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3822B1 - 이트륨이 도핑된 비스무스 티타네이트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트륨이 도핑된 비스무스 티타네이트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3822B1
KR100503822B1 KR10-2002-0059111A KR20020059111A KR100503822B1 KR 100503822 B1 KR100503822 B1 KR 100503822B1 KR 20020059111 A KR20020059111 A KR 20020059111A KR 100503822 B1 KR100503822 B1 KR 100503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precursor
byt
yttrium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9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8033A (ko
Inventor
이시우
강상우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Priority to KR10-2002-0059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3822B1/ko
Priority to JP2003334481A priority patent/JP2004162175A/ja
Priority to US10/672,753 priority patent/US7250228B2/en
Publication of KR20040028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8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3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38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46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 C04B35/462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based on titanates
    • C04B35/475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based on titanates based on bismuth titan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11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 H01L21/0217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metal element, e.g. metal oxides, metal nitrides, metal oxynitrides or metal carbides
    • H01L21/0219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metal element, e.g. metal oxides, metal nitrides, metal oxynitrides or metal carbides the material having a perovskite structure, e.g. BaTiO3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22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deposition of inorganic material, other than metallic material
    • C23C16/30Deposition of compounds, mixtures or solid solutions, e.g. borides, carbides, nitrides
    • C23C16/40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 H01B3/1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metallic 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 H01B3/1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ceram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20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the layer being characterised by the precursor material for de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4Inorganic layers
    • H01L21/316Inorganic layers composed of oxides or glassy oxides or oxide based glass
    • H01L21/31691Inorganic layers composed of oxides or glassy oxides or oxide based glass with perovskite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Chemical Vapour Deposition (AREA)
  • Formation Of Insulating Films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BTO에 이트륨(yttrium)이 도핑(dopping)된 BYT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BYT 박막은 분극 수치 및 전기적 피로 수준이 향상되어 우수한 강유전 특성을 가지며, 따라서 고속, 대용량, 저전력 및 비휘발성 특성을 갖는 FRAM(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소자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트륨이 도핑된 비스무스 티타네이트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YTTRIUM-DOPPED BISMUTH TITANATE THIN FILM AND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BTO(Bi4Ti3O12)에 이트륨(yttrium)이 도핑(dopping)된, 강유전 특성을 더욱 향상시킨 비스무스 티타네이트 박막(이하, 'BYT 박막'이라 함)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많은 정보가 전자기를 통하여 처리되는데 이 정보를 저장하는 전자부품이 바로 메모리(memory) 소자이다. 