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5891B1 - Glass holder and their adhesive method and forming method of hotmelt - Google Patents

Glass holder and their adhesive method and forming method of hotmel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5891B1
KR100505891B1 KR10-2003-0028392A KR20030028392A KR100505891B1 KR 100505891 B1 KR100505891 B1 KR 100505891B1 KR 20030028392 A KR20030028392 A KR 20030028392A KR 100505891 B1 KR100505891 B1 KR 100505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glass
resin
heating
hot m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83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34345A (en
Inventor
미토미가츠히로
이치카와고우지
무라타노리히코
미즈사와아키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02139A external-priority patent/JP4057391B2/en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40034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43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5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5891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38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for vehicle windows
    • E05F11/385Fixing of window glass to the carrier of the operat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4Mounting of windows
    • B60J1/006Mounting of windows characterised by fixation means such as clips, adhesive, et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2Toolless
    • E05Y2600/526Gluing or cemen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과제) 유리 등의 접착면에 대한 프라이머처리나 접착제의 경화를 위한 제작 체류기간 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높은 신뢰성의 접착부를 실현할 수 있는 유리홀더, 접착방법 및 핫멜트제의 성형방법을 제공한다. (Problem) Provides a glass holder, a bonding method, and a molding method of a hot melt that can realize a highly reliable adhesive portion without requiring a primer treatment on an adhesive surface such as glass, or a manufacturing residence period for curing an adhesive. .

(해결수단) 제 1 홀더편(11)과, 제 1 홀더편(11)과 쌍을 이루며, 유리(30)를 사이에 두고서 제 1 홀더편(11)과 대향하는 제 2 홀더편(12)과, 제 1 및 제 2 홀더편(11,12) 중 적어도 일측에 포함되며, 제 1 및 제 2 홀더편(11,12)을 다른 부재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조(3,3a,8,9,9a)와, 제 1 및 제 2 홀더편(11,12) 중 적어도 일측에 부착된 핫멜트 수지(7)를 구비한다. (Resolution means) The 2nd holder piece 12 which pairs with the 1st holder piece 11 and the 1st holder piece 11, opposes the 1st holder piece 11 with the glass 30 in between. And an attachment structure (3, 3a, 8, 9) included in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holder pieces (11, 12) for attaching the first and second holder pieces (11, 12) to the other member. And 9a) and hot melt resin 7 attached to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holder pieces 11 and 12.

Description

유리홀더, 접착방법, 및 핫멜트 수지 성형방법{GLASS HOLDER AND THEIR ADHESIVE METHOD AND FORMING METHOD OF HOTMELT}GLASS HOLDER AND THEIR ADHESIVE METHOD AND FORMING METHOD OF HOTMEL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윈도 레귤레이터에 창유리를 부착하기 위한 유리홀더, 유리와 부품을 접착하는 접착방법 및 접착제인 핫멜트 수지의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lass holder for attaching a window glass to a window regulator of an automobile, an adhesive method for adhering glass and a component, and a method for forming a hot melt resin, which is an adhesive.

도 11은 자동차의 창유리(130)를 지지하는 종래의 유리홀더(110) 및 이것을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를 구성하는 롤러 가이드(112)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창유리(130)는 유리홀더(110)에 고정되고, 이 유리홀더(110)는 승강기구를 구성하는 롤러 가이드(112)에 볼트(140) 등을 사용하여 부착된다.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glass holder 110 supporting a window glass 130 of a vehicle and a roller guide 112 constituting a lifting mechanism for lifting and lowering it. The window glass 130 is fixed to the glass holder 110, the glass holder 110 is attached to the roller guide 112 constituting the lifting mechanism using a bolt 140 or the like.

도 12는 도 11의 ⅩⅡ-ⅩⅡ선 단면도이다. 창유리(130)는 유리홀더(110)의 U자 형상부(111)에 우레탄 접착제 등의 접착제(107)에 의해서 접착된다. 또, 유리홀더(110)의 부착부(103)에는 롤러 가이드(112)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조로서 인서트 너트(109)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트(140)만을 사용하여 롤러 가이드(112)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XIII of FIG. 11. The window glass 130 is bonded to the U-shaped portion 111 of the glass holder 110 by an adhesive 107 such as a urethane adhesive. An insert nut 109 is attached to the attachment portion 103 of the glass holder 110 as an attachment structure for attachment to the roller guide 112. Therefore, as shown in FIG. 11, it is possible to attach to the roller guide 112 using only the bolt 140.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창유리와 유리홀더와의 사이에 우레탄 접착제 등을 충전시켜서 창유리와 유리홀더를 접착하고, 이 유리홀더를 승강기구에 부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a urethane adhesive or the like is filled between the window glass and the glass holder to bond the window glass to the glass holder, and the glass holder can be attached to the lifting mechanism.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유리홀더를 사용하는 경우, 창유리와 유리홀더의 접착을 강고하게 하기 위해서, 창유리 및 유리홀더의 접착면에는 프라이머처리를 할 필요가 있었다. 또, 접착제로서의 우레탄 수지가 완전히 경화될 때까지는 약 24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 동안에는 조립작업을 진행시킬 수 없었다. 따라서, 제품이 제작 도중상태에서 체류됨으로써 생산성을 저하시켜 왔다. However, in the case of using the conventional glass holder described above, in order to strengthen the adhesion between the window glass and the glass holder, it is necessary to apply a primer treatment to the bonding surface of the window glass and the glass holder. Moreover, since about 24 hours are required until the urethane resin as an adhesive agent fully hardens, granulation operation could not be advanced during that time. Therefore, productivity has been reduced by the product staying in the manufacturing state.

또한, 접착제가 경화될 때까지는 창유리에 끼워져 있는 유리홀더가 자중에 의해서 빠져 떨어지지 않도록 유리홀더의 U자 형상부가 창유리에 알맞게 끼워맞춰질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하기 위해서는, 유리홀더의 치수 정밀도를 소정 범위 내에서 관리하고, 또한 창유리의 두께마다 유리홀더를 보유할 필요가 있었다.In addition, the U-shaped portion of the glass holder needs to be fitted to the window glass properly so that the glass holder fitted to the window glass does not fall out due to its own weight until the adhesive is cured. In order to do this, it was necessary to manage the dimensional accuracy of the glass holder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to hold the glass holder for each thickness of the window glass.

또, 소정의 접착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접착강도 프라이머제나 우레탄 접착제 등의 보관방법이나 사용기한도 관리할 필요가 있었다. 게다가, 유리홀더에 금속 너트를 인서트 성형하기 위해서, 유리홀더의 성형가공에 많은 공정수를 필요로 함으로써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도 있었다. In addition, in order to secure the predetermined adhesive strength, it was necessary to manage the storage method and the expiration date of the adhesive strength primer agent and the urethane adhesive. In addition,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productivity is lowered by requiring a large number of steps for forming and processing the glass holder in order to insert molding the metal nut into the glass holder.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고주파 유도가열에 의해서 발열되는 발열체를 함유시킨 가열 발포성 수지를 사용하는 접착방법이 제안되었다(일본국 특개평 6-206442호 공보). 이 방법에 의하면, 상기 가열 발포성 수지를 유리홀더와 창유리와의 사이에 배치하고서 고주파 유도가열을 한다. 이 고주파 유도가열에 의해서 도전체 등의 발열체가 발열되면, 가열 발포성 수지가 발포되어 유리홀더와 창유리와의 사이의 틈새에 충전됨으로써 접착된다. 이와 같은 접착제는 가열경화되기 때문에, 단시간에 경화됨으로써 제작품을 묵혀 둘 필요가 없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bonding method using the heat-expandable resin containing the heating element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s by high frequency induction heating was propose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6-206442). According to this method, the high-frequency induction heating is performed while the heat-expandable resin is disposed between the glass holder and the window glass. When a heat generating element such as a conductor generates heat by the high frequency induction heating, the heat-expandable resin is foamed and adhered by filling in the gap between the glass holder and the window glass. Since such an adhesive is heat-cured, it is not necessary to leave a manufactured product by hardening in a short time.

그러나, 상기 가열 발포성 수지는 접착강도가 그다지 크지 않기 때문에 내구성에 문제가 있다. 즉, 접착처리후에는 전체가 접착제만으로 구성되는 접착제에 비해서 공극이 많이 배치되기 때문에 접착강도가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heat-expandable resin has a problem in durability because the adhesive strength is not so large. That is, after the adhesion treatment, since the voids are arranged more than the adhesive composed entirely of the adhesiv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dhesive strength is lowered.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광범위한 접착용 수지가 개발되고 있으며, 접착시간이 짧고 접착강도를 향상시킨 몇몇개의 접착용 수지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2002-188068호 공보, 공개특허 2002-97445호 공보, 공개특허 2002-3805호 공보, 공개특허 2001-39155호 공보).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wide range of adhesive resins have been developed, and several adhesive resins have been disclosed in which the adhesion time is short and the adhesion strength has been improved (for exampl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2-188068,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97445,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2-3805, an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1-39155.

그러나, 상기에 개시된 접착용 수지는 접착부의 신뢰성이라는 점에서 아직 충분하지 않고, 또 창유리에 대한 예비처리나 접착처리후의 체류시간을 해소하는데는 이르지 못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adhesive resin is still not enough in terms of reliability of the adhesive portion, and it has not yet been possible to eliminate the residence time after the pretreatment for the window glass or the adhesive treatment.

본 발명은, 유리에 대한 프라이머처리나 접착제의 경화를 위한 제작체류기간 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높은 신뢰성의 접착부를 실현할 수 있는 유리홀더, 유리와 부품을 접착하는 접착방법 및 접착제인 핫멜트 수지의 성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primer treatment for glass or a manufacturing residence period for curing an adhesive, and can realize a highly reliable adhesive portion, a glass holder for bonding glass and components, and an adhesive method for hot melt resin.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molding method.

본 발명의 유리홀더는, 유리를 고정하고 지지하기 위한 유리홀더이다. 상기 유리홀더는 제 1 홀더편과, 제 1 홀더편과 쌍을 이루며, 유리를 사이에 두고서 제 1 홀더편과 대향하는 제 2 홀더편과, 제 1 및 제 2 홀더편 중 적어도 일측에 포함되며, 제 1 및 제 2 홀더편을 다른 부재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유리홀더는 유리를 접착하기 위해서 제 1 및 제 2 홀더편 중 적어도 일측에 부착된 핫멜트 수지를 구비하며, 이 핫멜트 수지는 융점이 80℃∼200℃인 수지에 체적저항율이 10-2Ωㆍ㎝ 이하인 도전물질을 1∼30용량% 함유시킨 것이고, 40㎒의 주파수에 있어서 유전정접이 0.03 이상인 것이다(청구항 1).The glass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lass holder for fixing and supporting glass. The glass holder is paired with the first holder piece, the first holder piece, the second holder piece facing the first holder piece with the glass therebetween, and inclu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holder pieces. And an attachment structure for attaching the first and second holder pieces to another member. In addition, the glass holder has a hot melt resin attached to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holder pieces in order to adhere the glass, the hot melt resin has a volume resistivity of 10 -2 to a resin having a melting point of 80 ℃ to 200 ℃ 1 to 30% by volume of a conductive material having a Ω · cm or less, and a dielectric loss tangent of at least 0.03 at a frequency of 40 MHz (claim 1).

