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3003B1 -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커버 조립체 - Google Patents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커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3003B1
KR100453003B1 KR10-2002-0063984A KR20020063984A KR100453003B1 KR 100453003 B1 KR100453003 B1 KR 100453003B1 KR 20020063984 A KR20020063984 A KR 20020063984A KR 100453003 B1 KR100453003 B1 KR 100453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end side
air conditioner
exchanger cover
b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3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5217A (ko
Inventor
강명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3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3003B1/ko
Publication of KR20040035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5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3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30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24F1/02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mounted in wall openings, e.g. in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with humidific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커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열교환기커버(165)의 후단을 따라서는 실내팬(130)에서 토출된 공기를 안내하는 안내곡면부(166)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곡면부(166)에는 삽입공(166')이 천공되어 있어 삽입레그(169')가 삽입되어 차폐그릴(169)이 설치된다. 열교환기커버(165)의 양단에는 안착단차(167)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단차(167)는 베리어(110)의 양단에 형성된 단부측판(114,114')의 장착플랜지(114f)에 장착된다. 상기 장착플랜지(114f)는 단부측판(114,114')의 선단에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장착플랜지(114f)에는 연장부(114e)가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안착단차(167)는 연장부(114e)의 외면에 밀착되는 연장부밀착판(167a)을 구비한다. 상기 연장부밀착판(167a)에서 수직으로 절곡되게 장착플랜지(114f)에 밀착되는 플랜지밀착판(167b)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밀착판(167b)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기 단부측판(114,114')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외측밀착판(167c)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열교환기커버(165)를 베리어(110)에 보다 용이하면서도 정확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되고, 차폐그릴(169)의 설치 또한 간단하게 된다.

Description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커버 조립체{Heat-exchanger cover assembly of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일체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교환기의 상단에 설치되는 열교환기커버를 베리어에 장착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모든 부품이 하나의 케이스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그 예로서 창문형 공기조화기와 벽매립형 공기조화기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창문형 공기조화기와 벽매립형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과 외부공간 사이에 위치하여 공기조화기의 선단측은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노출되고 공기조화기의 후단측은 외부공간으로 노출된다.
특히 벽매립형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벽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공기조화기의 선단측은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노출되고, 후단측은 배면만이 외부공간으로 노출되어 공기조화기의 내부 실외측으로 실외공기가 입출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벽매립형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공기조화기의 바닥면을 베이스팬(1)이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팬(1) 상에는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안착된다. 상기 베이스팬(1)은 좌우로 긴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횡방향으로 가로질러서 베리어(3)가 설치된다. 상기 베리어(3)는 공기조화기의 내부를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구획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베리어(3)의 양단에는 각각 단부측벽(5,5')이 공기조화기의 전방을 향해 절곡되어 연장되게 구비되고, 상기 단부측벽(5,5')의 사이에는 구획측벽(6)이 구비된다. 상기 구획측벽(6)은 상기 베리어(3)와 별개로 형성되어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베리어(3)에 의해 구획되는 실내측을 공기 유동이 이루어지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으로 구획하고 아래에서 설명될 실내팬(17)을 구동하는 모터(19)가 구비된다. 도면부호 7은 상기 베리어(3)에 형성된 환기공이다.
상기 베이스팬(1)의 실내측 선단에는 응축수받이(9)가 설치된다. 상기 응축수받이(9) 상에는 실내열교환기(11)가 설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1)는 열교환사이클의 작동유체와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에서 흡입된 공기 사이의 열교환을 수행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1)의 상단은 열교환기커버(13)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열교환기커버(13)는 그 양단이 상기 베리어(3)의 단부측벽(5)과 구획측벽(6)에 각각 지지된다. 상기 열교환기커버(13)에는 그 하부로 연장되게 히터(15)가 설치되고, 상기 히터(15)는 상기 실내열교환기(11)의 배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안착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1)의 후방에는 실내팬(17)이 설치된다. 상기 실내팬(17)은 상기 베리어(3)의 단부측벽(5)과 구획측벽(6)의 사이에 그 양단부가 각각 지지된다. 상기 실내팬(17)은 공기조화기의 실내측에서의 공기유동을 위한 원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실내팬(17)의 일단부는 상기 베리어(3)의 단부측벽(5)에 구비되는 보조판(18)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구획측벽(6)에 형성된 장착공(6')에 설치되는 모터(19)에 연결되어 회전된다.