메모리 소자에는 자기 메모리 소자, 광 메모리 소자, IC(integrated circuit) 메모리 소자 등 많은 종류가 있으며, 가장 이상적인 메모리 소자는 고밀도의 집적이 가능하고 고속으로 동작이 가능하며 비휘발성 특성을 갖는 것이다.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메모리 소자인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소자는 고밀도 집적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전기적으로 쓰고 지울 수 있으며 HDD(hard disk drive)처럼 회전 기기나 헤드 부분 등이 필요하지 않아 소형화와 전자화에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전원을 끊으면 저장된 정보가 소실되어 버리는 휘발성을 나타낸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FRAM(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소자는 DRAM 소자와 같은 고속, 대용량, 저전력을 가지면서도 비휘발성 특성까지 갖춘 이상적인 메모리로서 최근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BTO(Bi4Ti3O12)는 675 ℃의 큐리 온도 (Curie temperature)에서 상전이를 하는 널리 알려진 강유전체이다. 이는 비스무스 티타네이트계 (bismuth titanate family) 중의 하나로서 그 일반형은 (Bi2O2)Mn-1RnO3n+1 이고, BTO의 경우 n=3에 해당한다. M의 자리를 차지하는 원소들은 Bi, Ba, Sr, K, Ca, Na, Pb 등의 희토류 (rare earth) 원소들이고, R의 자리를 차지하는 원소들은 크기가 좀 더 작은 Ti, Nb, Ta, Fe, W, Mo, Ga, Cr 등의 원소들이다. BTO는 a축의 길이가 5.448 Å, b축의 길이가 5.441 Å, 그리고 c축의 길이가 32.83 Å인 사정방계(orthorhombic)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Bi2O2)2+ Bi 산화물 층과 (Bi2Ti3O12 )2-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Bi2O2)2+ Bi 산화물 층들 사이에 세 층으로 이루어진 (Bi 2Ti3O12)2- 페로브스카이트 층들이 샌드위치 형태로 존재한다. BTO의 자발 분극은 페로브스카이트 층에 위치하고 있는 Ti 이온의 이동에 의해 발생하고, 자발 분극의 방향은 b-c 면상에서 b축 방향으로 4.5o 의 각도를 이루고 있으며, 자발 분극의 크기는 b축 방향으로 50 μC/㎠, c축 방향으로 4 μC/㎠의 값을 갖는다. 항전계의 경우도 역시 방향성을 가져서 b축 방향으로 50 kV/cm, c축 방향으로 3.5 kV/cm의 값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BTO는 일정 회수 이상의 분극 반전 이후 잔류 분극 값이 감소하는 전기적 피로 현상을 나타낸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SBT(SrBi2Ta2O9) 박막의 경우 전기적 피로가 1010 회(cycles)까지 나타나지 않으나, 결정화 온도(800 ℃ 이상)가 높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 다른 강유전체인 PZT(PbZr1-xTixO3) 박막의 경우에는 결정화 온도는 상대적으로 낮지만 106 회만 되어도 전기적 피로가 나타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당업계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에 따라 BTO 박막에 La를 도핑한 Bi4-xLaxTi3O12 (BLT) 박막을 개발한 바 있다. 이 BLT 박막은 기존에 알려진 강유전체의 단점을 보완한 강유전 물질로서 결정화 온도가 700 ℃ 정도로 SBT 보다 낮고 전기적 피로가 1010 회까지 나타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B. H. Park, et al., NATURE, 401(14), 682(1999)).
본 발명자들은 여기에 더하여 상기한 BLT 박막보다 강유전 특성이 더욱 향상된 유전체를 개발하기 위해 계속 연구를 진행하던 중 La보다 산화막 형성 에너지(heat of formation)가 작은 이트륨(yttrium)(Y2O3: -1815 kJ/mole ; La2 O3: -1703.2 kJ/mole)을 사용하여 유전체 박막을 도핑(dopping)할 경우 강유전 특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강유전 특성이 향상된 유전체 박막,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박막을 포함하는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기 화학식 1의 조성을 가진 비스무스 이트륨 티타네이트(BYT) 박막,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BYT 박막을 포함하는 소자를 제공한다:
Bi4-xYxTi3O12
상기 식에서, x는 0.1 내지 2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강유전체인 BTO(Bi4Ti3O12)에 이트륨(Y)을 도핑함으로써 유전 특성이 더욱 개선된 BYT 박막을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BYT 박막은 무기 기판상에 비스무스(Bi) 전구체, 티타늄(Ti) 전구체 및 이트륨(Y) 전구체의 각각의 증기를 도입하여 기판과 접촉시킴으로써 화학적 증착법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DLI-MOCVD(Direct Liquid Injection-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박막을 구성하는 성분의 전구체 각각을 미리 용매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기화기에 주입하여 200 내지 300 ℃에서 기화시켜, 이를 반응기로 동시에 공급함으로써 기판상에 증착시킬 수 있다. 