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3611B1 -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유압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유압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3611B1
KR100503611B1 KR10-1998-0029828A KR19980029828A KR100503611B1 KR 100503611 B1 KR100503611 B1 KR 100503611B1 KR 19980029828 A KR19980029828 A KR 19980029828A KR 100503611 B1 KR100503611 B1 KR 100503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pressure
supply line
oil supply
pressure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9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9426A (ko
Inventor
김현우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29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3611B1/ko
Publication of KR20000009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3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36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2Hydraulic devices o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65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non-masted
    • B66F9/0655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non-masted with a telescopic bo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15B2211/205Systems with pumps
    • F15B2211/2053Type of pump
    • F15B2211/20546Type of pump variable capa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15B2211/205Systems with pumps
    • F15B2211/20576Systems with pumps with multiple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형인 2개의 펌프를 채용하여 붐의 리프트 및 신축동작, 포크캐리지의 회동, 차체의 주행, 아웃트리거 및 밸런서의 균형동작, 선회장치의 선회작동과 같은 다양한 동작의 복합구동 및 조작이 가능하며, 각각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각각의 플런저들의 특성에 의한 그들의 배열을 통해 구동시 유압의 손실이 최소화 되어 전체적인 효율이 향상되는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유압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 유압 제어 시스템은 엔진에 연결되는 제 1가변형 펌프및 제 2가변형 펌프 와, 그 각각의 가변형 펌프에 각각 압유공급라인에 의해 연결되며 해당되는 각각의 작동수단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용 플런저가 순차적으로 배설되는 제 1콘트롤밸브및 제 2콘트롤밸브와, 제 1콘트롤밸브에서 선회플런저에 연결되며 압유공급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압유를 이송시키기 위한 제 1분기압유공급라인 및 센터바이패스라인과 연통하는 제 2분기압유공급라인을 상기 압유공급라인으로부터 분기시키기 위한 분기블럭과, 제 2펌프에 연결된 압유공급라인으로부터 분기되며 각각의 플런저에 압유를 공급하기 위해 이들 각각의 플런저에 연통하는 복수개의 분기관을 구비하는 패러랠라인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유압 제어 시스템
본 발명은 유압을 동력원으로 하여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유압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붐조립체의 승하강 및 신축동작, 포크캐리지의 승하강, 자체주행, 아웃트리거의 작동및, 선회장치의 선회작동을 동시에 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유압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을 작업 구동원으로 하는 텔레스코픽 핸들러는 텔레스코픽 붐의 신축운동에 의해 비교적 고중량의 화물을 리프트시키고 이를 하역하거나 또는 이를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물론 이같은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텔레스코픽 붐은 통상적으로 외측 붐 세그먼트, 내측 붐 세그먼트 및 이들 각각의 붐 세그먼트사이에 삽설되어 텔레스코픽 붐의 전체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중간 붐 세그먼트로 이루어 져 있다.