상기 구성에 의하면, 1쌍의 홀더편 사이에 유리를 끼우고, 가열수단으로 가열하여 핫멜트 수지를 용융시키면서 양 홀더편의 양측에서 압력을 가함으로써 접착할 수 있다. 유리홀더는 2개의 홀더편으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핫멜트 수지의 두께를 임의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유리의 두께가 변화되더라도 같은 유리홀더를 사용하여 유리를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glass is sandwiched between a pair of holder pieces, and heated by heating means to melt the hot melt resin on both sides of the holder pieces. It can adhere by applying pressure. Since the glass holder is separated into two holder pieces, the thickness of the hot melt resin can be arbitrarily formed. Therefore, even if the thickness of the glass is changed, the same glass holder can be used to hold the glass.

핫멜트 수지는 1쌍의 홀더편 중 어느 일측의 홀더편에만 배치하여도 되고, 양 홀더편에 모두 배치하여도 된다. 제 1 또는 제 2 홀더편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유리에 면하게 된다. (a) 핫멜트 수지가 배치되지 않은 홀더편은 유리의 일측면에 맞닿아서 유리를 구속하는 부재로서 기능한다. 또, (b) 핫멜트 수지가 배치되는 홀더편은 핫멜트 수지를 사이에 두고서 유리를 고정하는 부재로서 기능한다. 유리를 강고하게 고정하기 위해서는, 양 홀더편 모두에 핫멜트 수지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양 홀더편 모두가 상기 (b)의 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Hot melt resin may be arrange | positioned only to the holder piece of any one side of a pair of holder piece, and may be arrange | positioned at both holder pieces. The first or second holder piece faces the glass in the following form. (a) The holder piece in which hot melt resin is not arrange | positioned functions as a member which touches one side surface of glass and restrains glass. Moreover, (b) the holder piece in which hot melt resin is arrange | positioned functions as a member which fixes a glass across hot melt resin. In order to fix glass firmly, it is preferable to arrange hot melt resin in both holder pieces.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both holder pieces have the function of said (b).

핫멜트 수지로서 고주파 유전가열되는 타입의 수지를 사용한 경우, 전체를 가열하는 일 없이 핫멜트 수지만을 가열함으로써, 유리 등에 가열에 의한 영향을 주는 일이 없다. 또, 유리홀더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나 아크릴부타디엔스티렌(ABS) 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수지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핫멜트 수지는 2색 성형 등에 의해서 상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제의 유리홀더에 간단하게 부착하여 일체화 할 수 있다. 따라서, 핫멜트 수지는 고체상태로 홀더편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접착제의 보관방법이나 사용기한을 배려할 필요가 없게 된다. In the case of using a resin of a type of high frequency dielectric heating as the hot melt resin, only the hot melt resin is heated without heating the whole, so that it does not affect the glass or the like by heating. The glass holder is preferably made of a resin made of engineering plastic such as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or acryl butadiene styrene (ABS). The hot melt resin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glass holder made of engineering plastic by two-color molding or the like to be integrated. Therefore, since the hot-melt resin is attached to the holder piece in a solid state, it is not necessary to consider the storage method and the expiration date of the adhesive.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핫멜트 수지는, 접착처리에 있어서, 가열후 방냉되어 굳어지면 본래의 접착강도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제작 도중상태에서 체류되는 기간을 없앨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접착제(핫멜트 수지)가 경화될 때까지의 동안에는 유리홀더가 자중에 의해서 빠져 떨어지지 않도록 유리홀더의 치수 정밀도에 주의를 배려할 필요도 없게 된다. 또, 유리에 대한 프라이머처리가 필요없게 된다. 다만, 보다 큰 접착강도를 얻기 위해서 프라이머처리를 하여도 된다. In the adhesive treatment, the hot melt resi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cooled and solidified after heating, can obtain the original adhesive strength. Therefore, the period of stay in the state in the middle of manufacturing can be eliminated and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In addition, it is not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dimensional accuracy of the glass holder so that the glass holder does not fall out due to its own weight until the adhesive (hot melt resin) is cured. In addition, there is no need for primer treatment on the glass. However, in order to obtain greater adhesive strength, the primer may be treated.

본 발명의 유리홀더에서는, 핫멜트 수지가 부착되는 홀더편의 접착영역에 소정 높이의 볼록부를 형성할 수 있다(청구항 2). In the glass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vex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can be formed in the adhesive region of the holder piece to which the hot melt resin is attached (claim 2).

상기 구성에 의하면, 유리와 홀더편과의 사이에 볼록부의 높이만큼의 틈새가 생긴다. 상기 유리홀더를 양측에서 압력을 부가할 때, 압력부가에 수반되는 스트로크(압력부가에 의한 압입길이)를 조정하지 않아도 상기 틈새에 용융된 핫멜트 수지를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트로크를 너무 크게 취함으로써 유리와 홀더편이 밀착되어 핫멜트 수지가 모두 배제되는 위험성을 없앨 수 있다. 접착제로서의 핫멜트 수지의 두께를 상기 볼록부의 높이에 의해서 조정함으로써, 임의의 접착제의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볼록부는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지 않는 3개소에 형성함으로써, 안정하게 상기 접착후의 핫멜트 수지의 두께를 얻을 수 있다. 이 결과, 필요한 접착강도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어 제조수율의 향상 등에 의해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said structure, the clearance of the height of a convex part arises between glass and a holder piece. When pressure is applied to both sides of the glass holder, the molten hot melt resin can be arranged in the gap without adjusting the stroke (indentation length by the pressure part) accompanying the pressure part. Thus, by taking the stroke too large, the glass and the holder piece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eliminate the risk of eliminating all of the hot melt resin. The thickness of arbitrary adhesive agents can be formed by adjusting the thickness of hot melt resin as an adhesive agent by the height of the said convex part. By forming the said convex part in three places which are not located on the same straight line, the thickness of the hot-melt resin after the said adhesion can be obtained stably. As a result, the required adhesive strength can be easily ensured, and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by improving the production yield.

또한, 핫멜트 수지는 상기 볼록부를 받아들이는 오목부를 대응위치에 구비하도록 하여, 핫멜트 수지가 상기 홀더편의 접착영역 전체에 접하도록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2색 성형에 의해서 핫멜트 수지를 홀더편에 부착하면, 핫멜트 수지와 홀더편과의 접촉은 상기 볼록부와 오목부와의 사이에서도, 또한 다른 영역의 부분에서도 자동적으로 실현된다. 이와 같은 부착형태는 핫멜트 수지의 상기 홀더편의 접착영역에 대한 부착강도를 높이기 때문에, 또한 2색 성형을 무리없어 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홀더편의 접착영역이 핫멜트 수지에 의해서 덮여짐으로써, 핫멜트 수지의 접착처리의 시점까지 바람직한 표면상태를 유지하기 쉽게 된다. 이 결과, 유리와 홀더편의 접합강도의 향상을 더욱 확보하기 쉽게 된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ot-melt resin is provided with a concave portion that receives the convex portion at a corresponding position, and is attached so that the hot-melt resin is in contact with the entire adhesive region of the holder piece. For example, when hot-melt resin is affixed to a holder piece by two-color shaping | molding, the contact of a hot-melt resin and a holder piece is realized automatically between the said convex part and a recessed part, and also in the part of another area | region. This type of attachment is preferable because it increases the adhesion strength of the hot-melt resin to the adhesive region of the holder piece, and since two-color molding can be performed without difficulty. In addition, since the adhesive region of the holder piece is covered with the hot melt resin, it is easy to maintain a desirable surface state until the time point of the adhesive treatment of the hot melt resin. As a result, it becomes easy to ensure the improvement of the bonding strength of glass and a holder piece further.

본 발명의 유리홀더에서는, 부착구조가 상기 제 1 및 제 2 홀더편 중 어느 일측의 관통구멍의 둘레에 너트를 장착하는 너트 장착 오목부를 구비할 수 있다(청구항 3). In the glass holder of this invention, an attachment structure can be provided with the nut mounting recessed part which mounts a nut around the through hole of either side of the said 1st and 2nd holder piece (claim 3).

상기 너트 장착 오목부는 금속제 너트 등을 용이하게 장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너트에 볼트를 나사결합함으로써, 종래와 마찬가지로 유리홀더를 롤러 가이드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해서 너트를 유리홀더에 일체화하는 인서트 성형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The nut mounting recess can easily be fixed by mounting a metal nut or the like. By screwing the bolt onto the nut, it becomes possible to attach the glass holder to the roller guide as in the prior art. Therefore,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insert molding step of integrating the nut into the glass holder can be omitted, and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또, 상기 핫멜트 수지가 홀더편 또는 연결부품에 형상적으로 걸어맞춰져서 홀더편 또는 연결부품에 임시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In addition, the hot-melt resin may be temporarily fixed to the holder piece or the connecting part by being geometrically engaged to the holder piece or the connecting part.

접착제인 핫멜트 수지를 그 사용전에 상기한 바와 같이 임시고정함으로써, 유리홀더 등의 수지부품과 일체적으로 취급할 수 있다. 또, 언더컷이나 돌조에 의한 임시고정구조에 있어서는, 접착한 후에는 상기 요철부가 핫멜트 수지에 의해서 충전된다. 따라서, 상기 요철부에 의해서 접착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어 접착강도를 높일 수 있다. By temporarily fixing the hot melt resin as the adhesive before use thereof, it can be handled integrally with resin parts such as glass holders. Moreover, in the temporary fixing structure by undercut or protrusion, the said uneven | corrugated part is filled with hot melt resin after sticking. Therefore, the adhesion area can be increased by the uneven portion, and the adhesion strength can be increas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의 접착방법은, 1쌍의 홀더편을 사용하여 유리를 접착하는 방법이다. 1쌍의 홀더편 중 적어도 일측에, 융점이 80℃∼200℃인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체적저항율이 10-2Ωㆍ㎝ 이하인 도전물질을 1∼30용량% 함유시키고, 40㎒의 주파수에 있어서 유전정접이 0.03 이상인 핫멜트 수지를 부착하는 공정과, 상기 유리가 상기 1쌍의 홀더편 사이에 상기 핫멜트 수지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끼워지도록 압력을 부가하고, 상기 유리가 끼워진 핫멜트 수지를 포함하는 영역을 가열하는 공정을 구비한다.The bonding method of this invention is a method of bonding glass using a pair of holder pieces. At least one side of the pair of holder pieces contains 1 to 30% by volume of a conductive material having a volume resistivity of 10 −2 Ω · cm or less in a polyolefin resin having a melting point of 80 ° C. to 200 ° C., and a dielectric constant at a frequency of 40 MHz. A step of attaching a hot melt resin having a tangent of 0.03 or more, and applying pressure so that the glass is sandwiched between the pair of holder pieces with the hot melt resin interposed therebetween, heating the region containing the hot melt resin sandwiched with the glass. It is equipped with the process of doing.

