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8597B1 - 녹다운식 금속 캐비넷 - Google Patents

녹다운식 금속 캐비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8597B1
KR100508597B1 KR10-1999-7009121A KR19997009121A KR100508597B1 KR 100508597 B1 KR100508597 B1 KR 100508597B1 KR 19997009121 A KR19997009121 A KR 19997009121A KR 100508597 B1 KR100508597 B1 KR 100508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ongue piece
metal cabinet
fram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9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6043A (ko
Inventor
세마데루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이나바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이나바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이나바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10006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6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8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85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of metal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28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metal furniture parts
    • F16B12/38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metal furniture parts using snap-actio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문서 및 다른 물품을 저장하기 위한 금속 캐비넷으로서, 이는 특히 소망의 구조로 조립될 수 있다. 캐비넷은 전면이 개방된 녹다운식 캐비넷 본체(1)를 포함하며, 이 본체(1)는 배면판(2), 배면판(2)의 양 측에 부착된 양 측판(3, 4), 및 상기 측판(3, 4)을 가로질러 각기 배면판(2)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부착된 천장판 및 저면판(5, 6)을 포함하며, 상기 판들의 에지에는 서로 결합할 수 있는 프레임부가 제공된다. 배면판(2)은 양 측판(3, 4)에 고정되고, 양 측판(3, 4)은 개별 프레임부에 제공된 보유 부재(45, 52)를 통해 천장판 및 저면판(5, 6)에 고정된다.

Description

녹다운식 금속 캐비넷{KNOCKDOWN METAL CABINET}
본 발명은 서류나 그외 물품을 수납하는 금속제의 캐비넷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의도하는 구조로 쉽게 조립될 수 있는 금속제 캐비넷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가진 종래의 금속제 캐비넷은, 배면판, 두 개의 측판, 천장판 및 저면판에 의해 형성된 상자 형상의 캐비넷 본체를 갖는다. 이 캐비넷 본체는 용도에 따라서 다수의 형태중 어느 하나를 가질 수도 있다. 캐비넷 본체의 내측에 선반을 고착하기 위한 결합판을 측판에 구비할 수도 있고, 전면측의 개구가 개방된 채로 있을 수도 있고, 측판에 가이드레일을 설치하여 서랍을 장착할 수도 있고, 전면측의 개구에 2개로 된 여닫이 문, 미닫이 문, 유리 문을 구비할 수도 있다. 각각의 금속 캐비넷은 조립공장에서 사전규정된 영구적인 형태로 조립되며, 소매점 또는 최종 사용자에게 조립상태로 출하된다.
전술한 종래의 금속제의 캐비넷은, 이미 완전하게 조립되어 있어서, 부피가 크고 분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조립공장이나 소매점 등에서 보관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큰 공간이 필요하고, 조립공장으로부터 소매점으로 운송하는 일은 비용이 많이 들고 또한 불편하기도 하다. 또한 최종 사용자가 캐비넷의 위치를 이동시킬 때에도 동일한 문제가 야기된다.
또 종래의 금속제 캐비넷에서는, 문의 유무 혹은 문의 유형과 같은 다양한 범위의 상이한 구조에 부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상이한 형태를 갖는 다수의 캐비넷을 제조하여서 창고에 쌓아 두는 것도 필요하다. 그러므로, 구성 부품을 능률적인 방식으로 공용화하는 것과 재고량을 언제나 적절한 양으로 유지하는 것에 있어서의 어려움 때문에, 비용의 증가가 유발되었다.
배면판, 양 측판, 천장판, 저면판이 볼트 및 너트와 같은 고착수단을 이용하여 일체로 연결되도록 캐비넷을 설계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지만, 최종 사용자에게는 캐비넷을 조립 및 분해하는데 소요되는 작업이 너무 어려워서, 충분한 조립 정밀도 및 충분한 기계적 강도가 달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발명의 요약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에 감안하여, 본 발명은 부품의 조립이 쉽고도 정확하게 되며, 필요하다면 분해 및 재조립도 가능하고 또한 공통의 캐비넷 본체에 소망하는 유형의 문을 장착할 수 있도록 된 금속제 캐비넷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러한 목적은, 배면판과, 배면판의 양쪽에 장착되는 한쌍의 측판과, 양 측판을 가로질러 배면판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장착되는 천장판과 저면판을 포함하며, 전면이 개방된 녹다운식 금속 캐비넷에 있어서, 상기 판의 에지를 따라 상호 결합하는 프레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판이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된 결합수단을 통해 천장판과 저면판에 고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금속제 캐비넷에 따르면, 캐비넷 본체를 조립 공장 이외의 장소에서 배면판, 양 측판, 천장판, 저면판으로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공장 또는 소매점에 캐비넷을 보관하기 위한 넓은 공간이 필요하지 않으며, 또한 운송비용의 절감이 도모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프레임 부재중 하나에 고착된 결합부재와, 이 결합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대응하는 프레임부에 제공되는 수납 개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결합부재는 탄성 결합부를 갖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대응하는 프레임부에는 수납 개구가 형성된다. 따라서 캐비넷 본체는 어떠한 문제도 없이 캐비넷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도록 아주 쉽게 조립 및 분해될 수 있다. 특히, 결합수단은 나사볼트 또는 다른 고정수단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매우 견고하게 프레임부가 서로 부착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개방된 전면을 갖는 캐비넷 본체와, 미닫이 문을 수용하는 문 프레임중 하나를 상호 교환가능하게 부착하도록 상기 개구된 전면의 외주를 따라 제공되는 다수의 결합 수단과, 여닫이 문을 지지하기 위한 힌지를 포함하는 금속 캐비넷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문을 구비하거나 또는 구비하지 않은 캐비넷에 대하여, 또는 미닫이 문 또는 여닫이 문을 구비하는 캐비넷에 대하여 공통의 캐비넷 본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캐비넷 본체의 변형 제품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모델에 대하여 공통의 부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부품의 저장이 간단해진다. 이러한 장점은 캐비넷 본체가 쉽게 조립되고 분해될 때 더욱 향상된다.
