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6920B1 - 자동차의 트렁크 비상탈출신호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트렁크 비상탈출신호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6920B1
KR100506920B1 KR10-2003-0061505A KR20030061505A KR100506920B1 KR 100506920 B1 KR100506920 B1 KR 100506920B1 KR 20030061505 A KR20030061505 A KR 20030061505A KR 100506920 B1 KR100506920 B1 KR 100506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emergency
vehicle
operation switch
per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1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3937A (ko
Inventor
문보승
유금선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1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6920B1/ko
Publication of KR20050023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3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6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9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09Antitheft state indic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1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hidden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Alarm Systems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트렁크 비상탈출신호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렁크내에는 위치 표시용 발광다이오드(11)를 구비시킨 비상작동 스위치(1)를 설치하되, 상기 비상작동 스위치(1)는 밧데리(2)와 플래셔 유니트(3)의 입력단자 사이에 연결하고, 상기 플래셔 유니트(3)의 출력단자는 자동차에 기 설치되어 있는 후방 콤비램프(4)에 병렬 연결하여 상기 비상작동 스위치(1)가 작동되면 계기판의 시그널 램프는 작동되지 않고 후방 콤비램프(4)들만 비상 점멸 작동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특정 자동차의 트렁크내에 로프 등으로 결박된 상태 또는 자연상태로 사람이 감금되었거나, 부주의로 인해 사람이 트렁크내에 들어간 상태에서 도어가 잠겨졌을시 트렁크내의 사람이 발광다이오드의 불빛을 통해 손쉽게 찾아 비상작동 스위치를 조작하여 후방의 콤비램프들을 점멸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자동차의 주,정차 또는 주행중에도 언제든지 주변사람에게 자신이 트렁크내에 감금되어 있음을 알릴 수 있으므로 피해자를 손쉽게 구출할 수 있고, 또한 후방 콤비램프의 비상 점멸시 계기판의 시그널 램프는 작동되지 않으므로 보안성도 확보되어 범인을 손쉽게 검거할 수 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트렁크 비상탈출신호 발생장치{Device for Generating an Alarm Call in Trunk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트렁크 비상탈출신호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트렁크내에 위치 표시용 발광다이오드가 구비된 비상작동 스위치를 설치하고 플래셔 유니트(Flasher Unit)의 출력단자는 후방 콤비램프와 연결시켜 트렁크내에 감금된 사람이 비상작동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계기판의 시그널 램프는 작동되지 않은 체 후방 콤비램프들만 비상 점멸 작동되도록 하는 방식을 통해 트렁크내에 결박된 상태에서 감금된 사람도 손쉽게 차량 주변의 타인에게 그 상황을 알려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후부에는 트렁크가 형성되어 있으며, 트렁크에는 트렁크리드가 구비되어 있어 트렁크의 내부에 짐을 싣고, 도어를 닫아둘 수 있어서 매우 편리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최근 자동차가 범죄에 이용되는 경우가 급증되는 실정인데, 이 경우 납치한 사람을 트렁크에 감금한 채 은거지로 이동하는 사례가 종종 일어나고 있다.
그런데, 종래 일부 저가의 자동차용 트렁크 도어에는 일단 트렁크의 내부에 갇히게 되면 트렁크의 내부에는 트렁크리드를 열 수 있는 장치가 되어 있지 않아 납치된 사람이 탈출할 수 없었다.
또한, 어린이들이 호기심에 트렁크에 들어가서 놀다가 트렁크리드가 닫힌 경우 다른 사람들이 발견할때까지는 어린이가 빠져 나올 수 없어서 매우 위험하였다.
