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6586B1 - 난분해성 고농도 유기 폐수의 화학적 고도 산화처리법 - Google Patents

난분해성 고농도 유기 폐수의 화학적 고도 산화처리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6586B1
KR100506586B1 KR10-1998-0064121A KR19980064121A KR100506586B1 KR 100506586 B1 KR100506586 B1 KR 100506586B1 KR 19980064121 A KR19980064121 A KR 19980064121A KR 100506586 B1 KR100506586 B1 KR 100506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jector
wastewater
reactor
oxidation
high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4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7318A (ko
Inventor
김도겸
박성범
백제석
간은성
진덕준
홍진의
주용현
Original Assignee
한솔제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솔제지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솔제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64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6586B1/ko
Publication of KR20000047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7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6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5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2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by catalytic oxid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10Mixing by creating a vortex flow, e.g. by tangential introduction of flow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2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using pure oxygen or oxygen rich ga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5/00Use of specific compounds during water treatment
    • C02F2305/02Specific form of oxidant
    • C02F2305/026Fenton's reag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분해성 고농도 유기폐수의 화학적 고도 산화처리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쓰레기 매립장 폐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고농도의 유기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펜톤 산화공정을 적용함에 있어서 산화반응조로 수직 하향·상향류 흐름을 갖는 이젝터(Ejector) 타입 반응기를 적용하고, 상기 이젝터 타입 반응기에서는 반응조 용량의 일부를 이젝터 헤드를 통해 내부로 반송하여 강한 와류에 의한 완전혼합을 유도하고, 이와 동시에 이젝터를 통해 공급되는 산소에 의한 불완전 산화중간체의 부가적 산화유도로 인하여 고농도의 유기물을 저감시킴으로써, 기존의 펜톤 산화처리공정에 비하여 폐수처리설비에 적은 부지가 소요되고 사용되는 촉매 및 과산화수소의 사용량을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반응시간도 크게 단축할 수 있으면서 처리 효율이 향상되어 종래에 비해 경제적으로 개선된 난분해성 고농도 유기 폐수의 화학적 고도 산화처리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난분해성 고농도 유기 폐수의 화학적 고도 산화처리법
본 발명은 난분해성 고농도 유기폐수의 화학적 고도 산화처리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쓰레기 매립장 폐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고농도의 유기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펜톤 산화공정을 적용함에 있어서 산화반응조로 수직 하향·상향류 흐름을 갖는 이젝터(Ejector) 타입 반응기를 적용하고, 상기 이젝터 타입 반응기에서는 반응조 용량의 일부를 이젝터 헤드를 통해 내부로 반송하여 강한 와류에 의한 완전혼합을 유도하고, 이와 동시에 이젝터를 통해 공급되는 산소에 의한 불완전 산화중간체의 부가적 산화유도로 인하여 고농도의 유기물을 저감시킴으로써, 기존의 펜톤 산화처리공정에 비하여 폐수처리설비에 적은 부지가 소요되고 사용되는 촉매 및 과산화수소의 사용량을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반응시간도 크게 단축할 수 있으면서 처리 효율이 향상되어 종래에 비해 경제적으로 개선된 난분해성 고농도 유기 폐수의 화학적 고도 산화처리법에 관한 것이다.
쓰레기 매립장에서 발생하는 원폐수는 성상 자체가 복잡하고 난분해성 고농도 유기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생분해성이 낮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화학적 처리방법을 사용하여 유기물을 일부 제거하거나 또는 난분해성 유기물을 생분해가 가능한 물질로 전환시킨 후 생물학적 방법으로 처리한다.
