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8526B1 - 서브-프탈로시아닌계 색소를 포함하는 칼라 표시장치용 광선택흡수성 코팅 조성물 및 동 조성물이 적용된 필터 - Google Patents

서브-프탈로시아닌계 색소를 포함하는 칼라 표시장치용 광선택흡수성 코팅 조성물 및 동 조성물이 적용된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8526B1
KR100508526B1 KR10-1999-0031990A KR19990031990A KR100508526B1 KR 100508526 B1 KR100508526 B1 KR 100508526B1 KR 19990031990 A KR19990031990 A KR 19990031990A KR 100508526 B1 KR100508526 B1 KR 100508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display device
light
formula
colo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1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6827A (ko
Inventor
배근택
박진범
이호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31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8526B1/ko
Publication of KR20010016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6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8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85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32Radiation-absorb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91Complexes with metal-heteroatom-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47/00Porphines; Azaporphines
    • C09B47/04Phthalocyanines abbreviation: P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라 표시장치용 광선택 흡수성 코팅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이 적용된 칼라 표시장치용 필터에 관한 것으로, 하기 화학식 1의 서브-프탈로시아닌(Sub-phthalocyanine) 색소를 포함하는 칼라 표시장치용 광선택 흡수성 조성물을 칼라 표시장치의 표면 또는 필터에 적용함으로써 표시장치의 반사광 및 삼원색 사이의 방출광을 차단하여 표시장치의 색순도 및 콘트라스트(contrast)를 개선할 수 있다:
상기식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6개를 갖는 알킬기, 알콕시 또는 알킬아민; 페닐기; 알킬페닐기; 니트로기 또는 할로겐이 치환된 페녹시기; 니트로기; 할로겐; 및 시아노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X는 F, Cl 또는 Br이다.

Description

서브-프탈로시아닌계 색소를 포함하는 칼라 표시장치용 광선택 흡수성 코팅 조성물 및 동 조성물이 적용된 필터{SELECTIVELY LIGHT-ABSORPTIVE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SUB-PHTHALOCYANINE PIGMENT FOR COLOR DISPLAY DEVICE, AND FILTER COATED THEREWITH}
본 발명은 칼라 표시장치의 표면 또는 필터에 적용하기 위한 광선택 흡수성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이 적용된 칼라 표시장치용 필터에 관한 것이다.
칼라 표시장치는 텔레비전, 컴퓨터, 비디오 게임기 등의 상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들 대부분이 채용하고 있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은 진공 튜브를 이용한 표시장치로 전자총에서 나온 전자가 스크린의 발광체에 충돌됨으로써 전자의 운동 에너지가 빛 에너지로 전환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이 때 발생되는 빛의 파장 영역은 주로 가시광선 영역이므로 일반적인 텔레비젼이나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표시장치에 사용하게 된다. CRT는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전형적인 삼원색만을 사용하면서도 여러 가지 다양한 색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칼라 표시장치에서 발광되는 발광 스펙트럼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듯이 형광체의 특성에 따라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주변 광이 상당부분 발광되어 색순도가 낮아지거나 색의 구현범위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CRT의 전형적인 발광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으로, 녹색 발광 스펙트럼은 매우 넓고 다소 황색 쪽으로 치우친 경향을 보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CRT에 있어서 적색과 청색의 발광은 충분히 색순도가 구현되고 있으나 녹색의 경우 황색에 치우친 색이 발현된다.
또한 표시장치에서 외광(ambient light)의 표면 반사는 시청자의 눈을 피로하게 하며 밝은 외광에서는 표시장치의 콘트라스트가 구현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표시장치에서 나타나는 반사광은 스크린으로 사용되는 유리 표면에서 반사되는 외광과 스크린 안쪽의 발광체에서 반사되는 빛이 더해진 것으로 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당 분야에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 4,989,953 호에는 반사광의 감소를 위한 시도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특허는 단색 모니터의 눈부심만을 감소시키는 정도에 불과하다.
