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6988B1 - 영상 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촬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6988B1
KR100506988B1 KR10-2003-0028109A KR20030028109A KR100506988B1 KR 100506988 B1 KR100506988 B1 KR 100506988B1 KR 20030028109 A KR20030028109 A KR 20030028109A KR 100506988 B1 KR100506988 B1 KR 100506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 sensor
barrel
lens system
imaging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8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4133A (ko
Inventor
오형렬
노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소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소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소닉
Priority to KR10-2003-0028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6988B1/ko
Publication of KR20040094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4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6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9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H04M1/0212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with a two degrees of freedom mechanism, i.e. folding around a first axis and rotating around a secon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Abstract

소형 영상 촬영 장치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시스템은, 접이식 힌지를 가지는 영상 통신 또는 카메라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하여 휴대 단말기 본체에 영상을 공급하는 영상촬영 장치로서; 상기 영상촬영 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기 힌지부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영상촬영 장치는 영상 센서, 1개 이상의 촬상 렌즈들, 상기 영상센서와 상기 렌즈들을 기구적으로 고정 시키기 위한 기구 구조, 영상의 촬영 방향을 상기 힌지 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하기 위한 촬영 방향 전환 거울, 영상 촬영 방향을 임으로 바꿀 수 있도록 하는 거울의 회전 기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영상 센서에 충분한 광을 공급하도록 하여 영상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줌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영상 촬영의 적용 분야를 다양화 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 촬영 장치{Imaging Device}
본 발명은 영상 통신 또는 카메라 기능을 가지고 있고, 힌지를 가지는 접이식 휴대 단말기의 영상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 하게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기 힌지 부위에 상기 힌지 축과 일직선상으로 영상 센서, 1개 이상의 촬상 렌즈계를 포함하는 영상 촬영장치를 구성하고, 영상 촬영 방향을 상기 힌지 축과 수직하게 하기 위하여 거울을 사용한 영상 촬영 장치의 구조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휴대 단말기 중 휴대폰의 경우에 있어서 종래의 영상 촬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를 갖는 접이식 휴대폰(100)은 윗면 커버 부분(100a)과 본체 부분(100b)로 나누어져, 힌지(120)를 축으로 하여 접을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본체 부분(100b)에는 휴대폰 작동을 위한 버튼(150)들이 구비된다. 영상 촬영 장치(130)은 휴대폰(100)의 힌지(120)부에 인접하여 장착되며, 피 촬영 영상을 받아 들이기 위한 광 입사창(140)을 갖는다. 영상 촬영 장치(130)의 내부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영상 촬영 장치(130)는 영상 정보를 전기신호로 전환시키는 영상센서(160), 입사광을 영상센서 면에 모아주는 렌즈(170), 입사광의 폭 및 양을 제한하는 조리개(180) 그리고 광 입사 창(140)으로 구성된다. 도 1의 구성에서 영상 촬영장치(130)는 임의 방향의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영상 촬영 장치(130)를 힌지(1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190)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영상 촬영 장치(130)를 힌지(1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시켜, 광 입사창(140)이 휴대폰(100)의 윗면 커버 부분(100a) 위에 부착된, 영상표시소자(200)와 같은 방향에 있도록 조정한 구성이다. 