상기 접착방법에 의해서, 단시간에 큰 접착강도를 가지는 유리 장착을 실현할 수 있다. 이 접착방법에 의하면, 유리의 두께에 대응한 많은 유리홀더를 보유해 둘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접착제의 사용기한이나 보관방법에 주의를 배려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 필요개소에만 전력을 투입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 소비를 절약할 수 있다. 또, 가열로 등을 필요로 하지 않아 작은 작업 스페이스에서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작업환경도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다. By the above bonding method, it is possible to realize glass mounting having a large adhesive strength in a short time. According to this bonding method, it is not necessary to hold many glass holders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glass. In addition, there is no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expiration date or the storage method of the adhesive. In addition, since the electric power can be turned on only at the required place, energy consumption can be saved. Moreover, it does not need a heating furnace etc. and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implement in a small work space. In addition, it is easy to maintain a good working environment.

상기 접착방법에 있어서의 상기 핫멜트 수지를 포함하는 영역을 가열하는 공정에서는, 유전가열, 회전마찰가열, 진동마찰가열, 초음파가열, 레이저광가열, 적외선가열, 열판가열 및 열풍가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서 가열하여도 된다. In the step of heating the region containing the hot melt resin in the bonding method, at least one of dielectric heating, rotary friction heating, vibration friction heating, ultrasonic heating, laser light heating, infrared heating, hot plate heating and hot air heating. May be hea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의 핫멜트 수지의 성형방법은, 융점이 80℃∼200℃인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체적저항율이 10-2Ωㆍ㎝ 이하인 도전물질을 1∼30용량% 함유시키고, 40㎒의 주파수에 있어서 유전정접이 0.03 이상인 핫멜트 수지를 사출성형하는 방법이다. 이 성형방법은, 사출성형에 사용하는 금형을 70℃ 이하로 하는 공정과, 상기 70℃ 이하로 유지한 금형에 용융상태의 상기 핫멜트 수지를 사출하고, 냉각하여 성형하는 공정을 구비한다.The molding method of the hot-melt resi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1 to 30% by volume of a conductive material having a volume resistivity of 10 −2 Ω · cm or less in a polyolefin resin having a melting point of 80 ° C. to 200 ° C., and a dielectric constant at a frequency of 40 MHz. It is a method of injection molding a hot melt resin having a tangent of 0.03 or more. The molding method includes a step of bringing a mold used for injection molding to 70 ° C. or lower, and a step of injecting the hot melt resin in a molten state into a mold held at 70 ° C. or lower, and cooling the molded part.

상기 성형방법에 의해서 핫멜트 수지를 임의의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유리홀더의 홀더편과 같은 피접착체의 편측에 인서트 성형이나 2색 성형이 가능하게 되어 핸들링성이 좋아지게 된다. 또, 임의의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홈형상 등을 형성함으로써 피접착체의 표면에 있어서의 접착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이 경우, 피접착체에 대한 부착에 있어서, 예를 들면, 언더컷이나 걸림돌조 등에 의한 기계적인 임시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By the said molding method, hot melt resin can be shape | molded in arbitrary shape. Therefore, for example, insert molding or two-color molding can be performed on one side of the to-be-adhered body, such as the holder piece of the glass holder, and the handling property is improved. Moreover, since it can shape | mold in arbitrary shapes, it becomes possible to increase the adhesion area in the surface of a to-be-adhered body by forming a groove shape etc. In this case, for temporary attachment to the adherend, mechanical temporary fixation by, for example, an undercut, a locking projection, or the like becomes possible.

(발명의 실시형태)Embodiment of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1) 유리홀더의 구조 (1) Structure of Glass Hold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리홀더(10)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는 유리홀더(10)를 구성하는 제 1 홀더편(11)을, (b)는 유리홀더(10)를 구성하는 제 2 홀더편(12)을 나타내고 있다. 또, (c)는 제 1 홀더편(11)에 삽입되는 너트(9)를 나타내고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glass holder 10 i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a) the 1st holder piece 11 which comprises the glass holder 10, (b) the glass holder 10. As shown in FIG. The 2nd holder piece 12 which comprises) is shown. In addition, (c) has shown the nut 9 inserted into the 1st holder piece 11.

제 1 및 제 2 홀더편(11,12)에 있어서의 유리(30)에 면하는 접착벽부(2)에는 후술하는 핫멜트 수지인 유전가열 접착용 수지(7)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홀더편(11,12)의 접착벽부(2)에는 유리(30)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볼록부(2a)가 3개 이산적(離散的)으로 형성되어 있다. Resin 7 for dielectric heat bonding, which is a hot melt resin, described later, is attached to the adhesive wall portion 2 facing the glass 30 in the first and second holder pieces 11 and 12. Moreover, three convex parts 2a which protrude toward the glass 30 side are formed in three discretely on the adhesive wall part 2 of the 1st and 2nd holder pieces 11 and 12. As shown in FIG.

유전가열 접착용 수지(7)는, 상기 볼록부(2a) 및 나머지 벽면에 접하도록, 2색 성형에 의해서 제 1 및 제 2 홀더편(11,12)의 접착벽부(2)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유전가열 접착용 수지(7)에는 상기 볼록부(2a)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록부(2a)를 받아들이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오목부는 2색 성형시에 자동적으로 형성된다. The resin 7 for dielectric heating bonding is attached to the adhesive wall part 2 of the 1st and 2nd holder pieces 11 and 12 by 2-color shaping | molding so that the said convex part 2a and the remaining wall surface may contact. . In the dielectric heat-adhesive resin 7, a recess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vex portion 2a, and the convex portion 2a is received. Such recesses are automatically formed during two-color molding.

제 1 홀더편(11)에는 유리(30)의 단면에 맞닿아서 유리(30)의 하중을 직접 받는 유리 받이부(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유리 받이부(4)는 제 1 홀더편(11)에만 형성하여도 되고, 제 1 및 제 2 홀더편(11.12) 모두에 형성하여도 된다. 또, 제 1 및 제 2 홀더편(11,12)은 서로 걸어맞출 수 있도록, 제 1 홀더편(11)에는 걸어맞춤 볼록부(5a)가, 제 2 홀더편(12)에는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5a)가 걸어맞춰지는 볼록부 수납부(5b)가 형성되어 있다. The glass holder part 4 which contacts the end surface of the glass 30 and receives the load of the glass 30 directly in the 1st holder piece 11 is formed. This glass receiving part 4 may be formed only in the 1st holder piece 11, and may be formed in both the 1st and 2nd holder pieces 11.12. Moreover, the engagement convex part 5a is attached to the 1st holder piece 11, and the said engagement convex is attached to the 2nd holder piece 12 so that the 1st and 2nd holder pieces 11 and 12 may engage with each other. The convex part accommodating part 5b which the part 5a engages is formed.

또한, 제 1 홀더편(11)에 있어서의 부착부(3)의 너트 장착 오목부(8)에는 암나사(9a)를 형성한 금속 너트(9)가 삽입된다. 암나사(9a)는 부착부(3)에 형성된 관통구멍(3a)과 동일 축선상에 놓이도록 배치된다. Moreover, the metal nut 9 which provided the female screw 9a is inserted in the nut mounting recessed part 8 of the attachment part 3 in the 1st holder piece 11. The female screw 9a is disposed so as to lie on the same axis as the through hole 3a formed in the attachment portion 3.

도 2는 상기 유리홀더(10)에 유리(30)를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제 1 및 제 2 홀더편(11,12)의 볼록부(2a)의 높이와 같은 두께의 유전가열 접착용 수지(7)에 의해서 제 1 및 제 2 홀더편(11,12)의 접착벽부(2)와 유리(30)가 접착되어 있다. 핫멜트되어 고화된 상기 유전가열 접착용 수지(7)는 강고하게 제 1 및 제 2 홀더편(11,12)과 유리(30)를 접착하고 있다. 승강장치(13)의 롤러 가이드(14)에 부착할 경우에는 제 2 홀더편(12)측에서 볼트를 삽입하여 제 1 홀더편(11)에 장착된 너트(9)의 암나사(9a)에 나사결합시킨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glass 30 mounted on the glass holder 10. Adhesion wall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holder pieces 11 and 12 by the resin 7 for dielectric heating adhesion having a thickness equal to the height of the convex portions 2a of the first and second holder pieces 11 and 12 ( 2) and glass 30 are adhere | attached. The hot melted and solidified resin 7 for dielectric heating bonding strongly adheres the first and second holder pieces 11 and 12 to the glass 30. When attaching to the roller guide 14 of the elevating device 13, the bolt is inserted from the second holder piece 12 side and screwed into the female screw 9a of the nut 9 attached to the first holder piece 11. Combine.

도 3은 사이드 윈도용 유리(30)를 승강기구(13)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유리(30)를 유지하는 유리홀더(10)는 승강장치(13)의 일부를 구성하는 롤러 가이드(14)에 부착된다. 상기 유리홀더(10)를 사용함으로써 유리(30)를 견고하게 또한 생산성 좋게 승강장치(13)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FIG. 3: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state which attached the glass 30 for side windows to the elevating mechanism 13. As shown in FIG. The glass holder 10 holding the glass 30 is attached to a roller guide 14 constituting a part of the elevating device 13. By using the glass holder 10, it is possible to attach the glass 30 to the elevating device 13 firmly and productively.

(2) 연결부재의 구조 (2) Structure of connecting member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결부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연결부품인 룸 밀러 베이스부재(21)가 접착제로서 기능하는 핫멜트 수지(7)를 구비하고 있다. 핫멜트 수지(7)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3) 핫멜트 수지"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coupling component i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n embodiment shown in FIG. 4, the room miller base member 21 which is a connection part is equipped with the hot melt resin 7 which functions as an adhesive agent. The hot melt resin 7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3) Hot Melt Resin" described later.

상기 룸 밀러 베이스부재(21)에는, 룸 밀러(25)를 룸 밀러 베이스부재(21)에 연결하는 연결수단인 커플러(22), 플렉시블 암(23) 및 각도조정부재(24)가 부속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품을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PBT나 ABS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The room miller base member 21 is provided with a coupler 22, a flexible arm 23, and an angle adjusting member 24, which are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room miller 25 to the room miller base member 21. . It is preferable to use engineering plastics, such as PBT and ABS mentioned above as a material which forms the said connection component.