칼라 표시장치에 대한 반사광을 감소시키기 위한 시도의 하나로서 ND(neutral density) 필터 또는 감소기(attenuator)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ND 필터는 파장에 관계없이 일부분의 빛만을 투과시킴으로써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적절한 매개체에 은이나 흑연 알갱이의 콜로이드 현탁액을 만들어 모니터 표면에 부착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현재 칼라 CRT 표시장치의 제작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화면의 밝기를 감소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칼라 표시장치의 반사광을 감소시키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서 ND 필터와 반사방지(antireflection) 코팅을 조합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는 발광체에서의 외광의 반사와 표시장치 표면의 반사광을 감소시키는 효과는 있지만 화면의 휘도를 감소시키고 색순도를 개선시키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색순도와 콘트라스트를 동시에 개선하면서 휘도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표시장치에서 발광되는 삼원색 영역의 빛은 투과시키고 나머지 영역의 빛은 차단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방식은 ND 필터와 달리 외광을 충분히 감소시키면서 표시장치에서 발광되는 빛을 충분히 투과시키기 때문에 콘트라스트 증가 효과 대비 휘도 감소를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과 동시에 표시 장치에서 발광되는 삼원색 외의 색을 적절히 차단하여 표시 장치의 색순도를 개선시켜 색의 구현 범위를 크게 확장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예로서, 미국 특허 제 4,288,250 호, 제 4,520,115 호 및 제 4,245,242 호는 네오듐(Nd) 산화물을 비롯한 금속 산화물을 함유한 착색 유리를 음극선관용 전면 재질로서 적용하거나 필터로서 사용한 바 있다. 이 방법은 표시장치에서 발광되는 광은 투과시키고 그 외 영역인 삼원색 사이의 광은 투과를 제한하는 방법으로 표시장치의 휘도 저하를 방지함과 동시에 외광의 반사율을 낮추고 색순도를 향상시키는 장점은 있으나, 착색유리의 제조 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높아 비경제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고 소44-5091, 일본 특허공개 소59-217705, 평4-106150, 평6-88007 및 평10-120860에서는 네오듐 산화물 또는 유기 네오듐 화합물을 플라스틱에 분산 또는 용해시킨 착색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칼라 표시장치의 특성을 개선하고자 한 바 있으나, 이들은 분산 또는 용해의 곤란성 및 플라스틱 재료의 황변 등으로 인하여 특성이 점차 열화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평2-210486 및 미국 특허 제 5,200,667 호는 색소와 플라스틱 수지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칼라 표시장치용 필터를 제안하고 있으나, 일본특허 공개 평2-210486에 제시된 색소는 흡광 폭이 넓고 광선택성이 작아 색순도의 개선에 크게 기여하지 못하고 있으며, 미국특허 제 5,834,122 호는 색의 선택성이 높은 색소를 조합함으로써 광선택성이 향상된 표시장치용 밴드 패스 필터를 제안하고 있으나, 녹색과 적색 사이 또는 청색과 녹색 사이의 흡광 색소가 내구성이 부족하여 실용화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표시장치의 또 다른 종류의 하나로서 점점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PDP(plasma display panel)는 유리 등으로 둘러싸인 격벽 안에 헬륨, 네온, 아르곤, 제논 등의 불활성 가스 또는 이들의 혼합가스를 봉입하고 밀봉시킨 뒤, 높은 전압을 걸어주어 가스를 이온화시켜 플라즈마를 형성시켜, 여기에서 방출되는 자외선이 형광체를 여기시켜 발광하게 된다. PDP는 넓은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으며, 다른 표시장치보다 대형화가 용이하고, 박형의 발광형 표시장치로서 향후 PDP의 고품질 텔레비젼으로서 가장 적합한 특성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플라즈마 표시장치는 현재 많은 표시장치 업체에서 개발되고 있지만 휘도가 떨어지고 형광체의 표면반사가 높을 뿐만 아니라 봉입가스인 헬륨에서 방출되는 오렌지광으로 인해 색순도가 음극선관에 미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도 2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발광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으로, 이는 도1의 CRT의 발광 스펙트럼과 비교할 때 녹색의 발광 스펙트럼이 보다 단파장 쪽으로 치우친 경향을 가지고 있으며, 청색의 경우 다소 장파장 쪽으로 치우친 경향을 갖는다. 또한 적색의 경우 590 nm 근처에서 강한 발광 피크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봉입 가스인 네온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적색의 구현이 어렵고 청색 또한 다소 녹색에 치우친 색이 구현됨을 알 수 있다.
