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6647B1 - 자동차용 퓨즈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퓨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6647B1
KR100506647B1 KR10-2002-0055674A KR20020055674A KR100506647B1 KR 100506647 B1 KR100506647 B1 KR 100506647B1 KR 20020055674 A KR20020055674 A KR 20020055674A KR 100506647 B1 KR100506647 B1 KR 100506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present
housing
heat dissipation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5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4150A (ko
Inventor
이종국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5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6647B1/ko
Publication of KR20040024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4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6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6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039Means for influencing the rupture process of the fusible element
    • H01H85/0047Heating means
    • H01H85/006Heat reflective or insulating layer on the casing or on the fuse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퓨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팬 모터나 시동모터와 같이 대전류가 공급되는 회로에 적용하기 위한 자동차용 퓨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퓨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열홀이 형성된 용융부와 상기 용융부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플러그로 이루어진 단자부; 및 상기 단자부를 수납하는 하우징으로 구성됨으로써, 방열 효과를 높이면서도 퓨즈 구조의 단순화를 이룩할 수 있어 조립 공수의 절감 및 원자재 절감을 통한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퓨즈{FUSE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퓨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팬 모터나 시동모터와 같이 대전류가 공급되는 회로에 적용하기 위한 자동차용 퓨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룸에 장착되는 팬 모터나 시동모터는 수십[A]의 대전류를 요구하므로 이에 따라 퓨즈도 대전류용으로 설계되며, 퓨즈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대부분 플러그-콘센트 타입으로 만들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퓨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자동차용 퓨즈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자동차의 플러그 타입 대전류용 퓨즈의 일반적인 구조는, 크게 하우징(10)과 단자(20) 및 세라믹 홀더(30)로 나뉘어져 있다.
단자(20)는 한 쌍의 플러그(26)와, 플러그(26)에 일체로 형성되며 굴곡을 이루는 한 쌍의 방열판(23)과, 방열판(23)에 의해 형성되는 방열부(22)의 양단을 서로 연결하는 용융부(21)로 구성된다.
플러그(26)의 중간 부위에는 하우징(10) 내에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쇠(25)가 형성되어 있고, 플러그(26)와 방열부(22)사이의 절곡부에는 고정홈(24)이 형성되어 있다.
세라믹 홀더(30)에는 단자(20)의 방열부(22)와 용융부(21)를 감싸기 위한 방열판 가이드홈(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방열판(23)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기 위한 간격유지 돌기(33)가 형성되어 있다.
단자(20)가 삽입 고정되는 하우징(10)에는 랙(12)이 형성되어 있으며, 랙(12)에는 단자(20)의 플러그(26)를 받아들이기 위한 관통홀(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단자(20)의 걸쇠(25)와 고정홈(24)에 각각 결합되는 걸림턱(14)과 고정돌기(1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세라믹 홀더(30)의 방열판 가이드홈(32)에 단자(20)의 방열부(22)를 삽입한 후, 이를 하우징(10)내에 장착하는 것으로 하나의 자동차용 퓨즈가 완성된다.