결합 수단이 미닫이 문용 문 프레임을 부착하기 위한 텅 피스와 여닫이 문용 힌지 피봇을 지지하기 위한 텅 피스를 상호 교환가능하게 수납하기 위한 가이드 슬롯을 포함할 때, 캐비넷 본체의 문은 어려움 없이 한 형태에서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미닫이 문용 문 프레임이 4개의 코너에 형성된 연결 수단을 통해 프레임 구조체에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크로스 부재와 한쌍의 수직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전반적인 조립 작업이 간단해지며, 보다 많은 공통의 부품이 문 프레임에 사용될 수 있어 전반적인 비용은 현저히 감소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 수단은 텅 피스중 관련된 것을 수납하기 위한 각각의 가이드 슬롯이 내측에 형성된 개구내로 끼워지는 보유 부재를 포함하며, 보유 부재는 텅 피스를 수납하기 위한 내측 통로를 형성하는 관형 전단부와, 클램프 플레이트 사이에 텅 피스의 전단부를 수납하기 위하여 관형 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클램프 플레이트와, 상기 개구내에 보유 부재를 보유하기 위한 결합 돌기를 포함하며, 이 통로는 이의 후단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며,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로를 형성하는 벽은 상기 텅 피스가 상기 통로내로 끼워질 때 떨어져 밀리며, 그에 따라 상기 클램프 플레이트가 상기 텅 피스의 자유 단부상으로 가압된다. 이는 캐비넷이 매우 정밀하고 견고하게 조립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보유 부재는 상기 개구내의 결합 돌기를 내리누르고 보유 부재를 개구로부터 후방으로 당겨 빼냄으로써 캐비넷 본체로부터 분해된다. 또한, 텅 피스의 자유 단부에는 개구가 제공되는 한편, 보유 부재에는 내측으로 배향된 돌기가 제공되며, 텅 피스가 통로내로 완전히 끼워질 때 돌기는 텅 피스의 개구내로 끼워진다.
내측으로 배향된 돌기가 텅 피스의 개구로부터 분리되도록 보유 부재를 탄성적으로 변형시킴으로써 텅 피스가 보유 부재로부터 분리된다면 텅 피스의 제거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상술된다.
도 1은 본 발명을 조립상태로 구현한 금속제 캐비넷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금속제 캐비넷을 분해 상태로 도시하는 전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금속제 캐비넷의 측판에 배면판을 연결하는 구조의 절결 사시도,
도 4는 도 1의 금속제 캐비넷의 측판중 하나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절결 사시도,
도 5는 도 1의 금속제 캐비넷의 천장판의 절결 사시도,
도 6은 도 1의 금속제 캐비넷의 저면판의 사시도,
도 7은 도 1의 금속제 캐비넷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8은 도 1의 금속제 캐비넷에 미닫이 문 프레임을 부착하는 형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1의 금속제 캐비넷에 여닫이 문 프레임을 부착하는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미닫이 문 금속제 캐비넷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11은 여닫이 문 금속제 캐비넷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12는 문을 도 1의 금속제 캐비넷에 부착하기 위한 보유 부재의 확대 사시도,
도 13은 보유 부재의 사용 형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14는 도 8 및 도 10의 미닫이문 프레임의 확대 사시도.
본 발명을 구현하는 금속제 캐비넷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기술한다. 도 1은 배면판(2)과 한쌍의 측판(3, 4)과 천장판(5)과 저면판(6)을 포함하는, 전면이 개방된 직사각형 박스로 구성된 캐비넷 본체(1)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캐비넷 본체(1)내에는 양 측판(3, 4)을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선반(7)이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캐비넷 본체(1)가 바닥 위에 배치될 때, 베이스(8)가 저면판(6)의 아래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천장판(5)과 저면판(6)의 개방된 전면에는 문이 끼워맞춤될 수 있도록 가이드 슬롯(9, 10)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2는 캐비넷 본체(1)의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배면판(2)이 기준 요소로서 바닥면위에 배치된다. 배면판(2) 위에는 양 측판(3, 4)이, 그들의 후단부가 아래로 오도록 배면판(2)위에 수직으로 배치되며, 양 측판(3, 4)의 후단 프레임부(11, 12)가 배면판(2)의 양측 프레임부(13, 14)와 결합할 때까지 화살표(A, B)로 표시한 바와 같이 옆쪽으로 미끄러진다.
저면판(6)은, 그것의 후단부를 배면판(2)의 내면위에 배치된 상태로 경사져서 상향 배치되며, 그것의 후단부를 화살표(C)로 표시한 바와 같이 배면판(2)의 외주부에 대하여 미는 동안 화살표(D)로 표시한 것과 같이 수직 상향으로 더욱 이동한다. 그럼으로써 저면판(6)의 후단 프레임부(15)는 배면판(2)의 하단 프레임부(16)와 결합하며, 한편 저면판(6)의 양측 프레임부(17, 18)는 측판(3, 4)의 하단 프레임부(19, 20)와 결합한다.
