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9048B1 - 공기조화기의 배인 제어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배인 제어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9048B1
KR100509048B1 KR10-2002-0038450A KR20020038450A KR100509048B1 KR 100509048 B1 KR100509048 B1 KR 100509048B1 KR 20020038450 A KR20020038450 A KR 20020038450A KR 100509048 B1 KR100509048 B1 KR 100509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ne
point
mode
air conditioner
radiation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8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3693A (ko
Inventor
임성엽
엄동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8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9048B1/ko
Publication of KR20040003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3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9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90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18Stoppers for anchor chains

Abstract

본 발명의 실내기로부터의 거리별로 다수개의 복사온도를 감지하여 온도 분포에 따라서 배인의 위치를 자동 제어하는 공기조화기의 배인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냉/난방되는 지역을 다수개의 지점으로 분할하고, 상기 각 지점에 대응되는 적절한 배인 모드를 설정한 다음, 일정시간을 주기로 상기 다수개의 지점 중 최고 또는 최저 온도 지점으로 배인 모드를 이동시켜서, 냉/난방되는 지역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냉/난방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배인 제어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vane fo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배인 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리별로 다수개의 복사온도를 감지하여 온도 분포에 따라서 배인의 위치를 자동 제어하는 공기조화기의 배인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배인 제어방법 및 장치에 대해 살펴본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에서 배인의 위치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공기조화기의 배인은 공기조화기의 전면에 설치되어 공기조화기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의 상/하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공기조화기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의 방향이 달라지도록 각각 달리 설정된 배인의 위치를 배인모드라고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에는 냉방초기모드와 난방초기모드에 따른 배인의 위치가 각각 미리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냉/난방초기모드와 다른 운전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냉방초기모드는 모드4이지만, 사용자가 임의로 모드5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난방초기모드는 모드2이지만, 사용자가 임의로 모드3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난방운전모드에 있어서, 초기상태에서는 배인은 모드4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모드4의 배인을 통해 따뜻한 바람이 토출된다. 이후, 사용자가 배인의 모드를 다른 모드로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모드로 배인이 이동하게 되고, 조절된 배인 위치에서 조절된 방향으로 따뜻한 바람이 토출된다.
냉방운전모드에 있어서도 초기상태에서는 배인은 모드2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모드2의 배인을 통해 차가운 바람이 토출된다. 이후, 사용자가 배인의 모드를 다른 모드로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모드로 배인이 이동하게 되고, 조절된 배인 위치에서 조절된 방향으로 차가운 바람이 토출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배인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된다.
냉방운전모드에 있어서, 냉방초기모드 또는 임의 모드로 세팅되면, 상기 세팅된 모드로 배인이 이동한 후 상기 세팅된 모드에 고정된다. 이러한 제어상태에서는 배인이 이동된 방향으로만 차가운 바람이 계속 토출되므로, 어느 특정 위치만 집중적으로 과냉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서 사용자가 모드5를 선택하여 세팅했다면, 공기조화기의 배인은 상기 모드5의 위치로 이동되어 고정될 것이고, 상기 모드5의 방향으로만 차가운 바람이 토출되어, 특정 지역만 집중적으로 과냉각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난방운전모드에 있어서, 난방초기모드 또는 임의 모드로 세팅되면, 상기 세팅된 모드로 배인이 이동한 후 상기 세팅된 모드에 고정된다. 