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9054B1 -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가습장치 - Google Patents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가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9054B1
KR100509054B1 KR10-2003-0001156A KR20030001156A KR100509054B1 KR 100509054 B1 KR100509054 B1 KR 100509054B1 KR 20030001156 A KR20030001156 A KR 20030001156A KR 100509054 B1 KR100509054 B1 KR 100509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pump
tray
condensed water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1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3661A (ko
Inventor
손양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1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9054B1/ko
Publication of KR20040063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3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9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90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24F1/02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mounted in wall openings, e.g. in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가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에서 난방운전이 이루어질 때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을 가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팬(100)의 실외측 부분에 저수부(105)를 형성하고 상기 저수부(105)에 모인 응축수를 펌핑하기 위해 펌프(200)를 설치한다. 상기 펌프(200)에는 응축수전달부(210)가 연결되고 상기 응축수전달부(210)를 통해 전달된 응축수는 살수트레이(220)에 형성된 낙하공(227)을 통해 낙하된다. 상기 낙하공(227)은 상기 살수트레이(220)의 유동공간(222)에 돌출되게 형성된 둔덕부(224)의 정상에 살수트레이(220)의 하부로 관통하게 형성된다. 상기 살수트레이(220)의 입구와 그에 인접한 낙하공(227)의 사이에는 응축수의 급격한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안내리브(228)가 구비된다. 상기 응축수전달부(210)는 제1 및 제2 파이프(212,214) 및 다수개의 연결구(216)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응축수라도 저수부(105)를 통해 용이하게 흡입하여 균일하게 살수할 수 있고, 펌프(200)와 살수트레이(220)사이의 상대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가습장치{Humidifier of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일체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팬에 의해 공기조화기의 실내측에서 형성되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공기유동안내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모든 부품이 하나의 케이스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그 예로서 창문형 공기조화기와 벽매립형 공기조화기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창문형 공기조화기와 벽매립형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과 외부공간 사이에 위치하여 공기조화기의 선단측은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노출되고 공기조화기의 후단측은 외부공간으로 노출된다.
특히 벽매립형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벽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공기조화기의 선단측은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노출되고, 후단측은 배면만이 외부공간으로 노출되어 공기조화기의 내부 실외측으로 실외공기가 입출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벽매립형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공기조화기의 바닥면을 베이스팬(1)이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팬(1) 상에는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안착된다. 상기 베이스팬(1)은 좌우로 긴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횡방향으로 가로질러서 베리어(3)가 설치된다. 상기 베리어(3)는 공기조화기의 내부를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구획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베리어(3)의 양단에는 각각 단부측벽(5,5')이 공기조화기의 전방을 향해 절곡되어 연장되게 구비되고, 상기 단부측벽(5,5')의 사이에는 구획측벽(6)이 구비된다. 상기 구획측벽(6)은 상기 베리어(3)와 별개로 형성되어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베리어(3)에 의해 구획되는 실내측을 공기 유동이 이루어지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으로 구획하고 아래에서 설명될 실내팬(17)을 구동하는 모터(19)가 구비된다. 도면부호 7은 상기 베리어(3)에 형성된 환기공이다.
상기 베이스팬(1)의 실내측 선단에는 응축수받이(9)가 설치된다. 상기 응축수받이(9) 상에는 실내열교환기(11)가 설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1)는 열교환사이클의 작동유체와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에서 흡입된 공기 사이의 열교환을 수행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1)의 상단은 열교환기커버(13)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열교환기커버(13)는 그 양단이 상기 베리어(3)의 단부측벽(5)과 구획측벽(6)에 각각 지지된다. 상기 열교환기커버(13)에는 그 하부로 연장되게 히터(15)가 설치되고, 상기 히터(15)는 상기 실내열교환기(11)의 배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안착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1)의 후방에는 실내팬(17)이 설치된다. 상기 실내팬(17)은 상기 베리어(3)의 단부측벽(5)과 구획측벽(6)의 사이에 그 양단부가 각각 지지된다. 상기 실내팬(17)은 공기조화기의 실내측에서의 공기유동을 위한 원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실내팬(17)의 일단부는 상기 베리어(3)의 단부측벽(5)에 구비되는 보조판(18)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구획측벽(6)에 형성된 장착공(6')에 설치되는 모터(19)에 연결되어 회전된다.