상기 실내팬(17)이 설치되는 상기 베리어(3)의 내측에는 스크롤(21)이 구비된다. 상기 스크롤(21)은 상기 실내팬(17)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공기조화기의 실내측 외관을 전면패널(23)이 형성한다. 상기 전면패널(23)에는 그 전면에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내부로 흡입되는 통로가 되는 흡입그릴(24)이 구비되고, 그 전면 상단에 전방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토출부(24')가 구비된다.
상기 토출부(24')에는 상기 스크롤(21)에 의해 안내된 공기를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원하는 방향으로 보내기 위해 토출안내부재(27)가 구비된다. 상기 토출안내부재(27)는 상기 열교환기커버(13)의 상단에 대응되는 상기 토출부(24')에 설치되는 것으로, 토출부(24')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루버(29)가 구비된다.
상기 베리어(3)에 의해 구획되는 실외측과 실내측을 선택적으로 연통시켜 실외측의 신선한 공기를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보내도록 하기 위해 상기 베리어(3)에는 환기공(30)이 구비된다. 상기 환기공(30)에는 공기중에 섞인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32)가 설치되고, 상기 환기공(30)에는 환기도어(34)가 설치되어 환기공(30)을 개폐한다.
그리고, 공기조화기의 실외측과 실내측 일부를 포함하는 외관을 슬리이브(36)가 형성한다. 상기 슬리이브(36)는 사각통상으로 형성되어 공기조화기의 양측면과 상면 및 하면 외관을 형성한다.
공기조화기의 실외측에는 실외열교환기(38)가 설치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38)는 열교환사이클의 작동유체와 실외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열을 실외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38)를 둘러싸도록 쉬라우드(40)가 베이스팬(1) 상에 설치된다. 상기 쉬라우드(40)는 슬리이브(36)의 배면 양단을 통해 흡입된 실외공기를 안내하여 상기 실외열교환기(38)를 골고루 통과하게 한다.
상기 쉬라우드(40)의 내측에는 공기조화기의 실외측에서 유동되는 공기의 흐름을 만들어내는 실외팬(42)이 구비된다. 상기 실외팬(42)은 상기 베이스팬(1) 상에 설치된 모터마운트(44)에 장착된 모터(46)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구동된다.
상기 베이스팬(1)의 실외측에는 열교환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48)가 설치되고, 베리어(3)와 쉬라우드(40)는 브레이스(49)에 의해 연결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1'은 상면판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열교환기커버(13)는 상기 실내열교환기(11)의 상부에 위치되고 그 양단이 상기 베리어(3)의 단부측벽(5)과 구획측벽(6)의 선단 상부에 각각 나사로 체결되어 지지된다.
하지만, 상기 열교환기커버(13)를 상기 베리어(3)에 장착하는 작업은 그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열교환기커버(13)에 상기 히터(15)를 장착한 상태로 상기 실내열교환기(11)의 상부에서 상기 히터(15)가 상기 실내열교환기(11)의 배면에 해당되는 위치에 삽입되게 하면서 상기 열교환기커버(13)의 양단이 상기 베리어(3)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게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작업과정에서 상기 열교환기커버(13)의 양단이 상기 베리어(3)의 단부측벽(5)과 구획측벽(6)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어야 하는데, 상기 단부측벽(5)과 구획측벽(6) 및 이에 대응되는 열교환기커버(13)에는 안착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구조가 없다. 따라서 작업자가 일일이 상기 열교환기커버(13) 양단이 상기 단부측벽(5)과 구획측벽(6)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커버(13)의 양단이 상기 단부측벽(5)과 구획측벽(6)에 정확하게 안착된 후에, 그 가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이 또한 없어 작업자가 가조립상태를 손으로 유지하여야 하므로 조립작업성이 떨어진다.