이러한 제어상태에서는 배인이 이동된 방향으로만 따뜻한 바람이 계속 토출되므로, 어느 특정 위치만 집중적으로 과난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서 사용자가 모드3을 선택하여 세팅했다면, 공기조화기의 배인은 상기 모드3의 위치로 이동되어 고정될 것이고, 상기 모드3의 방향으로만 따뜻한 바람이 토출되어, 상기 토출된 바람이 닿는 곳만 집중적으로 과난방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이 일부 지역만 집중적으로 과냉방/과난방 되면 사용자는 위치에 따라 불쾌감을 느낄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과냉방/과난방을 방지할려면 사용자가 계속해서 모드를 바꿔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를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기로부터 거리별로 다수개의 복사온도를 감지하고,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배인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공기조화기의 배인제어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배인제어방법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측에 설치된 다수개의 복사온도감지부의 감지 지역에 의하여 냉/난방되는 지역을 다수개의 지점으로 분할하고, 상기 각 지점에 대응되는 배인 모드를, 상기 각 지점과 공기조화기의 거리에 따라서 실험치에 기초하여 설정하는 제 1 단계와; 기설정된 다수개 지점의 복사온도를 감지하고, 냉/난방을 가장 필요로 하는 지점을 선택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선택된 지점에 대응되는 베인 모드로 이동시키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배인제어방법은, 복사온도감지를 위한 지연시간을 설정하는 제 4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4 단계에서 설정된 복사온도감지 지연시간이 경과하면, 배인 위치 재설정을 위한 상기 제 2 단계와 제 3 단계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배인제어장치는, 공기조화기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을 안내하는 배인과; 상기 배인이 상하로 구동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배인구동부와; 공기조화기에 의해 냉/난방되는 지역을 분할한 다수개 지점의 복사온도를 감지하는 다수개의 복사온도감지부와; 상기 다수개의 지점에 할당하는 베인모드를. 상기 각 지점과 공기조화기의 거리에 따라서 실험치에 기초하여 설정하고, 다수개의 지점으로부터 검출된 복사온도에 기초해서 냉/난방을 필요로 하는 지점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지점에 대응되는 배인모드로 이동하도록 배인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배인제어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복사온도감지 지연시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어야 배인 위치 재설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배인 제어방법 및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살펴본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공기조화기에 의해 냉/난방되는 지역을 다수개의 지점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각각의 지점에 대해 대응되는 배인모드를 설정하여 공기조화기의 제어부(30)에 저장시킨다. 상기 지점은, 직접적으로 냉풍 또는 온풍을 토출하는 실내기로부터 거리별로 구분되고, 각 거리에 따라서 가장 바람이 많이 토출되는 위치로 배인모드를 설정한다.
상기 다수개의 분할된 지점의 복사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는 다수개의 복사온도감지부(10~18)가 설치된다. 상기 복사온도감지부(10~18)는 대응되는 특정 지점의 복사온도만을 감지하게 되므로, 상기 분할된 지점의 수만큼의 다수개의 복사온도감지부(10~18)가 필요하게 된다. 상기 다수개의 복사온도감지부(10~18)는, 실내기 본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진다. 따라서 각 복사온도감지부가 설치된 높이에 따라서 복사온도가 감지되는 지역이 달라지게 된다.
상기 복사온도감지부(10~18)는 대응되는 상기 분할된 지점의 복사온도를 측정하게 되고, 제어부(30)는 일정시간을 주기로 상기 복사온도감지부(10~18)에 의해 측정된 복사온도 데이타를 읽어들이게 된다. 상기의 일정시간은, 냉/난방되는 지역에 과냉방 또는 과난방되는 지점이 생기지 않도록, 실험적 또는 경험적 사실에 근거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고, 제품 설치시에 이미 세팅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가 임의로 세팅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어부(30)에 의해 상기 복사온도감지부(10)가 측정한 복사온도 중에서 운전모드에 따라 최대온도 또는 최소온도 지점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30)는 배인의 동작을 제어하는 배인구동부(40)를 제어하여 상기 선택된 지점에 대응되는 모드로 배인을 이동시키게 된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에 모드1에서부터 모드5까지 5개의 배인 모드가 설정되어 있다면, 상기 공기조화기에 의해 냉/난방 되는 지역도 각 배인의 각도에 상응하는 5개의 지점으로 분할하여 설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분할된 각각의 지점을 상기 배인 모드에 대응시켜야 하는데, 이 때 상기의 각 분할된 지점에 대응되는 배인 모드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특정 지점을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데에 가장 적절한 배인 모드의 위치를 실험적 또는 경험적 사실에 근거하여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냉/난방되는 지역을 A, B, C, D, E의 5개의 지점으로 분할하고, 상기 A, B, C, D, E의 5개의 지점에 대해 상기 모드1에서부터 모드5까지 5개의 배인 모드를 대응시키게 된다. 물론 상기 지점과 배인 모드의 대응은 냉방운전인가 난방운전인가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5개의 지점에 대해 제1복사온도감지부부터 제5복사온도감지부까지 5개의 복사온도감지부(10~18)가 각각 대응되어, 상기 5개의 지점 각각의 복사온도를 측정하게 된다.