그 다음에 천장판(5)은, 그것의 후단부가 배면판(2)의 상단 에지에 인접하여 바닥면의 일부 위에 수직으로 배치되며, 천장판(5)의 후단 프레임부(21)가 배면판(2)의 상단 프레임부(22)내로 끼워맞춤될 때까지 화살표(E)로 표시한 것과 같이 수평 내향으로 미끄러진다. 이와 동시에, 천장판(5)의 양측 프레임부(23, 24)가 측판(3, 4)의 상단 프레임부(25, 26)와 결합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각 구성요소를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기술하고자 한다. 도 3의 상세한 사시도를 참조하면, 양측 프레임부(13, 14)[도 3은 우측 프레임부(14)를 도시함]는 측단부[절곡편(27)]를 대칭 형태로 L자 형상으로 내측으로 절곡시킴으로써 배면판(2)내에 각기 형성되고, 각 절곡편(27)은 U자 형상으로 절결된 수납 슬롯(28)과, 각 수납 슬롯(28)의 양 횡방향 측부상에 형성된 직사각형 결합 구멍(29)과, 천장판(5)의 양측 프레임부(23 또는 24)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여유 노치(31)를 구비한다.
배면판(2)의 상단 프레임부(22)는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절곡편(32)에 의해서 형성되며, 절곡편(32)의 최외측 에지에는 L자 형상의 후방 절곡부(33)가 형성되는데, 절곡편(32)과 후방 절곡부(33) 사이에는 천장판(5)의 후단 프레임부(21)를 수납하기 위하여 수납 슬롯(34)이 형성된다. 절곡편(32)에 의해 형성된 공간내로 직사각형 블록의 형상을 갖는 합성수지제의 보유 부재(36)가 끼워맞춤된다. 이 보유 부재(36)는 보유 부재(36)에 가요성을 부여하기 위한 슬릿(36a)과, 표면으로부터 절곡편(32)내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37)을 통하여 수납 슬롯(34)내로 돌출하는 결합 돌기(35)를 구비한다. 이 후방 절곡부(33)는 여유 노치(31)와 협동해서 천장판(5)의 양측 프레임부(23 또는 24)의 대응하는 부분과 끼워맞춤되도록 각 측단부를 절단함으로써 절곡편(32)보다 약간 짧게 만들어진다.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2 및 도 7과 관련한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배면판(2)의 하단 프레임부(16)는 그것의 하단부로부터 L자 형상으로 절곡된 절곡편(38)을 유사하게 구비하고 있으며, 절곡편(38)의 각 측단부 내에는 배면판(2)의 양측 프레임부(13, 14)의 하단부내에 형성되어 있는 여유 노치(39)와 협동해서 저면판(6)의 양측 프레임부(17, 18)를 위한 끼워맞춤부를 규정하기 위하여 노치(40)가 형성된다.
양 측판(3, 4)은 각기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따라서 우측판 또는 좌측판에 대하여 그것의 상측이 아래로 가도록 돌림으로써 상호 교환가능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의 상세한 사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측판은 외벽(41)과, 용접 등에 의해서 외벽(41)의 내면에 부착되는 내벽(42)을 구비하는 이중벽 형태의 두꺼운 벽 구조로 만들어진다. 양 측판(3 또는 4)의 후단 프레임부(11 또는 12)는 절곡편(43, 44)을 ㄷ자 형상으로 외향으로 절곡시킴으로써 형성되고, 배면판(2)을 착탈가능하게 보유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보유 부재(45)(예를 들면 2개, 하나는 위에 있고 하나는 아래에 있음)가 절곡편(43)에 부착된다.
각 측판(3 또는 4)의 전단부에는 절곡편(54)을 L자의 형상으로 내향으로 절곡시킴으로써 전단 프레임부(46 또는 47)가 형성되며, 전단 프레임부(46)와 후단 프레임부(11)의 사이에 또는 전단 프레임부(47)와 후단 프레임부(12)의 사이에 전술한 내벽(42)이 연장된다. 내벽(42)에는, 선반(7)을 소망하는 높이에 지지하기 위한 결합편을 해제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하여 결합 구멍(48)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변형예로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서랍의 장착을 위하여 가이드 레일 및 그외 다른 구조체가 그곳에 끼워맞춤될 수도 있다.
각 측판(3 또는 4)의 상단 프레임부(25 또는 26)와 하단 프레임부(19 또는 20)는 측판 소재의 상단 에지 또는 하단 에지를 후단 프레임부(11 또는 12)의 대응하는 에지보다 더 상향 또는 하향으로 돌출하도록 비교적 작은 폭으로 내향으로 절곡시킴으로써 형성된 프레임편(49)과, 경우에 따라서 천장판(5)이나 저면판(6)을 꼭맞게 수용하기 위하여 천장판(5) 또는 저면판(6)의 두께만큼 프레임편(49)보다 두껍도록 내벽(42)의 상단 에지 또는 하단 에지에 의해 형성된 접합편(50)을 각기 구비한다. 이 접합편(50)은 결합 돌기(51, 53)를 구비하며, 보유 부재(52)에 끼워맞춤된다.