또한, 상기 토출부(27)를 통해 사용자의 손이나 막대기 등의 이물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폐그릴(도시되지 않음)을 설치하여야 하는데, 상기 차폐그릴은 상기 토출부(27)의 내측에 다수개의 나사를 사용하여 체결하여야 하므로 체결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조립작업이 보다 용이하면서도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교환기커버의 설치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교환기커버에 차폐그릴을 보다 간단하게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교환기커버에 살수트레이를 보다 간단하게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커버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열교환기커버가 베리어와 체결되는 부분의 보인 확대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부분절결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살수트레이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베이스팬 110: 베리어
112: 배면판 114,114': 단부측판
116: 환기공 118: 필터
119: 환기도어 120: 콘트롤부베리어
120': 배면판 121: 측면판
122: 콘트롤박스 123: 콘트롤패널
125: 스크롤 126: 단열스크롤
128: 스크롤커버 130: 실내팬
140: 보조공기안내부재 150: 실내모터
152: 모터브라켓 160: 실내열교환기
162: 응축수받이 165: 열교환기커버
166: 안내곡면부 166':장착공
167: 안착단차 167a: 연장부밀착판
167b: 플랜지밀착판 167c: 외측밀착판
168: 히터 169: 차폐그릴
169': 삽입레그 170: 전면패널
172: 전면그릴 174: 토출구
176: 토출그릴 179: 콘트롤패널부
180: 실외모터 184: 실외팬
186: 쉬라우드 187: 실외열교환기
188: 압축기 190: 슬리이브
192: 배면부 200: 펌프
210: 응축수전달부 212: 제1파이프
214: 제2파이프 216: 연결구
220: 살수트레이 222: 유동공간
224: 둔덕부 227: 낙하공
230: 트레이받침 232: 트레이안착부
234: 후크슬롯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내부에서 실내측과 실외측을 구획하고 양단에 실내측을 향해 연장되게 단부측판이 구비되는 베리어와, 상기 베리어의 단부측판 선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단부측판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단부측판 선단에서 단부측판의 연장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착플랜지와, 상기 단부측판, 장착플랜지 및 연장부에 동시에 밀착되게 안착되는 안착단차를 양단부에 각각 구비하여 상기 장착플랜지에 체결되어 공기조화기 실내측의 열교환기 상단을 차폐하는 열교환기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내부에서 실내측과 실외측을 구획하고 양단에 실내측을 향해 연장되게 단부측판이 구비되는 베리어와, 상기 베리어의 단부측판 선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단부측판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단부측판 선단에서 단부측판의 연장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착플랜지와, 상기 단부측판, 장착플랜지 및 연장부에 동시에 밀착되게 안착되는 안착단차를 양단부에 각각 구비하여 상기 장착플랜지에 체결되어 공기조화기 실내측의 열교환기 상단을 차폐하는 열교환기커버와, 상기 열교환기커버에 일체로 형성되고 실내측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안내곡면부와, 상기 안내곡면부에 형성된 장착공에 삽입레그가 삽입되어 설치되고 공기조화기의 실내측 내부로 이물이 삽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폐그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착단차는, 상기 연장부에 밀착되는 연장부밀착판과, 상기 연장부밀착판에서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장착플랜지에 밀착되는 플랜지밀착판과, 상기 플랜지밀착판에서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단부측판의 외면에 밀착되는 외측밀착판으로 형성된다.
상기 베리어의 단부측판의 내면에는 보조공기안내부재가 장착되는데, 상기 보조공기안내부재에는 상기 안내곡면부의 양단부가 지지되는 원호스톱퍼가 더 구비된다.
상기 열교환기커버의 내부에는 트레이받침이 구비되고, 상기 트레이받침에는 가습을 위한 수분을 공급하는 살수트레이가 안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커버 조립체에 의하면 열교환기커버의 양단부에 형성된 안착단차가 베리어의 단부측벽 선단에 구비된 장착플랜지에 정확하게 안착되어 가조립되고 열교환기커버에 차폐그릴을 단순히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어 공기조화기의 조립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커버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커버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열교환기커버와 베리어가 체결되는 구성이 확대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부분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베이스팬(100)은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장착되는 부분으로 소정 면적을 가지는 사각형의 판상이다. 상기 베이스팬(100)의 바닥면은 장착되는 부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팬(100)의 일측, 바람직하기로는 실외측에는 다른 부분보다 요입된 요홈형상으로 형성되는 저수부(105)가 구비된다. 상기 저수부(105)는 아래에서 설명될 실외열교환기(187)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모이는 부분으로, 베이스팬(100)의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팬(100)을 횡으로 가로질러 베리어(110)가 설치된다. 상기 베리어(110)는 공기조화기 내부의 공간을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리어(110)의 배면판(112)은 실내측과 실외측을 구획하는 부분이고, 상기 배면판(112)의 양단에는 각각 단부측판(114,144')이 구비된다. 상기 단부측판(114,114')은 아래에서 설명될 실내팬(140)을 지지함과 동시에 실내팬(140)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가 유동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단부측판(114,144')의 선단에는 상하로 길게 장착플랜지(114f)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플랜지(114f)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단부측판(114,114')의 연장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장착플랜지(114f)중 단부측판(114)에 형성된 것은 상대적으로 폭이 더 넓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플랜지(114f)의 선단에는 각각 연장부(114e)가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114e)는 상기 장착플랜지(114f)에 수직되게 형성되어 상기 단부측판(114)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배면판(112)에는 실외측의 공기를 실내측으로 도입하여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환기를 수행하도록 하는 환기공(116)이 형성된다. 상기 환기공(116)에는 환기공(116)을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118)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환기공(116)은 환기도어(119)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베리어(110)의 일단부에는 콘트롤부베리어(120)가 연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콘트롤부베리어(120)는 아래에서 설명될 콘트롤박스(122)와 대응되는 부분에서 실내측과 실외측을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베리어(110)와 콘트롤부베리어(120)에 의해 공기조화기 전체 공간이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구획된다.
