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6294B1 - 차륜 - Google Patents

차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6294B1
KR100506294B1 KR10-2002-0055984A KR20020055984A KR100506294B1 KR 100506294 B1 KR100506294 B1 KR 100506294B1 KR 20020055984 A KR20020055984 A KR 20020055984A KR 100506294 B1 KR100506294 B1 KR 100506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wheel
tires
vehicl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5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4387A (ko
Inventor
조용락
Original Assignee
조용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락 filed Critical 조용락
Priority to KR10-2002-0055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6294B1/ko
Publication of KR20040024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4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6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2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60C17/01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5/00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 B60C5/20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having multiple separate inflatable 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륜에 관한 것으로, 통상 타이어의 형태를 가지는 내부 타이어와 외부 타이어가 내,외측으로 구비되는 이중 타이어와, 상기 이중 타이어와 내,외부 공기실,이 구비되도록 결합되는 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중 타이어의 내부 타이어와 외부 타이어는 크라운부와 비드부가 구비되는 통상의 타이어와 같은 구조로 되고, 상기 휠에는 고정부가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내,외부 타이어,의 비드부가 결합되며, 상기 휠의 고정부에는 공기밸브가 결합되어 내,외부 공기실에 압축공기를 주입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차륜은 외부 타이어의 내측에 내부 타이어가 이중으로 구비된 이중 타이어를 차륜에 결합하여 내,외부 공기실에 압축공기를 주입하도록 된 것으로, 차량에 별도의 체인을 보관할 필요가 없어 간편한 이점이 있고, 미끄러운 노면 운행 시에 외부 타이어의 공기를 조절하여 도로면과의 접지면적으로 넓힘으로써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으므로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주행 중 외부 타이어의 파손 시에도 내부 타이어가 이중으로 있으므로 차량이 전복되는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2차 위험 요소들에 대하여 차량을 정상적으로 운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차량이 웅덩이 등에 빠질 경우 타이어의 접촉면을 많게 해줌으로써 차량이 쉽게 빠져 나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륜{LANDING WHEEL}
본 발명은 자동차용 등의 차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 타이어와 외부 타이어의 이중 구조로 된 이중 타이어를 휠에 결합하여 동절기의 강설 및 하절기의 강우 등으로 인하여 도로면이 미끄러울 때에 외부 타이어의 압축공기를 조절하여 도로와의 접지면을 넓힘으로써 통상의 체인을 장착하지 않고서도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하고, 주행 중 타이어의 파손으로 인한 차량의 흔들림, 전복 등의 위험에 대하여, 2중 타이어의 구조를 갖고 있음으로 외부 타이어 파손 시에도 내부 타이어에 의하여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 차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은 차량을 정지한 상태에서 체인을 타이어에 덮어 씌운 상태에서 체인을 타이어에 밀착시키기 위하여 고정용 고리들을 당겨서 각 고리에 연결하여 고정하는 방식이 운전자들에게 상당히 불편하고, 특히 여성 운전자의 경우 체인을 장착하기는 더욱 어려움이 있고, 또한 장착을 하여도 주행 시에 체인으로 인한 차량의 소음 등이 심하며, 장착된 체인의 고정용 고리의 풀림, 끊어짐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체인이 풀려 망실의 우려가 있으며, 체인 망실 시 운전자가 체인의 망실을 인지하지 못할 경우 차량의 치우침, 미끄러짐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내부 타이어와 외부 타이어의 이중 구조로 된 이중 타이어를 휠에 결합하여 동절기에 강설로 인하여 도로면이 미끄러울 때에 외부 타이어의 압축공기를 조절하여 도로와의 접지면을 넓힘으로써 통상의 체인을 장착하지 않고서도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하고, 외부 타이어 파손 시에도 이중 구조의 내부 타이어에 의하여 차량의 쏠림이나 전복 등의 위험에 대하여 보다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되는 차륜을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차륜은 내부 타이어와 외부 타이어가 내,외측으로 구비되는 이중 타이어와, 상기 이중 타이어와 내,외부 공기실이 구비되도록 결합되는 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중 타이어의 내부 타이어와 외부 타이어는 크라운부와 비드부가 구비되는 통상의 타이어와 같은 구조로 되고, 상기 휠에는 고정부가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내,외부 타이어의 비드부가 결합되며, 상기 휠의 고정부에는 공기밸브가 결합되어 내,외부 공기실에 압축공기를 주입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내,외부 타이어는 종래의 타이어와 같은 형태로 형성하거나, 필요에 따라 형태를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외부 타이어와 휠의 결합도 종래의 타이어 결합구조와 같은 형태로 적용하거나, 필요에 따라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은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인을 