다수개의 분할된 지점 각각에 가장 적절한 것으로 파악된 배인 모드를 대응시킨 후에 난방운전 또는 냉방운전을 시작한다. 냉/난방운전이 시작되면 다수개의 복사온도감지부(10~18)는 각각 대응되는 지점의 복사온도를 측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난방운전을 기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수행한 후, 공기조화기의 제어부(30)는 상기 다수개의 복사온도감지부(10~18)로부터 측정된 상기 분할된 각 지점의 복사온도 데이터를 읽어들이게 된다. 만일 난방운전 중에, 제어부가 상기 복사온도감지부(10)에 의해 복사온도가 측정된 지점 중 최저온도 지점을 A라고 판단하게 되면, 제어부(30)는 배인구동부(40)를 제어하여 배인 모드를 상기 A지점에 대응되는 모드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30)에 의해 수행되는 복사온도감지 과정은, 기설정된 일정시간을 주기로 상기 복사온도감지부(10~18)에 의해 측정된 복사온도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것을 말한다. 상기와 같은 복사온도감지 과정을 통해 제어부는 최적의 배인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30)에 의해 선택된 지점으로 배인을 이동시켜도, 오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선택된 지점은 과냉방 또는 과난방으로 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과냉방 및 과난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복사온도감지 과정이 반복적으로 계속 수행되어져야 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은, 복사온도감지 지연시간을 미리 설정하여, 상기 복사온도감지 지연시간의 경과 여부를 시간계수부(20)를 통해 측정하고, 만일 기설정된 복사온도감지 지연시간이 경과되면, 제어부(30)는 상기의 복사온도감지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복사온도감지 지연시간은, 냉/난방되는 지역에 과냉방 또는 과난방되는 지점이 생기지 않도록, 실험적 또는 경험적 사실에 근거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고, 제품 설치시에 이미 세팅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가 임의로 세팅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복사온도감지 과정과 같이 5개의 배인 모드와 5개의 지점을 설정하고, 상기 배인 모드와 상기 지점을 각각 대응시킨다. 그리고 적절한 복사온도감지 지연시간을 설정하여 제어부(30)에 저장시킨다. 난방운전 또는 냉방운전이 시작된 후, 제어부(30)가 시간계수부(20)를 제어하여 복사온도감지 지연시간의 경과여부를 측정하고, 만일 기설정된 복사온도감지 지연시간이 경과되면, 제어부(30)는 복사온도감지부(10)에 의해 측정된 복사온도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복사온도감지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만일 제어부(30)가 최대온도 또는 최소온도를 갖는 지점 A를 선택하게 되면, 제어부(30)는 배인구동부(40)를 제어하여 배인 모드를 상기 지점 A에 대응되는 모드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다시 시간계수부(20)를 통해 상기 복사온도감지 지연시간이 경과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30)는 상기 복사온도감지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하게 된다.
다음에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배인 제어방법 및 장치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어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시작하기 전에, 상기 공기조화기에 의해 냉방 또는 난방되는 지역을 배인 모드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지점으로 분할하여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배인 모드가 모드1부터 모드5까지의 5개의 모드로 구성되고, 냉/난방지역은 상기 5개의 배인 모드에 대응되도록 A, B, C, D, E의 5개 지점으로 분할하여 설정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배인이 모드5에 위치하게 되면 상측으로만 냉/온풍이 토출되므로 가장 멀리 위치하는 지점에 상기 냉/온풍이 도달하게 되고, 모드1로 갈수록 배인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공기조화기에 가까이 위치하는 지점까지도 냉/온풍이 도달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공기조화기에 가까이 위치한 지점은 하측에 위치하는 배인 모드와 대응시키고, 공기조화기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지점은 상측에 위치하는 배인 모드와 대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상기 배인 모드와 분할된 지점의 대응은 실험적 또는 경험적 사실에 근거하여 가장 적절한 대응으로 판단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의해 냉/난방되는 지역은, 공기조화기에 가까운 위치에서부터 순차적으로 A, B, C, D, E의 지점으로 분할된다. 따라서 상기 모드1은 지점 A에 대응되고, 모드2는 지점 B에 대응되고, 모드3은 지점 C에 대응되고, 모드4는 지점 D에 대응되며, 모드5는 지점 E에 대응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냉방초기모드는 모드4이고, 난방초기모드는 모드2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난방운전의 초기에는 배인의 위치가 난방초기모드인 모드2로 이동되고, 냉방운전의 초기에는 배인의 위치가 냉방초기모드인 모드4로 이동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부(30)에는, 상기 복사온도감지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복사온도감지 지연시간을 설정하여 저장시키고, 난방 또는 냉방운전 중 상기 복사온도감지 지연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시간계수부(20)를 통해 측정한 후, 상기 복사온도감지 과정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공기조화기에 전원이 인가되어 운전을 시작하면, 제어부(30)는 난방운전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제 200 단계). 그리고 상기 제 200 단계에서 난방운전 중이라고 판단되면, 제어부(30)는 배인구동부(40)를 제어하여 난방초기모드인 모드2로 배인을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배인이 모드2로 이동되면, 상기 모드2에 대응되는 지점 B를 포함하는 지역에 온풍이 도달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난방초기모드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 제어부(30)는 기설정된 복사온도감지 지연시간을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게 된다(제 210 단계). 상기 제 210 단계에서 복사온도감지 지연시간이 경과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제어부(30)는 배인의 위치를 이동시키지 않고 종전의 배인 모드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 210 단계에서 복사온도감지 지연시간이 경과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30)는 복사온도감지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30)는 복사온도감지부(10)에 의해 측정된 상기 A, B, C, D, E 지점의 복사온도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각 지점의 온도를 비교하여 최저온도 지점을 확인한다(제 220 단계).
