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6689B1 - 자동절환밸브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절환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6689B1
KR100506689B1 KR10-2003-0045420A KR20030045420A KR100506689B1 KR 100506689 B1 KR100506689 B1 KR 100506689B1 KR 20030045420 A KR20030045420 A KR 20030045420A KR 100506689 B1 KR100506689 B1 KR 100506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valve
diaphragm
rotor
installa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5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3900A (ko
Inventor
화 현 손
Original Assignee
화 현 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 현 손 filed Critical 화 현 손
Priority to KR10-2003-0045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6689B1/ko
Priority to CNB031537782A priority patent/CN100334388C/zh
Publication of KR20050003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3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6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6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절환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절환본체에 3방향밸브가 설치되는 밸브상자를 일체로 마련하여 구성부품을 줄이고 이로 인한 구성부품의 단순화는 물론 조립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으며, 또 절환본체의 압력실과 밸브설치공간을 서로 유체압력전달통로로 연결하여 한랭지방에서의 동결방지는 물론이고 응답성이 빨라지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은 2계통의 공급라인(17a,17b) 사이에 다른 한쪽방향으로 송출라인(18)이 구비되고 상기 공급라인(17a,17b)과 송출라인(18) 사이에 밸브가 설치된 절환본체(10), 이 절환본체(10)에 고정되어 피스톤(24)의 이동위치에 따라 절환됨을 확인할 수 있는 크랭크기구(20), 상기 절환본체(10)에 고정되어 절환로터(13)를 잠금 및 해제시키는 다이어프램기구(30), 상기 절환본체(10)에 고정되어 밸브회전축(12)과 이에 설치된 절환부재(14)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리셋기구(40)를 포함하는 자동절환밸브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환본체(10)의 하부에 3방향밸브(11)가 설치되는 밸브설치공간(11d)이 형성되고 이 밸브설치공간(11d)의 양단에 공급라인의 연결을 위한 구멍(11e)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다이어프램기구(30)가 장착되는 절환본체(10)의 압력실(15)에서 밸브설치공간(11d)에 이르기까지 유체압력전달통로(19)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이어프램기구(30)에는 필요시 한번의 눌림조작으로 임의로 수동절환이 가능하도록 다이어프램(31)과, 이 다이어프램(31)에 제3스프링(37)을 포함하여 체결된 캡(36)과, 상기 다이어프램(31)에 절환본체(10)내의 절환로터(13)를 향해 연장됨과 아울러 캡(36), 제2실린더(38) 및 스크루(35)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된 스템(33)과, 상기 캡(36)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템(33)을 항시 절환로터(13)로부터 이탈되는 힘이 부여되도록 설치된 제3스프링(37)이 구비된다.

Description

자동절환밸브장치{auto-change valve apparatus}
본 발명은 2계통의 유체공급라인 중 한쪽의 유체잔량이 소정 압력이하로 되면 자동적으로 다른 한쪽의 유체공급라인으로 전환시켜 소비 쪽에 계속적인 유체공급이 이뤄지는 자동절환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엘피지(LPG) 엔진의 베이퍼 라이저(vapor riser)나 가스조리기구 등에 엘피지의 계속적인 공급이 이뤄지도록 엘피지 봄베(LPG bomb)가 예비대기용을 포함하여 2계통으로 배열되어 접속되고, 사용중인 엘피지 봄베의 잔량이 소정압력이하로 되면 그 유체압력의 저하에 따라 자동으로 예비대기용 엘피지 봄베로 돌리도록 하는 자동절환밸브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과 관련된 자동절환밸브장치가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개2000-39080호에 게재되어 있는데, 이는 A라인과 B라인의 2계통으로 된 LPG의 공급라인을 구비하고있고 송출라인인 C라인을 경유하여 베이퍼라이저 등에 LPG을 송출하도록 구성되되, 