화학적 처리방법은 주로 첨부도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단순 기계식 교반방법을 이용한 펜톤 산화공정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펜톤 산화공정은 먼저, 쓰레기 매립장에서 발생된 생물학적 처리수를 pH 조정조에 유입시키면서 펜톤 산화반응을 위해 황산, 황산철, 과산화수소 및 소포제를 동시에 투입하며, 이때 반응 pH가 조정되고, 대부분의 산화반응이 일어난다. 그 다음 공정으로 상기 pH 조정조를 거친 폐수는 잔류 과산화수소의 제거를 위하여 체류시간이 각각 1시간인 3개의 반응조, 즉 제 1 반응조, 제 2 반응조 및 제 3 반응조로 유입시킨다. 여기서, 생물학적 처리수의 성상변화 및 약품 투입조건의 변화에 따라서 제 1 반응조에서 격렬한 산화반응이 진행되기도 하며, 제 3 반응조에서 잔류 과산화수소가 검출되기도 하기 때문에 항시 반응조 3개가 모두 운영되어야 한다. 상기 3개의 반응조를 거친 폐수를 중화조로 유입시키면서 NaOH를 투입하여 pH를 7 ∼ 8.5로 조정하여 수산화철의 응집현상을 유도한 후, 중화조를 거친 폐수를 다시 완속교반조에 유입시키면서 음이온성 고분자응집제를 함께 투입하여 응집현상을 유도효과를 증가시킨다. 그 다음에 폐수를 침전조로 유입시켜 중화조에서 응집된 수산화철 및 기타 고형물을 분리하여 상등수는 활성탄 또는 모래여과조로 처리하여 방류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도 1의 단순 기계식 교반방법을 이용한 펜톤산화법은 pH 조정, 산화반응, 중화 및 응집단계에서 대체적으로 완전혼합이 어렵고, 불완전한 산화중간체간의 결합으로 인하여 산화효율의 한계에 직면하였으며, 제 1 반응조를 거친 이후에 잔류하는 과산화수소의 제거를 위해 상기 pH 조정조에 투입하는 촉매 대 과산화수소의 투입비를 1.6 ∼ 1.7 : 1의 비율(예컨대 2500 ppm : 1500 ppm)로 유지한다.
따라서, 이런 방법은 황산철 촉매 투입량이 반응에 필요한 양보다 항시 과량으로 투입되므로 경제적이지 않고, 잔류하는 과산화수소를 완전히 제거하는데에만 3시간의 반응시간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CODMn 제거효율도 70% 정도로 낮다. 또한, 폐수처리를 위한 부지를 크게 필요로 하고, 후속 공정인 침전조의 안정화를 위하여 반응시간을 연장하여야 하며 촉매의 투입량을 증가시켜야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기계식 교반방법에 공기주입식 교반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펜톤 산화공정의 산화효율과 혼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반응조의 증설 및 반응조 하단부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확산기(Diffuser)를 설치하여 산화효율을 80%로 상승시킬수 있으나, 사용부지 면적이 증가하고 약품 사용량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폐수 성상 및 약품투입 조건변화에 따른 불완전 반응으로 침전조에서 부상현상이 나타나고, 다량의 기포발생으로 소포제를 추가로 투입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고농도의 유기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펜톤 산화공정을 적용함에 있어서 수직 하향·상향류 흐름을 갖는 이젝터 타입 반응기를 적용하여 반응조 용량의 일부를 이젝터를 통해 내부로 반송하여 이젝터 반응기내의 강한 와류에 의한 완전 혼합을 유도하고, 이와 동시에 이젝터를 통해 공급되는 산소에 의해 불완전 산화중간체의 부가적 산화유도로 인하여 고농도의 유기물을 저감시킴으로써, 기존의 펜톤 산화처리법에 비하여 폐수처리설비 설치에 적은 부지가 소요되고 적용되는 촉매 및 과산화수소의 사용량을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반응시간도 대폭 단축할 수 있으면서 처리 효율이 크게 향상되어 경제적으로 개선된 난분해성 고농도 유기 폐수의 화학적 고도 산화처리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pH 조정조, 3개의 산화반응조, 중화조, 완속교반조 및 침전조로 이루어진 펜톤 산화공정에 의해 쓰레기 매립장 배출폐수내에 포함된 고농도 유기물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3개의 