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7965B1 - 안경렌즈의 중심두께 및 도수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안경렌즈의 중심두께 및 도수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7965B1
KR100507965B1 KR10-2004-0022451A KR20040022451A KR100507965B1 KR 100507965 B1 KR100507965 B1 KR 100507965B1 KR 20040022451 A KR20040022451 A KR 20040022451A KR 100507965 B1 KR100507965 B1 KR 100507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tacle lens
measuring device
main body
conveyor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2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6022A (ko
Inventor
민병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보테크
Priority to KR10-2004-0022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7965B1/ko
Publication of KR20050006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6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7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79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이 완료된 안경렌즈의 중심두께와 직경을 측정한 후 도수와 프리즘을 측정하고, 안경렌즈의 종류에 따라 선별 배출하여 포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안경렌즈의 중심두께 및 도수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안경렌즈를 연속 공급하는 컨베이어 장치를 구비하고, 안경렌즈의 중심두께와 직경을 측정하는 제1측정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1측정장치에서 측정이 완료된 안경렌즈의 도수와 프리즘을 측정하는 제2측정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측정장치와 제2측정장치 사이에 설치되고 측정장치에 놓인 안경렌즈를 파지하는 파지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2측정장치에서 측정된 안경렌즈를 종류별로 구분하여 배출시켜 포장이 이루어지게 하는 컨베이어 장치를 구비하여 된 것으로, 측정에 걸리는 시간을 줄이고 안경렌즈의 파손을 줄이는 것이다.

Description

안경렌즈의 중심두께 및 도수 측정장치{omitted}
본 발명은 성형이 완료된 안경렌즈의 중심두께와 직경을 측정한 후 도수와 프리즘을 측정하고, 안경렌즈의 종류에 따라 선별 배출 및 포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안경렌즈의 중심두께 및 도수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경렌즈는 안경렌즈 성형용 몰드에서 성형된 후 안경렌즈의 중심 두께와 직경을 측정하여 안경렌즈의 종류별로 분류하여야 하고, 안경렌즈의 도수와 프리즘을 측정하여 안경렌즈의 종류별로 구분한 후 포장하거나 담아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기존에는 안경렌즈의 중심두께와 직경을 측정하는 별도의 측정기계를 운용하여 안경렌즈의 중심두께와 직경을 측정하고, 중심두께와 직경의 측정이 완료된 안경렌즈는 도수와 프리즘을 측정하는 별도의 측정기계로 이동시켜 안경렌즈의 도수와 프리즘을 측정한 후 측정 결과에 따라 안경렌즈를 종류별로 구분하여 선별하고 포장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안경렌즈의 중심을 접촉식으로 측정하는 중심두께 측정기계에서 중심두께를 측정한 후 직경을 측정하는 기계와 도수를 측정하는 기계로 분리하여 이동시켜야 하나, 상기된 측정과정에서 접촉식에 의한 측정으로 렌즈의 표면에 흠집이 발생되는 한편, 상기 이동과정에서 안경렌즈가 파손되거나 손상을 입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또한 측정이 별도의 기계에서 이루어지므로 안경렌즈의 측정에 따른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성형이 완료된 안경렌즈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중심두께 및 직경을 측정한 후 이동하여 도수 및 프리즘을 측정하여 종류별로 배출시키도록 하므로서 안경렌즈의 중심두께와 도수의 측정이 연속적인 작업으로 측정이 가능하여 측정효율을 높이는 한편 안경렌즈의 이동을 최소로 하여 안경렌즈의 손상위험을 최소화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안경렌즈를 