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8170B1 - 트럭 차량의 흡기 덕트의 구조 - Google Patents

트럭 차량의 흡기 덕트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8170B1
KR100508170B1 KR10-2002-0068635A KR20020068635A KR100508170B1 KR 100508170 B1 KR100508170 B1 KR 100508170B1 KR 20020068635 A KR20020068635 A KR 20020068635A KR 100508170 B1 KR100508170 B1 KR 100508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duct
duct
intake
truck vehicl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8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0504A (ko
Inventor
배인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8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8170B1/ko
Publication of KR20040040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0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8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81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int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와 함께 흡입구로 유입되는 빗물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인렛 덕트를 2단으로 형성하고, 양분된 인렛 덕트 간에는 소정의 갭이 형성되도록 한 트럭 차량의 흡기 덕트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운전석 캡 및 적재함 사이의 공간에 흡기구에서 유입된 공기를 에어 클리너로 안내하기 위한 인렛 덕트가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트럭 차량의 흡기 덕트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인렛 덕트는 상부 인렛 덕트와 하부 인렛 덕트로 분리 형성되고, 상기 상부 인렉 덕트와 하부 인렛 덕트가 오버 랩되는 연결부에는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의 갭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인렛 덕트의 절곡부 하측에는 마련되는 섬프의 하측면에 물을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콕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트럭 차량의 흡기 덕트의 구조{Intake duct}
본 발명은 트럭 차량의 흡기 덕트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와 함께 흡입구로 유입되는 빗물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인렛 덕트를 2단으로 형성하고, 양분된 인렛 덕트 간에는 소정의 갭이 형성되도록 한 트럭 차량의 흡기 덕트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엔진이 작동하기 위해서는 실린더 안으로 연료와 함께 적정한 양의 공기가 공급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엔진의 작동에 필요한 공기는 차량의 일측에 마련되는 흡기 덕트에서 유입되어 에어 클리너에서 불순물이 제거된 후에 흡기 매니폴드와 흡기포트를 거쳐서 엔진의 연소실로 공급된다.
도 6은 일반적인 트럭 차량에 장착되는 흡기계를 도시한 도면으로, 트럭 차량의 경우에는 운전석 캡과 적재함 사이의 공간에 도면에서와 같은 입식의 흡기 덕트(10)가 마련된다.
상기한 흡기 덕트(10)의 흡기구(11)는 빗물과 같은 불순물의 유입을 억제하기 위해 공기가 밑에서 위로 유입될 수 있도록 거꾸로 형성되는데, 상기 흡기구(11)는 원활한 공기의 유입을 위해 캡의 상측에 위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에어 클리너(15)는 운전석 캡과 적재함 사이의 공간에 장착되는데, 상기 흡입구(11)와 에어 클러너(15) 간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인렛 덕트(12)로써 연결된다. 또한, 에어 클리너(15)에서 정화된 공기가 엔진의 흡기매니폴드까지 유도될 수 있도록 에어 클리너(15)의 일측에는 에어 덕트(16)가 연결된다.
상기한 인렛 덕트(12)는 흡기구(11)에서 유입된 공기가 에어 클리너(15)까지 새지 않고 유도될 수 있도록 파이프 형상으로 제작된다. 그리고 그 하부에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로어 덕트(13)가 형성되고, 상기 인렛 덕트(12)와 로어 덕트(13) 간에는 진동의 전달을 억제하기 위한 주름관(14)이 형성된다. 로어 덕트(13)의 하부측에는 물을 제거하기 위한 드레인 콕(13a)이 형성된다.
한편, 에어 클리너(15)의 케이스는 필터의 교환 및 정비를 위해 상하부로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필터는 대기 중에 포함된 각종 먼지나 수분을 거르는 직접적인 역할을 하는 소모품으로 정기적인 점검 및 교환이 필요하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흡기 덕트의 흡입구가 거꾸로 형성되더라도 장마철과 같이 많은 비가 내리는 경우에는 필터의 정화성능 이상의 많은 수분이 상기 흡기구를 통해 유입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비가 많이 내리는 경우에는 로어 덕트의 역할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한다.
