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8226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8226B1
KR100508226B1 KR10-2001-0038358A KR20010038358A KR100508226B1 KR 100508226 B1 KR100508226 B1 KR 100508226B1 KR 20010038358 A KR20010038358 A KR 20010038358A KR 100508226 B1 KR100508226 B1 KR 100508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tain
sustain electrode
electrodes
sca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8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2326A (ko
Inventor
요시토 다나카
하지메 호마
타다시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02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2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8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82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using surface discharge panels
    • G09G3/299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using surface discharge panels using alternate lighting of surface-type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1/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 G09F11/24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advertising or display material forming part of a moving band, e.g. in the form of perforations, prints, or transparencies
    • G09F11/29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advertising or display material forming part of a moving band, e.g. in the form of perforations, prints, or transparencies of a band other than endl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using surface discharge panels
    • G09G3/298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using surface discharge panels using non-standard pixel electrode arrangements
    • G09G3/298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using surface discharge panels using non-standard pixel electrode arrangements with more than 3 electrodes involved in the ope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02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 G09G2310/0218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with collection of electrodes in groups for n-dimensional addres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09G2310/066Waveforms comprising a gently increasing or decreasing portion, e.g. ram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8Improving the black lev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Gas Discharge Display Tube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주사전극은 인접하는 디스플레이 라인 사이에서 공유된다. 유지전극이 주사전극들 사이에 2개씩 제공된다. 유지전극은 인접하는 주사전극을 가진 갭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라인을 구성한다. 유지전극은 주사전극의 일측에 배치된 복수개의 유지전극이 공통접속된 제1 유지전극군과 상기 주사전극의 타측에 배치된 복수개의 유지전극이 공통접속된 제2 유지전극군으로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구동된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구동방법{Plasma display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류(AC)방전형 매트릭스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 및 그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구동방법에 대한 제1 종래기술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두 개의 유리로 구성된 전면과 후면의 투명한 절연기판(1a 및 1b)이 제공된다.
절연기판(1a)상에는, 투명한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3)이 형성되고, 전극의 저항 값이 낮아지도록 트레이스전극(4)은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3)에 중복되게 배열된다. 또한, 제1 유전체층(9)은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3)을 피복하도록 형성되고, 산화마그네슘 등으로 구성된 보호층(10)은 방전으로부터 제1 유전체층(9)을 보호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절연기판(1b)상에는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3)에 수직하게 연장된 데이터전극(5)이 형성된다. 또한, 제2 유전체층(11)은 데이터전극(5)을 피복하도록 형성된다. 제2 유전체층(11)상에는 데이터전극(5)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격벽(7)은 표시단위인 디스플레이 셀을 구획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격벽(7)의 측면과 격벽(7)이 형성되지 않은 제2 유전체층(11)의 표면상에는, 방전가스의 방전에 의하여 발생된 자외선을 가시광으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형광체층(8)이 형성된다.
절연기판들(1a 및 1b) 사이에 끼어있고 격벽(7)에 의하여 구획된 공간은 헬륨, 네온, 크세논 등이나 그의 혼합 가스로 구성된 방전가스에 의하여 채워진 방전공간(6)이 된다.
상기 구조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면전하(100)는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3) 사이에서 발생된다.
도 2는 종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배열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하나의 디스플레이 셀(12)은 하나의 주사전극(2), 하나의 유지전극(3), 및 이들 전극에 수직한 하나의 데이터전극(5)의 교차점에 제공된다. 주사전극(2)은, 개별적으로 주사전압 펄스가 인가될 수 있도록, 도시되지 않은 주사드라이버 집적회로(IC)에 접속된다. 유지전극(3)은 공통 파형만을 인가하기 때문에, 전부가 전기적으로 패널의 끝부분 또는 구동회로에 공통접속된다.
다음, 디스플레이 셀의 선택적인 디스플레이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은 각 전극에 인가된 전압 펄스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3에 있어서, 기간 A는 용이하게 방전을 발생시키기 위한 예비방전기간이고, 기간 B는 각 디스플레이 셀에 대한 디스플레이의 on/off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동작기간이고, 기간 C는 모든 선택된 방전셀들에서 디스플레이 방전을 수행하기 위한 유지방전기간이고, 기간 D는 디스플레이 방전을 멈추기 위한 유지소거기간이다.
먼저, 예비방전기간A에는, 방전개시문턱전압을 초과하는 전압을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3) 사이에 인가할 때, 방전은 모든 디스플레이 셀(12)에서 발생되어 벽전하가 형성된다. 그 후, 무딘 펄스(dull pulse)에 의한 약방전(弱放電)을 이용하여,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3) 상에 형성된 벽전하는 중성화되어 소거된다.
다음, 선택동작기간B에는, 각 주사전극(2)에 주사펄스를 순차적으로 인가함과 동시에 이미지 데이터에 따라 데이터전극(5)에 데이터 펄스를 인가하여, 벽전하는 디스플레이를 수행할 디스플레이 셀(12)의 주사전극(2)상에만 형성된다.
그 후, 유지방전기간C에는, 모든 주사전극(2)과 모든 유지전극(3)에 서로 위상이 반전된 유지펄스들을 인가한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를 위한 방전은 선택동작기간B 동안 벽전하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셀(12)에만 발생된다.
유지소거기간D에는, 무딘 펄스에 의하여 벽전하는 중성화되어 소거됨으로써 초기 상태로 돌아온다.
실제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구동에 있어서, 전술한 예비방전기간A이나 선택동작기간B로부터 유지소거기간D까지를 하나의 서브 필드라 하고, 유지방전기간C에 있어서 펄스의 수가 변화되는 복수개의 서브 필드를 조합시켜 1개의 필드가 되고, 각 서브 필드의 on/off의 선택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의 휘도 조정을 행하고 있다. 이 때, 입력계조(入力階調)에 대한 서브 필드의 선택상태는 룩업테이블(lookup table; LUT)을 참조하여 결정된다. LUT에는 모든 입력계조에 대한 서브 필드의 선택상태가 일의적으로 기술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유지방전만을 수행하는 유지기간이 다른 기간으로부터 독립된 방식에 있어서, 유지방전기간C에 인가된 유지 펄스의 주기를 변화시킴으로써 휘도가 제어될 수 있고, 고휘도는 고주파를 공급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다음,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구동방법에 대한 제2 종래기술을 설명한다. 도 4는 주사전극이 상하의 인접한 디스플레이 셀들 사이에 공유된 전극구조를 가지는 종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배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주사전극(2)을 공유하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 셀(12)의 각 방전공간은 주사전극(2) 상에 형성된 격벽(도 4에는 미도시)에 의하여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그러한 구조를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예를 들면, 일본특허 제2629944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5는 일본특허 제2629944호에 개시된 종래 구동방법을 나타낸다. 유지 펄스의 간격에 있어서, 예비방전펄스 및 선택소거펄스는 순차적으로 주사전극Y에 인가되고, 상하의 라인들에 있는 유지전극X에 예비방전 펄스가 선택적으로 인가되어 상하의 디스플레이라인은 개별적으로 선택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셀들이 복수개의 블록으로 분할되고 복수개의 주사전극이 그 블록들에 공유된 구조를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제3종래기술)은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0-56731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소거선택을 전술한 일본특허 제2629944호와 동일한 방법으로 채택하고 있다.
제1종래기술에 나타낸 종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각 주사전극(2)은 개별적으로 선택되기 때문에, 주사전극(2)과 동일한 수(즉, 디스플레이 라인의 수)의 주사드라이버IC의 출력단자들을 필요로 한다. 한편, 주사드라이버IC에는 높은 내전압(耐電壓) 및 높은 반응속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그 가격이 높아서 비용절감을 위하여 그 사용 수량을 줄일 필요가 있다.
또한, 제2 종래기술에 나타낸 종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주사전극들(2)의 수는 디스플레이라인수에 대하여 반으로 감소되어 주사드라이버IC의 수는 반으로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일본특허 제2629944호에 개시된 구동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디스플레이 라인들 상의 모든 디스플레이 셀들을 발광시키기 위한 펄스(Vwy) 및 디스플레이 셀을 선택하기 위한 펄스(Vey)의 두 종류 펄스를 주사전극에 순차적으로 인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실제의 구동에 있어서, 도시되지 않은 각 디스플레이 라인의 방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펄스를 주사전극에 순차적으로 인가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주사드라이버IC를 포함하는 주사회로가 복잡하게 되고, 그에 의하여 주사드라이버IC의 수량을 감하는 비용과 관련된 이점을 충분히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둘째, 많은 펄스들이 디스플레이용의 일정한 펄스(유지펄스) 내에 인가되기 때문에, 유지펄스의 주기를 짧게 하는 것이 어렵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는 방전횟수에 의하여 결정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고휘도를 쉽게 얻을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된다.
셋째, 디스플레이를 행하지 않는(비선택) 디스플레이 셀에 있어서도, 수회(5회 정도)의 방전이 행해지기 때문에, 흑레벨(black level)의 휘도가 상승하여 영상의 콘트래스트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제2 및 제3 종래기술들과 같은 소거선택형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흑레벨의 휘도가 높고 화면전체의 콘트래스트가 부족하여 충분한 화질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콘트래스트를 얻을 수 있고, 휘도의 감소를 가지지 않으면서 비용이 절감되고, 순차(progressive)구동이 가능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하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된 제1 기판과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에 대향하는 상기 제1 기판의 면상에 제공되어 제1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 복수개의 주사전극; 상기 주사전극들 중에서 인접한 두 개의 주사전극들 사이에 두 개씩 제공된 복수개의 유지전극;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하는 상기 제2 기판의 면상에 제공되어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데이터전극; 상기 주사전극과 유지전극을 피복하는 유전체층;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주사전극들을 두 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한다. 상기 주사전극은 인접한 디스플레이 라인들 사이에서 공유된다. 상기 유지전극은 상기 주사전극의 일측에 위치된 상기 복수개의 유지전극들이 공통접속된 제1 유지전극군과 상기 주사전극의 타측에 위치된 복수개의 유지전극들이 공통접속된 제2 유지전극군으로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구동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주사전극이 인접하는 디스플레이 라인들 사이에서 공유되고, 복수개의 유지전극들은 주사전극의 일측에 위치된 복수개의 유지전극들이 공통접속된 제1 유지전극군과 주사전극의 타측에 위치된 복수개의 유지전극들이 공통접속된 제2 유지전극군으로 분리되어서 독립적으로 구동된다. 따라서, 주사전극들과 그의 양측에 위치된 유지전극들을 조합한 구동방법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라인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주사드라이버IC의 출력수(出力數)가 디스플레이 라인 수의 약 반으로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의하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된 제1 기판과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에 대향하는 상기 제1 기판의 면상에 제공되어 제1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 복수개의 주사전극으로서, 배열된 순서로 복수개씩 공통접속되어 주사전극군을 이루는 복수개의 주사전극; 상기 주사전극들 중에서 인접한 두 개의 주사전극들 사이에 하나씩 위치된 복수개의 유지전극으로서, 상기 주사전극군의 하나에 속하는 상기 주사전극들 사이에서 디스플레이 라인들을 형성하는 유지전극들은 다른 유지전극군에 속하도록 공통접속된 복수개의 유지전극;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하는 상기 제2 기판의 면상에 제공되어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데이터전극; 및 상기 주사전극과 상기 유지전극을 피복하는 유전체층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하나의 유지전극군과 상기 각 주사전극들 사이에서 예비방전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예비방전을 발생시킨 디스플레이 라인에서 각 디스플레이 셀의 영상데이터에 따라 선택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유지전극군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면서, 상기 예비방전을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선택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반복한다. 상기 선택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들의 최소한 하나의 단계는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셀 내에서 상기 주사전극과 상기 데이터전극 사이의 대향방전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주사전극과 상기 유지전극 상에 벽전하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의하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된 제1 기판과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에 대향하는 상기 제1 기판의 면상에 제공되어 제1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 복수개의 주사전극으로서, 인접한 디스플레이 라인들 사이에서 공유되는 복수개의 주사전극; 상기 주사전극들 중에서 인접한 두 개의 주사전극들 사이에 두 개씩 제공된 복수개의 유지전극으로서, 상기 주사전극의 일측에 위치된 상기 복수개의 유지전극들이 공통접속된 제1 유지전극군과 상기 주사전극의 타측에 위치된 복수개의 유지전극들이 공통접속된 제2 유지전극군으로 분리된 복수개의 유지전극;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하는 상기 제2 기판의 면상에 제공되어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데이터전극; 상기 주사전극과 유지전극을 피복하는 유전체층;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주사전극들을 두 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유지전극군과 상기 주사전극군 사이에서 제1 예비방전을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예비방전을 발생시킨 디스플레이 라인에서 선택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2 유지전극군과 상기 주사전극들 사이에서 제2 예비방전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예비방전을 발생시킨 디스플레이 라인에서 선택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의하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된 제1 기판과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에 대향하는 상기 제1 기판의 면상에 제공되어 제1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 복수개의 주사전극으로서, 인접한 디스플레이 라인들 사이에서 공유되는 복수개의 주사전극; 상기 주사전극들 중에서 인접한 두 개의 주사전극들 사이에 하나씩 위치된 복수개의 유지전극으로서, 인접한 디스플레이 라인들 사이에 공유되고, 기수의 상기 유지전극들이 공통접속된 제1 유지전극군과 우수의 상기 유지전극들이 공통접속된 제2 유지전극군으로 분리된 복수개의 유지전극;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하는 상기 제2 기판의 면상에 제공되어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데이터전극; 상기 주사전극과 유지전극을 피복하는 유전체층;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주사전극들을 두 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유지전극군과 상기 주사전극들 사이에서 제1 예비방전을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예비방전을 발생시킨 디스플레이 라인에서 선택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2 유지전극군과 상기 주사전극들 사이에서 제2 예비방전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예비방전을 발생시킨 디스플레이 라인에서 선택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디스플레이 라인에서 예비방전과 선택동작이 수행되고,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디스플레이 라인마다 순차적으로 예비방전과 선택동작이 수행된 다음에, 모든 디스플레이 라인에서 선택동작이 수행된 후, 디스플레이를 위한 유지방전을 수행하는 유지방전기간으로 이행된다. 