결합 돌기(51)는 원통형상이며, 테이퍼형 자유단부와, 내벽(42)에 용접된 베이스 단부를 구비한다. 보유 부재(52)는 탄성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지며, 탄성적으로 개방 및 폐쇄될 수 있으며 후크형 결합편(55)으로서 형성된 자유단부와, 직사각형 결합 구멍(56)을 구비하고 이 결합 구멍(56)을 통해 내벽(42)에 고정되어 있는 베이스 단부를 갖는다. 이 결합 돌기(53)는 후크 형상으로 절결된 판재부재로 형성되며, 전단 프레임부(46 또는 47)의 절곡편(54)에 용접되어 있는 베이스 단부를 갖는다.
도 5의 상세한 사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장판(5)은 ㄷ자 형상 단면을 갖는 절곡편(57)에 의해 규정된 전단 프레임(59)과, ㄷ자 형상의 단면을 유사하게 가지며 절곡편(57)과 협동해서 박스 형상의 밀폐체를 공동으로 형성하는 접합편(58)을 구비한다. 절곡편(57)의 전단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문을 장착하기 위한 가이드 슬롯(9)이 형성되며, 절곡편(57)의 내단면에는 전술한 바 있는 양 측판(3, 4)의 결합 돌기(53)를 수납하기 위하여 결합 슬롯(60)이 형성된다. 절곡편(57)의 내단면에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가이드 슬롯(9)내로 끼워맞춤되는 결합 부재(78)의 핀을 수납하기 위하여 구멍(61)이 형성된다. 결합 부재(78)를 해제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하여 접합편(58)이 결합 부재(보유 부재)(62)에 끼워맞춤된다.
천장판(5)의 후단 프레임부(21)는 전단 프레임부가 전술한 바 있는 배면판(2)의 전단부상의 끼워맞춤 슬롯내로 헐겁게 끼워맞춤될 수 있게 하는 폭만큼 직사각형 단면으로 절곡된다. 후단 프레임부(21)의 단부면에는 배면판(2)의 결합 돌기(35)를 수납하기 위하여 직사각형 수납 슬롯(63)이 형성된다.
천장판(5)의 양측 프레임부(23, 24)[도 5에는 좌측 프레임부(23)만이 도시된다]는 대칭형상이며, 직사각형 단면으로 절곡된다. 양측 프레임부(23 또는 24)의 저면은 양 측판(3 또는 4)의 보유 부재(52)와 해제가능하게 결합하는 직사각형 수납 구멍(64)과, 결합 돌기(51)를 수납하기 위한 원형 수납 구멍(65)을 구비한다.
도 6의 상세한 사시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저면판(6)은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절곡편(66)과, 이 절곡편(66)과 협동해서 단차형 측부를 구비하는 폐쇄된 직사각형 단면을 규정하는 접합편(67)에 의하여 규정되는 전단 프레임부(68)를 구비한다. 이 접합편(66)의 전단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문을 장착하기 위하여 가이드 슬롯(10)이 형성된다. 절곡편(66)의 내단면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슬롯(10)내로 끼워맞춤되는 결합 부재(78)의 핀을 수용하기 위하여 구멍(70)이 추가로 형성된다. 이 접합편(67)에는 결합 부재(78)와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결합 부재(보유 부재)(71)가 끼워맞춤된다.
저면판(6)의 후단 프레임부(72)는 저면판(6)의 후단부를 L자 형상으로 절곡시킴으로써 형성되며, 채널 부재로 구성된 보강 브라켓(73)이 저면판(6)의 후단부 및 전단부를 가로질러 저면판(6)의 반대 표면에 용접된다. 저면판(6)의 양측 프레임부(17, 18)[도 6에는 좌측 프레임부(17)만 도시함]는 각기 대칭 형상이며, L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절곡편에 의하여 형성된다. 후단부의 코너에는 배면판(2)으로의 끼워맞춤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노치(74)가 각기 형성되며, 양 측판(3, 4)의 결합 돌기(53)를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직사각형 수납 구멍(76)과, 결합 돌기(51)를 수납하기 위한 원형 수납 구멍(77)이 저면판(6)의 상측 표면에 형성된다.
양 측판(3, 4)을 배면판(2)에 조립할 때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단 프레임부(11, 12)의 절곡편(44)이 배면판(2)의 내면위에 위치된다. 그런 다음에는 절곡편(44)이 양측 프레임부(13, 14)내로 끼워맞춤할 때까지 화살표로 표시한 것과 같이 외향으로 미끄러지며, 절곡편(43)이 절곡편(27) 위에 놓이도록 양측 프레임부(13, 14)내에 헐겁게 수납된다. 이와 동시에, 보유 부재(45), 수납 슬롯(28) 및 결합 구멍(29)이 양 측판(3, 4)과 배면판(2)간의 결합을 보장한다.
서로 접합되는 양 측판(3, 4)과 배면판(2)의 적절한 위치 조정은 확고한 부착이 설정되도록 양측 프레임부(13, 14)내로 끼워맞춤하는 절곡편(43, 44)과, 단단한 부착이 설정되도록 절곡편(27)의 내면을 따라 미끄러지는 동안 결합 구멍(29)내로 끼워맞춤하는 슬릿(45b)에 의해서 탄성이 부여된 보유 부재(45)의 양 쪽에 있는 결합편(45c)에 추가로, 각각의 보유 부재(45)와 내에 형성되어 있는 원호형 결합 표면(45a)과 대응하는 수납 슬롯(28) 간의 결합에 의해서 달성된다.