이 같은 일반적인 텔레스코픽 핸들러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차체(1)의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도시되지 않은 액슬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전륜(2)과 후륜(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차체(1)의 전,후 양측에는 차체를 지면에 대해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아웃트리거(outtrigger)(4)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차체(1)의 상부에는 회전축(5)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회전축(5)에는 그 회전축 또는 차체(1)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선회장치(6)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그 선회장치(6)의 전방에는 작업자가 탑승하여 운전할 수 있는 캐빈(7)이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그 선회장치(6)의 후방에는 캐빈(7)의 측부를 지나 전방을 향해 연장되며 상술된 바와 같이 외측 붐 세그먼트(8a), 내측 붐 세그먼트(8b)및 중간 붐 세그먼트(8c)로 구성된 텔레스코픽 붐(8)이 설치되어 있다. 물론 그 텔레스코픽 붐(8)의 외측 붐 세그먼트(8c)에는, 일단부가 선회장치(6)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그 외측 붐 세그먼트(8c)에 고정되어 텔레스코픽 붐(8) 전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붐 리프트실린더(9)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그 텔레스코픽 붐(8)은 붐 신축실린더(8d)의 작동에 의해 수축 및 전개운동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텔레스코픽 붐(8)의 선단, 보다 상세하게는 내측 붐 세그먼트(8a)의 선단에는 포크캐리지(10)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그 포크캐리지(10)는 역시 내측 붐 세그먼트(8c)의 선단에 설치되는 포크캐리지실린더(11)에 의해 회동된다. 한편, 선회장치(6)의 후방에는 카운터웨이트(12)가 일체로 제공되어 있어 차체의 전반적인 균형을 이루게 되어 있으며, 또한, 전륜(2) 또는 후륜(3)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액슬에는 차체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밸런서(13)가 연계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차체(1)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균형을 유지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텔레스코픽 붐(8)의 높이 및 그 길이를 조작하여 포그캐리지(10)로 화물을 들어 올리거나 하역함은 물론 소정의 위치로 화물을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된 텔레스코픽 핸들러에는 상술된 작동 및 작업을 실행할 수 있도록 작동 압유를 제어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압 제어 시스템이 제공되어 있는 바, 이같은 유압 제어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주행 구동용 단독시스템으로서 일명 '정압 트랜스미션 시스템(hydrostatic transmission system)'이라 칭하는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으며, 이 같은 시스템의 주행 단독 구동을 위해 가변형 펌프를 필수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즉, 이와 같은 유압 제어 시스템은 엔진(E)에 연결되는 가변형 펌프인 제 1펌프(14)를 구비하며, 그 제 1펌프(14)에는 압유공급라인(15)에 의해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주행을 제어하기 위한 제 1콘트롤밸브(16)가 연계되어 있다. 그 제 1콘트롤밸브(16)에는 주행플런저(17)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주행플런저(17)에는 실제적으로 주행을 행하며 입구포트(18a) 및 출구포트(18b)를 구비한 주행모터(18)가 연결된다. 한편, 주행플런저(17) 및 주행모터(18)의 출구포트(18b)에는 그 플런저 및 주행모터에서 소용된 압유를 오일탱크(20)로 귀환시키기 위한 복귀라인(19)이 연결된다. 또한, 주행플런저(17)에는 그 플런저내의 유압이 설정압 이상으로 되는 경우 압유를 복귀라인(18)을 통해 오일탱크(20)로 귀환시키기 위한 릴리프밸브(21)가 연통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유압 제어 시스템은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주행이외의 작동을 실행하기 위한 고정형 펌프인 제 2펌프(22)를 구비하고 있다. 그 제 2펌프(22)에는 압유라인(23)에 의해 제 2콘트롤밸브(24)가 연계되어 있는 바, 이와 같은 제 2메인콘트롤밸브는 통상적으로 부하감지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그 제 2콘트롤밸브(24)에는 다양한 작동을 실행시키기 위한 다수의 플런저,즉, 압유라인(23)에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붐 신축제어용 플런저(25: 이하 '붐 신축플런저'라 칭함), 붐 리프트제어용 플런저(26: 이하 '붐 리프트플런저'라 칭함), 선회장치 선회제어용 플런저(27: 이하 '선회플런저'라 칭함) 및 포크캐리지 작동제어용 플런저(28: 이하 '포크캐리지플런저'라 칭함)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각각의 플런저(25,26,27,28)에는 압유공급라인(23)으로부터 분기되는 패러랠라인(29)이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플런저(25,26,27,28)에 연통하는 압유라인의 선단부에는 각각의 플런저(25,26,27,28)에서 소요된 압유를 오일탱크(31)로 귀한시키기 위한 복귀라인(30)이 연결되어 있고, 또한 압유공급라인(23)에는 제 2콘트롤밸브(24)내의 유압이 규정값 이상으로 되는 경우 압유를 복귀라인(30)을 통해 오일탱크(31)로 귀한시키기 위한 릴리프밸브(32)가 연결되어 있다. 물론, 각각의 플런저에는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각각의 다양한 작동을 실제로 행하기 위한 작동수단들이 연결되는 바, 즉, 붐 신축플런저(25)에는 붐 신축실린더(33)가, 붐 리프트플런저(26)에는 붐 리프트실린더(34)가, 선회플런저(27)에는 선회모터(35)가 또한 캐리지플런저(28)에는 포크캐리지실린더(36)가 연결되어 있다.