연속 공급하는 컨베이어 장치를 구비하고, 안경렌즈의 중심두께와 직경을 측정하는 제1측정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1측정장치에서 측정이 완료된 안경렌즈의 도수와 프리즘을 측정하는 제2측정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측정장치와 제2측정장치 사이에 설치되고 측정장치에 놓인 안경렌즈를 파지하는 파지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2측정장치에서 측정된 안경렌즈를 종류별로 구분하여 배출시키는 컨베이어 장치를 구비하여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성형이 완료된 안경렌즈(100)의 중심두께와 직경 및 도수와 프리즘을 연속적으로 측정하고, 측정 결과와 포장방식에 따라 안경렌즈(100)를 자동으로 선별하여 배출시키는 것으로, 중심두께와 직경을 측정하는 제1측정장치(20)와, 도수 및 프리즘을 측정하는 제2측정장치(4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측정장치(20)로 안경렌즈(100)를 이동하는 컨베이어 장치(10)와 제2측정장치(40)에서 측정이 완료된 안경렌즈(100)를 종류별로 선별하여 배출하는 컨베이어 장치(5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측정장치(20)와 제2측정장치(40)에서 안경렌즈(100)를 측정할 때 안경렌즈(100)를 잡아주는 파지 수단(3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안경렌즈(100)를 제1측정장치(20)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장치(10)는 수 개의 컨베이어(1-6)로 이루어지고, 컨베이어(1-6)의 선단에 감지센서(1'-6')가 구비되어 안경렌즈(100)가 검출되는 경우 다음 단의 컨베이어(1-6)로 이동시켜 안경렌즈(100)가 부딪히지 않고 정상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최종 단의 컨베이어(6)에는 가림판(8)이 설치되어 안경렌즈(100)가 가림판(8)에 걸려 제1측정장치(20)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제1측정장치(20)는 본체(26)의 상,하부에 스텝모터(21)(21')가 설치되고, 상기 스텝모터(21)(21')에는 본체(26)를 관통하여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수직 방향의 스크류축(22)(22')을 설치하며, 상기 스크류축(22)(22')에는 암(23)(23')을 결합시켜 스크류축(22)(22')의 회전에 따라 암(23)(23')이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암(23)(23')의 선단에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에어근접센서(24)(24')를 설치하는 한편 일단이 LM가이드(25)에 결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LM가이드(25)의 이동거리는 측정기(27)에 의해 측정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에어근접센서(24)(24')는 안경렌즈(100)에 근접할 때 에어로 근접감지를 하게 되는 것으로, 안경렌즈(100)의 상,하부에서 이동이 시작되어 안경렌즈(100)에 근접됨이 에어근접센서(24)(24')로 감지되면 그때의 이동거리를 측정기(27)에서 측정하여 안경렌즈(100)의 중심두께를 측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1측정장치(20)로 이동되는 안경렌즈(100)는 가림판(8)에 의해 컨베이어벨트(28)를 타고 이동되며, 암(23)의 하부에서 집게(33)에 의해 잡혀지게 되고, 집게(33)에 잡혀진 상태에서 암(23)을 이동시켜 안경렌즈(100)의 중심두께를 측정하는 것이다.
상기 집게(33)가 설치된 파지수단(30)은 본체(39)의 내부에 양측으로 집게(33)(34)가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집게(33)(34)는 수평으로 설치된 가이드 봉(36)(37)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집게(33)(34)사이에 스프링(35)(35')을 설치하여 원위치 되려는 힘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집게(33)(34)의 선단에는 안경렌즈(100)를 잡을때 안경렌즈(100)의 중심부를 정확히 잡을 수 있도록 중앙에 홈이 형성된 플라스틱재(33a)(34a)를 대주도록 한다,
상기 집게(33)(34)는 양측으로 설치되어 각각 삼각형의 밀음편(32a)(32b)이 하부로 밀릴 때 양측으로 벌어지게 되고, 집게(33)(34)의 선단을 모두 밀을 수 있는 밀음편(32)이 설치되어 밀음편(32)으로 두 개의 집게(33)(34)를 모두 벌릴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밀음편(32)(32b)은 각각 에어실린더(31)(31b)의 구동에 의해 하강하거나 상승하도록 한다.
