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5116B1 - 내열성, 유동성 및 표면광택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 Google Patents

내열성, 유동성 및 표면광택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5116B1
KR100505116B1 KR10-1999-0003798A KR19990003798A KR100505116B1 KR 100505116 B1 KR100505116 B1 KR 100505116B1 KR 19990003798 A KR19990003798 A KR 19990003798A KR 100505116 B1 KR100505116 B1 KR 100505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saturated nitrile
impact polystyrene
aromatic vinyl
vinyl compound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3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5271A (ko
Inventor
김정현
이병도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03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5116B1/ko
Publication of KR20000055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5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5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51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보강을 위하여 고무변성된 고충격 폴리스티렌 수지(HIPS)와 불포화니트릴화합물 함량이 적은 불포화니트릴-방향족비닐화합물 공중합체의 기계적 블랜드방법에 의하여 제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 유동성 및 표면광택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고충격 폴리스티렌 수지와 불포화니트릴화합물-방향족비닐화합물 공중합체의 상용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불포화니트릴화합물-방향족비닐화합물 공중합체내의 적정 불포화니트릴함량과 고충격 폴리스티렌 수지와의 적정 비율로 고충격 폴리스티렌의 우수한 내충격성을 유지하여 불포화니트릴-방향족비닐화합물 공중합체의 우수한 내열성, 유동성 및 표면광택성을 갖게 되므로써 종래의 일반 고충격 폴리스티렌 수지를 사용하여 대형 제품을 성형할 때에 과다한 온도 및 압력에서 사출시 발생하는 높은 전단력에 의해 수지가 분해될 가능성을 없애주며 저온, 저압, 저속에서의 사출이 가능하게 되어 제품 성형 후 표면광택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내열성, 유동성 및 표면광택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STYRENIC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ITH GOOD HEATRESISTANCE, FLUIDITY, SURFACE GLOSS}
본 발명은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무변성된 고충격 폴리스티렌수지와 불포화니트릴화합물 함량이 적은 불포화니트릴화합물-방향족비닐화합물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내열성, 유동성 및 표면광택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렌 중합체는 경질투명수지로 무색투명하고 착색이 용이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인 반면 내충격성이 낮은 단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충격강도를 높인 고충격 폴리스티렌(HIPS)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렇게 제조된 고무변성 고충격 폴리스티렌 수지(HIPS)는 일반적으로 내충격성 및 유동성, 내열성등의 물성 밸런스가 양호하여 전기·전자 제품의 하우징(Housing)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소비자들의 대형제품 선호경향에 따라 가전 메이커들은 대형 가전 제품을 주로 생산하고 있으며 동시에 이들 제품의 성형에 유리한 유동성이 우수한 수지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 고충격 폴리스티렌 수지(HIPS)를 사용하여 대형제품을 성형할 때에는 과다한 온도 및 압력에서 사출하게 되고 이에 따라 높은 전단력으로 인해 수지가 분해될 가능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수지가 분해를 일으켜 플로우마크( flow Mark)와 같은 사출외관 불량문제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어 사용하기에 부적합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충격성이 우수한 고충격폴리스티렌과 유동성 및 내열성, 표면광택성이 우수한 불포화니트릴화합물-방향족비닐화합물 공중합체를 적정비율로 용융혼합(블랜드)하므로써 내열성 및 유동성이 우수하여 저온, 저압, 저속에서의 사출이 가능하게 되며 표면광택성도 향상된 열가소성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고무변성된 고충격폴리스티렌(HIPS) 성분 60∼80 중량%와 불포화 니트릴화합물 단량체 성분이 5∼15 중량%이고 방향족 비닐 화합물 단량체 성분이 85∼95 중량%인 불포화 니트릴화합물-방향족 비닐화합물 공중합체 20∼40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 유동성 및 표면광택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무변성된 고충격폴리스티렌(HIPS) 성분은 60∼80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70중량%이다. 