이 같은 구성에 따른 유압 제어 시스템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텔레스코픽 핸들러가 주행상태인 경우에는 제 1펌프(14)를 작동시켜 압유공급라인(15)을 통해 제 1콘트롤밸브(16)를 조작하여 주행플런저(17)를 작동시키면 그 주행플런저(17)로부터의 압유가 입구포트(18a)를 통해 주행모터(18)에 공급되어 휠(3)을 구동시킴으로써 차체가 주행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주행을 멈추게 되거나 정지상태인 경우에는 압유가 주행모터(18)의 출구포트(18b)를 통하거나 또는 압유공급라인(15)을 통해 공급되는 압유가 직접 복귀라인(19)을 통해 오일탱크(20)로 귀환되며, 또한 작동중 주행플런저(17)에 설정값 이상의 유압이 발생되면 압유를 릴리프밸브(21)를 통해 복귀라인(19)으로 배출시켜 주행플런저(17)의 유압을 정상상태로 유지시킨다. 한편, 각각의 실린더(33,34,36) 및 선회모터(35)중 하나를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제 2펌프(22)를 작동시켜 압유공급라인(23) 및 센터바이패스라인(23a)을 통해 제 2콘트롤밸브(24)를 조작하여 복귀라인(30)의 선단부를 페쇄하고, 해당되는 실린더 또는 모터에 각각 연결되는 플런저(25,26,27,28)중 하나의 플런저에 압유공급라인(23)을 통해 압유를 공급하여 해당 플런저를 작동시키면 동시에 그 플런저에 연결된 실린더 또는 모터가 작동하여 해당 작업을 실행하는 것이다. 또한, 각각의 실린더 및 모터중 2개 이상을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제 2펌프(22)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를 압유공급라인(23) 및 그 라인으로부터 분기되는 패러랠라인(29)을 통해 해당되는 2개 이상의 플런저에 공급하여 이들 각각의 플런저에 연결되는 해당 실린더 또는 모터가 동시에 복합적으로 작동하여 소정의 작업을 실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유압 제어 시스템은 차체의 주행 구동용으로 이용되는 하나의 가변형 펌프와 다양한 작업을 실행하는 작동구동용으로 이용되는 고정형 펌프를 사용함으로 인해 상호 상이한 작동압력에 대한 유량 배분으로 부하압력이 매우 높은 부분에 대하여는 상대적으로 작동압유의 중단(cut off)이 초래되어 복합 조작시 작업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붐의 승하강 또는 신축과 동시에 선회장치의 선회조작을 위한 복합조작시에는 상대적으로 선회작동압력이 낮게 제공될 수 있어 전체적인 작동속도의 저하를 초래하게 되며, 이에 따라 높은 엔진출력에도 불구하고 에너지의 손실 및 유압시스템의 효율의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아웃트리거 또는 밸런서를 제어 및 작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시스템을 부가적으로 설치함에 따른 비용의 증가 및 집적도의 저하를 초래하며, 또한 별도의 시스템의 설치로 인한 압유의 연속구동 및 속도제어가 불가능하며 이에 따라 부가적인 에너지 손실 및 효율의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주행용 및 작동용 펌프를 모두 가변형으로 하고 주행조작용 콘트롤밸브에는 선회장치, 아웃트리거 및 밸런서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작동조작용 콘트롤밸브에는 각 작동수단의 작동부하압력의 크기에 따라 플런저를 배열하여 복합조작시 작업싸이클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고 유압시스템의 전체적인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유압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유량을 필요로하는 선회장치의 선회조작을 독립적으로 행할 수 있고 다른 작동수단의 조작과 무관하게 제어할 수 있는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유압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아웃트리거 또는 밸런서 조작용 프런저를 일체화 시켜 유압시스템의 효율 및 집적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유압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 같은 목적들은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엔진에 연결되는 가변형의 제 1펌프; 압유공급라인에 의해 상기 제 1펌프에 연결되며, 상기 압유공급라인에 연결되는 센터바이패스라인에 의해 각각 연통연결되고 각각의 작동 실린더가 연결되는 주행플런저, 아웃트리거/밸런서플런저 및 선회플런저가 순차적으로 배설되는 제 1콘트롤밸브; 상기 센터바이패스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주행플런저와 아웃트리거/밸런서플런저를 상호 연통시키는 패러랠라인; 상기 선회플런저에 연결되며 상기 압유공급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압유를 이송시키기 위한 제 1분기압유공급라인과, 상기 센터바이패스라인과 연통하는 제 2분기압유공급라인을 상기 압유공급라인으로부터 분기시키기 위한 분기블럭;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엔진에 연결되는 가변형의 제 2펌프; 압유공급라인에 의해 