상기 콘트롤부베리어(120)에는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부품이 설치되는 콘트롤박스(122)가 설치된다. 상기 콘트롤박스(122)에는 각종 다이얼과 버튼이 장착되는 콘트롤패널(123)이 구비되고, 상기 콘트롤패널(123)은 아래에서 설명될 전면패널(170)의 콘트롤패널부(179)를 통해 공기조화기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베리어(110)의 내부에는 실내팬(140)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의 흐름을안내하기 위한 스크롤(125)이 구비된다. 상기 스크롤(125)은 크게 단열스크롤(126)과 스크롤커버(128)로 구성된다. 하지만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단열스크롤(126)을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스크롤커버(128)는 실내팬(140)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하여 실내팬(140)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부호 126',128'은 상기 베리어(110)의 환기공(116)과 대응되는 환기공이다.
상기 베리어(110)의 내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스크롤커버(128)와 대응되는 상기 베리어(110)의 내부에는 실내팬(130)이 설치된다. 상기 실내팬(130)은 공기조화기의 실내측에서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원동력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내팬(130)은 원통형으로 길게 형성된 시로코팬이다.
상기 실내팬(130)의 양단과 대응되는 상기 베리어(110)의 단부측판(114) 내면에는 보조공기안내부재(140)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보조공기안내부재(140)에는 상기 실내팬(130)의 양단부 외면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요입곡면(142)이 형성된다. 상기 요입곡면(142)은 상기 실내팬(130)의 양단부 상면과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어 상기 실내팬(130)의 양단과 상기 베리어(110)의 단부측판(114)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C)를 차폐하여 실내팬(13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단부측판(114)의 내면 근처로 분산되고 와류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보조공기안내부재(140)의 일면에는 각각 원호스톱퍼(145)가 형성된다. 상기 원호스톱퍼(145)는 소정 곡률을 가지는 소정 길이의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원호스톱퍼(145)는 아래에서 설명될 열교환기커버(165)에 일체로 형성된 안내곡면부(166)의 양단부가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원호스톱퍼(145)에 의해 상기 안내곡면부(166)의 양단이 지지되어 그 변형이 방지되고 가조립시에 열교환기커버(165)의 설치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실내팬(130)은 상기 일측 단부측판(114')에 장착되는 실내모터(150)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실내모터(150)는 상기 단부측판(114')의 외면에 장착되고 그 회전축이 상기 단부측판(114')을 관통하여 상기 실내팬(130)의 일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실내모터(150)는 상기 단부측판(114')의 외면에 모터브라켓(152)에 의해 장착된다. 상기 모터브라켓(152)은 상기 실내모터(150)의 배면, 즉 회전축이 구비된 반대쪽과 대응되는 배면지지부(154)를 구비한다. 상기 배면지지부(154)는 상기 실내모터(150)의 배면과 적어도 대응되는 면적과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그 중앙을 관통하여 통공(155)이 형성된다. 상기 배면지지부(154)에서 상기 실내모터(15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장착레그(156)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레그(156)는 상기 배면지지부(154)의 둘레에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다. 상기 장착레그(156)의 선단부는 상기 단부측판(114')의 외면에 나사로 체결된다.
상기 실내팬(130)의 전방에 해당되는 실내측에는 실내열교환기(160)가 설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60)는 열교환사이클의 작동유체와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에서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하는 부분이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60)는 상기 베이스팬(100)상에 설치된 응축수받이(162)에 지지된다. 상기 응축수받이(162)는 상기 실내열교환기(160)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모아 실외측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60)의 상부에는 열교환기커버(165)가 구비된다. 상기 열교환기커버(165)는 그 양단이 상기 베리어(110)의 장착플랜지(114f) 상단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실내열교환기(160)의 상단부를 차폐한다.