CRT와 PDP의 다양한 용도와 잠재적 용도를 고려할 때 표시장치 표면에서의 반사를 낮추고, 화면의 밝기 및 선명도의 심각한 손실없이 전체적인 색순도와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는 장치나 메커니즘의 개발은 매우 절실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칼라 표시장치의 반사광을 흡수하여 색순도 및 콘트라스트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를 계속 진행한 결과, 청색과 자외선의 격간, 청색과 녹색 사이, 녹색과 적색 사이 및 적색과 자외선 사이에서 광을 흡수할 수 있는 흡광제를 칼라 표시장치용 필터에 적용함으로써 칼라 표시장치의 색순도 및 콘트라스트를 개선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칼라 표시장치의 반사광 및 삼원색의 중간색에 해당하는 방출광을 차단하여 칼라 표시장치의 색순도 및 콘트라스트를 개선할 수 있는 칼라 표시장치용 광선택 흡수성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이 적용된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플라스틱 수지 및 하기 화학식 1의 서브-프탈로시아닌계 화합물이 유기용매에 용해된 칼라 표시장치용 코팅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상기식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6개를 갖는 알킬기, 알콕시 또는 알킬아민; 페닐기; 알킬페닐기; 니트로기 또는 할로겐이 치환된 페녹시기; 니트로기; 할로겐; 및 시아노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X는 F, Cl 또는 Br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칼라 표시장치용 코팅 조성물이 적용된 필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칼라 표시장치의 색순도와 콘트라스트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청색과 자외선의 격간, 청색과 녹색 사이, 녹색과 적색 사이, 적색과 적외선 사이에서 광을 흡수할 수 있는 흡광제가 필요하며, 특히 청색과 녹색 사이 및 적색과 녹색 사이에서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는 흡광제가 가장 이상적이다.
1) 청색과 녹색 사이 흡광제
최대 흡광파장 : 460 내지 500 nm , 흡광 밴드 폭 : 20 내지 30 nm
2) 녹색과 적색 사이의 흡광제
최대 흡광파장 : 550 내지 600 nm, 흡광 밴드 폭 : 50 내지 70 nm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의 서브-프탈로시아닌 화합물은 녹색과 적색 사이의 흡광제 조건을 만족하면서, 우수한 내열성 및 내광성을 지니며, 특히 R1 내지 R4 중 최소한 하나가 탄소수 1 내지 6개의 알킬, 알킬아민, 알콕시, 또는 할로겐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체 고형분의 0.05 내지 1%의 양으로 사용된다.
칼라 표시장치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수지 재료로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비닐알콜(PVA), 폴리카보네이트(PC),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폴리(비닐 부틸알)(PVB) 등의 투명 플라스틱 수지 재료가 가능하다. 이는 용제에 대해 5 내지 40%의 양으로 사용된다.
또한 각 파장 영역의 투과율의 조절이나 백색도를 구현하기 위해 통상의 아조 염료, 시아닌 염료, 디페닐메탄 염료, 트리페닐메탄 염료, 프탈로시아닌 염료, 크산텐계 염료, 디페닐렌계 염료 및 인디고, 포피린 등의 염료를 첨가할 수 있다. 이는 전체 고형분의 0.05 내지 3%의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용매로는 톨루엔, 자일렌, 아세톤, 메틸에틸케톤(MEK), 프로필알콜, 이소프로필알콜, 메틸셀루솔브, 에틸셀루솔브,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등이 있다.