상기한 바와 같이 핫멜트 수지를 구비한 연결부품을 사용함으로써, 프론트 유리(20)에 대한 프라이머처리가 불필요하게 되어 단시간에 룸 밀러(25)를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접착제인 핫멜트 수지의 보관은 수지와 동등하게 취급하면 되기 때문에, 사용시기 등의 제한, 이것을 만족시키기 위한 기한관리 등을 할 필요가 없게 된다. By using the connection component provided with a hot-melt resin as mentioned above, the primer treatment with respect to the windshield 20 becomes unnecessary, and since the room mirror 25 can be attached in a short time,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storage of the hot-melt resin, which is an adhesive, may be handled in the same manner as the resin, there is no need to limit the use time or the like, and to manage the time limit for satisfying this.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어 밀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있어서, (a)는 도어 밀러 케이스(31)를, (b)는 밀러 홀더(32)를, (c)는 밀러(33)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5 and 6 are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oor mirro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5, (a) shows the door miller case 31, (b) shows the miller holder 32, and (c) shows the miller 33. In FIG.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연결부품인 밀러 홀더(32)가 접착제로서 기능하는 핫멜트 수지(7)에 의해서 그 접착영역(32a)에서 유리인 밀러(33)의 이면(33b)과 접착되어 있다. 외부로 노출되는 밀러 면은 밀러의 표면(33a)이다. 또, 밀러 홀더(32)는 연결수단인 나사(35)에 의해서 도어 밀러 케이스(31)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수단인 나사(35)는 연결부품인 밀러 홀더(32)에 부속되어 있다. 핫멜트 수지에 의해서 밀러와 접착되는 연결부품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PBT나 ABS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and FIG. 6, the back surface 33b of the mirror 33 which is glass in the adhesion area | region 32a by the hot-melt resin 7 which the mirror holder 32 which is a connection part functions as an adhesive agent and It is glued. The miller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is the surface 33a of the miller. In addition, the mirror holder 32 is connected to the door mirror case 31 by the screw 35 which is a connection means. The screw 35 as the connecting means is attached to the mirror holder 32 as the connecting part. As for the connecting parts bonded to the miller by the hot melt resin, engineering plastics such as PBT and ABS can be used.

상기한 바와 같이 핫멜트 수지를 구비한 연결부품을 사용함으로써, 상술한 룸 밀러와 마찬가지로, 유리인 밀러에 대한 프라이머처리가 불필요하게 되어 단시간에 도어 밀러를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접착제인 핫멜트 수지의 보관은 수지와 동등하게 취급하면 되기 때문에, 사용시기 등의 제한, 이것을 만족시키기 위한 기한관리 등을 할 필요가 없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connecting part with the hot melt resin, the primer processing for the glass miller is unnecessary as in the room miller described above, and the door miller can be attached in a short time,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In addition, since the storage of the hot-melt resin, which is an adhesive, may be handled in the same manner as the resin, there is no need to limit the use time or the like, and to manage the time limit for satisfying this.

도 7은 천정 유리(51)에 라이닝(58)을 부착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천정 유리(51)에는 연결부품(52)이 접착되어 있으며, 이 연결부품(52)의 연결수단인 암나사(53)에 라이닝(58)에 배치된 수나사(55)를 나사결합함으로써 라이닝(58)이 천정 유리(51)에 부착된다. 또, 천정 유리(51)에 장착된 걸어맞춤부(61)에 라이닝(58)에 장착된 걸림부(59)가 걸어맞춰진다. FIG. 7: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ructure which affixes the lining 58 to the ceiling glass 51. FIG. The connecting part 52 is bonded to the ceiling glass 51, and the lining 58 is screwed by screwing the male screw 55 disposed on the lining 58 to the female screw 53, which is a connecting means of the connecting part 52. This is attached to the ceiling glass 51. In addition, the engaging portion 59 attached to the lining 58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61 attached to the ceiling glass 51.

도 8의 (a)는 상기 연결부품(52)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연결부품(52)은 접착제로서 기능하는 핫멜트 수지(7)에 의해서 천정 유리(51)에 접착되어 있다. 또, 연결부품(52)에는 라이닝(58)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인 암나사(53)가 형성되어 있다. 도 8의 (b)에는 연결부품(52)에 연결되는 라이닝(58)과, 이 라이닝(58)에 형성된 오목부(57)에 배치된 수나사부(55a)를 가지는 수나사(55)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수나사(55)와 라이닝(58)의 오목부(57)와의 사이에 다른 부품 등을 끼우고서 부착할 수도 있다. 상기 핫멜트 수지에 의해서 천정 유리와 접착되는 연결부품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PBT나 ABS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있다. FIG. 8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connection part 52. The connection part 52 is adhere | attached to the ceiling glass 51 by the hot melt resin 7 which functions as an adhesive agent. In addition, the female part 53 is formed in the connecting part 52 as a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lining 58. FIG. 8B shows a male screw 55 having a lining 58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art 52 and a male screw portion 55a disposed in the recess 57 formed in the lining 58. have. Another component or the like may be inserted between the male screw 55 and the recess 57 of the lining 58. As for the connecting part bonded to the ceiling glass by the hot melt resin, engineering plastics such as PBT and ABS can be used as described above.

상기한 바와 같이 핫멜트 수지를 구비한 연결부품을 사용함으로써, 천정 유리에 대한 프라이머처리가 불필요하게 되어 단시간에 라이닝을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접착제인 핫멜트 수지의 보관은 수지와 동등하게 취급하면 되기 때문에, 사용시기 등의 제한, 이것을 만족시키기 위한 기한관리 등을 할 필요가 없게 된다. By using the connection parts provided with a hot-melt resin as mentioned above, since the primer treatment with respect to a ceiling glass becomes unnecessary, a lining can be attached in a short time,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storage of the hot-melt resin, which is an adhesive, may be handled in the same manner as the resin, there is no need to limit the use time or the like, and to manage the time limit for satisfying this.

(3) 핫멜트 수지 (3) hot melt resin

본 실시형태에서는 핫멜트 수지로서 유전가열 접착용 수지를 사용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넓게는 가열에 의해서 일단 용융된 후 실온에서 냉각된 시점에서 경화상태에 있는 수지라면 어떠한 수지라도 된다. 다만, 유전가열 접착용 수지는 가열이 용이하고 작업성이 좋기 때문에, 유리홀더에 사용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 resin for dielectric heat bonding is used as the hot melt resin.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any resin can be used as long as it is a resin that is in a hardened state at the time of being melted by heating and then cooled at room temperature. However, the resin for dielectric heat bonding is very suitable for use in glass holders because of its ease of heating and good workability.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유전가열 접착용 수지는, 융점이 80℃∼200℃인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체적저항율이 10-2Ωㆍ㎝ 이하인 도전물질을 1∼30용량% 함유시키고, 40㎒의 주파수에 있어서 유전정접이 0.03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고주파 접착용 수지 조성물이다. 또, 유전정접이 0.05 이상인 고주파 접착용 수지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전물질의 체적저항율이 10-4Ωㆍ㎝ 이하이고, 5용량% 이상 함유하는 고주파 접착용 수지 조성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resin for dielectric heat bonding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1 to 30% by volume of a conductive material having a volume resistivity of 10 −2 Ω · cm or less in a polyolefin resin having a melting point of 80 ° C. to 200 ° C., at a frequency of 40 MHz. The dielectric tangent is 0.03 or more, and is a resin composition for high frequency bonding comprising a resin as a main component.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resin composition for high frequency adhesions whose dielectric loss tangent is 0.05 or more. The volume resistivity of the conductive material is 10 −4 Ω · c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5% by volume or more of the resin composition for high frequency bonding.

상기 유전가열 접착용 수지에 사용되는 도전물질로서는 체적저항율이 10-2Ωㆍ㎝ 이하인 철, 구리, 은, 탄소섬유, 카본블랙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 철계 도체나 탄소섬유가 수지에 대한 영향이나 경제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체적저항율로서는 10-4Ωㆍ㎝ 이하가 바람직하며, 소위 철, α철, β철, γ철, 탄소강 등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함유량으로서는 1∼30용량%가 필요하고, 바람직하게는 5∼25용량%가 필요하다. 특히 7용량% 이상에서 유전가열 접착용 수지가 유전가열에 의해서 가열되는 효과가 현저하게 커지게 된다. 도전물질이 1용량% 이하에서는 발열량이 부족하여 접착 가능한 온도까지 상승시키는데 장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30용량% 이상에서는 접착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형상은 분말상, 침상(針狀), 인상(鱗狀), 망상(網狀)이어도 되며, 접착상대의 형상 등에 따라서 선택된다. 어떠한 형상에도 대응할 수 있는 관점에서 분말상이 바람직하다. 분말상, 침상, 인상인 경우에는 이겨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또, 망상인 경우에는 적층이나 인서트 성형되어 사용된다. 또, 이겨서 사용하는 경우, 발열체는 60메시 패스의 크기가 바람직하다. 도전물질을 1용량% 이상, 특히 5용량% 이상 함유시켜 체적저항율을 낮춤으로써, 이유는 아직 불명하나 고주파 전압의 인가에 대해서 유전체 역률이 커지게 되어, 유전율과의 곱인 유전손실계수가 비약적으로 커지게 된다. 고주파 전압을 인가할 때, 유전손실계수가 크면 발열량이 높기 때문에 승온속도가 빨라지게 되고, 핫멜트계 접착제가 단시간에 용융되기 때문에 공정단축을 실현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conductive material used for the resin for dielectric heating bonding include iron, copper, silver, carbon fiber, carbon black, etc. having a volume resistivity of 10 −2 Ω · cm or less. Among these, iron-based conductors and carbon fibers are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the influence on the resin and economical efficiency. As volume resistivity, 10 -4 ohm * cm or less is preferable, and so-called iron, (alpha) iron, (beta) iron, (gamma) iron, carbon steel, etc. are not restrict | limited especially. As content, 1-30 volume% is needed, Preferably 5-25 volume% is required. In particular, at 7% by volume or more, the effect of heating the resin for dielectric heating adhesive by dielectric heating is significantly increased. If the conductive material is 1% by volume or less,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the heat generation amount is insufficient and a long time is required to rise to the temperature at which it can be bonded. Moreover, since adhesive force falls at 30 volume% or more, it is unpreferable. The shape may be powder, needle, pull or net, and the shape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onding partner or the like. The powder form is preferable from a viewpoint which can respond to any shape. In the case of powder form, needle shape, and impression, it is often used to beat. Moreover, when it is a network, it is used by lamination | stacking and insert molding. In addition, in the case of winning and using, the heat generating element preferably has a size of 60 mesh passes. By lowering the volume resistivity by containing more than 1% by volume, in particular 5% by volum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reason is still unknown, but the dielectric power factor becomes large when the high frequency voltage is applied. You lose. When applying a high frequency voltage, a large dielectric loss coefficient causes a high heat generation rate, there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increase rate, and shortening the hot melt adhesive in a short time can realize process shortening.