상기 열교환기커버(165)의 후단에는 안내곡면부(166)가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안내곡면부(166)는 열교환기커버(165)를 측면에서 볼 때 소정의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실내열교환기(160)에서 열교환되고 상기 실내팬(130)에서 토출된 공기를 상기 스크롤(125)과 함께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내곡면부(166)에는 장착공(166')이 다수개 천공되어 있다.
상기 열교환기커버(165)의 양단에는 상기 베리어(110)에 장착되는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안착단차(167)가 구비된다. 상기 안착단차(167)는 상기 열교환기커버(165)의 양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연장부(114e)에 밀착되는 연장부밀착판(167a)이 구비된다. 상기 연장부밀착판(167a)에서 수직으로 절곡되게 상기 장착플랜지(114f)에 밀착되는 플랜지밀착판(167b)이 구비된다. 상기 플랜지밀착판(167b)은 그 장착플랜지(114f)의 폭과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밀착판(167b)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기 단부측판(114')에 밀착되게 외측밀착판(167c)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안착단차(167)는 상기 열교환기커버(165)의 양단에서 베리어(110)를 향해 연장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단차(167)의 외측밀착판(167c)의 내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단부측판(114')의 외면 사이의 거리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안착단차(167)가 각각 상기 단부측판(114,114')의 장착플랜지(114f)에 안착되면 열교환기커버(165)가 상기 베리어(110)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안착단차(167)중 상기 플랜지밀착판(167b)에는 열교환기커버(165)를 베리어(110)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115)가 관통되는 나사공(167h)이 각각 천공된다. 상기 나사공(167h)은 상기 장착플랜지(114f)에 형성되는 나사공(114h)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열교환기커버(165)에는 히터(168)가 구비된다. 상기 히터(168)는 공기조화기가 난방운전될 때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로 열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히터(168)는 상기 실내열교환기(160)의 배면, 즉 상기 실내팬(130)과 마주보는 면에 위치된다.
상기 열교환기커버(165)에 그 일측이 삽입되게 차폐그릴(169)이 설치된다.상기 차폐그릴(169)은 상기 열교환기커버(165)에 설치되어 공기조화기의 외부에서 상기 실내팬(130)의 내부로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이물이 삽입되는 것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차폐그릴(169)은 소정 굵기의 와이어를 격자모양으로 연결하여 구성되고, 그 일단부에는 상기 안내곡면부(166)의 장착공(166')에 삽입되는 삽입레그(169')가 구비된다. 상기 삽입레그(169')는 상기 장착공(166')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차폐그릴(169)은 아래에서 설명될 토출그릴(176)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한편, 공기조화기의 정면에는 전면패널(170)이 구비된다. 상기 전면패널(170)은 공기조화기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그전면에는 전면그릴(172)이 구비된다. 상기 전면그릴(172)을 통해서는 상기 실내팬(130)의 구동에 의해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실내측으로 흡입된다.
상기 전면패널(170)의 상단은 전방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이에는 토출구(174)와 콘트롤패널부(179)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토출구(174)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면적을 차지한다. 상기 토출구(174)에는 토출그릴(176)이 안착된다. 상기 전면패널(170)의 전면그릴(172) 후방에는 필터(178)가 설치된다. 상기 필터(178)는 상기 전면그릴(172)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을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이제,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외측 구성을 살펴본다. 상기 베리어(110)에 의해 구획된 실외측에는 실외모터(180)가 설치된다. 상기 실외모터(180)는 상기 베이스팬(100) 상에 안착된 모터마운트(182)에 장착된다. 상기 실외모터(180)의 회전축에는 실외팬(184)이 설치되어 상기 실외모터(180)에 의해 구동된다.
한편, 실외측의 후단에 해당되는 상기 베이스팬(100) 상에는 쉬라우드(186)가 설치된다. 상기 쉬라우드(186)의 중앙을 관통하여서는 통공(186')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186')의 내측에 상기 실외팬(184)이 위치된다. 상기 쉬라우드(186)의 내부에는 실외열교환기(187)가 설치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187)는 열교환사이클의 작동유체와 실외에서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되는 곳이다. 상기 실외열교환기(187)의 일면은 공기 조화기의 배면을 통해 실외를 바라보게 설치된다. 도면부호 188은 열교환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이고, 189는 상기 쉬라우드(186)와 베리어(110) 사이를 연결하는 브레이스이다.