산화반응조 대신에 이젝터(Ejector) 타입 반응기를 대체적용하여 그 대체한 반응조 용량의 30 ∼ 80% 유량을 이젝터(Ejector) 헤드(Head)를 통해 내부로 반송시키는 난분해성 고농도 유기폐수의 화학적 고도 산화처리법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쓰레기 매립장 폐수내에 포함되어 있는 고농도의 유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펜톤 산화공정의 적용에 있어서 반응조 용량의 30 ∼ 80%를 이젝터를 통해 내부로 반송하여 강한 와류(Turbulence)에 의한 완전혼합을 유도하며, 이젝터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 중의 산소에 의해 불완전 산화 중간체의 부가적 산화 유도로 인하여 고농도의 유기물을 저감시켜 난분해성 고농도 유기폐수를 처리하는 화학적 고도 산화처리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처리하기에 적당한 폐수는 쓰레기 매립장에서 발생되는 폐수중에서도 특히, 난분해성 고농도 유기폐수로서 생물처리 후에도 유기물이 다량 잔류하여 화학적 처리 이외에는 적절한 처리법이 없는 폐수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난분해성 고농도 유기폐수을 제거하기 위한 안정적인 펜톤 산화공정을 적용하는 바, 종래의 단순 기계식 교반방법을 이용한 펜톤산화법은 pH 조정, 산화반응, 중화 및 응집단계에서 대체적으로 완전혼합이 어렵고, 불완전한 산화중간체간의 결합으로 인하여 산화효율이 떨어진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잔류하는 과산화수소의 제거를 위해 상기 pH 조정조에 투입하는 황산철 촉매 투입량이 반응에 필요한 양보다 과량으로 투입되므로 경제적이지 않고 잔류하는 과산화수소를 완전히 제거하는데 3시간의 반응시간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촉매, 과산화수소 및 유기물의 접촉 빈도를 높이므로 완전혼합 조건이 필수적이며 동시에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산소 공급으로 산화효율을 향상하기 위한 적절한 장치가 필요한 바, 이에 적합한 장치로서 본 발명에서는 이젝터(Ejector)를 통해 공기가 공급되며 고압펌프를 이용한 하향·상향류식 흐름의 내부순환으로 인하여 완전혼합이 가능한 이젝터 타입 반응기를 적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젝터 타입 반응기를 적용한 난분해성 고농도 유기폐수의 화학적 고도 산화처리법을 첨부도면 도 2에 도시한 바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쓰레기 매립장에서 발생되어진 원폐수 중의 생물학적 처리수를 pH 조정조로 유입시키고, 여기에 황산, 황산철, 과산화수소 및 소포제를 투입하여 pH 2 ∼ 4로 조정한다.
그리고 상기 pH 조정조를 거쳐 pH가 조정된 폐수를 이젝터 타입 반응기로 유입시키는데, 이를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으로 하는 바,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젝터 타입 반응기는 안정적인 펜톤 산화공정의 적용을 위해 내·외관 이중 구조로 높이 대 직경의 비가 7 : 1인 수직 하향·상향류 흐름을 갖고 반응조 용량의 30 ∼ 80%를 이젝터 헤드를 통해 내부로 반송하여 큰 와류(Turbulence)에 의하여 펜톤 산화촉매, 과산화수소 및 폐수의 접촉 빈도를 높혀 완전혼합을 유도하므로 산화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고, 또한 고농도 촉매 유입시 반응조내에서 생성되는 촉매 응결물을 강한 와류에 의해 미세크기로 유지시켜 응집반응이 완료된 후, 무겁고 강도있는 플럭을 형성할 수 있어 슬러지 초기 침강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이젝터(Ejector)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 중에 함유된 산소에 의하여 불완전 산화중간체의 부가적인 산화반응을 유도하여 고농도 유기물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젝터 타입 반응기를 첨부도면 도 3a 및 도 3b에 의거 더욱 상세히 하고자 한다.