상기 실내팬(17)이 설치되는 상기 베리어(3)의 내측에는 스크롤(21)이 구비된다. 상기 스크롤(21)은 상기 실내팬(17)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공기조화기의 실내측 외관을 전면패널(23)이 형성한다. 상기 전면패널(23)에는 그 전면에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내부로 흡입되는 통로가 되는 흡입그릴(24)이 구비되고, 그 전면 상단에 전방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토출부(24')가 구비된다.
상기 토출부(24')에는 상기 스크롤(21)에 의해 안내된 공기를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원하는 방향으로 보내기 위해 토출안내부재(27)가 구비된다. 상기 토출안내부재(27)는 상기 열교환기커버(13)의 상단에 대응되는 상기 토출부(24')에 설치되는 것으로, 토출부(24')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루버(29)가 구비된다.
상기 베리어(3)에 의해 구획되는 실외측과 실내측을 선택적으로 연통시켜 실외측의 신선한 공기를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보내도록 하기 위해 상기 베리어(3)에는 환기공(30)이 구비된다. 상기 환기공(30)에는 공기중에 섞인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32)가 설치되고, 상기 환기공(30)에는 환기도어(34)가 설치되어 환기공(30)을 개폐한다.
그리고, 공기조화기의 실외측과 실내측 일부를 포함하는 외관을 슬리이브(36)가 형성한다. 상기 슬리이브(36)는 사각통상으로 형성되어 공기조화기의 양측면과 상면 및 하면 외관을 형성한다.
공기조화기의 실외측에는 실외열교환기(38)가 설치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38)는 열교환사이클의 작동유체와 실외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열을 실외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38)를 둘러싸도록 쉬라우드(40)가 베이스팬(1) 상에 설치된다. 상기 쉬라우드(40)는 슬리이브(36)의 배면 양단을 통해 흡입된 실외공기를 안내하여 상기 실외열교환기(38)를 골고루 통과하게 한다.
상기 쉬라우드(40)의 내측에는 공기조화기의 실외측에서 유동되는 공기의 흐름을 만들어내는 실외팬(42)이 구비된다. 상기 실외팬(42)은 상기 베이스팬(1) 상에 설치된 모터마운트(44)에 장착된 모터(46)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구동된다.
상기 베이스팬(1)의 실외측에는 열교환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48)가 설치되고, 베리어(3)와 쉬라우드(40)는 브레이스(49)에 의해 연결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1'은 상면판이다.
한편, 도 3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체형 열교환기에서 난방운전시에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에 가습을 하기 위한 가습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난방운전시에 실외열교환기(38)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펌핑하는 펌프(50)가 실외측의 베이스팬(1) 상에 안착된다. 상기 펌프(50)에서 펌핑된 응축수를 전달하기 위한 공급파이프(52)가 구비된다. 상기 공급파이프(52)는 금속재질로 제작되는 것으로, 베이스팬(1)의 바닥에 구비된 펌프(50)에서 실내열교환기(11)의 상부측으로 응축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다수회 절곡된다.
상기 공급파이프(52)에 연결되어서는 살수트레이(54)가 구비된다. 상기 살수트레이(54)는 상기 실내열교환기(11)의 좌우폭만큼의 길이를 가지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1)의 상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살수트레이(54)는 상기 열교환기커버(13)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살수트레이(54)에는 상기 펌프(50)에 의해 펌핑되어 공급파이프(52)를 통해 전달된 응축수를 난방운전시에 실내열교환기(11)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낙하되게 한다.