이때, 고충격폴리스티렌 함량이 60중량% 미만이면 충격강도가 너무 낮아서 전체 물성 발란스를 맞추기 힘들며, 80중량%를 초과하면 흡입되는 불포화니트릴화합물-방향족비닐화합물 공중합체 성분의 함유량이 너무 낮아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내열, 고유동, 고광택 등의 특성을 얻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에 사용되는 고무변성된 고충격폴리스티렌은 공지의 중합방법으로 제조되어지는 일반적인 고충격 폴리스티렌(HIPS)으로서, 이때 사용되는 고무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PBR(폴리부타디엔 고무), SBR(스티렌-부타디엔 고무)등이며, 그 함량은 요구되어지는 물성에 따라 통상 5∼15중량% 정도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불포화니트릴 함량이 적은 불포화 니트릴화합물-방향족 비닐화합물 공중합체는 불포화 니트릴화합물 단량체 성분이 5∼15 중량%이고 방향족 비닐 화합물 단량체 성분이 85∼95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불포화 니트릴화합물 단량체 성분이 8∼10 중량%, 방향족 비닐화합물 단량체 성분이 90∼92 중량% 범위의 것이 좋다. 불포화 니트릴 화합물 단량체 성분이 5중량% 미만이면 공중합체의 내약품성 및 기계적 특성을 기대할 수 없고, 불포화 니트릴 화합물 단량체 성분이 15중량%를 초과하면 본 발명이 목적하는 고충격폴리스티렌과의 상용성이 저하되어 가공시 수지가 분리되거나 박리현상이 발생하여 제품으로서의 사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불포화니트릴화합물-방향족비닐화합물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좀 더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공중합체의 제조원료 단량체 중 불포화 니트릴화합물 단량체로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중 1종 또는 그 혼합물로부터 선택되고, 또 방향족 비닐화합물 단량체로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t-부틸스티렌, 할로겐화 스티렌중의 1종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다.
불포화니트릴화합물-방향족비닐화합물 공중합체 중합방법은 통상의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현탁, 유화, 괴상중합법이 모두 이용될 수 있지만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반응조절 및 분리가 용이한 현탁중합법이 바람직하며, 개시제로 디-t-부틸퍼옥사이드, 벤조일퍼옥사이드 등의 과산화물과 1,1-비스(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1,1-Bis(t-butylperoxy)3,3,5-trimethyl cyclohexane)을 혼용하고, 분자량 조절제로는 t-도데실머캅탄(TDM: t-Dodecylmercaptane)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실시예에서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함량은 모두 중량을 기준으로 하며(중량%) 전체 조성물을 100으로 했을 때의 값이다.
실시예 1
수지의 용이한 혼합을 위하여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였으며 제일모직의 고충격 폴리스티렌(HF-1690H) 70중량%와 상기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아크릴로 니트릴 함량이 8중량%인 스티렌-아크릴로 니트릴 공중합체 30중량%를 벤트부에서 휘발성분을 제거한 후 펠렛으로 만들었다. 이 펠렛을 물성측정을 위한 시편제작을 위하여 사출성형기를 사용하여 200℃에서 사출성형하였다. 이로부터 시편을 하기의 공지된 측정방법에 의거하여 그 기계적, 열적특성 및 유동, 광택특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2
수지조성물의 구성성분은 실시예 1과 동일하며 그 함량은 고충격 폴리스티렌 (HF-1690H) 65중량%,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35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수지조성물의 구성 성분중 고충격 폴리스티렌(HF-1690H)은 실시예 1과 동일하며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는 아크릴로 니트릴 함량이 10중량%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수지조성물의 구성성분은 실시예 3과 동일하며 그 함량을 고충격 폴리스티렌(HF-1690H) 65중량%,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35중량%를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수지조성물의 구성성분을 실시예 1과는 달리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아크릴로 니트릴 함량이 25중량%인 것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수지조성물의 구성성분은 실시예 1과 동일하며 그 함량을 고충격폴리스티렌(HF-1690H) 50중량%,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50중량%를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4, 비교예 1∼2에서 얻어진 수지에 대한 물성평가 결과는 다음 표 1과 같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조성 HIPS/SAN(8%)70/30 HIPS/SAN(8%)65/35 HIPS/SAN(10%)70/30 HIPS/SAN(10%)65/35 HIPS/SAN(25%)70/30 HIPS/SAN(8%)50/50
충격강도 9.0 8.2 8.7 8.0 6.5 4.1