설치함에 있어서 설치의 어려움과 주행 시의 소음 문제, 또한 여성 운전자의 경우 설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체인 장착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에 타이어를 내,외부 이중구조로 형성하고 타이어 장착용 휠을 이중 결합구조로 형성하여 결합한 것으로, 노면이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일반적인 정상 타이어와 같이 사용하고, 겨울철과 같이 노면이 미끄러운 경우에는 외부 타이어의 공기를 빼면 외부 타이어의 노면과의 접지면이 넓혀짐과 아울러 내부 타이어에 의해 자체는 더 이상 내려가지 않으며, 이 상태에서 주행을 하면 타이어의 노면 접촉면이 많아지므로 미끄럼 방지에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타이어가 파손되는 등의 위험요인에도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를 휠에 장착한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측면도로서, 도 1에는 평상 시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2에는 미끄러운길 운행 시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3에는 개략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가 각각 도시되고, 도 4에는 휠의 부분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 및 도 6에는 평상 시 및 미끄러운길 운행 시 상태를 보인 부분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륜은 통상 타이어의 형태를 가지는 내부 타이어(110)와 외부 타이어(120)가 내,외측으로 구비되는 이중 타이어(100)와, 상기 이중 타이어(100)와 내,외부 공기실(300),(301)이 구비되도록 결합되는 휠(2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중 타이어(100)의 내부 타이어(110)와 외부 타이어(120)는 크라운부(111),(121)와 비드부(112),(122)가 구비되는 통상의 타이어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휠(200)에는 고정부(201),(202)가 단차지게 형성되어 내,외부 타이어(110),(120)의 비드부(112),(122)가 결합되어 있으며, 휠(200)의 고정부(201),(202)에는 공기밸브(210),(211)가 결합되어 내,외부 공기실(300),(301)에 압축공기를 주입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 타이어(110)의 크라운부(111) 외주면과 외부 타이어(120)의 크라운부(121) 내부면에는 환상요홈(113)과 환상돌조(123)가 형성되어 내,외부 타이어(110),(120) 사이의 외부 공기실(301)에서 공기를 배출시켜 외부 타이어(120)가 수축되는 때에 환상요홈(113)과 환상돌조(123)가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중 타이어(100)의 내,외부 타이어(110),(120)는 서로 분리된 형태로 제작하여 내부 타이어(110)를 외부 타이어(120)의 내부에 삽입한 형태로 보관, 취급하거나, 또 내,외부 타이어(110),(120)를 각각 분리된 형태로 보관 취급할 수 있다. 그리고 이중 타이어(100)의 내,외부 타이어(110),(120)를 소정 부위에서 서로 연결하여 일연체의 형태로 보관, 취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차륜은 상기 휠(200)에 내,외부 타이어(110),(120)를 통상 타이어와 같은 방법으로 결합하고 휠(200)에 구비된 공기밸브(210),(211)를 통하여 내,외부 공기실(300),(301)에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내,외부 타이어(110),(120)가 도 1 및 도 5와 같이 팽창된 형태로 평상 시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 1 및 도 5와 같이 내,외부 타이어(110),(120)의 내,외부 공기실(300),(301)에 압축공기가 충분히 주입된 형태로 평상 시 사용하다가, 예를 들어 동절기에 눈이 내려 도로가 미끄럽게 되면 휠(200)의 외부 공기밸브(211)를 이용하여 외부 공기실(301)의 공기를 배출시킨 형태로 사용하게 되며, 도 1 및 도 5와 같이 이중 타이어(100)의 내,외부 공기실(300),(301)에 공기가 팽배한 상태로 주입된 경우에는 도로면과 접촉되는 접지면(S1)이 적은 반면에 도 2 및 도 6과 같이 외부 타이어(120)의 공기를 소정량 빼내게 되면 도로면과 접촉되는 접지면(S2)이 넓어지므로 미끄러운 눈길에서도 보다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2 및 도 6과 같이 내,외부 타이어(110),(120) 사이의 외부 공기실(301)에 공기가 빠진 경우에도 내부 타이어(110)의 내부 공기실(300)에는 압축공기가 충분히 주입되어 있어 내부 타이어(110)가 차체를 지탱하게 되므로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은 미끄러운 길 주행 시 외부 타이어의 공기를 뺄 경우 내부 타이어와 외부 타이어의 요철 부분을 맞추기 위하여 휠의 내,외부 타이어 결합부분에 일종의 점, 선 등의 표지를 표시하고 내,외부 타이어에도 요철이 맞을 수 있게 일종의 점 혹은 선 등을 표시하여 휠과 타이어를 일정한 위치에 정확하게 조립하도록 함으로써 외부 타이어의 공기를 빼면 바로 내,외부의 요철이 정확하게 맞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륜은 외부 타이어의 내측에 내부 타이어가 이중으로 구비된 이중 타이어를 차륜에 결합하여 내,외부 공기실에 압축공기를 주입하도록 된 것으로, 차량에 별도의 체인을 보관할 필요가 없어 간편한 이점이 있고, 미끄러운 노면 운행 시에 외부 타이어의 공기를 조절하여 도로면과의 접지면적으로 넓힘으로써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으므로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주행 중 외부 타이어의 파손 시에도 내부 타이어가 이중으로 있으므로 차량의 쏠림, 전복되는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2차 위험 요소들에 대하여 차량을 정상적으로 운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차량이 웅덩이 등에 빠질 경우 타이어의 접촉면을 많게 해줌으로써 차량이 쉽게 빠져 나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를 휠에 장착한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측면도로서,
도 1은 평상 시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2는 강설 시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개략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휠의 부분 종단면도.