도 3a와 도 3b는 영상 촬영 장치(130)의 광 입사창(140)의 방향에 따를 두 촬영 모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와 같이 광 입사창(140)의 방향을 설정한 경우 휴대폰의 사용자는 일 반 카메라와 같이 멀리 떨어진 피사체(300)를 촬영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광 입사창(140)을 설정한 경우 휴대폰의 사용자는 자신의 사진(310)을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촬영 장치의 구성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센서(160)와 렌즈(170) 및 조리개(180)가 힌지 축에 직각 방향, 즉 휴대폰의 두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구성되어 있어, 영상센서(160)으로부터 렌즈(170) 끝 단까지의 거리가 휴대폰의 두께에 의하여 제약을 받는다. 이러한 제약에 따라 복수의 렌즈를 사용하기가 곤란하여 단일 렌즈를 사용하며, 단일 렌즈 사용에 따른 광학 수차를 제거하기 위하여 핀홀 카메라와 같이 매우 작은 직경의 조리개를 사용한다. 이러한 핀홀 카메라 방식은 영상센서로 입사하는 광량이 매우 작아, 촬영된 영상의 질이 나쁘고, 단일 렌즈의 한계에 의한 색 수차, 구면 수차 그리고 광량 불 균일 문제를 일으킨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센서로 입사하는 광 량이 적은 문제와 단일 렌즈 사용에 따라 광학적인 수차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영상 촬영 장치의 구성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접이식 휴대 단말기의 힌지 축 내에 순차적으로 축방향으로 장착되는 영상센서, 1매 이상의 촬상렌즈계;상기 촬상렌즈계에 입사되는 피사체의 영상을 굴절시키기 위하여 상기 힌지 축 내에 설치되는 광반사체; 및상기 거울을 내부에 장착하며, 촬영 방향의 임의 조정을 위하여 상기 힌지 축으로부터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회전 경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영상 센서에 맺히는 영상의 배율을 가변적으로 하기 위하여, 촬상 렌즈계의 일부 렌즈는 고정시키고, 나머지 렌즈를 상기 영상 센서가 수납되어 있는 힌지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렌즈의 이동에 따른 상기 영상 센서 상의 초점 틀어짐을 제거 하기 위하여, 상기 영상센서와 전체 촬상 렌즈계 간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영상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하나의 본 발명은, 접이식 휴대 단말기의 힌지 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경통;상기 회전 경통내에 순차적으로 축방향으로 장착되는 영상센서, 1매 이상의 촬상렌즈계; 및상기 촬상렌즈계에 입사되는 피사체의 영상을 굴절시키기 위하여 상기 힌지 축 내에 설치되는 광반사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영상 센서에 맺히는 영상의 배율을 가변적으로 하기 위하여, 촬상 렌즈계의 일부 렌즈는 고정시키고, 나머지 렌즈를 상기 영상 센서가 수납되어 있는 힌지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렌즈의 이동에 따른 상기 영상 센서 상의 초점 틀어짐을 제거 하기 위하여, 상기 영상센서와 전체 촬상 렌즈계 간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영상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영상 촬영 장치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하기 위하여, 상기 촬상 렌즈계를 상기 힌지 축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별도의 렌즈 경통에 조립하고, 상기 회전 경통은 상기 렌즈 경통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조립하며,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렌즈 경통을 상기 힌지 축의 내부로 삽입하여 영상 촬영 장치의 전체적인 길이를 줄이고, 카메라를 사용할 경우에만 상기 렌즈 경통을 상기 힌지 축으로부터 돌출 시킨다.상기 광반사체는 거울 또는, 직각 프리즘으로 이루어진다.상기 영상 센서에 맺히는 영상이 촬상 렌즈계의 상면 완곡에 의하여 왜곡되는 것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영상센서와 촬상렌즈계 사이에 상면 완곡 보정 렌즈를 장착한다. 상기 촬상 렌즈계를 고정 렌즈부와 가동 렌즈부로 나누고, 상기 가동 렌즈부에 고정핀을 갖는 줌 경통을 조립하며, 상기 고정핀을 직선이동시킬 수 있는 캠 구조를 갖는 통형 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통형 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줌 경통을 직선이동시킨다.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영상 촬영 장치는 고정 경통(400)과 회전경통(410), 영상 센서(420), 1개 인상으로 구성되는 촬상렌즈계(430), 촬영 방향 전환 거울(440) 그리고 광 입사창(45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외부에서 입사하는 광은 광 입사창(450)을 통하여 회전 경통(410)의 내부로 입사한다. 상기 입사광은 촬영 방향 전환 거울(440)에서 꺾어져 상기 경통(410) 축에 평행하게 진행한다. 꺾어진 광은 상기 촬상 렌즈계(430)에 의하여 상기 영상 센서(420) 면에 초점이 형성되어 피사체의 영상을 상기 영상 센서(420)면에 형성한다. 도 4에서 피사체는 도시 되어 있지 않다.
상기 촬영 방향 전환 거울(440)을 수납하고 있는 상기 회전 경통(410)을 회전(46)시킴에 따라 상기 광 입사창(450)의 방향이 변하게 되어 촬영 방향을 조정된다.
도 7은 상기 영상 촬영 장치를 휴대 단말기 중 접이식 휴대폰에 적용한 일 실시 예 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윗면 커버 부분(500a)과 몸체 부분(500b)으로 구성되는 접이식 휴대폰(500)은 위 커버 부분(500a)과 몸체 부분(500b)을 연결하는 힌지(520)를 이용하여 접을 수 있는 구조 이며, 휴대폰 몸체 부분(500b) 위에는 휴대폰 작동을 위한 버튼(510)들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영상 촬영 장치는 상기 힌지(520) 부와 나란히 인접하여 장착되며, 상기 영상 촬영 장치의 고정 경통(400)은 상기 힌지(520) 부의 고정 부분에 고정 된다.