상기 제 2펌프에 연결되며, 상기 압유공급라인에 연결되는 센터바이패스라인에 의해 각각 연통연결되고 각각의 작동 실린더가 연결되는 붐 리프트플런저, 붐 신축플런저, 포크캐리지플런저 및 옵션플런저가 순차적으로 배설되는 제 2콘트롤밸브; 상기 압유공급라인으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각각의 플런저에 압유를 공급하기 위해 이들 각각의 플런저에 연통하는 복수개의 분기관을 구비하는 패러랠라인;으로 이루어지는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유압 제어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중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유압 제어 시스템의 유압회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 제어 시스템에 적용되는 압력보상형 레귤레이터에서의 유량제어를 보여주는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유압 제어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가변형으로 구성되는 제 1펌프(40)를 구비하며, 그 제 1펌프(40)는 다양한 작동요소들이 연계되어 설치된다. 즉, 그 제 1펌프(40)에는 압유공급라인(42)이 연결되어 있으며, 그 압유공급라인에는 주행장치 및 일부의 구동장치의 실제적인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 1콘트롤밸브(44)가 연계되어 있다. 그 제 1콘트롤밸브(44)에는 주행플런저(46), 아웃트리거/밸런서플런저(48) 및 선회플런저(50)가 순차적으로 배설되어 있다. 한편, 주행플런저(46)와 아웃트리거/밸런서플런저(48)는 압유공급라인(42)으로부터 분기되는 패러랠라인(47)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또한, 각각의 플런저에는 제 1콘트롤밸브(44)의 제어에 따라 실제적인 작동을 실행하는 실린더 및 모터가 연결되어 있는 바, 즉, 주행플런저(46)에는 주행모터(42)가 연결되어 있고, 아웃트리거/밸런서플런저(48)에는 아웃트리거/밸런서실린더(54)가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선회플런저(50)에는 2개의 압유통로(55,57)에 의해 선회모터(56)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 한편, 제 1콘트롤밸브(44)에 연결된 압유공급라인(42)에는 각각의 플런저(46,48,50)와 연통하는 센터바이패스라인(58)이 연결되어 있으며, 그 센터바이패스라인(58)에는 압유의 압력을 임의로 감압할 수 있는 풋릴리프밸브(60)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각각의 플런저(46,48,50)와 분기식으로 연통하는 압유복귀라인(62)이 연결되어 있으며, 그 것의 단부는 압유가 그 압유복귀라인(62)을 통해 복귀되어 저장될 수 있도록 압유탱크(64)에 연통된다. 물론 그 압유복귀라인(62)과 패러랠라인(47)은 상호 연통하며 그 연통라인에는 제 1콘트롤밸브(44), 특히 선회플런저(50)로 공급되는 압유의 유압이 설정압 이상으로되는 경우 압유를 압유복귀라인(62)을 통해 압유탱크(64)로 복귀시키기 위해 릴리프밸브(49)가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압 제어 시스템의 압유공급라인(42)에는 분기블럭(66)이 설치되며, 그 분기블럭에는 그로부터 분기되고 그 압유공급라인(42)과 연통하는 제 1분기압유공급라인(68)이 설치되는 바, 여기서 분기블럭(66)으로부터 제 1콘트롤밸브(44)로 분기되는 라인은 제 2분기압유공급라인(67)이라 칭하는 바, 실제로 그 제 1분기압유공급라인(67)은 이해의 용이성을 위해 상술된 압유공급라인(42)또는 센터바이패스라인으로 혼용되어 설명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분기압유공급라인(68)의 소정의 위치에는 선회플런저(50)로 공급되는 압유의 유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압력보상형 레귤레이터(70)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그 압력보상형 레귤레이터의 후방에는 그 선회플런저(50)로 유입되는 압유의 부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체크밸브(72)가 설치된다. 물론 그 체크밸브(72)는 패러랠라인(74)에 의해 선회플런저(50)에 연결되어 이를 통해 압유가 원할하게 선회플런저(50)로 공급된다.
특히, 센터바이패스라인(58)에는 제 1펌프 음압력라인(76)이 분기되어 제 1펌프(40)에, 보다 상세하게는 그 제 1펌프(40)의 유량조정기(도시되지 않았음)에 연결된다.
한편, 엔진 및 제 1펌프(40)에는 역시 가변형으로 구성되는 제 2펌프(80)가 연결되며, 그 제 2펌프(80)에는 압유공급라인(82)에 의해 제 2콘트롤밸브(84)가 연계되어 있다. 그 제 2콘트롤밸브(84)에는 다양한 작동을 실행시키기 위한 다수의 플런저, 즉, 압유공급라인(82)에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붐 리프트제어용 플런저(86: 이하 '붐 리프트플런저'라 칭함), 붐 신축제어용 플런저(88: 이하 '붐 신축플런저'라 칭함), 포크캐리지 회동제어용 플런저(90: 이하 '포크캐리지플런저'라 칭함)가 배설되어 있으며, 또한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옵션플런저(92)가 부가적으로 배설되어 있다.