절환본체, 이 절환본체의 하부에 고정된 크랭크기구, 상기 절환본체의 상부에 고정된 다이어프램기구, 상기 절환본체의 정면에 고정된 리셋기구 및 상기 절환본체의 배면에 고정되고 2계통의 공급라인과 송출라인이 설치된 밸브상자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절환밸브장치는 공급라인인 A 또는 B라인의 엘피지 잔량이 충분하면 절환본체의 압력실 내압과 제2스프링의 힘이 균형을 이루고 스템은 위쪽에 위치하여 플런저가 절환로터의 외부로 돌출하여 절환로터는 회전이 잠긴 상태로 계속 유지되는 것이며, 이와 반대로, 엘피지 잔량이 감소에 따라 압력실의 내압이 소정압력 이하로 되면 다이어프램기구의 스프링의 힘에 의해 스템을 내리눌러 그 압력으로 플런저를 절환로터의 내부로 매설하기 때문에 절환로터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잠김이 해제된 절환로터는 크랭크기구 및 절환부재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고 이로 인해 밸브회전축이 회전됨에 따라 3방향밸브가 다른 방향의 공급라인으로 절환 할 수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자동절환밸브장치에 있어서는, 송출라인에 걸리는 유체압력을 절환본체의 압력실로 전달하기 위한 유체압력전달라인이 절환본체의 압력실과 송출라인에 이르기까지 필수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상기 유체압력전달라인은 구조적인 특성상 절환본체의 압력실과 송출라인에 이르기까지 자동절환밸브장치의 외부로 마련될 수밖에 없었으며, 이렇게 유체압력전달라인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추운 한랭지방에선 동결방지가 요구되었고 결국 자동절환밸브장치 전체를 하우징으로 씌워 보호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절환본체, 크랭크기구, 다이어프램기구, 리셋기구 및 밸브상자를 포함하여 모두 각각 별도로 마련되기 때문에 구성부품이 너무 많아 제작이 어려웠고 이로 인한 가공비가 가중되었으며, 뿐만 아니라 조립에도 주의를 기울여야만 제대로의 기능은 물론 기밀유지를 확보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절환본체에 3방향밸브가 설치되는 밸브상자를 일체로 마련하여 구성부품을 줄이고 이로 인한 구성부품의 단순화는 물론 조립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으며, 또 절환본체의 압력실과 밸브설치공간을 서로 유체압력전달통로로 연결함으로써 한랭지방에서의 동결방지는 물론이고 응답성이 빨라지며, 별도의 배관라인이 필요 없어 작업의 단순화를 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절환밸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2계통의 공급라인 사이에 다른 한쪽방향으로 송출라인이 구비되고 상기 공급라인과 송출라인 사이에 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밸브를 회전시키기 위해 절환로터를 갖는 밸브회전축이 연결 설치된 절환본체, 이 절환본체의 하부에 고정되며 상기 절환로터에 설치된 절환부재를 통해 크랭크로드가 연결 설치되고 이 크랭크로드에 제1스프링으로 탄력설치된 피스톤이 접속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의 이동위치에 따라 절환됨을 확인할 수 있는 크랭크기구, 상기 절환본체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절환로터를 잠금 및 해제시키는 다이어프램기구, 상기 절환본체의 정면에 고정되며 상기 밸브회전축과 이에 설치된 절환부재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리셋기구를 포함하는 자동절환밸브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환본체의 하부에 3방향밸브가 설치되는 밸브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이 밸브설치공간의 양단에 공급라인의 연결을 위한 구멍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다이어프램기구가 장착되는 절환본체의 압력실에서 밸브설치공간에 이르기까지 유체압력전달통로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이어프램기구에는 필요시 한번의 눌림 조작으로 임의로 수동절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동절환수단이 구비되며, 이 수동절환수단은 다이어프램과, 이 다이어프램에 제3스프링을 포함하여 체결된 캡과, 상기 다이어프램에 절환본체내의 절환로터를 향해 연장됨과 아울러 캡, 제2실린더 및 스크루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된 스템과, 상기 캡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템을 항시 절환로터로부터 이탈되는 힘이 부여되도록 설치된 제3스프링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절환본체에 3방향밸브를 수용하는 밸브상자까지 일체로 마련함으로써 구성부품의 단순화 및 조립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고, 절환본체의 압력실에서 밸브설치공간에 이르기까지 직접적으로 유체압력전달통로를 연결함으로써 별도의 배관라인이 필요 없고 이로 인한 배관작업이 필요하지 않음과 아울러 응답성이 빨라지게 된다.
