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7102B1 - 운전상태 학습을 이용한 차량 점검방법 - Google Patents

운전상태 학습을 이용한 차량 점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7102B1
KR100507102B1 KR10-2002-0076324A KR20020076324A KR100507102B1 KR 100507102 B1 KR100507102 B1 KR 100507102B1 KR 20020076324 A KR20020076324 A KR 20020076324A KR 100507102 B1 KR100507102 B1 KR 100507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ition
vehicle
satisfied
learning
inspection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6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9327A (ko
Inventor
이경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6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7102B1/ko
Publication of KR20040049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9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7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71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2041/228Warning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운전상태 학습을 이용한 차량 점검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운전상태 학습을 이용한 차량 점검방법은, (a) 차량이 일정 시간동안 정속으로 주행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b) 상기 단계 (a)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로깅 기간의 흡입 공기량, 기어의 단수, 엔진의 회전수, 차속, 산소센서의 신호를 ECU에 저장하는 단계와; (c) 상기 차량에서 같은 조건 발생시 기존의 학습 데이터와 비교시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와; (d) 상기 단계 (c)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기울기가 더 커졌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e) 상기 단계 (d)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전영역의 점화시기를 진각 시키는 단계와; (f) 성능 저하용 경고등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적용으로 운전자는 차량을 주행할 때 차량의 노후화 및 여러 가지 상황의 변화로 인하여 차량의 변화가 발생을 하여서 흡배기 및 엔진의 하드웨어(hardware)적인 변화가 발생하였을 때 소프트웨어(software)로 보완하고, 하드웨어의 문제를 운전자가 쉽게 경고등만으로 신속하게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운전상태 학습을 이용한 차량 점검방법{METHOD OF CHECKING VEHICLE USING LEARNING FOR DRIVING CONDITION}
본 발명은 운전상태 학습을 이용한 차량 점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흡배기 및 엔진의 하드웨어(hardware)적인 변화가 발생하였을 때 소프트웨어(software)적으로 보완하고, 하드웨어의 문제를 운전자가 쉽게 경고등만으로 신속하게 조치를 취할 수 있고, 운전자에게 보다 편리하게 정비를 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운전상태 학습을 이용한 차량 점검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OBD(On Board Diagnosis) 기술은 각종 센서(sensor) 및 액추에이터(actuator)의 고장(fail) 발생시 이를 MIL(Malfunction Indication Lamp) 등을 통해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기능과, 북미의 OBD-II의 센서 및 액추에이터의 고장 및 기능저하를 운전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정도이다.
그리고 현재의 기술로는 엔진의 출력 변화, 흡기 또는 배기 각 부분의 실링(sealing)된 부분의 미세한 리킹(leaking) 발생시에는 운전자가 알 수 있는 기능이 없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흡기계나 배기계에서 파손이나 리크(leak) 발생 및 엔진의 문제로 인하여 성능 저하가 발생을 하였을 때, 이를 운전자가 점검할 수 없다. 또한 리킹이 과다하여 연료량 피드백(feedback) 및 학습치를 넘어서는 경우 발생시 이에 따른 연비 및 이미션(emission)의 악화를 감수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현재의 기술 상태로 운전성에는 큰 문제점은 없으나, 흡기계의 리크시 발생할 수 있는 실제 공기량의 변화는 흡입 공기량 센서에서 측정된 공기량과 실제의 공기량의 변화를 가져온다.
이로 인하여 연료량의 오류가 발생하며, 운전성 및 연비의 악화를 초래할 뿐 아니라, 피드백의 불가능으로 인한 부분 로드(partial load) 구간의 이미션 악화로 인한 대기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배기계에서는 리킹으로 인한 실제 공연비의 변화가 발생시 산소센서의 출력값의 실제 공연비의 미반영으로 인하여 이미션의 악화가 우려되는 실정이다.