따라서, 예비방전이 발생된 디스플레이 라인에서만 선택동작이 수행되기 때문에, 주사전극을 공유하는 인접한 디스플레이 라인에도 개별적으로 선택동작이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예비방전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그에 관련된 선택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들 중의 최소한 하나의 단계에 상기 주사전극 및 유지전극 상에 서로 반대극성을 가진 벽전하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주사전극과 상기 데이터전극 사이에 대향방전을 발생시켜 디스플레이를 수행하지 않는 디스플레이 셀의 벽전하를 소거하는 단계를 제공함으로써, 소거선택형(消去選擇型)의 구동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선택동작을 수행하는 유지전극군에서만 예비방전에 의하여 벽전하를 형성함으로써, 다른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디스플레이 라인에서 선택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벽전하의 소거단계 후, 벽전하가 소거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셀에서 방전을 발생시켜 벽전하의 극성을 반전시킴으로써, 필요한 벽전하가 다음의 유지전극군의 어드레스기간에 잘못 소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들 중의 최소한 하나의 단계에,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셀에서 상기 주사전극과 상기 데이터전극 사이에 대향방전을 발생시켜 상기 주사전극 및 유지전극 상에 벽전하를 형성하는 단계를 제공함으로써, 입력선택형(入力選擇型)의 구동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입력선택형의 선택동작에는, 선택동작을 수행하는 유지전극군에만 예비방전에 의하여 벽전하를 중성화시켜 소거함으로써, 다른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디스플레이 라인에서 선택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예비방전을 발생시키는 단계에, 상기 주사전극에 인가된 전압펄스와 반대극성을 가진 벽전하를 예비방전에 의하여 모든 상기 주사전극 상에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유지전극군과 상기 주사전극 사이에 소거펄스를 인가함으로써 예비방전에 의하여 벽전하를 소거하는 단계를 제공하며; 상기 제1 예비방전을 발생시키는 디스플레이 라인에서 선택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에, 상기 제1 유지전극군의 전압을 상기 주사전극들 사이의 유지방전을 발생시키는 전압으로 유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예비방전에 의하여 벽전하의 소거가 수행된 디스플레이 라인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셀 내에서 상기 주사전극과 상기 데이터전극 사이에 대향방전을 발생시킴으로써, 벽전하를 형성하는 단계를 제공하며; 상기 제2 예비방전을 발생시키는 단계에, 상기 제2 유지전극군과 상기 주사전극 사이에 소거펄스를 인가함으로써 예비방전에 의하여 벽전하를 소거하는 단계를 제공하며; 상기 제2 예비방전을 발생시킨 디스플레이 라인에서 상기 선택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에, 상기 제1 유지전극군의 전압을 상기 주사전극 사이의 유지방전을 발생시키지 않는 전압으로 유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예비방전에 의하여 벽전하의 소거가 수행되는 디스플레이 라인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셀 내에서 상기 주사전극과 상기 데이터전극 사이에 대향방전을 발생시켜 벽전하를 형성하는 단계를 제공함으로써, 입력선택형의 선택동작에 있어서, 주사전극을 공유하는 디스플레이 셀에서 제1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측이 선택되지 않고 제2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측이 선택되는 경우에 제2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유지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셀의 어드레스기간에 제1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디스플레이 셀에서도 대향방전이 발생되지만, 제1 유지전극군은 주사전극과의 사이에서 충분한 방전이 발생되지 않는 전압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주사전극 및 유지전극에는 벽전하가 발생되지 않고, 유지방전기간에서 방전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의하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된 제1 기판과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에 대향하는 상기 제1 기판의 면상에 제공되어 제1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 복수개의 주사전극으로서, 인접한 디스플레이 라인들 사이에서 공유되는 복수개의 주사전극; 상기 주사전극들 중에서 인접한 두 개의 주사전극들 사이에 두 개씩 제공된 복수개의 유지전극으로서, 상기 주사전극의 일측에 위치된 상기 복수개의 유지전극들이 공통접속된 제1 유지전극군과 상기 주사전극의 타측에 위치된 복수개의 유지전극들이 공통접속된 제2 유지전극군으로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복수개의 유지전극;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하는 상기 제2 기판의 면상에 제공되어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데이터전극; 상기 주사전극과 유지전극을 피복하는 유전체층;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주사전극들을 두 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영상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1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유지전극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에서 벽전하를 형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셀과 상기 주사전극 및 데이터전극을 공유하고 상기 제2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유지전극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에서 동일한 극성의 벽전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유지전극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에서 형성된 벽전하를 소거하는 단계; 및
영상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2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유지전극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에서 벽전하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의하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된 제1 기판과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에 대향하는 상기 제1 기판의 면상에 제공되어 제1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 복수개의 주사전극으로서, 인접한 디스플레이 라인들 사이에서 공유되는 복수개의 주사전극; 상기 주사전극들 중에서 인접한 두 개의 주사전극들 사이에 하나씩 위치된 복수개의 유지전극으로서, 인접한 디스플레이 라인들 사이에 공유되고, 기수의 상기 유지전극들이 공통접속된 제1 유지전극군과 우수의 상기 유지전극들이 공통접속된 제2 유지전극군으로 분리된 복수개의 유지전극;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하는 상기 제2 기판의 면상에 제공되어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데이터전극; 상기 주사전극과 유지전극을 피복하는 유전체층;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주사전극들을 두 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영상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1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유지전극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에서 벽전하를 형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셀과 상기 주사전극 및 데이터전극을 공유하고 상기 제2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유지전극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에서 동일한 극성의 벽전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유지전극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에서 형성된 벽전하를 소거하는 단계;
영상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2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유지전극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에서 벽전하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의하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된 제1 기판과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에 대향하는 상기 제1 기판의 면상에 제공되어 제1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 복수개의 주사전극으로서, 인접한 디스플레이 라인들 사이에서 공유되는 복수개의 주사전극; 상기 주사전극들 중에서 인접한 두 개의 주사전극들 사이에 두 개씩 제공된 복수개의 유지전극으로서, 상기 주사전극의 일측에 위치된 상기 복수개의 유지전극들이 공통접속된 제1 유지전극군과 상기 주사전극의 타측에 위치된 복수개의 유지전극들이 공통접속된 제2 유지전극군으로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복수개의 유지전극;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하는 상기 제2 기판의 면상에 제공되어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데이터전극; 상기 주사전극과 유지전극을 피복하는 유전체층;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주사전극들을 두 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유지전극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과 상기 제2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유지전극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 사이에서 극성이 다른 벽전하를 상기 주사전극 및 유지전극 상에 형성하는 단계;
영상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1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유지전극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에서 상기 벽전하를 소거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 내에 있는 상기 벽전하의 극성을 반전시키는 단계; 및
영상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2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유지전극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에서 상기 벽전하를 소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의하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된 제1 기판과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에 대향하는 상기 제1 기판의 면상에 제공되어 제1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 복수개의 주사전극으로서, 인접한 디스플레이 라인들 사이에서 공유되는 복수개의 주사전극; 상기 주사전극들 중에서 인접한 두 개의 주사전극들 사이에 하나씩 위치된 복수개의 유지전극으로서, 인접한 디스플레이 라인들 사이에 공유되고, 기수의 상기 유지전극들이 공통접속된 제1 유지전극군과 우수의 상기 유지전극들이 공통접속된 제2 유지전극군으로 분리된 복수개의 유지전극;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하는 상기 제2 기판의 면상에 제공되어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데이터전극; 상기 주사전극과 유지전극을 피복하는 유전체층;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주사전극들을 두 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유지전극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과 상기 제2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유지전극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 사이에서 극성이 다른 벽전하를 상기 주사전극 및 유지전극 상에 형성하는 단계;
영상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1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유지전극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에서 상기 벽전하를 소거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유지전극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 내에 있는 상기 벽전하의 극성을 각각 반전시키는 단계; 및
영상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2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유지전극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에서 상기 벽전하를 소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한 구동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서로 분할되어 구동되는 유지전극군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의 수가 감소된다. 그 결과, 비용의 감소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드레스단계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디스플레이 라인들 사이, 또는 상기 제1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라인과 상기 제2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군을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라인 사이에, 1화면을 구성하는 필드마다 상기 선택동작의 순서를 변경하는 단계가 제공될 수 있다. 입력선택방식에 있어서, 제1 유지전극군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셀에서만, 비선택형에서도 입력시의 대향방전이 발생된다. 대향방전의 강도 자체는 그렇게 강하지는 않지만, 제1 유지전극군에만 발생되면 패널 전체에는 디스플레이 라인 피치(pitch)의 두 배의 피치로 선형의 노이즈가 발생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필드마다 어드레스의 순서를 변경함으로써 불필요한 입력에 의한 방전을 패널 전체에서 평균화시켜 노이즈로서의 인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라인 사이, 또는 상기 제1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라인과 상기 제2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이 포함된 디스플레이 라인 사이에서, 상기 선택동작의 순서를 상기 어드레스단계마다 또는 복수회(複數回)의 어드레스단계마다 변경하는 단계가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어드레스의 순서를 고정하는 경우에는 선형의 노이즈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지만, 자연영상(natural image)에 있어서 각 서브 필드의 선택은 실질적으로 불규칙하다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서브 필드마다 어드레스의 순서를 변경함으로써, 불필요한 입력에 의한 방전을 패널 전체에 평균화하여 노이즈로서의 인식을 방지할 수 있다.
서브 필드마다 어드레스의 순서를 변경하고 필드마다 어드레스의 순서를 변경하면, 불필요한 입력에 의한 방전이 보다 일층 평균화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의하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된 제1 기판과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에 대향하는 상기 제1 기판의 면상에 제공되어 제1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 복수개의 주사전극으로서, 인접한 디스플레이 라인들 사이에서 공유되는 복수개의 주사전극; 상기 주사전극들 중에서 인접한 두 개의 주사전극들 사이에 두 개씩 제공된 복수개의 유지전극으로서, 상기 주사전극의 일측에 위치된 상기 복수개의 유지전극들이 공통접속된 제1 유지전극군과 상기 주사전극의 타측에 위치된 복수개의 유지전극들이 공통접속된 제2 유지전극군으로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복수개의 유지전극;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하는 상기 제2 기판의 면상에 제공되어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데이터전극; 상기 주사전극과 유지전극을 피복하는 유전체층;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주사전극들을 두 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주사전극 및 데이터전극을 공유하는 2개의 디스플레이 셀의 각 입력계조레벨을 고려하여 서브 필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선택된 서브 필드의 조합에 의하여 복수의 계조레벨이 표현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의하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된 제1 기판과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에 대향하는 상기 제1 기판의 면상에 제공되어 제1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 복수개의 주사전극으로서, 인접한 디스플레이 라인들 사이에서 공유되는 복수개의 주사전극; 상기 주사전극들 중에서 인접한 두 개의 주사전극들 사이에 하나씩 위치된 복수개의 유지전극으로서, 인접한 디스플레이 라인들 사이에 공유되고, 기수의 상기 유지전극들이 공통접속된 제1 유지전극군과 우수의 상기 유지전극들이 공통접속된 제2 유지전극군으로 분리된 복수개의 유지전극;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하는 상기 제2 기판의 면상에 제공되어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데이터전극; 상기 주사전극과 유지전극을 피복하는 유전체층;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주사전극들을 두 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주사전극 및 데이터전극을 공유하는 2개의 디스플레이 셀의 각 입력계조레벨을 고려하여 서브 필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선택된 서브 필드의 조합에 의하여 복수의 계조레벨이 표현된다.
서브필드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2개의 디스플레이 셀의 입력계조레벨과 상기 2개의 디스플레이 셀들의 간섭에 의한 발광량(發光量) 사이의 관계를 고려하는 단계를 포함하여도 좋다. 상기 서브 필드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2개의 디스플레이 셀들 사이의 간섭에 의한 발광량을 포함하는 출력계조레벨과 입력계조레벨의 차이가 최소화되도록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구동방법에 의하면, 서로 인접한 디스플레이 셀 사이에서 발생되는 불필요한 발광(혼선;crosstalk)이 각 디스플레이 셀에 있는 서브 필드의 선택상태에 따라서 디스플레이광의 일부로서 이용된다. 따라서, 불필요한 발광에 의하여 입력계조와 디스플레이계조(출력계조) 사이의 편차가 현저하게 억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구동방법에 의하면, 각 주사전극에 대응하는 유지전극과의 사이에서 수행되는 예비방전에 의하여 선택이 수행되는지의 가부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를 위하여 필요한 주사드라이버IC의 출력수(出力數)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유지방전기간은 모든 디스플레이 라인에서 공유되고 유지방전만이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유지방전펄스의 주파수를 높게 하여 높은 휘도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입력선택형의 단계를 이용함으로써, 흑(黑)레벨의 휘도를 충분히 작게 하여 높은 콘트래스트를 얻을 수 있다.
적어도 바람직하게는 유지전극을 포함하여 주사전극을 상하에 인접하는 디스플레이 셀들 사이에 공유시킬 수 있어서, 금속트레이스전극의 수를 감소시켜 개구율을 높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라인의 수에 대하여 실질적인 주사전극의 수, 즉, 주사드라이버IC의 출력수를 감소시킴으로써 회로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모든 필드 및 서브 필드에 있어서, 모든 디스플레이 셀에서 디스플레이의 on/off를 제어하는 구동, 즉, 완전한 진보적인 구동이 가능하다. 또한, 혼선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계조의 무질서를 작게 할 수 있다. 한편, 높은 유지주파수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디스플레이하지 않는 휘도를 작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휘도와 높은 콘트래스트를 가진 영상표시를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배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B-B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에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3)이 위치한다. 최상부와 최하부에는 유지전극(3)이 위치하며, 그의 안 쪽에는 주사전극(2)이 위치한다. 그리고, 그의 더 안 쪽에는 두 개의 유지전극(3)을 구성하는 한 쌍의 유지전극과 하나의 주사전극(2)이 교대로 위치한다. 또한,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3)에 수직하게 연장된 복수개의 데이터전극(5)이 위치된다. 그리고, 하나의 디스플레이 셀(12)이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주사전극(2) 및 유지전극(3)과 이들의 전극에 수직한 하나의 데이터전극의 교점에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주사전극(2)은 상하의 인접한 디스플레이 셀(12) 사이에 공유되며, 도시되지 않은 주사드라이버IC의 출력핀에 접속된다. 따라서, 주사드라이버IC의 출력수(出力數)는 디스플레이 라인 수의 1/2이다. 한편, 유지전극(3)은 각 주사전극(2)의 상측에 위치된 제1 유지전극군(維持電極群;103d)과 각 주사전극(2)의 하측에 위치한 제2 유지전극군(103e)으로 분할되고, 각 군(群)의 디스플레이 영역 외측에 전기적으로 공통접속된다.