이젝터 타입 반응기는 독일 클라우스탈(Clausthal) 공대의 보켈폴(Vogelpohl) 교수팀이 연구 개발한 고농도 유기폐수 처리를 위한 호기성 고효율 미생물 반응조(High Performance Compact Reactor, 미국특허 제 5837141 호, 제 4954257 호 및 제 4940546 호)로서 첨부도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중 노즐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동작 원리는 가운데 관을 통해 대기중의 공기가 유입되고 바깥관으로는 유입폐수와 순환수가 혼합되어 유입되는 것이다. 이때, 유입폐수 및 순환수의 순환은 펌프의 동력을 이용하여 작동되지만 가운데 관의 공기는 별도의 동력없이 벤츄리 이젝터(Venturi Ejector) 원리로 작용된다. 이렇게 유입된 공기는 유도관에서 폐수와 충돌하여 1차 확산되고, 다시 유도관 밖에 위치한 유로를 통해 상승하면서 2차 확산되는 것이다. 또한, 반응조 상단으로 올라온 공기는 노즐의 유속에 의해 반응조 용량의 30 ∼ 80%의 유량를 이젝터 헤드를 통해 내관으로 다시 순환되고 그 나머지 용량만이 처리수로 배출된다. 따라서, 강한 와류에 의한 혼합으로 인하여 펜톤 산화촉매, 과산화수소 및 폐수의 접촉 빈도를 높혀 완전혼합이 가능하게 되며, 한번 유입된 공기는 충분한 시간동안 폐수와 접촉하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산소가 폐수로 전달되어 산소 공급에 의한 불완전 산화중간체의 부가적 산화반응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폐수 중의 난분해성 고농도 유기물질의 제거효율을 80% 이상으로 하여 안정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1 시간 이내에 과산화수소가 모두 반응하므로 후속 공정인 침전조에서 슬러지 부상 현상이 없음은 물론, 펜톤 산화공정 중의 응집반응으로 부유고형물 및 현탁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오염물질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그 다음 공정으로, 상기 이젝터 타입 반응기를 거친 폐수는 중화조로 투입시키면서 NaOH를 첨가하여 pH를 7 ∼ 8.5로 조정하여 수산화철의 응집현상을 유도한 후, 중화조를 거친 폐수를 다시 완속교반조에 유입시키면서 음이온성 고분자응집제를 함께 첨가하여 응집현상을 증가시킨다. 그 다음에 완속교반조를 거쳐 응집현상이 증가된 폐수를 침전조로 유입시킴으로써, 중화조에서 응집된 수산화철 및 기타 고형물을 분리하여 상등수는 활성탄 또는 모래여과조로 처리하여 방류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본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 이젝터 반응기 이용
본 발명에 의한 이젝터(Ejector) 타입 반응기를 적용한 펜톤 산화공정을 사용하되, 이젝터(Ejector) 타입 반응기(2ℓ 용량)로 1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때, 쓰레기 매립장 생물학적 처리수 500 ㎖를 첨가하였고, 과산화수소는 2,100 ㎎/ℓ를 첨가하였고, 황산철 촉매는 2,730 ㎎/ℓ를 첨가하였다. 그리고, 원수의 COD, 처리수의 COD 및 슬러지의 침강속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 임펠라 교반
기존의 펜톤 산화공정을 적용함에 있어서, 비이커에 임펠라로 150 rpm으로 교반하였다. 이때, 쓰레기 매립장 생물학적 처리수 500 ㎖를 첨가하였고, 과산화수소는 2,100 ㎎/ℓ를 첨가하였고, 황산철 촉매는 2,730 ㎎/ℓ를 첨가하였다. 그리고, 원수의 COD, 처리수의 COD 및 슬러지의 침강속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 공기 주입식 교반
기존의 펜톤 산화공정을 적용함에 있어서, 지름 75㎜, 높이 400㎜의 원통형 반응기로 하단부에 40 ∼ 60㎜ 크기의 막공이 있는 도자기 필터(porcelain disk filter)가 설치되어 있는 버블 칼럼 반응기(Buble column reacter)를 이용하였으며, 혼합을 위해 반응기 하단부에서 1 lpm의 공기를 주입하였다. 이때, 쓰레기 매립장 생물학적 처리수 500 ㎖를 첨가하였고, 과산화수소는 2,100 ㎎/ℓ를 첨가하였고, 황산철 촉매는 2,730 ㎎/ℓ를 첨가하였다. 그리고, 원수의 COD, 처리수의 COD 및 슬러지의 침강속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구 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원수 CODCr (㎎/ℓ) 2,080
CODMn (㎎/ℓ) 529
처리수 CODCr (㎎/ℓ) 596 (72.1%) 828 (60.2%) 620 (69.9%)