슬리이브(190)는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과 실외를 구획하는 벽체에 형성된 통공에 안착되는 부분으로, 상기 슬리이브(190)는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외측과 실내측 일부를 감싼다. 즉, 상기 슬리이브(190)는 그 선단이 상기 전면패널(170)과 대응되어 연결되고, 그 배면은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리이브(190)는 공기조화기의 상면, 양면 및 하면을 형성한다.
상기 슬리이브(190)의 후단에는 배면부(192)와 후면그릴(194)이 설치되는데, 상기 배면부(192)는 공기조화기의 실외측과 실외 사이에서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하면서도 공기조화기의 실외측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후면그릴(194)은 상기 실외열교환기(187)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다시 공기조화기의 실외측으로 흡입되지 않도록 실외열교환기(187)의 일단부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슬리이브(190)의 양단과 상기 실외열교환기(187)의 사이에는 외부의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실외측으로 흡입되는 통로가 구비된다. 상기 통로는 상기 실외열교환기(187)의 좌우폭을 상기 슬리이브(190)의 좌우폭보다 작게 형성함에 의해 만들어진다.
다음으로 공기조화기가 난방운전을 할 때,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에 가습을 하는 구성을, 도 7에서 도 8을 참고하여 살펴본다. 상기 베이스팬(100)의 실외측에는 펌프(200)가 설치된다. 상기 펌프(200)는 상기 저수부(105)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펌프(200)의 내부로 응축수를 흡입하는 파이프(도시되지 않음)의 길이를 조절하면 반드시 상기 저수부(105) 근처에 펌프(200)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상기 펌프(200)로 흡입된 응축수는 응축수전달부(210)에 의해 아래에서 설명될 살수트레이(220)로 전달된다. 상기 응축수전달부(210)는,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2 파이프(212,214)와 상기 파이프(212,214)의 단부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연결구(21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파이프(212)는 베이스팬(100)의 바닥면에서 실내열교환기(160)의 상단 까지의 높이차를 커버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파이프(214)는 상기 펌프(200)에서 살수트레이(220)까지의 거리를 커버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216)는 상기 파이프(212,214) 사이 및 상기 펌프(200) 및 살수트레이(220)와 파이프(212,214) 사이를 연결하면서 이들 사이의 연결방향을 원하는 대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구(216)는 대략 'ㄱ'자로 절곡되게 고무재질로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공기조화기의 제원에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파이프(212,214)의 길이를 조절하고, 필요하다면 별도의 파이프를 추가하여 펌프(200)와 살수트레이(220)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살수트레이(220)는 상기 응축수전달부(210)를 통해 응축수를 공급받아 실내열교환기(160)의 상부에서 낙하시켜 실내열교환기(160)를 통과하는 공기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살수트레이(220)는 상기 실내열교환기(160)의 좌우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살수트레이(220)는 상기 실내열교환기(160)의 상단과 상기 열교환기커버(165)의 하부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살수트레이(200)에는 다수개의 걸이후크(221)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후크(221)는 살수트레이(200)의 양단에 쌍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트레이받침(230)에 살수트레이(200)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걸이후크(221)는 상기 살수트레이(20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쌍이 구비되는데, 상기 걸이후크(221)의 쌍은 살수트레이(200)의 길이에 따라 적절한 갯수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후크(221)가 형성되는 살수트레이(200)의 부분은 상대적으로 폭이 좁게 형성된다.
상기 살수트레이(200)는 그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유동공간(222)이 형성된다. 상기 살수트레이(200)의 일단부에는 상기 유동공간(222)과 상기 응축수전달부(210)를 연통시키는 입구(223)가 구비된다. 상기 입구(223)를 통해 상기 유동공간(222)의 내부로 응축수가 전달된다.