상기 살수트레이(54)의 내부에는 응축수가 유동되는 유동공간(56)이 형성되고, 일단부에는 상기 공급파이프(52)가 연결되어 응축수를 유동공간(56)으로 공급하는 입구(57)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동공간(56)의 바닥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상기 응축수를 실내열교환기(11)로 낙하시키는 낙하공(58)이 천공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상기 펌프(50)는 상기 실외열교환기(38)에서 난방운전시에 발생하여 베이스팬(1)상에 고인 응축수를 펌핑하여 상기 살수트레이(54)로 공급한다. 하지만, 상기 베이스팬(1) 상에 구비된 펌프(50)는 응축수가 일정 이상 모여서 어느 정도의 수위가 되어야만 제대로 펌핑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상기 펌프(50)에 의해 펌핑되는 응축수가 모이는 부분이 주변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응축수는 상기 펌프(50)의 펌핑력에 의해 상기 공급파이프(52)를 통해 상기 살수트레이(54)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공급파이프(52)와 연결된 입구(57)를 통해 상기 유동공간(56)의 내부로 공급되는 응축수는 소정의 압력으로 입구(57)에서 토출된다. 따라서 상기 입구(57)에서 가장 가까운 낙하공(58)의 주변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응축수가 공급되고, 상기 입구(57)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낙하공(58)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응축수가 공급되어 실내열교환기(11) 전체에 골고루 응축수가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낙하공(58)이 형성되는 부분은 상기 유동공간(56)의 바닥면과 높이차이가 없으므로, 상기 유동공간(56)으로 공급된 응축수는 바로 낙하공(58)을 통해 살수트레이(54)를 빠져나간다. 따라서, 상기 입구(57)에서 가까운 낙하공(58)을 통해서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응축수가 낙하되어 실내열교환기(11) 전체에 골고루 응축수가 공급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는 펌프(50)와 살수트레이(54) 사이를 하나의 공급파이프(52)를 사용하여 연결하므로, 상기 펌프(50)와 살수트레이(54)사이의 거리가 달라지거나 실내열교환기(11)의 높이가 달라지게 되면 다른 길이를 가지는 공급파이프를 별도로 절곡하여 생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시 가습장치로 응축수의 공급이 보다 원활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가습장치에서 실내열교환기로 보다 균일하게 응축수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가습장치를 다양한 제원을 가지는 공기조화기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베이스팬 상에 설치되고, 제 1열교환기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펌핑하는 펌프와; 상기 제 1열교환기가 설치된 부분과 구획된 공간에 설치된 제 2열교환기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펌프에서 펌핑되어 전달된 응축수를 전달받아 상기 제 2열교환기로 낙하시키는 살수트레이와; 상기 펌프와 살수트레이 사이를 수직거리를 커버하기 위한 제 1파이프와, 상기 펌프와 살수트레이 사이의 수평거리를 커버하기 위한 제 2파이프와, 상기 제 1파이프, 제 2파이프, 펌프 및 살수트레이를 연결하는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연결구로 구성되어 펌프에서 펌핑된 응축수를 살수트레이로 공급하는 응축수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파이프는 절곡가능한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응축수가 보다 원활하게 펌프에 의해 펌핑될 수 있고 살수트레이에서 열교환기로 보다 균일하게 공급되어 가습작용이 보다 원활하게 되며 다양한 구성의 공기조화기에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가습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습장치가 채용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베이스팬(100)은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장착되는 부분으로 소정 면적을 가지는 사각형의 판상이다. 상기 베이스팬(100)의 바닥면은 장착되는 부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팬(100)의 일측, 바람직하기로는 실외측에는 다른 부분보다 요입된 요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저수부(105)가 구비된다. 상기 저수부(105)는 아래에서 설명될 실외열교환기(187)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모이는 부분으로, 베이스팬(100)의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팬(100)을 횡으로 가로질러 베리어(110)가 설치된다. 상기 베리어(110)는 공기조화기 내부의 공간을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리어(110)의 배면판(112)은 실내측과 실외측을 구획하는 부분이고, 상기 배면판(112)의 양단에는 각각 단부측판(114,144')이 구비된다. 상기 단부측판(114,114')은 아래에서 설명될 실내팬(130)을 지지함과 동시에 실내팬(130)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가 유동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단부측판(114,144')의 선단에는 상하로 길게 장착플랜지(114f)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플랜지(114f)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단부측판(114,114')의 선단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소정 폭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면판(112)에는 실외측의 공기를 실내측으로 도입하여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환기를 수행하도록 하는 환기공(116)이 형성된다. 상기 환기공(116)에는 환기공(116)을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118)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환기공(116)은 환기도어(119)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베리어(110)의 일단부에는 콘트롤부베리어(120)가 연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콘트롤부베리어(120)는 아래에서 설명될 콘트롤박스(122)와 대응되는 부분에서 실내측과 실외측을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베리어(110)와 콘트롤부베리어(120)에 의해 공기조화기 전체 공간이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구획된다.