즉 에어실린더(31)를 작동시켜 밀음편(32)을 하강시킴으로서 집게(33)(34)가 모두 벌어지게 한 후 안경렌즈(100)가 이동되면 밀음편(32)을 상승시켜 집게(33)(34)가 안경렌즈(100)를 잡아주도록 하고, 에어실린더(31b)를 작동시켜 밀음편(32b)을 하강시킴으로서 집게(34)를 벌려주도록 하는 것으로, 밀음편(32)(32b)은 각각 작동하게 된다.
밀음편(32)은 집게(33)를 밀을 때 베어링(38)을 밀도록 하여 집게(33)가 밀음편(32)이 상하 이동시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파지수단(30)의 내부에는 컨베이어(30')가 설치되어 제1측정장치(20)에서 측정된 안경렌즈(100)가 컨베이어(30')를 타고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컨베이어(30')로 이동된 안경렌즈(100)는 제2측정 장치(40)의 컨베이어(40')로 이동되어 도수 및 프리즘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제2측정장치(40)는 렌즈 메터기(41)가 설치되어 안경렌즈(100)가 재치대(42) 위에 정확히 놓일 경우 안경렌즈(100)의 도수와 프리즘을 측정하게 되는 것으로, 렌즈 메터기(41)는 공지의 장치이나 컨베어벨트(40')를 타고 이동되는 안경렌즈(100)를 정확히 중심에 맞추어 재치대(42)에 올려놓는 것이 본 발명에서 해결한 과제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재치대(42)의 상부를 접촉하지 않고 이동되도록 컨베이어(40')를 설치하여 안경렌즈(100)를 이동시키고, 상기 안경렌즈(100)가 재치대(42)의 상부로 오면 안경렌즈(100)를 집게(34)로 잡았다가 놓아 정확히 중심을 맞추어준 상태에서 LM가이드(44)를 이용하여 본체(43)를 하강시켜 안경렌즈(100)가 재치대(42)위에 놓이게 하고, 측정이 완료되면 다시 본체(43)를 상승시켜 안경렌즈(100)가 컨베이어(40')의 상부에 놓이게 한 후 컨베이어(40')를 작동시켜 안경렌즈(100)를 컨베이어 장치(50)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측정장치(40)는 본체(43)의 하부에 이송구(47)를 설치하고 본체(43)는 LM가이드(44)를 타고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이송구(47)는 모터(45)에 결합된 캠(46)에 접촉되게 하므로서 캠(46)의 회전시 캠(46)이 이송구(47)를 밀게 되어 본체(43)가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컨베이어 장치(50)는 컨베이어(51)를 타고 안경렌즈(100)가 배출되게 하되 컨베이어(51)를 타고 이동되는 안경렌즈(100)의 거리를 엔코더로 측정하여 정확히 원하는 위치에 정지시킨 후 실린더(58)(59)를 이용하여 안경렌즈(100)를 컨베이어(52-56) 또는 컨베이어(57)로 이동시켜 종류별로 선별하여 포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서 먼저 안경렌즈(100)를 순차적으로 제1측정장치(20)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살펴본다.
컨베이어 장치(10)는 수 개의 컨베이어(1-6)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컨베이어(1)(2)에 놓인 안경렌즈(100)는 컨베이어(3)(4)를 타고 컨베이어(5)에 정렬되며 놓여지게 되고 컨베이어(5)에 놓인 안경렌즈(100)는 컨베이어(6)를 타고 이동하되 가림판(8)에 의해 방향이 틀어지면서 제1측정장치(20)의 컨베이어(28)로 올려지게 된다.
이때 컨베이어(1-6)에는 감지센서(1'-6')가 설치되어 안경렌즈(100)가 균등한 거리로 이격되어 규칙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제1측정장치(20)의 컨베이어(28)로 이동된 안경렌즈(100)는 센서로 감지되어 안경렌즈(100)가 에어근접센서(24)(24')의 직하방이나 직상부에 놓이도록 한 후 컨베이어(28)의 구동을 정지한다.