또한, 다이어프램기구에 수동절환손잡이를 누르면 스템만이 절환로터를 향하여 이동되어 플런저가 절환로터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마련함으로써 지극히 간단한 구조로 절환로터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자동절환밸브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LPG의 자동절환밸브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환본체(10)에는 A라인과 B라인의 2계통으로 된 LPG의 공급라인(17a,17b)이 구비되고, 이 공급라인(17a,17b)으로부터 C라인을 경유하여 베이퍼라이저 등에 LPG을 송출하는 송출라인(18)이 구비된다. 상기 절환본체(10)의 하부에 크랭크기구(20)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절환본체(10)의 상부에 다이어프램기구(30)가 고정되고 상기 절환본체(10)의 정면에 리셋기구(40)가 고정되어있다.
상기 절환본체(1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엔 양쪽의 공급라인(17a,17b)과 연통되는 밸브설치공간(11d)이 형성되어있고 이 밸브설치공간(11d)의 양단엔 공급라인(17a,17b)과 연통되면서 밸브설치공간(11d)과 동심을 이루는 구멍(11e)이 형성되어있으며, 상기 공급라인(17a,17b)인 A, B라인의 절환을 위한 볼형의 3방향밸브(11)가 설치되어있고 이 3방향밸브(11)엔 밸브회전축(12)의 끝단이 연결 설치되고, 이 밸브회전축(12)의 중간에 절환로터(1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3방향밸브(11)는 공급라인(17a,17b)과 연통되도록 구멍이 천공된 밸브몸체(11b,11c)와, 이 밸브몸체(11b,11c) 사이에 밸브볼(11a)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절환로터(13)는 절환본체(10)의 밸브설치공간(11d)에 설치된 3방향밸브(11)를 밸브회전축(12)으로 일정각도(90°) 회전시켜서 절환 조작하도록 구성되어있으며, 상기 절환로터(13)는 도 4와 같이 각부(13a)를 갖는 부채꼴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원호부에는 절환돌편(13b)이 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절환본체(10)에는 다이어프램기구(30)의 다이어프램(31)이 장착되는 위치에 오목한 압력실(15)이 형성되어있고 이 압력실(15)에서 밸브설치공간(11d)에 이르기까지 유체압력전달통로(19)가 연결되어있다.
상기 밸브회전축(12)에는 도 2 및 도 4와 같이, U자형의 절환부재(14)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절환부재(14)는 평행한 2개의 협지부(14a,14b)를 갖는 디귿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협지부(14a,14b)의 사이에 크랭크기구(20)를 구성하는 크랭크로드(21)가 크랭크핀(22)에 의해 편심적으로 접속되어있다.
상기 크랭크기구(20)는 도 2와 같이, 제1실린더(23)에 중공의 피스톤(24)이 설치되고 이 피스톤(24)의 중공부에 내장되어 상기 피스톤(24)을 상부로 밀어 올리는 제1스프링(25)이 탄력적으로 내장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피스톤(24) 상부의 원추형 오목부분(24a)에는 상기 크랭크로드(21)의 볼 선단(21a)을 수용하고있다.