특히,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경우에는 플라즈마 표시장치로부터 반사되는 근적외선을 차단하기 위해 근적외선 차단제를 첨가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적외선 차단제로는 하기 화학식 2 내지 4의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식에서, R'는 탄소수 1 내지 6를 갖는 알킬기이고, Y는 ClO4 -, Ab2F 6 -, BF3 -, 톨루엔설포네이트 또는 벤젠설포네이트 음이온이다.
상기식에서, M은 Ni, Pd 또는 Pt이고, R"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개를 갖는 알킬 또는 알콕시기; 할로겐 또는 알킬아민이 치환된 페닐; 또는 페닐기이다.
상기식에서, M'은 Fe, Ni, Cu, Co 또는 Pt이고, R'''은 수소; 탄소수 1 내지 10개를 갖는 알킬 또는 알콕시기; 할로겐; 또는 니트로기이고, A+는 테트라알킬암모늄 양이온(이 때 알킬기는 탄소수 1 내지 6개를 가짐)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내광성 향상을 위해 안정제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사용가능한 안정제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색소의 퇴색성을 방지하는 라디칼 반응 억제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표시장치에 장착될 유리, 플라스틱 또는 플라스틱 필름에 코팅처리하여 사용하거나 표시장치 표면상에 직접 코팅처리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코팅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스핀 코팅법 또는 롤 코팅법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1 내지 20㎛의 두께로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 트리부틸화된 서브-프탈로시아닌의 제조
서브-프탈로시아닌 화합물 중 R2가 t-부틸이고, R1, R3 및 R4는 각각 수소이고, X는 Br인 트리부틸화된 서브-프탈로시아닌 화합물을 공지된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합성하였다(Journal of American Chemical Society, 112, 9641(1990)). 먼저, 3구 둥근 플라스크에 1-클로로나프탈렌 30g을 넣고 여기에 t-부틸프탈로니트릴과 페닐디브로모보란을 각각 10g씩 넣은 후 260℃로 가열 용융하여 약 10분간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을 50%의 수율로 얻었다. 수득된 트리부틸화된 서브-프탈로시아닌계 화합물의 흡광 스펙트럼을 도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단계 1) 표시장치용 광선택 흡수성 조성물의 제조
반응기에 100ml의 메틸에틸케톤(MEK)을 넣고 가온하면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30g을 넣어 완전히 용해시켰다. 여기에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트리부틸화된 서브-프탈로시아닌 10 mg과 솔벤트 블루 38(Solvent Blue 38, 구입처: 알드리치 케미칼(Aldrich Chemical)) 10mg을 넣어 용해시켰다. 이어서, 아크리딘 오렌지(Acridine Orange, 구입처: 알드리치 케미칼) 12mg을 이소프로필알콜(IPA) 5ml에 녹여 상기 용액에 천천히 가하여 표시장치용 광선택 흡수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계 2) 표시장치용 필터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투명 유리 기판에 스핀 코팅(spin coating)을 이용하여 코팅한 후 60℃에서 10 분간 건조하여 약 6㎛의 두께의 착색층이 형성된 착색 유리기판을 수득하였다.
상기 제조된 착색 유리기판을 음극선관 및 PDP에 장착하여 적색, 녹색 및 청색 삼원색의 색좌표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및 필터 전후의 콘트라스트 개선비와 휘도비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제조된 착색 기판의 광에 대한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착색된 유리 기판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상에 SiO2와 ITO(인듐-주석 산화물)가 다층 형성된 반사방지 필름을 점착하고 제논 램프(Xenon Lamp) 2kW에서 3 시간 동안 노출하여 노출 전과 후의 투과율을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성물로 착색된 필름의 광노출 전후의 투과율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으로, 여기에서 보듯이, 10% 이하의 광분해로 필터의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단계 1) 표시장치용 광선택 흡수성 조성물의 제조
50mg의 IRG022(입수처: 일본화약사;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를 추가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단계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시장치용 광선택 흡수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계 2) 표시장치용 필터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착색된 유리기판을 수득하였다.