유도가열은 전자유도에 의해서 피가열체인 도체에 와전류 등을 발생시켜 저항에 의해서 발열시키는 것에 대해서, 유전가열은 부도체에 전압을 인가하여 분극에 의해서 발생하는 내부마찰열을 이용한다. 내부마찰은 유전정접으로서 측정된다. 저항율이 매우 작고, 따라서 유전정접이 0.0001 이하로 매우 작은 도체를 유전정접이 0.01∼0.03인 수지(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배합하여 그 유전정접이 0.03 이상으로 되는 것은 이제까지 알려져 있지 않다. Induction heating generates an eddy current or the like in a conductor to be heated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and generates heat by resistance. In contrast, dielectric heating uses internal frictional heat generated by polarization by applying a voltage to a nonconductor. Internal friction is measured as a dielectric loss tangent. Since the resistivity is very small and the dielectric tangent is very small at 0.0001 or less, it is not known until the dielectric tangent is mixed with a resin having a dielectric tangent of 0.01 to 0.03 (for example, a polyolefin resin) so that the dielectric tangent is at least 0.03.

또, 상기 유전가열 접착용 수지에 사용되는 융점이 80℃∼200℃인 수지,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특히 접착성의 관점에서 각각 이것들의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온에서의 접착강도의 관점에서 융점은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필요하며, 융점이 180℃ 이상, 특히 200℃ 이상으로 되면 접착제가 용융될 때까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유리에 접착할 경우,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실라놀기와 수지의 말단이나 변성에 의해서 투입된 반응성 관능기를 가지는 커플링제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β(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ㆍ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예로서 들 수 있다. The resin having a melting point of 80 ° C. to 200 ° C., for example, a polyolefin resin, which is used for the above dielectric heating adhesive resin, is particularly preferably composed mainly of these copolymers from the viewpoint of adhesiveness. In view of the adhesive strength at high temperature, the melting point is required to be 80 ° C or higher, preferably 90 ° C or higher, and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the melting point is 180 ° C or higher, particularly 200 ° C or higher, because it takes time until the adhesive melts. When adhering to glass, 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veness, it is preferable to contain a coupling agent having a silanol group and a reactive functional group introduced by the terminal or modification of the resin. γ aminopropyl triethoxy silane, β (3,4 epoxycyclohexyl) ethyl trimethoxy silane, γ glycidoxy propyl trimethoxy silane, γ methacryloxypropyl trimethoxy silane, N.β (aminoethyl) (gamma) aminopropyl trimethoxysilane is mentioned as an example.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공중합 폴리프로필렌계, 공중합 폴리에틸렌계, 에틸렌과 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ㆍ프로필렌ㆍ디엔계, 에틸렌-α올레핀계의 수지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접착성의 향상을 위해서, 모노머성분으로서 아세트산비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메타크릴산염 등이 3∼50몰% 공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수카르복시산기, 에폭시기, 수산기,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함유하는 모노머가 공중합이나 그래프트중합되어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불포화 카르복시산모노머나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이나 무수말레산의 그래프트변성이 바람직하다. 이 관능기의 도입에 의해서 상기 실라놀화합물의 안정화와 강화 열가소성 수지와의 접착성이 개선된다.As polyolefin resin, what consists of 1 or more types chosen from resin of copolymerization polypropylene system, copolymerization polyethylene system, ethylene and a propylene copolymer, ethylene propylene diene system, and ethylene- alpha olefin system is preferable. Moreover, in order to improve adhesiveness, it is preferable that 3-50 mol% of vinyl acetate, methyl methacrylate, ethylene acrylate, butyl acrylate, methacrylic acid, acrylic acid, methacrylate, etc. are copolymerized as a monomer component. Moreover, it is especially preferable that the monomer containing a carboxylic anhydride group, an epoxy group, a hydroxyl group, and an isocyanate group is copolymerized or graft-polymerized. Copolymerization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s and glycidyl methacrylates and graft modification of maleic anhydride are preferred. The introduction of this functional group improves the stabilization of the silanol compound and the adhesion of the 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상기 유전가열 접착용 수지가 사용되는 피접착체는, 본 발명의 경우, 유리홀더 또는 연결부재의 본체를 구성하는 재료, 예를 들면 수지, 특히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유리이다. 유리홀더 또는 연결부재의 본체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상기한 수지 이외에 세라믹스, 금속 등 어느 것이나 되며,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수지로서는 열경화성 수지ㆍ열가소성 수지 어느 것에 대해서도 피접착체가 될 수 있다. 상기 유전가열 접착용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유전가열 접착용 수지만이 선택적으로 가열되기 때문에, 융점이 200℃ 이하인 열가소성 수지를 피접착체로 할 수도 있다. 피접착체에 의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관능기가 도입되는 것은 접착강도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The to-be-adhered body in which the said resin for dielectric heating adhesion is used is a material which comprises the main body of a glass holder or a connection member, for example, resin, especially an engineering plastic and glass.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main body of the glass holder or the connecting member may be any of ceramics, metal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above resins,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resin, it can be a to-be-adhered body also in both a thermosetting resin and a thermoplastic resin. In the case of using the above dielectric heating adhesive resin, since only the dielectric heating adhesive resin is selectively heated, a thermoplastic resin having a melting point of 200 ° C. or lower may be used as the adherend. It is preferable to introduce a functional group into the polyolefin resin by the adhesive to increase the adhesive strength.

유전가열 접착용 수지에 있어서는, 도전물질을 융점이 80℃∼200℃인 수지,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미리 압출기나 니더나 롤러로 용융 혼련하거나, 또는 수지를 시트형상으로 성형한 후 적층 혹은 샌드위치 성형하거나, 또는 망상 발열체를 금형 내에 인서트하여 사출성형하여 제공된다. 사용되는 압출기나 니더나 롤러의 종류나 혼련조건에 대한 제한은 특히 없다. In the resin for dielectric heat bonding, the conductive material is melt kneaded in a resin having a melting point of 80 ° C. to 200 ° C., for example, a polyolefin-based resin in advance by an extruder, a kneader or a roller, or after the resin is molded into a sheet to be laminated or It is provided by sandwich molding or injection molding by inserting a reticulated heating element into a mold. There is no particular restriction on the type of extruder, kneader or roller used, or the kneading conditions.

또, 유전가열 접착용 수지에는 상용의 첨가제, 내가수분해제, 안료를 첨가하여도 된다. 열안정제로서는 힌더드페놀계, 티오에테르계, 포스파이트계 등이나 이것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내후제로서는 카본블랙, 벤조페논, 트리아졸계, 힌더드아민계 등을 들 수 있다. 또, 내가수분해제로서는 카르보디이미드, 비스옥사졸린, 에폭시, 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 안료로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상용의 내열 안료가 사용된다.Moreover, you may add a commercial additive, a hydrolysis agent, and a pigment to resin for dielectric heat bonding. As a heat stabilizer, a hindered phenol type, a thioether type, a phosphite type, etc., and these combination are mentioned. Examples of the weathering agent include carbon black, benzophenone, triazole type, and hindered amine type. Moreover, carbodiimide, bisoxazoline, an epoxy, an isocyanate compound is mentioned as a hydrolysis agent. Moreover, as a pigment, the commercial heat resistant pigment of polyolefin resin is used.

(4) 접착방법 (4) Bonding method

계속해서 유리를 접착하는 수순에 대해서 설명한다. Next, the procedure to adhere | attach glass is demonstrated.

우선, 제 1 홀더편(11)의 걸어맞춤 볼록부(5a)와 제 2 홀더편(12)의 볼록부 수납부(5b)를 걸어맞춘다. 이어서, 유리(30)를 양 홀더편(11,12) 사이에 끼워지도록 배치한다. 이 때, 너트(9)가 너트 장착 오목부(8)에 삽입되어 있어도 되고 삽입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유리(30)를 양 홀더편(11,12)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고주파 유전가열에 의해서 유전가열 접착용 수지(7)를 가열한다. 이 때, "제 1 홀더편/유전가열 접착용 수지/유리/유전가열 접착용 수지/제 2 홀더편"과 같이 적층된다. First, the engagement convex part 5a of the 1st holder piece 11 and the convex part accommodating part 5b of the 2nd holder piece 12 are engaged. Next, the glass 30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fit between both holder pieces 11 and 12. At this time, the nut 9 may or may not be inserted into the nut mounting recess 8. In the state where the glass 30 is sandwiched between the holder pieces 11 and 12, the resin 7 for dielectric heating adhesion is heated by high frequency dielectric heating. At this time, it is laminated as "1st holder piece / resin for dielectric heating adhesion / glass / resin for dielectric heating adhesion / 2nd holder piece".

고주파 유전가열에서는, 제 1 및 제 2 홀더편(11,12)을 유리(3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에 고주파 발진기로부터 고주파 전압을 걸어서 유전 발열시킨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유전가열 접착용 수지(7)의 온도가 상승하여 그 융점 이상이 되면 유동하여 접착된다. 유전가열 접착용 수지(7)는 용융상태 또는 이것에 가까운 상태로 되어 무르기 때문에 상기 가압력에 의해서 용이하게 눌려지며, 틈새가 좁혀진 만큼 외부에 배제된다. 그러나, 양 홀더편(11,12)에는 볼록부(2a)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볼록부(2a)의 선단이 유리(30)와 접촉하면, 그 이상 양 홀더편(11,12)과 유리(30)가 근접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볼록부(2a)의 높이에 상당하는 유전가열 접착용 수지(7)가 양 홀더편(11,12)과 유리(30)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접착에 기여할 수 있다. In the high frequency dielectric heating, the high frequency voltage is applied to the upper electrode and the lower electrode from the high frequency oscillator while the first and second holder pieces 11 and 12 are pressed in the direction close to the glass 30 to generate dielectric heat. As time passes, the temperature of the dielectric-heat-adhesive resin 7 rises and reaches and exceeds the melting point, thereby flowing and adhering. The dielectric heat-adhesive resin 7 is easily melted or pressed by the pressing force because it is in a molten state or in a state close thereto, and is externally excluded as the gap is narrowed. However, since the convex part 2a is arrange | positioned at both holder pieces 11 and 12, when the front-end | tip of the convex part 2a contacts glass 30, both holder pieces 11 and 12 and glass will be more than that. (30) does not come close. Therefore, the resin 7 for dielectric heat adhesion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convex part 2a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the holder pieces 11 and 12 and the glass 30, and can contribute to adhesion | attachment.