제1 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전면과 후면에는 유리로 구성된 두 개 절연기판(1a 및 1b)이 제공된다.
절연기판(1a) 상에는, 투명한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3)이 형성되고, 이들 전극의 저항 값을 낮추기 위하여 트레이스전극(4)이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3)에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 유전체층(9)은 주사전극(2), 유지전극(3) 및 트레이스전극(4)을 피복하도록 형성되고, 방전으로부터 제1 유전체층(9)을 보호하기 위하여 산화마그네슘 등으로 구성된 보호층(10)이 형성된다.
절연기판(1b)상에는,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3)에 수직하게 연장된 데이터전극(5)이 형성된다. 또한, 제2 유전체층(11)은 데이터전극(5)을 피복하도록 형성된다. 제2 유전체층(11)상에는, 데이터전극(5)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격벽(7)은 표시단위인 디스플레이 셀마다 주사전극(2)을 구획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격벽(7)의 측면과 격벽(7)이 형성되지 않은 제2 유전체층(11)의 표면상에는, 방전가스의 방전에 의하여 발생된 자외선을 가시광으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형광체층(8)이 형성된다.
절연기판들(1a 및 1b) 사이에 끼어있고 격벽(7)에 의하여 구획된 공간은 헬륨, 네온, 크세논 등이나 그의 혼합 가스로 구성된 방전가스에 의하여 채워진 방전공간(6)이 된다. 또한, 모든 표시단위마다 방전공간(6)을 분리하고 동시에 방전공간(6)을 확보하기 위하여 데이터전극(5)에 평행한 방향으로 격벽이 형성된다.
다음, 전술한 구조의 제1 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동작, 즉, 그의 구동방법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이밍 차트이다. 또한, 도 9는 도 6의 B-B선에 대한 단면상의 디스플레이 셀 내에 있는 벽전하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9(a) 내지 9(d)가 도 8의 기간A 내지 D의 종료 시점에서 벽전하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제1 예비방전기간A에는, 음극성의 톱니파형을 가진 예비방전펄스(Vpc1)가 유지전극군(103d)에 인가되고, 반대극성의 동일한 위상을 가진 예비방전펄스(Vps1)가 주사전극(2)에 인가된다. 이때, 예비방전펄스(Vpc1 및 Vps1)에 의하여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3) 사이에 얻어진 전위차는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3) 사이의 방전개시전압 보다 높도록 설정된다. 또한, 주사전극(2)의 전압파형과 동일한 전압파형을 가진 펄스가 유지전극군(103e)에 인가된다.
제1 예비방전기간A에 그러한 펄스들을 인가함으로써, 유지전극군(103d)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d)에는, 예비방전펄스(Vpc1 및 Vps1)를 인가하는 동안 방전개시전압을 초과하는 시점부터 주사전극(2)을 양극으로 하는 방전이 발생된다. 따라서,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의 벽전하가 주사전극(2) 상에 형성되고, 양의 벽전하가 유지전극(3) 상에 형성된다. 한편, 유지전극군(103e)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e)에는 전위차가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러한 방전이 발생되지 않는다.
다음, 제1 선택동작기간B에는, 주사전극(2)에 주사펄스(Vw)를 인가한다. 이 때, 주사펄스(Vw)의 전압은, 예비방전에 의하여 벽전하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셀(12) 내에서도 방전이 단독으로 발생되지 않는 정도의 전압으로 설정된다. 또한, 데이터전극(5)에 대해서는, 영상데이터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행하지 않는 off디스플레이 셀에만 주사펄스(Vw)에 동기된 데이터펄스(Vd)를 인가한다. 여기서, 데이터펄스(Vd) 및 주사펄스(Vw) 사이의 전위차는, 그의 전위차 단독으로는 주사전극(2)과 데이터전극(5) 사이의 방전개시전압을 넘지 못하지만 주사전극(2) 상에 형성된 음의 벽전하가 중첩된 경우에만 방전개시전압을 넘도록 설정된다. 이 때문에, 디스플레이 셀(12d) 중에서 데이터펄스(Vd)가 인가된 디스플레이 셀에는 주사펄스(Vw) 및 데이터펄스(Vd)에 의하여 주사전극(2)과 데이터전극(5) 사이에 방전이 발생되고, 이 방전을 트리거로 사용하여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3) 사이에도 방전이 발생한다. 여기서, 각 주사펄스(Vw)의 인가시간은, 예를 들면, 1.5㎲정도로 짧게 설정된다. 이 때문에,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3) 사이에 방전이 발생되어도, 반대극성의 벽전하가 형성되기 전에 방전이 종료해 버린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셀(12d) 중에서 데이터펄스(Vd)가 인가된 디스플레이 셀에서는 예비방전기간A 동안에 형성된 벽전하가 소거된다. 한편, 데이터펄스(Vd)가 인가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셀에는 방전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벽전하에 변화가 없다. 그 후, 주사전극(2)에 제1 유지방전펄스(Vs11)를 인가한다. 그 결과, 도 9(b)에 나타낸 것처럼, 벽전하가 소멸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셀, 즉, on의 디스플레이 셀에서만 방전이 발생되고, 동시에 주사전극(2) 및 유지전극(3) 상에 반대극성의 벽전하가 형성된다. 도 9(b)는 디스플레이 셀(12d)이 on인 경우를 나타낸다. 한편, 유지전극군(103e)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e)에는, 제1 예비방전기간A 동안 주사전극(2) 상에 벽전하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어떤 방전도 발생되지 않는다.
다음, 제2 예비방전기간C에는, 음극성의 톱니파형을 가진 예비방전펄스(Vpc2)가 유지전극군(103e)에 인가되고, 반대극성의 동일한 위상을 가진 예비방전펄스(Vps2)가 주사전극(2)에 인가된다. 또한, 주사전극(2)과 동일한 전압 파형을 가진 펄스가 유지전극군(103d)에 인가된다. 따라서, 유지전극군(103e)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e)에서 방전이 발생되고, 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의 벽전하는 주사전극(2)상에 형성되고, 양의 벽전하는 유지전극(3) 상에 형성된다. 한편, 유지전극군(103d)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d)에는 전위차가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방전이 발생되지 않는다.
다음, 제2 선택동작기간D에는, 제1 선택동작기간B와 동일한 방법으로, 음의 주사펄스(Vw)가 주사전극(2)에 순차로 인가되고, 유지전극군(103e)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e)의 영상데이터에 따라 데이터전극(5)에 양의 데이터펄스(Vd)가 인가된다. 그러므로, 벽전하는 off의 디스플레이 셀(12e)에서만 소거될 수 있다. 그 후, 제2 유지방전펄스(Vs2)가 주사전극(2)에 인가된다. 그 결과, 방전은 벽전하가 사라지지 않은 디스플레이 셀, 즉, on 디스플레이 셀에서만 발생되고, 그와 동시에, 도 9(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대극성의 벽전하가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3) 상에 형성된다. 도 9(d)는 디스플레이 셀(12d)이 on인 경우를 나타낸다. 이때, 유지전극군(103d)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d)의 주사전극(2) 상에는, on의 상태로 선택된 경우 양의 벽전하가 형성되고, off의 상태로 선택된 경우 벽전하는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2 선택동작기간에는, 유지전극군(103d)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d)에서 어떤 방전도 발생되지 않는다.
그 후, 유지방전기간E에는, 모든 주사전극들(2)과 유지전극들(3)에 서로 반전된 극성을 가진 유지방전펄스들(Vs)을 인가한다. 그 결과, 방전이 발생되고, 벽전하가 선택동작기간 B 및 D에서 소거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셀(12)에서만 디스플레이를 위한 발광이 일어난다.
다음, 유지소거기간F에는, 무딘 파형을 가진 유지소거펄스(Ve)를 주사전극(2)에 인가함으로써 벽전하가 소거되고, 그와 동시에, 방전이 정지되고 다음의 서브 필드로 이행된다.
전술한 동작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에 대한 on/off의 제어는 하나의 서브 필드 내에서 모든 디스플레이 셀(12)에 대하여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에 필요한 주사드라이버IC의 출력수(出力數)는 디스플레이 라인수의 1/2이 된다. 한편, 유지방전기간은 모든 디스플레이 라인들에 공유되어 유지방전만이 수행되기 때문에, 유지방전펄스의 주파수를 증가시켜 높은 휘도를 쉽게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주사전극에 순차적으로 인가된 전압 펄스는 한 종류이기 때문에, 주사회로가 복잡해지는 경우가 없다.
또한,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주사전극은 상하의 인접한 디스플레이 셀들에 공유되기 때문에 금속 트레이스전극들의 수는 감소될 수 있다. 금속 트레이스전극은 투명하지 않아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개구율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휘도의 저하를 초래하지만, 트레이스전극의 수는 감소될 뿐만 아니라 발광의 세기가 낮은 디스플레이 셀들 사이에 위치되기 때문에 개구율이 높다. 그리고, 전극이 공유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도, 대응하는 유지전극에 의하여 선택동작은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절연기판(1a) 상에서 보호층(10)에 부착된 격벽(7)은 인접한 디스플레이 셀들 사이에 공유된 주사전극(2)을 표시단위 셀로 분리하기 위한 구조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방전공간이 완전히 분리될 필요가 없고, 방전이 인접한 디스플레이 셀들 사이에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른 구조도 적당히 사용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배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C-C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3)이 교대로 위치한다. 또한,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3)에 수직하게 연장된 복수개의 데이터전극(5)이 위치된다. 그리고, 하나의 디스플레이 셀(12)은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주사전극(2) 및 유지전극(3)과 이들의 전극에 수직한 하나의 데이터전극의 교점에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주사전극(2)은 상하의 인접한 디스플레이 셀들(12) 사이에 공유되며, 도시되지 않은 주사드라이버IC의 출력핀에 접속된다. 따라서, 주사드라이버IC의 출력수(出力數)는 디스플레이 라인 수의 1/2이다. 또한, 유지전극(3)은 수직방향으로 인접한 디스플레이 셀들(12) 사이에 공유되고, 위 부분으로부터 기수의 유지전극군(維持電極群;103f)과 우수의 유지전극군(103g)으로 분할되고, 각 군(群)의 디스플레이 영역 외측에 전기적으로 공통접속된다.
또한, 제2 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전면과 후면에는 유리로 구성된 두 개 절연기판(1a 및 1b)이 제공된다.
절연기판(1b)상에는,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3)에 수직하게 연장된 데이터전극(5)이 형성된다. 제2유전체층(11)이 데이터전극들(5)을 덮도록 형성된다. 유전체층(11)상에는, 데이터전극(5)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격벽(7)은 표시단위인 디스플레이 셀을 구획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격벽(7)의 측면과 격벽(7)이 형성되지 않은 유전체층(11)의 표면상에는, 방전가스의 방전에 의하여 발생된 자외선을 가시광으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형광체층(8)이 형성된다.
절연기판들(1a 및 1b) 사이에 끼어있고 격벽(7)에 의하여 구획된 공간은 헬륨, 네온, 크세논 등이나 그 혼합가스로 구성된 방전가스에 의하여 채워진 방전공간(6)이 된다. 또한, 모든 표시단위마다 방전공간(6)을 분리하고 동시에 방전공간(6)을 확보하기 위하여 데이터전극(5)에 평행한 방향으로 격벽이 형성된다.
다음, 전술한 구조의 제2 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동작, 즉, 그의 구동방법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이다. 또한, 도 13은 도 10의 C-C선에 대한 단면상의 디스플레이 셀 내에 있는 벽전하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3(a) 내지 13(d)는 도 12의 기간A 내지 D의 종료 시점에서 벽전하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제1 예비방전기간A에는, 음극성의 톱니파형을 가진 예비방전펄스(Vpc)가 유지전극군(103f)에 인가되고, 반대극성의 동일한 위상을 가진 예비방전펄스(Vps)가 주사전극(2)에 인가된다. 이때, 예비방전펄스(Vpc 및 Vps)에 의하여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3) 사이에 얻어진 전위차는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3) 사이의 방전개시전압 보다 높도록 설정된다. 또한, 주사전극(2)과 동일한 전압 파형을 가진 펄스가 유지전극군(103g)에 인가된다.
제1 예비방전기간A에 그러한 펄스드을 인가함으로써, 유지전극군(103f)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f1 및 12f2)에는, 예비방전펄스(Vpc 및 Vps)를 인가하는 동안 방전개시전압을 초과하는 시점부터 주사전극(2)을 양극으로 하는 방전이 발생된다. 따라서,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의 벽전하가 주사전극(2) 상에 형성되고, 양의 벽전하가 유지전극(3) 상에 형성된다. 한편, 유지전극군(103g)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g)에는 전위차가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전이 발생되지 않는다.
다음, 제1 선택동작기간B에는, 주사전극(2)에 주사펄스(Vw)를 인가하고, 데이터전극(5)에는 영상데이터에 따라 데이터펄스(Vd)를 인가한다. 그 결과,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벽전하는 디스플레이 셀(12f1 및 12f2) 중에서 데이터펄스(Vd)가 인가된 off의 디스플레이 셀(12f1)에서만 사라진다. 그 후, 제1 유지전극군(103f)에 제1 유지방전펄스(Vs11)를 인가한다. 그 결과,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전하가 소멸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셀, 즉, on의 디스플레이 셀(12f2)에서만 방전이 발생되고, 동시에, 주사전극(2) 및 유지전극(3) 상에 반대극성의 벽전하가 형성된다. 도 13(b)는 디스플레이 셀(12f1)이 off이고 디스플레이 셀(12f2)이 on인 상태를 나타낸다.
다음, 마찬가지로, 제2 예비방전기간C와 제2 선택동작기간D에는, 유지전극군(103g)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g)에서만 선택동작이 수행되어 벽전하는 디스플레이 셀(12g) 중에서 on의 디스플레이 셀에서만 형성된다. 도 13(d)는 디스플레이 셀(12g)이 on인 상태를 나타낸다. 이 때,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유지전극군(103f)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f1 및 12f2)에는 변화가 없고, 이전 단계에서 형성된 벽전하는 그대로 유지된다.
그 후, 유지방전기간E에는, 모든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3)에 서로 반전된 극성을 가진 유지방전펄스(Vs)를 인가한다. 그 결과, 방전이 발생되고, 벽전하가 선택동작기간 B 및 D에서 소거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셀(12)에서만 디스플레이를 위한 발광이 일어난다.