이 때 반응 기체로는 산소 10 내지 500 sccm을 사용하고, 주입속도는 0.01 내지 20 ㎖/분, 압력은 0.01 내지 10 torr로 하고, 운반기체로는 Ar, N2 등을 사용하며, 증착온도는 250 내지 500 ℃로 실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조건은 사용하는 반응기, 기화기, 증착시키고자 하는 박막의 조성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기판으로는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구체적인 예로는 Si, Pt, Ir, Ru, IrO2, RuO2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Bi 전구체로는 Bi(Ph)3, Bi(tmhd)3(tmhd = 테트라메틸헵타디오네이트), Bi(CH3)3, Bi(O-t-C4H9)3, Bi(C7H7 )3 또는 Bi(O-t-C5H11)3을 사용할 수 있으며, Ti 전구체로는 Ti(dmae)4 (dmae = 디메틸아미노에톡사이드) 및 Ti(dmap)4 (dmap: 디메틸아미노프로판올) 같은 Ti 알콕시아민 화합물, Ti(OiPr)4 같은 Ti 알콕사이드 화합물 또는 Ti(N(C2H5)2)4, Ti(N(CH3)2)4 및 Ti(N(C2H5)(CH3))4 같은 Ti 아미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Y 전구체로는 Y(tmhd)3-PMDT , Y(tmhd)3 또는 Y(N(Si(CH3)3 )2)3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물리적 증착법인 스퍼터링(sputtering) 방법을 사용하여 BYT 박막을 증착할 수도 있는데, 즉, BYT 조성의 타겟을 만들어 스퍼터링 장비에 장착하고 통상의 스퍼터링 공정을 이용하여 BYT 막을 증착시킬 수 있다. 스퍼터링 공정에서는 산소, N2O 등의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산소를 공급하며, 플라즈마에 의한 전구체들의 증착효율 및 분해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Ar, He 같은 비활성 기체도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서는 결정성을 얻기 위해, 증착된 박막을 500 내지 800 ℃에서 열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BYT 박막은 분극 수치 및 전기적 피로 수준이 향상되어 우수한 강유전 특성을 가져 고속, 대용량, 저전력 및 비휘발성 특성을 갖는 FRAM 소자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BYT 박막의 형성
BYT 박막의 DLT-MOCVD 증착을 위해 전구체로는 Bi(Ph)3(Ph=페닐), Y(tmhd)3-PMDT (tmhd = 테트라메틸헵타디오네이트, PMDT=펜타메틸디에틸렌트리아민), Ti(dmae)4(dmae = 디메틸아미노에톡사이드)를 사용하여, 이를 각각 용매인 n-부틸아세테이트에 녹여 0.1 ml/분의 속도로 기화기로 주입하였다. 이 때 기화기의 온도는 240 ℃로 유지하였다. 이어서, 이를 400 ℃로 유지되며 Si 기판이 위치된 증착 반응기로 동시에 도입하여 기판과 접촉시킴으로써 기판상에 구조식 Bi4-xYxTi3 O12(x = 0.5)의 BYT 박막을 증착시켰다(두께 100 ㎚). 이 때 운반기체로 Ar 200 sccm을 반응기체로 O2 400 sccm을 함께 흘려주었다. 반응기의 압력은 1.5 Torr로 유지하였다.
이어서, 증착된 박막의 결정성을 얻기 위해 550, 650 및 750 ℃에서 열처리를 수행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BYT 박막(a) 및 기존의 BLT 박막(b)의 결정성을 열처리 온도에 따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BYT 박막은 기존의 BLT 박막과는 달리 (117)의 우선배향성을 가짐으로써 분극 수치가 커짐을 알 수 있다.
도 2 및 3은 각각 본 발명의 BYT 박막의 분극 수치 및 전기적 피로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BYT 박막은 두께가 얇음에도 불구하고 FRAM 소자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정도의 분극 수치 및 우수한 전기적 피로 특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트륨 도핑된 비스무스 티타네이트(BYT) 박막은 분극 수치 및 전기적 피로 수준이 향상되어 우수한 강유전 특성을 가져 고속, 대용량, 저전력 및 비휘발성 특성을 갖는 FRAM 소자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BYT 박막(a)과 기존의 BLT 박막(b)의 열처리 온도에 따른 결정성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BYT 박막의 분극 특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BYT 박막의 전기적 피로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9)

  1. 하기 화학식 1의 조성을 가진 비스무스 이트륨 티타네이트(BYT) 박막:
    화학식 1
    Bi4-xYxTi3O12
    상기 식에서, x는 0.1 내지 2이다.
  2. 무기 기판상에 비스무스(Bi) 전구체, 티타늄(Ti) 전구체 및 이트륨(Y) 전구체를 각각 증기화시킨 후 생성된 각각의 증기를 동시에 반응기로 도입하여 무기 기판과 접촉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 1 항의 화학식 1의 조성을 가진 BYT 박막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Bi 전구체가 Bi(Ph)3, Bi(tmhd)3(tmhd = 테트라메틸헵타디오네이트), Bi(CH3) 3, Bi(O-t-C4H9)3, Bi(C7H7)3 또는 Bi(O-t-C 5H1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Ti 전구체가 Ti(dmae)4 (dmae = 디메틸아미노에톡사이드), Ti(dmap)4 (dmap: 디메틸아미노프로판올), Ti(OiPr)4, Ti(N(C2H5)2)4, Ti(N(CH 3)2)4 또는 Ti(N(C2H5)(CH3))4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Y 전구체가 Y(tmhd)3-PMDT , Y(tmhd)3 또는 Y(N(Si(CH3)3)2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250 내지 500 ℃ 범위의 온도에서 기판과 증기를 접촉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DLI-MOCVD(Direct Liquid Injection-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법에 의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전구체들을 용매에 녹여 전구체 용액을 제조한 다음, 이 용액을 기화기로 주입하여 200 내지 300 ℃에서 기화시켜 전구체를 증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에 따른 화학식 1의 BYT 박막을 강유전체 박막으로 포함하는 소자:
    화학식 1
    Bi4-xYxTi3O12
    상기 식에서, x는 0.1 내지 2이다.