따라서, 볼록부(2a)는 적어도 3개가 일직선으로 형성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볼록부(2a)가 3개 이상인 것은 불가결한 것이 아니며, 양 홀더편(11,12)과 유리(30)와의 사이의 간격을 곤란없어 유지할 수만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소정 이상의 면적을 가지는 평탄부를 가진다면 1개의 볼록부이어도 된다.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arrange | position so that at least 3 convex part 2a may not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However, it is not indispensable to have three or more convex parts 2a, and it is only necessary to be able to maintain the space | interval between both holder pieces 11 and 12 and the glass 30 without difficulty. For example, one convex part may be sufficient as long as it has a flat part which has predetermined area or more.

접착한 상태에서 고주파 전압을 끊고, 방냉 또는 에어 등으로 냉각한다. 본 발명의 유전가열 접착용 수지는 융점 이상에서 접착되고, 접합된 조립품은 유전가열 접착용 수지의 융점 이하에서 사용된다. Cut off the high frequency voltage in the bonded state and cool by air cooling or air. The resin for dielectric heating bo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onded above the melting point, and the bonded assembly is used below the melting point of the resin for dielectric heating bonding.

상기 유전가열 접착용 수지에 고주파 전압을 인가하면, 고주파 유전가열에 의해서 유전가열 접착용 수지만이 가열되기 때문에, 피접착체 전체를 가열로 내에서 처리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큰 피접착체에 특히 유효하다. 또, 유전가열 저착용 수지만을 선택적으로 가열할 수 있기 때문에, 피접착체의 일부에 내열성이 낮은 부품을 포함하는 경우의 조립에도 유효하다. When a high frequency voltage is applied to the dielectric heat-adhesive resin, only the dielectric heat-adhesive resin is heated by high-frequency dielectric heating, so that the entire adherend does not need to be treated in the heating furnace, and thus is particularly effective for large adherends. Do. Moreover, since only the resin for dielectric heating low adhesion can be selectively heated, it is also effective for assembling when a part of the to-be-adhered body contains a low heat resistance part.

이상에서는 가열방법으로서 고주파 유전가열방법만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고주파 유전가열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유도가열, 회전마찰가열, 진동마찰가열, 초음파가열, 레이저광가열, 적외선가열(열선가열), 열판가열 및 열풍가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서 가열한다 Although only the high frequency dielectric heating method has been described as the heating metho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high frequency dielectric heating method. For example, induction heating, rotational friction heating, vibration friction heating, ultrasonic heating, laser light heating, and infrared heating ( Heating by hot wire heating), hot plate heating and hot air heating

(5) 핫멜트 수지의 성형방법 (5) Forming Hot Melt Resin

종래의 핫멜트 수지는, 용융상태의 핫멜트 수지를 압출기에 의해서 스테인리스제의 벨트 컨베이어에 토출하고, 이것을 수조 내에 통과시켜서 냉각함으로써 시트형상으로 형성하였다. 즉, 종래의 핫멜트 수지의 형상은 시트형상으로 제한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핫멜트 수지는 융점이 80℃∼200℃이기 때문에, 금형 온도를 70℃ 이하로 가열하고서 용융된 핫멜트 수지를 압출할 경우 금형에 부착되지 않는다. 따라서, 금형 내면에 부착방지처리를 할 필요가 없으며, 임의의 형상의 핫멜트 수지를 성형할 수 있다. The conventional hot melt resin was formed into a sheet shape by discharging the hot melt resin in a molten state to a belt conveyor made of stainless steel by an extruder, passing it through a water bath and cooling it. That is, the shape of the conventional hot melt resin was limited to the sheet shape. Since the hot-melt resin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elting point of 80 ° C to 200 ° C, it does not adhere to the mold when the molten hot melt resin is extruded while the mold temperature is heated to 70 ° C or lower.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anti-sticking treatmen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ld, and the hot melt resin of arbitrary shape can be formed.

이 결과,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언더컷에 의한 핫멜트 수지(7)의 접착벽부(2)에 대한 임시고정 혹은 연결부품(21,32,52)에 대한 임시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조에 의한 핫멜트 수지(7)의 접착벽부(2)에 대한 임시고정 혹은 연결부품(21,32,52)에 대한 임시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As a resul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temporary fixing to the adhesive wall portion 2 of the hot melt resin 7 by undercutting or temporary fixing to the connecting parts 21, 32 and 52 becomes possibl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temporary fixing to the adhesive wall portion 2 of the hot melt resin 7 by protrusions or temporary fixing to the connecting parts 21, 32 and 52 can be made.

접착제인 핫멜트 수지를 그 사용전에 상기한 바와 같이 임시고정함으로써, 유리홀더 등의 수지부품과 일체적으로 취급 할 수 있다. 또,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언더컷이나 돌조에 의한 임시고정구조에 있어서는, 접착한 후에는 상기 요철부가 핫멜트 수지에 의해서 충전된다. 따라서, 상기 요철부에 의해서 접착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어 접착강도를 높일 수 있다. By temporarily fixing the hot melt resin as an adhesive before use thereof, it can be handled integrally with resin parts such as glass holders. As shown in Figs. 9 and 10, in the temporary fixing structure by undercut or protrusion, after the adhesion, the uneven portion is filled with hot melt resin. Therefore, the adhesion area can be increased by the uneven portion, and the adhesion strength can be increased.

(실시예) (Example)

계속해서, 실시예를 이용하여 접착강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Subsequently, the adhesive strengt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using Examples.

(a) 접착제 펠릿 제작 :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전정접이 0.027인 폴리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와 도전성 분체를 예비 혼합하였다. 수지의 융점에 대해서는 PO-1이 105℃이고, PO-2가 120℃이고, 모두 80℃∼200℃의 범위 내에 있다. 도전물질은 1∼30용량%의 범위 내에서 함유되어 있다. 그 후, 상기 예비 혼합물을, 배럴(barrel)을 그 호퍼측에서부터 170℃-180℃-180℃로 온도조절한 2축 압축기 PCM30ø(지패(池貝)철강주식회사 제품)의 호퍼에 공급하고, 스크류 회전수 60rpm으로 용융 혼합하였다. 그 후, 얻어진 스트랜드를 수욕에서 냉각시킨 후 절단하여 도전성 물질을 함유하는 핫멜트 접착제의 펠릿을 얻었다. (a) Preparation of Adhesive Pellets: As shown in Table 1, a polyolefin-based hot melt adhesive having a dielectric loss tangent of 0.027 and a conductive powder were premixed. About melting | fusing point of resin, PO-1 is 105 degreeC, PO-2 is 120 degreeC, and all are in the range of 80 degreeC-200 degreeC. The conductive material is contained in the range of 1 to 30% by volume. Thereafter, the preliminary mixture was supplied to a hopper of a twin-screw compressor PCM30 ° (manufactured by CHIP STEEL CO., LTD.) Whose temperature was adjusted from 170 to 180 ° C to 180 ° C from the hopper side, and the screw was rotated. Melt mixing at several 60 rpm. Thereafter, the obtained strands were cooled in a water bath and then cut to obtain pellets of a hot melt adhesive containing a conductive material.

(b) 테스트 피스 성형 : 배럴을 그 호퍼측에서부터 180℃-200℃-200℃로 온도조절한 사출성형기에 접착제 펠릿을 투입하였다. 그리고, 40℃로 온도조절된 테스트 피스 금형으로 사출하여 100×100×1㎜, 100×100×3㎜의 접착제 플레이트를 얻었다. 이 접착제 플레이트가 도 1에 나타낸 양 홀더편(11,12)에 부착하기 전의 핫멜트 수지이다.(b) Test piece molding: The adhesive pellet was put into the injection molding machine in which the barrel was temperature-controlled from the hopper side to 180 ° C-200 ° C-200 ° C. And it injected by the test piece mold temperature-controlled at 40 degreeC, and obtained the adhesive plate of 100x100x1mm, and 100x100x3mm. This adhesive plate is a hot melt resin before being attached to both holder pieces 11 and 12 shown in FIG.

또, 140℃로 3시간 건조한 30중량% 유리섬유강화 변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동양방적주식회사 제품 EMC430)의 펠릿을, 배럴을 그 호퍼측에서부터 250℃-260℃-260℃로 온도조절한 사출성형기의 호퍼에 투입하여 ASTMD 638에 기재된 타입 1의 인장 테스트 피스를 성형하였다. Also, pellets of 30% by weight glass fiber reinforced modified polybutylene terephthalate (EMC430 manufactured by Dongyang Spinning Co., Ltd.) dried at 140 ° C. for 3 hours were heated at 250 ° C. to 260 ° C. to 260 ° C. from the hopper side. It was put in a hopper of the molding machine to form a type 1 tensile test piece described in ASTMD 638.

(c) 접착강도 : (b)에서 얻어진 인장 테스트 피스를 길이방향의 중앙에서 절단하였다. 이것이 핫멜트 수지가 부착되기 전의 홀더편에 상당한다. 이 직선부분 12.7×25.4㎜에 (b)에서 얻어진 100×100×1㎜의 접착제 플레이트에서 12.7×25.4×1㎜로 컷트한 접착편을 겹쳐 맞추었다. 이 랩부재, 즉 홀더편 상당재를 33×100×3㎜의 유리판의 양면에 직선상으로 세트하였다. 이것을 20mø의 에어실린더로 2kgf 가압한 상태에서 고주파 유전가열장치(펄공업주식회사 제품)로 1분간 가열한 후, 에어로 1분간 냉각하여 접착강도 평가용 시험편으로 하였다. 이 상태가 양 홀더편 사이에 유리를 끼우고서 접착한 상태에 대응한다. 다만, 파지부는, 도 1 및 도 2의 유리홀더에서는 접착부에 대해서 같은 측에 위치하나, 여기에서는 인장전단시험을 하기 위해서 접착부를 끼우도록 위치하고 있다. (c) Adhesive strength: The tensile test piece obtained in (b) was cut at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is corresponds to the holder piece before a hot melt resin adheres. The adhesive piece cut | disconnected at 12.7x25.4x1mm was superimposed on this linear part 12.7x25.4mm by the 100x100x1mm adhesive plate obtained by (b). This wrap member, ie, the holder piece equivalent, was set in a straight line on both sides of a glass plate of 33 × 100 × 3 mm. This was heated for 1 minute with a high frequency dielectric heating apparatus (made by Pearl Industries, Ltd.) in the state which was pressurized by 2 kgf with the 20 mø air cylinder, and it cooled by air for 1 minute, and used as the test piece for adhesive strength evaluation. This state corresponds to a state where the glass is sandwiched between the two holder pieces. However, in the glass holder of FIGS. 1 and 2, the gripping portion is located on the same side with respect to the bonding portion, but here it is positioned so as to sandwich the bonding portion for the tensile shear test.