유동성 15.7 8.2 15.4 16.0 14.0 18.5
열변형온도 87.6 88.0 87.1 87.5 84.0 88.2
표면광택도 64.6 65.0 63.2 63.5 62.0 73.5
* HIPS : 고충격폴리스티렌, *SAN: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물성측정방법
1) 충격강도 : ASTM D 256, 시편두께 1/4인치 노치 (kg.cm/cm)
2) 유동성 (MI) : ASTM D 1238 (g/10min)
3) 열변형온도 (VST) : ASTM D 525 (℃)
4) 표면광택도 : ASTM D 526, 반사각 6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충격폴리스티렌과 불포화니트릴화합물-방향족비닐화합물 공중합체의 블랜드에 있어서 불포화니트릴화합물-방향족비닐화합물 공중합체내의 적정 불포화 니트릴함량과 두 수지간의 적정 블랜드 비율을 결정하므로서 내충격성을 유지하며 유동성, 내열성 및 표면광택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

  1. 고충격폴리스티렌 60∼80중량%와 불포화니트릴화합물 단량체 성분이 5∼15중량%이고 방향족비닐화합물 단량체 성분이 85∼95중량%인 불포화니트릴화합물-방향족비닐화합물 공중합체 20∼40중량%로 이루어진 내열성, 유동성 및 표면광택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1999-0003798A 1999-02-04 1999-02-04 내열성, 유동성 및 표면광택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KR100505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3798A KR100505116B1 (ko) 1999-02-04 1999-02-04 내열성, 유동성 및 표면광택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3798A KR100505116B1 (ko) 1999-02-04 1999-02-04 내열성, 유동성 및 표면광택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271A KR20000055271A (ko) 2000-09-05
KR100505116B1 true KR100505116B1 (ko) 2005-07-29

Family

ID=19573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3798A KR100505116B1 (ko) 1999-02-04 1999-02-04 내열성, 유동성 및 표면광택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511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271A (ko) 2000-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2342B2 (en) Transparent ABS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impact strength and flowability
US10053573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20010093191A (ko) 열가소성 성형 물질
JPH0384053A (ja) 改良された降伏応力を有するabs成形材料
US20070155898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ith low coefficient of linear thermal expansion
JPH04314750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20200034602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50072114A (ko) 웰드부 광택 편차가 개선된 저광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10059791B2 (en) ABS product with improved fire retardancy
KR96001456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N108485223A (zh) 一种车用pc/abs合金及其制备方法
KR100505116B1 (ko) 내열성, 유동성 및 표면광택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KR100441799B1 (ko) 고무강화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방법
KR100530574B1 (ko) 내열성, 유동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수지조성물
KR101005635B1 (ko) 폴리카보네이트/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블렌드수지(ps/abs)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29980B1 (ko)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전제품의내상용 압출 시트
JP3338557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0853432B1 (ko) 기계적 물성 및 저광택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9980027068A (ko)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19990075609A (ko) 고광택, 고충격 고무 변성 스티렌계 수지의 제조 방법
KR20000055268A (ko) 저온 내충격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096553B1 (ko) 고무 중합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4484126B2 (ja) ゴム強化樹脂、その組成物、およびシート・ブロー成形用材料
KR100519117B1 (ko) 충격강도가 우수한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100556188B1 (ko) 고무 변성 스티렌계 수지의 연속 괴상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