상기 살수트레이(200)의 유동공간(222) 바닥면에는 살수트레이(2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된 둔덕부(224)가 구비된다. 상기 둔덕부(224)의 길이방향 양단은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둔덕부(224)의 정상에는 상기 살수트레이(200)의 하부로 관통되는 낙하공(227)이 천공된다. 상기 낙하공(227)을 통해서는 응축수의 수위가 상기 둔덕부(224)보다 높게 되었을 때 응축수가 전달되어 낙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둔덕부(224)가 2개로 나누어져 형성되어 있는데,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다수개로 나누어져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낙하공(227)과 대응되는 살수트레이(200)의 하면에는 낙하공(227)을 둘러 안내스컷트(도시되지 않음)가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안내스컷트는 상기 낙하공(227)을 통해 낙하되는 물방울이 외부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입구(223)에 인접하여서는 안내리브(22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리브(228)는 상기 입구(223)를 통해 급격하게 응축수가 공급되더라도 인접한 낙하공(227)으로만 응축수가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안내리브(228)는 상기 유동공간(222)의 양측 내벽과 상기 둔덕부(224) 사이의 공간으로 응축수가 향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살수트레이(200)는 트레이받침(230)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커버(165)의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트레이받침(230)은 상기 열교환기커버(165)의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트레이받침(230)이 상기 열교환기커버(165)에 고정되는 방식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트레이받침(230)이 상기 열교환기커버(165)의 전면에서 절곡되게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트레이받침(230)에는 상기 살수트레이(200)의 스컷트가 안착되는 트레이안착부(232)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살수트레이(200)의 걸이후크(221)와 대응되는 위치에 후크슬롯(234)가 각각 쌍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살수트레이(200)는 상기 스컷트가 상기 트레이안착부(232)에 안착되고 상기 걸이후크(221)가 후크슬롯(234)에 안착됨에 의해 트레이받침(230)에 고정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커버 조립체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열교환기커버(165)는 상기 베리어(110)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베리어(110)의 양단에 구비되는 단부측판(114')의 장착플랜지(114f)에 안착단차(167)가 안착되고 나사(115)로 체결되는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베이스팬(100) 상에 상기 베리어(110)와 실내열교환기(160) 등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열교환기커버(165)를 베리어(110)에 장착한다. 이때, 상기 양단의 안착단차(167) 내측에 상기 베리어(110)의 단부측판(114,114')의 외측면이 대응되게 한다.
즉, 상기 단부측판(114,114')의 외면에 상기 안착단차(167)의 외측밀착판(167c)이 밀착되고, 상기 장착플랜지(114f)에 상기 플랜지밀착판(167b)이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밀착판(167a)은 상기 연장부(114e)의 외측면에 안착된다.
이와 같이 열교환기커버(165) 양단의 안착단차(167)가 상기 베리어(110) 양단의 단부측판(114,114')의 외측면 쪽에서 각각 안착됨에 의해 일단 베리어(110)에 상기 열교환기커버(165)가 안착되면 열교환기커버(165)가 그 좌우방향으로는 유동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곡면부(166)의 양단은 상기 보조공기안내부재(140)에 구비된 원호스톱퍼(145)에 안착되어 지지되고, 상기 열교환기커버(165) 자체가 상기 실내열교환기(160)의 상단에 지지되어 하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커버(165)가 상기 베리어(110)에 안착된 가조립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안착단차(167)의 플랜지밀착판(167b)에 형성된 나사공(167h)을 관통하여 나사(115)를 상기 장착플랜지(114f)의 나사공(114h)에 체결하면 열교환기커버(165)의 고정작업이 완성된다.
한편, 상기 열교환기커버(165)의 안내곡면부(166)에는 상기 차폐그릴(169)이 설치된다. 즉, 상기 차폐그릴(169)에 구비된 삽입레그(169')가 상기 안내곡면부(166)에 형성된 장착공(166')에 삽입됨에 의해 차폐그릴(169)의 설치가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커버(165)에는 상기 트레이받침(230)이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받침(230)은 본 실시예에서 열교환기커버(165)에 구비되는데, 상기 살수트레이(220)를 열교환기커버(165)에 안착되게 한다. 이때, 상기 살수트레이(220)는 그 하면에 형성된 스컷트가 트레이받침(230)의 트레이안착부(232)에 안착된 상태에서 그 걸이후크(221)가 상기 트레이받침(230)의 후크슬롯(234)에 걸어짐에 의해 트레이받침(230)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커버 조립체에서는 열교환기커버의 양단과 이에 대응되는 베리어의 단부측판에 각각 단차구조를 형성하였으므로, 열교환기커버를 베리어의 단부측판에 안착시킴에 의해 열교환기커버의 설치위치가 정확하게 설정되어 조립작업의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열교환기커버에 일체로 형성된 안내곡면부의 양단이 베리어의 내측에 구비되는 보조공기안내부재의 원호스톱퍼에 안착되어 지지되므로 전체적으로 열교환기커버의 설치상태가 견고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안내곡면부에 차폐그릴의 삽입레그가 삽입됨에 의해 차폐그릴의 설치가 완성되므로 상대적으로 차폐그릴을 열교환기커버에 간단하게 설치하여 장착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열교환기커버에 구비되는 트레이받침에 살수트레이를 걸이후크를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살수트레이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등 조립작업의 작업성이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공기조화기 내부에서 실내측과 실외측을 구획하고 양단에 실내측을 향해 연장되게 단부측판이 구비되는 베리어와,
    상기 베리어의 단부측판 선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단부측판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단부측판 선단에서 단부측판의 연장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착플랜지와,
    상기 단부측판, 장착플랜지 및 연장부에 동시에 밀착되게 안착되는 안착단차를 양단부에 각각 구비하여 상기 장착플랜지에 체결되어 공기조화기 실내측의 열교환기 상단을 차폐하는 열교환기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열교환기의 열교환기커버 조립체.