상기와 같은 크랭크기구(20)는, 도 5a 내지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스프링(25)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 피스톤(24)의 직선운동이 크랭크로드(21)를 통해 절환본체(10)에서 상기 절환부재(14)에 의해 회전운동으로 변환되며, 또 절환부재(14)의 협지부(14a)에 절환로터(13)의 절환돌편(13b)이 접하고 있어 절환부재(14)의 회전운동은 절환돌편(13b)을 회전시키고 이로 인하여 밸브회전축(12)끝단에 연결된 3방향밸브(11)가 조작되게 된다.
한편, 상기 다이어프램기구(30)는 도 2와 같이, 제2실린더(38)와 접하는 위치에 절환본체(10) 상부의 오목부분을 압력실(15)로 작용하는 다이어프램(31)이 설치되고, 이 다이어프램(31)의 상부엔 압력실(15)에 걸리는 압력과 균형을 이루도록 제2스프링(32)이 제2실린더(38)내에 설치되며, 상기 제2실린더(38)의 끝단에는 제2스프링(32)상단의 원판(34)을 밀어 제2스프링(32)의 탄력조정을 위한 스크루(35)가 체결되어있다.
상기 다이어프램(31)에는 제3스프링(37)을 포함하는 캡(36)이 체결되어있으며, 또 절환본체(10)내의 절환로터(13)를 향해 연장됨과 아울러 캡(36), 제2실린더(38) 및 스크루(35)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된 스템(3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3스프링(37)은 캡(36)내부에 위치된 스템(33)의 걸림링(50)을 밀어 올려 스템(33)이 항시 절환로터(13)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힘을 부여하며, 상기 스템(33)의 상단에는 스템(33)을 축 방향으로 누르기 용이하게 하는 수동절환손잡이(39)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다이어프램기구(30)는 절환본체(10)내에서 절환로터(13)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절환로터(13)의 외면에는 도 6과 같이, 3방향밸브(11)를 절환할 수 있도록, 정상상태일 경우엔 외부로 돌출되는 2개의 플런저(13c,13d)가 90°각도로 설치되어 잠기게 되고, 절환본체(10)의 압력실(15)이 낮아짐에 따라 다이어프램기구(30)의 스템(33)이 상기 플런저(13c,13d)를 절환로터(13)의 내부로 눌러 해제되게 된다.
따라서, 공급라인의 LPG 잔량이 충분하면, 압력실(15)의 내압과 제2스프링(32)의 탄력이 균형을 이룰 때, 스템(33)은 상부에 위치하여 플런저(13c)가 절환로터(13)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여서 절환로터(13)의 회전이 잠긴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반대로, LPG 잔량의 감소에 따라 압력실(15)의 내압이 소정압력 이하로 되면, 제2스프링(32)의 힘으로 인해 스템(33)을 누르게되고 그 압력으로 플런저(13c)가 절환로터(13)의 내부로 삽입되기 때문에 절환로터(13)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임의로 수동절환이 필요한 경우에는 공급라인의 엘피지잔량이 충분하고 가스의 압력이 소정압력보다 높은 압력이더라도 수동절환손잡이(39)를 누르면 다이어프램기구(30)의 수동절환손잡이(39)와 일체로 된 스템(33)만이 절환로터(13)를 향하여 이동되게 되고 그 스템(33)에 의하여 플런저(13c)가 절환로터(13)의 내부로 삽입되기 때문에 절환로터(13)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잠금이 해제된 절환로터(13)는 상기 크랭크기구(20) 및 절환부재(14)의 작용에 의해 회전하고, 이 회전에 의해 밸브회전축(12)이 회전되므로 3방향밸브(11)가 자동적으로 다른 방향의 공급라인으로 절환되게 된다.