상기 제조된 착색 유리 기판을 음극선관 및 PDP의 전면에 장착하여 적색, 녹색 및 청색 삼원색의 색좌표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5 및 6에 나타내었으며, 필터 전후 콘트라스트 비와 휘도비를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이의 투과 스펙트럼은 도 7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단계 1) 표시장치용 광선택 흡수성 조성물의 제조
25mg의 Q1(입수처: 일본감광색소사)를 추가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단계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시장치용 광선택 흡수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계 2) 표시장치용 필터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착색된 유리기판을 수득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도 5, 6 및 표 1에 나타내었으며 이의 투과 스펙트럼은 도 7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폴리비닐알콜 20g을 물 100ml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12 mg의 플루오레세인 아민 이소머 I(구입처: 알드리치 케미칼)과 10mg의 플록신 B(Phloxin B, 구입처: 알드리치 케미칼), 5mg의 설포로디아민 101(Sulforhodiamine 101, 구입처: 알드리치 케미칼)과 13.5mg의 럭솔 패스트 블루(Luxol Fast Blue, 구입처: 알드리치 케미칼) 및 50mg의 IRG022를 녹인 후, 이 용액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리기판에 코팅하여 착색된 유리 기판을 수득하였다.
해당 착색 유리 기판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였으며 표 1에 색좌표, 콘트라스트 비 및 휘도비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광에 대한 안정성 평가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보듯이, 비교예 1은 광에 노출 시 적색과 녹색 사이를 차단하는 색소 성분이 분해되어 필터로서의 기능을 잃게 됨을 알 수 있다.
비교예 2
본 발명의 서브프탈로시아닌 색소 대신에 이스트웰 590(Eastwell 590, 구입처: 주식회사 Eastwell) 색소 8m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 조성물로 처리된 착색 유리 기판을 수득하였다. 상기 제조된 착색 유리기판을 CRT와 PDP에 장착하여 적색, 녹색 및 청색 삼원색의 색좌표를 측정하였으며 필터 전후의 콘트라스트 비 및 휘도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5, 6 및 표 1에 나타내었다. 여기에서 보듯이, 투과율이 제한되고 있으며, 색의 개선효과는 미미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콘트라스트의 개선 효과 대비 휘도 감소가 심한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의 투과 스펙트럼은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서 보듯이, 600nm 근처에서 흡광이 있으나 흡광 범위가 넓게 형성되어 있고 적색 발광 영역의 투과율이 낮으며, 황색영역에서 투과율은 커서 효과적인 색순도의 개선이 어려움을 알 수 있다.
표시장치 종류 삼원색의 CIE xy좌표 Cr Er CrXEr
적색 녹색 청색
CRT적용 CRT단독 (0.653,0.338) (0.315,0.611) (0.146,0.057)
실시예1 (0.668,0.318) (0.260,0.670) (0.157.0.056) 1.53 0.75 1.145
비교예1 (0.667,0.319) (0.263,0.678) (0.155,0.060) 1.64 0.70 1.148
실시예2 (0.668,0.319) (0.267,0.679) (0.160,0.046) 1.67 0.69 1.152
실시예3 (0.670,0.319) (0.274,0.681) (0.160,0.044) 1.72 0.67 1.152
비교예2 (0.654,0.330) (0.291,0.628) (0.147,0.054) 1.68 0.62 1.041