이때 안경렌즈(100)가 컨베이어(28)로 이동될 때 파지수단(30)의 에어실린더(31)를 작동시켜 밀음편(32)을 하강시킴으로서 밀음편(32)이 집게(33)(34)를 밀어 양측으로 벌려주도록 하고, 이같이 밀음편(32)에 의해 집게(33)가 벌려진 상태에서 컨베이어(28)로 안경렌즈(100)를 이동시켜 에어근접센서(24)의 직하방 즉 집게(33)에 물릴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한다.
안경렌즈(100)의 이동이 완료되면 밀음편(32)을 원위치시켜 집게(33)가 스프링(35)에 의해 원위치되면서 집게(33)의 플라스틱재(33a)로 안경렌즈(100)의 측면을 잡아주도록 한다.
이때 집게(33)의 이동거리를 측정기(CT)로 측정하면 안경렌즈(100)의 직경이 자동으로 계산되어 측정할 수 있으며, 집게(33)에 플라스틱재(33a)를 사용한 이유는 안경렌즈(100)의 중심이 정확히 안 맞았을 경우 집게(33)에 물리면서 플라스틱재(33a)에서 홈에 의해 밀리면서 중심이 잡아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집게(33)가 안경렌즈(100)를 파지하게 되면 스텝모터(21)(21')를 구동시켜 스크류축(22)(22')을 회전시킴으로서 암(23)(23')이 LM가이드(25)를 타고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암(23)(23')의 이동거리는 측정기(27)에서 측정하되 상기 암(23)(23')은 에어근접센서(24)(24')에 의해 안경렌즈(100)의 표면이 검출되는 위치까지 이동하게 되고, 측정기(27)는 상기 암(23)(23')의 이동거리를 측정하여 안경렌즈(100)의 중심두께를 검출하게 된다.
이때 에어근접센서(24)(24')는 안경렌즈(100)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안경렌즈(100)의 두께 측정이 가능하므로 기존이 접촉식 센서를 사용할 때와 같이 흠집이 발생할 우려가 없게 된다.
제1측정장치(20)에서 안경렌즈(100)의 중심두께와 직경의 측정이 완료되면 에어실린더(31)를 작동시켜 밀음편(32)을 하강시킴으로서 다시 집게(33)를 벌려주어 안경렌즈(100)가 컨베이어(28)를 타고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컨베이어(28)는 중심두께의 측정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컨베이어(28)를 타고 이동되는 안경렌즈(100)는 파지수단(30)의 내부에서 다음 안경렌즈가 측정될 때까지 대기하게 되고 다음 안경렌즈(100)가 제1측정수단(20)에서 측정된 후 이동될 때 제2측정수단(40)으로 이동하여 초점 및 프리즘을 렌즈 메터기(41)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제2측정장치(40)는 파지수단(30)에서 이동된 안경렌즈(100)를 컨베이어(40')로 전달받아 이동하게 되고, 컨베이어(40')로 이동되는 안경렌즈(100)는 재치대(42)의 상부에 안경렌즈(100)의 중심부가 위치하도록 한 후 컨베이어(40')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밀음편(32b)을 하강시켜 집게(34)를 벌려준 후 밀음편(32b)을 상승시켜 집게(34)사이를 좁혀주도록 하므로서 안경렌즈(100)가 집게(34)사이에 정확히 위치토록 하여 결국 재치대(42)의 중앙에 안경렌즈(100)의 중심부를 일치시켜 주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밀음편(32b)을 하강시켜 집게(34)를 다시 벌려주어 안경렌즈(100)가 정지된 컨베이어(40')에 놓이게 한 후 모터(45)를 작동시켜 캠(46)을 회전시킴으로서 본체(43)가 LM가이드(44)를 타고 하강하도록 하므로서 컨베이어(40')에 놓인 안경렌즈(100)가 재치대(42)위에 밀착되어 놓이도록 하고, 재치대(42)위에 정확히 안경렌즈(100)가 놓이게 되면 공지의 장치인 렌즈 메터기(41)에서 초점과 프리즘을 측정하게 된다.