CODMn (㎎/ℓ) 95 (82.0%) 154 (70.9%) 136 (74.3%)
슬러지 침강속도 (Min) 1.5 5.5 3
(주)괄호안은 COD 제거효율을 나타낸 것임슬러지 침강속도는 초기 부피의 1/2이 되는 시간을 나타낸 것임
실험예 1 : 이젝터(Ejector) 타입 반응기를 적용한 펜톤 산화공정
다음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원수를 사용하고 본 발명에 의한 이젝터(Ejector) 타입 반응기를 적용한 펜톤 산화공정을 사용하여 하기한 실험조건으로 시험하였고, 원수와 처리수의 COD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 조건
반응조 형식 : 하향·상향류식 수직형
반응조 유효 용량 : 0.47 ㎥
포기 깊이 : 1.34 m
반응 시간 : 1 시간
Fe 투입량 : 2,500 ㎎/ℓ
H2O2 투입량 : 1,500 ㎎/ℓ
구 분 시료 1 시료 2
CODCr CODMn CODCr CODMn
원수 1,236 705 1,236 705
처리수 230 (81%) 139 (80%) 290 (77%) 84 (88%)
주)괄호안은 COD 제거효율을 나타낸 것임
실험예 2 : 이젝터(Ejector) 타입 반응기를 적용한 약품 투입 농도별 펜톤 산화공정
다음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원수를 사용하고 본 발명에 의한 이젝터(Ejector) 타입 반응기를 적용한 펜톤 산화공정을 사용하여 하기한 실험조건으로 시험하되, 약품 투입 농도를 달리하여 투입하여 원수와 처리수의 COD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다음 표 3에 나타내었다.
실험 조건
반응조 형식 : 하향·상향류식 수직형
반응조 유효 용량 : 0.47 ㎥
포기 깊이 : 1.34 m
반응 시간 : 1 시간
구 분 시료 1 시료 2 시료 3 시료 4
Fe 투입농도 (㎎/ℓ) 1,028 1,543 1,971 2,485
H2O2 투입농도 (㎎/ℓ) 691 993 1,338 1,684
CODCr (㎎/ℓ) 430 (55%) 402 (62%) 336 (67%) 293 (70%)
CODMn (㎎/ℓ) 241 (68%) 180 (71%) 135 (79%) 138 (79%)
주)괄호안은 COD 제거효율을 나타낸 것임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부지 면적 감소로 인한 투자비와 약품 투입량의 감소로 인해 운전비를 크게 낮출 수 있으며, 불안전한 산화 중간체의 지속적인 산화 반응 유도로 인하여 반응효율을 높일 수 있고 반응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1시간 이내에 과산화수소가 모두 반응하여 후속공정인 침전조에서의 슬러지 부상현상이 없이 안정적인 침전이 가능하여 향후 쓰레기 매립장에서 발생되는 폐수 이외의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화학적 고도 산화처리에 활용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기존의 펜톤 산화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젝터(Ejector) 타입 반응기를 적용한 펜톤 산화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도이고,
도 3a는 이젝터(Ejector) 타입 반응기의 유체흐름 경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3b는 이젝터 타입 반응기중에서 이중 노즐의 작동원리를 확대하여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폐수 유입구 2 : 공기 흡입구
3 : 공기 배출구 4 : 처리수 배출구
5 : 공기 흡입구 6 : 이중노즐의 외관
7 : 이중노즐의 내관 8 : 1차 확산된 공기방울
9 : 2차 확산된 공기방울 10 : 반응기를 통해 순환되는 공기방울

Claims (2)

  1. pH 조정조, 3개의 산화반응조, 중화조, 완속교반조 및 침전조로 이루어진 펜톤 산화공정에 의해 쓰레기 매립장 배출폐수내에 포함된 고농도 유기물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3개의 산화반응조 대신에 이젝터(Ejector) 타입 반응기를 대체적용하여 그 대체한 반응조 용량의 30 ∼ 80% 유량을 이젝터(Ejector) 헤드(Head)를 통해 내부로 반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고농도 유기폐수의 화학적 고도 산화처리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 타입 반응기는 내·외관 이중 구조이고 높이 대 직경의 비가 7:1으로 수직 하향·상향류 흐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고농도 유기폐수의 화학적 고도 산화처리법.