상기 콘트롤부베리어(120)에는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부품이 설치되는 콘트롤박스(122)가 설치된다. 상기 콘트롤박스(122)에는 각종 다이얼과 버튼이 장착되는 콘트롤패널(123)이 구비되고, 상기 콘트롤패널(123)은 아래에서 설명될 전면패널(170)의 콘트롤패널부(179)를 통해 공기조화기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베리어(110)의 내부에는 실내팬(130)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기 위한 스크롤(125)이 구비된다. 상기 스크롤(125)은 크게 단열스크롤(126)과 스크롤커버(128)로 구성된다. 하지만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단열스크롤(126)을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스크롤커버(128)는 실내팬(130)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하여 실내팬(130)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부호 126',128'은 상기 베리어(110)의 환기공(116)과 대응되는 환기공이다.
상기 베리어(110)의 내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스크롤커버(128)와 대응되는 상기 베리어(110)의 내부에는 실내팬(130)이 설치된다. 상기 실내팬(130)은 공기조화기의 실내측에서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원동력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내팬(130)은 원통형으로 길게 형성된 시로코팬이다.
상기 실내팬(130)의 양단과 대응되는 상기 베리어(110)의 단부측판(114) 내면에는 보조공기안내부재(140)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보조공기안내부재(140)에는 상기 실내팬(130)의 양단부 외면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요입곡면(142)이 형성된다. 상기 요입곡면(142)은 상기 실내팬(130)의 양단부 상면과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어 상기 실내팬(130)의 양단과 상기 베리어(110)의 단부측판(114)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C)를 차폐하여 실내팬(13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단부측판(114)의 내면 근처로 분산되고 와류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실내팬(130)은 상기 일측 단부측판(114')에 장착되는 실내모터(150)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실내모터(150)는 상기 단부측판(114')의 외면에 장착되고 그 회전축이 상기 단부측판(114')을 관통하여 상기 실내팬(130)의 일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실내모터(150)는 상기 단부측판(114')의 외면에 모터브라켓(152)에 의해 장착된다. 상기 모터브라켓(152)은 상기 실내모터(150)의 배면, 즉 회전축이 구비된 반대쪽과 대응되는 배면지지부(154)를 구비한다. 상기 배면지지부(154)는 상기 실내모터(150)의 배면과 적어도 대응되는 면적과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그 중앙을 관통하여 통공(155)이 형성된다. 상기 배면지지부(154)에서 상기 실내모터(15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장착레그(156)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레그(156)는 상기 배면지지부(154)의 둘레에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다. 상기 장착레브(156)의 선단부는 상기 단부측판(114')의 외면에 나사로 체결된다.
상기 실내팬(130)의 전방에 해당되는 실내측에는 실내열교환기(160)가 설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60)는 열교환사이클의 작동유체와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에서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하는 부분이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60)는 상기 베이스팬(100)상에 설치된 응축수받이(162)에 지지된다. 상기 응축수받이(162)는 상기 실내열교환기(160)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모아 실외측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60)의 상부에는 열교환기커버(165)가 구비된다. 상기 열교환기커버(165)는 그 양단이 상기 베리어(110)의 장착플랜지(114f) 상단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실내열교환기(160)의 상단부를 차폐한다. 상기 열교환기커버(165)에는 히터(168)가 구비된다. 상기 히터(168)는 공기조화기가 난방운전될 때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로 열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히터(168)는 상기 실내열교환기(160)의 배면, 즉 상기 실내팬(130)과 마주보는 면에 위치된다.