또한, 이들 각각의 플런저(86,88,90,92)에는 센터바이패스라인(94)이 연통되어 있으며, 또한 그 센터바이패스라인(94)에는 각각의 플런저(86,88,90,92)에서 소요된 압유를 오일탱크(98)로 귀한시키기 위한 복귀라인(96)이 연결되어 있고 또한 그것의 상단에는 압유의 압력을 임의로 감압할 수 있는 풋릴리프밸브(10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플런저(86,88,90,92)에는 다양한 작동을 실제로 행하기 위한 작동수단들이 연결되는 바, 즉, 붐 리프트플런저(86)에는 붐 리프트실린더(102)가, 붐 신축플런저(88)에는 붐 신축실린더(104)가, 포크캐리지플런저(90)에는 포크캐리지실린더(106)가 연결되어 있으며, 선택적으로 옵션플런저(92)에는 도시되지 않은 필요한 작동수단들중 하나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압유공급라인(82)에는 각각의 플런저로 공급되는 압유의 전체적인 유압이 규정값 이상으로 되는 경우 압유를 복귀라인(96)을 통해 오일탱크(98)로 귀환시키기 위한 릴리프밸브(10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각각의 플런저(86,88,90,92)에는 압유공급라인(23)으로부터 분기되는 패러랠라인(110)은 압유공급라인(82) 또는 바이패스라인(94)과 연통하며 또한 각각의 플런저(86,88,90,92)에 연통되는 연결관(112,114,116,118)에 각각 연결되는 분기관(120,122,124,126)을 포함한다. 물론 상기 각각의 연결관(112,114,116,118)에는 각각의 플런저(86,88,90,92)로의 압유의 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체크밸브(113,115,117,119)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각각의 분기관들중 분기관(122,124,126)에도 또한 동일 목적으로 체크밸브(128,130,132)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각각의 분기관들중 포크캐리지플런저(90)에 연통하는 분기관(124)에는 복합동작시 압유를 다른 플런저로 우선 공급하기위해 그 압유의 압력손실을 유도하기 위한 오리피스(134)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이 오리피스(134)는 각각의 작동실린더의 최적의 속도제어 및 압유분배를 위해 상대적으로 작동압력이 낮고 제어유량이 작은 작동실린더, 즉, 포크캐리지실린더(106)에 연결된 포크캐리지플런저(90)에 연통하는 분기관(124)에서 압력의 손실을 유도하는 역할 을 한다.
또한, 센터바이패스라인(94)의 선단에는 제 2펌프 음압력라인(136)이 분기되어 제 2펌프(80)에, 보다 상세하게는 그 제 2펌프(80)의 유량조정기(도시되지 않았음)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유압 제어 시스텝의 작동을 주행 및 작업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주행 또는 평형을 조작하는 경우 제 1펌프(40)를 작동시킨 후 제 1콘트롤밸브(44)를 조작하면, 제 1펌프(40)로부터 송출되는 압유가 압유공급라인(42) 및 분기블럭(66)을 지나 주행플런저(46)로 공급되어 주행모터(52)를 조작할 수 있거나 이를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동일방식으로 아웃트리거/밸런서플런저(48)에 압유를 공급하여 아웃트리거/밸런서실린더(54)를 조작할 수 있다. 이때, 주행플런저(46)가 압유공급라인(42)에 대해 최선단의 제 1열에 배설되어 주행시 우선하여 압유를 확보할 수 있어 주행속도를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며, 동시에 주행플런저(46)와 아웃트리거/밸런서플런저(48)에 연통하는 패러랠라인(47)에 의해 아웃트리거/밸런서플런저(48)에도 충분한 압유가 공급될 수 있어 주행중 또는 정지중에 차체의 밸런스 및 평형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선회장치만을 단독으로 조작하는 경우에는 제 1펌프(40)에서 토출된 압유는 압유공급라인(42)을 통해 분기블럭(66)으로 공급되어 제 1분기압유공급라인(68)을 통해 유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분기압유공급라인(68)을 통해 흐르는 압유는 그 라인상에 배치된 압력보상형 레귤레이터(70), 체크밸브(72) 및 패러랠통로(74)를 지나 선회플런저(50)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선회플런저(50)에 공급된 압유는 선회플런저(50)를 절환시킴과 동시에 압유통로(55)를 통해 선회모터(56)에 공급되어 선회모터(56)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물론 이와 같이 선회모터(56)로 공급되어 이를 작동 및 제어한 후의 압유는 압유통로(57)를 통해 배출되어 복귀라인(62)을 지나 압유탱크(64)로 귀환된다.