도 7의 구성을 통하여, 상기 영상 촬영 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은 휴대폰의 제어 회로(도시 되어 있지 않음)에 입력되어, 휴대폰을 영상 통신 단말기 또는 카메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힌지(520) 부는 상기 휴대폰의 위 커버 부분(500a)에 고정된 부재(520a)와 상기 휴대폰 몸체에 고정된 부재(520b)로 구성되며, 이 두 부재(520a, 520b)는 연결 축(600)에 의하여 결합되어 힌지로서 작동하게 된다. 상기 영상 촬영 장치의 고정 경통(400)은 상기 휴대폰 몸체에 고정된 힌지 부재(520b)와 고정 결합되며, 상기 회전 경통(410)은 상기 고정 경통(400)에 끼워져 회전하는 구조로 조립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 경통(410)은 상기 힌지(520)에 대하여 회전하는 구조가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 경통(410)을 회전 시켜, 상기 촬영 방향 전환 거울(440)의 방향을 조정, 촬영 방향을 임의로 조정한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영상 센서(420)은 고정 경통(700) 내에 고정되고, 상기 촬상 렌즈계(430)는 상기 고정 경통(700) 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렌즈 경통(710)에 장착된다. 상기 촬영 방향 전환 거울(440)은 상기 고정 경통(700) 축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는 회전 경통(720)에 장착된다. 도 9는 본 구성에서 카메라를 사용할 때의 경통의 배치이며,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을 때의 구성을 도 10에 도시 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렌즈 경통(710)은 고정 경통(700)을 따라 상기 영상 센서(420) 방향으로, 상기 고정 경통(700) 안으로 삽입되어 영상 촬영 장치의 전체적인 길이가 줄어 든다. 도 11과와 도 12는 도 9와 도 10의 구성을 휴대폰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를 사용할 경우에는 도 11과 같이 상기 렌즈 경통(710)이 상기 고정 경통(700)으로부터 나와 있어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경통(720)이 휴대폰(500)의 밖으로 돌출되므로, 촬영 방향의 조작이 용이해 진다.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 12와 같이 상기 렌즈 경통(710)이 고정 경통(7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전체 길이가 짧아지므로, 회전 경통(720) 휴대폰(500) 밖으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 예에서는 촬영 방향 전환 거울(440)을 제외하고는 도 6의 구성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구성은 촬영 방향 전환 거울(440)을 작은 공간 안에 수납되도록 할 때, 거울의 두께가 얇아져 강성이 약해지고, 조립의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직각 프리즘(800)을 사용하였다. 외부에서 입사하는 광은 광 입사창(450)을 통하여 회전 경통(410)의 내부로 진입하고, 직각 프리즘(800)의 한 쪽 면으로 입사하여, 직각 프리즘(800)의 사변에서 반사되어, 직각 프리즘(800)의 나머지 한 면에서 직각 프리즘을 나와, 촬상 광학계(430)을 거쳐 영상센서(420)에 도달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영상 촬영 장치의 경통을 고정 경통과 회전 경통으로 나누지 않고, 단일 회전 경통(910) 내에 상기 영상센서(420), 상기 촬상 렌즈계(430) 및 상기 촬영 방향 전환 거울(440)을 모두 장착한다. 본 구성에서 회전 경통(910)은 힌지부(520)에 고정된 부재(9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조립되어, 상기 회전 경통(910)의 회전에 따라 촬영 방향을 임의로 조정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촬상 렌즈계(1040)가 가질 수 있는 상기 영상 센서(420) 상에서의 상면 완곡 문제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영상 센서(420)와 촬상 광학계(1040) 사이에 상면 완곡 보상 렌즈(1000) 즉 상 평탄화 렌즈를 삽입한다. 이에 따라 영상 센서(420) 상에서의 상면완곡 에러가 크게 감소되어 촬영되는 영상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촬상 렌즈계를 고정 렌즈부(1180)와 가동 렌즈부(1190)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이 구성에서 상기 가동 렌즈부(1180)를 움직여, 상기 영상센서(420)에 맺히는 영상의 확대 비율이 변화하는 줌 기능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가동 렌즈부(1180)는 줌 경통(1140)에 조립되어 고정핀(1150)을 통하여 캠 구조를 갖는 통 형 부재(1160)에 연결된다. 줌 경통의 자세한 실시 예를 도 17에 도시 하였다. 측면에 캠(1210) 구조를 갖는 통 형 부재(1160)의 회전에 따라, 캠(1210)의 접촉력이 고정핀(1150)에 전달되어 줌 경통(1140)을 직선 이동시키게 된다. 캠 구조를 갖는 통 형 부재(1160)는 수동이나 자동으로 구동될 수 있다.