따라서 에어 클리너 내의 필터의 수명이 단축되고 필터의 교환주기가 단축될 뿐만이 아니라, 엔진으로의 물유입에 따른 엔진의 출력이 저하되거나 엔진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공기와 함께 흡입구로 유입되는 빗물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인렛 덕트를 2단으로 형성하고, 양분된 인렛 덕트 간에는 소정의 갭이 형성되도록 한 트럭 차량의 흡기 덕트의 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운전석 캡 및 적재함 사이의 공간에 흡기구에서 유입된 공기를 에어 클리너로 안내하기 위한 인렛 덕트가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트럭 차량의 흡기 덕트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인렛 덕트는 상부 인렛 덕트와 하부 인렛 덕트로 분리 형성되고, 상기 상부 인렉 덕트와 하부 인렛 덕트가 오버 랩되는 연결부에는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의 갭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인렛 덕트의 절곡부 하측에는 마련되는 섬프의 하측면에 물을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콕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흡기 덕트의 구성 및 작동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흡기 덕트의 설치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흡기 덕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마감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흡기 덕트의 단면도이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20은 본 발명에 의한 인렛 덕트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인렛 덕트(20)는 상부 인렛 덕트(30)와 하부 인렛 덕트(40)로 2단으로 분리 조립 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한 인렛 덕트(20)는 운전석 캡과 적재함 사이에 장착되어 엔진에서 필요로 하는 공기가 통과되는 통로로서, 그 상부에는 대기 중의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구(21)가 연결되고 하부에는 에어 클리너(22)가 연결된다.
특히, 상부 인렛 덕트(30)와 하부 인렛 덕트(40)가 오버 랩되는 연결부는 상기 흡기구(21)로 유입된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갭(G)이 유지된다. 이와 같이 상부 인렛 덕트(30)와 하부 인렛 덕트(40) 간에 갭(G)을 형성하는 이유는 장마철과 같이 많은 양의 비가 내리는 경우에 유입되는 빗물이 에어 클리너(22) 측으로 유입되기 전에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를 위해, 상기한 상부 인렛 덕트(30)의 하단부 둘레는 하부 인렛 덕트(40)의 하단부 둘레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부 인렛 덕트(30)와 하부 인렛 덕트(40)의 결합을 위해 두 부재가 오버 랩되는 상기 상부 인렛 덕트(30)의 도중에는 부분적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4)가 형성된다. 이 돌출부(34)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 인렛 덕트(40)의 상단부 외주면에 접촉되고, 두 부재가 접촉된 부분에는 리벳(60)이 체결된다.
그리고 하부 인렛 덕트(40)는 중간부가 절곡된 형상을 형성되는데, 절곡부(42)의 하측에는 오목하게 저장공간을 갖는 섬프(44)가 형성된다. 이 섬프(44)의 저면은 상기한 갭(G)을 통해 방출되지 못하고 공기와 함께 통과되는 수분이 자중에 의해 가라앉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 인렛 덕트(40)로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보다 낮게 형성된다. 또한, 섬프(44)의 저면에는 상기 섬프(44) 내부에 고이게 되는 물을 방출시키기 위한 드레인 콕(46)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상부 인렛 덕트(30)와 하부 인렛 덕트(40) 간에 마련되는 갭(G)으로는 흡기구(21)를 통해서 유입된 물의 배출은 허용하되 외부에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은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고무재의 마감부재(50)가 장착된다.