저면판(6)을 배면판(2)과 양 측판(3, 4)에 의해서 형성된 소조립체에 조립할 때, 도 7의 하측에 종단면도로 도시한 것과 같이, 저면판(6)의 후단 프레임부(72)가 배면판(2)의 하단 프레임부(16)내로 내측으로부터 끼워맞춤하며, 그런 다음에는 저면판(6)의 전단 프레임부(68)를 밀어서 양 측판(3, 4)의 하단 프레임부(19, 20)와 결합시킨다. 결과적으로, 결합 돌기(53), 보유 부재(52) 및 양 측판(3, 4)으로부터 돌출하는 결합 돌기(51)가 저면판(6)을 양 측판(3, 4)에 그리고 이 양 측판(3, 4)을 거쳐서 배면판(2)에 결합시키기 위해서 수납 구멍(76), 수납 구멍(69, 77)내로 끼워맞춤된다.
서로 접합되는 저면판(6)과 양 측판(3, 4) 사이의 적절한 위치 설정은 결합 돌기(51, 53)를 수납 구멍(77, 69)내로 끼워맞춤으로써 달성된다. 탄성 결합편(55)을 갖는 보유 부재(52)는 수납 구성(76)내로 착탈가능하지만 견고하게 끼워맞춤되며, 저면판(6)의 후단 프레임부(72)는 배면판(2)의 하단 프레임부(16)내로 끼워맞춤하는데, 이 세 개의 부품은 서로 견고하게 접합된다.
천장판(5)을 배면판(2)과 양 측판(3, 4)에 의해 형성된 소조립체에 조립할 때, 도 7의 상부에서 종단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판(5)의 후단 프레임부(21)는 배면판(2)의 상단 프레임부(22)의 수납 슬롯(34)내로 끼워지는 한편, 결합 돌기(51, 53)는 천장판(5)을 밀어 내림으로써 수납 구멍(65)과 결합 슬롯(60)내로 끼워진다. 결과적으로, 상단 프레임부(22) 내측에 끼워진 보유 부재(36)로부터 돌출하는 결합 돌기(35)는 후단 프레임부(21)에 형성된 수납 슬롯(63)에 결합하는 한편, 양 측판(3, 4)의 보유 부재(52)는 천장판(5)의 수납 구멍(64)에 끼워져 천장판(5)이 양 측판(3, 4)과, 그리고 양 측판(3, 4)을 통해 배면판(2)과 연결된다.
서로 연결된 천장판(5)과 양 측판(3, 4) 사이의 적절한 위치설정은 결합 돌기(51, 53)를 수납 구멍(65) 및 결합 슬롯(60)내로 끼우므로써 이루어진다. 탄성 결합편(55)을 갖는 보유 부재(52)는 수납 구멍(64)에 착탈식으로 그러나 단단히 끼워지며, 천장판(5)의 후단 프레임부(21)는 배면판(2)의 상단 프레임부(22)에 끼워져, 이 3개의 부분은 서로 단단히 연결된다.
따라서 양 측판(3, 4), 저면판(6) 및 천장판(5)은 너트 및 볼트와 같은 고착수단없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판(2)이 조립되며, 구성요소 부품이 착탈가능한 보유 부재와 협력하는 구성요소의 에지를 따라 형성된 프레임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기 때문에, 조립된 캐비넷은 구조적으로 매우 튼튼한 반면 조립 작업은 매우 간단하다.
캐비넷 본체(1)를 분해할 때에는, 스크루드라이버의 팁과 같은 평평한 피스가 양 측판(3, 4)과 천장판(5) 사이의 갭 내로 끼워지며, 보유 부재(52)의 탄성 결합편(55)이 압축된 상태에서 천장판(5)이 내측에서 상방으로 밀어 올려진다. 결과적으로, 결합편(55)이 천장판(5)의 수납 구멍(64)으로부터 해제된다. 마찬가지로, 스크루드라이버의 팁과 같은 평평한 피스가 배면판(2)의 상단 프레임부(22)와 천장판(5)의 후단 프레임부(21) 사이의 갭내로 끼워지는 한편, 결합 돌기(35)를 상단 프레임부(22)쪽으로 밀어 올리는 동안, 천장판(5)이 내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밀어 올려져 결합 돌기(35)가 수납 슬롯(63)으로부터 해제된다.
저면판(6)을 분해할 때에는, 천장판(5)의 경우와 유사하게, 보유 부재(52)가 수납 구멍(76)으로부터 해제되고, 그런 후 후단 프레임부(72)가 배면판(2)의 하단 프레임부(16)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양 측판(3, 4)을 배면판(2)으로부터 분해할 때에는, 스크루드라이버의 팁과 같은 평평한 피스가 양 측판(3, 4)과 배면판(2)의 후단 프레임부(11, 12) 사이의 갭에 끼워지며, 보유 부재(45)의 결합편(45c)을 결합 구멍(29)으로부터 빼내는 동안에는 양 측판(3, 4)이 조립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밖으로 밀린다.