첨부한 도 1a 및 도 1b는 정상상태와 리킹 발생시의 공기량 및 공연비의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흡배기 및 엔진의 하드웨어의 문제를 운전자가 쉽게 경고등만으로 신속하게 조치를 취할 수 있고, 운전자에게 보다 편리하게 정비를 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운전상태 학습을 이용한 차량 점검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운전상태 학습을 이용한 차량 점검방법은, (a) 차량이 일정 시간동안 정속으로 주행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b) 상기 단계 (a)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로깅 기간의 흡입 공기량, 기어의 단수, 엔진의 회전수, 차속, 산소센서의 신호를 ECU에 저장하는 단계와; (c) 상기 차량에서 같은 조건 발생시 기존의 학습 데이터와 비교시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와; (d) 상기 단계 (c)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기울기가 더 커졌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e) 상기 단계 (d)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전영역의 점화시기를 진각 시키는 단계와; (f) 성능 저하용 경고등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상태 학습을 이용한 차량 점검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플로차트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운전상태 학습을 이용한 차량 점검방법은, 우선, 차량이 일정 시간동안 정속으로 주행하는지 판단한다.(단계 110)
상기 단계 110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재수행을 하고, 그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즉, 차량이 정속으로 주행하면 로깅(logging) 기간의 흡입 공기량, 기어의 단수, 엔진의 회전수(rpm), 차속 및 산소센서의 신호(signal)를 차량의 엔진제어기인 ECU에 저장한다.(단계 120)
이어서, 차량에서 같은 조건이 발생하면 기존의 학습 데이터와 비교하여 동일한지 판단한다.(단계 130)
상기 단계 130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즉, 비교 데이터가 동일하지 않으면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기울기가 더 커졌는지 판단한다.(단계 140)이에 반해, 상기 단계 130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단계 410을 수행한다.
상기 단계 140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전영역의 점화시기를 진각 예컨대, 2도 정도를 진각시킨다.(단계 150)이에 반해, 상기 단계 140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단계 210을 수행한다.
그리고 성능 저하용 경고등을 작동(on)시킨다.(단계 160)
한편, 상기 단계 140에서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흡입 공기량에 변화가 없는가를 판단한다.(단계 210)
상기 단계 210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즉, 흡입 공기량에 변화가 있으면 MIL 코드 맵(code map) 제어를 수행한다.(단계 220)이에 반해, 상기 단계 210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단계 310을 수행한다.
또한 흡기계 점검 경고등을 작동(on)시킨다.(단계 230)
다른 한편으로, 상기 단계 210에서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산소센서의 신호에 변화가 없는가를 판단한다.(단계 310)
상기 단계 310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산소센서의 신호에 대한 피드백을 금지시킨다.(단계 320)이에 반해, 상기 단계 310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단계 410을 수행한다.
이어서, 배기계 점검 경고등을 작동(on)시킨다.(단계 330)
또 다른 한편으로, 상기 단계 310 또는 130에서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기존의 맵 데이터를 사용하여 엔진을 제어하도록 한다.(단계 410)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전상태 학습을 이용한 차량 점검방법을 보충 설명한다.
기어의 단수를 일정하게 놓고 운행을 하면 차량이 동일할 경우 같은 궤적을 그리게 된다. 그리고 기어의 단수를 높이면 차속 증가 기울기도 커지게 된다. 이는 차량상태에 큰 변화가 없다면 항상 같은 궤도를 그리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운전자가 정속 주행하는 경우, 그 주행 조건을 기억하고, 학습을 하여 차량상태를 점검하는 것이다. 그리고 로깅 데이터(logging data)가 평소에 학습하고 있는 값들을 벗어난다면, 이는 엔진의 성능저하, 흡기계 및 배기계 리크 등 엔진의 상태가 기존의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성능 저하 발생시 점화시기 진각 등으로 일시적인 성능을 보완한다.
그리고 페일 세이프 맵(fail safe map)으로 변환하여 연료량의 불일치로 인한 엔진의 부조를 방지하고, 또한 엔진 및 흡배기에 대한 점검을 하게 하는 MIL등을 점등시킨다.
이는 차량의 상태를 운전자에게 신속히 알려주어서 운전자에게 필요부분을 정비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전상태 학습을 이용한 차량 점검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본 기술의 적용으로 운전자는 차량을 주행할 때 차량의 노후화 및 여러 가지 상황의 변화로 인하여 차량의 변화가 발생을 하여서 흡배기 및 엔진의 하드웨어(hardware)적인 변화가 발생하였을 때 소프트웨어(software)로 보완하고, 하드웨어의 문제를 운전자가 쉽게 경고등만으로 신속하게 조치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미세한 변화로 인한 것은 연료량 학습으로 가능하지만 이 범위를 벗어나는 하드웨어적인 문제 발생시 종래에는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것에 한계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적용으로 그 한계를 극복할 수 있고 강화된 림프홈(Limp Home) 기능은 운전자가 보다 편리하게 정비를 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정상상태와 리킹 발생시의 공기량 및 공연비의 차이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상태 학습을 이용한 차량 점검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플로차트.