KR10-2002-0059111A 2002-09-28 2002-09-28 이트륨이 도핑된 비스무스 티타네이트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03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111A KR100503822B1 (ko) 2002-09-28 2002-09-28 이트륨이 도핑된 비스무스 티타네이트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3334481A JP2004162175A (ja) 2002-09-28 2003-09-26 イットリウムがドープされたチタン酸ビスマス薄膜及びその製造方法
US10/672,753 US7250228B2 (en) 2002-09-28 2003-09-26 Yttrium-doped bismuth titanate thin film and preparation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111A KR100503822B1 (ko) 2002-09-28 2002-09-28 이트륨이 도핑된 비스무스 티타네이트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033A KR20040028033A (ko) 2004-04-03
KR100503822B1 true KR100503822B1 (ko) 2005-07-27

Family

ID=32064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9111A KR100503822B1 (ko) 2002-09-28 2002-09-28 이트륨이 도핑된 비스무스 티타네이트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250228B2 (ko)
JP (1) JP2004162175A (ko)
KR (1) KR1005038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70979B1 (en) 2003-04-24 2006-12-27 Nissan Motor Company Limited Vehicle brak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1976A (ja) 2001-08-28 2003-05-23 Tdk Corp 高誘電率絶縁膜、ゲート絶縁膜および半導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033A (ko) 2004-04-03
US7250228B2 (en) 2007-07-31
US20040071875A1 (en) 2004-04-15
JP2004162175A (ja) 2004-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99959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5625587A (en) Rare earth manganate films made by metalorganic decomposition or 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for nonvolatile memory devices
KR19980702978A (ko) 낮은 누설 전류와 낮은 분극 피로 파괴를 가지는 전자 소자 제조를 위한 uv 방사 방법
KR100371299B1 (ko) 에피택셜 성장된 납 게르마네이트 막 및 퇴적 방법
JP2000169297A (ja) 酸化物強誘電体薄膜の製造方法、酸化物強誘電体薄膜及び酸化物強誘電体薄膜素子
JP3971645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7811834B2 (en) Methods of forming a ferroelectric layer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 ferroelectric capacitor including the same
KR100491417B1 (ko) 씨-축 배향 강유전체 박막에 대한 유기금속 기상증착 및어닐링 처리
EP1073109A2 (en) Single phase perovskite ferroelectric film on platinum electrode and method for forming same
KR100503822B1 (ko) 이트륨이 도핑된 비스무스 티타네이트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
US6812510B2 (en) Ferroelectric capacitor,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ferroelectric memory
US20030200916A1 (en) Vapor phase growth method of oxide dielectric film
Torii et al. Properties of ultra-thin lead zirconate titanate thin films prepared by ozone jet reactive evaporation
US5976624A (en) Process for producing bismuth compounds, and bismuth compounds
US20060093841A1 (en) Method of forming ferroelectric thin film
US20040137646A1 (en) Method for forming capacitor of 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US5908658A (en) Process for forming thin film metal oxide materials having improved electrical properties
US6858251B2 (en) Lanthanum complex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BLT layer using same
JPH05298920A (ja) 高誘電体薄膜
JP4330907B2 (ja) 金属酸化膜の製造方法および容量素子の製造方法
Yoon et al.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erroelectric oxide thin films
JP3720270B2 (ja) 酸化物結晶質膜の製造方法
KR20050106391A (ko) (001) 배향된 페로브스카이트막의 형성 방법, 및 이러한페로브스카이트막을 갖는 장치
Kato A Chemical Approach Using Liquid Sources Tailored to Bi-Based Layer-Structured Perovskite Thin Films
Mizutani et al. Dielectric properties of highly (001)-plane oriented SrBi4Ti4O15 thin fil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