렌즈 메터기(41)에서 측정이 완료되면 모터(45)를 다시 작동시켜 캠(46)으로 본체(43)를 상승시켜 안경렌즈(100)가 컨베이어(40')에 얹혀져 상승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컨베이어(40')를 작동시켜 안경렌즈(100)를 컨베이어 장치(50)로 이동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측정이 완료된 안경렌즈(100)를 분류별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장치(50)에 대하여 살펴본다.
컨베이어(51)로 안경렌즈(100)가 이동되면 안경렌즈(100)의 측정이 완료되어 어떤 종류의 안경렌즈인지 확인이 가능하여 자동적으로 컨베이어(51)의 구동거리를 변경시켜 컨베이어(51)를 타고 이동되는 안경렌즈(100)가 컨베이어(51-57)로 이동될 수 있는 위치에 정지되도록 한다.
안경렌즈(100)가 컨베이어(51)에서 정지하면 실린더(58)(59)를 구동시켜 안경렌즈(100)를 컨베이어(52-57)로 이동시키게 되고, 컨베이어(52-57)를 타고 이동되는 안경렌즈(100)는 포장용 또는 비포장용 또는 불량등으로 구분되어 분류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안경렌즈(100)의 측정과정만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컨베이어(28)로 안경렌즈(100)가 이동되면 밀음편(32)을 작동시켜 집게(33)(34)를 양쪽으로 벌려주게 한 후 밀음편(32)을 원위치 시키면 집게(33)(34)가 스프링(35)(35')의 힘에 의해 원위치 되면서 집게(33)의 선단부에 고정된 플라스틱 재(33a)에 안경렌즈(100)가 잡히게 된다.
이때 집게(33)에서 안경렌즈(100)를 잡아 고정시키면 벌어짐이 발생하게 되고 이때의 집게(33)사이 벌어짐을 측정기(CT)로 측정하여 안경렌즈(100)의 직경으로 이용한다.
이 상태에서 에어근접센서(24)(24')를 상하 이동시켜 에어근접센서(24)(24')가 비접촉 방식으로 안경렌즈(100)의 중심두께를 측정기(27)로 측정하는 한편 밀음편(32b)을 하강시켜 안경렌즈(100)를 컨베이어(40')위에 놓아준 후 본체(43)를 하강시켜 안경렌즈(100)가 재치대(42)위에 정확히 놓이도록 하여 렌즈 메터기(41)로 안경렌즈(100)의 도수와 프리즘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후 다시 본체(43)를 상승시켜 안경렌즈(100)가 컨베이어(40')에 놓이도록 하며, 이때 집게(33)도 측정이 완료되면 밀음편(32)을 하강시켜 집게(33)를 벌림으로서 안경렌즈(100)가 컨베이어(28)에 놓이도록 한다.