여기에서 단자(20)의 양쪽 방열판(23)에 굴곡을 주어 방열부(22)를 형성하고 여기에 세라믹 홀더(30)를 씌운 이유는, 정격 이상의 과전류에 따른 퓨즈 용융부(21)의 용단에 앞서 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발열은 수지재의 하우징(10)을 변형시켜 퓨즈 몸체의 교환을 위한 착탈을 어렵게 만들거나 나아가서는 이러한 퓨즈에 연결된 전기 회로에 영향이 미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용융부(21)의 용단에 따른 발열을 세라믹 홀더(30)로써 흡수시키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용 퓨즈는 퓨즈 용단 직전까지의 발열현상을 흡수하고 방열판 사이의 극간 유지를 확보하기 위해서 비교적 고가품인 세라믹 홀더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퓨즈 가격의 상승과 조립 공정의 복잡화를 초래한다. 특히, 단자의 열흡수를 위한 세라믹 홀더는 오히려 열을 축적하게 되므로 방열판의 자연 냉각 속도를 떨어뜨려 잔열의 지속시간을 연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퓨즈 자체의 변형을 통하여 원가절감 및 조립 공수의 절감을 달성할 수 있고 퓨즈의 방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자동차용 퓨즈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자동차용 퓨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열홀이 형성된 용융부와 상기 용융부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플러그로 이루어진 단자부; 및 상기 단자부를 수납하는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방열홀은 과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가늘고 긴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퓨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를 제거한 상태에서 자동차용 퓨즈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퓨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용 퓨즈(300)는, 크게 하우징(100)과 단자부(200)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한 쌍의 랙(110)이 형성되어 있고, 랙(110)의 내측에는 후술하는 플러그(210)를 삽입하기 위한 관통홀(120) 및 후술하는 플러그(210)의 고정돌기부(230)에 안착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턱(130)이 형성되어 있다.
단자부(200)는 하우징(100)의 내측에 삽입 안착되는 바, 하우징(100)의 관통홀(120)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한 쌍의 플러그(210)와, 각각의 플러그(210) 사이에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소정의 곡률을 갖는 용융부(220)로 이루어진다.
또한, 한 쌍의 플러그(210)의 중간부에는 하우징(100) 내에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100)의 걸림턱(130)에 걸림 고정되는 고정돌기부(230)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용융부(220)에는 과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가늘고 긴형상의 방열홀(24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방열홀(240)을 가늘고 길게 형성하였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복수개의 원형, 사각형 및 다각형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미설명부호 250은 커버로서, 하우징(100)의 상단에 고정 결합된다.
따라서, 하우징(100)의 내측에 단자부(200)를 삽입하게 되면, 플러그(210)가 랙(110)에 형성된 관통홀(120)을 통과하고, 단자부(200)의 고정돌기부(230)는 랙(110)에 마련된 걸림턱(130)에 결합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퓨즈(300)에 정격 전류 이상의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단자부(200)의 용융부(220)가 용단되어 부하측으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게 되는데, 과전류가 흐르는 시점부터 용융부(220)가 용단되는 시점까지의 용융부(220)에서 발생되는 열이 방열홀(240)에서 대기중의 자연 냉각 속도를 가지고 냉각되므로, 잔열에 따른 하우징의 외형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퓨즈의 교체 불능 사태는 없게 된다.
즉, 기존의 퓨즈에서는 정격 전류를 훨씬 초과하는 순간적인 과전류시 용융부의 용단이 순식간에 일어나 방열판에서 나타나는 열이 적기 때문에 이 정도의 열은 세라믹 홀더에서 충분히 흡수할 수 있게 되지만, 정격보다 약간 높은 정도의 과전류에서는 용융부의 용단에 이르기까지 대단히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되어 세라믹 홀더 마져도 가열하게 된다. 또한, 퓨즈 용융부의 용단여부에 상관없이 하우징은 가열된 세라믹 홀더의 출력에 의해 외형 변형을 일으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자동차용 퓨즈(300)는 용융부(220) 자체에 복수개의 방열홀(240)을 형성시킴으로써, 방열 효과를 높이면서도 퓨즈 구조의 단순화를 이룩할 수 있어 조립 공수의 절감 및 원자재 절감을 통한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퓨즈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퓨즈에 따르면, 단자부의 플러그 양단에 일체로 구비된 용융부에 복수개의 방열홀을 구비함으로써, 방열 효과를 높이면서도 퓨즈 구조의 단순화를 이룩할 수 있어 조립 공수의 절감 및 원자재 절감을 통한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퓨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자동차용 퓨즈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퓨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를 제거한 상태에서 자동차용 퓨즈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퓨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하우징, 110 : 랙,
120 : 관통홀, 130 : 걸림턱,
200 : 단자부, 210 : 플러그,
220 : 용융부, 230 : 고정돌기부,
240 : 방열홀, 250 : 커버,
300 : 퓨즈

Claims (2)

  1. 삭제
  2. 과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가늘고 긴형상으로 이루어진 방열홀이 형성된 호형상의 용융부와 상기 용융부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플러그로 이루어진 단자부; 및
    상기 단자부를 수납하는 하우징으로 구성된 자동차용 퓨즈.