이때, 선회모터(56)는 저속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이에 비례하게 저유량제어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제 1펌프(40)의 토출유량이 과도하게되면 그 선회모터(56)의 속도를 일정하게 또는 정확하게 제어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바, 이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분기압유공급라인(68)에 설치된 압력보상형 레귤레이터(70)가 작동되어 작동중의 압유를 항상 일정량 및 압력으로 패러랠라인(74)을 통해 선회플런저(50)에 공급함으로써 선회모터가 정확하게 작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압력보상형 레귤레이터(70)의 작용은 도 4에 그래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분기압유공급라인(68)을 통해 공급되는 압유의 압력변동에 관계없이 항상일정유량(Qo)만을 통과시키며, 유량이 과도하게 유입되는 경우에는 제 1분기압유공급라인(68)내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며 그 상승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으로 되면 릴리프밸브(49)가 작동되어 압유는 복귀라인(62)을 거쳐 압유탱크(64)로 복귀되는 것이다. 결국, 선회플런저(50)에는 제 1펌프(40)의 토출유량의 변동에 관계없이 항상 조절된 압유가 공급되어 선회모터(56)를 정확하게 조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포크캐리지에 중량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선회장치를 선회시키더라도 선회속도를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주행 및 선회를 동시에 행하는 선회복합조작시에는 제1펌프(40)의 전유량이 토출되며 이와 같이 토출된 압유중 일부는 압유공급라인(42)을 지나 분기블럭(66)에서 제 2분기압유공급라인(67) 및 센터바이패스라인(58)을 통해 주행플런저(46)로 공급되어 상술된 바와 같이 주행모터(52)를 작동시키며, 동시에 나머지 압유는 분기블럭(66)에서 분기되는 제 1압유공급라인(68)으로 공급되어 상술된 바와 같이 압력보상형 레귤레이터(70)를 지나 체크밸브(72)를 경유하여 패러랠라인(74)을 통해 선회플런저(50)에 공급되어 선회모터(56)를 작동시킴으로써 주행중 선회조작을 원할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주행모터(52)의 작동 및 조작을 위해 상대적으로 대유량의 압유가 제공되는 반면 선회모터(56)의 작동 및 조작을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필요한 만큼의 저유량의 압유가 제공됨으로써 항상 속도의 저하 없이 정상적인 주행 및 작업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 2펌프(80) 및 제 2콘트롤밸브(84)에 연계된 각각의 구동수단, 즉, 붐 리프트실린더(102), 붐 신축실린더(104), 포크캐리지실린더(106) 또는 옵션으로 설치될 수 있는 다른 작동장치 각각을 선택적으로 조작하는 경우, 제 2펌프(80)를 작동시키면 그 제 2펌프(80)로부터 토출되는 압유가 압유공급라인(82) 및 센터바이패스통로(94)를 지날때 각각의 플런저(86,88,90,92)에 연통되는 연결관(112,114,116,118)에 설치된 각각의 체크밸브(113,115,117,119)중 해당되는 하나의 체크밸브를 개방시킨 상태로 대기시키면 해당 분기관에 연결된 플런저가 절환된다. 이와 같이 해당 플런저가 절환됨과 동시에 압유가 그 플런저에 연결된 작동실린더에 공급되어 해당 실린더를 작동 및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각각의 작동실린더들중 2개 이상의 작동실린더를 동시에 복합조작하는 경우를 붐 리프트실린더(102)의 리프트 작용과 붐 신축실린더(104)의 신장작용의 동시조작을 예로 설명하면, 제 2펌프(80)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를 이용하여 붐 리프트플런저(86)를 좌측으로 절환하면 붐 리프트실린더(102)의 헤드측이 구동함과 동시에 붐 신축플런저(88)를 우측으로 절환하면 압유가 체크밸브(113)를 통해 붐 리프트실린더(102)의 헤드로 공급되어 그 붐이 상승하게되며, 이와 동시에 압유공급라인(82)을 통해 공급되는 압유는 패러랠라인(110)의 분기관(122) 및 그 분기관에 설치된 체크밸브(128)를 지나 붐 신축플런저(88)로 공급되며 이어서 그 압유가 붐 신축실린더(104)의 헤드측으로 공급됨으로서 붐이 전개 또는 신장되는 것이다. 즉, 2개 이상의 작동실린더의 복합조작시에는 해당되는 각각의 플런저에 연통되는 패러랠라인(110)의 각각의 분기관에 설치된 체크밸브에 의해 유압이 적절하게 공급됨으로써 가능한 것이다.