PDP적용 PDP단독 (0.608,0.353) (0.236,0.684) (0.157,0.107)
실시예1 (0.607,0.314) (0.207,0.733) (0.162,0.076) 1.50 0.70 1.05
비교예1 (0.606,0.317) (0.205,0.732) (0.160,0.074) 1.62 0.68 1.10
실시예2 (0.607,0.305) (0.207,0.730) (0.162,0.076) 1.62 0.67 1.09
실시예3 (0.618,0.309) (0.214,0.731) (0.166,0.080) 1.65 0.63 1.04
비교예2 (0.610,0.345) (0.223,0.695) (0.161,0.090) 1.63 0.57 0.93
본 발명의 칼라 표시장치용 광선택 흡수성 조성물을 칼라 표시장치에 적용한 필터를 사용할 경우, 표시장치의 반사광 및 삼원색의 중간색에 해당하는 방출광을 차단하여 칼라 표시장치의 색순도 및 콘트라스트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음극선관(CRT)의 전형적인 발광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의 발광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트리부틸화된 서브-프탈로시아닌의 흡광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광선택 흡수성 조성물로 착색된 유리기판의 광노출 전후의 투과 스펙트럼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 및 3, 및 비교예 2의 광선택 흡수성 코팅 조성물로 착색된 유리 기판을 CRT에 장착한 후 측정한 삼원색의 색좌표와 착색 유리 기판의 장착전 삼원색의 색좌표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 및 3, 및 비교예 2의 광선택 흡수성 코팅 조성물로 착색된 유리 기판을 PDP에 장착한 후 측정한 삼원색의 색좌표와 착색 유리기판의 장착전 삼원색의 색좌표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 및 3, 및 비교예 2에서 수득된 각 착색 유리 기판의 투과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Claims (5)

  1.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알콜, 폴리카보네이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및 폴리(비닐 부티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플라스틱 수지, 및 하기 화학식 1의 서브-프탈로시아닌 화합물이 각각 유기용매에 대해 5 내지 40%, 및 전체 고형분의 0.03 내지 1%의 양으로 유기용매에 용해된, 칼라 표시장치용 광선택 흡수성 코팅 조성물:
    화학식 1
    상기식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6개를 갖는 알킬기, 알콕시 또는 알킬아민; 페닐기; 알킬페닐기; 니트로기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된 페녹시기; 니트로기; 할로겐; 또는 시아노기이고, X는 F, Cl 또는 Br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R1 내지 R4 중 최소한 하나가 탄소수 1 내지 6개의 알킬, 알킬아민 또는 알콕시, 또는 할로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2, 3 또는 4의 적외선 차단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화학식 2
    상기식에서, R'는 탄소수 1 내지 6를 갖는 알킬기이고, Y는 ClO4 -, Ab2F 6 -, BF3 -, 톨루엔설포네이트 또는 벤젠설포네이트 음이온이고;
    화학식 3
    상기식에서, M은 Ni, Pd 또는 Pt이고, R"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개를 갖는 알킬 또는 알콕시기; 할로겐 또는 알킬아민이 치환된 페닐; 또는 페닐기이고;
    화학식 4
    상기식에서, M'은 Fe, Ni, Cu, Co 또는 Pt이고, R'''은 수소; 탄소수 1 내지 10개를 갖는 알킬 또는 알콕시기; 할로겐; 또는 니트로기이고, A+는 테트라알킬암모늄 양이온(이 때 알킬기는 탄소수 1 내지 6개를 가짐)이다.
  4. 삭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이 적용된, 칼라 표시 장치용 필터.