여기에서, 공급라인(17a,17b)이 절환된 후 압력실(15)의 내압은 스템(33)이 제2스프링(32)의 탄력에 의해 눌려진 상태에서 밸브설치공간(11d)의 3방향밸브(11)를 통해 송출라인(18)으로 송출되면서 곧바로 밸브설치공간(11d)과 유체압력전달통로(19) 및 압력실(15)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 압력실(15)의 내압에 따라 제2스프링(32)의 탄력이 균형을 이루면서 스템(33)은 상부로 이동하고 결국 회전하여 위치를 옮긴 절환로터(13)의 플런저(13d)는 스템(33)을 따라 이동되어 절환로터(13)의 외부로 돌출되므로 절환로터(13)의 회전이 잠기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수동으로 절환시킨 경우 또한 상기 수동절환손잡이(39)에 가했던 힘을 제거하면 캡(36)의 내부에 설치된 제3스프링(37)의 탄력으로 인하여 스템(33)이 원래위치로 상승되어 복귀되기 시작하고 이렇게 스템(33)이 복귀됨에 따라 절환로터(13)의 플런저(13d)가 이동되어 절환로터(13)의 외부로 돌출되므로 절환로터(13)의 회전이 잠기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절환로터(13)가 회전하여 다른 방향에 위치된 플런저(13d)가 스템(33)과 맞닿는 위치까지 절환로터(13)가 회전하는 도중에는 절환로터(13)의 다른 쪽 플런저(13d)는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절환로터(13)를 잠글 수 없다. 즉, 절환동작 중에 절환로터(13)가 필요이상으로 회전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절환 직후에 절환로터(13)가 90°회전한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절환본체(10)에 절환로터(13)의 각부(13a)를 지지하는 스토퍼(16)가 설치되어있다(도 6참조).
따라서, 상기 스토퍼(16)에 의해 절환로터(13)의 정지위치가 크랭크의 상사점과 대응하고 있으므로, 플런저(13c,13d)에 의해 절환로터(13)의 잠금위치와 실질적으로 일치하게된다.
상기 리셋기구(40)는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공급라인이 절환된 후, 원래의 공급라인에 접속된 엘피지 봄베를 새로운 것으로 교환하고, 다음에는 다시 3방향밸브(11)의 절환 즉, 절환로터(13)를 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절환부재(14) 및 크랭크기구(20)를 리셋 시켜야 한다.
상기 리셋기구(4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회전축(12)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리셋로터(41)가 설치되고 이 리셋로터(41)의 한쪽 끝에 리셋로터(41)를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42)이 리셋로터(41)의 반경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리셋로터(41)의 다른 쪽에는 제각기 핸들(42)에 대하여 90°회전되도록 절환부재(14) 중 한쪽의 협지부(14b)와 접할 수 있는 한 쌍의 리셋돌편(43,44)이 리셋로터(41)의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리셋돌편(43,44)은 절환부재(14)가 절환로터(13)의 절환돌편(13b)과 간섭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상기 리셋기구(40)의 리셋동작은 우선, 전환 전의 통상 운전(도 5a참조)상태에서 절환동작으로 가는 과정에서 절환부재(14)가 그 한편이 한쪽의 리셋돌편(43)과 접하는 위치까지 회전하여 멈춘다. 이 상태로부터 핸들(42)을 계속하여 돌리면, 상기 한쪽 방향의 리셋돌편(43)이 절환부재(14)의 절환 시와는 다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최종적으로는 핸들(42)을 180°회전시킨 시점에서 리셋이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리셋기구(40)에 의해 절환로터(13)의 절환돌편(13b)에 대한 절환부재(14)가 접하는 위치를, 리셋되기 전과 반대로 하여 다음 회의 절환 시에는 절환로터(13)가 전회와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3방향밸브(11)의 접속라인을 절환 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술한 동작을 반복하여 절환동작 및 리셋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 크랭크기구(20)에는 공급라인이 절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수단은 상기 피스톤(24)의 상하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색상 또는 도형의 표식(28)이 부착되어있고, 제1실린더(23)에는 상기 표식(28)의 색상과 도형 등을 통해 절환동작 및 리셋동작이 실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창(29)이 설치되어있다(도 1 및 도 2참조).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절환밸브장치는 절환본체에 3방향밸브가 설치되는 밸브상자를 일체로 마련하여 구성부품이 줄어들고 단순화에 따른 조립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는 유용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절환본체의 압력실과 밸브설치공간을 서로 유체압력전달통로로 연결함으로써 별도의 배관라인이 필요 없고 이로 인한 배관작업이 필요하지 않음과 아울러 공급라인의 절환시 3방향밸브로부터 곧바로 압력실로 유체압력이 공급되기 때문에 응답성이 빨라지며, 추운 한랭지방에서의 동결방지가 이뤄지는 유용한 것이다.