캐비넷 본체(1)는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넷 본체(1)의 전면 개구상에 레일을 갖는 문 프레임(79)을 장착하여 유리 또는 다른 미닫이 문을 설치하고,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닫이 문(80)을 장착하여 여닫이 문을 설치한다. 이는 천장판(5)과 저면판(6)의 전단 프레임(59, 68)에 형성된 가이드 슬롯(9, 10)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며, 결합 부재(62, 71)는 장착 플레이트(81)를 통해 전단 프레임(59, 68)에 끼워지며, 결합 부재(78)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결합 부재(78)는 가이드 슬롯(9, 10)에 끼워진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부재(62, 71)는 탄성 플라스틱재로 제조되며, 각각은 직사각형 및 관형 부분(83)으로 이루어지는 전단측이 제공되며, 후단측은 관형 부분(83)의 상면 및 하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상부 및 하부 클램핑 플레이트(84, 85)로 이루어진다. 관형 부분(83)의 상벽 및 하벽의 내면에는 내측 통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테이퍼형 리브(ribs)(86)가 제공되며, 이 내측 통로는 이의 후단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진다. 중앙 리브(86)의 후단부에 인접한 부분에는 결합 돌기(87)가 제공된다. 관형 부분(83)은 클램핑 플레이트(84, 85)에 탄성을 부여하기 위한 노치(88), 및 결합 부재(62, 71)를 장착 플레이트(81, 82)에 보유하기 위한 측방향 및 수직방향 돌기(89, 90)가 제공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 단부에 인접한 결합 돌기(87)를 수납하기 위한 결합 구멍(91)을 갖는 평평한 결합 부재(78)가 대응하는 결합 부재(62, 71)에 끼워질 때, 리브(86)의 표면을 따라 활주함에 따라 결합 부재(78)의 2개 측면은 상부 및 하부 클램핑 플레이트(84, 85) 사이의 갭(d)을 확장시킨다. 결합 돌기(87)가 결합 구멍(91)에 의해 결합되면, 2개 부분은 서로 단단히 연결된다. 2개 클램핑 플레이트(84, 85) 사이의 갭(d)이 결합 부재(78)의 두께보다 작게 되도록 세팅하므로써, 결합 부재(78)의 전단측이 클램핑 플레이트(84, 85) 사이의 갭을 개방하도록 밀어 관형 부분(83)의 상벽과 하벽 사이의 갭을 좁히는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결합 부재(78)를 유지하기 위한 힘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미닫이 문이 캐비넷에 끼워질 때, 문 프레임(79)의 역할을 하는 사각형 프레임을 미리 장착하는 것이 편리하다. 프레임이 용접에 의해 조립 또는 장착된다면, 조립 정밀도가 상실될 수 있어,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및 하부 크로스 프레임 부재(92, 93) 및 오른쪽 및 왼쪽 수직 프레임 부재(94, 94)(단지 오른쪽 수직 프레임 부재만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음)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 수단을 사용하여 서로 연결된다.
크로스 프레임 부재(92, 93) 및 수직 프레임 부재(94)는 소망의 단면을 갖는 사출 성형된 알루미늄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크로스 프레임 부재(92, 93)의 내면에는 미닫이 문용 가이드 레일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한편, 크로스 프레임 부재(92, 93)의 외측 단부에는 채널 슬롯(97, 98)이 형성된다. 각 채널 슬롯(97, 98)의 2개 단부 부분에는 플라스틱재로 제조되고 적절한 형태가 주어진 보유 부재(99, 100)가 끼워질 수 있으며, 플랜지(101, 102)는 천장판(5)과 저면판(6)의 내면 위로 배치될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95, 96)에 인접한 부분으로부터 연장한다.
각각의 수직 프레임 부재(94)는 실질적으로 사각형 단면을 갖는 관형 부재(103)로 이루어지고, 대응하는 양 측판(3, 4)의 내면 위에 놓일 수 있는 플랜지(104)가 제공된다. 관형 부재(103)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낙하 인입 구멍(105)을 갖는 캡(106)에 의해 폐쇄된다. 연결 브라켓(78A)[미닫이 문용 결합 부재(78)]은 관형 부재(103)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연결하는 부분으로부터 연장한다.
연결 브라켓(78A)은 보유 부재(99, 100)용 텅 피스(107), 수납 슬롯(108), 관형 부재(103)용 장착편(109) 및 결합 슬롯(110), 가이드 슬롯(9, 10)용 텅 피스(111), 및 결합 부재(62, 71)용 텅 피스(112)를 포함한다. 장착편(109)은 관형 부재(103)의 내면에 제공된 노치(113)내로 끼워지며, 그와 동시에 결합 슬롯(110)은 개구의 에지와 결합하여 연결 브라켓(78A)을 유지시키는 한편, 장착편(109)은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115)에 의해서 캡(106)과 함께 관형 부재(103)에 부착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115)는 낙하 인입 구멍(105)을 통해 나사산이 형성된 보어(114)내로 나사결합된다.
각 보유 부재(99, 100)는 텅 피스(107)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 슬롯(116), 수납 슬롯(116)의 위 아래로 형성된 클램핑 피스(117, 118), 수납 슬롯(116)의 종단부에 형성된 중공 부분(119), 중공 부분(119)의 나머지에 의해 형성되고 수납 슬롯(108)에 끼워지는 텅 피스(120), 및 각각의 크로스 프레임 부재(92, 93)의 채널 슬롯(97, 98)의 에지에 형성된 절곡편(121)을 수납하기 위한 결합 슬롯(122)을 포함한다. 따라서 크로스 프레임 부재(92, 93)의 단부 부분에 보유 부재(99, 100)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고, 수직 프레임 부재(94)에 고정된 연결 브라켓(78A)을 대응하는 보유 부재(99)에 끼움으로써 사각형 문 프레임(79)이 형성된다.