  2. 공기조화기 내부에서 실내측과 실외측을 구획하고 양단에 실내측을 향해 연장되게 단부측판이 구비되는 베리어와,
    상기 베리어의 단부측판 선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단부측판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단부측판 선단에서 단부측판의 연장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착플랜지와,
    상기 단부측판, 장착플랜지 및 연장부에 동시에 밀착되게 안착되는 안착단차를 양단부에 각각 구비하여 상기 장착플랜지에 체결되어 공기조화기 실내측의 열교환기 상단을 차폐하는 열교환기커버와,
    상기 열교환기커버에 일체로 형성되고 실내측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안내곡면부와,
    상기 안내곡면부에 형성된 장착공에 삽입레그가 삽입되어 설치되고 공기조화기의 실내측 내부로 이물이 삽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폐그릴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커버 조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단차는,
    상기 연장부에 밀착되는 연장부밀착판과,
    상기 연장부밀착판에서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장착플랜지에 밀착되는 플랜지밀착판과,
    상기 플랜지밀착판에서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단부측판의 외면에 밀착되는 외측밀착판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커버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의 단부측판의 내면에는 보조공기안내부재가 장착되는데, 상기 보조공기안내부재에는 상기 안내곡면부의 양단부가 지지되는 원호스톱퍼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커버 조립체.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커버의 내부에는 트레이받침이 구비되고, 상기 트레이받침에는 가습을 위한 수분을 공급하는 살수트레이가 안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커버 조립체.
KR10-2002-0063984A 2002-10-18 2002-10-18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커버 조립체 KR100453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984A KR100453003B1 (ko) 2002-10-18 2002-10-18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커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984A KR100453003B1 (ko) 2002-10-18 2002-10-18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커버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217A KR20040035217A (ko) 2004-04-29
KR100453003B1 true KR100453003B1 (ko) 2004-10-14

Family

ID=37334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3984A KR100453003B1 (ko) 2002-10-18 2002-10-18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커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300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8624A (ja) * 1983-11-16 1985-06-14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JPS6334431A (ja) * 1986-07-30 1988-02-15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JPH062886A (ja) * 1992-06-19 1994-01-11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KR19980023781A (ko) * 1996-09-30 1998-07-06 배순훈 냉난방기 가습장치
KR19980054997U (ko) * 1996-12-31 1998-10-07 오상수 룸 에어컨의 이물질 투입 방지장치
KR20040035216A (ko) * 2002-10-18 2004-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환기도어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8624A (ja) * 1983-11-16 1985-06-14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JPS6334431A (ja) * 1986-07-30 1988-02-15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JPH062886A (ja) * 1992-06-19 1994-01-11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KR19980023781A (ko) * 1996-09-30 1998-07-06 배순훈 냉난방기 가습장치
KR19980054997U (ko) * 1996-12-31 1998-10-07 오상수 룸 에어컨의 이물질 투입 방지장치
KR20040035216A (ko) * 2002-10-18 2004-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환기도어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217A (ko) 200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88317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20080059755A (ko)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453003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커버 조립체
KR100509051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가습장치
KR100509054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가습장치
KR20070053399A (ko) 공기 조화 시스템
KR100389429B1 (ko)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장착구조
KR100509050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실내측 공기유동안내구조
KR100509053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모터장착구조
KR100925718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09857203U (zh) 安装组件和空气处理装置
KR100509052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전면패널 장착구조
KR100507313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실내팬 장착구조
KR100347046B1 (ko) 벽매립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측 공기안내구조
KR100520972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환기도어 구동장치
KR20070052445A (ko) 공기 조화 시스템
KR20040039745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366510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실내열교환기 장착구조
KR100674274B1 (ko) 환기 청정 장치
KR100507312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히터 절연구조
KR100509044B1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산소배출관 설치구조
KR20040045516A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모터 설치구조
KR20030023065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실내측 공기유동장치
KR20020006944A (ko)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장착구조
KR20050030997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환기도어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