Claims (5)

  1. (a) 차량이 일정 시간동안 정속으로 주행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b) 상기 단계 (a)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로깅 기간의 흡입 공기량, 기어의 단수, 엔진의 회전수, 차속, 산소센서의 신호를 ECU에 저장하는 단계와;
    (c) 상기 차량에서 같은 조건 발생시 기존의 학습 데이터와 비교시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와;
    (d) 상기 단계 (c)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기울기가 더 커졌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e) 상기 단계 (d)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전영역의 점화시기를 진각 시키는 단계와;
    (f) 성능 저하용 경고등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상태 학습을 이용한 차량 점검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g) 상기 단계 (d)에서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흡입 공기량에 변화가 없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h) 상기 단계 (g)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MIL 코드 맵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와;
    (i) 흡기계 점검 경고등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상태 학습을 이용한 차량 점검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j) 상기 단계 (g)에서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산소센서의 신호에 변화가 없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k) 상기 단계 (j)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산소센서의 신호에 대한 피드백을 금지시키는 단계와;
    (l) 배기계 점검 경고등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상태 학습을 이용한 차량 점검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j)에서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기존의 맵 데이터를 사용하여 엔진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상태 학습을 이용한 차량 점검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기존의 맵 데이터를 사용하여 엔진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상태 학습을 이용한 차량 점검방법.
KR10-2002-0076324A 2002-12-03 2002-12-03 운전상태 학습을 이용한 차량 점검방법 KR100507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6324A KR100507102B1 (ko) 2002-12-03 2002-12-03 운전상태 학습을 이용한 차량 점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6324A KR100507102B1 (ko) 2002-12-03 2002-12-03 운전상태 학습을 이용한 차량 점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9327A KR20040049327A (ko) 2004-06-12
KR100507102B1 true KR100507102B1 (ko) 2005-08-09

Family

ID=37343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6324A KR100507102B1 (ko) 2002-12-03 2002-12-03 운전상태 학습을 이용한 차량 점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71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5578A (ja) * 1985-01-30 1986-08-07 Hino Motors Ltd 自動車用の制御装置
US5019799A (en) * 1981-08-06 1991-05-28 Nissan Motor Company, Limited Electronic device with self-monitor for an automotive vehicle
KR970044989A (ko) * 1995-12-31 1997-07-26 전성원 MIL(Malfunction Information Lamp) 디스플레이 장치
KR20000025130A (ko) * 1998-10-08 2000-05-06 홍종만 차량의 전장품 고장경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9799A (en) * 1981-08-06 1991-05-28 Nissan Motor Company, Limited Electronic device with self-monitor for an automotive vehicle
JPS61175578A (ja) * 1985-01-30 1986-08-07 Hino Motors Ltd 自動車用の制御装置
KR970044989A (ko) * 1995-12-31 1997-07-26 전성원 MIL(Malfunction Information Lamp) 디스플레이 장치
KR20000025130A (ko) * 1998-10-08 2000-05-06 홍종만 차량의 전장품 고장경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9327A (ko) 2004-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8515B2 (en) Fuel injection controller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8725391B2 (en) Method for identifying an error function and in particular a drift of a rail pressure sensor in a common rail injection system
KR100538375B1 (ko) 내연 기관의 고장 검출 장치
JPS639099B2 (ko)
JP2008057413A (ja) 車両の特性記憶装置及び方法
KR100507102B1 (ko) 운전상태 학습을 이용한 차량 점검방법
KR100860228B1 (ko) 흡기 시스템의 pcv 호스 캡 열림 진단 방법
KR101080777B1 (ko) 자동차의 cda 엔진용 오일제어밸브의 고장진단 방법
KR100693725B1 (ko) 흡기 시스템의 누설 감지 방법
KR0158139B1 (ko) 전기부하에 따른 아이들 동작 보정장치 및 그 방법
JPS62103446A (ja) 内燃機関制御装置
KR20020089534A (ko) 특히 자동차 엔진용 연료 공급 시스템 작동 방법
KR0174238B1 (ko) 공기량 감지 센서 고장시 림프 홈 제어 방법
KR100520524B1 (ko) 엔진의 공회전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534790B1 (ko) 차량에서 흡기계 리크 검출장치 및 방법
JP4055331B2 (ja) 診断装置
KR20030047062A (ko) 차량의 리어 산소센서 비정상 작동 판정방법
KR100205902B1 (ko) 차속센서의 결함 판정방법
JP5980112B2 (ja) 車両情報記憶処理装置および車両情報記憶処理方法
KR100427269B1 (ko) 공연비 피드백 제어 시스템의 고장 판정방법
US20220003182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agnosing misfire of engine
KR100448817B1 (ko) 후단산소센서의 출력 학습방법
KR100248112B1 (ko) 차량용 연료 계통의 학습 제어 방법
JP2668037B2 (ja) 自動車用エンジン
KR100422668B1 (ko) 차량의 맵 센서 고장시 공기량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