상기 열교환기커버(165)에 그 일측이 삽입되게 차폐그릴(169)이 설치된다.상기 차폐그릴(169)은 상기 열교환기커버(165)에 설치되어 공기조화기의 외부에서 상기 실내팬(130)의 내부로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이물이 삽입되는 것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차폐그릴(169)은 소정 굵기의 와이어를 격자모양으로 연결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차폐그릴(169)은 아래에서 설명될 토출그릴(176)과 대응되는 위치이다.
한편, 공기조화기의 정면에는 전면패널(170)이 구비된다. 상기 전면패널(170)은 공기조화기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그 전면에는 전면그릴(172)이 구비된다. 상기 전면그릴(172)을 통해서는 상기 실내팬(130)의 구동에 의해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실내측으로 흡입된다.
상기 전면패널(170)의 상단은 전방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이에는 토출구(174)와 콘트롤패널부(179)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토출구(174)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면적을 차지한다. 상기 토출구(174)에는 토출그릴(176)이 안착된다. 상기 전면패널(170)의 전면그릴(172) 후방에는 필터(178)가 설치된다. 상기 필터(178)는 상기 전면그릴(172)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을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이제,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외측 구성을 살펴본다. 상기 베리어(110)에 의해 구획된 실외측에는 실외모터(180)가 설치된다. 상기 실외모터(180)는 상기 베이스팬(100) 상에 안착된 모터마운트(182)에 장착된다. 상기 실외모터(180)의 회전축에는 실외팬(184)이 설치되어 상기 실외모터(180)에 의해 구동된다.
한편, 실외측의 후단에 해당되는 상기 베이스팬(100) 상에는 쉬라우드(186)가 설치된다. 상기 쉬라우드(186)의 중앙을 관통하여서는 통공(186')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186')의 내측에 상기 실외팬(184)이 위치된다. 상기 쉬라우드(186)의 내부에는 실외열교환기(187)가 설치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187)는 열교환사이클의 작동유체와 실외에서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되는 곳이다. 상기 실외열교환기(187)의 일면은 공기 조화기의 배면을 통해 실외를 바라보게 설치된다. 도면부호 188은 열교환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이고, 189는 상기 쉬라우드(186)와 베리어(110) 사이를 연결하는 브레이스이다.
슬리이브(190)는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과 실외를 구획하는 벽체에 형성된 통공에 안착되는 부분으로, 상기 슬리이브(190)는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외측과 실내측 일부를 감싼다. 즉, 상기 슬리이브(190)는 그 선단이 상기 전면패널(170)과 대응되어 연결되고, 그 배면은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리이브(190)는 공기조화기의 상면, 양면 및 하면을 형성한다.
상기 슬리이브(190)의 후단에는 배면부(192)와 후면그릴(194)이 설치되는데, 상기 배면부(192)는 공기조화기의 실외측과 실외 사이에서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하면서도 공기조화기의 실외측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후면그릴(194)은 상기 실외열교환기(187)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다시 공기조화기의 실외측으로 흡입되지 않도록 실외열교환기(187)의 일단부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슬리이브(190)의 양단과 상기 실외열교환기(187)의 사이에는 외부의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실외측으로 흡입되는 통로가 구비된다. 상기 통로는 상기 실외열교환기(187)의 좌우폭을 상기 슬리이브(190)의 좌우폭보다 작게 형성함에 의해 만들어진다.