이 평가용 시험편을 23℃, 50% RH(Relative Humidity)로 조절된 시험실에 5시간 이상 방치하였다. 50℃로 온도조절된 항온조(恒溫槽)를 구비한 만능 인장시험기 UTMI형(오리엔틱주식회사 제품)의 척에 유리판의 양단에 접착된 EMC 430제 테스트 피스를 세트하고, 5㎜/분의 변형속도로 인장전단에 의해서 50℃에 있어서의 접착강도를 측정하였다. This evaluation test piece was left in a laboratory controlled at 23 ° C. and 50% RH (Relative Humidity) for at least 5 hours. A test piece made of EMC 430 bonded to both ends of a glass plate was set on a chuck of a universal testing machine type UTMI (Orientic Co., Ltd.) equipped with a thermostat controlled at 50 ° C, and a deformation rate of 5 mm / min. The bonding strength at 50 ° C. was measured by tensile shear.

(d) 유전특성 : 고주파 전원회로(펄공업사주식회사 제품)에 접속된 단자면적 (Ds)이 5㎠인 도체 단자간에 (b)에서 얻어진 두께 3㎜의 접착제 플레이트에서 잘라낸 8×8㎜의 시험편을 끼워 세트하였다. 주파수 40㎒의 고주파 전하(Q)를 주어 단자간의 전압차(Ⅴ)로부터 정전용량(Cs)과 유전정접(tanδ)을 측정하였다. 진공중의 유전율(εo)을 8.85×10-14F/㎝로 하여, 하기 (1)식으로부터 유전손실계수(εㆍtanδ)를 구하였다.(d) Dielectric properties: 8 x 8 mm test pieces cut out from an adhesive plate having a thickness of 3 mm obtained in (b) between conductor terminals having a terminal area (Ds) of 5 cm2 connected to a high frequency power supply circuit (manufactured by Pearl Industries, Ltd.). Was set. Given the high frequency charge Q at a frequency of 40 MHz, the capacitance Cs and the dielectric tangent tan δ were measured from the voltage difference V between the terminals. The dielectric constant (ε o ) was determined from the following formula (1) with the dielectric constant epsilon o in the vacuum being 8.85 × 10 −14 F / cm.

εㆍtanδ= Cs ×Ds/(εoㆍS) ………(1)ε and tanδ = Cs × Ds / (ε o and S) ... … … (One)

본 발명예 1∼12 : (접착제의 유전정접이나 조성이 상기 권장범위 내에 있는 것) Inventive Examples 1-12: (The dielectric loss tangent or composition of the adhesive is within the above recommended range.)

표 1에 나타내는 배합비율의 예비 혼합체를 상기한 바와 같이 컴파운드한 후에 고주파 접착제 플레이트를 성형하였다. The high frequency adhesive plate was shape | molded after compounding the premix of the compounding ratio shown in Table 1 as mentioned above.

본 발명예Inventive Example No.1No.1 No.2No.2 No.3No.3 No.4No.4 No.5No.5 No.6No.6 No.7No.7 No.8No.8 No.10No.10 No.11No.11 No.12No.12 배합(용량%) Compounding (volume%) PO-1PO-1 97.597.5 9595 9292 9292 9292 9292 -- 97.597.5 9595 9292 97.597.5 PO-2PO-2 -- -- -- -- -- -- 9292 -- -- -- -- Fe100(도전물질)Fe100 (Conductive Material) 2.52.5 55 88 -- -- -- 88 2.52.5 55 88 2.52.5 Fe200(도전물질)Fe200 (Conductive Material) -- -- -- 88 -- -- -- -- -- -- -- Cu100(도전물질)Cu100 (Conductive Material) -- -- -- -- 88 -- -- -- -- -- -- CF (도전물질)CF (Conductive Material) -- -- -- -- -- 88 -- -- -- -- -- 발진시간(분)Oscillation time (minutes) 1One 1One 1One 1One 1One 1One 1One 55 55 55 2020 유전정접Genetic Tangent 0.0320.032 0.0550.055 0.240.24 0.260.26 0.220.22 0.190.19 0.310.31 0.0320.032 0.0550.055 0.240.24 0.240.24 유전손실계수(㎝-1)Dielectric loss factor (cm -1 ) 1.91.9 33 7272 7676 4848 4040 7171 1.91.9 33 7272 1.91.9 접착강도(㎫)Adhesive strength (MPa) 1.11.1 3.13.1 4.64.6 4.14.1 3.93.9 5.55.5 5.15.1 1.91.9 66 4.54.5 6.86.8

PO-1:실란변성G197(폴리올레핀계, 클레하에라스토머주식회사 제품) 융점 105℃  PO-1: Silane-Modified G197 (Polyolefin Type, Cleha Elastomer Co., Ltd.) Melting Point 105 ° C

PO-2:실란변성G1019(폴리올레핀계, 클레하에라스토머주식회사 제품) 융점 120℃  PO-2: Silane-Modified G1019 (Polyolefin-Based, Kleha Elastomer Co., Ltd.) Melting Point 120 ° C

Fe100:ASC100(철분체, 헤가네스주식회사) 평균입경 100미크론, 체적저항률 1.4  Fe100: ASC100 (iron powder, Heganes Co., Ltd.) Average particle size 100 microns, volume resistivity 1.4

×10-5Ωㆍ㎝× 10 -5 Ωcm

Fe200:KIP3100(철분체, 천기제철주식회사) 평균입경 200미크론, 체적저항률 1.6  Fe200: KIP3100 (Iron powder, Cheunggi Steel Co., Ltd.) Average particle size 200 micron, volume resistivity 1.6

×10-6Ωㆍ㎝× 10 -6 Ωcm

Cu100:CE-6(구리분체, 복전금속박분공업주식회사) 평균입경 100미크론, 체적  Cu100: CE-6 (Copper powder, Futian Metal Powder Co., Ltd.) Average particle size 100 micron, volume

저항률 1.7×10-6Ω·㎝Resistivity 1.7 × 10 -6 Ωcm

CF:HTA(탄소섬유, 동방레이온주식회사) 3㎜길이, 체적저항률 1.5×10-3Ωㆍ㎝CF: HTA (Carbon Fiber, Dong Bang Rayon Co., Ltd.) 3 mm length, volume resistivity 1.5 × 10 -3 Ω · cm

상기 플레이트에 대해서 유전정접과 유전손실계수를 측정하였다. 또, 유리와 유리섬유강화 변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성형품(EMC430)을 피접착체로 하여 고주파 가열시간인 발진시간을 1분 또는 5분에 걸쳐서 고주파 유전접착을 하고, 그 접착강도를 측정하였다. The dielectric loss tangent and the dielectric loss coefficient of the plate were measured. In addition, using the glass and glass fiber reinforced modified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molded article (EMC430) as an adherend, high frequency dielectric bonding was performed over 1 minute or 5 minutes of the high frequency heating time, and the adhesive strength thereof was measured.

비교예 1∼4 : (접착제의 유전정접이나 조성이 상기 권장범위 이외의 것) Comparative Examples 1 to 4: (Dielectric tangent or composition of the adhesive other than the above recommended range)

표 2에 나타낸 배합비율의 예비 혼합체를, 본 발명예와 마찬가지로 컴파운드하여 성형한 플레이트에 대해서 접착강도를 측정하였다. The adhesive strength was measured with respect to the plate which compounded and preformed the compounding ratio shown in Table 2 similarly to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No.1No.1 No.2No.2 No.3No.3 No.4No.4 배합(용량%) Compounding (volume%) PO-1 PO-1 100100 100100 99.599.5 99.599.5 PO-2 PO-2 -- -- -- -- Fe100 Fe100 -- -- 0.50.5 3535 Fe200 Fe200 -- -- -- -- Cu100 Cu100 -- -- -- -- CF CF -- -- -- -- 발진시간(분) Oscillation time (minutes) 1One 2020 2020 1One 유전정접 Genetic Tangent 0.0270.027 0.0270.027 0.0270.027 0.160.16 유전손실계수(㎝-1)Dielectric loss factor (cm -1 ) 1.41.4 1.41.4 1.61.6 5555 접착강도(㎫) Adhesive strength (MPa) 00 00 00 0.20.2

일부에 대해서는 고주파 가열시간인 발진시간을 변경하여 접착성을 평가하였다. For some, adhesiveness was evaluated by changing the oscillation time, which is a high frequency heating time.

또한, 유리홀더의 유지구조는 홀더편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유리의 두께가 변화되더라도 압력을 가하여 접착할 수 있다. 또, 유전가열 접착용 수지의 두께는 홀더편에 형성된 볼록부의 높이에 의해서 임의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최적한 접착제의 두께를 용이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유리의 두께의 변동에 의하지 않고, 높은 접착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유리홀더의 치수관리나 접착제의 보관관리도 필요없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holder piece is separated from the holding structure of the glass holder, even if the thickness of the glass is changed, it can be bonded by applying pressure. Moreover, since the thickness of the resin for dielectric heating bonding can be arbitrarily adjusted by the height of the convex part formed in the holder piece, it becomes possible to ensure the optimum thickness of an adhesive easily. Therefore, high adhesive strength can be ensured regardless of the fluctuation of the thickness of glass. In addition, there is no need for dimensional control of the glass holder or storage management of the adhesive.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형태는 어디까지나 예시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핫멜트 수지는 유전가열 접착용 수지에 한정하지 않고, 그 외의 핫멜트 수지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서 표시되고,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을 포함하는 것이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since said embodiment is only an illustration to the las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aid embodiment. For example, the hot melt resin is not limited to the resin for dielectric heat bonding, but may be other hot melt res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and includes all modifications within the meaning and range equivalent to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유리홀더, 접착방법 및 핫멜트 수지의 성형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유리와 홀더 또는 연결부품과의 접착면에 대한 프라이머처리나 접착제의 경화를 위한 제작체류기간 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높은 신뢰성의 접착부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생산성과 강고한 내구성을 가지고, 유리와의 접착에 관련된 부착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By using the glass holder, the bonding method and the molding method of the hot melt resi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does not require the primer treatment of the adhesive surface between the glass and the holder or the connecting part or the manufacturing stay period for curing the adhesive, and the high reliability. Can be realiz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orm an attachment structure related to adhesion with glass, having high productivity and firm dur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리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는 일측 홀더편의 사시도, (b)는 타측 홀더편의 부분단면 사시도, (c)는 너트의 사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glass holder i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a)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holder piece, (b)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other holder piece, (c) is a perspective view of a nut.

도 2는 도 1의 유리홀더에 유리를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glass is mounted on the glass holder of FIG.