따라서, 최근에는 일부 자동차의 트렁크 도어에 비상탈출레버 등과 같은 크렁크 비상탈출장치가 구비시켜 인질범 또는 강도에 의한 납치된 운전자 및 피해자가 트렁크를 손쉽게 열고 탈출할 수 있도록 된 것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비상탈출장치는 사람이 손으로 직접 조작해야만 트렁크 도어가 열리도록 되어 있어 만약 피해자가 손발이 묶여진 체 트렁크에 감금된 경우에는 비상탈출이 불가능하게 되고, 또 차량이 주행중일 때는 탈출은 불가능함은 물론 타인에게도 알릴 수 없어 외부 도움을 받을 수 없으며, 만약 납치범이 고의적으로 비상탈출레버를 파손 또는 탈거시킨 경우는 비상탈출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결박된 상태에서 트렁크내에 감금되어 있더라도 차량의 주정차 또는 주행상태에 무관하게 트렁크내에 설치된 비상작동 스위치를 손쉽게 찾아 조작하면 계기판의 시그널 램프는 작동되지 않는 상태에서 후방 콤비램프들만 비상 점멸 작동되도록 하여 차량 주변 사람들이 트렁크내에 사람이 감금된 상태에 있음을 손쉽게 인식하고 빠른 시간대에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자동차의 트렁크 비상탈출신호 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렁크내에는 위치 표시용 발광다이오드가 구비된 푸쉬 버튼형 비상작동 스위치를 설치하여 밧데리와 플래셔 유니트의 입력단자 사이에 연결하고, 상기 플래셔 유니트의 출력단자는 자동차에 기 설치되어 있는 후방 콤비램프에 병렬 연결시켜 상기 비상작동 스위치가 작동되면 계기판의 시그널 램프는 작동되지 않고 후방 콤비램프들만 비상 점멸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자동차의 트렁크내에 로프 등으로 결박된 상태 또는 자연상태로 사람이 감금되었거나, 부주의로 인해 사람이 트렁크내에 들어간 상태에서 도어가 잠겨졌을시 트렁크내의 사람이 발광다이오드의 불빛을 통해 손쉽게 찾아 비상작동 스위치를 조작하여 후방의 콤비램프들을 점멸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자동차의 주,정차 또는 주행중에도 언제든지 주변사람에게 자신이 트렁크내에 감금되어 있음을 알릴 수 있어 피해자를 손쉽게 구출할 수 있고, 또한 후방 콤비램프의 비상 점멸시 계기판의 시그널 램프는 작동되지 않으므로 보안성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트렁크내에는 위치 표시용 발광다이오드(11)를 구비시킨 비상작동 스위치(1)를 설치하되, 상기 비상작동 스위치(1)는 밧데리(2)와 플래셔 유니트(3)의 입력단자 사이에 연결하고, 상기 플래셔 유니트(3)의 출력단자는 자동차에 기 설치되어 있는 후방 콤비램프(4)에 병렬 연결하여 상기 비상작동 스위치(1)가 작동되면 계기판의 시그널 램프는 작동되지 않고 후방 콤비램프(4)들만 비상 점멸 작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비상작동 스위치(1)는 피해자가 손발이 묶인 상태에서도 머리나, 몸체 또는 다리 등 전신중 어느 일부라도 이용해서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버튼 타입의 스위치를 채택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비상작동 스위치(1)는 트렁크내의 감금된 피해자가 작동할 수 있도록 기본적으로 트렁크내에 설치하되, 어두운 상태에서도 그의 설치 위치를 손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위치 표시용 발광다이오드(11)를 설치하여 준다.
또한, 대부분의 납치범들은 피해자를 트렁크내에 감금시킬시 피해자가 비상탈출레버 등을 직접 작동시키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손발을 묶는 등의 조치를 취하게 되므로, 비상작동 스위치(1) 자체를 버튼 타입의 스위치로 채택하여 줌으로써 피해자가 포박된 상태에서도 머리나, 몸체 또는 다리 등 전신중 어느 일부라도 이용해서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비상작동 스위치(1)는 밧데리(2)와 플래셔 유니트(3)의 입력단자 사이에 연결시켜 주고, 상기 플래셔 유니트(3)의 출력단자는 자동차에 기 설치되어 있는 후방 콤비램프(4)에 병렬 연결시켜 주므로써, 트렁크내에 감금된 피해자가 상기 비상작동 스위치(1)를 작동시켰을시 차량 후방의 콤비램프(4)가 플래셔 유니트(3)의 제어를 받아 점멸 작동되므로써 차량 주변 사람들이 이 콤비램프(4)의 점멸상태를 보고 트렁크내에 감금자가 있음을 인지하고 그에 따를 조치(직접 구조 또는 경찰서로의 연락 등)를 빠른시간내에 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계기판의 시그널 램프는 작동되지 않고 후방 콤비램프(4)들만 비상 점멸 작동되므로 보완성이 확보되어 납치법 등은 비상탈출신호가 발생중인지를 인지하지 못하여 자동차내에 있던가 자동차를 주행시키다가 경찰관 등에 의해 채포될 수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 장치는 트렁크내 비상탈출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자동차에 설치할 수도 있으나, 기존에 비상탈출레버가 설치된 자동차에 비상작동 스위치(1)를 부가하고 플래셔 유니트(3)의 입출력단자를 상기 스위치와 후방 콤비램프(4)에 연결시켜 주면 비상탈출기능과 비상탈출신호 발생기능이 겸비되므로 