물론 해당 작동실린더들의 구동속도는 제 2펌프에서 토출되는 압유량에 따라 제어되는 바, 이 경우 패러랠라인(110), 각각의 분기관(122,124,126) 및 이들 각각의 분기관에 설치된 체크밸브(128,130,132)를 통한 해당플런저(86,88,90,92)로의 압유의 분할 공급시 작동압력의 차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작동압력이 낮은 플런저로 압유가 우선적으로 공급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바, 이때는 각각의 작동실린더의 최적의 속도제어 및 압유분배를 위해 상대적으로 작동압력이 낮고 제어유량이 작은 작동실린더인 포크캐리지실린더(106)에 연결된 포크캐리지플런저(90)에 연통하는 분기관(124)에 설치된 오리피스(134)에 의해 포크캐리지플런저(90)로 통하는 압유의 압력손실이 유도됨으로써 2개 이상의 작동실린더의 작동시 복합동작의 제어를 최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붐의 리프팅 및 신축동작 과 포크캐리지의 회동조작을 동시에 행하는 경우에는 제 2펌프(80)로부터 토출되는 압유가 패러랠라인(110)의 각각의 분기관(120,122,124)을 통해 각각의 플런저(86,88,90)로 공급되는 바, 이때 포크캐리지실린더(106)는 붐 리프트실린더(102) 및 붐 신축실린더(104)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동압력이 낮고 작동속도가 완만하게 되어야 하므로, 상술된 바와 같이 그 포크캐리지실린더(106)를 작동시키기 위한 포크캐리지플런저(90)에서는 그 플런저에 연결된 분기관(124)에 설치된 오리피스(134)에 의해 압력손실이 유도된다. 이에 따라, 포크캐리지플런저(90)로의 압유의 공급이 한정되는 반면 상대적으로 붐 리프트플런저(86) 및 붐 신축플런저(88)로의 압유의 공급이 우선적으로 실행됨으로써 시스템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대적으로 신속한 동작이 요구되는 붐 리프트실린더(102)를 제어하기 위한 붐 리프트플런저(86)가 상대적으로 작동압력이 낮은 붐 신축실린더(104)를 제어하기 위한 붐 신축플런저(88) 이전에 배설됨으로써, 그 붐 리프트실린더(102)에 우선적으로 압유가 공급되며, 이에 따라 시스템의 압력손실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그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가변형인 제 1펌프(40)에 연계되는 제 1콘트롤밸브(44)에는 그 제 1펌프로부터 주행플런저(46), 아웃트리거/밸런서플런저(48) 및 선회플런저(50)가 순차적으로 배설되고 또한 역시 가변형인 제 2펌프(80)에 연계되는 제 2콘트롤밸브(84)에는 그 제 2펌프로부터 붐 리프트플런저(86), 붐 신축플런저(88), 포크캐리지플런저(90) 및 옵션플런저(92)가 배설됨으로써 붐의 리프트조작, 신축조작 및 포크캐리지의 틸팅조작등과 같은 작동조작과 동시에 선회동작을 동시에 조작할 수 있으며, 또한 각각의 플런저에 독립적으로 압유가 공급될 수 있어 복합조작을 동시에 행하는 경우에도 그 작업속도를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작업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으며 이에따라 시스템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본 발명의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유압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가변형인 2개의 펌프를 채용하여 붐의 리프트 및 신축동작, 포크캐리지의 회동, 차체의 주행, 아웃트리거 및 밸런서의 균형동작, 선회장치의 선회작동등과 같은 다양한 동작의 복합구동 및 조작이 가능하며, 플런저의 특성에 따른 배열을 통해 구동시 유압의 손실이 최소화 되어 시스템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각의 조작을 위한 작동실린더의 복합조작시, 선회장치의 선회작동을 행하여도 시스템 전체의 속도를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며, 장비의 부하가 최소화될 수 있어 소음의 저감 및 장비의 내구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텔레스코픽 핸들러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유압 제어 시스템의 유압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유압 제어 시스템의 유압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압력 보상형 레귤레이터의 작용을 보여주는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 제 1펌프 44: 제 1콘트롤밸브
46: 주행플런저 48: 아웃트리거/밸런서플런저
50: 선회플런저 60: 풋릴리프밸브
66: 분기블럭 70: 압력보상형 레귤레이터
72: 체크밸브 76: 제 1펌프 음압력라인
80: 제 2펌프 84: 제 2콘트롤밸브
86: 붐 리프트플런저 88: 붐 신축플런저
90: 포크캐리지플런저 110: 패러랠라인
112,114,116,118: 연결관 113,115,117,119: 체크밸브
120,122,124,126: 분기관 134: 오리피스

Claims (5)

  1. 유압을 구동원으로 하여 다양한 작업 또는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작동수단이 설치된 텔레스코픽 핸들러에서 상기 각각의 작동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유압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엔진에 연결되는 가변형의 제 1펌프;
    압유공급라인에 의해 상기 제 1펌프에 연결되며, 상기 압유공급라인에 연결되는 센터바이패스라인에 의해 각각 연결되고 각각의 작동 실린더가 연결되는 주행플런저, 아웃트리거/밸런서플런저 및 선회플런저가 순차적으로 배설되는 제 1콘트롤밸브;
    상기 센터바이패스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주행플런저와 아웃트리거/밸런서플런저를 상호 연통시키는 패러랠라인;
    상기 선회플런저에 연결되며 상기 압유공급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압유를 이송시키기 위한 제 1분기압유공급라인과, 상기 센터바이패스라인과 연통하는 제 2분기압유공급라인을 상기 압유공급라인으로부터 분기시키기 위한 분기블럭;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엔진에 연결되는 가변형의 제 2펌프;
    압유공급라인에 의해 상기 제 2펌프에 연결되며, 상기 압유공급라인에 연결되는 센터바이패스라인에 의해 각각 연통연결되고 각각의 작동 실린더가 연결되는 붐 리프트플런저, 붐 신축플런저, 포크캐리지플런저 및 옵션플런저가 순차적으로 배설되는 제 2콘트롤밸브;
    상기 압유공급라인으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각각의 플런저에 압유를 공급하기 위해 이들 각각의 플런저에 연통하는 복수개의 분기관을 구비하는 패러랠라인;으로 이루어지는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유압 제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센터바이패스라인의 상단에는 그 센터바이패스라인내의 압력을 감압시킬 수 있는 풋릴리프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유압 제어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분기압유공급라인에는 복합조작시 선회모터를 일정속도로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선회플런저로 공급되는 압유의 유량 및 압력을 일정하게 조절하기 위한 압력보상형 레귤레이터 및 체크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유압 제어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콘트롤밸브의 패러랠라인에서 분기되는 분기관들중 포크캐리지플런저에 연통하는 분기관에는, 복합조작시 다른 플런저에 적정 유량의 압유가 공급될 수 있도록 오리피스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유압 제어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펌프 및 제 2펌프는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가능하며, 상기 각각의 펌프는 각각 상기 센터바이패스라인에 연통하는 음압력라인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유압 제어 시스템.
