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4033B1 - 열교환용 냉판과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열교환용 냉판과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4033B1
KR100504033B1 KR20030011160A KR20030011160A KR100504033B1 KR 100504033 B1 KR100504033 B1 KR 100504033B1 KR 20030011160 A KR20030011160 A KR 20030011160A KR 20030011160 A KR20030011160 A KR 20030011160A KR 100504033 B1 KR100504033 B1 KR 100504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partitions
cold plate
refrigerant gas
pass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11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5596A (ko
Inventor
김봉석
Original Assignee
김봉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석 filed Critical 김봉석
Priority to KR20030011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4033B1/ko
Publication of KR20040075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5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4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40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1Casings in the form of plate-like arrangements; Frames enclosing a heat exchange co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02Header boxes having their inner space divided by part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46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der boxes with flow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4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 F28F9/16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by permanent joints, e.g. by rolling
    • F28F9/18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by permanent joints, e.g. by rolling by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26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of heat-exchange elements, e.g. of radiators
    • F28F9/262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of heat-exchange elements, e.g. of radiators for radiators
    • F28F9/268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of heat-exchange elements, e.g. of radiators for radiators by permanent joints, e.g. by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용 냉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하단은 폐구되고 좌,우측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격설되어 있는 다수의 통로칸막이와, 상기 다수의 통로칸막이들 중 최상단측의 통로칸막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냉매가스의 유입통로와, 상기 다수의 통로칸막이들 중에서 최하단측의 통로칸막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냉매가스의 유출통로와, 상기 다수의 통로칸막이들에 의하여 상기한 유입통로 및 유출통로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의 순환통로를 구비하도록 알루미늄으로 성형된 냉판본체에 있어서,
상기 냉판본체의 상측에 형성된 유입통로로 유입된 냉매가스가 각 순환통로를 교대적으로 지그재그 순환하여 유출통로를 통해 배출되게 하기 위하여 다수의 통로칸막이 각각의 양단 중 일측 단부만을 교대로 엇갈리게 절개하여 형성시킨 다수의 U턴통로와; 냉매가스의 공급관이 형성된 채 상기 U턴통로가 형성되지 아니한 유입통로의 일측에 용접되는 유입통로 밀폐판과; 냉매가스의 유출관이 형성된 채 상기 U턴통로가 형성되지 아니한 유출통로의 일측에 용접되는 유출통로 밀폐판과; 상기 유입통로와 유출통로 및 다수의 순환통로에 있어 상기 U턴통로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두개씩의 통로들이 U턴통로에 의해서만 연결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냉판본체의 양단에 용접되는 다수의 순환통로 밀폐판;을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열교환용 냉판과 이의 제조방법{Evaporator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본 발명은 제빙기에서 얼음을 생산하는 제빙판이나 냉동창고, 냉장창고, 저온창고 등에서 냉열판으로 사용되는 열교환용 냉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얼음을 생산하는 제빙기 또는 농수산물이나 축산물 등의 식품을 저장하는 냉동창고·냉장창고·저온창고 등에서는 냉동장치의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열파이프를 배관하는 구조로 열교환장치를 구성하고 있었으나, 이러한 열교환장치는 냉열파이프 