그리고 컨베이어(28)(30')(40')를 작동시켜 안경렌즈(100)가 한 단계씩 다음 단계로 이동하도록 하므로서 안경렌즈(100)의 중심두께와 직경 및 도수와 프리즘을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안경렌즈의 중심두께와 직경을 측정하는 과정과 안경렌즈의 도수와 프리즘을 측정하는 과정이 별도로 이루어지지 않고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져 측정에 따른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특히 안경렌즈를 측정기계로 운반하고 이동하는 과정이 일관되게 이동되어 이동 중 발생할 수 있는 흠집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안경렌즈의 중심두께 측정시 에어근접센서를 사용하여 비접촉식으로 측정하게 되어 렌즈의 흠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측정이 완료된 안경렌즈를 종류별로 분류하여 배출시킴으로서 안경렌즈의 분류 포장작업이 일관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 평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1측정장치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 제1측정장치의 내부를 보인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 제1측정장치가 안경렌즈의 중심두께를 측정하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 밀음편의 하강전 상태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 밀음편의 하강후 상태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집게 벌림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8 은 본 발명 집게를 완전히 벌린 상태의 평면도
도 9 는 본 발명 집게를 오무린 상태의 평면도
도 10 은 본 발명 집게중 후단의 집게만 벌린 상태의 평면도
도 11 은 본 발명 제2측정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12 는 본 발명 제2측정장치의 본체 하강전 정면도
도 13 은 본 발명 제2측정장치의 본체 하강후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 : 컨베이어 10 : 컨베이어장치
20 : 제1측정장치 21,21' : 스텝모터
22,22' : 스크류축 23,23' : 암
24,24' : 에어근접센서 27 : 측정기
30 : 파지수단 32,32a,32b : 밀음편
33,34 : 집게 35,35' : 스프링
40 : 제2측정장치 41 : 렌즈 메터기
42 : 재치대 45 : 모터
46 : 캠 50 : 컨베이어장치
51-57 : 컨베이어

Claims (5)

  1. 성형이 완료된 안경렌즈(100)를 연속 공급하는 수 개의 컨베이어(1-6)로 이루어지고 안경렌즈(100)를 일정거리로 이격시켜 규칙적으로 공급하는 컨베이어 장치(10)와,
    상기 컨베이어 장치(10)로 공급된 안경렌즈(100)를 집게(33)로 잡아 에어근접센서(24)(24')를 이동시켜 가며 측정기(27)로 안경렌즈(100)의 중심두께를 측정하고, 안경렌즈(100)를 파지하는 집게(33)의 벌어짐을 측정하여 안경렌즈(100)의 직경을 측정하는 제1측정장치(20)와,
    상기 제1측정장치(20)에서 측정된 안경렌즈(100)를 집게(34)로 잡았다가 놓아 준 후 본체(43)를 하강시켜 안경렌즈(100)를 렌즈 메터기(41)의 재치대(42)에 올려 도수 및 프리즘을 측정하고 본체(43)를 상승시켜 안경렌즈(100)를 이동시키는 제2측정장치(40)와,
    상기 제1측정장치(20)와 제2측정장치(40)사이에 설치되고, 제1측정장치(20)와 제2측정장치(40)에서 안경렌즈(100)를 잡을 때 집게(33)(34)를 구동시키는 파지수단(30)과,
    상기 제2측정장치(40)에서 측정된 안경렌즈(100)를 종류별로 구분하여 배출시키는 컨베이어 장치(5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의 중심두께 및 도수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측정장치(20)는 본체(26)의 상,하부에 스텝모터(21)(21')가 설치되고, 상기 스텝모터(21)(21')에는 본체(26)를 관통하여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수직 방향의 스크류축(22)(22')을 설치하며, 상기 스크류축(22)(22')에는 암(23)(23')을 결합시켜 스크류축(22)(22')의 회전에 따라 암(23)(23')이 상하 이동되게 하고, 상기 암(23)(23')의 선단에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에어근접센서(24)(24')를 설치하는 한편 일단이 LM가이드(25)에 결합되어 이동되게 하며, 상기 LM가이드(25)의 이동거리는 측정기(27)에 의해 측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의 중심두께 및 도수 측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2측정장치(40)는 렌즈 메터기(41)의 재치대(42)와 분리되어 설치된 본체(43)의 하부에 이송구(47)를 설치하고, 본체(43)는 LM가이드(44)를 타고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이송구(47)는 모터(45)에 결합된 캠(46)에 접촉되게 하여 캠(46)의 회전시 캠(46)이 이송구(47)를 밀어 본체(43)가 상하 이동되게 하며, 상기 본체(43)의 상부에 설치된 컨베이어(40')에 놓인 안경렌즈(100)가 본체(43)의 하강시 재치대(42)위에 놓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의 중심두께 및 도수 측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파지수단(30)은 본체(39)의 내부에 안경렌즈(100)를 이동시키는 컨베이어(30')가 설치되고, 본체(39)의 상부에는 에어실린더(31)(31b)를 설치하되 상기 에어실린더(31)(31b)에는 본체(39)의 내측으로 역삼각형의 밀음편(32)(32b)을 설치하여 에어실린더(31)(31b)의 구동시 밀음편(32)(32b)이 하강하도록 하고, 밀음편(32)은 본체(39)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가이드봉(36)(37)에 끼워진 집게(33)(34)사이에 위치하여 집게(33)(34)를 양쪽으로 벌려주게 하며, 상기 집게(33)(34)는 밀음편(32a)(32b)를 이용하여 각각 벌려주게 설치되고, 집게(33)(34) 사이에는 스프링(35)(35')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의 중심두께 및 도수 측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집게(33)(34)의 선단에는 내측으로 홈이 형성된 플라스틱재(33a)(34a)를 결합시켜 안경렌즈(100)의 중심부를 정확히 파지 할 수 있도록 하는 안경렌즈의 중심두께 및 도수 측정장치.