KR10-1998-0029828A 1998-07-24 1998-07-24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유압 제어 시스템 KR100503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9828A KR100503611B1 (ko) 1998-07-24 1998-07-24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유압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9828A KR100503611B1 (ko) 1998-07-24 1998-07-24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유압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426A KR20000009426A (ko) 2000-02-15
KR100503611B1 true KR100503611B1 (ko) 2005-09-26

Family

ID=19545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9828A KR100503611B1 (ko) 1998-07-24 1998-07-24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유압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36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07129B (zh) * 2019-07-12 2020-11-24 长江三峡设备物资有限公司 弧形棚移动装置及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9528A (ja) * 1989-07-07 1991-02-20 Yutani Heavy Ind Ltd 建設機械の油圧ポンプ制御回路
KR920012676A (ko) * 1990-12-21 1992-07-27 이경훈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시스템
JPH06117411A (ja) * 1992-10-05 1994-04-26 Sumitomo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制御回路
KR960023540A (ko) * 1994-12-30 1996-07-20 석진철 중장비의 주행구동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9528A (ja) * 1989-07-07 1991-02-20 Yutani Heavy Ind Ltd 建設機械の油圧ポンプ制御回路
KR920012676A (ko) * 1990-12-21 1992-07-27 이경훈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시스템
JPH06117411A (ja) * 1992-10-05 1994-04-26 Sumitomo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制御回路
KR960023540A (ko) * 1994-12-30 1996-07-20 석진철 중장비의 주행구동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426A (ko)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77905A1 (en) Hydraulic control device of industrial machinery
CN102874087B (zh) 车辆、特别是移动式作业机械的驱动系
KR101155717B1 (ko) 굴삭기의 붐-선회 복합동작 유압제어장치
CN110030217B (zh) 一种高空作业车底架浮动油缸的控制系统及高空作业车
KR101680902B1 (ko) 중장비의 스티어링 로드 센싱 시스템
WO2006006448A1 (ja) 作業車両の油圧駆動装置
KR20080059735A (ko) 지게차의 유압시스템
KR20200022400A (ko) 쇼벨 및 쇼벨의 제어방법
US5680759A (en) Straight travelling apparatus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KR100503611B1 (ko) 텔레스코픽 핸들러의 유압 제어 시스템
KR20220044439A (ko) 쇼벨
KR101053175B1 (ko) 에너지 절감형 3펌프 제어용 콘트롤 밸브의 유압시스템
JP2002206256A (ja) バックホウの油圧装置
KR100520485B1 (ko) 유압식 차량의 유압시스템
KR100813774B1 (ko) 소형 굴삭기의 유압펌프 제어장치
CN111608970B (zh) 驱动装置和施工机械
KR100547577B1 (ko) 산업용 차량의 유압회로 복합제어장치_
JP2004100154A (ja) 建設機械の油圧駆動装置
KR100953383B1 (ko) 지게차의 조향 시스템
KR102273327B1 (ko) 다목적용 유압시스템의 펌프 유량 제어를 위한 유압회로
JP7431006B2 (ja) 油圧制御回路
KR100259715B1 (ko) 아웃트리거 유압회로의 작동유 분배장치
JP2000327270A (ja) クレーン車のアクチュエータ制御回路およびそのアクチュエータ制御方法
KR200151462Y1 (ko) 휠로다의 동력절감장치
JP2775927B2 (ja) エンジン式荷役車両における油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