다음, 유지소거기간F에는, 무딘 파형을 가진 유지소거펄스(Ve)를 주사전극(2)에 인가함으로써 벽전하가 소거되고, 그와 동시에, 방전이 정지되고 다음의 서브 필드로 이행된다.
전술한 동작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에 대한 on/off의 제어는 하나의 서브 필드 내에서 모든 디스플레이 셀(12)에 대하여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에 필요한 주사드라이버IC의 출력수(出力數)는 디스플레이 라인수의 1/2이 된다. 한편, 유지방전기간은 모든 디스플레이 라인드에 공유되어 유지방전만이 수행되기 때문에, 유지방전펄스의 주파수를 증가시켜 높은 휘도를 쉽게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주사전극에 순차적으로 인가된 전압 펄스는 한 종류이기 때문에, 주사회로가 복잡해지는 경우가 없다.
또한,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주사전극과 유지전극은 수직방향으로 인접한 디스플레이 셀에 공유되기 때문에 금속 트레이스전극의 수는 감소될 수 있다. 금속 트레이스전극은 투명하지 않아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개구율이 감소되기 때문에 휘도의 저하를 초래하지만, 트레이스전극의 수는 감소될 뿐만 아니라 발광의 세기가 낮은 디스플레이 셀들 사이에 위치되기 때문에 개구율이 높다. 그리고, 전극이 공유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도, 대응하는 유지전극에 의하여 선택동작은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성은 제2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그의 구동방법은 다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이다.
이 구동방법에 있어서, 제1 선택동작기간B의 끝에서 유지전극군(103f)에 인가된 제1 유지방전펄스(Vs11)가 제2 예비방전기간C까지 연장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2에 나타낸 제2 실시예와 동일한 동작이 수행된다.
그러한 제3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예비방전기간C에는, 주사전극(2)에 인가된 예비방전펄스(Vps)와 동일한 극성을 가진 전압이 유지전극군(103f)에 인가되어 유지전극군(103f)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에서 방전이 발생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제3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실시예와 동일한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그 결과, 제2 예비방전기간에 있어서 예비방전펄스가 생략되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기용량성분에 의한 무효의 전하와 충방전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제4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구성은 제2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그의 구동방법은 다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이다.
이 구동방법에 있어서, 제2 선택동작기간D의 끝에서 유지전극군(103g)에 인가된 제1 유지방전펄스(Vs12)가 하강할 때까지 제1 선택동작기간B의 끝에서 유지전극군(103f)에 인가된 제1 유지방전펄스(Vs11)가 연장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2에 나타낸 제2 실시예와 동일한 동작이 수행된다.
그러한 제4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예비방전기간C에는, 주사전극(2)에 인가된 예비방전펄스(Vps)와 동일한 극성을 가진 전압이 유지전극군(103f)에 인가되어 이 기간동안 유지전극군(103f)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에서 방전이 발생하는 경우는 없다. 또한, 제2 선택동작기간D에는, 비록 제1 유지방전펄스(Vs11)가 유지전극군(103f)에 인가되지만, 주사펄스(Vw)와 제1 유지방전펄스(Vs11) 사이의 전위차는 방전개시전압보다 낮기 때문에 이 기간동안 유지전극군(103f)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에서 방전이 발생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제4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실시예와 동일한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그 결과, 제2 예비방전기간에 있어서 예비방전펄스가 생략되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기용량성분에 의한 무효의 전하와 충방전 전류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제5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그의 구동방법은 다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이다. 또한, 도 17은 도 6의 B-B선에 대한 단면상의 디스플레이 셀 내에 있는 벽전하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7(a) 내지 17(d)는 도 16의 기간A 내지 D가 끝나는 시간에서 벽전하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제1 예비방전기간A의 제1 기간A1에는, 양의 톱니파형을 가진 예비방전펄스(Vpc)가 유지전극군들(103d 및 103e)에 인가되고, 동시에 음의 구형파형(rectangular waveform)을 가진 예비방전펄스(Vps)가 주사전극(2)에 인가된다. 그것에 의하여, 주사전극(2)을 음극으로 하여 방전이 발생된 후, 도 17(a)의 a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의 벽전하가 각 주사전극(2) 상에 형성되고, 음의 벽전하가 각 유지전극(3) 상에 형성된다.
다음, 제1 예비방전기간A의 제2 기간A2에는, 음의 톱니파형을 가진 예비방전소거펄스(Vpe1)가 유지전극군(103d)에 인가된다. 한편, 주사전극(2) 및 유지전극군(103e)에는 펄스를 인가하지 않고 서로 동일한 전위로 고정된다. 그 결과, 비록 약방전이 유지전극군(103e)과 주사전극(2) 사이에서 발생되지만, 결과적으로 얻어진 전위차는 낮아 새로운 벽전하가 발생되지 않는다. 도 17(a)의 a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전극군(103d)에 속하는 유지전극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d1 및 12d2)에는, 방전이 예비방전펄스(Vps 및 Vpc)에 의하여 형성된 벽전하가 소멸되는 것만으로 방전은 종료된다.
다음, 제1 선택동작기간B에는, 주사전극(2)에 음의 주사펄스(Vw)를 순차적으로 인가하고, 유지전극군(103d)에 속하는 유지전극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d1 및 12d2)의 영상데이터에 따라 양의 데이터펄스(Vd)는 데이터전극(5)에 인가된다. 한편, 양의 보조주사펄스(Vsw)가 유지전극군(103d)에 인가된다.
그러므로, 주사펄스(Vw)와 데이터펄스(Vd)는 영상데이터가 on인 디스플레이 셀(12d1)에 인가되어 주사전극(2)과 데이터전극(5) 사이에 방전이 발생된다. 또한, 그 방전을 트리거로 하여 거의 동시에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3) 사이에 주사전극(2)을 음극으로 하는 방전이 발생된다. 그리고, 주사펄스(Vw)와 보조주사펄스(Vsw) 사이의 전위차에 의하여 주사전극(2)상에는 양전하가 형성되고, 강한 음의 벽전하가 유지전극(3)상에 형성된다.
한편, 영상데이터가 off인 디스플레이 셀(12d2)에 데이터펄스가 인가되지 않기 때문에, 어떤 방전도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유지전극군(103e)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e1 및 12e2)에는, 양의 벽전하가 제1 예비방전기간A 동안 주사전극(2)상에 형성되기 때문에 주사펄스(Vw)에 의한 전위차는 보상된다. 따라서, 데이터펄스(Vd)가 인가되는 경우에도 주사전극(2)과 데이터전극(5) 사이에 방전이 발생되는 경우가 없다.
그 결과, 도 1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전극군(103d)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갖고 영상데이터가 on인 디스플레이 셀(12d1)에서만 양의 벽전하가 주사전극(2)상에 형성되고 음의 벽전하가 유지전극(3)상에 형성된다. 도 17(b)는 디스플레이 셀(12d1)이 on이고 디스플레이 셀(12d2)이 off인 경우를 나타낸다.
다음, 제2 예비방전기간C에는, 예비방전펄스(Vpe2)가 유지전극군(103e)에 인가된다. 이 때, 유지전극군(103d)과 주사전극(2)에는 펄스가 인가되지 않고 서로 동일한 전위를 유지한다. 그러므로, 도 1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전극군(103e)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e1 및 12e2)에는, 제1 예비방전기간A에 형성된 벽전하가 사라진다.
다음, 제2 선택동작기간D에는, 음의 주사펄스(Vw)가 주사전극(2)에 순차적으로 인가되고, 유지전극군(103e)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e1 및 12e2)의 영상데이터에 따라 데이터전극(5)에 양의 데이터펄스(Vd)가 인가된다. 한편, 양의 보조주사펄스(Vsw)가 유지전극군(103e)에 인가되고, 음의 주사소거펄스(Vwe)가 유지전극군(103d)에 인가된다. 그러므로, 제1 선택동작기간B와 동일한 방법으로, 도 17(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상데이터가 on인 디스플레이 셀(12e2)에서만 양의 벽전하가 주사전극(2)상에 형성되고 음의 벽전하가 유지전극(3)상에 형성된다. 도 17(d)는 디스플레이 셀(12e1)이 off이고 디스플레이 셀(12e2)이 on인 경우를 나타낸다.
다음, 제2 선택동작기간D동안 유지전극군(103d)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d1 및 12d2)의 동작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셀 중에서 영상데이터가 on인 디스플레이 셀(12d1)에는, 제1 선택동작기간A 동안에 양의 벽전하가 주사전극(2)상에 형성되기 때문에, 주사펄스(Vw)에 의한 전위차는 보상되어 방전이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영상데이터가 off인 디스플레이 셀(12d2)에서는 벽전하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펄스(Vd)가 인가된 경우 주사전극(2)과 데이터전극(5)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그 때, 도 17(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사소거펄스(Vwe)가 유지전극군(103d)에 인가되기 때문에, 강한 방전이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3) 사이에서 발생되지 않아 충분한 벽전하가 형성되지 않는다.
그 후, 유지방전기간E에는,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3)에 서로 반전된 극성을 가진 유지방전펄스(Vs)가 인가된다. 그 결과, 방전이 발생되고, 벽전하가 선택동작기간 B 및 D에서 형성된 디스플레이 셀(12)에서만 디스플레이를 위한 발광이 일어난다.
다음, 유지소거기간F에는, 무딘 파형을 가진 유지소거펄스(Ve)를 주사전극(2)에 인가함으로써 벽전하가 소거되고, 그와 동시에, 방전이 정지되고 다음의 서브 필드로 이행된다.
전술한 동작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에 대한 on/off의 제어는 하나의 서브 필드 내에서 모든 디스플레이 셀(12)에 대하여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제5 실시예에 의하면, 어드레스(address)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디스플레이 셀의 발광이 감소되어 콘트래스트가 개선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유지전극군(103e)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의 영상데이터가 off인 경우, 예비방전펄스(Vps 및 Vpc)와 예비방전소거펄스(Vpe)가 인가될 때에만 방전이 발생된다. 한편, 유지전극군(103d)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에는, 예비방전펄스(Vps 및 Vpc)와 예비방전소거펄스(Vpe)가 인가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주사펄스(Vw)와 데이터펄스(Vd)에 의한 대향방전도 제2 선택동작기간에 발생된다. 비록, 대향방전이 그렇게 강하지는 않지만, 본 실시예에서처럼 하나의 디스플레이 라인마다 유지전극군이 변화하는 경우에 주사방향의 해상도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기수의 필드와 우수의 필드 사이에 유지전극군(103d 및 103e)의 어드레스 순서를 변경하여도 좋다. 도 18은 제5 실시예에 있어서 기수의 필드와 우수의 필드 사이의 유지전극군(103d 및 103e)의 어드레스 순서를 변경하는 구동방법을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전극군(103d 및 103e)의 어드레스 순서를 변경함으로써 휘도는 평균화되어 우수한 디스플레이가 얻어질 수 있다.
또한, 각 필드를 변경할 때, 깜빡임이 적기는 하지만 검출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서브 필드마다 유지전극군(103d 및 103e)의 어드레스 순서가 변경되어도 좋다. 도 19는 제5 실시예에 있어서 서브 필드마다 유지전극군(103d 및 103e)의 어드레스 순서를 변경하는 구동방법을 설명하는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 필드마다 유지전극군(103d 및 103e)의 어드레스 순서를 변경함으로써 휘도는 평균화되어 우수한 디스플레이가 얻어질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제6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그의 구동방법은 다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이다. 또한, 도 21은 도 6의 B-B선에 대한 단면상의 디스플레이 셀 내에 있는 벽전하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21(a) 내지 21(d)는 도 20의 기간A 내지 D가 끝나는 시간에서 벽전하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제1 예비방전기간A의 제1 기간A1에는, 양극성의 톱니파형을 가진 예비방전펄스(Vpc)가 유지전극군(103d 및 103e)에 인가되고, 동시에 음극성의 구형파형(rectangular waveform)을 가진 예비방전펄스(Vps)가 주사전극(2)에 인가된다. 그러므로, 주사전극(2)을 음극으로 하여 방전이 발생된 후, 도 21(a)의 a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의 벽전하가 각 주사전극(2) 상에 형성되고, 음의 벽전하가 각 유지전극(3) 상에 형성된다.
다음, 제1 예비방전기간A의 제2 기간A2에는, 음의 톱니파형을 가진 예비방전소거펄스(Vpe1)가 유지전극군(103d)에 인가된다. 한편, 주사전극(2) 및 유지전극군(103e)에는 펄스를 인가하지 않고 서로 동일한 전위로 고정된다. 그 결과, 비록 약방전이 유지전극군(103d)과 주사전극(2) 사이에서 발생되지만, 결과적으로 얻어진 전위차는 낮아 새로운 벽전하가 형성되지 않는다. 도 21(a)의 a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전극군(103d)에 속하는 유지전극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d1 및 12d2)에는, 방전이 예비방전펄스(Vps 및 Vpc)에 의하여 형성된 벽전하가 소멸되는 것만으로 방전은 종료된다.
다음, 제1 선택동작기간B에는, 주사전극(2)에 음의 주사펄스(Vw1)를 순차적으로 인가하고, 유지전극군(103d)에 속하는 유지전극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d1 및 12d2)의 영상데이터에 따라 양의 데이터펄스(Vd1)는 데이터전극(5)에 인가된다. 한편, 양의 보조주사펄스(Vsw)가 유지전극군(103d)에 인가된다.
그러므로, 주사펄스(Vw1)와 데이터펄스(Vd1)는 영상데이터가 on인 디스플레이 셀(12d1)에 인가되어 주사전극(2)과 데이터전극(5) 사이에 방전이 발생된다. 또한, 그 방전을 트리거로 하여 거의 동시에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3) 사이에 주사전극(2)을 음극으로 하는 방전이 발생된다. 그리고, 주사펄스(Vw1)와 보조주사펄스(Vsw) 사이의 전위차에 의하여 주사전극(2)상에는 양전하가 형성되고, 강한 음의 벽전하가 유지전극(3)상에 형성된다.
한편, 영상데이터가 off인 디스플레이 셀(12d2)에 데이터펄스가 인가되지 않기 때문에, 어떤 방전도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유지전극군(103e)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e1 및 12e2)에는, 양의 벽전하가 제1 예비방전기간A 동안 주사전극(2)상에 형성되기 때문에 주사펄스(Vw1)에 의한 전위차는 보상된다. 따라서, 데이터펄스(Vd1)가 인가되는 경우에도 주사전극(2)과 데이터전극(5) 사이에 방전이 발생되는 경우가 없다.