자체의 단면적이 작아 열효율이 낮고, 특히 냉열파이프들을 근접시켜서 배관하여야 하기 때문에 설치비가 많이 든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따라서 근래에 와서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알루미늄재질의 냉판을 이용하여 열교환장치를 구성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현재 실용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알루미늄 재질로 된 냉판을 이용한 종래 기술의 열교환용 냉판(100)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부를 일정간격으로 구획하는 다수의 통로칸막이(201)들에 의하여 상,하측에는 냉매가스의 유입 및 유출을 안내하는 유입통로(202) 및 유출통로(203)가 각기 하나씩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유·출입통로(202)(203)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의 순환통로(204)가 형성되도록 알루미늄 재질로 압출성형된 후 설계에 알맞는 길이로 절단되는 냉판본체(200)와, 상기 냉판본체(200)의 좌,우측 양단에 헤드커버(300)(400)를 조립하는 구조로 열교환용 냉판(100)을 제조하고 있는바, 이와 같은 구조로 제조된 열교환용 냉판(100)은 냉판본체(200)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과 헤드커버(300)(400)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금형을 따로따로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조금형의 제작비가 2중으로 소요되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또한 양측 헤드커버(300)(400)의 내부에 냉매가스의 순환을 유도하는 헤드칸막이(301)(401)를 특수용접으로 부착시키는 용접작업이 매우 까다로울 뿐 아니라 용접부위의 정밀성을 100% 기대하기 곤란하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고, 또한 냉판본체(200)의 양단에 양측 헤드커버(300)(400)를 용접으로 조립하였을 때 양측 헤드커버의 내측에 용접된 헤드칸막이(301)(401)들과 냉판본체(200)의 통로칸막이(201)과의 접촉부위에 용접불량이 발생되는 현상이 나타나 열교환용 냉판(100)의 열교환효율이 매우 저조해질 수 있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어 왔는바, 이와 같은 단점에 있어 양측 헤드커버(300)(400)에서 나타나는 단점을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의 열교환용 냉판(100)의 양측에 형성되는 헤드커버(300)(400)는 단면이 "ㄷ"자형으로 압출성형된 상태에서 도 15의 도시와 같이 조립되는 "ㄷ"자형 내부로 삽입되는 크기를 갖는 다수의 헤드칸막이(301)(401)를 정해진 간격으로 삽입시킨 다음 특수용접(알곤용접)으로 용접하는데, 헤드커버의 상,하측에 용접되는 상,하측 칸막이(302)(402)의 경우는 외측에서 용접할 수 있어 정밀하게 용접할 수 있는 반면에, 상기한 상,하측 칸막이 사이에 용접되는 헤드칸막이(301)(401)들의 경우는 헤드커버(300)(40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용접되기 때문에 용접부위에 용접불량이 나타나는 등 용접정밀성이 떨어지게 된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어 왔으며, 또한 상,하측 칸막이(302)(402)와 다수의 헤드칸막이(301)(401)가 용접된 양측 헤드칸막이(300)(400)를 냉판본체(200)의 양측에 용접할 때에는 냉판본체의 양측과 헤드커버들을 서로 맞대어 놓고 외부에서 용접하기 때문에 헤드커버의 내부에 위치한 헤드칸막이(301)(401)들과 냉판본체(200)의 각 통로칸막이(201)들은 용접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도 16 참조). 따라서 상기와 같이 용접할 수 없는 통로칸막이(201)들과 헤드칸막이(301)(401)들의 접합부위는 용접하지 않더라도 냉매가스가 누출되지 않도록 초정밀상태로 가공해야 하는 작업이 매우 힘들기 때문에 일측 헤드커버(300)측에 형성된 냉매유입관(500)을 통해 열교환용 냉판(100)으로 유입된 냉매가스가 유출통로(202)로 유입됨과 동시 다수의 순환통로(204)를 지그재그상으로 순환한 후 유출통로(203)을 거쳐 냉매유출관(600)으로 배출되지 않고 상기한 냉매유입관(500)으로 유입되는 냉매가스가 유입통로(202)로 흐르기 전에 유입통로를 구획하고 있는 상측의 통로칸막이와 헤드칸막이 사이에 생긴 틈새(t : 도 16 참조)를 통해 순환통로측으로 누출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며, 이러한 누출현상은 양측 헤드커버(300)(400)의 헤드칸막이(301)(401)와 통로칸막이(201)들 사이에 나타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냉매유입관(500)을 통해 열교환용 냉판(100)의 내부로 유입된 냉매가스가 각 통로를 지그재그상으로 순환되지 않고 중간부분에서 누출시키게 되는 용접불량 및 접합불량 부위는 열교환 냉판(100)을 제조할 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닐 뿐 아니라 사용 중에 많이 발생되는 경향이 더 많은 관계로 열교환용 냉판을 이용하여 냉동 및 냉장설비를 설치한 소비자들이 사용 도중에 열교환용 냉판(100) 자체의 열교환작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하자발생의 원인이 된다는 것이 가장 큰 헛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사항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 알루미늄 재질로 압출성형되는 냉판본체를 이용하여 열교환 냉판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제조단가를 절감시켜서 가격경쟁력이 있는 열교환용 냉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또한 냉판본체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통로칸막이들 각각의 양측 단부 중 일측 단부를 교대적으로 절개하여 냉매가스가 지그재그상으로 순환할 수 있게 하는 