연결 브라켓(78A)의 텅 피스(111, 112)가 캐비넷 본체(1)의 가이드 슬롯(9, 10)내로 밀려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텅 피스(111, 112)의 자유 단부에 끼워지는 결합 부재(62, 71)가 텅 피스(112)를 유지시킨다. 그와 동시에, 크로스 프레임 부재(92, 93)의 플랜지(101, 102)는 천장판(5)과 저면판(6)의 내면 위에 놓이는 한편, 수직 프레임 부재(94)의 플랜지(104)는 양 측판(3, 4)의 내면 위에 놓여 미닫이 문이 가이드 레일(95, 96)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캐비넷은 미닫이 문과 끼워맞춤된다.
캐비넷을 조립하고자 캐비넷에 여닫이 문이 끼워맞춰짐에 따라, 결합 부재(78)의 역할을 하는 연결 브라켓(78B)의 텅 피스(112)와 장착편(109) 사이에 단차부가 형성되고, 피봇 샤프트(123)가 이에 단단히 고정되어 장착편(109)으로부터 내측으로 직립하게 된다. 연결 브라켓(78B)은 캐비넷에 미닫이 문이 끼워지는 경우와 유사한 방법으로 캐비넷 본체(1)의 가이드 슬롯(9, 10)내로 끼워져 결합 부재(62, 71)에 의해 유지되는 한편, 각 여닫이 문(80)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피봇 샤프트(123)에 의해 피봇가능하게 지지된다.
미닫이 문 또는 여닫이 문은 결합 부재(78)를 결합 부재(62, 71) 밖으로 잡아당기므로써 캐비넷 본체(1)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이는 클램핑 플레이트(84, 85)의 사이가 벌어지도록 스크루드라이버의 팁과 같은 평평한 피스가 그 사이의 갭(d)내로 끼워지는 동안 결합 돌기(87)를 결합 구멍(91)으로부터 잡아당기므로써 쉽게 이루어진다. 결합 부재(78)와 결합 부재(62, 71)의 부착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나사형 볼트가 각기 천장판(5)과 저면판(6)에 형성된 관통 구멍(6a, 70)을 거쳐 결합 부재(78)에 형성된 나사형 구멍(124)내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캐비넷 본체(1)는 전면이 개방된 채 사용될 수도 있고, 또 그것에 미닫이 문 또는 여닫이 문이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이 양 측판(3, 4)에 적절히 제공될 때, 서랍은 캐비넷 본체내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캐비넷 본체(1)는 그것에 미닫이 문 및 여닫이 문 등을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종 상이한 용도에 쉽게 적응하도록 할 수 있다.
천장판(5), 저면판(6) 및 양 측판(3, 4)을 배면판에 연결하기 위한 보유 부재(36, 45), 및 문을 장착하기 위한 결합 부재(78)는 대응하는 부재에 착탈식으로 부착되었지만, 대응하는 부재에 영구적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보유 부재 및 연결 브라켓에는 관련된 구성 부품의 분리를 촉진하기 위해 래치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캐비넷 본체(1)에는 조립 및 분해를 위한 특수 공구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술되었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각종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Claims (10)

  1. 배면판과, 상기 배면판의 양측에 부착된 한쌍의 측판과, 상기 측판을 가로질러 상기 배면판의 상단 에지 및 하단 에지에 부착된 천장판 및 저면판을 포함하는, 전면이 개방된 녹다운식 금속 캐비넷에 있어서,
    상기 판의 에지를 따라 상호 결합 프레임부가 형성되며, 상기 측판은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된 결합 수단을 통해 상기 천장판과 저면판에 고정되고,
    결합 수단은 상기 프레임부중 하나에 고정된 결합 부재와, 상기 결합 부재와 착탈 결합하기 위하여 대응하는 프레임부에 제공된 수납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 부재는 탄성 결합부를 갖는 플라스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 개구는 상기 대응하는 프레임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다운식 금속 캐비넷.
  2. 삭제
  3. 삭제
  4. 전면이 개방된 캐비넷 본체를 포함하며, 미닫이 문을 수용하는 문 프레임과 여닫이 문을 지지하기 위한 힌지 중 하나를 호환적으로 부착하도록 다수의 결합 수단이 상기 개방된 전면의 외주를 따라 제공되는
    금속 캐비넷.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은 미닫이 문용 상기 문 프레임을 부착하기 위한 텅 피스와 상기 여닫이 문용 힌지 피봇을 지지하기 위한 텅 피스를 호환적으로 수납하기 위한 가이드 슬롯을 포함하는
    금속 캐비넷.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닫이 문용 문 프레임은 한쌍의 크로스 부재와 한쌍의 수직 부재를 포함하며, 이들은 4개의 코너에 형성된 연결 수단을 통해 프레임 구조체에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금속 캐비넷.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텅 피스중 관련된 것을 수납하기 위하여 각각의 가이드 슬롯 내측에 형성된 개구내로 끼워지며, 상기 텅 피스를 수납하기 위한 내측 통로를 형성하는 관형 전단부를 포함하는 보유 부재와; 상기 관형 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여 텅 피스의 전단부를 그들 사이에 수납하는 한쌍의 클램프 플레이트와; 상기 개구에 상기 보유 부재를 보유하기 위한 결합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통로는 이의 후단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며,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텅 피스가 상기 통로내로 끼워짐에 따라 상기 통로를 형성하는 벽이 분리되며, 그에 따라 상기 클램프 플레이트가 상기 텅 피스의 자유 단부상으로 가압되는
    금속 캐비넷.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부재는, 상기 개구내의 결합 돌기를 내리누르고 상기 보유 부재를 개구로부터 후방으로 당겨 빼냄으로써 상기 캐비넷 본체로부터 해제되는
    금속 캐비넷.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텅 피스의 자유 단부에는 개구가 제공되며, 상기 보유 부재에는 내측으로 배향된 돌기가 제공되며, 상기 텅 피스가 상기 통로내로 완전히 끼워질 때 상기 돌기는 상기 텅 피스의 상기 개구내로 끼워지는
    금속 캐비넷.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텅 피스는, 상기 내측으로 배향된 돌기가 상기 텅 피스의 개구로부터 해제되도록 상기 보유 부재를 탄성적으로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보유 부재로부터 해제되는
    금속 캐비넷.