그 결과, 도 2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전극군(103d)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갖고 영상데이터가 on인 디스플레이 셀(12d1)에서만 양의 벽전하가 주사전극(2)상에 형성되고 음의 벽전하가 유지전극(3)상에 형성된다. 도 21(b)는 디스플레이 셀(12d1)이 on이고 디스플레이 셀(12d2)이 off인 경우를 나타낸다.
다음, 제2 예비방전기간C에는, 음의 예비방전펄스(Vp2)가 유지전극군(103e)에 인가된다. 이 때, 유지전극군(103d)과 주사전극(2)에는 펄스가 인가되지 않고 서로 동일한 전위를 유지한다. 그러므로, 유지전극군(103e)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e1 및 12e2)에서 방전이 발생된다. 그리고, 도 21(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예비방전기간A에 형성된 벽전하는 반전되고, 음의 벽전하가 주사전극(2)상에 형성되고, 양의 벽전하가 유지전극(3)상에 형성된다.
다음, 제2 선택동작기간D에는, 음의 제2 주사펄스(Vw2)가 주사전극(2)에 순차적으로 인가되고, 유지전극군(103e)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e1 및 12e2)의 영상데이터에 따라 데이터전극(5)에 양의 제2 데이터펄스(Vd2)가 인가된다. 이 때, 벽전하가 주사전극(2) 상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2 주사펄스(Vw2)와 제2 데이터펄스(Vd2)의 전압 크기는 방전이 발생되지 않는 전압으로 설정되지만, 제2 예비방전기간C에 형성된 음의 벽전하가 주사전극(2)상에 존재하는 경우에 대향방전은 발생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제2 주사펄스(Vw2)의 펄스폭은 충분히 짧게, 예를 들면, 1.5㎲로 설정된다. 따라서, 대향방전에 연이어 발생하는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3) 사이의 면방전(面放電)에 의하여,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3) 상의 벽전하는 반전되는 경우가 없고 벽전하는 소멸해버린다.
따라서, 영상데이터가 off인 디스플레이 셀(12e1)에 제2 데이터펄스(Vd2)를 인가하여 off의 디스플레이 셀(12e1)에서만 벽전하가 사라질 수 있다. 이 때, 유지전극군(103d)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d1 및 12d2)의 주사전극(2)상에는, 선택이 on상태(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셀(12d1))에 있다면 양의 벽전하가 형성되고, 선택이 off상태(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셀(12d2))에 있다면 벽전하가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2 선택동작기간D에는 어떤 방전도 발생되지 않는다.
그 후, 유지방전기간E에는,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3)에 서로 반전된 극성을 가진 유지방전펄스(Vs)가 인가된다. 그 결과, 벽전하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셀(12)에는 방전이 발생되고, 디스플레이를 위한 발광이 일어난다. 또한, 유지방전기간E의 최초 유지방전펄스(Vs1)가 인가된 때에 주사전극은 양극이 된다. 이것은, 도 21(a)의 a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선택동작기간D가 종료될 때까지, 유지전극군(103d)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셀(12d1)과 유지전극군(103e)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셀(12d2) 사이에서 벽전하의 극성은 반전되고, 제2 예비방전기간C에 있어서 유지전극군(103e)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에서 이미 한번 발생되었기 때문이다. 즉, 양쪽의 디스플레이 셀들 사이에서 방전횟수를 일치시키기 위하여, 유지방전기간E에 있어서 최초 방전은 유지전극군(103d)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에서 발생되도록 제1 유지방전펄스(Vs1)의 극성이 결정된다.
유지방전이 종료된 후, 유지소거기간F에는, 무딘 파형을 가진 유지소거펄스(Ve)를 주사전극(2)에 인가함으로써 벽전하가 소거되고, 그와 동시에, 방전이 정지되고 다음의 서브 필드로 이행된다.
전술한 동작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에 대한 on/off의 제어는 하나의 서브 필드 내에서 모든 디스플레이 셀(12)에 대하여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제6 실시예에 의하면, 어드레스(address)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디스플레이 셀의 발광이 감소되어 콘트래스트가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발광의 회수는 유지전극군(103d 및 103e)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각 디스플레이 셀(12) 사이에서 일치하지 않는다. 영상데이터가 on인 경우, 유지전극군(103d)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에는 예비방전소거펄스(Vpe)와 제1 주사펄스(Vw1)에 의한 발광이 있지만, 유지전극군(103e)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에는 그와 같은 방전이 없다. 또한, 영상데이터가 off인 경우, 유지전극군(103d)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에는 예비방전소거펄스(Vpe)에 의한 약한 발광이 있다. 한편, 유지전극군(103e)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에는 그와 같은 발광이 없는 반면, 예비방전펄스(Vp2)와 제2 주사펄스(Vw2)에 의한 발광이 있다. 따라서, 발광의 휘도는 모든 디스플레이 라인에서 변하여 해상도와 같은 화질이 저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5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필드마다 또는 서브 필드마다 어드레스의 순서를 변경하여 휘도를 평균화시킴으로써 화질의 저하를 피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구동방법에 이용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배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7 실시예에 있어서,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3)이 교대로 위치한다. 또한,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3)에 수직하게 연장된 복수개의 데이터전극(5)이 위치된다. 그리고, 하나의 디스플레이 셀(12)이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주사전극(2) 및 유지전극(3)과 이들의 전극에 수직한 하나의 데이터전극의 교점에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주사전극(2)은 3개마다 전기적으로 공통접속되고, 공통접속점은 도시되지 않은 주사드라이버IC의 출력핀에 접속된다. 따라서, 주사드라이버IC의 출력수(出力數)는 디스플레이 라인 수의 1/3이 된다. 또한, 유지전극(3)은 2개씩 걸러서 디스플레이영역의 외측에 전기적으로 공통접속되어, 3개의 유지전극군(103a 내지 103c)이 구성된다.
다음, 전술한 구조의 제7 실시예에 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동작, 즉, 그의 구동방법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이다. 또한, 도 24는 도 22의 A-A선에 대한 단면상의 디스플레이 셀 내에 있는 벽전하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24(a) 내지 24(f)는 도 23의 기간A 내지 F가 끝나는 시간에서 벽전하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제1 예비방전기간A에는, 양극성의 톱니파형을 가진 제1 예비방전펄스(Vpc)가 유지전극군(103a 내지 103c)에 인가되고, 음극성의 구형파형(rectangular waveform)을 가진 예비방전펄스(Vps)가 주사전극(2)에 인가된다. 따라서, 주사전극(2)을 음극으로 하여 방전이 발생되고, 음의 벽전하가 각 유지전극(3)상에 형성된다. 다음, 음의 톱니파형을 가진 예비방전소거펄스(Vpe)가 유지전극군(103a)에 인가된다. 한편,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군(103b 및 103c)에는 펄스가 인가되지 않고 서로 동일한 전위로 고정된다. 그 결과, 유지전극군(103a)과 주사전극(2) 사이에 약방전이 발생되지만, 결과적으로 얻어진 전위차는 낮기 때문에, 새로운 벽전하가 형성되지 않고, 도 2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전극군(103a)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a)에는 벽전하가 소멸된다. 유지전극군(103b 또는 103c)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각 디스플레이 셀(12b 및 12c)에는 변화가 없다.
다음, 제1 선택동작기간B에는, 유지전극군(103a)에 양의 보조주사펄스(Vsw)를 인가하고, 각 주사전극(2)에 음의 주사펄스(Vw1)를 순차적으로 인가한다. 펄스(Vw1)의 전압은 예비방전에 의하여 벽전하가 소거되는 디스플레이 셀(12a)에서도 단독으로 방전이 발생되지 않는 전압으로 설정된다. 또한, 데이터전극(5)에 대해서는, 영상데이터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on의 디스플레이 셀에만 주사펄스(Vw)에 동기된 데이터펄스(Vd1)를 인가한다. 양의 벽전하가 주사전극(2)상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셀(12b 및 12c)과 같은 디스플레이 셀들에 있어서 데이터펄스(Vd1)와 주사펄스(Vw1) 사이의 전위차는 주사전극(2)과 데이터전극(5) 사이의 방전개시전압을 초과하지 않고 주사전극(2)상에 벽전하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만 방전개시전압을 초과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데이터펄스(Vd1)가 인가된 디스플레이 셀(12a)에는, 주사펄스(Vw1)와 데이터펄스(Vd1)를 인가함으로써, 주사전극(2)과 데이터전극(5)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되고, 이 방전을 트리거로 이용하여 주사전극(2)을 음극으로 하는 방전이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3) 사이에 발생된다. 그리고, 도 2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사펄스(Vw1)와 보조주사펄스(Vsw) 사이의 전위차에 의하여, 양의 벽전하가 주사전극(2)상에 형성되고 강한 음의 벽전하가 유지전극(3)상에 형성된다. 그 후, 최초 유지펄스(Vs111)가 유지전극군(103a)에 인가되고, 다시 제2 유지펄스(Vs112)가 주사전극(2)에 인가된다.
한편, 영상데이터가 off인 디스플레이 셀(12a)에는 데이터펄스가 인가되지 않기 때문에 어떤 방전도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유지전극군(103b 및 103c)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b 및 12c)에는, 제1 예비방전기간A에 양의 벽전하가 주사전극(2)상에 형성되어 주사펄스(Vw1)에 의한 전위차는 보상된다. 따라서, 주사전극(2)과 데이터전극(5) 사이에서는 데이터펄스(Vd1)가 인가되는 경우에도 방전이 발생되는 경우가 없다. 또한, 상기 전위차는 제2 유지펄스(Vs112)에 있어서도 보상되기 때문에, 방전이 발생되는 경우가 없다.
그 결과, 영상데이터가 on인 디스플레이 셀(12a)에는, 도 2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진 벽전하가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3)상에 각각 형성된다. 도 24(b)는 디스플레이 셀(12a)이 on인 경우를 나타낸다.
다음, 제2 예비방전기간C에는, 음의 예비방전펄스(Vp21)가 유지전극군(103b)에 인가된다. 이 때, 유지전극군(103a 및 103c)과 주사전극(2)에는 펄스가 인가되지 않고 서로 동일한 전위로 유지된다. 그러므로, 유지전극군(103b)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b)에는 방전이 발생된다. 그리고, 도 2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예비방전기간A에 형성된 벽전하는 반전되고, 음의 벽전하가 주사전극(2)상에 형성되고, 양의 벽전하가 유지전극(3)상에 형성된다. 한편, 유지전극군(103a 또는 103c)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a 및 12c)에는 이전의 상태가 유지된다.
다음, 제2 선택동작기간D에는, 음의 제2 주사펄스(Vw2)가 주사전극(2)에 순차적으로 인가되고, 양의 제2 데이터펄스(Vd2)는 유지전극군(103b)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b)의 영상데이터에 따라 데이터전극(5)에 인가된다. 이 때, 제2 주사펄스(Vw2)와 제2 데이터펄스(Vd2)의 전압 크기는 벽전하가 주사전극(2)상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나 양의 벽전하가 존재하는 경우에 방전이 발생되지 않지만, 제2 예비방전기간C에 형성된 음의 벽전하가 존재하는 경우에 대향방전이 발생하는 것과 같은 전압으로 설정된다. 또한, 제2 주사펄스(Vw2)의 펄스폭은 충분히 짧도록, 예를 들면, 1.5㎲로 설정된다. 따라서, 대향방전 후에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3) 사이에 발생된 면방전에 의하여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3)상의 벽전하는 반전되고 벽전하가 소멸되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영상데이터가 off인 디스플레이 셀(12b)에 제2 데이터펄스(Vd2)를 인가함으로써 off인 디스플레이 셀(12b)에만 벽전하가 소멸될 수 있다. 이 때, 유지전극군(103a)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a)의 주사전극(2)상에는, 선택이 on인 상태인 경우 양의 벽전하가 형성되고, 선택이 off인 상태인 경우 벽전하가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유지전극군(103c)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c)의 주사전극(2)상에는, 양의 벽전하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2 선택동작기간에는, 어떤 방전도 이런 유지전극군들(103a 및 103c) 내에서 발생되지 않는다.
모든 주사전극(2)에 순차적으로 주사펄스(Vw2)가 인가된 후, 제1 유지방전펄스(Vs12)를 주사전극(2)에 인가함으로써, 유지전극군(103b)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on의 디스플레이 셀 내에서 유지방전이 발생된다. 그러므로, 반전된 극성을 가진 벽전하가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3) 상에 형성된다. 도 24(d)는 디스플레이 셀(12b)이 off인 경우를 설명한다.
제3 예비방전기간E 및 제3 선택동작기간F에는, 제2 예비방전기간C 및 제2 선택동작기간D와 마찬가지로, 도 24(e) 및 도 24(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전극군(103c)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c)에만 선택동작이 수행된다. 따라서, 유지전극군(103a 또는 103b)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a 및 12b)에는 변화가 없다. 도 24(f)는 디스플레이 셀(12c)인 on인 경우를 나타낸다.
그 후, 유지방전기간G에는, 모든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3)에 서로 반전된 극성을 가진 유지방전펄스(Vs)를 인가하여, 벽전하가 선택동작기간 B, D 및 F에서 소거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셀(12)에서만 방전이 발생된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를 위한 발광이 얻어진다. 또한, 유지방전기간G의 최초 유지방전펄스(Vs13)를 인가할 때, 주사전극(2)은 음극이 된다. 이것은, 유지전극군(103c)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c)에는 제3 예비방전기간E에서 방전이 한번만 발생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유지전극군(103a)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a)에는, 제1 유지방전펄스(Vs111)와 제2 유지방전펄스(Vs112)를 인가함으로써 두 번의 방전이 발생된다. 유지전극군(103b)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b)에는, 예비방전펄스(Vp21)와 제1 유지방전펄스(Vs12)를 인가함으로써 두 번의 방전이 발생된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 셀들(12a 내지 12c) 사이에서 방전의 회수를 일치시키기 위하여, 유지방전기간G에 있어서 유지전극군(103c)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c)에서 최초의 방전이 발생되도록 제1 유지방전펄스(Vs13)의 극성이 결정된다.
유지소거기간H에는, 톱니파형을 가진 유지소거펄스(Ve)를 주사전극(2)에 인가함으로써 벽전하가 소거되고, 그와 동시에, 방전이 정지되고 다음의 서브 필드로 이행된다.