도 5 및 도 6은 평상 시 및 미끄러운길 운행 시 상태를 보인 부분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중 타이어 110,120 : 내,외부 타이어
111 : 크라운부 112,122 : 비드부
113 :환상요홈 123 : 환상돌조
200 : 휠 201,202 : 고정부
210,211 : 공기밸브 300,301 : 내,외부 공기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내부 타이어(110)와 외부 타이어(120)가 내,외측으로 구비되는 이중 타이어(100)와, 상기 이중 타이어(100)와 내,외부 공기실(300),(301)이 구비되도록 결합되는 휠(200)을 포함하여 구성된 차륜에 있어서, 상기 내부 타이어(110)의 크라운부(111) 외주면과 외부 타이어(120)의 크라운부(121) 내주면에는 환상요홈(113)과 환상돌조(123)가 형성되어 상기 내,외부 타이어(110),(120) 사이의 외부 공기실(301)에서 공기를 배출시켜 외부 타이어(120)가 수축되는 때에 상기 환상요홈(113)과 환상돌조(123)가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륜.
  4. 삭제
  5. 삭제
  6. 휠(200)에 결합되어 내,외부 공기실(300),(301)을 형성하는 내,외부 타이어(110),(120)를 구비하여 구성된 이중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내부 타이어(110)의 크라운부(111) 외부면과 외부 타이어(120)의 크라운부(121) 내부면에는 환상요홈(113)과 환상돌조(123)가 형성되어 상기 내,외부 타이어(110),(120) 사이의 외부 공기실(301)에서 공기를 배출시켜 외부 타이어(120)가 수축되는 때에 상기 환상요홈(113)과 환상돌조(123)가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타이어.
KR10-2002-0055984A 2002-09-14 2002-09-14 차륜 KR100506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984A KR100506294B1 (ko) 2002-09-14 2002-09-14 차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984A KR100506294B1 (ko) 2002-09-14 2002-09-14 차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4387A KR20040024387A (ko) 2004-03-20
KR100506294B1 true KR100506294B1 (ko) 2005-08-05

Family

ID=37327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5984A KR100506294B1 (ko) 2002-09-14 2002-09-14 차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62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554B1 (ko) * 2008-03-06 2009-07-20 장성기 내·외부 타이어를 갖는 차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70603A (ja) * 1989-04-12 1990-11-05 Hisakatsu Katajima 二重タイヤで空気圧加減を有するスノータイヤ
KR940019506A (ko) * 1993-02-12 1994-09-14 윤양중 이중 림 구조를 가지는 이중 타이어
KR970000621A (ko) * 1995-06-29 1997-01-21 김태구 자동차용 이중타이어의 구조
KR19980031156U (ko) * 1996-11-30 1998-08-17 양재신 자동차용 이중타이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70603A (ja) * 1989-04-12 1990-11-05 Hisakatsu Katajima 二重タイヤで空気圧加減を有するスノータイヤ
KR940019506A (ko) * 1993-02-12 1994-09-14 윤양중 이중 림 구조를 가지는 이중 타이어
KR970000621A (ko) * 1995-06-29 1997-01-21 김태구 자동차용 이중타이어의 구조
KR19980031156U (ko) * 1996-11-30 1998-08-17 양재신 자동차용 이중타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4387A (ko) 2004-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6035B2 (en) Pneumatic tire with tread having protruding strip portion connected to protrusion disposed on sidewall
WO2009102950A3 (en) Loose terrain traction-assist device for wheeled all-terrain and utility vehicles
KR100506294B1 (ko) 차륜
WO2019127620A1 (zh) 防滑链
KR20090013236U (ko) 스노우 타이어용 스터드핀
US2904093A (en) Anti-skid device for tires
KR100833783B1 (ko) 스노우 타이어용 스터드핀
KR102339832B1 (ko) 윈터 타이어용 스터드 핀
KR102340781B1 (ko) 스노우 그립 성능을 향상시킨 타이어
JP2014198550A (ja) 走行中でもスパイクの出し入れが出来るスパイクタイヤ
KR200253610Y1 (ko) 미끄럼 방지용 스파이크 벨트
CN213228213U (zh) 轮胎、车轮及车辆
JP3124113U (ja) タイヤ用滑止具
US1453530A (en) Pneumatic-tire attachment
KR200216185Y1 (ko) 고속주행 및 동절기시 사고 예방용 보조타이어
JPH07276926A (ja) スパイク付きタイヤ
KR200298066Y1 (ko) 자동차용 스노우 체인
KR200303641Y1 (ko) 타이어
JPS63145109A (ja) 可変式スパイク・スノ−タイヤ
US1580607A (en) Traction device
JPH06243Y2 (ja) ハンド式除雪機
KR200297157Y1 (ko) 자동차용 스노우 체인
DK201500127U3 (en) Removable luftdækslidbane
JPS62125901A (ja) 自動車用スリツプ防止輪
JP2006327365A (ja) タイヤ用滑り止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