U턴통로를 지그재그상으로 형성시킨 다음 유입통로와 유출통로의 일측 단부와 각 U턴통로가 형성된 단부측을 판상으로 된 유출입통로측 밀폐판 및 순환통로측 밀폐판들을 외부에서 용접하는 수단으로 용접부위를 정밀하게 용접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들에게 신뢰성있는 열교환용 냉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하단은 폐구되고 좌,우측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격설되어 있는 다수의 통로칸막이와, 상기 다수의 통로칸막이들 중 최상단측의 통로칸막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냉매가스의 유입통로와, 상기 다수의 통로칸막이들 중에서 최하단측의 통로칸막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냉매가스의 유출통로와, 상기 다수의 통로칸막이들에 의하여 상기한 유입통로 및 유출통로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의 순환통로를 구비하도록 알루미늄으로 성형된 냉판본체에 있어서,
상기 냉판본체의 상측에 형성된 유입통로로 유입된 냉매가스가 각 순환통로를 교대적으로 지그재그 순환하여 유출통로를 통해 배출되게 하기 위하여 다수의 통로칸막이 각각의 양단 중 일측 단부만을 교대로 엇갈리게 절개하여 형성시킨 다수의 U턴통로와;
냉매가스의 공급관이 형성된 채 상기 U턴통로가 형성되지 아니한 유입통로의 일측에 용접되는 유입통로 밀폐판과;
냉매가스의 유출관이 형성된 채 상기 U턴통로가 형성되지 아니한 유출통로의 일측에 용접되는 유출통로 밀폐판과;
상기 유입통로와 유출통로 및 다수의 순환통로들 각각은 상기 U턴통로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두개씩의 통로들이 U턴통로에 의해서만 연결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냉판본체의 양단에 용접되는 다수의 순환통로 밀폐판;
을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냉판본체의 유입통로와 유출통로 및 다수의 순환통로들 각각의 내면에는 냉매가스와의 접촉면적을 확대시키기 위한 요철부를 형성하는 한편, 각 통로들의 양측 표면은 전열면적을 확장시키기 위하여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곡면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냉판본체의 상,하단 각각에 서로 슬라이딩상으로 분리 및 결합되는 도브테일요부 및 도브테일돌기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열교환용 냉판의 제조방법은,
상,하단은 폐구되고 좌,우측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격설되어 있는 다수의 통로칸막이와, 상기 다수의 통로칸막이들 중 최상단측의 통로칸막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냉매가스의 유입통로와, 상기 다수의 통로칸막이들 중에서 최하단측의 통로칸막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냉매가스의 유출통로와, 상기 다수의 통로칸막이들에 의하여 상기한 유입통로 및 유출통로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의 순환통로를 구비하도록 알루미늄으로 성형된 냉판본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냉판본체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격설되어 있는 다수의 통로칸막이들 각각의 양단 중 일측 단부만을 서로 엇갈리게 교대로 절개하여 다수의 U턴통로를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U턴통로가 형성되지 아니한 유입통로 및 유출통로 각각의 일측을 냉매가스의 공급관이 형성되는 유입통로측 밀폐판 및 냉매가스의 배출관이 형성되는 유출통로측 밀폐판을 용접하여주는 단계와;
상기 U턴통로에 의하여 유입통로와 유출통로 및 다수의 순환통로들이 지그재그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되도록 U턴통로측 각각에 순환통로측 밀폐판을 하나씩 용접하여주는 단계;
로 이루어져 유입통로측으로 유입된 냉매가스가 냉판본체의 내부를 지그재그상으로 순환하여 유출통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열교환용 냉판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열교환용 냉판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X-X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냉판본체의 압출성형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냉판본체의 유출입통로 밀폐판 및 순환통로 밀폐판 조립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냉판본체 단면도이고, 도 8의 (A)(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냉판본체 단면도이며,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조공정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냉판본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냉판본체(1)는 상기 냉판본체(1)는 비교적 표면적이 넓게 형성된 양측 표면(1a)(1b)과 표면적이 작게 형성된 상,하단(1c)(1d)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내부에는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통로칸막이(2a∼2g)들에 의하여 동일한 단면적을 갖는 다수의 통로들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다수의 통로들은 도면을 기준하여 볼 때 냉매본체(1)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유입통로(3a)와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유출통로(3h) 그리고 상기한 유입통로와 유출통로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순환통로(3b∼3g)로 구분된다.