그리고, 다이어프램기구에 임의의 절환하기 위한 수동절환수단, 수동절환손잡이를 누르면 스템만이 절환로터를 향하여 이동되어 플런저가 절환로터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마련함으로써 지극히 간단한 구조로 절환로터의 잠금을 해제시킬 수 있는 유용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절환밸브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B-B선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절환로터와 절환부재 및 리셋로터와의 관계를 발췌하여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절환로터가 잠금 상태에서 해제되었다가 다시 잠기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절환로터에 대한 다이어프램기구와의 관계를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절환본체 11: 3방향밸브
11d: 밸브설치공간 12: 밸브회전축
13: 절환로터 14: 절환부재
15: 압력실 19: 유체전달통로
20: 크랭크기구 21: 크랭크로드
23: 제1실린더 24: 피스톤
30: 다이어프램기구 31: 다이어프램
33: 스템 34: 원판
35: 스크루 36: 캡
37: 제3스프링 38: 제2실린더
39: 수동절환손잡이 40: 리셋기구
41: 리셋로터 42: 핸들
43,44: 리셋돌편

Claims (2)

  1. 2계통의 공급라인(17a,17b) 사이에 다른 한쪽방향으로 송출라인(18)이 구비되고 상기 공급라인(17a,17b)과 송출라인(18) 사이에 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밸브를 회전시키기 위해 절환로터(13)를 갖는 밸브회전축(12)이 연결 설치된 절환본체(10), 이 절환본체(10)의 하부에 고정되며 상기 절환로터(13)에 설치된 절환부재(14)를 통해 크랭크로드(21)가 연결 설치되고 이 크랭크로드(21)에 제1스프링(25)으로 탄력설치된 피스톤(24)이 접속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24)의 이동위치에 따라 절환됨을 확인할 수 있는 크랭크기구(20), 상기 절환본체(10)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절환로터(13)를 잠금 및 해제시키는 다이어프램기구(30), 상기 절환본체(10)의 정면에 고정되며 상기 밸브회전축(12)과 이에 설치된 절환부재(14)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리셋기구(40)를 포함하는 자동절환밸브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환본체(10)의 하부에 3방향밸브(11)가 설치되는 밸브설치공간(11d)이 형성되고 이 밸브설치공간(11d)의 양단에 공급라인의 연결을 위한 구멍(11e)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다이어프램기구(30)가 장착되는 절환본체(10)의 압력실(15)에서 밸브설치공간(11d)에 이르기까지 유체압력전달통로(19)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절환밸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기구(30)에는 필요시 한번의 눌림조작으로 임의로 수동절환이 가능하도록 다이어프램(31)과, 이 다이어프램(31)에 제3스프링(37)을 포함하여 체결된 캡(36)과, 상기 다이어프램(31)에 절환본체(10)내의 절환로터(13)를 향해 연장됨과 아울러 캡(36), 제2실린더(38) 및 스크루(35)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된 스템(33)과, 상기 캡(36)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템(33)을 항시 절환로터(13)로부터 이탈되는 힘이 부여되도록 설치된 제3스프링(37)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절환밸브장치.