KR10-2004-0022451A 2004-03-31 2004-03-31 안경렌즈의 중심두께 및 도수 측정장치 KR100507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2451A KR100507965B1 (ko) 2004-03-31 2004-03-31 안경렌즈의 중심두께 및 도수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2451A KR100507965B1 (ko) 2004-03-31 2004-03-31 안경렌즈의 중심두께 및 도수 측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1997U Division KR200327809Y1 (ko) 2003-07-08 2003-07-08 안경렌즈의 중심두께 및 도수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6022A KR20050006022A (ko) 2005-01-15
KR100507965B1 true KR100507965B1 (ko) 2005-08-22

Family

ID=37220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2451A KR100507965B1 (ko) 2004-03-31 2004-03-31 안경렌즈의 중심두께 및 도수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79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64242A (zh) * 2021-12-22 2022-04-01 江西联益光学有限公司 一种镜片测量设备及其测量方法
CN115266041A (zh) * 2022-08-10 2022-11-01 深圳市吉美光学有限公司 一种光学镀膜镜片的光学检测系统及检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6022A (ko) 2005-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0601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contact lens molds
KR101700130B1 (ko) 서스펜션 베어링의 이중 사출 성형 방법
CN112845177A (zh) 一种盒子标签及外观自动检测设备
CN115588639A (zh) 芯片供给装置及芯片供给方法
CN110741239A (zh) 轮胎输送装置、具备其的轮胎试验系统及轮胎输送方法
CN106872475A (zh) 一种料片检测机
CN108724168A (zh) 轮胎搬运机器人末端执行器
KR20110012152A (ko) 렌즈몰드 자동 분리장치
KR100507965B1 (ko) 안경렌즈의 중심두께 및 도수 측정장치
CN214865377U (zh) 一种盒子标签及外观自动检测设备
KR200327809Y1 (ko) 안경렌즈의 중심두께 및 도수 측정장치
CN107664557B (zh) 陶瓷压力传感器等级分拣装置
CN212206970U (zh) 自动校验落锤机
KR101491955B1 (ko) 사출품 제조 장치
KR102321749B1 (ko) 차량용 배터리케이스 두께 검사장치
WO2009035179A1 (en) Bad hanger detecting and removal apparatus for curing machine
CN104215642B (zh) 轴承滚子外观检查装置以及用其检查轴承滚子外观的方法
KR200329955Y1 (ko) 몰드의 곡률 측정기
KR200260434Y1 (ko) 탭핑기의 몰드 투입 및 배출 장치
KR101328864B1 (ko) 크랭크샤프트 위상정렬방법과 그 장치
CN209997963U (zh) 轴承内圈孔径检测设备的自动分拣装置
KR100719914B1 (ko) 완성타이어 규격인식 검사장치
CN110560909A (zh) 一种电容流水线自动激光打标装置
CN110385278B (zh) 一种汽车转向器齿轮套筒检测装置
CN210730209U (zh) 一种汽车转向器齿轮套筒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