상기와 같은 냉판본체(1)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알루미늄 재질로 도 4와 같이 길이방향을 향해 길게 성형된 것을 일정길이로 절단하여 열교환용 냉판으로 제조되는 것인바, 이하에서 열교환용 냉판을 제조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의 도시는 제조하고자 하는 열교환용 냉판의 길이에 맞추어 일정길이로 절단된 냉판본체(1)의 단면도로서, 일정길이로 절단된 상태에서는 냉판본체(1)의 양측 표면(1a)(1b)와 상,하단(1c)(1d) 그리고 다수의 통로칸막이(2a∼2g)들은 모두 동일한 길이로 절단된 상태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절단된 상태에서의 냉판본체(1) 내부에 형성된 각 통로 즉, 상,하측의 유입통로(3a)(3h) 및 다수의 순환통로(3b∼3g)들 각각은 통로칸막이(2a∼2g)들에 의하여 서로 구획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도 10은 다수의 통로칸막이(2a∼2g) 각각에 U턴통로(4a∼4g)를 형성시킨 단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한 다수의 U턴통로(4a∼4g) 각각은 각 통로칸막이들의 양단 중 일측 단부를 절개하여 형성시키는 것인데, 각 U턴통로들 각각은 서로 교대적으로 엇갈리게 형성되게 하므로서 냉판본체(1)의 내부에 형성된 각 통로들은 지그재그상으로 연통하는 상태가 된다. 즉, 상측을 기준하여 1번의 통로칸막이(2a)에 의해 구획된 유입통로(3a)는 그와 인접한 순환통로(3b)는 U턴통로(4a)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이고, 2번의 통로칸막이(2b)에 의하여 구획된 순환통로(3b)와(3c)는 U턴통로(4b)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이며,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3번의 통로칸막이(2c)에서부터 6번의 통로칸막이(2f) 각각에 의하여 구획된 순환통로(3c∼3g)들 각각은 U턴통로(4c∼4f)에 의하여 지그재그상으로 연결된 상태이며, 하측의 7번의 통로칸막이(2g)에 의하여 구획된 순환통로(3g)와 유출통로(3h)는 U턴통로(4g)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도 11은 냉판본체(1)의 상,하측에 형성된 유입통로(3a)와 유출통로(3h) 각각의 일측에 유출통로측 밀폐판(5a)과 유출통로측 밀폐판(5b)을 용접하여 밀폐하는 단계를 도시한 것으로, 이 단계에서는 판상으로 된 유입통로측 밀폐판(5a)과 유출통로측 밀폐판(5b)은 U턴통로(4a)(4g)가 형성되지 아니한 단부측에서 끼워넣은 상태에서 상기한 밀폐판(5a)(5b) 각각의 사방 테두리를 외부에서 특수용접(알곤용접)하게 되므로서 밀폐판의 용접작업을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용접작업 후에 용접부위의 육안확인이 가능하여 유입통로(3a)와 유출통로(3h)를 정밀하게 밀폐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냉판본체(1)의 유입통로(3a)와 유출통로(3h) 및 다수의 순환통로(3b∼3g)들을 지그재그상으로 연결된 상태로 형성시키는 다수의 순환통로측 밀폐판(6a∼6g)을 용접하는 단계를 도시한 것으로, 이 단계에서의 순환통로측 밀폐판(6a∼6g)들은 두개의 통로를 밀폐할 수 있는 규격을 갖는 판상으로 된 것이 사용된다. 즉, 다수의 순환통로측 밀폐판(6a∼6g)들 각각은 U턴통로(4a∼4g)가 형성된 부분에 끼워진 상태로 조립되어 사방 테두리를 외부에서 특수용접(알곤용접)으로 용접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냉판본체(1)의 양측에 용접된 유입통로측 밀폐판(5a)과 유출통로측 밀폐판(5b) 및 다수의 순환통로측 밀폐판(6a∼6g)들에 의하여 냉판본체(1)의 내부에 형성된 각 통로들은 양측이 폐구된 상태에서 각 통로칸막이(2a∼2g)들 각각에 서로 교대적으로 엇갈리게 형성된 다수의 U턴통로(4a∼4g)에 의하여 지그재그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공급관(51)을 통해 공급되는 냉매가스는 유입통로(3a)와 다수의 순환통로(3b∼3g) 및 유출통로(3h)를 지그재그상으로 순환한 후 배출관(52)을 통해 배출되므로서 냉판본체(1) 자체는 통로를 순환하는 냉매가스에 의하여 열교환작동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냉매본체(1)의 내부에 형성된 유입통로(3a)와 다수의 순환통로(3b∼3g) 및 유출통로(3h) 각각의 네모서리부분은 유체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라운드(R)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냉판본체(1)의 내부에 형성된 각 통로(3a∼3h)들의 내면에 요철부(31)를 형성하게 되면 각 통로를 순환하는 냉매가스와의 접촉면적이 확대되어 냉매가스의 열교환작용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또한 각 통로들의 외면을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곡면(32)으로 형성하게 되면 냉판본체(1) 자체의 전열면적을 확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8의 도시와 같이 냉판본체(1)의 상,하단(1c)(1d) 각각에 서로 결합될 수 있는 도브테일요부(11)와 도브테일돌기(12)를 형성시켰을 경우에는 복수개의 냉판본체(1)를 상,하 복수단으로 