KR10-2002-0055674A 2002-09-13 2002-09-13 자동차용 퓨즈 KR100506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674A KR100506647B1 (ko) 2002-09-13 2002-09-13 자동차용 퓨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674A KR100506647B1 (ko) 2002-09-13 2002-09-13 자동차용 퓨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4150A KR20040024150A (ko) 2004-03-20
KR100506647B1 true KR100506647B1 (ko) 2005-08-04

Family

ID=37327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5674A KR100506647B1 (ko) 2002-09-13 2002-09-13 자동차용 퓨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66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216B1 (ko) * 2008-07-11 2010-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블로우 퓨즈장치
KR200466899Y1 (ko) 2012-07-19 2013-05-13 주식회사 알피 타임래그 퓨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2352A (en) * 1986-04-23 1987-06-09 Kabushiki Kaisha T An T Fuse assembly
KR940027546U (ko) * 1993-05-04 1994-12-10 오토전기 주식회사 자동차용 퓨즈
KR20000023940A (ko) * 1999-11-23 2000-05-06 이정길 마이크로 휴즈
JP2001325878A (ja) * 2000-05-18 2001-11-22 Yazaki Corp ヒューズエレメン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2352A (en) * 1986-04-23 1987-06-09 Kabushiki Kaisha T An T Fuse assembly
KR940027546U (ko) * 1993-05-04 1994-12-10 오토전기 주식회사 자동차용 퓨즈
KR20000023940A (ko) * 1999-11-23 2000-05-06 이정길 마이크로 휴즈
JP2001325878A (ja) * 2000-05-18 2001-11-22 Yazaki Corp ヒューズエレメン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216B1 (ko) * 2008-07-11 2010-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블로우 퓨즈장치
KR200466899Y1 (ko) 2012-07-19 2013-05-13 주식회사 알피 타임래그 퓨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4150A (ko) 2004-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52868Y2 (ja) 遅断ヒューズ
JP2005519453A (ja) マルチエレメントヒューズアレイ
RU2222071C2 (ru) Плавкий предохранитель (варианты), основание для установки плавкого предохранителя и узел защиты цепи (варианты)
US20080061920A1 (en) Fuse cavity structure and electric connection box
US6753754B1 (en) Variably fusable power distribution block kit
JPH08171962A (ja)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
KR100506647B1 (ko) 자동차용 퓨즈
US6666723B2 (en) Multiple-fuse holder
CN105990753B (zh) 连接电路板的固定元件、汇流条以及配备有该固定元件和汇流条的车辆配电器
KR960008265Y1 (ko) 자동차용 퓨즈
JP3442234B2 (ja) ヒューズ
JP5856796B2 (ja) ブレード型ヒューズ
KR200275720Y1 (ko) 배선용 차단기의 이면체결용 단자구조
JP2007043827A (ja) デバイス配置構造及びデバイス配置構造に用いられるヒューズ回路体
CN216698266U (zh) 一种新型集成式保险盒
EP1498927A1 (en) An improved high-current protection device
US7119653B2 (en) Fuse element
KR200338455Y1 (ko) 자동차용 휴즈 홀더
CN214898317U (zh) 一种低压熔断器底座及低压熔断器
CN218482192U (zh) 一种大功率汽车线束保险丝座
KR200218886Y1 (ko) 퓨즈장치
JPS5829880Y2 (ja) 自動車用筒ヒユ−ズ
JP3109953U (ja) ヒューズ機能付きバスバー
JP2006042583A (ja) 電気接続箱
JP2004186005A (ja)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