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4095B1 - 점착제와 숯가루를 이용한 숯성형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점착제와 숯가루를 이용한 숯성형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4095B1
KR100504095B1 KR10-2002-0086151A KR20020086151A KR100504095B1 KR 100504095 B1 KR100504095 B1 KR 100504095B1 KR 20020086151 A KR20020086151 A KR 20020086151A KR 100504095 B1 KR100504095 B1 KR 100504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sensitive adhesive
pressure
mixtur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6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9417A (ko
Inventor
최현호
최석모
Original Assignee
최현호
최석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호, 최석모 filed Critical 최현호
Priority to KR10-2002-0086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4095B1/ko
Publication of KR20040059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9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4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40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1/00Loose filling materials for upholster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7Anti-mite, anti-allergen or anti-bacteri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07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deodorising, fragrance releasing, therapeutic or disinfecting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03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31/00Use of polyvinyl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31/04Polymers of vinyl acetate, e.g. PVAc, i.e. polyvinyl acet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착제와 숯가루를 이용한 숯성형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성형물의 강도가 견고하면서 숯의 기능은 그대로 유지되게 하므로서 메트나 방석, 베개와 같은 침구류나 기타 탈취제, 습기제거제, 부패방지제등의 용도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초산비닐수지와, 식물성전분과, 해조류로부터 추출한 액상농축물과, 물을 적량혼합하여 점착제를 얻고, 상기 점착제와, 목제껍질로부터 추출한 식물성 펄프와, 숯가루와, 물을 골고루 교반혼합하여 혼합물을 얻고, 상기 혼합물을 프레스 성형기에 투입하여 필요한 형상의 숯성형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점착제와 숯가루를 이용한 숯성형물 및 그 제조방법{Charcoal forming products by using the adhesive gluing agent and the charcoa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숯을 이용하여 메트나 방석, 베개등과 같은 침구류에 적용사용하거나 탈취제, 습기제거제 및 부패방지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특히 사용중 숯이 파손되거나 가루가 발생되지 않게 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숯은 생활속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효능도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숯의 대표적인 효능은 산화방지 및 환원작용과 함께 원적외선 방출, 음이온 발생, 탈취, 습도조절 및 전자파 차단기능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기능으로 인하여 숯을 이용하여 침구류로 사용하게 되면 숙면을 취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여 몸의 상태를 상쾌하고 가볍게 하며, 또한 음이온 발생으로 인한 주변공기를 신선하고 맑게 정화하고, 습도를 최적의 조건으로 조절하게 되며, 생활주변의 전자기기로부터 유해한 전자파를 차단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러한 효과를 직접적으로 얻기 위하여서는 숯을 이용하여 침구류에 적용사용하는 것이 이상적이나 자연숯 그대로를 메트나 방석, 베개등과 같은 침구류 내면에 충전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숯이 쉽게 파손될 뿐 아니라 가루발생이 심하므로 자연숯 그대로의 사용은 곤란하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숯을 분쇄한 다음 인공접착제나 합성수지액과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성형기에 투입, 압축성형하여 두께가 얇은 성형물로 성형하고, 상기 성형물을 침구류에 적용사용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위의 경우 압축성형된 성형물의 형태 즉 색상은 숯과 유사한 모양을 유지하나 효과면에서는 숯의 기능을 기대하기가 어렵다.
왜냐하면 숯가루에 성형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한 인공접착제나 합성수지액이 숯가루와 혼합되면서 숯의 중요기능을 담당하는 미세기공을 막아 밀폐시키게 되므로 숯의 기능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의 숯성형물을 이용하여 메트나 방석, 베개등의 침구류로 사용하거나 탈취제, 습기제거제, 부패방지용등의 목적으로 사용하게 될 경우 이와 같은 효능을 기대할 수가 없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시정하고자 숯을 이용하여 메트나 방석, 베개등과 같은 침구류에 배시하여 사용하거나 탈취제, 습기제거제등의 용도로 사용하되, 사용중 숯의 파손을 방지케 함과 동시에 숯가루 발생이 없게 하며, 또한 숯의 주기능을 하는 미세기공의 상실없이 사용가능토록 하므로서 숯의 효능인 산화방지 및 환원작용, 원적외선 방출, 음이온발생, 탈취, 습기제거 및 전자파 차단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숯을 분쇄하여 분말화하고, 상기 분말화된 숯가루를 적량의 점착제와 혼합한 다음 성형기로 성형하여 필요한 형상의 숯성형물을 얻는다.
상기에서 숯가루에 성형성을 부여하기 위한 점착제의 조성과 제조 및 점착제와 숯가루의 혼입비율이 중요한 요소이다.
상기에서 사용되는 점착제 성분은 초산비닐수지와 식물성 전분 및 해조류에서 추출한 콜로이드 상태의 액상농축물과 물을 적절히 혼합하여 천연점착제를 얻고, 상기 점착제와, 목재펄프와, 적량의 숯가루 및 물을 골고루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다.