다음으로 공기조화기가 난방운전을 할 때,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에 가습을 하는 구성을 살펴본다. 상기 베이스팬(100)의 실외측에는 펌프(200)가 설치된다. 상기 펌프(200)는 상기 저수부(105)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펌프(200)의 내부로 응축수를 흡입하는 파이프(도시되지 않음)의 길이를 조절하면 반드시 상기 저수부(105) 근처에 펌프(200)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상기 펌프(200)로 흡입된 응축수는 응축수전달부(210)에 의해 아래에서 설명될 살수트레이(220)로 전달된다. 상기 응축수전달부(210)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2 파이프(212,214)와 상기 파이프(212,214)의 단부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연결구(21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파이프(212)는 베이스팬(100)의 바닥면에서 실내열교환기(160)의 상단 까지의 높이차를 커버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파이프(214)는 상기 펌프(200)에서 살수트레이(220)까지의 거리를 커버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216)는 상기 파이프(212,214) 사이 및 상기 펌프(200) 및 살수트레이(220)와 파이프(212,214) 사이를 연결하면서 이들 사이의 연결방향을 원하는 대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구(216)는 대략 'ㄱ'자로 절곡되게 고무재질로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공기조화기의 제원에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파이프(212,214)의 길이를 조절하고, 필요하다면 별도의 파이프를 추가하여 펌프(200)와 살수트레이(220)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살수트레이(220)는 상기 응축수전달부(210)를 통해 응축수를 공급받아 실내열교환기(160)의 상부에서 낙하시켜 실내열교환기(160)를 통과하는 공기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살수트레이(220)는 상기 실내열교환기(160)의 좌우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살수트레이(220)는 상기 실내열교환기(160)의 상단과 상기 열교환기커버(165)의 하부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살수트레이(200)에는 다수개의 걸이후크(221)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후크(221)는 살수트레이(200)의 양단에 쌍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트레이받침(230)에 살수트레이(200)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걸이후크(221)는 상기 살수트레이(20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쌍이 구비되는데, 상기 걸이후크(221)의 쌍은 살수트레이(200)의 길이에 따라 적절한 갯수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후크(221)가 형성되는 살수트레이(200)의 부분은 상대적으로 폭이 좁게 형성된다.
상기 살수트레이(200)는 그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유동공간(222)이 형성된다. 상기 살수트레이(200)의 일단부에는 상기 유동공간(222)과 상기 응축수전달부(210)를 연통시키는 입구(223)가 구비된다. 상기 입구(223)를 통해 상기 유동공간(222)의 내부로 응축수가 전달된다.
상기 살수트레이(200)의 유동공간(222) 바닥면에는 살수트레이(2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된 둔덕부(224)가 구비된다. 상기 둔덕부(224)의 길이방향 양단은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경사면(225)으로 형성된다. 상기 둔덕부(224)의 정상에는 상기 살수트레이(200)의 하부로 관통되는 낙하공(227)이 천공된다. 상기 낙하공(227)을 통해서는 응축수의 수위가 상기 둔덕부(224)보다 높게 되었을 때 응축수가 전달되어 낙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둔덕부(224)가 2개로 나누어져 형성되어 있는데,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다수개로 나누어져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낙하공(227)과 대응되는 살수트레이(200)의 하면에는 낙하공(227)을 둘러 안내스컷트(229)가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안내스컷트(229)는 상기 낙하공(227)을 통해 낙하되는 물방울이 외부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입구(223)에 인접하여서는 안내리브(22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리브(228)는 상기 입구(223)를 통해 급격하게 응축수가 공급되더라도 인접한 낙하공(227)으로만 응축수가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안내리브(228)는 상기 유동공간(222)의 양측 내벽과 상기 둔덕부(224) 사이의 공간으로 응축수가 향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살수트레이(200)는 트레이받침(230)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커버(165)의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트레이받침(230)은 상기 열교환기커버(165)의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트레이받침(230)이 상기 열교환기커버(165)에 고정되는 방식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트레이받침(230)이 상기 열교환기커버(165)의 전면에서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트레이받침(230)에는 상기 살수트레이(200)의 스컷트(229)가 안착되는 트레이안착부(232)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살수트레이(200)의 걸이후크(221)와 대응되는 위치에 후크슬롯(234)이 각각 쌍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살수트레이(200)는 상기 스컷트(229)가 상기 트레이안착부(232)에 안착되고 상기 걸이후크(221)가 후크슬롯(234)에 안착됨에 의해 트레이받침(230)에 고정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가습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가습장치는 공기조화기가 난방운전을 할 때,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습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때 가습을 위한 수분을 난방운전시 실외열교환기(187)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실외열교환기(187)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는 베이스팬(100)의 바닥면에 낙하되어 상기 저수부(105)로 전달된다. 상기 저수부(105)에 모인 응축수는 상기 펌프(200)에 의해 펌핑되어 상기 응축수전달부(210)를 통해 상기 살수트레이(220)로 공급된다.