상기 마감부재(50)는 트랙형상의 폐곡선으로 형성되며, 상부 내주면에는 상기한 상부 인렛 덕트(30)의 외주면에 마련된 홈(32)에 끼워지기 위한 내향돌기(52)가 형성되고, 그 벽을 이루는 단면의 폭은 상부에서 하부로 향할수록 점점 감소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하부를 향할수록 점점 감소되는 벽의 폭은 하단부에 이르러서 하부 인렛 덕트(40)의 외측벽에 접하도록 하단부의 둘레가 상단부의 둘레보다 작게 형성된다. 마감부재(50)는 그 벽 높이가 30~50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에어 클리너(22)와 하부 인렛 덕트(40) 간에는 종래기술의 설명에서와 같이 주름관(23)과 로어 덕트(24)가 형성된다. 로어 덕트(24)의 하부에는 물을 빼내기 위한 드레인 콕(25)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형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장마철과 같이 많은 양의 비가 내리는 경우에는 상기한 흡기구(21)를 통해 어느정도의 빗물이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되는 빗물의 일부는 상부 인렛 덕트(30)의 내측벽을 따라서 흐르게 되고, 일부는 공기와 함께 상부 인렛 덕트(30) 및 하부 인렛 덕트(40)의 유로를 통과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 인렛 덕트(30)의 내측벽을 따라 흐르는 빗물은 상부 인렛 덕트(30)와 하부 인렛 덕트(40) 간의 갭(G)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이 때 빗물의 자중에 의해서 상기한 마감부재(50)의 하단부가 외측으로 밀리게 되므로서 물의 통과가 이루어진다. 물이 통과되지 않을 때는 상기 마감부재(50)의 끝단부는 하부 인렛 덕트(40)의 외측벽면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물은 상기한 하부 인렛 덕트(40)의 절곡부(4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보다 비중이 무거운 기체상태의 물이 절곡부의 내측벽에 부딪치면서 액체상태로 되면서 절곡부(42)의 하측에 마련된 섬프(44)에 고이게 된다. 섬프(44)에 고인 물은 드레인 콕(46)을 개방하여 외부로 방출하면 된다. 상기 드레인 콕(46)은 상기 섬프(44)에 일정수준 이상의 물이 고이게 되면 자동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일정수준 이상의 물이 고이게 되면 드레인 콕(46)이 자동으로 열리게 된다.
한편, 상기한 섬프(44)를 통해서도 걸러지지 않은 수분은 로어 덕트(24)를 통과하면서 분리되어 로어 덕트(24)의 하부에 고이게 된다. 이렇게 고인 물은 드레인 콕(25)을 개방하여 외부로 방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흡기 덕트에서는 1차, 2차, 3차에 걸쳐서 공기 중의 물이 분리되고 방출되므로서, 에어 클리너(22)의 수명이 연장되고, 엔진으로 물이 유입되지 않게 되어 물유입에 따른 출력저하 및 엔진의 손상이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형성되는 본 발명은 장마철과 같이 많은 양이 비가 내리는 경우에 흡기 덕트의 흡기구로 빗물이 유입되더라도 3차에 걸쳐서 물이 분리되고 외부로 방출되므로서, 에어 클리너 측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에어 클리너의 수명이 연장될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엔진으로 물이 유입되지 않게 되어 물유입에 따른 엔진의 출력저하 및 엔진의 손상이 방지되는 커다란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흡기 덕트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흡기 덕트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마감부재의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흡기 덕트의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인렛 덕트 21 : 흡기구
22 : 에어 클리너 23 : 주름관
24 : 로어 덕트 25 : 드레인 콕
30 : 상부 인렛 덕트 32 : 홈
34 : 돌출부 40 : 하부 인렛 덕트
42 : 절곡부 44 : 섬프
46 : 드레인 콕 50 : 마감부재

Claims (5)

  1. 운전석 캡 및 적재함 사이의 공간에 흡기구에서 유입된 공기를 에어 클리너로 안내하기 위한 인렛 덕트가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트럭 차량의 흡기 덕트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인렛 덕트(20)는 상부 인렛 덕트(30)와 하부 인렛 덕트(40)로 분리 형성되고, 상기 상부 인렉 덕트(30)와 하부 인렛 덕트(40)가 오버 랩되는 연결부에는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의 갭(G)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인렛 덕트(40)의 절곡부(42) 하측에는 마련되는 섬프(46)의 하측면에 물을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콕(46)이 추가로 형성되어지되,
    상기한 상부 인렛 덕트(30)와 하부 인렛 덕트(40)의 갭(G)을 통해서 흡기구(21)로 유입된 물의 배출은 허용하되 외부에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은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트랙형상의 폐곡선으로 형성되는 고무재의 마감부재(5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차량의 흡기 덕트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마감부재(50)의 상부 내주면에는 상기한 상부 인렛 덕트(30)의 외주면에 장착되도록 하기 위한 내향돌기(52)가 형성되고, 그 벽을 이루는 단면의 폭은 상부에서 하부를 향할수록 점점 감소되다가 하측 끝단부에 이르러서는 하부 인렛 덕트(40)의 외측벽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차량의 흡기 덕트의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마감부재(50)의 벽 높이는 30~5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차량의 흡기 덕트의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상부 인렛 덕트(30)와 하부 인렛 덕트(40)의 결합을 위해 상기 상부 인렛 덕트(30)의 오버 랩 부분의 도중에 부분적으로 내향 돌출된 돌출부(34)가 마련되고, 이 돌출부(34)에 리벳(60)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차량의 흡기 덕트의 구조.