전술한 동작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에 대한 on/off의 제어는 하나의 서브 필드 내에서 모든 디스플레이 셀(12)에 대하여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에 필요한 주사드라이버IC의 출력수(出力數)는 디스플레이 라인수의 1/3이 된다. 한편, 유지방전기간은 모든 디스플레이 라인과 공유되어 유지방전만이 수행되기 때문에, 유지방전펄스의 주파수를 증가시켜 높은 휘도를 쉽게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주사전극에 순차적으로 인가된 전압 펄스는 한 종류이기 때문에, 주사회로가 복잡해지는 경우가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발광의 회수는 유지전극군(103a 내지 103c)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각 디스플레이 셀들(12a 내지 12c) 사이에서 각각 일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발광의 휘도는 디스플레이 라인마다 변하게 되어 해상도와 같은 화질이 저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5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필드마다 또는 서브 필드마다 어드레스의 순서를 변경함으로써 휘도는 평균화되어 화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제8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8 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성은 제1 실시예의 동일하지만, 그의 구동방법이 다르다. 제8 실시예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제1 및 제2의 선택동작기간 사이에 제2 예비방전기간C가 제공되지 않고, 그 대신에 조정기간G가 제공된다. 조정기간G는 제1 내지 제3 기간(G1 내지 G3)으로 구성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또한, 도 26은 도 6의 B-B선에 대한 단면상에서 디스플레이 셀 내의 벽전하의 상태를 나타내며, 도 26(a) 내지 26(d)는, 도 25에 있는 기간 B, G1, G3 및 D가 종료되는 시점에서의 벽전하의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주사전극(2) 및 유지전극(3)을 구성하는 면전극(面電極)의 기준전위를 유지기간에서 방전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전압(Vsus)으로 한다. 따라서, 주사전극(2) 및 유지전극(3)에 있어서는, 유지전압(Vsus)보다 높은 전위를 양의 전위로 표현하고, 유지전압(Vsus)보다 낮은 전위를 음의 전위로 표현한다. 또한, 데이터전극(5)의 전위는 0V를 기준으로 한다.
먼저, 예비방전기간A에서, 주사전극(2)에 톱니파형의 예비방전펄스(Vps)를 인가함과 동시에, 유지전극군(103d 및 103e)에 구형파인 음의 예비방전펄스(Vpc)를 인가한다. 그러므로, 주사전극(2)을 양극으로 하는 방전이 발생하고, 각 주사전극(2) 상에 음의 벽전하가 형성되고, 각 유지전극(3) 상에 양의 벽전하가 형성된다. 이어서, 주사전극(2)에 톱니파형을 가진 음의 예비방전소거펄스(Vpe)를 인가한다. 한편, 유지전극군(103d) 및 유지전극군(103e)에는 펄스를 인가하지 않고 유지전압(Vsus)으로 고정된다. 그 결과, 유지전극군(103d 및 103e)과 주사전극(2) 사이에 약한 방전이 발생하지만, 그 결과로 도달하는 전위차는 낮기 때문에, 새로운 벽전하는 형성되지 않고, 모든 디스플레이 셀(12)에서, 예비방전펄스(Vps 및 Vpc)에 의하여 형성된 벽전하가 소멸되는 것만으로 방전이 종료된다.
다음, 제1 선택동작기간B에서, 주사전극(2)에 음의 주사펄스(Vw)를 순차적으로 인가하고, 데이터전극(5)에는 유지전극군(103d)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d1 및 12d2)의 영상데이터에 따라 양의 데이터펄스(Vd)를 인가한다. 유지전극군(103d 및 103e)의 전위는 유지전압(Vsus)으로 고정된다.
그러므로, 영상데이터가 on인 디스플레이 셀(12d1)에 주사펄스(Vw) 및 데이터펄스(Vd)를 인가하여, 주사전극(2)과 데이터전극(5) 사이에 방전을 발생시킨다. 또한, 이 방전을 트리거로 하여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3) 사이에서 주사전극(2)을 음극으로 하는 방전이 발생된다. 그리고, 주사펄스(Vw)와 유지전압(Vsus) 사이의 전위차에 의하여 주사전극(2) 상에 양의 벽전하가 형성되고, 유지전극(3) 상에 강한 음의 벽전하가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셀(12d1)과 주사전극(2)을 공유하는 디스플레이 셀(12e1)에 있어서, 동일한 방전이 발생되고, 주사전극(2) 상에 양의 벽전하가 형성되고, 유지전극(3) 상에 음의 벽전하가 형성된다.
한편, 영상데이터가 off인 디스플레이 셀(12d2)에는 데이터펄스가 인가되지 않기 때문에, 어떤 방전도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디스플레이 셀(12d2)과 주사전극(2)을 공유하는 디스플레이 셀(12e2)에서도 방전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 결과, 도 2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전극군(103d)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지며 영상데이터가 on인 디스플레이 셀(12d1), 및 디스플레이 셀(12d1)과 주사전극(2)을 공유하는 디스플레이 셀(12e1)에서만 주사전극(2) 상에 양의 벽전하가 형성되고, 유지전극(3) 상에 음의 벽전하가 형성된다. 도 26(a)는 디스플레이 셀(12d1)이 on이고, 디스플레이 셀(12d2)이 off인 경우를 나타낸다.
다음, 조정기간G의 제1 기간G1에서, 유지전극군(103d 및 103e)에 제1 전하반전펄스(Vr1)를 인가한다. 이 때, 주사전극(2)에는 펄스가 인가되지 않아 유지전압(Vsus)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도 26(b)에 표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셀(12d1 및 12e1)에는 제1 선택동작기간B에 형성된 벽전하의 극성이 반전된다.
또한, 조정기간G의 제2 기간G2에서, 주사전극(2)에 음극으로 된 톱니파형인 중간소거펄스(Vie)를 인가한다. 이 때, 제1 기간G1부터 제1 전하반전펄스(Vr1)를 유지전극군(103d)에 연속적으로 인가한다. 한편, 유지전극군(103e)의 전위는 유지전압(Vsus)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유지전극군(103e)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지며 제1 선택동작기간B에서 방전이 발생되는 디스플레이 셀(12e1)에서만,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3) 사이에서 약한 방전이 발생한다. 그 결과, 제1 전하반전펄스(Vr1)의 인가에 의하여 주사전극(2) 및 유지전극(3) 상에 형성된 벽전하가 소거된다.
다음, 조정기간G의 제3 기간G3에서, 주사전극(2)에 제2 전하반전펄스(Vr2)를 인가한다. 이 때, 유지전극군(103d 및 103e)의 전위는 유지전압(Vsus)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도 2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전극군(103d)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지며 제1 선택동작기간B에서 방전이 발생되는 디스플레이 셀(12d1)에서만, 방전이 발생하고, 주사전극(2) 및 유지전극(3) 상의 벽전하의 극성이 반전된다.
그 후, 제2 선택동작기간D에서, 주사전극(2)에 음의 주사펄스(Vw)를 순차적으로 인가하고, 데이터전극(5)에는 유지전극군(103e)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e1 및 12e2)의 영상데이터에 따라 양의 데이터펄스(Vd)를 인가한다. 유지전극군(103e)의 전위는 유지전압(Vsus)으로 고정되고, 유지전극군(103d)에는 음의 주사소거펄스(Vwe)를 인가한다. 따라서, 도 26(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상데이터가 on인 디스플레이 셀(12e2)에서만, 주사전극(2) 상에 양의 벽전하가 형성되고, 유지전극(3) 상에 음의 벽전하가 형성된다. 도 26(d)는 디스플레이 셀(12e1)이 off이고 디스플레이 셀(12e2)이 on인 경우를 나타낸다.
다음, 제2 선택주사기간D 동안 유지전극군(103d)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d1 및 12d2)의 동작을 설명한다.
영상데이터가 on인 디스플레이 셀(12d1)에는, 제3 기간G3에서 주사전극(2) 상에 양의 벽전하가 형성되기 때문에, 주사펄스(Vw)에 의한 전위차가 보상되어 방전은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영상데이터가 off인 디스플레이 셀(12d2)에는, 벽전하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펄스(Vd)가 인가되는 경우 주사전극(2)과 데이터전극(5) 사이에 방전이 발생한다. 그러나, 이 때, 유지전극군(103d)에 주사소거펄스(Vwe)가 인가되기 때문에,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3) 사이에 강한 방전이 발생되지 않으며, 도 26(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방전에 의한 충분한 벽전하가 형성되지 않는다.
그 후, 유지방전기간E에서,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3)에 서로 극성이 반전된 유지방전펄스(Vs)를 인가한다. 그 결과, 선택주사기간B 및 D중에 강한 벽전하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셀(12)에서만, 방전이 발생하고, 디스플레이를 위한 발광을 얻을 수 있다.
다음, 유지소거기간F에서, 감쇠 파형을 가진 유지소거펄스(Ve)를 주사전극(2)에 인가함으로써, 벽전하를 소거함과 동시에 방전을 정지시키고, 다음의 서브 필드로 이행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하여, 1개의 서브 필드 내에서 모든 디스플레이 셀(12)에 대한 디스플레이의 on/off를 제어가 가능하다.
제8 실시예에 의하면, 톱니파형의 펄스를 발생시키는 회로는 주사전극(2)측에서만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5 실시예와 같이, 유지전극군(103d 및 103e)에 개별적으로 톱니파형의 펄스를 발생시키는 회로가 필요가 없다. 그 결과, 구동회로의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다음, 본 실시예의 입력계조에 대한 서브 필드의 선택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서브 필드의 수는 예를 들면 10이고, 디스플레이 계조 레벨의 수는 예를 들면 256이다. 각 서브 필드의 휘도의 가중치(weighting)를 표1 에 나타낸다. 가중치의 수치값은, 제1 선택동작기간B에 선택된 셀의 디스플레이 휘도에서 조정기간G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뺀 값이다. 또한, 각 서브 필드 중에서 제일 작은 휘도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서브 필드(SF1)에는, 조정기간G 및 제2 선택동작기간D가 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선택동작기간B 직후의 기간은 서브 필드(SF1)의 유지기간E이다. 또한, SF2 내지 SF10의 서브 필드마다, 유지전극군(103d)에 인가된 파형과 유지전극군(103e)에 인가된 파형을 교환한 후, 선택동작의 순서를 변경한다. 또한, SF2 내지 SF10에는, 필드마다 인가되는 파형을 변경한다. 또한, 각 서브 필드의 가중치의 총합은 255로 되지 않는다. 이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혼선발광에 의하여 휘도가 변화되는 것을 고려하기 때문이다.
도 27은 제8 실시예에 따른 입력계조와 서브 필드 선택의 관계를 나타내는 LUT의 일부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27에서, 좌단의 제목부는 유지전극군(103d)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d)에 대한 입력계조레벨을 나타내며, 상단의 제목부는 유지전극군(103e)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e)에 대한 입력계조레벨을 나타낸다. 또한, 각 부분의 윗 열은 디스플레이 셀(12d)의 서브 필드선택상태를 나타내고, 아래의 열은 디스플레이 셀(12e)의 서브 필드선택상태를 나타낸다. '0'은 비선택을 나타내고, '1'은 선택을 나타낸다. 각 열에는, 10개의 숫자가 기재되어 있고, 우단의 숫자는 SF1에서 선택/비선택을 나타내고, 좌단의 숫자는 SF10에서 선택/비선택을 나타낸다.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디스플레이(12)의 입력계조레벨에 대한 서브 필드의 선택은 주사전극들(2) 중의 하나를 공유하는 2개의 디스플레이 셀(12d 및 12e)의 양 입력계조레벨에 의하여 일의적으로 결정된다.
삭제
다음, LUT의 내용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8 실시예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유지전극군(103e)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e)에는, 그의 영상데이터가 off이지만, 주사전극(2)을 공유하는 디스플레이 셀(12d)이 on인 경우 제1 선택동작기간B, 제1 기간G1 및 제2 기간G2에서 방전이 발생한다.
또한, 유지전극군(103d)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d)에는, 그의 영상데이터가 off이지만, 제2 선택동작기간D에서 대향방전이 발생한다. 이런 방전은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불필요한 발광(혼선)을 초래한다. 그리고, 유지전극군(103d)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d) 및 유지전극군(103e)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e)의 모두가 on으로 되는 경우, 조정기간G에 있는 방전형태의 차이 및 제2 선택주사기간D에 있는 방전의 유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휘도의 차이가 발생한다. 즉, 디스플레이 셀(12d)에서 동일한 SF의 선택을 수행하여도, 디스플레이 셀(12e)의 선택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셀(12d)의 출력휘도가 변화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있는 LUT의 내용은, 주사전극(2)을 공유하는 2개의 디스플레이 셀(12)의 입력계조의 각 조합에 있어서, 출력레벨의 차이가 제일 작은 서브 필드 선택의 조합을 구함으로써 결정된다.
도 28은 디스플레이 셀(12d)의 입력계조가 127이고, 디스플레이 셀(12e)의 입력계조가 100 내지 150으로 변화된 경우 디스플레이 셀(12d)의 출력레벨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9는 디스플레이 셀(12d)의 입력계조가 127이고, 디스플레이 셀(12e)의 입력계조가 100 내지 150으로 변화된 경우 디스플레이 셀(12e)의 출력레벨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 중의 실선은 제8 실시예에서 LUT를 이용한 경우의 변화를 나타내고, 파선은 종래의 LUT를 이용한 경우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28 및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8 실시예의 서브 필드 선택법을 채용함으로써, 입력계조레벨과 출력휘도레벨 사이의 편차는 1계조레벨 이하로 억제된다. 따라서, 계조레벨의 역전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구동방법과 서브 필드의 선택방법을 조합함으로써, 높은 개구율을 가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개선된 구동이 자연스러운 계조표시를 유지하면서 이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5 실시예에 있어서도, 작지만 혼선이 발생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 나타낸 서브 필드 선택방법을 채용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계조표현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9 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그의 구동방법은 다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또한, 도 31은 도 6의 B-B선에 대한 단면상의 디스플레이 셀 내에 있는 벽전하의 상태를 나타내며, 도 31(a) 내지 31(c)는 도 30의 각 기간B1, D1 및 D3가 종료되는 시점에서 벽전하의 상태를 순서대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3)을 구성하는 면전하의 기준전위를 유지기간E에서 방전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전압(Vsus)으로 한다. 따라서, 주사전극(2) 및 유지전극(3)에 대하여, 유지전압(Vsus) 보다 높은 전위를 양의 전위로 표현하고, 유지전압(Vsus)보다 낮은 전위를 음의 전위로 표현한다. 또한, 데이터전극(5)의 전위는 0V를 기준으로 한다.
