는 인삼의 각 단위블록당 1/3씩만을 수확하는 4년근 수확과정과;
각 이랑의 깊이가 70㎝가 될 때까지 앞· 뒤 이랑의 흙을 파서 4년근 수확에 의해 생긴 공간에 복토(覆土)하는 2차 복토과정과;
6년이 경과된 해의 수확기에 나머지 인삼을 수확하는 6년근 수확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회 파종하여 다수 회 수확하는 인삼재배방법.
KR10-2003-0049789A 2003-07-21 2003-07-21 1 회 파종하여 다수 회 수확하는 인삼재배방법 KR100509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789A KR100509169B1 (ko) 2003-07-21 2003-07-21 1 회 파종하여 다수 회 수확하는 인삼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789A KR100509169B1 (ko) 2003-07-21 2003-07-21 1 회 파종하여 다수 회 수확하는 인삼재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015A KR20050011015A (ko) 2005-01-29
KR100509169B1 true KR100509169B1 (ko) 2005-08-22

Family

ID=37223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9789A KR100509169B1 (ko) 2003-07-21 2003-07-21 1 회 파종하여 다수 회 수확하는 인삼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91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83452A (zh) * 2013-05-28 2013-09-11 汕头市美林种植技术有限公司 党参的栽培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50927A (zh) * 2014-11-20 2015-02-18 扬州大学 一种阳台小白菜的栽培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83452A (zh) * 2013-05-28 2013-09-11 汕头市美林种植技术有限公司 党参的栽培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015A (ko) 2005-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40070A (zh) 黄精的规范化种植工艺
CN104641872A (zh) 一种黄瓜种植栽培方法
CN103875423B (zh) 一种芦笋的栽培方法
CN103975728A (zh) 一种饮用菊花的有机栽培方法
CN102960138A (zh) 一种水芹的栽培方法
CN102960139A (zh) 一种荸荠的栽培方法
KR20170096398A (ko) 흑노호 대목을 이용한 오미자 무성번식 방법
CN106900461A (zh) 一种藤茶与木本油料作物、山稻仿生复合经营方法
CN108633676B (zh) 一种棉花一播全苗的方法
CN108782091B (zh) 一种提高华南地区长豇豆繁种产量的方法
CN113348884A (zh) 马蓝半硬枝扦插育苗方法
CN102687665A (zh) 一种提高榨菜产量及制种纯度的培育方法
CN106993449A (zh) 一种玉米套种荷兰豆的方法
CN112655550B (zh) 一种水果黄瓜杂交制种的方法
CN107173215B (zh) 一种紫苏新品种的培育方法
CN107548904A (zh) 一种早稻套种淮山的栽培方法
CN104160856B (zh) 一种提高羽衣甘蓝切花量及制种量的栽培方法
CN115211344A (zh) 一种芍药间作技术提高经济效益的方法
KR100509169B1 (ko) 1 회 파종하여 다수 회 수확하는 인삼재배방법
CN109429950A (zh) 一种无污染的有机大米种植方法
CN104920009B (zh) 一种提高甘蓝制种产量的栽培方法
KR20140136116A (ko) 비닐하우스 인공토양 아이스플랜트 재배방법
KR100413105B1 (ko) 옥잠화 번식 방법
CN108934830B (zh) 一种黄瓜换茬时的免耕栽培方法
CN114258758A (zh) 一种丹参根段苗的培育方法及丹参的扩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