상기 살수트레이(220)로 공급된 상기 응축수는 상기 유동공간(222)내에 채워진다. 이때, 상기 유동공간(222)에는 상기 둔덕부(224)의 상단 높이까지 응축수가 채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수의 수위가 상기 둔덕부(224)보다 높아지면 상기 낙하공(227)을 통해 살수트레이(220)의 하부로 낙하된다. 상기 살수트레이(220)에서 실내열교환기(160)로 전달된 응축수는 상기 실내열교환기(160)를 통과하는 공기의 습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60)를 통과하는 공기에 흡수되지 않은 응축수는 상기 응축수받이(162)를 통해 다시 상기 저수부(105)로 전달되고, 펌프(200)에 의해 펌핑되어 상기 살수트레이(220)로 전달되어 사용된다.
이때, 상기 펌프(200)에 의해 펌핑된 응축수가 상기 응축수전달부(210)를 통해 살수트레이(220)의 입구(223)로 급격하게 공급되더라도 상기 안내리브(228)가 상기 입구(223)에 인접한 낙하공(227)으로 집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물론 상기 둔덕부(224)의 높이에 의해서도 어느 정도 방지된다.
즉, 상기 둔덕부(224)의 높이만큼 응축수의 수위가 높아질 때까지는 상기 낙하공(227)을 통해 응축수가 낙하되지 않고, 상기 유동공간(222) 전체에서 응축수의 수위가 상기 둔덕부(224)를 넘어서게 되면 전체 낙하공(227)을 통해 응축수가 낙하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응축수전달부(210)를 구성하는 상기 제1 및 제2 파이프(212,214)와 연결구(216)는 상기 펌프(200)와 살수트레이(220)의 설치위치가 달라지더라도 이들 사이를 정확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실내열교환기(160)의 높이가 달라지면 상기 제1파이프(212)를 약간 절곡한다든지, 상기 제1파이프(212)와 연결구(216) 사이의 겹쳐지는 정도를 달리하여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펌프(200)와 살수트레이(220)사이의 거리가 달라지면 상기 제2 파이프(214)를 약간 절곡하거나 상기 제2파이프(214)와 연결구(216) 사이의 겹쳐지는 정도를 달리하여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펌프(200)와 살수트레이(220) 사이의 거리 및 높이 차 등이 어느 정도의 범위에서 변경되는 것은 상기 제1 및 제2 파이프(212,214)와 연결구(216)의 조절에 의해 충분히 커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살수트레이(220)는 상기 열교환기커버(165)에 구비되는 트레이받침(230)에 장착된다. 즉, 상기 살수트레이(220)의 하부로 돌출되어 있는 스컷트(229)가 상기 트레이받침(230)의 트레이안착부(232)에 안착되고, 상기 걸이후크(221)가 상기 후크슬롯(234)에 걸어짐에 의해 고정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가습장치에서는 난방운전중에 실외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가습을 위해 사용한다. 이를 위해 베이스팬에 응축수를 모으는 저수부를 형성하므로 응축수의 양이 많지 않더라도 펌프에 의해 펌핑이 용이하게 되어 가습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실내열교환기의 상부에 설치되어 응축수를 낙하시키는 살수트레이에 둔덕부를 형성하고, 상기 둔덕부의 정상에 낙하공을 형성하므로 일단 살수트레이의 저장공간에 둔덕부 높이 만큼의 응축수 수위가 형성된 후에 전체 낙하공을 통해 응축수가 낙하되어 살수되므로 가습작용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살수트레이의 입구에 인접한 낙하공으로 응축수가 급격하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입구와 낙하공의 사이에 안내리브를 형성하였으므로 펌프에 의해 펌핑되어 살수트레이로 공급되는 응축수가 전체 낙하공을 통해 원활하게 낙하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서 응축수전달부의 구성에 의해 살수트레이와 펌프사이의 상대위치에 상관없이 이들 사이를 연결할 수 있게 되어 다양한 제원을 가지는 공기조화기에 가습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가습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습장치를 구비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살수트레이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살수트레이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의 가습장치가 동작하는 것을 설명하는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베이스팬 110: 베리어
112: 배면판 114,114': 단부측판
116: 환기공 118: 필터
119: 환기도어 120: 콘트롤부베리어
120': 배면판 121: 측면판
122: 콘트롤박스 123: 콘트롤패널
125: 스크롤 126: 단열스크롤
128: 스크롤커버 130: 실내팬
140: 보조공기안내부재 150: 실내모터
152: 모터브라켓 160: 실내열교환기
162: 응축수받이 165: 열교환기커버
168: 히터 170: 전면패널
172: 전면그릴 174: 토출구
176: 토출그릴 179: 콘트롤패널부
180: 실외모터 184: 실외팬
186: 쉬라우드 187: 실외열교환기
188: 압축기 190: 슬리이브
192: 배면부 200: 펌프
210: 응축수전달부 212: 제1파이프