먼저, 예비방전기간A에서, 주사전극(2)에 톱니파형의 제1 예비방전펄스(Vps1)를 인가함과 동시에, 유지전극군(103d 및 103e)에 음의 구형파의 제1 예비방전펄스(Vpc)를 인가한다. 따라서, 주사전극(2)을 양극으로 하는 방전이 발생하고, 각 주사전극(2) 상에 음의 벽전하가 형성되고, 각 유지전극(3) 상에 양의 벽전하가 형성된다. 다음, 주사전극(2)에 음의 제2 예비방전펄스(Vps2)를 인가한다. 한편, 유지전극군(103d 및 103e)에는 펄스를 인가하지 않고 유지전압(Vsus)으로 고정된다. 그 결과, 방전에 의하여 유지전극(3) 및 주사전극(2) 상에 벽전하의 극성이 반전하고, 주사전극(2)상에는 양의 벽전하가 발생되고, 유지전극(3) 상에 음의 벽전하가 발생된다.
다음, 제1 선택동작기간B의 제1 기간B1에서, 유지전극군(103d)에 음극성의 제1 전하반전펄스(Vr1)를 인가한다. 이 때, 주사전극(2) 및 유지전극군(103e)에는 펄스를 인가하지 않고 유지전압(Vsus)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도 3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전극군(103d)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d)에서만 방전이 발생한다. 그 결과, 주사전극(2) 및 유지전극(3) 상의 벽전하의 극성이 반전되고, 주사전극(2) 상에 음의 벽전하가 형성되고, 유지전극(3) 사에 양의 벽전하가 형성된다.
그 후, 제2 기간B2에서, 주사전극(2)에 음의 주사펄스(Vw)를 순차적으로 인가하고, 데이터전극(5)에는 유지전극군(103d)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d1 및 12d2)의 영상데이터에 따라 양의 데이터펄스(Vd)를 인가한다. 한편, 유지전극군(103d)에는 주사소거펄스(Vwe)를 인가하고, 유지전극군(103e)의 전위는 유지전압(Vsus)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영상데이터가 off인 디스플레이 셀(12d1)에 주사펄스(Vw) 및 데이터펄스(Vd)가 인가되어, 주사전극(2)과 데이터전극(5)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된다. 또한, 이 방전을 트리거로 하여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3) 사이에서 주사전극(2)을 음극으로 하는 방전이 발생된다. 주사펄스(Vw)의 인가시간은, 예를 들면, 1.5㎲정도로 짧게 설정된다. 또한, 유지전극군(103d)에는 주사소거펄스(Vwe)가 인가되고,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3) 사이의 전위차는 작기 때문에,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3) 사이에서 발생된 방전에 의하여 새로운 벽전하가 형성되는 경우가 없다. 한편, 영상데이터가 on인 디스플레이 셀(12d2)에는 데이터펄스(Vd)가 인가되지 않기 때문에, 방전이 발생되지 않고, 벽전하가 유지된다. 또한, 유지전극군(103e)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e)에는 주사전극(2) 상에 양의 벽전하가 형성되어 주사펄스(Vw)에 의한 전압이 보상된다. 따라서, 데이터펄스(Vd)가 인가된 경우에도 방전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 후, 제3 기간B3에서 유지전극군(103e)에 제2 전하반전펄스(Vr2)를 인가한다. 이 때, 주사전극(2) 및 유지전극군(103d)의 전위는 유지전압(Vsus)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유지전극군(103e)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e)에서 방전이 발생하고, 주사전극(2) 및 유지전극(3) 상에 있는 벽전하의 극성이 반전된다. 그 결과, 주사전극(2) 상에 음의 벽전하가 형성되고, 유지전극(3) 상에 양의 벽전하가 형성된다.
다음, 제2 선택동작기간D의 제1 기간D1에서 주사전극(2)에 음극성의 제3 전하반전펄스(Vr3)를 인가한다. 이 때, 유지전극군(103d)에는 펄스를 인가하지 않고, 유지전압(Vsus)으로 고정된다. 유지전극군(103e)에는, 제3 기간B부터 제2 반전펄스(Vr2)를 연속적으로 인가한다. 따라서, 도 3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전극군(103d)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d) 중에서 제1 선택동작기간B 동안 방전이 발생하지 않은 디스플레이 셀(12d2)에서만 방전이 발생하고, 주사전극(2) 및 유지전극(3) 상에 벽전하의 극성이 반전한다. 그 결과, 주사전극(2) 상에 양의 벽전하가 형성되고, 유지전극(3) 상에 음의 벽전하가 형성된다. 도 31(b)는 디스플레이 셀(12d1)이 off로 선택되고, 디스플레이 셀(12d2)이 on으로 선택된 경우를 나타낸다.
다음, 제2 선택주사기간D에서, 주사전극(2)에 음의 주사펄스(Vw)를 순차적으로 인가하고, 데이터전극(5)에는 유지전극군(103e)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d1 및 12d2)의 영상데이터에 따라 양의 데이터펄스(Vd)를 인가한다. 한편, 유지전극군(103e)에는 주사소거펄스(Vwe)를 인가하고, 유지전극군(103d)의 전위는 유지전압(Vsus)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영상데이터가 off이며 데이터펄스(Vd)가 인가된 디스플레이 셀(12e2)에서만 방전이 발생하고 벽전하가 소거된다.
그 후, 제3 기간D3에서, 주사전극(2)에 제4 전하반전펄스(Vr4)를 인가한다. 이 때, 유지전극군(103d 및 103e)의 전위는 모두 유지전압(Vsus)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유지전극군(103e)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e) 중에서 제2 기간D2 동안 방전이 발생하지 않은 디스플레이 셀(12e1)에서만 방전이 발생한다. 그 결과, 주사전극(2) 및 유지전극(3) 상에 벽전하의 극성이 반전되고, 주사전극(2) 상에 양의 벽전하가 형성되고, 유지전극(3) 상에 음의 벽전하가 형성된다. 이 때, 유지전극군(103d)에 속하는 유지전극(3)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12d)에는 제4 전하반전펄스(Vr4)의 극성이 제3 전하반전펄스(Vr3)와 같기 때문에, 방전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러한 공정에 의하여, 도 3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모든 디스플레이 셀(12)에는 주사전극(2) 상에 양의 벽전하가 형성되고, 유지전극(3) 상에 음의 벽전하가 형성된다. 도 31(c)에는, 디스플레이 셀(12e1)이 on으로 선택되고, 디스플레이 셀(12e2)이 off로 선택된 경우를 나타낸다.
그 후, 유지방전기간E에서 주사전극(2)과 유지전극(3)에 서로 극성이 반전된 유지방전펄스(Vs)를 인가한다. 그 결과, 선택동작기간B 및 D 동안 벽전하가 소거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셀(12)에서만 방전이 발생하고 디스플레이를 위한 발광이 얻어진다. 유지기간E는 주사전극(2)을 음극으로 하는 방전에 의하여 종료되고, 다음의 서브 필드에 있는 제1 선택동작기간B'으로 이어진다.
유지방전은 최종의 서브 필드에서만 주사전극(2)을 양극으로 하는 방전에 의하여 종료된다. 그 후, 유지소거기간(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하여, 감쇠 파형을 가진 유지소거펄스(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주사전극(2)에 인가함으로써, 벽전하를 소거됨과 동시에, 방전이 정지되고 다음의 필드로 이행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인접하는 디스플레이 셀(12)을 주사전극(2)에 공유시킴으로써, 높은 개구율을 얻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 셀에 대한 개선된 구동을 이용할 수 있게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구동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셀(12)에 대하여 벽전하를 형성하는 예비방전기간A는 각 필드의 선두에 위치하는 서브 필드에서만 제공된다. 따라서, 어드레스방전은 모든 디스플레이 셀(12)에서 어느 한 서브 필드 동안 한번만 수행되고, 이후의 서브 필드에서는 모두 비선택상태로 된다. 따라서, 표현될 수 있는 휘도레벨은 선두부터 서브 필드의 각 휘도를 순차적으로 더한 값으로 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계조 레벨의 수는 서브 필드의 수에 1을 더한 값으로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은 전극의 배열의 조합예 및 구동방법을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배열의 조합 및 구동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그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8 또는 제9 실시예를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구조를 가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된 도면 및 도면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개시되어 있지만, 본 명세서의 설명은 설명을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또한, 당해 기술에 숙련된 사람들은 본 발명의 범위와 사상을 일탈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경, 부가 및 치환이 가능하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 및 그와 동등한 것에 제한되고, 전술한 변경, 부가 및 치환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높은 콘트래스트를 얻을 수 있고, 휘도의 감소를 가지지 않으면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개선된 구동이 가능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구동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2는 종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전극배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각 전극에 인가된 전압 펄스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4는 인접한 디스플레이 셀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주사전극이 공유된 전극구조를 가진 종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전극배열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일본특허 제2629944호에 개시된 종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전극배열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6의 B-B선에 대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9(a) 내지 9(d)는 도 6의 B-B선에 대한 단면상에서 디스플레이 셀 내의 벽전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전극배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도 10의 C-C선에 대한 단면도;
도 1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13(a) 내지 13(d)는 도 10의 C-C선에 대한 단면상에서 디스플레이 셀 내의 벽전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15는 제4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16은 제5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17(a) 내지 17(d)는 도 10의 C-C선에 대한 단면상에서 디스플레이 셀 내의 벽전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제5 실시예에 있어서, 기수 필드와 우수 필드 사이에 유지전극군(103d 및 103e)의 어드레스 순서를 변경하는 구동방법을 나타낸 타이밍 차트;
도 19는 제5 실시예에 있어서, 매 서브 필드마다 유지전극군(103d 및 103e)의 어드레스 순서를 변경하는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20은 제6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21(a) 내지 21(d)는 도 10의 C-C선에 대한 단면상에서 디스플레이 셀 내의 벽전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구동방법에 사용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의 전극배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제7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및
도 24(a) 내지 24(f)는 도 22의 A-A선에 대한 단면상에서 디스플레이 셀 내의 벽전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26은 도 6의 B-B선 대한 단면상에서 디스플레이 셀 내의 벽전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7은 제8 실시예에 의한 입력계조(入力階調)와 서브 필드 선택의 관계를 나타내는 LUT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8은 디스플레이 셀(12d)의 입력계조레벨이 127로 고정되고 디스플레이 셀(12e)의 입력계조레벨이 100 내지 150으로 변하는 경우의 디스플레이 셀(12d)의 출력레벨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9는 디스플레이 셀(12d)의 입력계조레벨이 127로 고정되고 디스플레이 셀(12e)의 입력계조레벨이 100 내지 150으로 변하는 경우의 디스플레이 셀(12e)의 출력레벨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0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및
도 31은 도 6의 B-B선 대한 단면상에서 디스플레이 셀 내의 벽전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기판
2:주사전극
3:유지전극
4:트레이스전극
5:데이터전극
6:방전공간
7:격벽
8:형광체층
9:제1 유전체층
10:보호층
11:제2 유전체층
12:디스플레이 셀

Claims (61)

  1.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된 제1 기판과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에 대향하는 상기 제1 기판의 면상에 제공되어 제1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복수개의 주사전극으로서, 인접한 디스플레이 라인들 사이에서 공유되는 상기 복수개의 주사전극;
    상기 주사전극들 중에서 인접한 두 개의 주사전극들 사이에 두 개씩 위치된 복수개의 유지전극으로서, 상기 주사전극의 일측에 위치된 상기 복수개의 유지전극들이 공통접속된 제1 유지전극군과 상기 주사전극의 타측에 위치된 복수개의 유지전극들이 공통접속된 제2 유지전극군으로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상기 복수개의 유지전극;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하는 상기 제2 기판의 면상에 제공되어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데이터전극;
    상기 주사전극들과 상기 유지전극들을 피복하는 유전체층; 및
    상기 주사전극들을 상기 제2 방향으로 두 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삭제
  3.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된 제1 기판과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에 대향하는 상기 제1 기판의 면상에 제공되어 제1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복수개의 주사전극으로서, 인접한 디스플레이 라인들 사이에서 공유되는 상기 복수개의 주사전극; 상기 주사전극들 중에서 인접한 두 개의 주사전극들 사이에 두 개씩 위치된 복수개의 유지전극으로서, 상기 주사전극의 일측에 위치된 상기 복수개의 유지전극들이 공통접속된 제1 유지전극군과 상기 주사전극의 타측에 위치된 복수개의 유지전극들이 공통접속된 제2 유지전극군으로 분리되는 상기 복수개의 유지전극;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하는 상기 제2 기판의 면상에 제공되어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데이터전극; 상기 주사전극들과 상기 유지전극들을 피복하는 유전체층; 및 상기 주사전극들을 상기 제2 방향으로 두 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전극군과 상기 주사전극들 사이에서 제1 예비방전을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예비방전을 발생시킨 디스플레이 라인에서 선택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2 유지전극군과 상기 주사전극들 사이에서 제2 예비방전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예비방전을 발생시킨 디스플레이 라인에서 선택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방전을 발생시키는 상기 단계들 중 최소한 하나의 단계는, 상기 주사전극 및 상기 유지전극 상에 서로 반대극성을 가진 벽전하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벽전하를 형성하는 상기 단계 직후에 선택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주사전극과 상기 데이터전극 사이에 대향방전을 발생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를 수행하지 않는 디스플레이 셀의 벽전하를 소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벽전하를 소거한 후, 벽전하가 소거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셀 내에서 방전을 발생시켜 벽전하의 극성을 반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8. 삭제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단계들 중 최소한 하나의 단계는,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셀 내에서 상기 주사전극과 상기 데이터전극 사이에 대향방전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주사전극과 상기 유지전극상에 벽전하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10. 삭제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예비방전을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선택동작을 수행할 때 상기 주사전극에 인가된 전압펄스에 대하여 반대극성을 가진 벽전하를 예비방전에 의하여 모든 상기 주사전극들 상에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유지전극군과 상기 주사전극 사이에 소거펄스를 인가함으로써 예비방전에 의하여 벽전하를 소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예비방전을 발생시키는 디스플레이 라인에서 상기 선택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유지전극군의 전압을 상기 주사전극들 사이에 유지방전을 발생시키는 전압으로 유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예비방전에 의하여 벽전하의 소거가 수행된 디스플레이 라인에서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셀 내의 상기 주사전극과 상기 데이터전극 사이에 대향방전을 발생시킴으로써, 벽전하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예비방전을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 유지전극군과 상기 주사전극 사이에 소거펄스를 인가함으로써, 예비방전에 의하여 상기 벽전하를 소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예비방전을 발생시킨 디스플레이 라인에서 상기 선택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유지전극군의 전압을 상기 주사전극들 사이에 유지방전을 발생시키지 않는 전압으로 유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예비방전에 의하여 벽전하의 소거가 수행되는 디스플레이 라인에서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셀 내의 상기 주사전극과 상기 데이터전극 사이에 대향방전을 발생시킴으로써, 벽전하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12. 삭제
  13.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된 제1 기판과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에 대향하는 상기 제1 기판의 면상에 제공되어 제1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복수개의 주사전극으로서, 인접한 디스플레이 라인들 사이에서 공유되는 상기 복수개의 주사전극; 상기 주사전극들 중에서 인접한 두 개의 주사전극들 사이에 두 개씩 위치된 복수개의 유지전극으로서, 상기 주사전극의 일측에 위치된 상기 복수개의 유지전극들이 공통접속된 제1 유지전극군과 상기 주사전극의 타측에 위치된 복수개의 유지전극들이 공통접속된 제2 유지전극군으로 분리되는 상기 복수개의 유지전극;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하는 상기 제2 기판의 면상에 제공되어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데이터전극; 상기 주사전극들과 상기 유지전극들을 피복하는 유전체층; 및 상기 주사전극들을 상기 제2 방향으로 두 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갖는 디스플레이 셀에 벽전하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셀과 주사전극 및 데이터전극을 공유하며 상기 제2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갖는 디스플레이 셀에 동일 극성의 벽전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갖는 디스플레이 셀에 형성된 벽전하를 소거하는 단계; 및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갖는 디스플레이 셀에 벽전하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14. 삭제
  15.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된 제1 기판과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에 대향하는 상기 제1 기판의 면상에 제공되어 제1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복수개의 주사전극으로서, 인접한 디스플레이 라인들 사이에서 공유되는 상기 복수개의 주사전극; 상기 주사전극들 중에서 인접한 두 개의 주사전극 사이에 두 개씩 위치된 복수개의 유지전극으로서, 상기 주사전극의 일측에 위치된 복수개의 유지전극이 공통접속된 제1 유지전극군과 상기 주사전극의 타측에 위치된 복수개의 유지전극이 공통접속된 제2 유지전극군으로 분리되는 상기 복수개의 유지전극;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하는 상기 제2 기판의 면상에 제공되어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데이터전극; 상기 주사전극들과 상기 유지전극들을 피복하는 유전체층; 및 상기 주사전극들을 상기 제2 방향으로 두 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갖는 디스플레이 셀과 상기 제2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갖는 디스플레이 셀 사이에서 상이한 극성을 갖는 벽전하를 상기 주사전극 및 상기 유지전극 상에 형성하는 단계;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갖는 디스플레이 셀에서 상기 벽전하를 소거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가진 디스플레이 셀 내에서 상기 벽전하들의 극성을 각각 반전시키는 단계; 및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갖는 디스플레이 셀에서 상기 벽전하를 소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16. 삭제