다시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가동 렌즈부(1190)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영상 센서(420) 면에 맺히는 상의 초점이 흐려 지는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하여, 상기 줌 경통(1140)을 움직이는 방식과 유사하게, 상기 영상 센서(420)의 고정 부재(1110)를 미세하게 이동하여 초점을 맞추며, 이 이동은 고정핀(1120)과 회전 캠 부재(1130)에 의하여 이루어 진다. 상기 영상센서(420) 이송용 회전 캠 부재(1130)의 회전은 수동이나 자동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8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 한다.
도 18의 구성 예에서는 도 6의 구성에서 촬영 방향 전환 거울을 제가하여, 광 입사창(1330)이 상기 영상센서(420)와 상기 촬상 렌즈계(430)가 배열된 힌지(1340)축에 일치하도록 구성되며, 영상 표시 소자가 부착된 상기 휴대폰 위 커버 부분(1300a)이 상기 힌지(1340)에 평행 및 수직인 방향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 구성에서는 영상 촬영 방향이 휴대폰(13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위 커버(1300a)를 임의로 움직여 영상을 촬영한다.
본 발명은, 접이식 힌지를 가지는 영상 통신 또는 카메라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하여 휴대 단말기 본체에 영상을 공급하는 영상촬영 장치로서; 상기 영상촬영 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기 힌지부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영상촬영 장치는 영상 센서, 1개 이상의 촬상 렌즈들, 상기 영상센서와 상기 렌즈들을 기구적으로 고정 시키기 위한 기구 구조, 영상의 촬영 방향을 상기 힌지 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하기 위한 촬영 방향 전환 거울, 영상 촬영 방향을 임으로 바꿀 수 있도록 하는 거울의 회전 기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영상 센서에 충분한 광을 공급하도록 하여 영상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줌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영상 촬영의 적용 분야를 다양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하나의 실시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휴대 단말기용 영상 촬영 장치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이다.
도 3은 도 1의 영상 촬영 장치에서 카메라를 회전시킨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1의 영상 촬영자의 촬영 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영상 촬영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영상 촬영장치를 휴대폰에 적용한 시스템의 구성도 이다.
도 8은 휴대폰의 힌지 부와 영상 촬영 장치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경통 길이를 가변적으로 구성한 영상 촬영 장치 구성에서 촬영을 위해서 경통을 돌출시켰을 때의 구성도 이다.
도 10은 도 9의 구성에서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을 때 경통을 밀어 넣은 구성도 이다.
도 11은 도 9의 길이 가변 경통 구성을 휴대폰에 적용한 구성도 이다.
도 12는 도 9의 길이 가변 경통 구성을 휴대폰에 적용한 구성도 이다.
도 13은 도 6의 구성에서 거울을 직각 프리즘으로 구성한 예이다.
도 14는 도 6의 구성에서 거울만을 회전 시키지 않고, 영상 촬영 장치 전체를 회전하도록 한 구성도 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촬상 광학계의 상면 완곡을 보상하기 위하여, 상면 완곡 보상 렌즈를 영상 센서의 앞에 구비한 구성도 이다.
도 16은 촬상 광학계의 일부와 영상 센서를 움직이도록 하여, 영상센서에서의 확대비가 바뀌는 영상 줌이 되도록 한 구성이다.
도 17은 도 16의 촬상 광학계와 영상센서를 이동 시키기 위한 캠 구조의 도면이다.
도 18은 도 6의 구성을 휴대폰에 적용한 경우에, 거울을 제거하여 영상 촬영 방향이 힌지 축과 평행하게 하고, 휴대폰의 위 커버 부분이 회전하도록 한 구성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0: 영상촬영 장치 경통
410: 거울 회전 기구
430: 영상센서
430: 촬상 광학계
440: 촬영 방향 전환 거울
500: 휴대폰 몸체
620: 휴대폰 힌지
800: 촬영 방향 전환 프리즘
1160: 영상 줌을 위한 캠 구조

Claims (7)

  1. 접이식 휴대 단말기의 힌지 축 내에 순차적으로 축방향으로 장착되는 영상센서, 1매 이상의 촬상렌즈계;
    상기 촬상렌즈계에 입사되는 피사체의 영상을 굴절시키기 위하여 상기 힌지 축 내에 설치되는 광반사체; 및
    상기 거울을 내부에 장착하며, 촬영 방향의 임의 조정을 위하여 상기 힌지 축으로부터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회전 경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영상 센서에 맺히는 영상의 배율을 가변적으로 하기 위하여, 촬상 렌즈계의 일부 렌즈는 고정시키고, 나머지 렌즈를 상기 영상 센서가 수납되어 있는 힌지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렌즈의 이동에 따른 상기 영상 센서 상의 초점 틀어짐을 제거 하기 위하여, 상기 영상센서와 전체 촬상 렌즈계 간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영상 촬영 장치.