KR10-1999-0031990A 1999-08-04 1999-08-04 서브-프탈로시아닌계 색소를 포함하는 칼라 표시장치용 광선택흡수성 코팅 조성물 및 동 조성물이 적용된 필터 KR100508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990A KR100508526B1 (ko) 1999-08-04 1999-08-04 서브-프탈로시아닌계 색소를 포함하는 칼라 표시장치용 광선택흡수성 코팅 조성물 및 동 조성물이 적용된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990A KR100508526B1 (ko) 1999-08-04 1999-08-04 서브-프탈로시아닌계 색소를 포함하는 칼라 표시장치용 광선택흡수성 코팅 조성물 및 동 조성물이 적용된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827A KR20010016827A (ko) 2001-03-05
KR100508526B1 true KR100508526B1 (ko) 2005-08-17

Family

ID=19606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1990A KR100508526B1 (ko) 1999-08-04 1999-08-04 서브-프탈로시아닌계 색소를 포함하는 칼라 표시장치용 광선택흡수성 코팅 조성물 및 동 조성물이 적용된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85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9853B1 (ko) * 2002-03-09 2006-02-06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칼라표시장치용 광선택 흡광제, 이를 포함하는 코팅제 및상기 코팅제로 제조된 필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3432A (ko) * 1988-07-25 1991-02-27 다니이 아끼오 착색된 광중합성 조성물 및 색필터
KR960032362A (ko) * 1995-02-27 1996-09-17 김광호 추기형 유기광기록 매체
JPH10120860A (ja) * 1996-10-23 1998-05-12 Sumitomo Chem Co Ltd 光選択吸収性メタクリル系樹脂組成物およびシート
JPH10157023A (ja) * 1996-11-28 1998-06-16 Asahi Chem Ind Co Ltd 積層シート
KR19980022575A (ko) * 1996-09-23 1998-07-06 김광호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
KR19980037170A (ko) * 1996-11-20 1998-08-05 이서봉 가공성이 우수한 프탈로시아닌 중합체, 이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한 중합체 조성물 및 감광성 중합체 박막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3432A (ko) * 1988-07-25 1991-02-27 다니이 아끼오 착색된 광중합성 조성물 및 색필터
KR960032362A (ko) * 1995-02-27 1996-09-17 김광호 추기형 유기광기록 매체
KR19980022575A (ko) * 1996-09-23 1998-07-06 김광호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
JPH10120860A (ja) * 1996-10-23 1998-05-12 Sumitomo Chem Co Ltd 光選択吸収性メタクリル系樹脂組成物およびシート
KR19980037170A (ko) * 1996-11-20 1998-08-05 이서봉 가공성이 우수한 프탈로시아닌 중합체, 이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한 중합체 조성물 및 감광성 중합체 박막
JPH10157023A (ja) * 1996-11-28 1998-06-16 Asahi Chem Ind Co Ltd 積層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827A (ko)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9112B2 (en) Dye combinations for image enhancement filters for color video displays
KR100682783B1 (ko) 비디오 디스플레이용 다중 대역통과 필터를 위한 염료화합물
US6824712B1 (en) Selectively light-absorptive material,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and filter manufactured using the coating composition for color displays
JP4297898B2 (ja) 近赤外線吸収および色補正層を含む画像表示装置用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用フィルタ
JPH08315754A (ja) ビデオ表示装置のカラーコントラストを増強する表面コーティングとその調製及び塗布方法
KR20030012770A (ko) 음극선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위한 높은 콘트라스트,방습 정전기 방지/반사 방지 코팅
KR100508526B1 (ko) 서브-프탈로시아닌계 색소를 포함하는 칼라 표시장치용 광선택흡수성 코팅 조성물 및 동 조성물이 적용된 필터
US20030008132A1 (en) Filter for image display device
JP2000258625A (ja) 表示装置
KR100529050B1 (ko) 칼라표시장치용 광선택 흡광제, 이를 포함하는 코팅제 및상기 코팅제로 제조된 필터
KR20010026838A (ko) 카보시아닌계 색소를 포함하는 칼라 표시장치용 광선택 흡수성 코팅 조성물 및 동 조성물이 적용된 필터
KR100507777B1 (ko) 칼라표시장치용 광선택 흡광제, 이를 포함하는 코팅제 및상기 코팅제로 제조된 필터
KR100549852B1 (ko) 칼라표시장치용 광선택 흡광제, 이를 포함하는 코팅제 및상기 코팅제로 제조된 필터
KR101374366B1 (ko) 광학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필터
KR20040110516A (ko) 내후성이 우수한 디스플레이 광학 필터의 필름형성 조성물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용 광학 필터의 제조방법
KR100549853B1 (ko) 칼라표시장치용 광선택 흡광제, 이를 포함하는 코팅제 및상기 코팅제로 제조된 필터
KR20090006378A (ko) 고색순도를 가진 근적외선 투과율 제어용 광학필름 및 이를이용한 디스플레이 필터
KR19980014730A (ko) 색순도를 개량한 음극선 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