그리고 상기 제 220 단계에서 확인된 최저온도 지점이 지점 A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제 230 단계). 만일 상기 제 230 단계에서 지점 A가 최저온도 지점이라고 판단되면, 제어부(30)는 배인구동부(40)를 제어하여 배인 모드를 모드1로 이동시킨다(제 235 단계). 따라서 상기 모드1에 대응되는 지점 A를 포함하는 전 지역에 온풍이 도달하게 되고, 지점 A의 온도는 상승될 것이다.
상기 제 230 단계에서 지점 A가 최저온도 지점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지점 B가 최저온도 지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제 240 단계). 만일 상기 제 240 단계에서 지점 B가 최저온도 지점이라고 판단되면, 제어부(30)는 배인구동부(40)를 제어하여 배인 모드를 모드2로 이동시킨다(제 245 단계). 따라서 상기 모드2에 대응되는 지점 B를 포함하는 전 지역에 온풍이 도달하게 되고, 지점 B의 온도는 상승될 것이다.
상기 제 240 단계에서 지점 B가 최저온도 지점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지점 C가 최저온도 지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제 250 단계). 만일 상기 제 250 단계에서 지점 C가 최저온도 지점이라고 판단되면, 제어부(30)는 배인구동부(40)를 제어하여 배인 모드를 모드3으로 이동시킨다(제 255 단계). 따라서 상기 모드3에 대응되는 지점 C를 포함하는 전 지역에 온풍이 도달하게 되고, 지점 C의 온도는 상승될 것이다.
상기 제 250 단계에서 지점 C가 최저온도 지점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지점 D가 최저온도 지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제 260 단계). 만일 상기 제 260 단계에서 지점 D가 최저온도 지점이라고 판단되면, 제어부(30)는 배인구동부(40)를 제어하여 배인 모드를 모드4로 이동시킨다(제 265 단계). 따라서 상기 모드4에 대응되는 지점 D를 포함하는 전 지역에 온풍이 도달하게 되고, 지점 D의 온도는 상승될 것이다.
상기 제 260 단계에서 지점 D가 최저온도 지점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지점 E가 최저온도 지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제 270 단계). 만일 상기 제 270 단계에서 지점 E가 최저온도 지점이라고 판단되면, 제어부(30)는 배인구동부(40)를 제어하여 배인 모드를 모드5로 이동시킨다(제 275 단계). 따라서 상기 모드5에 대응되는 지점 E를 포함하는 전 지역에 온풍이 도달하게 되고, 지점 E의 온도는 상승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복사온도감지 과정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시간계수부(20)를 통해 기설정된 복사온도감지 지연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경과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30)는 상기의 복사온도감지 과정을 다시 수행하게 된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의해 수행되는 냉방운전 과정을 살펴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만일 상기 제 200 단계에서 냉방운전 중이라고 판단되면, 제어부(30)는 배인구동부(40)를 제어하여 냉방초기모드인 모드4로 배인을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배인이 모드4로 이동되면, 상기 모드4에 대응되는 지점 D를 포함하는 지역에 냉풍이 도달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냉방초기모드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 제어부는 기설정된 복사온도감지 지연시간을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게 된다(제 310 단계). 상기 제 310 단계에서 복사온도감지 지연시간이 경과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배인의 위치를 이동시키지 않고 종전의 배인 모드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 310 단계에서 복사온도감지 지연시간이 경과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는 복사온도감지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즉 제어부(30)는 복사온도감지부(10)에 의해 측정된 상기 A, B, C, D, E 지점의 온도를 읽어들이고, 각 지점의 온도를 비교하여 최고온도 지점을 확인한다(제 320 단계).