KR10-1999-7009121A 1998-02-05 1998-02-05 녹다운식 금속 캐비넷 KR1005085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8/000484 WO1999039611A1 (en) 1998-02-05 1998-02-05 Knockdown metal cabin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6043A KR20010006043A (ko) 2001-01-15
KR100508597B1 true KR100508597B1 (ko) 2005-08-17

Family

ID=14207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9121A KR100508597B1 (ko) 1998-02-05 1998-02-05 녹다운식 금속 캐비넷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3345431B2 (ko)
KR (1) KR100508597B1 (ko)
CN (1) CN1135949C (ko)
HK (1) HK1027727A1 (ko)
WO (1) WO19990396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97303B (zh) * 2012-07-10 2016-03-02 四川开力厨具有限公司 一种橱柜柜体
CN102783824B (zh) * 2012-08-06 2014-11-05 应国珍 伸缩式大衣橱
CN104269747B (zh) * 2014-09-17 2017-06-20 向荣集团有限公司 一种开关柜柜体
DE202017100195U1 (de) 2016-01-21 2017-02-22 Inter Ikea Systems B.V. Systeme und Vorrichtungen zur Verbindung von Regalen
ES2754439T3 (es) * 2016-07-04 2020-04-17 Peka Metall Ag Compartimento de almacenamiento, que es insertable en un elemento de armario
KR102611209B1 (ko) * 2016-10-31 2023-12-08 김종원 가구용 서랍
CN108551618A (zh) * 2018-07-17 2018-09-18 隐士音响(杭州)有限公司 一种音响设备的机箱
CN109654637B (zh) * 2019-01-04 2024-04-09 厦门立思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可拆卸的蓄冰槽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8520A (en) * 1975-09-17 1978-08-22 L. B. (Plastics) Limited Drawers
EP0963718A1 (en) * 1997-09-24 1999-12-15 Morduran, S.L. Device for conforming furniture by means of panel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045604A (fr) * 1949-09-23 1953-11-30 Dispositif d'assemblage de matières en feuille et joint obtenu
FR2125722A5 (ko) * 1971-02-18 1972-09-29 Frydman Georges
DE2153713A1 (de) * 1971-10-28 1973-05-03 Groth Tafelbausystem mit klemmend eingesteckten verbindungselementen
US3856374A (en) * 1974-03-18 1974-12-24 Outers Laboratories Knock-down electric food smok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8520A (en) * 1975-09-17 1978-08-22 L. B. (Plastics) Limited Drawers
EP0963718A1 (en) * 1997-09-24 1999-12-15 Morduran, S.L. Device for conforming furniture by means of pan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5949C (zh) 2004-01-28
JP2000511098A (ja) 2000-08-29
HK1027727A1 (en) 2001-01-23
CN1251498A (zh) 2000-04-26
JP3345431B2 (ja) 2002-11-18
KR20010006043A (ko) 2001-01-15
WO1999039611A1 (en) 1999-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1601B1 (en) Quick-assembly storage unit
AU2006252278B2 (en) Drawer assembly
AU2010247806B9 (en) Storage and organization system
EP2241216A1 (en) An assembly system for connecting furniture elements
US20180345478A1 (en) Storage hutch assembly
JPH07508442A (ja) 引出し構成ユニット
KR100508597B1 (ko) 녹다운식 금속 캐비넷
CA2978810C (en) Cabinet with snap-in frame
US20080238277A1 (en) Steel cabinet and locker
JP2005046221A (ja) 組立式筐体
US6443545B1 (en) Drawer construction
US20030111941A1 (en) One-piece cabinet pedestal
US20120298606A1 (en) Sectional rack
EP2237704A1 (en) An assembly system for connecting furniture elements
KR101856102B1 (ko) 조립식 가구
US5343595A (en) Mounting plate for furniture hinges
KR102247472B1 (ko) 칸막이용 모서리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oa 칸막이
CA1047971A (en) Spring fastener
JP7481769B1 (ja) 金属ラックに取り付けるレール付き引き出し用バスケットのレール装置
US20050258120A1 (en) Connector for cabinet or shelf structure
MXPA97002522A (en) Frame piece for display holder
KR20150000300A (ko) 가구 조립 셋트
JP4328643B2 (ja) 物品取付用レール
JP3225391B2 (ja) 額縁フレームの連結具
EP0153156B1 (en) Furniture element and furniture incorporating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