KR10-1998-0064121A 1998-12-31 1998-12-31 난분해성 고농도 유기 폐수의 화학적 고도 산화처리법 KR100506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4121A KR100506586B1 (ko) 1998-12-31 1998-12-31 난분해성 고농도 유기 폐수의 화학적 고도 산화처리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4121A KR100506586B1 (ko) 1998-12-31 1998-12-31 난분해성 고농도 유기 폐수의 화학적 고도 산화처리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318A KR20000047318A (ko) 2000-07-25
KR100506586B1 true KR100506586B1 (ko) 2005-09-26

Family

ID=19570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4121A KR100506586B1 (ko) 1998-12-31 1998-12-31 난분해성 고농도 유기 폐수의 화학적 고도 산화처리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65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767A (ko) * 1999-06-18 1999-09-06 안석훈 펜턴산화법을이용한오폐수처리방법
KR100667225B1 (ko) 2005-06-14 2007-01-15 최대일 철촉매 공기산화 반응조와 고속응집 경사판 침전장치를이용한 폐수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1891A (ja) * 1988-07-21 1990-02-01 Kubota Ltd 水処理装置
US4954257A (en) * 1987-09-03 1990-09-04 Tecon Gmbh Biological purification loop device and method having deflector plate within guide pipe
JPH07303895A (ja) * 1994-05-16 1995-11-21 Kubota Corp 水処理装置
KR20000000853A (ko) * 1998-06-03 2000-01-15 임정홍 유기오수 정화용 입식 폭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4257A (en) * 1987-09-03 1990-09-04 Tecon Gmbh Biological purification loop device and method having deflector plate within guide pipe
JPH0231891A (ja) * 1988-07-21 1990-02-01 Kubota Ltd 水処理装置
JPH07303895A (ja) * 1994-05-16 1995-11-21 Kubota Corp 水処理装置
KR20000000853A (ko) * 1998-06-03 2000-01-15 임정홍 유기오수 정화용 입식 폭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318A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77135B2 (ja) 固体及び液体有機廃棄物の化学的かつ生物学的除去方法及び該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CN110776085B (zh) 一种超重力旋流微气泡臭氧氧化废水深度处理系统
KR100856676B1 (ko) 복합 고급산화공정을 이용한 방향족 카르복실산 함유 폐수처리 장치
KR100906742B1 (ko) 초음파전해 침전조와 복합상향여과막 분리조를 포함하는 구성의 오,폐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CN102531234A (zh) 一种芬顿氧化预处理碱性废水的方法
CN114436457B (zh) 臭氧催化氧化气浮一体化系统及其使用方法
CN104710077B (zh) 合成橡胶废水的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CN110228898A (zh) 一种臭氧催化氧化-mbr联合处理煤化工废水的工艺
CN106365348B (zh) Fenton协同臭氧流态化催化氧化废水处理装置及其处理废水的方法
CN112125476A (zh) 一种两段式臭氧氧化-生物接触耦合的污水深度处理方法及装置
CN112174430B (zh) 一种臭氧氧化-生化耦合的污水深度处理方法及装置
CN106957132B (zh) 一种回转式氧化沟工艺联合臭氧活性炭处理印染废水的方法及装置
CN211770809U (zh) 一种高污染难降解废水高效处理装置
CN108862741A (zh) 处理化工废水的工艺和装置
KR100506586B1 (ko) 난분해성 고농도 유기 폐수의 화학적 고도 산화처리법
JP3731806B2 (ja) 有機性排水の処理方法及び装置
CN107915366A (zh) 一种利用臭氧对垃圾渗沥液进行深度处理的工艺
CN217077108U (zh) 基于臭氧催化氧化气浮一体化的污水处理系统
CN110862196A (zh) 一种高污染难降解废水高效处理方法、处理装置和应用
CN105461163A (zh) 湿纺腈纶生产聚合废水处理系统及处理方法
CN106348536B (zh) 一种Fenton协同臭氧处理废水装置及其处理废水的方法
CN106542699B (zh) 一种高效的碎煤加压气化高浓污水处理方法
US972533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tion in ammoniacal nitrogen from waste waters
CN106430826B (zh) 一种高效造纸法再造烟叶废水处理装置及其处理废水的方法
KR102477928B1 (ko) 개량된 고도 처리구조를 갖는 하·폐수 복합 처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