그리고 상기 제 320 단계에서 측정된 최고온도 지점이 지점 A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제 330 단계). 만일 상기 제 330 단계에서 지점 A가 최고온도 지점이라고 판단되면, 제어부(30)는 배인구동부(40)를 제어하여 배인 모드를 모드1로 이동시킨다(제 335 단계). 따라서 상기 모드1에 대응되는 지점 A를 포함하는 전 지역에 냉풍이 도달하게 되고, 지점 A는 냉각될 것이다.
상기 제 330 단계에서 지점 A가 최고온도 지점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지점 B가 최고온도 지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제 340 단계). 만일 상기 제 340 단계에서 지점 B가 최고온도 지점이라고 판단되면, 제어부(30)는 배인구동부(40)를 제어하여 배인 모드를 모드2로 이동시킨다(제 345 단계). 따라서 상기 모드2에 대응되는 지점 B를 포함하는 전 지역에 냉풍이 도달하게 되고, 지점 B는 냉각될 것이다.
상기 제 340 단계에서 지점 B가 최고온도 지점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지점 C가 최고온도 지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제 350 단계). 만일 상기 제 350 단계에서 지점 C가 최고온도 지점이라고 판단되면, 제어부(30)는 배인구동부(40)를 제어하여 배인 모드를 모드3으로 이동시킨다(제 355 단계). 따라서 상기 모드3에 대응되는 지점 C를 포함하는 전 지역에 냉풍이 도달하게 되고, 지점 C는 냉각될 것이다.
상기 제 350 단계에서 지점 C가 최고온도 지점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지점 D가 최고온도 지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제 360 단계). 만일 상기 제 360 단계에서 지점 D가 최고온도 지점이라고 판단되면, 제어부(30)는 배인구동부(40)를 제어하여 배인 모드를 모드4로 이동시킨다(제 365 단계). 따라서 상기 모드4에 대응되는 지점 D를 포함하는 전 지역에 냉풍이 도달하게 되고, 지점 D는 냉각될 것이다.
상기 제 360 단계에서 지점 D가 최고온도 지점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지점 E가 최고온도 지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제 370 단계). 만일 상기 제 370 단계에서 지점 E가 최고온도 지점이라고 판단되면, 제어부(30)는 배인구동부(40)를 제어하여 배인 모드를 모드5로 이동시킨다(제 375 단계). 따라서 상기 모드5에 대응되는 지점 E를 포함하는 전 지역에 냉풍이 도달하게 되고, 지점 E는 냉각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복사온도감지 과정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시간계수부(20)를 통해 기설정된 복사온도감지 지연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경과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30)가 상기의 복사온도감지 과정을 다시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냉/난방되는 지역을 다수개의 지점으로 분할하고, 상기 각 지점에 대응되는 적절한 배인 모드를 설정한 다음, 일정시간을 주기로 상기 다수개의 지점 중 최고 또는 최저 온도 지점으로 배인 모드를 이동시켜서, 냉/난방되는 지역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냉/난방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 사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상기의 실시예 이외에도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고,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배인 제어방법 및 장치에 의해 냉방 또는 난방운전을 수행할 경우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일정시간을 주기로 최저 또는 최고온도 감지지점에 따른 베인 이동과정을 반복 수행하게 되므로, 냉/난방지역을 균일하게 냉/난방시킬 수 있어서 사용자의 기분을 편안하게 해준다. 또한 상기 복사온도감지 과정은 사용자의 수고없이 자동적으로 실행되므로, 공기조화기의 사용을 편리하게 해준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배인의 위치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배인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센서 감지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배인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8....복사온도감지부 20.....시간계수부
30.....제어부 40.....배인구동부

Claims (4)

  1.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측에 설치된 다수개의 복사온도감지부의 감지 지역에 의하여 냉/난방되는 지역을 다수개의 지점으로 분할하고, 상기 각 지점에 대응되는 배인 모드를, 상기 각 지점과 공기조화기의 거리에 따라서 실험치에 기초하여 설정하는 제 1 단계와;
    기설정된 다수개 지점의 복사온도를 감지하고, 냉/난방을 가장 필요로 하는 지점을 선택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선택된 지점에 대응되는 베인 모드로 이동시키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조화기 배인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복사온도감지를 위한 지연시간을 설정하는 제 4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4 단계에서 설정된 복사온도감지 지연시간이 경과하면, 배인 위치 재설정을 위한 상기 제 2 단계와 제 3 단계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배인제어방법.