KR10-2003-0045420A 2003-07-04 2003-07-04 자동절환밸브장치 KR100506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5420A KR100506689B1 (ko) 2003-07-04 2003-07-04 자동절환밸브장치
CNB031537782A CN100334388C (zh) 2003-07-04 2003-08-20 自动换向阀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5420A KR100506689B1 (ko) 2003-07-04 2003-07-04 자동절환밸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3900A KR20050003900A (ko) 2005-01-12
KR100506689B1 true KR100506689B1 (ko) 2005-08-08

Family

ID=34587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5420A KR100506689B1 (ko) 2003-07-04 2003-07-04 자동절환밸브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06689B1 (ko)
CN (1) CN10033438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74416A1 (en) * 2008-08-18 2011-07-21 Sigma-Aldrich Co. Valve assemblies
EP2496733B1 (en) 2009-11-02 2021-08-04 Sigma-Aldrich Co. LLC Method for evaporation
CN101922567B (zh) * 2010-09-01 2013-03-06 浙江申达机器制造股份有限公司 摇臂式隔热油缸控制的三通热流道方向转换装置
CN102494173B (zh) * 2011-12-15 2013-09-04 广州市美锐美容健康设备实业有限公司 数字化负压调节装置
JP6019741B2 (ja) * 2012-05-17 2016-11-02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弁装置、液化ガス燃料の貯蔵システム、車両、及び液化ガス燃料の貯蔵方法
CN112050463B (zh) * 2020-08-28 2021-09-10 中船九江锅炉有限公司 一种直流盘管式高压热水锅炉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5976U (zh) * 1991-03-02 1992-02-12 沈锦华 可燃气体瓶泄漏自动关断阀
CN1074284A (zh) * 1992-01-11 1993-07-14 马列夫 一种压力继电减压阀
JPH0968288A (ja) * 1995-08-30 1997-03-11 Kagurain Best Kk 自動切換弁装置
JP4137218B2 (ja) * 1998-03-12 2008-08-20 カグラベーパーテック株式会社 Lpgの蒸発装置
JP4203868B2 (ja) * 1998-07-22 2009-01-07 カグラベーパーテック株式会社 弁装置
JP4122757B2 (ja) * 2001-11-20 2008-07-23 カグラベーパーテック株式会社 液化ガス供給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3900A (ko) 2005-01-12
CN100334388C (zh) 2007-08-29
CN1576667A (zh) 2005-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6266B1 (en) Multiport diverter valve
US6923151B2 (en) Apparatus for the adjustment of the stroke of a valve actuated by a camshaft
CN110397764B (zh) 混合和截止阀装置以及卫生的混合和截止配件
KR100506689B1 (ko) 자동절환밸브장치
US7549445B2 (en) Female coupling member of a pipe coupling
KR20120132357A (ko) 냉온수 조절용 카트리지
US8319131B2 (en) Device for switching an electrical switch on and off
CN209839219U (zh) 流体控制阀
US7997881B2 (en) Combined prime valve and electrical pressure control for paint spray pumps
US5087090A (en) Combination lockout/holdback apparatus
CA2018422A1 (en) Faucet actuator
US6648296B2 (en) Hand-operated valve with locking mechanism
KR200374929Y1 (ko) 메카니컬 밸브 구조
JPH09152044A (ja) ボール弁
WO2003002900A1 (en) Knob for a post valve
JP2009191985A (ja) ガス栓用過流出防止弁装置
JP4126358B2 (ja) 錠用のレバーハンドル装置
JP2925969B2 (ja) ワンハンドル式湯水混合栓
CA2290319C (en) Multiport diverter valve
JPH0724712Y2 (ja) 手動操作機構付き電磁弁
JP7156853B2 (ja) ガス切り換え装置
KR200193974Y1 (ko) 디젤엔진용 분배형 연료분사펌프의 분사량 조정장치
US20010037833A1 (en) Device for actuating an overflow valve
KR200264211Y1 (ko) 절수식 급수밸브
JPS621295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