이때 혼합물의 상태는 서로 엉키지 않는 축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혼합물의 조성물을 더욱 완전하게 혼합하기 위하여 혼합물을 걸름망에투입한 다음 진동을 주어 혼합물이 아래로 낙하되게 하므로서 골고루 혼합되게 한다.
위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프레스 성형기에 투입한 다음 가압하므로서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필요한 형상의 숯성형물의 제조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점착제와 숯가루를 이용한 숯성형물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개략구성은 먼저 숯에 점착성을 부여하기 위한 점착제를 얻고, 상기 점착제와 식물성 펄프, 물 및 분말화된 숯가루를 골고루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고, 상기 혼합물을 성형기에 투입한 다음 압축성형하는 것이다.
먼저 점착제의 제조는 다음과 같다.
초산비닐수지와 식물성 전분 및 해조류로부터 추출한 콜로이드 상태의 액상농축물을 준비한다.
이때 식물성 전분은 옥수수, 감자, 고구마전분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상적인 것은 옥수수전분이다.
상기에서 초산비닐수지나 식물성 전분은 상품화된 제품을 구입사용하였으며, 해조류로부터 추출한 액상농축물은 직접 제조하였다.
해조류 액상농축물의 제조는 용기 내에 미역이나 다시마와 같은 해조류 1Kg과 물1ℓ를 투입한 다음 약한 불로 서서히 달인다.
상기에서와 같이 장시간(약7~9시간) 서서히 달이게 되면 해조류는 완전히 풀어지면서 끈적끈적한 액상의 농축물이 되며, 이때 농축물은 약400∼700㏄정도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준비된 초산비닐수지와 식물성 전분 및 해조류 액상농축물 각130~150g과 물550~660cc를 혼합하여 골고루 교반하므로서 천연점착제를 얻는다.
식물성 펄프의 제조는 다음과 같다.
목재로부터 껍질을 채취한 다음 겉껍질을 제거하고 속껍질만 수거한 후 증숙한다.
증숙된 속껍질을 물에 2~3일 담구어 숙성시킨 다음 끄집어 내어 절구에 넣고 찧는다.
상기 속껍질을 용기에 채워진 물에 넣은 다음 압착하여 섬유질이 물속에 풀어지게 한다.
위 작업을 반복하여 식물성 펄프가 용기에 채워 물 내에 완전히 풀어지게 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고운 입자로 된 채로 물에 함유된 펄프를 수거하여 식물성 펄프를 얻는다.(한지 제조시 닥나무 껍질로부터 목재펄프를 얻는 공정과 같다.)
숯가루 제조는 다음과 같다.
분쇄기에 숯을 투입하여 미세하게 분쇄한다.
이때 숯의 분쇄정도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성은 없으나 대략40메쉬 이상이면 사용에 별문제가 없다.
상기에서와 같이 얻어진 점착제와 식물성 펄프, 숯가루 및 물을 적절한 비율로 충분히 혼합한다. 이들의 조성비율은 점착제 70~90g, 식물성 펄프 15~25g, 숯 900~1100g, 물 180~220cc이며, 위 조성물의 혼입시 물에 식물성 펄프를 먼저 투입하여 골고루 혼합되게 하고, 다음에 점착제를 투입하여 혼합하고 마지막으로 숯가루를 서서히 투입하면서 교반되게 하는 것이 고른 혼합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조성비율에서 점착제의 양이 과다하면 성형된 숯의 흡착력이 떨어지게 되고, 적으면 성형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적절한 혼합비율이 중요하다.
위에서와 같은 조성비율로 점착제와 식물성 펄프, 숯가루 및 물을 골고루 혼합하게 되면 혼합물은 습기를 머금은 축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혼합물을 프레스 성형기에 투입하여 필요한 형상으로 제품을 성형할 수도 있으나 견고한 제품 성형을 위하여서는 충분한 혼합이 필요하고 충분한 혼합을 위하여서는 3mm이하의 망목으로 구성된 걸름망에 투입한 다음 진동을 주어 혼합물이 걸름망 아래로 낙하되게 하므로 혼합물에 함유된 각 조성물들이 골고루 혼합되게 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와 같이 충분히 혼합된 혼합물을 프레스 성형기에 구성된 성형틀에 투입, 가압하여 필요한 형상과 강도를 유지하면서 숯기능을 갖는 숯성형물을 제조하게 되며, 프레스의 압력은 50t이상인 것이 견고한 성형물을 제조하는데 유리하다.
상기에서 제조된 숯성형물은 건조기에 투입한 다음 50℃이하에서 24시간정도 건조시키므로서 본 발명에서 얻고자하는 숯성형물의 제조가 완료되며, 이때 건조기가 아닌 자연건조를 할 수도 있다.
이때 숯성형물의 형상은 프레스 성형기에 장치된 성형틀의 모양에 따라 결정되어지며, 성형틀의 모양은 숯성형물이 사용되어지는 물품에 따라 결정되어진다.