더욱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트렁크내에는 위치 표시용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한 비상작동 스위치를 설치하고 후방 콤비램프는 플래셔 유니트에 연결시켜 주므로써, 특정 자동차의 트렁크내에 로프 등으로 결박된 상태 또는 자연상태로 사람이 감금되었거나, 부주의로 인해 사람이 트렁크내에 들어간 상태에서 도어가 잠겨졌을시 트렁크내의 사람이 발광다이오드의 불빛을 통해 손쉽게 찾아 비상작동 스위치를 조작하여 후방의 콤비램프들을 점멸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자동차의 주,정차 또는 주행중에도 언제든지 주변사람에게 자신이 트렁크내에 감금되어 있음을 알릴 수 있으므로 피해자를 손쉽게 구출할 수 있고, 또한 후방 콤비램프의 비상 점멸시 계기판의 시그널 램프는 작동되지 않으므로 보안성도 확보되어 범인을 손쉽게 검거할 수 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블럭 구성도.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비상작동 스위치 2 : 밧데리
3 : 플래셔 유니트 4 : 후방 콤비램프
11 : 위치 표시용 발광다이오드

Claims (1)

  1. 트렁크내에는 위치 표시용 발광다이오드(11)를 구비시킨 비상작동 스위치(1)를 설치하되, 상기 비상작동 스위치(1)는 밧데리(2)와 플래셔 유니트(3)의 입력단자 사이에 연결하고, 상기 플래셔 유니트(3)의 출력단자는 자동차에 기 설치되어 있는 후방 콤비램프(4)에 병렬 연결하여 상기 비상작동 스위치(1)가 작동되면 계기판의 시그널 램프는 작동되지 않고 후방 콤비램프(4)들만 비상 점멸 작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트렁크 비상탈출신호 발생장치.
KR10-2003-0061505A 2003-09-03 2003-09-03 자동차의 트렁크 비상탈출신호 발생장치 KR100506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505A KR100506920B1 (ko) 2003-09-03 2003-09-03 자동차의 트렁크 비상탈출신호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505A KR100506920B1 (ko) 2003-09-03 2003-09-03 자동차의 트렁크 비상탈출신호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3937A KR20050023937A (ko) 2005-03-10
KR100506920B1 true KR100506920B1 (ko) 2005-08-10

Family

ID=37231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1505A KR100506920B1 (ko) 2003-09-03 2003-09-03 자동차의 트렁크 비상탈출신호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692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3937A (ko) 200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8292A (en) Emergency trunk release apparatus
US6783167B2 (en) Safety system for a closed compartment of a vehicle
US9434275B2 (en) Vehicle rear seat reminder systems and methods
US20070182572A1 (en) Personal emergency device
US20020121967A1 (en) Trunk release and warning system
JP2005239135A (ja) パワードアを備えた車両用盗難防止装置
WO1999004119A1 (en) Trunk lid emergency opening apparatus of automobile
US5563577A (en) Vehicular distress alert system
US6323762B1 (en) Car jacking prevention system
KR100506920B1 (ko) 자동차의 트렁크 비상탈출신호 발생장치
US20020043024A1 (en) Security system
KR101934357B1 (ko) 스마트키 연동 테일게이트 자동 열림 및 램프 자가점검방법
JP2005119651A (ja) 車両の構成要素に関する状態情報用装置
CN204109892U (zh) 一种汽车开门警示装置
KR100249479B1 (ko) 자동차의 충돌사고 및 물 속으로 침몰사고시 도어의 비상 자동개방안전 제어시스템
KR200249869Y1 (ko) 트렁크 안의 비상탈출장치
US20040150513A1 (en) Vehicle with alighting passenger signaling capability
CN2608330Y (zh) 酒后驾车自锁、报警及防盗装置
KR0176362B1 (ko) 자동차의 비상탈출용 도어 열림장치
KR100380683B1 (ko) 트렁크 감금시의 냉각수 방출장치
KR0116846Y1 (ko) 자동차용 안전잠금기구의 경고장치
KR960001813Y1 (ko) 비상신호 현출 장치
JP2589186B2 (ja) 自動車用ドアのロック解除装置
JP3096119U (ja) 携帯用防犯ブザー装置
KR20080054949A (ko) 윙(적재함문) 개방운행 제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