  3. 공기조화기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을 안내하는 배인과;
    상기 배인이 상하로 구동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배인구동부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측에 수직으로 설치되어서 각기 다른 지점의 복사온도를 감지하는 다수개의 복사온도감지부와;
    상기 다수개의 지점에 할당하는 베인모드를, 상기 각 지점과 공기조화기의 거리에 따라서 실험치에 기초하여 설정하고, 다수개의 지점으로부터 검출된 복사온도에 기초해서 냉/난방을 필요로 하는 지점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지점에 대응되는 배인모드로 이동하도록 배인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의 배인제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사온도감지 지연시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어야 배인 위치 재설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배인제어장치.
KR10-2002-0038450A 2002-07-03 2002-07-03 공기조화기의 배인 제어방법 및 장치 KR100509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8450A KR100509048B1 (ko) 2002-07-03 2002-07-03 공기조화기의 배인 제어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8450A KR100509048B1 (ko) 2002-07-03 2002-07-03 공기조화기의 배인 제어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3693A KR20040003693A (ko) 2004-01-13
KR100509048B1 true KR100509048B1 (ko) 2005-08-18

Family

ID=37314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8450A KR100509048B1 (ko) 2002-07-03 2002-07-03 공기조화기의 배인 제어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904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18843A (ja) * 1988-06-17 1989-12-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風向制御装置
JPH03274347A (ja) * 1990-03-23 1991-12-05 Toshiba Corp 空気調和機
KR930020110A (ko) * 1992-03-07 1993-10-19 강진구 공기조화기의 쾌적제어방법
KR960011322A (ko) * 1994-09-14 1996-04-20 이헌조 공기조화기의 인체위치 감지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18843A (ja) * 1988-06-17 1989-12-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風向制御装置
JPH03274347A (ja) * 1990-03-23 1991-12-05 Toshiba Corp 空気調和機
KR930020110A (ko) * 1992-03-07 1993-10-19 강진구 공기조화기의 쾌적제어방법
KR960011322A (ko) * 1994-09-14 1996-04-20 이헌조 공기조화기의 인체위치 감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3693A (ko) 2004-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4324B1 (ko) 멀티에어컨의 디맨드 제어시스템 및 디맨드 제어방법
EP1937353B1 (en) Patient temperature control system with variable gradient warming/cooling
JP2820933B2 (ja) 空気調整器及び空気調整器の風向制御方法
KR101259443B1 (ko) 축사 온도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EP3284622B1 (en) Air-conditioning control device
EP3379173A1 (en) Refrigerator
ES2219509T3 (es) Metodo para operar un controlador de la temperatura de un extrusor con reajuste de temperatura estable.
KR101253239B1 (ko) 공기조화기
JP5892848B2 (ja) 床暖房装置の運転方法及び床暖房装置
CN110779181A (zh) 运行控制方法、装置、空调器以及存储介质
KR100509048B1 (ko) 공기조화기의 배인 제어방법 및 장치
KR20090010437A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H1163627A (ja) 空気調和機のフラップ制御装置及び方法並びにフラップ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6653633B2 (ja) 暖房機
JP2016121857A (ja) 空気調和機
EP2868990A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EP0072663B1 (en) Multi-purpose fan
JP2006102020A (ja) 体温調節装置及び体温調節システム並びに体温調節方法
KR20040003694A (ko) 공기조화기의 루버제어방법
JPH06341692A (ja) 空気調和機の運転制御方法
KR20090002552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324988Y1 (ko) 팬 코일 유닛 조절기
JP3610673B2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CN117387225A (zh) 一种送风控制方法、送风设备及存储介质
JPS63143446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