  5. 삭제
KR10-2002-0068635A 2002-11-07 2002-11-07 트럭 차량의 흡기 덕트의 구조 KR100508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635A KR100508170B1 (ko) 2002-11-07 2002-11-07 트럭 차량의 흡기 덕트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635A KR100508170B1 (ko) 2002-11-07 2002-11-07 트럭 차량의 흡기 덕트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504A KR20040040504A (ko) 2004-05-13
KR100508170B1 true KR100508170B1 (ko) 2005-08-17

Family

ID=37337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8635A KR100508170B1 (ko) 2002-11-07 2002-11-07 트럭 차량의 흡기 덕트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81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416Y1 (ko) * 2009-08-19 2014-04-29 한국체인공업 주식회사 다목적 운반차량의 에어덕트 취부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6323A (ja) * 1988-08-31 1990-03-06 Honda Motor Co Ltd 無段変速機を有する車輌のクラッチ制御装置
JPH0924742A (ja) * 1995-07-12 1997-01-28 Hino Motors Ltd ティルト・キャブ型自動車に使用されるスタック・インテーク・ダクト
JPH09114615A (ja) * 1995-10-17 1997-05-02 Ricoh Co Ltd プリンタネットワーク装置
JPH11105553A (ja) * 1997-10-07 1999-04-20 Hino Motors Ltd スタックインテークダク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6323A (ja) * 1988-08-31 1990-03-06 Honda Motor Co Ltd 無段変速機を有する車輌のクラッチ制御装置
JPH0924742A (ja) * 1995-07-12 1997-01-28 Hino Motors Ltd ティルト・キャブ型自動車に使用されるスタック・インテーク・ダクト
JPH09114615A (ja) * 1995-10-17 1997-05-02 Ricoh Co Ltd プリンタネットワーク装置
JPH11105553A (ja) * 1997-10-07 1999-04-20 Hino Motors Ltd スタックインテークダク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504A (ko) 2004-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2780B2 (en) Air cleaner assembly
BR0317916B1 (pt) Conjunto e elemento filtrante de controle de emissão de carter
US8580004B1 (en) Unitary filter cartridge with flow transition mouth
MXPA01012763A (es) Conjunto de filtro con valvula de verificacion y sumidero.
BR0110817B1 (pt) elemento de filtro substituìvel, sistema de controle de emissão de caixa de eixo de manivela e motor de combustão interna.
CN104160140B (zh) 用于燃式发动机的过滤器外壳和空气过滤器单元
US10240565B2 (en) Fuel filter insert having a pre- and a main filter element, and a fuel filter
US6521008B1 (en) Air filter for filtering induced ai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of motor vehicles
CN201786495U (zh) 空气滤清器
KR100508170B1 (ko) 트럭 차량의 흡기 덕트의 구조
JP2004190671A (ja) 内燃機関のための粗空気を吸い込むための装置
KR101072090B1 (ko) 차량의 에어클리너
KR100888302B1 (ko) 캐니스터 에어필터 구조
KR101567883B1 (ko) 차량용 공기 청정기
KR100587809B1 (ko) 트럭차량 흡기계의 드레인 덕트 구조
JP2002295323A (ja) 自動二輪車の吸気構造
KR100482858B1 (ko) 필러 넥에 장착되는 캐니스터용 에어 필터
CN210799181U (zh) 一种免拆卸可清洗卡车空滤总成
KR940002805Y1 (ko) 자동차용 침적식 에어크리너
CN210289970U (zh) 一种具有排水组件的发动机进气系统
KR100528203B1 (ko) 에어 클리너의 여과 엘리먼트
JP2022181829A (ja) 車両のエアクリーナ
KR20170050579A (ko) 수분의 유입이 방지되는 흡기유닛의 상부덕트
CN206376958U (zh) 一种发动机进气系统
KR19980037849U (ko) 건습식 에어 클리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