214: 제2파이프 216: 연결구
220: 살수트레이 222: 유동공간
224: 둔덕부 225: 경사면
227: 낙하공 229: 스컷트
230: 트레이받침 232: 트레이안착부
234: 후크슬롯

Claims (2)

  1. 베이스팬 상에 설치되고, 제 1열교환기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펌핑하는 펌프와;
    상기 제 1열교환기가 설치된 부분과 구획된 공간에 설치된 제 2열교환기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펌프에서 펌핑되어 전달된 응축수를 전달받아 상기 제 2열교환기로 낙하시키는 살수트레이와;
    상기 펌프와 살수트레이 사이를 수직거리를 커버하기 위한 제 1파이프와, 상기 펌프와 살수트레이 사이의 수평거리를 커버하기 위한 제 2파이프와, 상기 제 1파이프, 제 2파이프, 펌프 및 살수트레이를 연결하는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연결구로 구성되어 펌프에서 펌핑된 응축수를 살수트레이로 공급하는 응축수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가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파이프는 절곡가능한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가습장치.
KR10-2003-0001156A 2003-01-08 2003-01-08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가습장치 KR100509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1156A KR100509054B1 (ko) 2003-01-08 2003-01-08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가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1156A KR100509054B1 (ko) 2003-01-08 2003-01-08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가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3661A KR20040063661A (ko) 2004-07-14
KR100509054B1 true KR100509054B1 (ko) 2005-08-19

Family

ID=37354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1156A KR100509054B1 (ko) 2003-01-08 2003-01-08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가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90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239B1 (ko) * 2006-11-14 2008-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습장치 및 이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2038280B1 (ko) * 2018-03-19 2019-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청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3661A (ko) 2004-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88317A2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20080059755A (ko)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12108731U (zh) 空调器
KR100509051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가습장치
CN109974182A (zh) 超声波雾化组件、空气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KR100509054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가습장치
US2932956A (en) Air-conditioning apparatus of the induction type
CN111780220B (zh) 空调器
KR100642364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80128608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53399A (ko) 공기 조화 시스템
WO2021169510A1 (zh) 空调器
KR100453003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커버 조립체
CN212538064U (zh) 空调器
CN212538018U (zh) 空调器
JP4257593B2 (ja) ミスト発生機能付き暖房装置
KR20070005176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925718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509050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실내측 공기유동안내구조
KR100743300B1 (ko) 공기 조화 시스템
CN212108734U (zh) 空调器
CN219103274U (zh) 整体式热泵空调
JP3900004B2 (ja) 空気調和機
CN113310127B (zh) 空调器
CN212538065U (zh) 喷淋构件以及包含该喷淋构件的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