즉 메트나 방석, 베개와 같은 침구류에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침구류에 사용되고 있는 옥돌이나 세라믹, 게르마늄석과 같이 원형의 납작한 형상으로 성형하면 이상적이고, 기타 탈취제나 습기제거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압축성형된 숯성형물은 숯가루에 성형성을 부여하기 위한 점착제로 사용된 식물성 전분이나 해조류 농축엑기스 및 식물성 펄프가 모두 셀룰로오스(cellulose)를 함유한 천연소재이므로 숯의 주요기능인 미세기공을 폐쇄시키는 현상이 없고, 따라서 압축한 숯성형물이라 하더라도 숯고유의 기능과 작용에는 별 문제가 야기되지 않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숯가루와, 천연소재를 주성분으로 한 점착제와, 식물성 펄프 및 물을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고, 상기 혼합물을 프레스 성형기에 투입, 압축성형하여 필요한 강도와 숯기능을 갖는 숯성형물을 얻고, 상기 숯성형물을 필요한 용도에 적용사용하더라도 사용중 파손되거나 분쇄되어 가루화 되는 현상없이 숯의 기능은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게 하므로서 숯기능을 갖는 양질의 제품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점착제와 숯가루를 이용한 숯 성형물을 구성함에 있어서, 초산비닐수지 130~150g과, 해조류로부터 추출한 액상 농축물 130~150g과, 물 550~650cc를 혼합교반하여 점착제를 얻고, 상기 점착제 70~90g과 딱나무껍질 속으로부터 추출한 식물성 펄프 15~25g과, 40메쉬 이상으로 분쇄된 숯가루 900~1100g과, 물 180~220cc를 각각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고, 상기 혼합물을 프레스 성형기의 성형틀에 투입한 다음 가압하여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와 숯가루를 이용한 숯 성형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2-0086151A 2002-12-28 2002-12-28 점착제와 숯가루를 이용한 숯성형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504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6151A KR100504095B1 (ko) 2002-12-28 2002-12-28 점착제와 숯가루를 이용한 숯성형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6151A KR100504095B1 (ko) 2002-12-28 2002-12-28 점착제와 숯가루를 이용한 숯성형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9417A KR20040059417A (ko) 2004-07-05
KR100504095B1 true KR100504095B1 (ko) 2005-07-27

Family

ID=37351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6151A KR100504095B1 (ko) 2002-12-28 2002-12-28 점착제와 숯가루를 이용한 숯성형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40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816B1 (ko) * 2021-05-31 2021-11-15 이명진 지관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지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785B1 (ko) * 2008-12-30 2011-05-27 (주)온고을 한지를 이용한 베개칩 제조 방법 및 그 베개 칩을 이용한 베개
KR100944607B1 (ko) * 2009-08-27 2010-02-26 김경숙 갈대 숯을 이용한 갈대 숯 염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816B1 (ko) * 2021-05-31 2021-11-15 이명진 지관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지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9417A (ko) 2004-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8834B1 (ko) 황토에 숯이 내장된 구조의 황토보드 제조방법
KR100504095B1 (ko) 점착제와 숯가루를 이용한 숯성형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32971B1 (ko) 내장용 황토벽돌의 제조방법
KR100344112B1 (ko) 숯과 황토가 코팅된 직물의 제조방법
KR102173086B1 (ko) 친환경 미술용 점토 및 그 제조방법
KR100947653B1 (ko) 황토판넬 제조방법
CN106334545B (zh) 一种安全型颗粒状食品干燥剂的制备方法
KR200407390Y1 (ko) 숯한지
KR20030070166A (ko) 황토와 천연 광물질을 혼합한 기능성 제품의 제조방법
JP3150867B2 (ja) 吸着・脱臭剤及び吸着マット
KR100446019B1 (ko) 숯을 이용한 탄소 성형체 제조방법
CN114032181B (zh) 高纯度冠突散囊菌的制备方法及其在茯茶制备中的应用以及冠突散囊菌产品
KR20010037237A (ko) 흙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077376B1 (ko) 톱밥과 코코피트를 혼합한 축사용 흡착 블럭 및 그 제조방법
KR100378397B1 (ko) 황토대자리 제조방법
KR100980472B1 (ko) 숯을 이용한 납골함 및 그 제조방법
KR100713777B1 (ko) 황토보드의 제조방법
CN1709214A (zh) 炭制骨灰盒
KR20040053622A (ko) 쑥 종이 제조방법
KR100501924B1 (ko) 해초를 이용한 매트용 건강부재 및 그 건강부재의 제조방법
KR200457410Y1 (ko) 숯을 이용한 실내장식품
KR20100019593A (ko) 가구 제작용 황토 보드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제조된 황토 보드
KR200390122Y1 (ko) 습도 조절용 매트
JP2003213553A (ja) 機能粉末を含む懸濁液を吹きつけた基材とその製造法
JP2873212B2 (ja) ベッドパ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