도 3은 유리가 장착된 유리홀더를 승강기구의 롤러 가이드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3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glass holder with glass is attached to the roller guide of the elevating mechanism;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결부품인 룸 밀러 베이스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4 is a view showing a room mirror base member which is a connecting par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결부품인 밀러 홀더를 사용한 도어 밀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밀러 케이스, (b)는 밀러 홀더, (c)는 밀러를 나타내는 도면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door mirror using the mirror holder which is a connection part i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a) is a miller case, (b) is a miller holder, (c) is a figure which shows a miller

도 6은 도 5의 단면도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결부품이 사용되는 천정 유리를 나타내는 도면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ceiling glass in which the connection component i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used.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결부품인 천정 유리에 접착되는 연결부품을 나타내는 도면, (b)는 상기 연결부품의 연결수단에 연결되는 다른 부품을 나타내는 도면 (A) is a figure which shows the connection part adhere | attached on the ceiling glass which is the connection part i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b) is the figure which shows the other part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ans of the said connection part.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핫멜트 수지의 임시고정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9 is a view showing a temporary fixed form of the hot melt resi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핫멜트 수지의 다른 임시고정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10 is a view showing another temporary fixed form of the hot melt resi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종래의 유리홀더를 설명하는 사시도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glass holder

도 12는 도 11의 유리홀더에 유리를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glass is mounted on the glass holder of FIG.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 접착벽부(접착영역) 2a - 볼록부2-Adhesive Wall (Adhesive Area) 2a-Convex

3 - 부착부 3a - 관통구멍3-Attachment 3a-Through Hole

4 - 유리 받이부 5a - 걸어맞춤 볼록부4-glass receiving part 5a-engaging convex part

5b - 볼록부 수납부 7 - 핫멜트 수지(유전가열 접착용 수지)5b-Convex Retaining Section 7-Hot Melt Resin

8 - 너트 장착 오목부 9 - 너트8-nut mounting recess 9-nut

9a - 암나사 10 - 유리홀더9a-Female thread 10-Glass holder

11 - 일측 홀더편(제1홀더편) 12 - 타측 홀더편(제2홀더편)11-One holder piece (1st holder piece) 12-Other holder piece (2nd holder piece)

13 - 승강기구 14 - 롤러 가이드13-lifting mechanism 14-roller guide

20 - 프런트 유리 21 - 룸 밀러 베이스부재20-Windshield 21-Room Miller Base

22 - 커플러 23 - 플렉시블 암22-Coupler 23-Flexible Arm

24 - 각도조정부재 25 - 룸 밀러24-Angle adjuster 25-Room miller

30 - 유리 31 - 도어 밀러 케이스30-Glass 31-Door Miller Case

32 - 밀러 홀더 32a - 접착영역32-Miller holder 32a-adhesive area

33 - 밀러 33a - 표면33-Miller 33a-Surface

33b - 이면 35 - 나사(연결수단)33b-Back 35-Screws

51 - 천정 유리 52 - 연결부품51-ceiling glass 52-Connecting parts

55 - 수나사 55a - 수나사부55-male thread 55a-male thread

58 - 라이닝 59 - 걸림부58-lining 59-catch

61 - 걸어맞춤부61-fitting

Claims (15)

유리를 고정하고 지지하기 위한 유리홀더로서, Glass holder for fixing and supporting glass, 제 1 홀더편과, With the first holder piece, 상기 제 1 홀더편과 쌍을 이루며, 상기 유리를 사이에 두고서 상기 제 1 홀더편과 대향하는 제 2 홀더편과,A second holder piece paired with the first holder piece and opposed to the first holder piece with the glass therebetween; 상기 제 1 및 제 2 홀더편 중 적어도 일측에 포함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홀더편을 다른 부재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조와,An attachment structure inclu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holder pieces, for attaching the first and second holder pieces to another member; 상기 유리를 접착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및 제 2 홀더편 중 적어도 일측에 부착된 핫멜트 수지를 구비하며,Hot melt resin attached to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holder pieces for adhering the glass, 상기 핫멜트 수지는, 융점이 80℃∼200℃인 수지에 체적저항율이 10-2Ωㆍ㎝ 이하인 도전물질을 1∼30용량% 함유시킨 것이고, 40㎒의 주파수에 있어서 유전정접이 0.03 이상인 유리홀더.The hot melt resin contains 1 to 30% by volume of a conductive material having a volume resistivity of 10 −2 Ω · cm or less in a resin having a melting point of 80 ° C. to 200 ° C., and a glass holder having a dielectric loss tangent of 0.03 or more at a frequency of 40 MHz. .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핫멜트 수지가 부착된 상기 홀더편의 접착영역에 소정 높이의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홀더. And a convex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is formed in an adhesive region of the holder piece to which the hot melt resin is attached.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부착구조가, 상기 제 1 및 제 2 홀더편 중 어느 일측의 관통구멍의 둘레에 너트를 장착하는 너트 장착 오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홀더. The attachment structure includes a nut mounting recess for mounting a nut around a through hole on eith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holder pieces.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핫멜트 수지가 상기 홀더편에 형상적으로 걸어맞춰져서 상기 홀더편에 임시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홀더. And the hot-melt resin is temporarily fixed to the holder piece by engaging the shape with the holder piece.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핫멜트 수지가, 상기 홀더편에 형상적으로 걸어맞춰져서 상기 홀더편에 임시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홀더. The hot-melt resin is temporarily fixed to the holder piece by engaging the shape with the holder pie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1쌍의 홀더편을 사용하여 유리를 접착하는 방법으로서,As a method of bonding glass using a pair of holder pieces, 상기 1쌍의 홀더편 중 적어도 일측에, 융점이 80℃∼200℃인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체적저항율이 10-2Ωㆍ㎝ 이하인 도전물질을 1∼30용량% 함유시키고, 40㎒의 주파수에 있어서 유전정접이 0.03 이상인 핫멜트 수지를 부착하는 공정과,At least one side of the pair of holder pieces contains 1 to 30 vol% of a conductive material having a volume resistivity of 10 −2 Ω · cm or less in a polyolefin resin having a melting point of 80 ° C. to 200 ° C. at a frequency of 40 MHz. Attaching a hot melt resin having a dielectric loss tangent of 0.03 or more; 상기 유리가 상기 1쌍의 홀더편 사이에 상기 핫멜트 수지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끼워지도록 압력을 부가하고, 상기 유리가 끼워진 핫멜트 수지를 포함하는 영역을 가열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접착방법. And a step of applying pressure such that the glass is sandwiched between the pair of holder pieces in a state where the hot melt resin is interposed, and heating a region containing the hot melt resin sandwiched with the glass. 청구항 1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상기 핫멜트 수지를 포함하는 영역을 가열하는 공정에서는, 유전가열, 회전마찰가열, 진동마찰가열, 초음파가열, 레이저광가열, 적외선가열, 열판가열 및 열풍가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서 가열하는 접착방법. In the step of heating the region containing the hot melt resin, the bonding method of heating by at least one of dielectric heating, rotary friction heating, vibration friction heating, ultrasonic heating, laser light heating, infrared heating, hot plate heating and hot air heat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융점이 80℃∼200℃인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체적저항율이 10-2Ωㆍ㎝ 이하인 도전물질을 1∼30용량% 함유시키고, 40㎒의 주파수에 있어서 유전정접이 0.03 이상인 핫멜트 수지를 사출성형하는 방법으로서,A polyolefin resin having a melting point of 80 ° C. to 200 ° C. contains 1 to 30% by volume of a conductive material having a volume resistivity of 10 −2 Ω · cm or less, and injection molding a hot melt resin having a dielectric loss tangent of 0.03 or more at a frequency of 40 MHz. As a method, 사출성형에 사용하는 금형을 70℃ 이하로 하는 공정과,The process of making the mold used for injection molding into 70 degrees C or less, 상기 70℃ 이하로 유지한 금형에 용융상태의 상기 핫멜트 수지를 사출하고, 냉각하여 성형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핫멜트 수지의 성형방법.And a step of injecting the hot melt resin in a molten state into a mold maintained at 70 ° C. or lower, cooling the mold, and molding the same.
KR10-2003-0028392A 2002-10-16 2003-05-03 Glass holder and their adhesive method and forming method of hotmelt KR10050589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02139A JP4057391B2 (en) 2001-10-16 2002-10-16 Glass holder, connecting part, bonding method, and hot melt resin molding method
JPJP-P-2002-00302139 2002-10-1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582A Division KR100507689B1 (en) 2002-10-16 2005-05-20 Parts for connection, and their adhesive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345A KR20040034345A (en) 2004-04-28
KR100505891B1 true KR100505891B1 (en) 2005-08-01

Family

ID=3726131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8392A KR100505891B1 (en) 2002-10-16 2003-05-03 Glass holder and their adhesive method and forming method of hotmelt
KR10-2005-0042582A KR100507689B1 (en) 2002-10-16 2005-05-20 Parts for connection, and their adhesive method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582A KR100507689B1 (en) 2002-10-16 2005-05-20 Parts for connection, and their adhesiv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50589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05942B2 (en) * 2005-06-14 2010-01-27 キヤノン株式会社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1389A (en) 2005-07-07
KR100507689B1 (en) 2005-08-08
KR20040034345A (en) 200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7073B1 (en) Glass holder and method of mounting the same
KR101426401B1 (en) Electrical connections for plastic panels having conductive grids
EP3004953B1 (en) Optical connector with adhesive material
US5893723A (en) Manufacturing method for semiconductor unit
CA1304210C (en) Process for the at least partial hardening of sealants and adhesives using pulsed microwave energy
EP3239240B1 (en) Polyarylene sulfide resin composition and insert molded article
US6157012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optical module using multiple applications of thermosetting resins and multiple heating processes
CN101682940B (en) Film insert molded plastic windows and its manufacture method
KR101681015B1 (en) Method for producing plastic molded parts having an integrated conductive track
EP0302648A2 (en) Weld-containing polyarylene sulfide resin molded article
US4776915A (en) Method of preparing molding for vehicle
JP4057391B2 (en) Glass holder, connecting part, bonding method, and hot melt resin molding method
KR100505891B1 (en) Glass holder and their adhesive method and forming method of hotmelt
US6491444B1 (en) Method for fixing an optical fiber cable in a connector for a connectable optical fiber connection and adhesive use in said method
KR100487074B1 (en) Glass temporary fixing member and glass temporary fixing method
KR100363868B1 (en) Window glass holder for automobiles
KR20030031836A (en) Part holder and its fixing method
JP4051605B2 (en) Resin composition, adhesive using the same, and adhesion method thereof
JP2004000977A (en) Method for pulling bonded complex apart
CA2032962A1 (en) Resin material for inserting lead frame and molded component thereof
Murphy REINFORCED AND FILLED THERMOPLASTICS-REINFORCED PLASTICS SYMPOSIUM
JPS63312818A (en) Injection-molded product
KR102571437B1 (en) Polyphenylenesulfide complex resin containing high content of filler and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JP2004107588A (en) Resin composition for high-frequency thermal bonding
JPH0345911A (en) Housing for branch coupler of optical fi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