연결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알루미늄으로 압출성형된 냉판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다수의 통로칸막이들의 양단 중 일측 단부를 서로 교대적으로 엇갈리게 절개하여 U턴통로를 지그재그상으로 형성시키는 수단과, 판상으로 된 유입통로측 밀폐판과 유출통로측 밀폐판 및 다수의 순환통로측 밀폐판을 용접하는 수단으로 냉판본체 자체만으로 열교환용 냉판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과 같이 냉판본체의 좌,우 양측에 헤드커버를 조립하는 것에 비하여 제조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어 가격경쟁력을 갖는 열교환용 냉판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냉판본체의 각 통로들의 양측에 판상으로 된 밀폐판을 끼워 조립한 상태에서 외부용접작업으로 각 밀폐판의 용접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 정밀하게 용접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져다주어 유입통로측으로 공급된 냉매가스가 중간에서 누출되는 현상없이 각 통로를 지그재그상으로 원활하게 순환되는 열교환용 냉판을 제공할 수 있어 소비자들이 신뢰하는 양질의 열교환용 냉판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열교환용 냉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열교환용 냉판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X-X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냉판본체의 압출성형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냉판본체의 유출입통로 밀폐판 및
순환통로 밀폐판 조립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냉판본체 단면도.
도 8의 (A)(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냉판본체 단면도.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조공정도.
도 13은 종래 기술의 열교환용 냉판의 사시도.
도 14는 종래 기술의 냉판본체와 양측 헤드커버의 분리사시도.
도 15는 종래 기술의 일측 헤드커버와 칸막이판의 분리 사시도.
도 16은 종래 기술의 열교환용 냉판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판본체 1a,1b : 양측 표면
1c,1d : 상,하단 2a∼2g : 통로칸막이
3a : 유입통로 3b∼3g : 순환통로
3h : 유출통로 4a∼4g : U턴통로
5a : 유입통로측 밀폐판 5b : 유출통로측 밀폐판
6a∼6g : 순환통로측 밀폐판 11 : 결합요부
12 : 결합돌기 31 : 요철부
32 : 곡면 51 : 공급관
52 : 배출관

Claims (4)

  1. 상,하단은 폐구되고 좌,우측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격설되어 있는 다수의 통로칸막이와, 상기 다수의 통로칸막이들 중 최상단측의 통로칸막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냉매가스의 유입통로와, 상기 다수의 통로칸막이들 중에서 최하단측의 통로칸막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냉매가스의 유출통로와, 상기 다수의 통로칸막이들에 의하여 상기한 유입통로 및 유출통로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의 순환통로를 구비하도록 알루미늄으로 성형된 냉판본체에 있어서,
    상기 냉판본체의 상측에 형성된 유입통로로 유입된 냉매가스가 각 순환통로를 교대적으로 지그재그 순환하여 유출통로를 통해 배출되게 하기 위하여 다수의 통로칸막이 각각의 양단 중 일측 단부만을 교대로 엇갈리게 절개하여 형성시킨 다수의 U턴통로와;
    냉매가스의 공급관이 형성된 채 상기 U턴통로가 형성되지 아니한 유입통로의 일측에 용접되는 유입통로 밀폐판과;
    냉매가스의 유출관이 형성된 채 상기 U턴통로가 형성되지 아니한 유출통로의 일측에 용접되는 유출통로 밀폐판과;
    상기 유입통로와 유출통로 및 다수의 순환통로들 각각은 상기 U턴통로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두개씩의 통로들이 U턴통로에 의해서만 연결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냉판본체의 양단에 용접되는 다수의 순환통로 밀폐판;
    을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용 냉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판본체의 유입통로와 유출통로 및 다수의 순환통로들 각각의 내면에는 냉매가스와의 접촉면적을 확대시키기 위한 요철부를 형성하는 한편, 각 통로들의 양측 표면은 전열면적을 확장시키기 위하여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곡면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용 냉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판본체의 상,하단 각각에 서로 슬라이딩상으로 분리 및 결합되는 도브테일요부 및 도브테일돌기를 형성시켜서 복수개의 냉판본체를 상,하 복수단으로 연결설치를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용 냉판.