  2. 접이식 휴대 단말기의 힌지 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경통;
    상기 회전 경통내에 순차적으로 축방향으로 장착되는 영상센서, 1매 이상의 촬상렌즈계; 및
    상기 촬상렌즈계에 입사되는 피사체의 영상을 굴절시키기 위하여 상기 힌지 축 내에 설치되는 광반사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영상 센서에 맺히는 영상의 배율을 가변적으로 하기 위하여, 촬상 렌즈계의 일부 렌즈는 고정시키고, 나머지 렌즈를 상기 영상 센서가 수납되어 있는 힌지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렌즈의 이동에 따른 상기 영상 센서 상의 초점 틀어짐을 제거 하기 위하여, 상기 영상센서와 전체 촬상 렌즈계 간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영상 촬영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영상 촬영 장치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하기 위하여, 상기 촬상 렌즈계를 상기 힌지 축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별도의 렌즈 경통에 조립하고, 상기 회전 경통은 상기 렌즈 경통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조립하며,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렌즈 경통을 상기 힌지 축의 내부로 삽입하여 영상 촬영 장치의 전체적인 길이를 줄이고, 카메라를 사용할 경우에만 상기 렌즈 경통을 상기 힌지 축으로부터 돌출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체는 거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체는 직각 프리즘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영상 센서에 맺히는 영상이 촬상 렌즈계의 상면 완곡에 의하여 왜곡되는 것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영상센서와 촬상렌즈계 사이에 상면 완곡 보정 렌즈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촬상 렌즈계를 고정 렌즈부와 가동 렌즈부로 나누고, 상기 가동 렌즈부에 고정핀을 갖는 줌 경통을 조립하며, 상기 고정핀을 직선이동시킬 수 있는 캠 구조를 갖는 통형 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통형 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줌 경통을 직선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KR10-2003-0028109A 2003-05-02 2003-05-02 영상 촬영 장치 KR100506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109A KR100506988B1 (ko) 2003-05-02 2003-05-02 영상 촬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109A KR100506988B1 (ko) 2003-05-02 2003-05-02 영상 촬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4133A KR20040094133A (ko) 2004-11-09
KR100506988B1 true KR100506988B1 (ko) 2005-08-09

Family

ID=37373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8109A KR100506988B1 (ko) 2003-05-02 2003-05-02 영상 촬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69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85401B2 (en) 2021-07-12 2024-05-14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82463B2 (en) 2003-12-23 2007-02-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ixel-shifting projection lens assembly to provide optical interlacing for increased addressability
KR100713379B1 (ko) * 2005-06-15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2459243B1 (ko) 2015-10-08 2022-10-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촬영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85401B2 (en) 2021-07-12 2024-05-14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4133A (ko) 2004-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9816B2 (en) Mobile terminal device having camera system
US6829011B1 (en) Electronic imaging device
KR100803504B1 (ko) 듀얼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JP2017116814A (ja) カメラモジュール、撮像装置及び通信装置
JP2008507936A (ja) 光学ズーム機能が可能な携帯用端末器カメラモジュール
US8488046B2 (en) Configurable tele wide module
JP4191501B2 (ja) 携帯情報端末装置
JP2006276240A (ja) ズームレンズ装置
CN112394536B (zh) 一种光学防抖装置及控制方法
US6710936B2 (en) Image sensor module with zooming function
KR100506988B1 (ko) 영상 촬영 장치
WO2004099870A1 (ja) カメラ
JP2002262164A (ja) 撮影機能付電子機器
JP2007005912A (ja) 電子撮像装置
CN112887563B (zh) 镜头装置和电子设备
JP2007310169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とそ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携帯端末
TW201535005A (zh) 鏡頭模組
JP2006276242A (ja) ズームレンズ装置
RU2006126706A (ru) Терминал связи с поворотной фотокамерой
US6647207B2 (en) Parallax correction for close focus
KR100542074B1 (ko) 소형 휴대단말기용 카메라장치
KR100526652B1 (ko) 소형 휴대단말기용 카메라장치
JP4050934B2 (ja) 携帯情報端末装置
KR101109590B1 (ko) 경통 모듈
JP2007310170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とそ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