  1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라인과 상기 제2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라인 사이에서, 1화면을 구성하는 필드마다 상기 선택동작의 순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18. 삭제
  1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라인과 상기 제2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라인 사이에서, 1화면을 구성하는 필드마다 상기 선택동작의 순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20. 삭제
  2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라인과 상기 제2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라인 사이에서, 1화면을 구성하는 필드마다 상기 선택동작의 순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22. 삭제
  2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라인과 상기 제2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라인 사이에서, 1화면을 구성하는 필드마다 상기 선택동작의 순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24. 삭제
  2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라인과 상기 제2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라인 사이에서, 1화면을 구성하는 필드마다 상기 선택동작의 순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26. 삭제
  2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라인과 상기 제2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라인 사이에서, 1화면을 구성하는 필드마다 상기 선택동작의 순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28. 삭제
  2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라인과 상기 제2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라인 사이에서, 상기 선택동작의 순서를 하나 이상의 어드레스 기간(addressing period)마다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30. 삭제
  3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라인과 상기 제2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라인 사이에서, 상기 선택동작의 순서를 하나 이상의 어드레스 기간마다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32. 삭제
  3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라인과 상기 제2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라인 사이에서, 상기 선택동작의 순서를 하나 이상의 어드레스 기간마다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34. 삭제
  3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라인과 상기 제2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라인 사이에서, 상기 선택동작의 순서를 하나 이상의 어드레스 기간마다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36. 삭제
  3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라인과 상기 제2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라인 사이에서, 상기 선택동작의 순서를 하나 이상의 어드레스 기간마다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38. 삭제
  3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라인과 상기 제2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라인 사이에서, 상기 선택동작의 순서를 하나 이상의 어드레스 기간마다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40. 삭제
  4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라인과 상기 제2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라인 사이에서 상기 선택동작의 순서를 하나 이상의 어드레스 기간마다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라인들 사이에서 한 화면을 구성하는 필드마다 상기 선택동작의 순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42. 삭제
  4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라인과 상기 제2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라인 사이에서 상기 선택동작의 순서를 하나 이상의 어드레스 기간마다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라인들 사이에서 한 화면을 구성하는 필드마다 상기 선택동작의 순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44. 삭제
  4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라인과 상기 제2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라인 사이에서 상기 선택동작의 순서를 하나 이상의 어드레스 기간마다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라인들 사이에서 한 화면을 구성하는 필드마다 상기 선택동작의 순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46. 삭제
  4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라인과 상기 제2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라인 사이에서 상기 선택동작의 순서를 하나 이상의 어드레스 기간마다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라인들 사이에서 한 화면을 구성하는 필드마다 상기 선택동작의 순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48. 삭제
  4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라인과 상기 제2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라인 사이에서 상기 선택동작의 순서를 하나 이상의 어드레스 기간마다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라인들 사이에서 한 화면을 구성하는 필드마다 상기 선택동작의 순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50. 삭제
  5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라인과 상기 제2 유지전극군에 속하는 상기 유지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라인 사이에서 상기 선택동작의 순서를 하나 이상의 어드레스 기간마다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라인들 사이에서 한 화면을 구성하는 필드마다 상기 선택동작의 순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된 제1 기판과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에 대향하는 상기 제1 기판의 면상에 제공되어 제1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복수개의 주사전극으로서, 인접한 디스플레이 라인들 사이에서 공유되는 상기 복수개의 주사전극; 상기 주사전극들 중에서 인접한 두 개의 주사전극 사이에 두 개씩 위치된 복수개의 유지전극으로서, 상기 주사전극의 일측에 위치된 복수개의 유지전극들이 공통접속된 제1 유지전극군과 상기 주사전극의 타측에 위치된 복수개의 유지전극들이 공통접속된 제2 유지전극군으로 분리되는 상기 복수개의 유지전극;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하는 상기 제2 기판의 면상에 제공되어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데이터전극; 상기 주사전극들과 상기 유지전극들을 피복하는 유전체층; 및 상기 주사전극들을 상기 제2 방향으로 두 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사전극을 공유하는 2개의 디스플레이 셀의 서브필드 선택의 조합을, 각 디스플레이셀의 입력계조레벨과 출력계조레벨 사이의 차가 저감하도록, 상기 2개의 디스플레이 셀의 입력계조레벨의 조합에 의해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서브필드선택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주사전극을 공유하는 상기 2개의 디스플레이 셀에 대한 디스플레이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57. 삭제
  58.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필드선택의 조합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2개의 디스플레이 셀의 입력계조레벨과 상기 2개의 디스플레이 셀의 간섭에 의한 발광량과의 사이의 관계를 고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59. 삭제
  60.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필드선택의 조합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2개의 디스플레이 셀의 간섭에 의한 발광량을 포함하는 출력계조레벨과 상기 입력계조레벨의 차이가 최소화되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61. 삭제
KR10-2001-0038358A 2000-06-30 2001-06-29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구동방법 KR1005082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97977 2000-06-30
JP2000197977 2000-06-30
JP2000197977 2000-06-30
JP2001196496 2001-06-28
JP2001196496A JP2002082650A (ja) 2000-06-30 2001-06-28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駆動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1819A Division KR100476825B1 (ko) 2000-06-30 2004-05-0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방법
KR10-2005-0018878A Division KR100508985B1 (ko) 2000-06-30 2005-03-0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2326A KR20020002326A (ko) 2002-01-09
KR100508226B1 true KR100508226B1 (ko) 2005-08-17

Family

ID=2659506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8358A KR100508226B1 (ko) 2000-06-30 2001-06-29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004-0031819A KR100476825B1 (ko) 2000-06-30 2004-05-0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방법
KR10-2005-0018878A KR100508985B1 (ko) 2000-06-30 2005-03-0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구동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1819A KR100476825B1 (ko) 2000-06-30 2004-05-0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방법
KR10-2005-0018878A KR100508985B1 (ko) 2000-06-30 2005-03-0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795044B2 (ko)
JP (1) JP2002082650A (ko)
KR (3) KR100508226B1 (ko)
FR (2) FR28111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2650A (ja) * 2000-06-30 2002-03-22 Ne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駆動方法
EP1353314A1 (en) * 2002-04-11 2003-10-15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video pictures to improve the greyscale resolution of a display device
US7164396B2 (en) * 2002-05-22 2007-01-1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JP4264696B2 (ja) * 2002-06-21 2009-05-20 株式会社日立プラズマパテントライセンシング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KR100458581B1 (ko) * 2002-07-26 2004-12-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장치 및 그 방법
EP1471491A3 (en) 2003-04-22 2005-03-23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515341B1 (ko) 2003-09-02 2005-09-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장치
JP2005148594A (ja) * 2003-11-19 2005-06-09 Pioneer Plasma Display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KR100560477B1 (ko) * 2003-11-29 2006-03-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TWI228744B (en) * 2004-07-12 2005-03-01 Au Optronics Corp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driving thereof
TWI250494B (en) * 2004-11-11 2006-03-01 Au Optronics Corp Plasma display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00369089C (zh) * 2004-11-26 2008-02-13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等离子体显示面板及等离子体显示面板的驱动方法
KR100644833B1 (ko) * 2004-12-31 2006-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CN1292882C (zh) * 2005-07-12 2007-01-03 南京林业大学 利用等离子体改善农作物秸秆与脲醛树脂界面胶合性能的方法
KR100793063B1 (ko) * 2005-08-30 2008-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0787445B1 (ko) * 2006-03-03 2007-1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JP2007286192A (ja) * 2006-04-13 2007-11-01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TW200811809A (en) * 2006-08-18 2008-03-01 Marketech Int Corp Plasma display panel with high brightness
TWI339850B (en) * 2007-03-16 2011-04-01 Marketech Int Corp Plasma display panel with high brightness
JP2012103797A (ja) * 2010-11-08 2012-05-31 Sony Corp 入力装置、座標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185361B1 (ko) * 2014-04-04 2020-12-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화소 및 상기 화소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20330A (ja) * 1989-02-20 1990-09-03 Fujitsu Ltd ガス放電パネルとその駆動方法
JPH0896714A (ja) * 1994-09-28 1996-04-12 Ne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とその駆動方法
KR19980069853A (ko) * 1997-01-21 1998-10-26 세키자와다다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9990013119A (ko) * 1997-07-31 1999-02-25 엄길용 교류형 플라즈마 표시패널의 구동방법
JP2000056731A (ja) * 1998-08-12 2000-02-25 Fujitsu Ltd Ac型pdpの駆動方法
KR20000051586A (ko) * 1999-01-23 2000-08-16 구자홍 엘지에스이방식 피디피 및 그 구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8218A (en) * 1983-08-24 1987-01-20 Fujitsu Limited Gas discharge panel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3221341B2 (ja) * 1997-01-27 2001-10-22 富士通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表示装置
JPH11327505A (ja) * 1998-05-20 1999-11-26 Fujitsu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の駆動方法
KR100515821B1 (ko) * 1997-05-20 2005-12-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방전 표시 소자 및 그 구동 방법
US6597334B1 (en) * 1998-08-19 2003-07-22 Nec Corporation Driving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JP3556103B2 (ja) * 1998-09-18 2004-08-18 富士通株式会社 Pdpの駆動方法
JP2002082650A (ja) * 2000-06-30 2002-03-22 Ne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駆動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20330A (ja) * 1989-02-20 1990-09-03 Fujitsu Ltd ガス放電パネルとその駆動方法
JPH0896714A (ja) * 1994-09-28 1996-04-12 Ne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とその駆動方法
KR19980069853A (ko) * 1997-01-21 1998-10-26 세키자와다다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9990013119A (ko) * 1997-07-31 1999-02-25 엄길용 교류형 플라즈마 표시패널의 구동방법
JP2000056731A (ja) * 1998-08-12 2000-02-25 Fujitsu Ltd Ac型pdpの駆動方法
KR20000051586A (ko) * 1999-01-23 2000-08-16 구자홍 엘지에스이방식 피디피 및 그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811127A1 (fr) 2002-01-04
KR100476825B1 (ko) 2005-03-18
KR100508985B1 (ko) 2005-08-22
KR20050044779A (ko) 2005-05-12
US20020018033A1 (en) 2002-02-14
JP2002082650A (ja) 2002-03-22
KR20040050890A (ko) 2004-06-17
US6795044B2 (en) 2004-09-21
KR20020002326A (ko) 2002-01-09
FR2826768A1 (fr) 200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898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구동방법
US6373452B1 (en) Plasma display panel, method of driving same and plasma display apparatus
JP3429438B2 (ja) Ac型pdpの駆動方法
JP4768134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の駆動方法
JP4322101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5025224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ーパネルの駆動方法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ーパネルの駆動装置
JP2004192875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駆動方法
KR2007008351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JP4089759B2 (ja) Ac型pdpの駆動方法
KR100342280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030091662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KR100383044B1 (ko)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방법
JP3511457B2 (ja) Pdpの駆動方法
US20070080899A1 (en) Plasma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06008677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JP2002040987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JPH11219151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装置
KR100285763B1 (ko) 직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방법
KR100515339B1 (ko) 플라즈마 표시 패널 및 그의 구동방법
KR2005004056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KR100438805B1 (ko) 다중데이타전극플라즈마표시패널의구동방법
KR10074718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071896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010000988A (ko) 고해상도tv(hdtv)용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0000151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