  4. 상,하단은 폐구되고 좌,우측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격설되어 있는 다수의 통로칸막이와, 상기 다수의 통로칸막이들 중 최상단측의 통로칸막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냉매가스의 유입통로와, 상기 다수의 통로칸막이들 중에서 최하단측의 통로칸막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냉매가스의 유출통로와, 상기 다수의 통로칸막이들에 의하여 상기한 유입통로 및 유출통로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의 순환통로를 구비하도록 알루미늄으로 성형된 냉판본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냉판본체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격설되어 있는 다수의 통로칸막이들 각각의 양단 중 일측 단부만을 서로 엇갈리게 교대로 절개하여 다수의 U턴통로를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U턴통로가 형성되지 아니한 유입통로 및 유출통로 각각의 일측을 냉매가스의 공급관이 형성되는 유입통로측 밀폐판 및 냉매가스의 배출관이 형성되는 유출통로측 밀폐판을 용접하여주는 단계와;
    상기 U턴통로에 의하여 유입통로와 유출통로 및 다수의 순환통로들이 지그재그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되도록 U턴통로측 각각에 순환통로측 밀폐판을 하나씩 용접하여주는 단계;
    로 이루어져 유입통로측으로 유입된 냉매가스가 냉판본체의 내부를 지그재그상으로 순환하여 유출통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용 냉판의 제조방법.
KR20030011160A 2003-02-22 2003-02-22 열교환용 냉판과 이의 제조방법 KR100504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11160A KR100504033B1 (ko) 2003-02-22 2003-02-22 열교환용 냉판과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11160A KR100504033B1 (ko) 2003-02-22 2003-02-22 열교환용 냉판과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5596A KR20040075596A (ko) 2004-08-30
KR100504033B1 true KR100504033B1 (ko) 2005-07-27

Family

ID=37361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11160A KR100504033B1 (ko) 2003-02-22 2003-02-22 열교환용 냉판과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40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9591A2 (ko) * 2008-05-15 2009-11-19 Shin Sang Yong 급속 냉각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1889312B1 (ko) * 2018-01-30 2018-08-21 (주)청호열처리 공업로용 냉각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9591A2 (ko) * 2008-05-15 2009-11-19 Shin Sang Yong 급속 냉각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0930433B1 (ko) 2008-05-15 2009-12-08 신상용 급속 냉각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WO2009139591A3 (ko) * 2008-05-15 2010-03-04 Shin Sang Yong 급속 냉각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1889312B1 (ko) * 2018-01-30 2018-08-21 (주)청호열처리 공업로용 냉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5596A (ko) 2004-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53154B2 (ja) 熱交換器
EP2573494B1 (en) Use of a heat exchanger for the supply of hot water
US6032726A (en) Low-cost liquid heat transfer pl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for
EP1035387A1 (en) High efficiency refrigeration system
EP3458789B1 (en) Double tube for heat-exchange
JP2003121086A (ja) 熱交換用チューブ及び熱交換器
US20040211551A1 (en) Heat exchanger, heat exchanger header tan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675246B1 (ko) 판형 열 교환기 판 및 판형 열 교환기
WO2016170751A1 (ja) 蓄冷熱交換器
KR20180097638A (ko) 세탁기, 건조기용 핀 열교환기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15027783A1 (zh) 微通道换热器及其制造方法
US20020017372A1 (en) Metal hollow me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060131007A1 (en) Heat exchang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P0628779B1 (en) Heat exchanger
KR101320329B1 (ko) 축냉 증발기
KR100504033B1 (ko) 열교환용 냉판과 이의 제조방법
JP2007093199A (ja) 熱交換器コアおよびかかる熱交換器コアを備えた熱交換器
US20110023522A1 (en) Evaporator for a drum type ice making machi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evaporator
US6354002B1 (en) Method of making a thick, low cost liquid heat transfer plate with vertically aligned fluid channels
JP2004125352A (ja) 熱交換器
KR880001433B1 (ko) 냉장고등의 증발기
US7293603B2 (en) Plastic oil cooler
CN106855327A (zh) 一种换热器
JP2003185376A (ja) 冷却液/空気熱交換器コアアセンブリ
CN110142945B (zh) 一种新型热塑性塑料管高效冷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